KR200495851Y1 - 유동형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유동형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851Y1
KR200495851Y1 KR2020200002326U KR20200002326U KR200495851Y1 KR 200495851 Y1 KR200495851 Y1 KR 200495851Y1 KR 2020200002326 U KR2020200002326 U KR 2020200002326U KR 20200002326 U KR20200002326 U KR 20200002326U KR 200495851 Y1 KR200495851 Y1 KR 200495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tube body
fixed tube
side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073U (ko
Inventor
장정필
Original Assignee
장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필 filed Critical 장정필
Priority to KR2020200002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5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선 양측으로 배치되는 지선을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유동형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어의 입질이 있을 때 입질방향으로 지선이 적극 유동하여 강력한 훅킹이 이루어지게 하고 바늘털이 동작에 대해서는 이에 대항하여 유동되게 함으로써 챔질에 유리하고 바늘털이를 막을 수 있게 하는 등으로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유동형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선(20)을 연결하는 본선연결도래(4)가 구비되는 지선연결구(1)와, 상기 지선연결구(1)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선(10,10')으로 이루어진 유동형 낚시채비에 있어서, 상기 지선연결구(1)는; 본선(20)이 연결되는 본선연결도래(4)가 결합된 고정관체(2)와, 상기 고정관체(2)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관(22,23)과, 상기 고정관체(2)에 관통 삽입되어 양측(22,23) 외측으로 고리(31,31')가 형성되어 지선(10,10')이 연결되는 연결선(3)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관체(2)는 완만하게 절곡한 절곡부(21)를 중심으로 벌린 형태로 양측에 지관(22,23)을 형성하고, 상기 지관(22,23)은 일측은 짧게 다른 일측 길게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하여 유동형 낚시채비를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유동형 낚시채비{FLOW TYPE FISHING TACKLE}
본 고안은 본선 양측으로 배치되는 지선을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유동형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어의 입질이 있을 때 입질방향으로 지선이 적극 유동하여 강력한 훅킹이 이루어지게 하고 바늘털이 동작에 대해서는 이에 대항하여 유동되게 함으로써 챔질에 유리하고 바늘털이를 막을 수 있게 하는 등으로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유동형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줄 낚시 등은 하나의 본선에 여러 개의 지선을 연결하는 등으로 채비를 구성한다. 즉, 외줄 낚시는 지선 배열 구조나 형태가 우럭, 도다리 등의 대상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어 채비를 구성하는 것으로, 종래의 다양한 외줄 낚시채비에 대하여 선행기술을 통해 살펴본다.
참고문헌1에; 편대 양측으로 2개씩 4개의 지선을 연결하여 견고성과 탄력성을 갖춘 도다리 낚시채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2에; 어류가 미끼를 입질할 때 편대 자체에 있는 봉돌과 본 봉돌의 무게로 인한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조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채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3에; 본선과 연결되는 연결대 양측에 강력하고 튼튼한 결합구조로 편대를 연결하여 낚시채비를 구성함으로써 우럭 등과 같이 힘이 세고 무거운 중량의 대물(大物)낚시에도 편대가 휘어져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한 편대 낚시채비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4에; 수개의 지선이 연결된 외줄을 2열 편대로 나란히 연결시켜 2개 1조로 이루어진 외줄에 특정 수심에서 대상어를 집중 공략할 수 있도록 한 사용성 향상과 조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2열 편대 채비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5에; 납추와 낚시바늘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우럭과 같이 굴곡이 심한 해저 암초대와 사질대의 해저 경계역 등에서 서생하는 어류를 쉽게 낚을 수 있는 바다 낚시용 채비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6에; 삼각원리를 이용한 몸체에 의해 지선들의 수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회전이 억제되어 지선과 지선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철선이 휘거나 하지 않음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채비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다낚시용 채비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7에; 낚시줄의 봉돌(추)을 중심으로 철사지지간을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서 여러 개의 낚시를 매달게 할 수 있고 낚시 작업 중에 낚시줄의 꼬임이나 엉킴 현상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서 능률적으로 낚시작업을 가능케 하는 우럭 낚시용 낚시줄의 구성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8에; 바닥 올림 낚시에 적합하도록 본체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입질 발생시 본체가 효과적으로 작동하여 찌 올림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계절 및 입질 감도에 따른 편대의 편리한 교체 및 본체의 미세한 무게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올림 낚시용 