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041Y1 - 낚시추 - Google Patents

낚시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41Y1
KR200486041Y1 KR2020160000643U KR20160000643U KR200486041Y1 KR 200486041 Y1 KR200486041 Y1 KR 200486041Y1 KR 2020160000643 U KR2020160000643 U KR 2020160000643U KR 20160000643 U KR20160000643 U KR 20160000643U KR 200486041 Y1 KR200486041 Y1 KR 200486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xing member
weight
weight adjusting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878U (ko
Inventor
평일웅
Original Assignee
평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일웅 filed Critical 평일웅
Priority to KR2020160000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4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 가능한 중량 조절 부재; 및 자성체로 마련되어 상기 중량 조절 부재를 상기 케이스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된 상기 중량 조절 부재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중량이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추{FISHING WEIGHT}
본 고안은 낚시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 조절이 용이한 낚시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추는 낚시채비나 그물망, 어망 등에 매달아 수중에 잠기도록 하는 것으로, 납(Pb)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납에 의한 중금속 오염은 물론 생태환경의 유해성이 심각히 대두하면서 수중 환경오염을 유발하기 위해 낚시추로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상기의 납추를 대체를 대체하기 위한 황동추, 흑단추, 쇠추, 자연석추, 세라믹추 등이 있으며, 원재료를 가공하여 직접 제품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플라스틱소재 외피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원재료를 삽입하는 형태로 대별되어 있다. 이러한 납추 대체제들은 납추에 비하여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비효율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2013년 12월 3일에 출원된 KR 2013-0148897에는 '친환경 낚시추'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케이스 내에 구비된 고정 부재에 의해 중량 조절 부재가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고정 부재에 부착된 중량 조절 부재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납 이외의 금속을 이용함으로써 납추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인 낚시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고정 부재가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중량 조절 부재를 탈부착시킬 수 있는 낚시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 가능한 중량 조절 부재; 및 자성체로 마련되어 상기 중량 조절 부재를 상기 케이스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된 상기 중량 조절 부재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중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는, 일 측이 개방된 제1 케이스; 및 일 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된 일 측과 체결 가능한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중량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 내에 채워질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의 폐쇄된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의 개방된 일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 공간이 분할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중량 조절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기 중량 조절 부재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탈착시키는 탈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는, 일 측이 개방된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개방된 일 측을 통해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내부 케이스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제거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고정 부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가 외부로 출몰되게 하는 승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측면에 상기 내부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홈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내부 케이스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에 의하면, 케이스 내에 구비된 고정 부재에 의해 중량 조절 부재가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고정 부재에 부착된 중량 조절 부재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중량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에 의하면, 납 이외의 금속을 이용함으로써 납추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에 의하면, 고정 부재가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중량 조절 부재를 탈부착시킬 수 있다.
도 1(a) 및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를 도시한다.
도 2(a) 및 (b)는 케이스 내 고정 부재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3(a) 및 (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를 도시한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를 도시한다.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를 도시한다.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에 탈착 부재가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은 탈착 부재에 의해 중량 조절 부재가 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및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를 도시한다.
도 1(a) 및 (b)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10)는 케이스(100), 중량 조절 부재(110) 및 고정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예를 들어 캡슐형 또는 난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케이스(102) 및 제2 케이스(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2)에는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측이 개방되고, 타 측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104) 또한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측이 개방되고, 타 측은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스(102)의 개방된 일 측과 제2 케이스(104)의 개방된 일 측은 서로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102) 및 제2 케이스(104)가 서로 체결되는 경우, 케이스(100)가 하나의 캡슐형 또는 난형으로 되어,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이 완전히 폐쇄되고,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중량 조절 부재(1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제1 케이스(102) 및 제2 케이스(104)의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제1 케이스(102) 및 제2 케이스(104)의 내부 공간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중량 조절 부재(110)를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1(a)에는 제1 케이스(102)의 개방된 일 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 케이스(104)의 개방된 일 측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케이스(102) 및 제2 케이스(104)의 결합 방식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케이스(102) 및 제2 케이스(104)를 용이하게 체결 또는 체결 해제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특히 도 1(b)를 참조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중량 조절 부재(110) 및 고정 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량 조절 부재(110)는 예를 들어 납 이외의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구슬과 같이 구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량 조절 부재(110)는 낚시추(10) 전체의 중량을 조절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20)는 예를 들어 자성체로 마련되어, 중량 조절 부재(110)가 고정 부재(12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 부재(120)는 중량 조절 부재(110)를 케이스(100)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20)의 일부가 자성체로 마련되거나, 고정 부재(120) 전체가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중량 조절 부재(110) 및 고정 부재(120)의 재질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중량 조절 부재(110) 및 고정 부재(12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한편 고정 부재(120)는 봉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 케이스(102) 또는 제2 케이스(10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20)의 일단은 케이스(100),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02) 또는 제2 케이스(104)의 폐쇄된 일 측에 연결되고, 고정 부재(120)의 타단은 케이스(100),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02) 또는 제2 케이스(104)의 개방된 타 측에 배치되며, 고정 부재(120)는 케이스(100)의 폐쇄된 일 측으로부터 케이스(100)의 개방된 타 측을 향해 케이스(10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 부재(12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 케이스(102) 또는 제2 케이스(104)의 내부 공간을 분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고정 부재(120)에 의해 제1 케이스(102) 또는 제2 케이스(104)의 내부 공간이 두 개로 분할될 수 있다.
