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702B1 -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702B1
KR100724702B1 KR1020060112579A KR20060112579A KR100724702B1 KR 100724702 B1 KR100724702 B1 KR 100724702B1 KR 1020060112579 A KR1020060112579 A KR 1020060112579A KR 20060112579 A KR20060112579 A KR 20060112579A KR 100724702 B1 KR100724702 B1 KR 10072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p
fishing
bait
guid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호
이상현
Original Assignee
류성호
이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성호, 이상현 filed Critical 류성호
Priority to KR1020060112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2Devices for laying ground-bait, e.g. chum dispensers, e.g. also for throwing ground-ba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제1통공(220)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유출공(h)이 형성되며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캡(22)과,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유출공(h)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2통공(240)이 형성된 채 상기 상부캡(22)과 맞결합되는 하부캡(24)으로 구성된 수납구(2)와; 상기 수납구(2)의 내측에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캡(24)의 제2통공(240)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캡(22)의 제1통공(220)에 결합되어 상,하부캡(22,24)을 고정시키는 수직봉(4)과; 상기 수직봉(4)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안내줄(6)과; 상기 안내줄(6)의 양끝단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링(81,82)으로 구성된다.
낚시, 집어제, 수납, 중량, 나사결합

Description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 fishing unit with bait chamber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에 대한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수납구 4 : 수직봉
6 : 안내줄 22 : 상부캡
24 : 하부캡 81,82 : 고정링
220 : 제1통공 240 : 제2통공
100 : 도래 300 : 낚시바늘
본 발명은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어를 위한 집어제를 넣을 수 있는 수납구가 구비되되, 수납구 및 집어제의 하중에 의해 물속에 가라앉히는 추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 때에는 바늘을 내릴 물속 주변에 밑밥(이하 '집어제'라 함)을 풀어 고기가 모여들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낚시밥을 잘게 부숴 낚시를 하는 동안 바늘 주변에 자주 뿌리곤 한다.
한편, 추는 낚시바늘이 물속에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대부분이 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상과 크기는 다양하여 민물낚시와 바다낚시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집어제를 물에 풀면, 고기가 모이도록 집어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물속으로 던져진 미끼가 낚시터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된다.
그리고, 추 또한 중금속인 납으로 형성되어 있어 낚시도중 빈번한 분실에 의해 역시 수질 등을 오염시킨다는 단점이 있는 한편, 종래의 추는 그 크기 및 무게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찌와 낚시종류에 따라 추의 크기 및 무게가 다른 것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집어제가 수납된 채 서서히 퍼지도록 하여 소량으로도 집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집어제의 중량과 수납구 자체의 중량에 의해 가라앉을 수 있어 납추를 대신하도록 함으로써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는, 상부에 제1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유출공이 형성되며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캡과,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유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2통공이 형성된 채 상기 상부캡과 맞결합되는 하부캡으로 구성된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의 내측에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캡의 제2통공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캡의 제1통공에 결합되어 상,하부캡을 고정시키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안내줄과; 상기 안내줄의 양끝단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에 대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A)는, 반구형으로 된 상부캡(22)과 하부캡(24)이 상호 결합된 수납구(2)와, 상,하부캡(22,24)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수납구의 내부에 설치된 수직봉(4)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A), 상부에 제1통공(220)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유출공(h)이 형성되며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캡(22)과,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유출공(h)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2통공(240)이 형성된 채 상기 상부캡(22)과 맞결합되는 하부 캡(24)으로 구성된 수납구(2)와; 상기 수납구(2)의 내측에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캡(24)의 