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303Y1 -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 Google Patents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303Y1
KR200249303Y1 KR2020010015586U KR20010015586U KR200249303Y1 KR 200249303 Y1 KR200249303 Y1 KR 200249303Y1 KR 2020010015586 U KR2020010015586 U KR 2020010015586U KR 20010015586 U KR20010015586 U KR 20010015586U KR 200249303 Y1 KR200249303 Y1 KR 200249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main body
bobbin
bobber
fresh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2020010015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30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위치 가변식 보조 몸체를 갖는 민물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주몸통(2)과, 주몸통(2)의 상단에 고정되는 찌톱(4)과, 주몸통(2)의 하단에 고정되는 찌다리(5)와, 찌톱(4)의 상방부에 고정되는 스톱퍼(6)와, 찌톱(4)이 관통되고 주몸통(2)의 상단과 스톱퍼(8) 사이에서 찌톱(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가변 가능한 보조 몸통(3)으로 구성되며, 본 고안의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3)을 갖는 민물 낚시찌(1)는 양호한 예민성 및 정직성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환상적인 찌올림'을 맛볼 수 있는 우수한 직립성을 겸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시인성도 양호하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낚시 환경에 맞추어 필요시 찌(1) 전체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음과 아울러, 시인성 또한 양호하다.

Description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FRESHWATER FLOAT HAVING HEIGHT VARIBLE AUXILIARY BADY}
본 고안은 민물낚시찌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근년들어 소득 수준의 증가에 따라 레저 및 스포츠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 참여도 또한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낚시 인구도 급증하여 전국 각지의 내수면 상에서 낚시인을 찾아보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 되었다.
가는 찌톱 및 찌다리와 몸통을 갖는 형태의 찌가 사용되는 민물 낚시의 낚시 대상 어종으로서 대표적인 것은, 붕어, 잉어, 향어, 가물치, 끄리, 피라미, 빙어, 역돔 등이며, 이 중에서도 붕어 및 잉어가 가장 대표적인 어종이다.
이러한 어종의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찌는 물고기의 입질 행동을 조사(釣士)에게 전달해주는 입질 파악의 지표로서, 조사는 오로지 찌를 통해서만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찌낚시에 있어서 찌는 핵심 요소일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좋은 찌에 요구되는 조건들은 상당히 까다로운 편이며, 이러한 요건들은 상호 상충되는 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요건들의 조화가 특히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좋은 찌의 조건을 들 때 갖춰야 할 요건들로서는, 첫째, 물고기의 입질을 시간적인 오차없이 즉시 전달하여야 하는 '예민성'과, 둘째, 입질을 가감없는 크기로 전달하여야 하는 '정직성'과, 셋째, 찌가 기울지 않고 똑바로 선 상태로 유지되며, 특히 입질시에는 찌가 가능한 긴 시간 동안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미려하게 상승하고, 봉돌과 미끼가 찌의 수직한 아래쪽에 위치하여야 하는 직립성과, 넷째, 찌톱이 잘 보여야 하는 양호한 가시성 또는 시인성과, 다섯째, 웬만한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재질과 구조를 갖추어야 하는 견고성 또는 내구성과, 여섯째, 시각적으로 찌의 형태가 미려하여야 하는 심미성과, 일곱째, 채비를 투척할 때 잘 날아가야 하는 투척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각각의 요건들은 상호 보완적이거나 상충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각각의 요건들 중 어느 것을 최우선 순위로 할 것인가는 취향의 문제이나, 통상적으로 가장 중시되는 요건들은 첫 번째 부터 네 번째 까지의 요건이다.
이하, 좋은 찌가 갖춰야 할 요건들 각각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찌의 '예민성'이란 물고기의 입질이 크든 작든 시간적인 지연 없이 즉시 표현할 수 있는 정도를 일컬으며, 예민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찌톱의 재질 및 직경과, 찌몸통의 체적과 형상 또는 구조이다.
