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389Y1 - 낚시찌 - Google Patents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389Y1
KR200179389Y1 KR2019990027038U KR19990027038U KR200179389Y1 KR 200179389 Y1 KR200179389 Y1 KR 200179389Y1 KR 2019990027038 U KR2019990027038 U KR 2019990027038U KR 19990027038 U KR19990027038 U KR 19990027038U KR 200179389 Y1 KR200179389 Y1 KR 200179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treamlined
bobber
availabilit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오뚜기찌라고 불리는 유선구형의 찌 몸통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수직홈을 형성하여 수직입수성과 수중이동성을 동시에 구비하여 미약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순발력이 현저히 강화되도록 하는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낚시찌의 몸통은 크게 손가락정도 길이의 긴 봉상으로 이루어진 통상 막대찌라고 불리는 장봉형과, 상기 장봉형에 비하여 구형에 가까운 통상 오뚜기찌라고 불리는 유선구형이 있으며, 상기 장봉형은, 몸통이 길기 때문에 유선형상이 완만하게 이루어져 수중에서 수중 민첩성의 장점을 가진 반면, 부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수직입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유선구형은 부력이 집중되어 입수시 수직입수성은 우수하나 수중민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통상의 낚시찌에 있어서, 몸통을 통상의 오뚜기찌라고 불리는 구형몸통의 둘레에, 수중이동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후미에 발생되는 와류현상인 워터제트를 흡수하도록 하는 다수의 수직홈을 균등하게 방사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찌의 몸통을 수직입수성과 수중민첩성을 동시에 갖추어, 물고기의 입질포착, 특히 입질이 미약하거나 대형 물고기의 입질의 경우에도 어신을 정확히 캐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

