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362B1 -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 Google Patents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362B1
KR101384362B1 KR1020130135644A KR20130135644A KR101384362B1 KR 101384362 B1 KR101384362 B1 KR 101384362B1 KR 1020130135644 A KR1020130135644 A KR 1020130135644A KR 20130135644 A KR20130135644 A KR 20130135644A KR 101384362 B1 KR101384362 B1 KR 101384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bbin
buoyancy body
bobber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연
Original Assignee
조봉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연 filed Critical 조봉연
Priority to KR102013013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은 일정 두께로서 찌톱과 찌다리를 일체로 형성하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찌 바디(10); 상기 찌 바디(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자립성을 갖게 하는 무게 추(20); 상기 찌 바디(10)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주 부력체(30); 상기 주 부력체(30)의 하부에서 상기 찌 바디(10)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보조 부력체(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심과 물속에서의 물고기 입질 빈도에 따라 주 부력체(30)와 보조 부력체(40)의 높이를 조정하여 최적의 낚시 조건으로 쉽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Fishing float to be capable of buoyancy control}
본 발명은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립찌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주 부력체와 보조 부력체가 설치되어 주 부력체와 보조 부력체간 간극 조절에 의해 찌의 예민함과 찌 상승 속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위해서는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결렸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찌가 구비된다.
낚시찌는 부력을 이용하여 수면에 떠있도록 한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에 의해 수면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육안으로 확인해서 챔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낚시찌는 크게 구멍찌와 막대찌로서 나누어지는데 구멍찌는 주로 바다 낚시에서 사용하며, 민물에서는 막대찌를 사용하고 있다.
이중 막대찌는 부력을 갖는 부력체를 기준으로 부력체의 상부로 찌톱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찌다리를 형성하는 구성이 대부분이며, 일부에는 찌톱과 부력을 갖는 몸통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사용하기도 한다.
종래의 낚시찌는 부력체나 몸통이 찌톱과 찌다리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구비되는 비자립찌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부력이 다소 큰 부력체를 찌톱에 연결하면서 찌다리의 하단부에는 무게추가 결합되도록 하는 자립추가 사용하는 빈도도 매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공개실용신안 제1999-0022493호(1999.07.05.명칭:릴찌낚시용부력조절이가능한찌)는 찌몸체 상부로 고정구를 나사조립하면서 이 고정구에는 원통형의 조립체가 나사조립되도록 하여 찌톱을 교체하면서 부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대한 것이다.
공고실용신안 제1997-0001358호(1997.03.04.명칭:부력이 조절되는 낚시찌)는 찌탑을 부력체와 나사결합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찌탑의 높이 조절에 의해 부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부력체로부터 찌톱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부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찌톱에 의한 부력 조절보다는 낚시 바늘측의 봉돌에 의해 근본적인 부력 조절이 이루어져야만 하고, 찌톱에 의해서는 반응감이 좀더 예민해질 수 있도록 할 뿐이므로 여전히 봉톨을 깎아 부력을 맞추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의 낚시는 생활 낚시가 보편화되면서 단순히 물고기를 잡기 위한 취미보다는 즐기는 낚시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찌의 예민함보다는 찌의 반응을 즐기는 경향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찌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로 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1999-0022493호(1999.07.05.) 공고실용신안 제1997-0001358호(1997.03.04.)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찌톱과 찌다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찌 바디의 하단에 무게 추를 연결하여 자립형으로 구비되도록 하면서 찌 바디에는 고부력의 주 부력체와 저부력의 보조 부력체가 각각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양 부력체들의 높이 조절에 의해서 다양한 찌 맞춤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부력체와 보조 부력체의 높이 조절에 의해 찌 반응의 예민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찌 바디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형성하면서 보조 부력체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찌가 상승하는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 낚시 중 찌 상승의 재미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는, 일정 두께로서 찌톱과 찌다리를 일체로 형성하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찌 바디; 상기 찌 바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자립성을 갖게 하는 무게 추; 상기 찌 바디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주 부력체; 상기 주 부력체의 하부에서 상기 찌 바디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보조 부력체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는 하나의 낚시찌만 갖고도 다양한 수심에 따른 찌맞춤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많은 수의 찌를 구비할 필요도 없고, 봉돌 맞춤의 어려움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히 주 부력체로부터 보조 부력체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에 의해서 찌의 반응성이 조절되도록 하여 물속 상황에 적절한 찌조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최근 낚시가 보편화되면서 찌낚시에서의 찌올림에 대한 스릴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장찌가 상승하는 시간이 지연되도록 함으로써 야간 낚씨에서의 재미를 더욱 증가시키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에서 주 부력체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에서 보조 부력체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의 무게 중심을 맞추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의 반응성을 높이고자 하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의 반응성을 낮추고자 하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크게 찌 바디(10)와 무게 추(20)와 주 부력체(30)와 보조 부력체(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찌 바디(10)는 통상적으로 부력체를 기준으로 상부의 찌톱과 하부의 찌다리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찌 바디(10)는 하단부로부터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상단부에 이르는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찌 바디(10)의 하단부 외경은 5㎜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찌 바디(10)의 상단부에는 밤낚시용 캐비라이트를 꽂을 수 있는 캐비꽂이가 결합되며, 상단부로 일정 높이까지는 다양한 색깔로서 칠이 되도록 하여 멀리서도 시인성이 좋도록 한다.