찌톱은 최소한의 부피와 무게를 가져야 하며, 특히, 예민한 찌 맞춤법에 있어서는 절대적인 조건이다. 찌톱의 반경이 2배 증가하면 단면적은 4배 증가하므로 찌톱의 무게는 단위 길이당 4배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몸통 등 다른조건이 동일한 경우 찌톱의 반경이 2배 더 큰 찌는 동일한 크기의 가상 입질을 받을 경우 찌톱의 상승 높이는 1/4에 불과하게 되나, 실제로는 찌톱의 반경이 커지면물과의 표면장력 및 유체점성저항도 따라서 커지므로 상승 높이는 더욱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찌톱은 통칭 '카본', '솔리드', 또는 튜브재가 사용되나,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카본이나 솔리드이며, 직경은 0.3mm, 0.5mm, 또는 1mm이다. 실제적으로, 찌톱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가장 가늘게 가공 가능한 재질을 순서대로 기재하면, 카본> 솔리드> 튜브 순서이므로 예민한 입질을 원할 경우 선택되는 찌톱의 재질은 현재로서는 카본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찌몸통의 형태 또한 예민성과 직결되는 요소이며, 2개의 찌가 동일한 재질 및 형태를 갖는 찌톱과 찌다리를 가지며 동일한 재질 및 체적의 찌몸통을 갖고 있으나, 찌몸통의 형태만 달리한 두 개의 찌, 즉 하나는 저항을 최소화하는 구조인 도 1A와 같은 막대형의 유선형 갈대찌, 다른 하나는 저항이 일정부위에 집중되는 구조를 갖는 도 1C 또는 도 1D의 오똑이찌나 다중부력찌에 동일한 크기의 가상입질을 하면, 찌의 상승 높이는 동일하나 찌의 반응속도(즉, 찌의 예민성)는 상승시 물의 저항을 덜 받는 유선형의 갈대찌가 훨씬 빠르게 올라오게 된다. 따라서, 저수온기나 양식 붕어와 같이 활성도가 떨어져 있는 상태의 붕어를 헛챔질을 최소화하면서 정확히 잡아내기 위해서는 부피와 무게가 최소화된 찌톱과 부력이 작으면서도 저항을 적게 받는 유선형 구조의 몸통을 가진 찌가 유리하다.
찌의 '정직성'이란 찌가 물고기의 입질을 가감없이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특성을 일컬으며, 이를 결정하는 요소는 관성의 법칙과 저항 및 다중부력이다. 부력이 큰 찌(즉, 몸통의 체적이 큰 찌)는 부력이 작은 찌에 비하여 예민성은 떨어지나(즉, 늦게 반응) 일단 상승하기 시작하면 관성력도 크므로 붕어 등의 먹이의 흡입에 의한 찌의 실제 올림 폭보다도 더 큰 올림 폭을 나타내므로 소위 '환상적인 찌 올림'을 맛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부력이 큰 찌는 부력에 비례하여 봉돌도 커져야 하므로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시 이물감(중량감)도 그만큼 커지게 되고 찌의 반응속도도 늦어지므로, 정작 찌가 상승을 시작했을 때에는 물고기가 이미 미끼를 뱉어 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찌가 상승을 시작하는 타이밍을 정확히 포착하여 챔질한다 하더라도 헛챔질 빈도수가 커지는 단점이 생기게 된다.
저항 및 다중부력이라는 요소는 찌의 예민성과 궤를 같이하며, 도 1C와 같은 오똑이찌나 도 1D와 같은 다중부력찌의 경우에는, 몸통의 굵은 부분에 넓게 작용하는 물의 유체점성저항에 의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한 템포 늦게 왜곡하여 찌에 전달하므로 찌의 반응이 부정직하여 헛챔질이 많아지는 등 붕어의 입질이 왜곡되어 표현되는 단점이 있다.
찌의 '직립성'이란 넓은 의미로 채비를 투척했을 때 찌가 기울지 않고 똑바로 서서 수직으로 서서히 멋지게 내려가고, 채비 투척을 완료하여 찌가 안정되었을 때에는 봉돌과 미끼가 찌로부터 비스듬히 사선을 그리지 않고 찌의 바로 아래에 위치함('수직 입수성'이라 하기도 하며, 예민한 입질 파악에 긴요함)과 아울러, 웬만한 바람이나 유속에는 기울지 않고 똑바로 선 상태로 유지되며, 입질시 찌가 가능한 긴 시간 동안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미려하게 상승하는 소위 '환상적인 찌올림'을 나타내는 특성이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멋을 중시하여 '낚시는 찌 맛이다'라 하여 붕어의 소위 '환상적인 찌올림'을 나타낼 수 있는 찌에 대한 선호도가 더욱 증대되고 있다.