추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9에; 하나의 철선으로 이루어진 양 빗변선재와 밑변선재로 구성한 이등변삼각형 형상의 몸체에 상부 꼭지점을 지나는 수직철선을 결합하며, 몸체와 직교하는 위치에 양 빗변선재와 밑변선재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다른 몸체를 수직철선에 결착 구비시켜 구성한 바다 낚시용 채비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0에; 삼각원리를 이용한 몸체에 의해 지선들의 수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회전이 억제되어 지선과 지선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철선이 휘거나 하지 않음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여러개의 채비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다낚시용 채비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3740호, 2017.10.31. (참고문헌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222호, 2015.05.19. (참고문헌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60호, 2010.01.29. (참고문헌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0123호, 2009.10.07. (참고문헌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1965호, 2003.01.24. (참고문헌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494호, 2002.09.11. (참고문헌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5195호, 2002.02.25. (참고문헌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9921호, 2016.04.12. (참고문헌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92734호, 2009.10.16. (참고문헌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4717호, 2003.12.18.,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의 외줄 낚시 등은 본선을 중심으로 여러 개의 지선을 연결할 수 있는 편대 혹은 일자형 지선연결구를 구비하여 지선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선에 연결된 지선은 지선연결구가 본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거나 탄력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등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존 외줄 낚시는 대상어의 입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효율적인 챔질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또 바늘털이(바늘에 걸린 고기가 바늘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동작)에도 방어적으로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우럭, 도다리 등의 여러 대상어를 타킷으로 우수한 조과를 기대하는 데 불리한 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본선에 지선이 유동이 가능한 지선연결구를 구성하여 지선이 입질방향으로 유동되게 함으로써 대상어의 입질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즉 대상어의 입질이 있게 되면 입질 방향으로 지선이 이동되게 하여 원활하고 강력한 훅킹이 이루어지게 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바늘에 걸린 대상어가 바늘털이 동작을 하게 되면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즉 바늘에 대상어를 바늘을 털어내기 위한 동작이 있게 되면 해당 동작에 지선 전체가 유동적으로 대응하여 움직임으로써 바늘털이에 대항하여 훅킹이 느슨해지거나 벗겨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게 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본선을 중심으로 편중된 지선연결구에 의해 지선의 회전운동이 더욱 원활하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은 본선을 연결하는 본선연결도래가 구비되는 지선연결구와, 상기 지선연결구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선으로 이루어진 유동형 낚시채비에 있어서, 상기 지선연결구는; 본선이 연결되는 본선연결도래가 결합된 고정관체와, 상기 고정관체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관과, 상기 고정관체에 관통 삽입되어 양측 외측으로 고리가 형성되어 지선이 결합되는 연결선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관체는 완만하게 절곡한 절곡부를 중심으로 벌린 형태로 양측에 지관을 형성하고, 상기 지관은 일측은 짧게 다른 일측 길게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하여 유동형 낚시채비를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본 고안은 지선이 유동되는 지선연결구 등으로 채비를 구성하여 입질방향으로 움직이는 지선이 대상어의 입질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강력한 훅킹을 발휘할 수 있고, 바늘에 걸린 대상어의 바늘털이 동작에 능동적으로 대항하여 훅킹이 느슨해지는 경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지선이 어느 한 쪽으로는 편중되게 지선연결구를 구성하여 편심된 지선으로부터 지선의 회전운동이 더욱 원활하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보다 효율적인 낚시로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작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작용상태도
본 고안은 지선이 입질방향으로 이동하여 훅킹과 챔질이 강력하게 이루어지는 등, 지선이 유동가능한 유동형 낚시채비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지선연결구는 고정관체와, 고정관체 내에서 이동되고 양 끝에 지선이 연결되는 연결선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선연결구의 고정관체는 절곡부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으로 절곡되며, 이 절곡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지관을 형성한다.
상기 절곡부 양측에 형성되는 좌우 양 지관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한다.