제2통공(240)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캡(22)의 제1통공(220)에 결합되어 상,하부캡(22,24)을 고정시키는 수직봉(4)과; 상기 수직봉(4)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안내줄(6)과; 상기 안내줄(6)의 양끝단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링(81,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캡(22)은 그 상단부에 제1통공(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캡(2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유출공(h)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캡(24)은 전술한 상부캡(2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개구부가 상부캡(22)의 그것보다는 작게 형성됨으로써, 하부캡(24)의 개구부가 상부캡(22)의 개구부 내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하부캡(24)은 그 하부에 전술한 제1통공(220)과 일직선상으로 대응되게 제2통공(2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유출공(h)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캡(22) 및 하부캡(24)의 유출공(h)은 균일하게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유출공(h)을 부분적으로만 형성하거나, 그 크기와 형상을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집어제의 배출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이미 전술했듯이, 상기 상부캡(22)의 개구부는 하부캡(24)의 개구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부캡(22)과 하부캡(24)이 견고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하부캡(22,24)의 형상은 반구형 외에도 원통형, 구형 등 다양한 형 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봉(4)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통로(40)가 형성되고, 상하가 개구된 소정 길이를 갖는 봉체로써, 하단이 하부캡(24)의 제2통공(240)에 고정설치되고, 상단 외주에는 나사부(42)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나사부(42)가 상부캡(22)의 제1통공(220)과 나사 결합됨으로써 수납구(2)를 구성하는 상,하부캡(22,24)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봉(4)의 하단 외주에는 끼움턱(43)이 형성됨으로써, 수직봉(4)을 하부캡(24)의 제2통공(240) 외측으로부터 밀어넣으면, 끼움턱(43)이 제2통공(24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내줄(6)은 수직봉(4)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 것으로, 그 상단에는 낚시줄과 연결되는 도래(100)가 장착되고, 하단에는 낚시바늘(30)이 설치되는 것이며, 낚시바늘(300)에 걸린 물고기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당겨지거나 밀려나도록 함으로써 찌의 움직임이 보다 정교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줄(6)의 양끝단, 즉 상,하부에는 고정링(81,82)이 결합되는데, 이들 고정링(81,82)은 내측에 안내줄(6)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구형으로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링(81,82)은 야광 또는 축광재질로 함으로써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물속에서 물고기의 유인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부캡(22)과 하부캡(24)을 그 각각의 개구부끼리 맞결합시킨 후 하부 캡(24)의 제2통공(240)에 수직봉(4)의 하단을 끼워 결합시키고, 수직봉(4)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42)를 상부캡(22)의 제1통공(220)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수납구(2)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하부캡(22,24)을 결합시키기 전에 그 내부에 집어제(미도시)를 채워 넣는다. 상기 집어제는 물고기의 후각을 자극할만한 어분, 깻묵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수직봉(4)의 통로(40)를 통해 안내줄(6)을 삽입시킨 다음 안내줄(6)의 상단과 하단에 각기 고정링(81,82)을 끼워 결합시키고, 그 상단에는 도래(100)를 묶어 고정시키며, 그 하단에는 낚시바늘(300)을 묶어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낚시채비(A)를 물속에 넣으면, 수납구(2)가 가라앉아 바닥에 닿게되고, 물고기가 낚시바늘(300)을 물고 움직이면, 그 움직임에 따라 안내줄(6)이 먼저 움직이고, 이로인해 찌의 움직임이 포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채비(A)는 낚시가 종료된 후에 수납구(2)의 청소가 용이하다.
즉, 상,하부캡(22,24)을 해체시켜 그 내부에 잔존하는 미끼를 제거함으로써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집어제와 수납구의 자중에 의해 낚시채비가 가라앉을 수 있으므로 납 추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환경오염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크다.
또한, 수납구에 집어제를 넣음으로써 소량으로도 집어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있어 집어제 남용을 방지함으로써 수질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상부에 제1통공(220)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유출공(h)이 형성되며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캡(22)과,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유출공(h)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2통공(240)이 형성된 채 상기 상부캡(22)과 맞결합되는 하부캡(24)으로 구성된 수납구(2)와; 상기 수납구(2)의 내측에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캡(24)의 제2통공(240)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캡(22)의 제1통공(220)에 결합되어 상,하부캡(22,24)을 