양호한 직립성을 갖기 위해서는, 무게중심이 찌 전체 길이의 약 1/3에 위치하며 찌톱의 재질이 가벼운 것이 유리하다. 채비 투척 후 찌가 일단 안정한 상태로 된 다음에는 바람이나 유속에 쉽게 떠밀리지 않아야 하며, 유속의 경우는 몸통이 유속에 따른 힘을 덜 받는 도 1A와 같은 유선형 막대찌가 유리하며, 바람의 경우는 수면 위에 나와 있는 찌머리가 받는 바람에 의한 힘을 몸통에서 잡아주어야 하므로, 찌몸통에서 직경이 가장 큰 부분을 기준으로 몸통 상부보다 몸통 하부가 긴 도 1A 또는 도 1B의 유선형 찌가 안정성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며, 이러한 찌는 상기한 '수직 입수성'도 대체로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입질시 소위 '환상적인 찌올림'이란, 입질시 찌가 경박하게 상승하여 금방 자빠지지 않고 점잖게 똑바로 천천히 높이 상승하는 것을 일컬으며, 일반적으로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선형의 갈대찌(막대찌)는 예민성 및 정직성은 좋으나 입질에 의한 찌의 상승이 경박하고 찌가 조금만 상승해도 무게 중심의 이동으로 인해 금방 기울어져 자빠지므로 '환상적인 찌올림'을 얻기 곤란한 반면, 도 1C 또는 도 1D의 오똑이찌나 다중부력찌는 갈대찌에 비하여 훨씬 더 예쁘게 올라오기 때문에 중후하고 환상적인 찌맛을 볼 수는 있으나 예민성 및 정직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찌의 '시인성(가시성)'이란 찌를 통해서만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멀리에서도 잘 보여야 하는 특성을 일컬으며, 양호한 시인성을 갖기 위해서는 찌톱이 굵은 것이 유리하며, 찌톱의 색상 배치와 채색이 물 및 주변 경관과 보색 대비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굵은 찌톱은 전술한 예민성, 정직성, 직립성에 상충되므로, 결국 취사 선택의 문제가 발생한다. 요즈음 양어장 등에서는 활성도가 매우 좋은 토종 붕어를 구하기 어려우므로 대부분 입질이 약한 양식 붕어(중국 붕어, 일본 붕어 등)를 방류하고 있으므로, 오늘날에는 '예민성'이 중시되며 '시인성'은 덜 중시되는 추세이다.
대체적으로 언급하면, 도 1A에 나타낸 종래의 유선형 갈대찌는 예민성 및 정직성은 좋으나 찌올림이 경박하고 금방 기울어져 자빠지므로 환상적인 찌올림을 얻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도 1C 및 도 1D에 각각 나타낸 종래의 오똑이찌나 다중부력찌는 몸통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고 부력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찌올림이 중후하고 수직으로 솟아오르는 경향이 있으므로 소위 '환상적인 찌올림'을 맛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예민성 및 정직성이 떨어져서 헛챔질 빈도가 많게 되는 단점이 있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고추찌는 상기한 갈대찌와 오똑이찌의 절충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양극단의 단점을 완화시킨 형태이나 그에 수반하여 장점도 반감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예민성 및 정직성의 요건과 '환상적인 찌올림'은 상호상충되는 것으로서 양자를 겸비시키는 것은 가능치 않은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어느 하나를 희생시키거나 양자를 모두 약간씩 희생시켜 절충시키는 외에 다른 방안은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양호한 예민성 및 정직성을 가지면서도, 특히 '환상적인 찌올림'을 맛볼 수 있는 우수한 직립성을 갖는 민물낚시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낚시 환경에 맞추어 필요시 찌 전체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는 민물낚시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슬림한 찌톱을 가지면서도 입질시 시인성이 우수한 민물낚시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찌톱 상에 위치 이동 가능한 관상 스톱퍼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는 형광 도료를 이에 도색하는 것에 의해서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도 1A, 1B, 1C 및 1D는, 각각, 종래의 갈대찌(막대찌), 고추찌, 오똑이찌 및 다중부력찌인 이중몸통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A 및 2B에 나타낸 본 고안의 민물낚시찌와 도 1A에 나타낸 종래의 갈대찌와의 비교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의 입질에 따른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중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 본 고안의 낚시찌
2 : 주몸통 3 :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