즉, 어느 일측의 길이가 다른 일측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한다.
상기 지선연결구를 구성하는 고정관체는 본선에 연결하기 위한 본선연결도래가 구비된다.
상기 본선연결도래가 절곡부에 결합된 고정관체 내에는 연결선이 내장된다.
상기 고정관체에 내장된 연결선은 양 끝에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에 도래를 결합하여 지선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이다.
지선연결구(1)는 고정관체(2)와, 고정관체(2)에 내장되는 연결선(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관체(2)는 동관(銅管)등의 재질로 구성하여 절곡부(21)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벌린 형태로 지관(22,23)을 형성한다.
절곡부(21) 양측의 지관(22,23)은 절곡부(21)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일측 지관(22)은 짧게 다른 일측 지관(23)을 길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불균형으로 구성되는 지관(22,23)은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됨으로써 회전유동성을 더욱 적극적이고 원활하게 한다.
상기 절곡부(21)는 완만한 굴곡으로 형성하여 양측 지관(22,23)과 절곡부(21) 내를 관통하는 연결선(3)이 원만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관체(2) 내부에는 연결선(3)을 관통결합한다. 상기 연결선(3)은 고정관체(2) 내부를 축방향으로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는 철선(Wire)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선(3)이 삽입되는 고정관체(2)의 절곡부(21)에는 본선연결도래(4)를 결합한다. 상기 본선연결도래(4)는 일측 고리(부호 생략)를 고정관체(2)의 절곡부(21) 외측에 용착 등으로 고정시켜 결합한다.
상기 고정관체(2)의 절곡부(21)에 일측 고리가 결합되는 본선연결도래(4)는 다른 고리에 스냅핀(40) 등을 결합하여 본선(10)을 연결한다.
상기 본선(10)을 연결하는 본선연결도래(4)에는 싱커연결고리(50)를 연결하여 싱커(Sinker)를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싱커연결고리(50)는 도시한 예와 같이 고정관체(2) 상부에 결합된 본선연결도래(4)에 결합하거나 고정관체(2)의 절곡부(21) 하부로 결합하는 구성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절곡부(21)를 중심으로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지관(22,23)은, 일측은 짧게, 다른 일측은 길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됨으로써 어느 지관(22,23)은 길이가 긴 쪽으로 무게중심이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도시한 예와 같이 길이가 절국부(21)를 중심으로 짧은 쪽 지관(22)은 수평으로, 길이가 긴 쪽 지관(23)은 기울기를 가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절곡부(21)를 중심으로 양측에 지관(22,23)이 형성된 고정관체(2) 내부에는 연결선(3)이 내장된다. 상기 연결선(3)은 양 지관(22,23) 끝에서 양 지관(22)(23) 보다 일정 길이(A)(A1)로 길게 연장 형성하고 끝에 고리(31,31')를 형성하여 여기에 지선(10,10')의 연결을 위한 연결도래(5,5')를 결합하고 구슬(6,6')을 결합한다. 상기 연결선(3)의 고리(31,31')에 지선(10,10')을 바로 연결하거나 다양한 연결수단으로 연결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관체(2) 내부에 결합된 연결선(3)은 어느 한 쪽 지선(10,10')에 입질로 지선(10,10')을 당기게 되면 고정관체(2)에 관통 결합된 연결선(3)은 입질 방향으로 고정관체(2) 외부로 노출된 길이 만큼 이동하게 된다.
