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415Y1 - 낚시찌 - Google Patents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415Y1
KR200249415Y1 KR2020010020079U KR20010020079U KR200249415Y1 KR 200249415 Y1 KR200249415 Y1 KR 200249415Y1 KR 2020010020079 U KR2020010020079 U KR 2020010020079U KR 20010020079 U KR20010020079 U KR 20010020079U KR 200249415 Y1 KR200249415 Y1 KR 200249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er
fishing
buoyancy
light weigh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욱
Original Assignee
안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욱 filed Critical 안창욱
Priority to KR2020010020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4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41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낚시찌 몸통의 상측 일부분을 몸통의 하측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량비가 작은 소재의 경량부로 구성하고 상기 경량부의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부를 마련토록 한 것으로, 하나의 낚시찌 몸통을 서로 다른 중량비를 갖는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 구성시킴으로써 체적의 변동없이도 부력의 증가를 발생시키게 됨으로 보다 작은 직경의 찌다리나 찌톱의 적용이 가능하여 부상력의 향상을 통한 어신에의 민감한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낚시찌의 무게 중심이 몸통의 하측부 쪽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시 신속 원활한 수직입수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어신의 반응을 수직으로 유도하도록 하여 찌의 동작에 대한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찌{THE FLOAT}
본 고안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낚시찌 몸통의 상측 일부분을 몸통의 하측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량비가 작은 소재의 경량부로 구성하고 상기 경량부의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부를 마련토록 한 것으로, 하나의 낚시찌 몸통을 서로 다른 중량비를 갖는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 구성시킴으로써 체적의 변동없이도 부력의 증가를 발생시키게 됨으로 보다 작은 직경의 찌다리나 찌톱의 적용이 가능하여 부상력의 향상을 통한 어신에의 민감한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낚시찌의 무게 중심이 몸통의 하측부 쪽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시 신속 원활한 수직입수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어신의 반응을 수직으로 유도하도록 하여 찌의 동작에 대한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고기를 잡아 생계의 수단으로 발전해온 낚시는 오늘날 대중적인 스포츠로 발달되어 왔으며 이에 따른 낚시도구의 발달도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낚시 줄의 중간에 낚시찌를 연결하여 낚시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를 상기 낚시찌의 상단이 물 밖으로 나온 상태에서 평형을 이루게 하여 고기가 입질을 하거나 바늘을 물었을 때 그 평형이 깨지면서 부력에 의해 낚시찌가 솟아오르도록 하여 고기가 물렸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낚시법이다.
낚시찌는 낚시 줄에 매달아 물위에 적당한 높이로 부상하여 고기의 입질(어신)에 민감하게 반응을 해야함은 물론이고, 또한 먼 거리로 투척이 되어 사용자의 시야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얼마나 잘 보이느냐에 의해 낚시찌의 상품가치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즉 낚시찌는 먼 거리에서의 식별력과 어신에 대한 민감한 반응(부상력)을 모두 만족해야 하는 양면성을 갖추어야 하는데, 어떠한 재료를 사용하여 어떤 방법으로 제조하느냐 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성능이 달라진다.
상기 낚시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의 평형이 깨지면 낚시찌는 부력에 의하여 솟아오르게 되는데, 이때 낚시찌자체의 무게에 대한 부력이 높을수록 빠른 속도로 솟아오르게 될 뿐 아니라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을 하게 된다.
따라서 낚시찌는 우수한 부력을 가진 가벼운 소재로 만들어질 수록 미세한 입질에도 민감하게되며 물 속에 잠긴 부분이 많을수록 낚시찌는 수직으로 꼿꼿하게 새워져 있게 되는데 이는 많은 경험으로 낚시꾼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어 낚시찌의 형상과 재료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기존에 알려지고 있는 목재용 낚시찌는 주로 중량이 가볍고 부력이 좋은 오동나무 등으로 구성되며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잘 알려진 것이 몸통의 형상이 럭비공 같이 생긴 일명 오뚜기 찌가 알려지고 있으며 이는 부력이 작용되는 부위가 비교적 크고 집중되어 있는 관계로 어신에 예민하게 반응하지만 부상 폭이 작아 찌톱의 움직임을 식별하기가 어려워 당김 포인트를 놓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 다른 것으로서 긴 막대와 같이 생긴 막대형 찌는 길이가 길어 부상폭도 크고 부상동작도 중후한 맛은 있지만 부력의 작용부위가 분산되고 협소하며 더욱이 하나의 동일 소재를 이용하여 낚시찌의 몸통 전체를 제작하게 됨으로써 부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몸통의 크기를 크게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 소재의 낭비가 크고 외관의 참신성을 추구하기 어려우며, 무게중심의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찌다리의 사용 직경이 크게되어 전체적으로 찌의 중량이 증가되어 어신에 민감하게반응되지 못할 뿐 아니라 몸통의 무게중심의 위치가 하측으로 치우치지 못하여 사용 시 비스듬히 경사지게 입수되어 어신이 왔을 경우 찌톱을 수직으로 요동시키기 어려워 식별력을 저하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낚시찌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찌몸체의 체적 변동 없이도 부력의 증가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보다 작은 직경의 찌다리나 찌톱의 적용이 가능하여 부상력의 향상을 통한 어신에의 민감한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낚시찌의 무게중심이 몸통의 하측부 쪽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시 신속 원활한 수직입수가 가능토록 하여 어신의 반응을 수직동작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찌의 움직임에 대한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낚시찌 몸통의 상측 일부분을 몸통의 하측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량비가 작은 소재의 경량부로 구성하고 상기 경량부의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부를 마련토록 하여 하나의 낚시찌 몸통을 서로 다른 중량비를 갖는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 구성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낚시찌 몸통
1A:하측부
1':융출부
2:찌톱
3:찌다리
10:경량부
20:공간부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로서, 상부측에 부력증강용 융출부(1')를 형성한 공지 형상의 낚시찌 몸통(1)의 상단에 찌톱(2)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날나리 줄이 이어지는 찌다리(3)를 포함하는 공지의 낚시찌에있어서;
상기 낚시찌 몸통(1)의 상측 일부를 하측부(1A)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량비가 작은 즉 체적 당 무게가 가벼운 소재로 구성되는 경량부(10)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경량부(10)의 적용 폭은 상기 융출부(1')를 포함하며 낚시찌 몸통(1)의 전체 길이의 약 3/1정도로 하며 경량부(10)와 나머지 부분인 하측부(1A)의 중량비는 1:5∼1:10정도로 한다.