3a . 세공 3b : 관상체
4 : 찌톱 5 : 찌다리
6 : 스톱퍼 7 : 케미라이트 꽂이
8 : 날라리 9 : 찌고정 다리
10 : 봉돌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1)의 정면도로서, 주몸통(2)과, 주몸통(2)의 상단에 고정되는 찌톱(4)과, 주몸통(2)의 하단에 고정되는 찌다리(5)와, 상기한 찌톱(4)의 상방부에 고정되는 스톱퍼(6)와, 주몸통(2)의 상기한 상단과 스톱퍼(8)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보조 몸통(3)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주몸통(2)이 찌(1) 전체 길이의 하방으로부터 1/3이 되는 지점 아래에 위치하면서도, 상기한 보조 몸통(3)의 무게 배분으로 인하여 찌(1)의 무게 중심 G가 찌(1) 전체 길이의 하방으로부터 1/3 부근에 위치한다.
채비 투척후 찌(1)가 수면에 안정된 상태로부터 입질에 의한 찌(1) 상승에 의하여 상기한 보조 몸통(3)이 수면에 도달하기까지는 상기한 보조 몸통(3)은 수면아래에 위치하여 상기한 찌(1)에 대한 부력을 형성하며, 상기한 보조 몸통(3)이 수면에 도달하면 상기한 찌(1)에 대한 부력을 상실함과 동시에, 상기한 찌톱(4)의 직립 상습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챔질 시기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작용하게 된다.
상기한 주몸통(2)과 보조 몸통(3)의 소재는 양자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가볍고 큰 부력을 갖는 오동나무, 발사목, 스기목, 갈대, 부들, 또는 중공형 합성수지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주몸통(2)은 비교적 작은 체적 및 부력을 갖고 있어 찌(1)의 예민성 및 정직성에 대한 영향이 지나치게 크지 않은 것이라면 그 형상은 본 고안에 있어 제한적이지 않으며, 갈대형, 고추형, 오뚝이형, 또는 다중부력형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나, 양호한 예민성 및 정직성을 나타내는데 유리한 갈대형 또는 고추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보조 몸통(3)에는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세공(3a)이 형성되어 있고, 찌톱(4)이 세공(3a)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헐겁게 끼워져 있다. 따라서, 보조 몸통(3)은 찌톱(4)을 축으로 하여 상하로 원활하게 위치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찌톱(4)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한 세공(3a)의 직경보다는 작은 합성 수지제의 관상체(3b)를 상기한 세공(3a) 내에 삽지하고 방수 도료를 상하단에 도포한 것을 들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보조 몸통(3)의 체적과 주몸통(2)의 체적 비율에 대한 제한은 없으나, 도 2A에 도시한 예에서는 찌(1)의 상승시 물고기가 느끼는 봉돌 무게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조 몸통(3)의 체적을 주몸통(2)의 체적 보다 훨씬 작게 형성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관념에서 파격적이지 않은 형태를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보조 몸통(3)의 형태에 대해서도 제한을 두고 있지는 않지만, 찌(1)가 상승함에 따라 보조 몸통(3)이 수면 상에 위치 고정되는 경우(이에 대해서는 후술함), 찌톱(4)을 경사지지 않게 수직으로 가이드하고 찌(1)의 상승시 유체의 점성 저항을 덜 받도록 유선형을 갖는 럭비공 형상의 타원체 또는 구체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그 역할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 예컨대, 원뿔체, 다각뿔체, 또는 루프상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몸통의 적어도 상반부에는 물과 보색 관계에 있는 형광 도료를 도색하면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찌톱(4)의 소재로서는 카본섬유, 상품명 '솔리드'의 합성수지재, 비닐 튜브 등, 슬림하게 형성 가능하고 초경량인 소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나, 바람직한 것은 카본섬유재 또는 솔리드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카본섬유재이다. 또한, 최근에 골프채나 낚시대 등에 적용되는 카본-보론 소재나 상품명 '케블라'와 같은 소재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찌톱(4)의 외주 표면에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색, 녹색, 황색, 주황색 등의 형광 도료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도색되어 있다.