찌 바디(10)는 1m가 넘는 길이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찌 바디(10)의 하단부에는 찌 고무가 끼워질 수 있는 길이를 남기고 그 상부로 무게 추(20)가 결합되도록 한다.
무게 추(20)는 본 발명의 찌가 자립찌로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무게 추(20)는 찌 바디(10)에 연결될 부력체의 부력에 적절한 무게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게 추(20)는 찌 바디(10)에 부력체를 연결하여 물에 던지게 되면 부력체의 상단부측까지 수면에 잠길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갖는다.
주 부력체(30)는 본 발명의 찌 부력을 결정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의 주 부력체를 찌 바디에 결합시킨 구조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 부력체(30)는 수직의 중앙으로 찌 바디(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찌 바디(10)와는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주 부력체(30)의 단부에는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탄성을 갖는 스토퍼(31)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주 부력체(30)는 찌 바디(10)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주 부력체(30)만을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이동도 가능하다.
주 부력체(30)는 찌 바디(10)의 길이 중간 위치나 그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주 부력체(30)의 승강 높이는 수심에 따른 찌맞춤에 효과적이다.
한편, 주 부력체(30)의 하부에는 작은 사이즈의 보조 부력체(40)가 구비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의 보조 부력체를 찌 바디에 결합시킨 구조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 부력체(40)는 주 부력체(30)에 대해서 보조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며, 이 보조 부력체(40)도 주 부력체(30)와 마찬가지로 수직의 중앙으로는 찌 바디(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탄성의 스토퍼(41)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스토퍼(41)에 의해 찌 바디(10)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부력체(40)는 주 부력체(30)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에 의해서 찌의 반응성 즉 예민함이 조절되도록 한다.
즉 보조 부력체(40)는 주 부력체(30)와 가까울수록 보다 예민한 반응을 갖게 되고, 멀어질수록 반응이 둔해주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보조 부력체(40)는 최초 찌맞춤 시 주 부력체(30)를 일정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보조 부력체(40)를 찌 바디(30)를 따라 이동시켜 무게 중심의 기준이 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도 4에서와 같이 옆으로 누여 낚시찌가 수평 상태가 될 때까지 보조 부력체(40)가 기준이 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찌 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0은 캐미라이트를 꽂을 수 있도록 연결되는 캐미고무이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무게 추(20)를 고정시킨 찌 바디(10)에 상부에는 주 부력체(30)가 결합되고, 그 하부에는 보조 부력체(40)가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옆으로 뉘워 보조 부력체(40)가 무게 중심의 위치에 있도록 한 상태에서 본 발명을 낚시 채비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낚시찌에는 통상적으로 찌다리에 부착되는 날라리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별도의 찌홀더를 이용해서 원줄과 연결되도록 한다.
원줄에는 하단부에 대단히 가벼운 편납이나 소형 봉돌을 연결하고, 그 밑으로는 목줄을 이용하여 낚시 바늘이 연결되도록 하여 채비를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낚시찌는 입수 시 찌톱 상단이 일정 높이 보일 정도로만 조정되어야 하므로 채비를 정렬해서 입수시켜 본 후 낚시찌가 완전히 침수되면 편납이나 소형 봉돌의 무게를 작게 조정한다.
다만 편납이나 소형 봉돌을 이용한 찌맞춤은 무게의 가감에 의한 낚시찌에 미치는 영향을 대단히 크므로 무게 가감에 유리한 편납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납 무게를 가감하여 정확히 찌맞춤이 이루어지게 되면 본 발명의 낚시찌는 찌톱 상단 일부만이 수면 밖으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다만, 찌맞춤은 수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으므로 보다 깊은 곳에서는 주 부력체(30)를 상승시켜 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주 부력체(30)를 상승시키게 되면 물속에서 받는 수압이 좀더 작아지면서 일정 깊이까지 투입되는 채비가 받는 압력을 보상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주 부력체(30)와 함께 보조 부력체(40)도 상승시키게 되면 각 부력체(30,40)들에 작용하는 수압이 보다 작아지면서 채비를 보다 깊은 수심층까지 내릴 때에도 간단히 정확한 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낚시찌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심층에 대한 찌맞춤을 간단히 할 수가 있으므로 수심에 따른 찌맞춤의 번거로움이나 난해함을 해소시킬 수가 있도록 한다.
그리고 주 부력체(30)와 보조 부력체(40)간 간격을 보조 부력체(40)의 이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면 보조 부력체(40)에 가해지는 수압이 가감되면서 찌의 반응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즉 물고기의 입질이 매우 예민하거나 개체수가 적을 때에는 찌를 좀더 예민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것이 좋으므로 도 5에서와 같이 보조 부력체(40)를 주 부력체(30)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보조 부력체(40)에 가해지는 수압이 줄어들면서 채비에서 미약한 입질에 의해서도 찌가 반응하면서 찌의 상승 시간이 빠르게 된다.