Description

낚시찌 {FISHING FLOAT}
본 고안은 붕어 등의 물고기의 입질을 신호하도록 하는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상의 오뚜기찌라고 불리는 유선구형의 찌 몸통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수직홈을 형성하여 수직입수성과 수중이동성을 동시에 구비하여 미약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 민첩하게 움직이는 순발력이 현저히 강화되도록 하는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낚시찌는 수심에 드리워진 낚시줄과 결합되고 몸통의 부력으로 수면상에서 부상하고 있다가 붕어 등의 물고기의 입질이 낚시줄에 전해지는 파장을 신호하도록 하는 중요한 낚시도구의 하나이다.
낚시에 있어서, 대형 물고기(주로 큰 붕어)는 몸을 세우지 않고 거의 입으로만 미끼를 흡입하기 때문에 그 미세한 입질을 읽어내지 않으면 낚시는 실패만 거듭할 수 밖에 없어, 물고기의 미약한 입질에도 즉각적으로 순발력 있게 반응하는 낚시찌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가벼운 나무로 형성되어 부력을 가지고, 수중이동성이 고려된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몸통과, 몸통의 상부에는 어신을 감지하기 위한 케미라이트가 형성된 찌톱과, 하부에는 상기 찌톱과 대응하여 찌의 무게중심을 잡아주고 하단부에 낚시줄과 연결되는 날라리가 형성된 찌다리로 이루어져있다.
낚시찌가 어신을 정확히 밑첩하게 전달하려면, 미약한 어신에도 반응하기 위하여, 찌가 수직으로 입수되어야 할 것과, 이러한 어신을 재빨리 전달하기 위하여, 찌가 수중에서 상승 또는 하강 등의 이동시 물과의 마찰저항 및 워터제트현상을 최소화시켜 수중이동속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두가지 조건을 다 만족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점들은 모두 찌의 몸통의 구성이 좌우하게 된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낚시찌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낚시찌(100)의 몸통은 크게 도 1의 a도에 도시된 손가락정도 길이의 긴 봉상으로 이루어진 통상 막대찌라고 불리는 장봉형(110)과, b도에 도시된 상기 장봉형에 비하여 구형에 가까운 통상 오뚜기찌라고 불리는 유선구형(120)이 있다.
상기 장봉형(110)의 특징은, 몸통이 길기 때문에 유선형상이 완만하게 이루어져 수중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 물과의 마찰저항이 최소화되고, 물체가 앞으로 진행할 때 후미에 발생되는 와류현상인 워터제트 현상도 최소화되어 거의 저항을 거의 받지 않고 민첩하게 움직이는, 수중 민첩성의 장점을 가진 반면,
긴 몸통이 부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입수시 수직입수가 되지않고 비스듬이 입수되어, 낚시줄을 늦춰주어 수직으로 세우면 낚시줄이 늘어지게 됨으로써, 어신에 예민하게 반응할 수 없게되는, 수직입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선구형(120)은 부력이 집중되어 입수시 수직입수성은 우수하나, 유선형이 급하게 이루어져, 수중에서 이동시 찌의 전방에서는 물의 마찰저항을 받게되는 동시에 진행방향의 후미에는 뒤로 밀려나는 물의 끌림으로 인한 워터제트가 발생되어, 결국 찌의 이동속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어신을 전달함에 있어 순발력이 둔해지는, 수중민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본 고안의 목적은, 찌의 몸통을 오뚜기찌라고 불리는 통상의 유선구형 몸통의 둘레에 균등하게 다수의 수직홈을 형성함으로써, 부력을 집중시켜 찌의 수직입수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수중 이동시의 저항을 최소화하도록하여 미약한 어신이라도 놓치지 않고 예민하게 반응, 민첩하게 신호하도록 하는 순발력이 강화된 낚시찌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생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부 생략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일부 생략사시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 10: 몸통
11: 수직홈 20: 찌톱
21: 케미라이트 30: 찌다리
31: 날라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는,
부력을 가진 유선형의 몸통과, 몸통의 상부에는 어신을 감지하기 위한 케미라이트가 형성된 찌톱과, 하부에는 상기 찌톱과 대응하여 무게중심을 잡아주고 하단부에 낚시줄과 연결되는 날라리가 형성된 찌다리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통상의 오뚜기찌라고 불리는 유선구형몸통의 둘레에, 수중이동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후미에 발생되는 와류현상인 워터제트를 흡수하도록 하는 다수의 수직홈을 균등하게 방사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낚시찌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일부 생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1)는,
부력을 가진 유선형의 몸통과, 몸통의 상부에는 어신을 감지하기 위하여 단부에 케미라이트(21)가 형성된 찌톱(20)과, 하부에는 상기 찌톱(21)과 대응하여 무게중심을 잡아주고 하단부에 낚시줄과 연결되는 날라리(31)가 형성된 찌다리(30)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몸통(10)은, 통상의 오뚜기찌라고 불리는 유선구형의 둘레에, 수중이동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후미에 발생되는 와류현상인 워터제트를 흡수하도록 하는 다수의 수직홈(11)을 균등하게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찌 몸통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직홈(11)은 3곳 내지 4곳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도 4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찌의 몸통(10)이 유선형이 급한 유선구형으로 이루어지고, 몸통 둘레에 다수의 수직홈(11)을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찌의 입수시에는 급한 유선구형상으로 부력이 집중되어 수직입수성이 우수하고,
수중에서 상승 또는 하강의 이동시, 진행하는 전방에는 물과의 마찰면이 수직홈(11)이 파여진 만큼 감소되는 한편, 후미에서는 와류가 수직홈(11)으로 흡수되어 워터제트현상이 소멸, 최소화됨으로써, 찌의 수중 이동성이 현저히 민첩해지는 것이다.
특히, 입수시에는 무게중심과 부력중심이 집중되어 찌놀림이 부드럽고 정확하게 수직입수가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은 통상 오뚜기찌라고 불리는 유선구형찌의 장점인 수직입수성과, 통상 막대찌라고 불리는 장봉형찌의 장점인 수중민첩성이 복합적으로 작용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낚시, 특히 붕어낚시에 있어서, 붕어는 먹이를 단숨에 흡입하여 먹는 습성을 지니고 있는데, 떡밥을 흡입할 때에는 떡밥의 알갱이와 모래, 또 낚시바늘이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 때, 붕어의 활성도가 높은 상태라면, 강한 흡입력으로 낚시바늘까지 쭉 빨려들어가게 되지만, 배수나 기압, 기온, 계절에 따라서 붕어의 흡입력이 약하여 떡밥만 빨려들어가고,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낚시바늘은 빨려들어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비록 바늘이 흡입되었다 하더라도, 찌가 수직입수되지 않고, 민감하지 못하면, 붕어가 바늘을 완전히 삼키기 전까지는 찌에 아무런 반응도 나타나지 않게 되어, 결국 입질을 보지도 못한 채로 그 상황이 끝나버리고 마는 것이다.
그러므로 물고기가 입질할 때 찌가 순발력에서 앞선다는 것의 의미는 미세한 입질의 세계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나는 것이며 입질이 미약하거나 대형 물고기의 입질시에는 더욱 큰 차이를 보게 된다.
이렇게 찌의 어신 포착에는 순발력이 요구되는데, 본 고안을 수차에 걸쳐 실험 실시한 결과, 상기한 상황에서도 본 고안은 어김없이 어신을 보내어, 낚시초보자까지도 바구니를 가득 채우는, 만족할 만한 성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는,
찌의 몸통을 수직입수성과 수중민첩성을 동시에 갖추도록 형성함으로써,
낚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물고기의 입질포착, 특히 입질이 미약하거나 대형 물고기의 입질의 경우에도 어신을 정확히 캐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입질을 보지도 못하고 물고기를 놓혀버리는 낚시의 어려움을 방지하고, 낚시초보자들까지도 낚시터의 즐거움을 배가토록 하는 아주 유익한 기술이다.