상기한 찌다리(5)의 소재로서는 찌톱(4)의 소재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오동나무, 발사목, 또는 스기목과 같은 경량의 목재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스톱퍼(6)는 찌톱(4)에 영구 고정 또는 위치 가변 고정될 수 있으며 초경량인 것이라면, 그 재질 및 형상은 임의적이나, 바람직한 일예로서는, 합성수지제의 관상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관상 튜브체로 된 스톱퍼(6)를 사용하는 경우, 그 외경은 상기한 보조 몸통(3)의 관상 튜브체(3b)의 내경 보다 적어도 같거나 또는 커야 하며, 그 보다 작으면 상기한 보조 몸통(3)이 스톱퍼(6)에 의해 정지되지 않고 부력에 의해 빠져버리게 된다. 상기한 스톱퍼(6)의 찌톱(4)에의 영구 고정은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치 가변 고정은 상기한 관상 튜브체를 탄성체(elastomer)와 같은 재질의 합성 수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찌톱(4)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협지시키는 것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보조 몸통(3)은 스톱퍼(6)의 하단과 주몸통(2)의 상단 사이의 거리 ℓ 사이에서 위치 가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찌(1)는, 찌톱(4) 상단부에 부착되며 밤낚시에 이용하기 위한 케미라이트 꽂이(7)와, 찌다리(5) 및 찌고정 다리(9)를 연결하는 천으로 된 날라리(8)를 가질 수 있으나, 이들 구성 요소는 본 고안에 있어서 제한적이지 않으며 선택적이다. 수초와 같은 걸림이 많은 곳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찌고정 다리(9) 및 날라리(8)가 없는 찌(일명 '수초찌')가 주로 사용되나, 통상의 경우에 있어서는 낚시 원줄에 관상 고무체(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한 찌고정 다리(9)를 수심에 맞는 일정한 원줄 높이에 고정시키고 찌다리(5)는 천으로 된 날라리(8)(날라리(8)의 고정은 접착제에 의함)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낚시 원줄이 수 중에서 약간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도 찌(1)가 수직으로 직립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1a)의 정면도로서, 그 기본 구성은 도 2A에 도시한 찌(1)에서 스톱퍼(6)가 존재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B에 나타낸 본 고안의 찌(1a)는 도 1A에 도시한 종래의 찌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단지 케미라이트 꽂이(7) 하방에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3)이 설치되어 있는 점만 다를 뿐이다.
도 2B에 나타낸 본 고안의 찌(1a)에서는, 보조 몸통(3)은 찌(1a)의 부력과는 관계없이 항상 수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시인성이 우수하며, 수심에 따른 조절시 케미라이트 꽂이(7)는 보조 몸통(3)으로부터 1∼3cm 정도 높게 유지하는 것이 입질의 파악에 유리(찌가 하강을 고려)하다.