즉, 입질 방향(당기는 방향)으로 A 길이만큼(또는 A1길이만큼), 또는 A+A1길이만큼 이동하고 더 이상은 고정관체(2)에 걸려 제동되므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연결선(3)의 이동과정에서 연결선(3)은 절곡부(21)의 곡선부분에서 미약한 저항을 받게 되지만 연결선(3)은 가는 철선(예: 1.5mm 내외)으로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절곡부(21)에서 완만한 절곡부(21)의 형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이동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탄력에 의한 미약한 저항은 입질로 미끼를 물고 연결선(3)을 당길 때 연결선(3)이 아무러 저항없이 움직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갖게 되어 이물감을 상쇄시켜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경계심을 풀게 하여 우수한 조과를 기대케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처럼 어느 한 방향의 지선(10,10')에 입질이 있게 되면 그 방향으로 연결선(3)이 당겨지면서 입질에 거부감을 주지 않고 입속 깊숙히 입질을 유도하게 되고, 연결선(3)이 허용된 길이 만큼 이동된(당겨진) 후에는 순간적으로 제동되어 그 역작용으로 자연스럽게 챔질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챔질은 충분한 입질이 유도된 후 사용자의 챔질 동작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얕고 빈약한 훅킹이 아닌 강력한 훅킹을 유도,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훅킹된 대상어가 입속에 걸린 바늘을 털기 위한 바늘털이를 하여 바늘을 밀어내게 되면 고정관체(2) 내부에 관통 결합되어 있는 연결선(3)은 훅킹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바늘을 털어내려는 힘을 상쇄시킴으로써 이에 능동적으로 대항하여 훅킹이 느슨하게 되거나 풀어지는 문제 등을 적극 방어하게 된다.
즉, 훅킹된 상태에서 훅킹의 반대방향으로 역동작이 있게 되면 고정관체(2)에서 훅킹방향으로 당겨진 연결선(3)은 그 빠져나온 길이만큼 역방향으로 지관(22,23)을 향해 들어가게 되므로 입속에 걸린 바늘이 훅킹된 상태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도와주게 되어 느슨해지지 않고 강력한 훅킹력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양 쪽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관(22)(23)은 도시한 예와 같이 길이가 긴 쪽으로 무게중심이 편향되어 있으므로 편향된 쪽으로 무게가 실려 본선(20)을 중심으로한 지선연결구(2)의 회전유동이 더욱 원활하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진게 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고정관체(2)의 절곡부(21)에 소축관부(6)를 형성하고 여기에 본선연결도래(4)를 결합하여 구성한 예이다. 즉, 고정관체(2)의 절곡부(21)에 고정관체(2)의 외경 보다 가늘게 작은 직경으로 소축관부(6)를 형성하고 여기에 본선연결도래(4)의 일측 고리를 삽입하여 결합한 예이다.
상기에서 본선연결도래(4)의 고리는 소축관부(6)의 외경 보다는 크게 하고 고정관체(2)의 직경 보다는 작게 하여 본선연결도래(4)가 소축관부(6) 내에서 유동되게 함은 당연한다.
상기와 같이 소축관부(6)에 본선연결도래(4)를 결합하면 소축관부(6)의 길이(B)만큼 고정관체(2)가 좌우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어느 일측 지선(10,10')에 입질이 있게 되면 입질이 있는 방향으로 A길이만큼(또는 A1길이만큼) 또는 A+A1길이만큼 고정관체(2) 내부의 연결선(3)이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본선연결도래(4)에 결합된 소축관부(6)의 길이(B)만큼 더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입질 방향으로 지선(10,10')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A길이(또는 A1 길이), 또는 A+A1길이, 또는 A+B길이, 또는 A1+B길이, 또는 A+A1+B길이로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6,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고정관체(2)는 지관(7,7')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연결선(3) 외측에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구성한 예이다. 상기 지관(7,7')은 분할하여 연결선(3)에 결합된 본선연결도래(4) 양측으로 연결선(3) 외측에 이격되게 각각 결합함으로써 분할된 지관(7,7') 사이의 이격시킨 거리(C)만큼 이동거리가 더 확보되도록 구성한 예이다.
물론, 본선연결도래(4)의 일측 고리는 연결선(3)에 유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도시한 예와 같이 어느 일측 지선(10,10')으로 입질이 있게되면 입질 방향으로 지선(10,10')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A길이(또는 A1길이), 또는 A+A1길이, 또는 A+C길이, 또는 A1+C길이, 또는 A+A1+C길이로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고정관체(2) 내부의 연결선(8,8')을 2개로 형성하고 이들을 서로 중첩시켜서 2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고정관체(2)와 더불어서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케 하여 우력 등과 같은 대물 낚시에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좌우 연결선(8,8')은 2개 선을 중첩시키고 각 연결선(8,8')의 끝에는 고리(81,81')를 형성하여 반대측 연결선(8,8') 외측에 삽입함으로써 2개의 연결선(8,8')이 중첩되어 구성되게 한다.
