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894U -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 Google Patents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894U
KR20160002894U KR2020150000975U KR20150000975U KR20160002894U KR 20160002894 U KR20160002894 U KR 20160002894U KR 2020150000975 U KR2020150000975 U KR 2020150000975U KR 20150000975 U KR20150000975 U KR 20150000975U KR 20160002894 U KR20160002894 U KR 201600028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bongle
stopper
fishing rod
multifunctional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길
Original Assignee
신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길 filed Critical 신태길
Priority to KR2020150000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894U/ko
Publication of KR20160002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8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비를 수중에 가란않도록 하는 봉돌(Sinker)에 관한 것으로, 종래 봉돌의 기능인 채비를 멀리 던질 수 있게 해주고 미끼가 원하는 장소에서 움지이지 않도록 고정해 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고기를 모으는 이른바 집어(集魚) 기능을 할 수 있는 봉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집어 기능 이외에도 바위 틈이나 수초숲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집어용 낚시 미끼를 용이하게 상기 집어용 봉돌에 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집어용 미끼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집어용 미끼의 향이 빠져 나갈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SINKER WITH MULTI FUNCTION}
본 고안은 낚시 채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채비를 수중에 가란않도록 하는 봉돌(Sinker)에 관한 것으로, 종래 봉돌의 기능인 채비를 멀리 던질 수 있게 해주고 미끼가 원하는 장소에서 움지이지 않도록 고정해 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고기를 모으는 이른바 집어(集魚) 기능을 할 수 있는 봉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집어 기능 이외에도 바위 틈이나 수초숲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집어용 낚시 미끼를 용이하게 상기 집어용 봉돌에 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봉돌은 낚시 줄을 통해 낚시찌와 연결되어 봉돌이 물에 가라앉는 침력을 통해 낚시찌의 부력을 상쇄시키고 유속이 있는 곳에서도 낚시찌가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전에는 봉돌을 이용하여 바닥에 가라앉혀 한 곳에서 어류를 기다리는 포인트형 낚시를 하였으나, 최근에는 집어제를 사용하여 어류를 모이게 한 다음 낚시를 하는 광역형 낚시를 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 10-2005-0103181(2005. 10. 27.)
상기 선행기술은 미끼의 향을 함유 시킨 재료를 이용하여 봉돌의 커버를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낚시바늘에만 미끼를 끼워 놓고 고기가 물릴때 까지 기다리던 방식에서, 한발 나아가 봉돌커버에 미끼의 향을 함유시키므로써 고기를 불러 모으는 집어의 효과로 사용자가 재미있게 낚시를 할수 있도록 하는 미끼의 향이 함유된(집어의 효과가 있는) 커버봉돌에 관한 것으로서, 봉돌커버 재료(플라스틱, 고무등)에 향기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혼합ㅇ교반시킨 결과물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제조방법(예: 상기 결과물에 봉돌을 담가서 봉돌에 커버를 입히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끼의 향이 함유된(집어의 효과가 있는)커버봉돌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봉돌커버 자체에 미끼를 함유하는 것은 낚시를 하는 사람에게 직관적이지 못하고, 유인용 미끼의 양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미끼를 유인용 미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예를 들면 떡밥을 만들어 유인용 미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선행기술로는 불가하다는 것이다. 이외에 상기 선행기술은 길쭉한 형태가 아니어서 일단 수중 바닥면에 뉘어진 후 끌어 당기는 과정에서 바위틈에 걸리거나, 수초숲에 엉켜 상기 봉돌을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버(B1) 10-0938823(2010. 1. 19.)