또는, 도 2(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 부재(120)가 제1 케이스(102) 또는 제2 케이스(104)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등각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1 케이스(102) 또는 제2 케이스(104)의 내부 공간이 세 개 또는 네 개로 분할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부재(120)의 배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고정 부재(120)에 탈부착되는 중량 조절 부재(110)의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낚시추(10)의 전체 중량은 제1 케이스(102) 또는 제2 케이스(104) 내에 채워진 중량 조절 부재(110)의 개수 또는 중량 조절 부재(110) 자체의 중량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02) 또는 제2 케이스(104) 내에 채워진 중량 조절 부재(110)의 개수가 많아지고, 중량 조절 부재(110)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질수록 낚시추(10)의 전체 중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3(a) 및 (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를 도시한다.
도 3(a) 및 (b)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20)는 케이스(200), 중량 조절 부재(210), 고정 부재(220) 및 승강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는 일 측이 개방된 외부 케이스(202) 및 외부 케이스(202)의 개방된 일 측을 통해 외부 케이스(202) 내에 삽입되는 내부 케이스(2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b)에는 외부 케이스(202) 및 내부 케이스(204)가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외부 케이스(202) 및 내부 케이스(204)가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부 케이스(202) 및 내부 케이스(204)의 상호 결합 또는 결합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고정 부재(220)는 내부 케이스(204)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220)는 내부 케이스(204)의 폐쇄된 일 측으로부터 내부 케이스(204)의 개방된 일 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220)는 자성체로 마련되어 고정 부재(220)에 중량 조절 부재(210)가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특히 도 3(b)를 참조하여, 승강 부재(230)는 고정 부재(220)가 내부 케이스(204)로부터 외부로 출몰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부재(230)는 내부 케이스(204)의 측면에 내부 케이스(20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232) 및 고정 부재(220)에 연결되어 홈(232)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돌기(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돌기(234)를 손으로 들어 올리거나 낮춤으로써 고정 부재(220)의 내부 케이스(204) 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승강 부재(230)의 구성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고정 부재(220)가 내부 케이스(204)로부터 외부로 출물되게 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립스틱 케이스와 같이 내부 케이스(204)를 회전시켜 고정 부재(2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내부 케이스(204)에는 추가적으로 나선형의 홈 또는 상기 나선형의 홈을 따라 이동되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220)가 내부 케이스(204)에 대하여 높이 조절이 자유롭게 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220)에서 원하는 위치에 자유자재로 중량 조절 부재(210)를 부착시킬 수 있으며, 탈착시키는 데 용이할 수 있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30)는 케이스(300), 중량 조절 부재(310) 및 고정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0)는 일 측이 개방된 외부 케이스(302) 및 외부 케이스(302)의 개방된 일 측을 통해 외부 케이스(302) 내에 삽입되는 내부 케이스(304)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내부 케이스(304)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 케이스(304)는 외부 케이스(302)의 개방된 일 측을 폐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부 케이스(302) 및 내부 케이스(304)의 상호 결합 또는 결합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부 케이스(302)의 개방된 일 측 내주면 및 내부 케이스(304)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320)는 내부 케이스(304)의 일면에 연결되어 외부 케이스(3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부 케이스(304)로부터 외부 케이스(302)가 분리되는 경우 고정 부재(32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반면, 내부 케이스(304)에 외부 케이스(302)가 결합되는 경우 고정 부재(32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30)에서는 고정 부재(320)가 외부 케이스(302)의 분리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므로, 별도의 승강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며, 고정 부재(32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전술된 고정 부재(320)에는 중량 조절 부재(310)가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320)는 전술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를 도시하고,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에 탈착 부재가 포함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탈착 부재에 의해 중량 조절 부재가 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40)는 케이스(400), 중량 조절 부재(410), 고정 부재(420) 및 탈착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00)는 일 측이 개방된 제1 케이스(402) 및 일 측이 개방되고 제1 케이스의 개방된 일 측과 체결 가능한 제2 케이스(4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420)는 케이스(400)의 내측면, 예를 들어 제1 케이스(402) 또는 제2 케이스(404)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6에는 케이스(400)와 고정 부재(420)가 별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 부재(420)가 케이스(4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400)의 내측면에 자성을 띠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에 의해 중량 조절 부재(410)는 케이스(400)의 내측면, 예를 들어 제1 케이스(402) 또는 제2 케이스(404)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탈착 부재(430)는 고정 부재(420)에 부착된 중량 조절 부재(410)를 탈착시키기 위해 또는 케이스(400)로부터 중량 조절 부재(410)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착 부재(430)는 케이스(400)의 측면에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탈착 홈(432), 케이스(40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434), 및 플레이트(434)에 연결되어 상기 탈착 홈(432)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탈착 돌기(4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돌기(436)를 하강시키는 경우, 플레이트(434)가 케이스(400)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고정 부재(420)에 부착된 중량 조절 부재(41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결국 플레이트(434)에 의해 고정 부재(420)로부터 중량 조절 부재(410)가 탈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는 케이스 내에 구비된 고정 부재에 의해 중량 조절 부재가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고정 부재에 부착된 중량 조절 부재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중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납 이외의 금속을 이용함으로써 납추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20, 30, 40: 낚시추
100, 200, 300, 400: 케이스
110, 210, 310, 410: 중량 조절 부재
120, 220, 320, 420: 고정 부재
230: 승강 부재
430: 탈착 부재