한편 상기의 경량부(10)와 하측부(1A)는 상호 접착을 통해 결합되며 경량부(10)의 내부에는 중량감소와 부력의 향상을 위하여 진공상태로 일정 체적의 공간부(20)를 둔다.
상기 공간부(20)의 규격은 대략 내경이 2∼3ø이고 길이가 2∼3mm정도이다.
상기에서 경량부(10)의 소재는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나 하측부(1A)와 중량비가 다른 목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타 내구성과 내수성, 가공성 등이 우수한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낚시찌 몸통(1)을 구성함에 있어, 기존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목재로 구성되는 하측부(1A)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소재로 구성되는 경량부(10)을 일체로 결합시켜 무게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게 한 것으로,
낚시찌 몸통(1)의 전체를 동일 중량비를 갖는 소재 즉 한 종류의 목재로 구성하는 기존의 낚시찌에 비해 낚시찌 몸통(1)의 상측을 하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도록 함으로써 낚시찌 몸통(1)의 무게중심이 자연스럽게 하측부(1A)로 이동되어신속 원활한 수직 입수가 가능하며,
하측부(1A)와 경량부(10)의 무게차이와 공간부(20)에 해당하는 체적의 중량만큼 낚시찌 몸통(1)의 전체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고 더불어 무게중심이 확실하게 하측부(1A)에 위치됨으로써 무게중심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찌다리(3)를 작은 규격으로 대체할 수 있어 이 또한 낚시찌 몸통(1)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낚시찌 몸통(1)을 크게 할 필요성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경량부와 공간부의 구성을 통해 낚시찌 몸통의 체적의 변화를 주지 않는 상태에서도 전체적인 중량의 감소와 무게중심의 확실한 하측으로의 배치를 기할 수 있어 낚시찌의 안정적인 수직입수를 통해 어신에 대한 찌의 반응 식별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찌의 부상속도와 정도가 커서 어신에 대한 반응을 매우 민감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측에 부력증강용 융출부(1')를 형성한 공지 형상의 낚시찌 몸통(1)의 상단에 찌톱(2)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날나리 줄이 이어지는 찌다리(3)를 포함하는 공지의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낚시찌 몸통(1)의 상측 일부에 구성되며 하측부(1A)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량비가 작은 소재로 구성되는 경량부(10)와;
    상기 경량부(10)의 내부에는 진공 상태로 밀폐 구성되며 중량감소와 부력을 보강하기 위한 공간부(2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부(10)의 적용 폭은 낚시찌 몸통(1)전체 길이의 3/1로 하며 경량부(10)와 하측부(1A)의 중량비는 1:5∼1:10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KR2020010020079U 2001-07-03 2001-07-03 낚시찌 KR200249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079U KR200249415Y1 (ko) 2001-07-03 2001-07-03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079U KR200249415Y1 (ko) 2001-07-03 2001-07-03 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415Y1 true KR200249415Y1 (ko) 2001-11-16

Family

ID=7306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079U KR200249415Y1 (ko) 2001-07-03 2001-07-03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4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52671A1 (en) Fishing lure
KR200249415Y1 (ko) 낚시찌
US6389736B1 (en) Fishing bobber with shifting center of gravity
US2792665A (en) Fishing float
KR102479367B1 (ko)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KR101177823B1 (ko) 이단자립 낚시찌
AU661603B2 (en) Stable bobber for rod fishing
KR200275437Y1 (ko) 분할 낚시 추
KR200179389Y1 (ko) 낚시찌
KR200391787Y1 (ko) 낚시찌
CA1287211C (en) Diving plug fish lure
KR200249331Y1 (ko) 이중 울림 낚시찌
KR100677935B1 (ko) 무게모멘트 중심과 부력모멘트 중심을 일치시킨 낚시용 찌
KR20020074298A (ko)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JP2003061531A (ja) 浮き及びルアー
KR200212292Y1 (ko) 굴참나무의 코르크를 이용한 낚시찌
KR200318738Y1 (ko) 낚시용 갈대찌
KR200335923Y1 (ko) 낚시찌용 표시구
KR200258258Y1 (ko) 테이퍼식 찌톱과 중공형 몸통을 가지는 낚시찌
KR20130119677A (ko) 낚시용 전자 기울찌
KR200249303Y1 (ko)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KR200381287Y1 (ko) 속이 비어있는 낚시용 막대찌
KR200327146Y1 (ko) 목줄에 부구가 고정 결합되는 민물용 낚시채비
KR200292556Y1 (ko) 분찌 2
KR20050082444A (ko) 다기능 수초낚시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