Claims (1)

  1. 부력을 가진 유선형의 몸통과, 몸통의 상부에는 어신을 감지하기 위한 케미라이트가 형성된 찌톱과, 하부에는 상기 찌톱과 대응하여 무게중심을 잡아주고 하단부에 낚시줄과 연결되는 날라리가 형성된 찌다리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통상의 오뚜기찌라고 불리는 유선구형몸통의 둘레에, 수중이동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후미에 발생되는 와류현상인 워터제트를 흡수하도록 하는 다수의 수직홈을 균등하게 방사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KR2019990027038U 1999-12-03 1999-12-03 낚시찌 KR20017938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822A KR20010054154A (ko) 1999-12-03 1999-12-03 낚시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822A Division KR20010054154A (ko) 1999-12-03 1999-12-03 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389Y1 true KR200179389Y1 (ko) 2000-04-15

Family

ID=196234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822A KR20010054154A (ko) 1999-12-03 1999-12-03 낚시찌
KR2019990027038U KR200179389Y1 (ko) 1999-12-03 1999-12-03 낚시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822A KR20010054154A (ko) 1999-12-03 1999-12-03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541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942A (ko) * 2002-06-26 2002-12-18 함성구 낚시찌 및 그 제조방법
KR101457307B1 (ko) 2013-09-30 2014-11-12 송유철 기능성 낚시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856B1 (ko) * 2018-05-28 2020-09-28 전덕용 반자립형 탄소 낚시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488Y2 (ja) * 1981-07-18 1984-08-24 幸三 岡本 魚釣用浮き
JPS58121573U (ja) * 1982-02-10 1983-08-18 牛尾 貢 翼を有する浮子
JPH0613476U (ja) * 1992-07-31 1994-02-22 利雄 橘田 水中浮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942A (ko) * 2002-06-26 2002-12-18 함성구 낚시찌 및 그 제조방법
KR101457307B1 (ko) 2013-09-30 2014-11-12 송유철 기능성 낚시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154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9389Y1 (ko) 낚시찌
JP2017104024A (ja) 多機能ウキ
KR200391787Y1 (ko) 낚시찌
KR101776406B1 (ko) 다기능 낚시찌
KR101776407B1 (ko) 다기능 낚시찌
KR200370603Y1 (ko) 막대형 구멍찌
JP2003061531A (ja) 浮き及びルアー
KR100677935B1 (ko) 무게모멘트 중심과 부력모멘트 중심을 일치시킨 낚시용 찌
KR200302108Y1 (ko)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US2493487A (en) Artificial fish bait
KR20120048831A (ko) 유동 부력구를 이용한 낚시채비
JP2003265074A (ja) 曳紐を目の上あたりに取付け泳ぎをよくした餌木。
KR200327146Y1 (ko) 목줄에 부구가 고정 결합되는 민물용 낚시채비
JPS5830465Y2 (ja) 鮎友釣り用擬似「おとり」
US2981028A (en) Artificial fish bait
JPH0745184Y2 (ja) 友釣り用おとり鮎休息器
KR200292896Y1 (ko) 낚시용 봉돌
JP3082395U (ja) ルアー
TWI441594B (zh) Wood shrimp
JPH0928257A (ja) 魚釣り用ウキ
JPH088632Y2 (ja) 友釣り用おとり休息罐
KR20040040098A (ko)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
KR200227085Y1 (ko) 낚시찌
KR20040007206A (ko) 낚시 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