Claims (7)

  1. 내부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 가능한 중량 조절 부재; 및
    자성체로 마련되어 상기 중량 조절 부재를 상기 케이스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된 상기 중량 조절 부재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중량이 조절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중량 조절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기 중량 조절 부재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탈착시키는 탈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낚시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 측이 개방된 제1 케이스; 및
    일 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된 일 측과 체결 가능한 제2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중량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 내에 채워지는 낚시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의 폐쇄된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의 개방된 일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 공간이 분할되는 낚시추.
  4. 삭제
  5. 내부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 가능한 중량 조절 부재; 및
    자성체로 마련되어 상기 중량 조절 부재를 상기 케이스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된 상기 중량 조절 부재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중량이 조절되고,
    상기 케이스는,
    일 측이 개방된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개방된 일 측을 통해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내부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낚시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의 분리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는 낚시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고정 부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가 외부로 출몰되게 하는 승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측면에 상기 내부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홈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내부 케이스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높이가 조절되는 낚시추.
KR2020160000643U 2016-02-04 2016-02-04 낚시추 KR200486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43U KR200486041Y1 (ko) 2016-02-04 2016-02-04 낚시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43U KR200486041Y1 (ko) 2016-02-04 2016-02-04 낚시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78U KR20170002878U (ko) 2017-08-14
KR200486041Y1 true KR200486041Y1 (ko) 2018-03-27

Family

ID=6062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643U KR200486041Y1 (ko) 2016-02-04 2016-02-04 낚시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559A (ko) * 2018-10-30 2020-05-08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장대 봉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221U (ko) 2018-07-19 2020-01-30 임용석 어류 유인 기능이 구비된 낚시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41B1 (ko) * 2008-05-22 2010-09-15 홍길표 낚시추
KR101518547B1 (ko) * 2013-02-22 2015-05-07 송석록 낚시용 자석 봉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559A (ko) * 2018-10-30 2020-05-08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장대 봉돌
KR102190609B1 (ko) 2018-10-30 2020-12-11 주식회사 코리아마이카 장대 봉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78U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041Y1 (ko) 낚시추
USD837932S1 (en) Fish lure
USD921119S1 (en) Hexagonal game piece holder with bowls
USD700526S1 (en) Bottle carrier with graspable loop
IL254042A0 (en) Thiadiazole compounds and 1,2,4-oxadiazole modified in position 3 for use as immunomodulators
USD745978S1 (en) Shade container with shade mode and storage mode
USD832045S1 (en) Solid fuel cooking device with lid
SG11202108090XA (en) Crispr/cas dropout screening platform to reveal genetic vulnerabilities associated with tau aggregation
SG11201610237RA (en) USE OF GAMMA IRON(III) OXIDE (GAMMA-FE<sb>2</sb>O<sb>3</sb>) CONTAINING PARTICLES FOR THE PREVENTION OF BIOFOULING AND/OR GROWTH OF MICROORGANISMS
MX2018015862A (es) Particulas de nucleo-coraza para uso como un rellenador para composiciones de alimentacion.
EP3813518A4 (en) DEEP SEA FISH ENCLOSURES
EP3815526A4 (en) A FISHING ROD HAVING A ROD BODY AND AN ATTACHMENT PART ATTACHED THERETO
KR20160003565U (ko) 낚시용 봉돌
KR20160003655U (ko) 분리형 낚시용 추
KR101556764B1 (ko) 낚시용 채비
KR101551131B1 (ko) 부력조절 낚시추
KR101638434B1 (ko) 친환경 낚시추
KR20160003610U (ko) 분리형 낚시용 추
JP2010013191A (ja) 調理用ボウルに簡単に取り付けが可能な注ぎ口。
KR20160003611U (ko) 분리형 낚시용 추
EP3746236A4 (en) INTEGRATED CORE-SHELL CASTING STRUCTURE FOR THE PRODUCTION OF A CASTING COMPONENT WITH A NEW COOLING HOLE ARCHITECTURE
JP2004337138A (ja) フタ付のエサ籠
GB201800915D0 (en) Bird feeder cable lid lock and bird feeder with the same
KR20120035614A (ko) 낚시 추
JP201801635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