그에 반해 물고기 개체수가 많고 입질 빈도수가 잦은 경우에는 좀더 무거운 채비가 유리하다.
따라서 이때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보조 부력체(40)를 주 부력체(30)로부터 더 멀리 이동시켜 수압에 의한 하중이 증가되도록 한다.
하중 상승에 의해 비록 바늘에 물고기가 입질을 하더라도 웬만해서는 찌에 반응이 미약하며, 제대로 물려서야 찌가 반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물속 사정에 따라 간단히 보조 부력체(40)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최적의 낚시 조건을 맞출 수가 있게 되므로 낚시 찌맞춤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면서 보다 쉬운 찌맞춤을 제공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낚시찌는 야간에 찌의 상승 높이를 최대한 즐기로 싶은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부력체(40)를 하향 조정하여 다소 무겁게 가져가게 되면 물고기의 입질과 정확한 입걸림에 의한 찌 상승 속도를 서서히 진행되게 함으로써 챔질 시까지의 시간을 지연시켜 캐미라이트가 켜진 상태에서 최대한 상승하는 찌올림의 짜릿함을 즐길 수가 있도록 한다.
이렇게 낚시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물고기를 낚는 즐거움과 함께 야간 낚시에서의 찌올림 스릴을 즐기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낚시 조사들의 욕구를 골고루 만족시킬 수가 있도록 한다.
10 : 찌 바디 20 : 무게 추
30 : 주 부력체 40 : 보조 부력체
31, 41 : 스토퍼

Claims (5)

  1. 찌톱과 찌다리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외경이 5mm 보다 작은 두께로서 구비되는 찌 바디;
    상기 찌 바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자립성을 갖게 하는 무게 추;
    상기 찌 바디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주 부력체;
    상기 주 부력체의 하부에서 상기 찌 바디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주 부력체와의 거리 조절에 의해 찌의 반응도가 조절되게 하는 보조 부력체;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찌 바디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형상인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게 추는 상기 찌 바디의 하단부에서 찌홀더의 연결 부위보다 상부에 구비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부력체와 상기 보조 부력체는 동시에 중앙을 수직으로 상기 찌 바디가 관통하고, 상기 찌 바디와는 각각 상하단부에 탄성의 스토퍼를 연결하여 상기 찌 바디를 따라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부력체는 일측으로는 주 부력체를 구비하고, 타측으로는 무게 추를 구비한 상기 찌 바디가 수평의 상태가 되는 위치에서 무게 중심을 이루는 찌맞춤이 되도록 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KR1020130135644A 2013-11-08 2013-11-08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KR101384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644A KR101384362B1 (ko) 2013-11-08 2013-11-08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644A KR101384362B1 (ko) 2013-11-08 2013-11-08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362B1 true KR101384362B1 (ko) 2014-04-14

Family

ID=5065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644A KR101384362B1 (ko) 2013-11-08 2013-11-08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3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7094U (ko) * 1974-03-06 1975-09-23
JPH01146869U (ko) * 1988-03-29 1989-10-11
JPH05316912A (ja) * 1992-05-25 1993-12-03 Hiroshi Nakamichi 自動合わせ機能付き当たり取りトップ中通し自立ウキ
KR20130064444A (ko) * 2011-12-08 2013-06-18 조재용 부력 조절용 낚시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7094U (ko) * 1974-03-06 1975-09-23
JPH01146869U (ko) * 1988-03-29 1989-10-11
JPH05316912A (ja) * 1992-05-25 1993-12-03 Hiroshi Nakamichi 自動合わせ機能付き当たり取りトップ中通し自立ウキ
KR20130064444A (ko) * 2011-12-08 2013-06-18 조재용 부력 조절용 낚시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086B1 (ko) 수심측정이 용이하며 미세 부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낚시찌
US3613290A (en) Trolling underwater fishing kite
US20190208756A1 (en) Fishing lure
KR101384362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KR100964289B1 (ko) 낚시찌
JP2017104024A (ja) 多機能ウキ
US9497949B1 (en) Fishing brakes
US20120073183A1 (en) Adaptable Fishing Float
CN207151678U (zh) 一种自动钓鱼浮漂
KR101009511B1 (ko)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US3006104A (en) Fish lure
KR101776406B1 (ko) 다기능 낚시찌
KR101201595B1 (ko) 개량형 낚시용 막대 봉돌
JP2003061531A (ja) 浮き及びルアー
KR101776407B1 (ko) 다기능 낚시찌
CN219939422U (zh) 一种抗走水漂坠以及浮漂组件
KR20130000053U (ko) 부력 조절 낚시용 찌
KR101753967B1 (ko) 다기능 낚시찌
KR20210000674U (ko) 부력조절 낚시찌
JP2012161299A (ja) 釣り具
CN213603913U (zh) 浮漂渔具
KR200370603Y1 (ko) 막대형 구멍찌
TWM451826U (zh) 觸感浮標
KR101042547B1 (ko) 챔질 도우미 브레이크부레가 장착된 낚시찌
KR200437351Y1 (ko) 전유동 및 잠수찌 채비법의 병행운용이 가능한 낚시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