상기 선행기술은 낚시 집어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를 하는 경우에 봉돌 내부에 집어 액을 넣어 집어 액의 확산으로 어류를 모이게 하는 낚시 집어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집어용 봉돌은, 낚시 줄에 연결되어 어류를 모이게 하는 낚시 집어용 봉돌에 있어서, 상기 봉돌의 내부에 형성된 집어 액 저장공간에 수용되어 집어 액을 흡수하는 흡수재와, 상기 봉돌의 상부 일측과 상기 집어 액 저장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집어 액이 투입되는 집어 액 투입구와, 상기 봉돌의 하부 일측과 상기 집어 액 저장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집어 액이 배출되는 집어 액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의 구조는 '집어 액'을 사용함으로써 통상의 미끼인 떡밥 등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떡밥은 낚시 미끼의 하나로 쌀겨에 콩가루나 번데기 가루, 새우 가루 따위를 섞어 반죽하여 조그마하게 뭉쳐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집어 액'은 낚시 상황에 따라 그 양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미끼의 향을 넣어 집어의 효과가 있을 뿐 그 외의 봉돌로서의 기능을 구현하지 못한다. 또한 미끼의 향을 넣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집어용 미끼를 사용함에 있어 직관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집어 액'을 사용하는 것은 통상의 낚시를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추가로 미끼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주게 된다. 또한 본 선행기술 또한 그 형태를 특정하지 않아 바위틈에 걸리거나, 수초숲에 엉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 10-2005-0103181(2005. 10. 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버(B1) 10-0938823(2010. 1. 19.)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통상의 미끼를 봉돌에 넣어 유인용 미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자 한다. 즉, 들깻묵가루, 콩가루, 보리가루 등을 볶아서 만들어 고소한 냄새가 나며, 어분이나 새우가루 또는 번데기가루를 미끼로 사용하는 경우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떡밥 형태의 미끼도 어렵지 않게 넣을 수 있는 집어용 봉돌을 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유인용 미끼를 내장하는 안정적인 구조의 봉돌을 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위 또는 수초숲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도 낚싯줄로 당기면 걸리지 않고 잘 빠져 나올 수 있는 구조의 봉돌을 개시하여, 수중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봉돌의 분실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봉돌에 도래를 결합하되 상기 도래의 기능에 의하여 수중 환경에 제한됨이 없이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은 떡밥이 상기 봉돌의 내부에 쉽게 넣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집어용 미끼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집어용 미끼의 향이 빠져 나갈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을 개시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집어용 미끼를 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마개에 의하여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2개가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개방부는 상기 마개와 추가 마개로 닫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마개는 강제로 끼웠다가 빼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마개는 비중이 낮은 부유체로 형성되어, 수중에서 상기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이 위 아래로 서 있는 상태를 유지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부유체는 외부를 코팅한 스티로폼이거나, 합성수지로서 그 내부에 공기를 채워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비중이 낮은 부유체로 형성된 마개는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집어용 미끼는 떡밥이고, 상기 마개에는 상기 몸체 내부의 상기 저장공간으로 길게 연장되는 심대가 형성되어, 상기 심대에 상기 떡밥을 붙여 상기 저장공간으로 장기 집어용 미끼를 넣을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심대에는 상기 떡밥이 잘 붙도록 하는 미끼 부착 수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미끼 부착 수단은 상기 심대를 감싸는 스프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마개와 상기 추가 마개는 상기 심대가 통과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본 고안은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길게 축을 형성하는 심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심대에 의하여 상기 마개와 상기 추가 마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집어용 미끼는 떡밥이고, 상기 심대에 상기 떡밥을 붙여 상기 저장공간으로 상기 집어용 미끼를 넣을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심대에는 상기 떡밥이 잘 붙도록 하는 미끼 부착 수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미끼 부착 수단은 상기 심대를 감싸는 스프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마개와 상기 추가 마개는 상기 심대가 통과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축을 형성하는 심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심대의 끝단에는 심대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대 나사선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심대의 끝단에 결합하면서 상기 마개 또는 추가 마개를 상기 몸체에 결합시키는 낚시용 도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낚시용 도래는 도래 몸통의 상단에 내부 볼베어링이 형성되어 고리부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에 따르면, 통상의 미끼를 봉돌에 넣어 유인용 미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바, 들깻묵가루ㅇ콩가루ㅇ보리가루, 어분이나 새우가루 또는 번데기가루 등 어떠한 미끼로 유인용 미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유인용 미끼를 내장하는 안정적인 구조를 개시하므로, 내구성이 있으며, 수중에서 그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바위 또는 수초숲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도 낚싯줄로 당기면 걸리지 않고 잘 빠져 나올 수 있는 구조의 봉돌을 개시하는바, 봉돌을 분실하거나 수중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봉돌에 도래를 결합하되 상기 도래의 기능에 의하여 수중 환경에 제한됨이 없이 낚시를 할 수 있게 한다. 