고정시키는 수직봉(4)과; 상기 수직봉(4)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안내줄(6)과; 상기 안내줄(6)의 양끝단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링(81,82)으로 구성된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4)은, 내부에 통로(40)가 형성되고, 상단 외주에는 상기 상부캡(22)의 제1통공(220)과 결합되는 나사부(42)가 형성되고, 하단 외주에는 끼움턱(4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81,82)은 내측에 상기 안내줄(6)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81,82)은 야광 또는 축광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KR1020060112579A 2006-11-15 2006-11-15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KR10072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579A KR100724702B1 (ko) 2006-11-15 2006-11-15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579A KR100724702B1 (ko) 2006-11-15 2006-11-15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702B1 true KR100724702B1 (ko) 2007-06-04

Family

ID=3835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579A KR100724702B1 (ko) 2006-11-15 2006-11-15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70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316B1 (ko) * 2007-01-26 2007-08-31 류성호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WO2009157700A2 (ko) * 2008-06-25 2009-12-30 Kim Hwa Kyu 낚시추
KR200477693Y1 (ko) * 2014-11-10 2015-07-09 조형균 낚시채비용 부력 조정추
KR20200060116A (ko) * 2018-11-22 2020-05-29 이명춘 낚시용 인조미끼의 헤드
KR20200136652A (ko) * 2019-05-28 2020-12-08 신승호 가시성이 향상된 타이러버헤드
KR20220148692A (ko) 2021-04-29 2022-11-07 홍창환 미끼통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2094U (ko) 1975-08-01 1977-02-16
JPS6010465U (ja) 1983-07-02 1985-01-24 仲川 清 魚釣り用撤餌器
JPH046675U (ko) * 1990-05-02 1992-01-22
KR200354291Y1 (ko) 2004-03-16 2004-06-29 류성호 미끼통 겸용 낚시추
KR20060090949A (ko) * 2006-07-27 2006-08-17 류성호 수납구가 구비된 낚시채비
KR200428770Y1 (ko) 2006-07-19 2006-10-16 오건부 피싱 카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2094U (ko) 1975-08-01 1977-02-16
JPS6010465U (ja) 1983-07-02 1985-01-24 仲川 清 魚釣り用撤餌器
JPH046675U (ko) * 1990-05-02 1992-01-22
KR200354291Y1 (ko) 2004-03-16 2004-06-29 류성호 미끼통 겸용 낚시추
KR200428770Y1 (ko) 2006-07-19 2006-10-16 오건부 피싱 카고
KR20060090949A (ko) * 2006-07-27 2006-08-17 류성호 수납구가 구비된 낚시채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316B1 (ko) * 2007-01-26 2007-08-31 류성호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WO2009157700A2 (ko) * 2008-06-25 2009-12-30 Kim Hwa Kyu 낚시추
WO2009157700A3 (ko) * 2008-06-25 2010-04-01 Kim Hwa Kyu 낚시추
KR200477693Y1 (ko) * 2014-11-10 2015-07-09 조형균 낚시채비용 부력 조정추
KR20200060116A (ko) * 2018-11-22 2020-05-29 이명춘 낚시용 인조미끼의 헤드
KR102161299B1 (ko) 2018-11-22 2020-10-05 이명춘 낚시용 인조미끼의 헤드
KR20200136652A (ko) * 2019-05-28 2020-12-08 신승호 가시성이 향상된 타이러버헤드
KR102304382B1 (ko) * 2019-05-28 2021-09-23 신승호 가시성이 향상된 타이러버헤드
KR20220148692A (ko) 2021-04-29 2022-11-07 홍창환 미끼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702B1 (ko)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US20150075057A1 (en) Container for the delivery and distribution of the lure or food or pharmaceutical substance for fish or for the dissolution of the substance in the aquatic environment
JP2007529219A (ja) 餌筒兼用釣錘
KR100789163B1 (ko) 두족류 포획용 낚시구
KR200189419Y1 (ko) 낚시용 추
AU2008286248A1 (en) Fishing Lure
KR100754316B1 (ko)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KR100716709B1 (ko) 수납구가 구비된 낚시채비
US5950351A (en) Fishing lure
KR101216643B1 (ko) 밑밥수납부가 구비된 낚시찌
KR20160002894U (ko)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GB2435603A (en) Floating groundbait device
GB2506946A (en) Fishing ledger
KR20160017566A (ko) 집어 효과와 발광체를 갖는 원투낚시전용 고리 추
JP2011155899A (ja) 集魚用まき餌入れ容器用の錘及びそれを用いた集魚用まき餌入れ容器
KR200443771Y1 (ko) 바다 낚시용 낚시찌
KR200290616Y1 (ko) 도깨비낚시용 떡밥유출방지구
KR102317753B1 (ko) 장어통발
KR101040910B1 (ko) 친환경적인 낚시용 봉돌
KR19990014727U (ko) 낚시 미끼용 고형물
GB2250411A (en) Feeder with power gum secured weight
KR100524661B1 (ko) 집어용 밑밥통
KR200207744Y1 (ko) 낚시바늘 채비
EP2002718B1 (en) Weighting device for fishing line
KR200422132Y1 (ko) 석재로 형성한 친환경용 낚시용 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