이때 연결선(8,8') 끝에 형성되는 고리(81,81')는 고정관체(2)의 양측 지관(22,23) 바깥에서 반대측 연결선(8,8') 외측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연결선(8,8')의 연장된 길이(A)(A1)만큼 길게 연장되는 작동에 방해되지 않게 한다.
즉, 연결선(8,8')을 겹쳐서 2중으로 구성하여 더욱 튼튼한 구조를 갖도록 하고, 양측에서 연장된 길이(A)(A1)만큼 길게 연장되는 유동 작동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동채비의 작용에 대해 종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대상어의 입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입질에 따른 이물감을 없게 한다. 곧, 보통 입질이 있게 되면 낚시줄을 살짝 풀어서 긴강을 늦춰주게 되는 데 본 고안은 입질하는 방향으로 -상기에서 살핀 바와 같이 연결선(3)이 자연스럽게 연장됨으로써 저항감을 줄여주게 되고 경계를 풀게 되어 입속 깊이 훅킹을 유도한다.
② 어느 한계선까지는 연결선(3)이 입질에 따라 딸려가게 되지만 그 한계선에 이르게 되면 연결선(3)은 더 이상 연장되지 못하고 순간적으로 제동되어 그 반발로 걸림작용에 따른 챔질이 있게 되고, 이와 함께 사용자의 챔질 동작에 의한 강력한 훅킹력을 발휘하게 된다.
③ 바늘털이가 있게 되면 입속 바늘에서 털어내려고 시도하게 되지만 지선연결구(1)에 유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선(3)은 이 역동작(입질의 반대 동작)에의한 반대방향으로도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이 바늘털이 동작에 대항하여 입 속에 걸린 바늘이 느슨해지지 않고 강력한 훅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④ 절곡부(21)을 중심으로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어 있는 지선(10,10')은 무게중심의 편심으로 인해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여 회전운동이 더욱 적극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지선의 회전유동성을 보다 활발하게 하여 유인효과를 높이고 입질에 대한 챔질 기능의 향상으로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다.
1:지선연결구 2:고정관체
21:절곡부 22,23:지관
3:연결선 31,31':고리
4:본선연결도래 5,5':도래
6:소축관부 7,7':지관
8,8':연결선 81,81':고리
10,10':지선 20:본선
30:구슬 40:스냅핀
50:싱커연결고리

Claims (6)

  1. 본선(20)이 연결되는 본선연결도래(4)가 결합된 고정관체(2)와, 상기 고정관체(2)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관(22,23)과, 상기 고정관체(2)에 관통 삽입되어 양측 지관(22,23) 외측으로 지선(10,10')이 연결되는 연결선(3)으로 지선연결구(1)를 구성한 공지의 유동형 낚시채비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2)는 완만하게 절곡한 절곡부(21)를 중심으로 벌린 형태로 양측에 지관(22,23)을, 일측은 짧게 다른 일측 길게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관체(2)의 절곡부(21)에는 고정관체(2)의 외경보다 가늘게 작은 직경으로 일정 길이(B)의 소축관부(6)를 형성하여 본선연결도래(4)의 고리를 유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고정관체(2)에 삽입되는 연결선(3)은 양 지관(22,23) 끝에서 양 지관(22)(23)보다 일정 길이(A)(A1)로 길게 연장 형성하고 끝에 고리(31,31')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낚시채비.