도 2A 및 도 2B의 본 고안에 따른 찌(1,1a)의 보조 몸통(3)의 적어도 상반부에는 케미라이트 꽂이(7)의 색과 보색 관계에 있는 형광색을 도색하면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A 및 2B에 나타낸 본 고안의 민물낚시찌(1,1a)와 도 1A에 나타낸 종래의 갈대찌(1' )와의 비교도로서, 찌의 전체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를 대비하고 있다. 도 3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찌(1)에 있어서는 보조 몸통(3)의 존재로 인하여 주몸통(2)을 하방으로 상당한 길이 만큼 이송시키거나 주몸통(2)의 체적을 작게 하더라도 무게 중심 G를 찌 전체 길이의 하방으로부터 1/3 위치에 용이하게 그대로 위치시킬 수가 있는 반면, 종래의 찌(1' )에 있어서는 몸통(2)의 위치를 하방으로 약간만 이송시키더라도 무게 중심을 상기한 1/3 위치에 위치시킬 수가 없게 되며 찌톱(4)의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하여는 몸통(2) 및/또는 찌다리(5)의 길이도 그에 따라 길게 하여야만 하므로 찌(1' ) 전체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의 도 2A에 나타낸 찌(1)에 있어서, 위치 가변 스톱퍼(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낚시 환경에 따라 붕어의 활성도가 낮아 입질이 미약하여 충분히 찌를 올리지 못하는 경우나 유속이 강한 경우에는 스톱퍼(6)의 위치를 약간 낮춰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낮출 수가 있고, 붕어의 활성도가 높아 찌를 쭉쭉 높이 올려주는 경우나 바람이 심한 경우에는 '환상적인 찌올림' 및 찌톱(4)의 직립을 위하여 스톱퍼(6)의 위치를 약간 높혀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높여 줄 수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도 2B에 나타낸 찌(1a)는 종래의 갈대찌(1' )와 비례 관계가 동일하며, 단지 보조 몸통(3)이 항상 수면에 떠 있는 상태이므로 찌 상승시 시인성이 양호한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찌톱(4) 상승에 대한 시인성이 양호하다는 장점이 있으면서도, 상기한 보조 몸통(3)은 찌(1')의 부력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를 발휘하며 수면 위에 노출된 찌톱(4)이 바람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찌(1a)는 수면 위에 노출되는 찌톱(4)의 길이가 변하는 경우에도 유동하여 항상 수면 위에 위치하므로 도 2A의 찌(1)와 마찬가지로 찌톱(4)과의 관게에서 위치 가변식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A의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민물낚시찌(1)의 붕어 입질에 따른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의 (A)는 채비 투척후 찌(1)가 수면에 안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보조 몸통(3)은 스톱퍼(6)에 의해 수면 중에 위치하므로 부력을 형성한다.
참고로, 붕어는 정상적인 환경 하에서는 통상 바닥으로부터 30∼40cm 높이에서 유영하며 먹이를 발견하면 대략 45°의 각도로 내려와 약하게 흡입하다가 강하게 흡입하고는 원위치로 돌아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4의 (B)는 붕어가 약하게 입질하는 과정을 보여 주며, 역시 보조몸통(3)은 스톱퍼(6)에 의해 수면 중에 위치하여 부력을 형성하므로, 주몸통(2)과 보조 몸통(3)의 부력의 합은 봉돌(10) 및 바늘(도면부호 미부여)의 중량과 거의 같으므로 물고기가 느끼는 봉돌(10)의 무게 증가는 거의 없으며, 따라서, 예민성 및 정직성이 양호한 움직임을 나타내게 된다.
도 4의 (C)는 붕어가 미끼를 물고 다시 바닥에서 30∼40cm 떨어진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나타내며, 찌(1)가 강하게 급속히 상승하게 되나 보조 몸통(3)이 수면에 도달하면 보조 몸통(3)은 더 이상의 상승 없이 수면에 떠 있게 되므로 보조몸통(3)의 부력은 사라지며 붕어는 보조 몸통(3)의 사라진 부력만큼 봉돌의 무게를 더 느끼게 되며 따라서 찌(1)의 솟음은 점잖아지게 되나 관성력에 의해 상승을 계속하게 된다.