  2. 본선(20)이 연결되는 본선연결도래(4)가 결합된 고정관체(2)와, 상기 고정관체(2)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관(22,23)과, 상기 고정관체(2)에 관통 삽입되어 양측 지관(22,23) 외측으로 지선(10,10')이 연결되는 연결선(8)으로 지선연결구(1)를 구성한 공지의 유동형 낚시채비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2)는 완만하게 절곡한 절곡부(21)를 중심으로 벌린 형태로 양측에 지관(22,23)을, 일측은 짧게 다른 일측 길게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하고,
    지관(22,23)이 양측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관체(2) 내부에는 2개의 연결선(8,8')을 삽입하고 각 연결선(8,8') 일측 끝에는 고리(81,81')를 형성하여 반대측 연결선(8,8')을 삽입함으로써 2개의 연결선(8,8')이 중첩되어 결합되게 하며,
    상기 고정관체(2)에 삽입된 양 연결선(8,8')은 양 지관(22,23) 끝에서 양 지관(22)(23)보다 일정 길이(A)(A1)로 길게 연장 형성하고 그 끝에 고리(31,31')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낚시채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200002326U 2020-07-01 2020-07-01 유동형 낚시채비 KR200495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326U KR200495851Y1 (ko) 2020-07-01 2020-07-01 유동형 낚시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326U KR200495851Y1 (ko) 2020-07-01 2020-07-01 유동형 낚시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73U KR20220000073U (ko) 2022-01-10
KR200495851Y1 true KR200495851Y1 (ko) 2022-09-01

Family

ID=7934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326U KR200495851Y1 (ko) 2020-07-01 2020-07-01 유동형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8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473A (ko) 2022-06-10 2023-12-19 유영준 복수의 낚시 바늘이 구비된 수평 낚시 채비
KR20240000787A (ko) 2022-06-24 2024-01-03 유영준 복수의 낚시바늘과 무게추가 이격된 수평 낚시 채비
KR20240013585A (ko) 2022-07-22 2024-01-30 유영준 복수의 낚시바늘이 고정된 낚시 채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565A (ja) 2000-03-06 2001-09-11 Kanpai Shokai:Kk 天秤仕掛け
JP2002238410A (ja) * 2001-02-21 2002-08-2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195Y1 (ko) 2001-10-26 2002-02-25 이두리 우럭 낚시용 낚시줄의 구성
KR100434973B1 (ko) 2002-06-07 2004-06-14 차판열 바다낚시용 채비
KR200288494Y1 (ko) 2002-06-07 2002-09-11 차판열 바다낚시용 채비
KR200301965Y1 (ko) 2002-09-10 2003-01-24 차판열 바다 낚시용 채비
KR100872688B1 (ko) 2007-04-13 2008-12-10 차광수 바다 낚시용 채비
KR200448148Y1 (ko) 2008-04-02 2010-03-18 김화규 2열 편대 채비
KR200453111Y1 (ko) 2008-07-21 2011-04-13 김화규 편대 낚시채비
KR101621308B1 (ko) 2014-10-02 2016-05-16 정이규 올림 낚시용 추
KR200477222Y1 (ko) 2015-01-23 2015-05-19 강선규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200486554Y1 (ko) 2016-04-21 2018-06-04 김화규 도다리 낚시채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565A (ja) 2000-03-06 2001-09-11 Kanpai Shokai:Kk 天秤仕掛け
JP2002238410A (ja) * 2001-02-21 2002-08-2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73U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851Y1 (ko) 유동형 낚시채비
CA1309252C (en) Upright jigging device
US7841127B1 (en) Soft bait connector for a fishing hook
JP2019504651A (ja) 釣り針の根がかり防止装置
US4161838A (en) Fishing implement
US3600838A (en) Bait-harnessing fish hooks
NZ232462A (en) Double offset fishhook with spinning capability
KR101872513B1 (ko) 다중도래 낚시채비
US9420773B2 (en) Swim bait
EP2918167B1 (en) Spinner fishing lure
US20150201593A1 (en) Chaser Fishing Lure Enhancement
US8826585B2 (en) Fishing hook assembly
JP4819525B2 (ja) アシストフックアッセンブリー
US20090151220A1 (en) Hook assembly
US20130247443A1 (en) Swim Bait
US3131504A (en) Fishing lure
JP2007174906A (ja) 底曳漁業用網
KR200301965Y1 (ko) 바다 낚시용 채비
JP6340607B2 (ja) ハギ釣り仕掛け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仕掛け
KR20210000977U (ko) 두족류 낚시도구
KR200204990Y1 (ko) 낚시용 봉돌
JP4239164B2 (ja) 釣り糸接続具兼用撚り戻し具
US9521832B1 (en) Fishing lure with snag guard
JP4808570B2 (ja) ルアー仕掛け
JP3175019U (ja) 釣り用変わりテンヤ仕掛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