도 4의 (D)는 붕어가 원위치로 완전히 복귀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이 상태에서는 찌(1)는 위로 한껏 솟게 되므로 보조 몸통(3)의 하단부는 주몸통(2)의 상단부에 당접하여 함께 수면위로 어느 정도 노출될 때까지 찌톱(4)은 거의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무게 중심 G의 하향 이동으로 상대적으로 긴 길이 및 긴 시간 동안 직립 상태로 솟아 오르게 됨) 소위 '환상적인 찌올림'을 맛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찌(1,1a)는 채비 투척 후 수면 상에서는 보조 몸통(3)이 봉돌과의 관계에서 충분한 부력을 발휘치 못하므로(보조 몸통(3)의 부력만큼 봉돌(10)의 무게가 더 나가는 상태) 직립 동작이 신속하게 수직으로의 입수가 진행되며, 보조 몸통(3)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기 시작하면 보조 몸통(3)의 부력이 부활하므로 찌(1,1a)는 입수 속도가 감소하여 서서히 입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는 양호한 예민성 및 정직성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환상적인 찌올림'을 맛볼 수 있는 우수한 직립성을 겸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시인성 또한 양호하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낚시 환경에 맞추어 필요시 찌 전체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4)

  1. (정정) 주몸통(2)과, 주몸통(2)의 상단에 고정되는 찌톱(4)과, 주몸통(2)의 하단에 고정되는 찌다리(5)와, 상기한 찌톱(4)에 고정되는 스톱퍼(6)와, 상기한 찌톱(4)이 관통되고 주몸통(2)의 상기한 상단과 스톱퍼(8) 사이에서 상기한 찌톱(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보조 몸통(3)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주몸통(2)이 찌(1) 전체 길이의 하방으로부터 1/3이 되는 지점 아래에 위치하면서도, 상기한 보조 몸통(3)의 무게 배분으로 인하여 찌(1)의 무게 중심 G가 찌(1) 전체 길이의 하방으로부터 1/3 부근에 위치하고,
    채비 투척후 찌(1)가 수면에 안정된 상태로부터 입질에 의한 찌(1) 상승에 의하여 상기한 보조 몸통(3)이 수면에 도달하기까지는 상기한 보조 몸통(3)은 수면아래에 위치하여 상기한 찌(1)에 대한 부력을 형성하며,
    상기한 보조 몸통(3)이 수면에 도달하면 상기한 찌(1)에 대한 부력을 상실함과 동시에, 상기한 찌톱(4)의 직립 상승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챔질 시기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작용하는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톱퍼(6)가 탄성 관상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찌톱(4)의 외주면에 영구 고정 또는 위치 가변하게 탄성 협지되는 위치 가변식 보조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찌톱(4)의 상단부에 케미라이트 꽂이(7)를 가지며, 상기한 찌다리(5)의 말단에 찌고정 다리(9)가 날라리(8)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조 몸통(3)에 시인성 향상을 위한 형광 도료가 채색된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KR2020010015586U 2001-05-25 2001-05-25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KR200249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86U KR200249303Y1 (ko) 2001-05-25 2001-05-25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86U KR200249303Y1 (ko) 2001-05-25 2001-05-25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189A Division KR20020074298A (ko) 2001-03-19 2001-03-19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303Y1 true KR200249303Y1 (ko) 2001-11-16

Family

ID=7310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586U KR200249303Y1 (ko) 2001-05-25 2001-05-25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3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3780A (en) Fishing float
KR200249303Y1 (ko)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KR100964289B1 (ko) 낚시찌
KR20020074298A (ko)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KR20180014491A (ko)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
CN209660229U (zh) 一种钓鱼水面标浮漂
JP2020078290A (ja) エコな魚釣りウキ
KR101776406B1 (ko) 다기능 낚시찌
KR101776407B1 (ko) 다기능 낚시찌
JP2003061531A (ja) 浮き及びルアー
KR970001360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249317Y1 (ko) 낚시찌
CN201774901U (zh) 垂钓用浮漂
KR20100082432A (ko) 올림 찌 낚시용 투명 (지지대) 채비
KR200292563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50082444A (ko) 다기능 수초낚시찌
KR100479178B1 (ko) 낚시용 찌
KR200292574Y1 (ko) 낚시찌
KR100677935B1 (ko) 무게모멘트 중심과 부력모멘트 중심을 일치시킨 낚시용 찌
CN206629805U (zh) 一种无人值守多方式钓鱼工具
JP2018078843A (ja) 浮力具の位置調節が容易な釣り用棒ウキ
KR200327146Y1 (ko) 목줄에 부구가 고정 결합되는 민물용 낚시채비
JPH0715420Y2 (ja) 友釣り用オトリ沈め器
RU2187225C2 (ru) Мормышка (варианты)
KR20090037241A (ko) 무게모멘트 가변형 찌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