즉, 이와 같은 도래의 기능에 의하여 낚싯줄이 꼬이거나, 채비 간의 얽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떡밥이 상기 봉돌의 내부에 쉽게 넣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하여, 낚시를 하는 사람은 어렵지 않게 유인용 미끼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인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며, 도 4는 평면도, 도 5는 저면도이다. 한편, 도 6은 상기 도 2의 화살표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분해상태를 도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그 일부를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그 분해결합도를 보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그 분해결합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인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며, 도 4는 평면도, 도 5는 저면도이다. 한편, 도 6은 상기 도 2의 화살표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분해상태를 도인 개념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내부에 집어용 미끼(10)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20)이 형성되고, 상기 집어용 미끼의 향이 빠져 나갈 수 있는 통공(30)이 형성된 몸체(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크게 보아 원통형의 길쭉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그 단면이 원인 경우 뿐만 아니라 사각형 등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이 되어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며, 나아가 루어 낚시의 인조미끼 형태인 붕어 형태 등으로 그 형태를 하더라도, 후술하는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것이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집어용 미끼는 어떠한 형태의 미끼여도 무관하다. 즉, 들깻묵가루ㅇ콩가루ㅇ보리가루 등을 볶아서 만들어 고소한 냄새가 나도록 하는 미끼이거나, 어분이나 새우가루 또는 번데기가루를 미끼로 사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루 형태의 미끼를 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떡밥 형태의 미끼도 어렵지 않게 넣을 수 있다. 떡밥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용이하게 넣기 위한 구성은 보다 구체적으로 나중에 설명한다.
상기 몸체(40)는 상기 집어용 미끼를 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마개(50)에 의하여 열고 닫히는 구조이다.
물론 상기 개방부가 1개만 형성되어 유인용 미끼를 넣는 것으로도 본 고안의 목적을 일부 달성할 수 있으나, 상기 개방부는 2개가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개방부는 상기 마개(50)와 추가 마개(51)로 닫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부(41)가 2개이므로 상기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을 청소가 매우 쉽게 가능하다. 즉, 내부에 남은 집어용 미끼를 씻어 내기 위해서 양쪽 마개를 모두 열어서 청소를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유인용 미끼를 넣는 것이 용이한 것은 당연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방부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몸체(40)는 길게 형성되는 원통형의 구조이고, 원통형의 상기 몸체(40)의 양 끝단에 상기 개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41)에 상기 마개(50)와 상기 추가 마개(51)로 닫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마개는 본 실시 예와는 달리 강제로 끼웠다가 빼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개를 강제로 끼웠다가 빼는 형태 이외에도 어떠한 형태의 마개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본 실시 예와 같이 안정적인 구조와 내구성을 가지는 나사결합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마개(50)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마개(50)와 추가 마개(51)의 끝단에 마개 나사선(52)에 따른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50)와 추가 마개(51)에 형성된 상기 나사선(52)에 따른 나사산에 대응하는 몸체 나사선(53)에 따른 나사산이 상기 몸체(40)의 내측에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마개는 비중이 낮은 부유체(54)로 형성되어, 수중에서 상기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이 위 아래로 서 있는 상태를 유지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체는 외부를 코팅한 스티로폼이거나, 합성수지로서 그 내부에 공기를 채워진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은 수중에서 오뚜기 형태와 같이 서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마개(50)를 비중이 낮은 부유체(54)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마개(50)는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비중이 낮으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중이 낮은 마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이 오뚜기와 같이 서 있는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비중이 낮은 부유체로 형성된 마개는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는 오뚜기처럼 서 있는 형태에서 위가 좁고 아래가 좁은 형태의 부유체가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바위틈(1) 또는 수초숲(2)에 상기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도 낚싯줄(3)로 위로 당기면 걸리지 않고 잘 빠져 나올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마개(50)가 부유체(54)이어서 상기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이 오뚜기 형태로 서 있으면서, 낚싯줄이 고정된 최상부가 뾰족한 형태가 되어 봉돌이 바위 틈이나 수초숲 등으로 들어가더라도, 나올 때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봉돌에 의하면 낚시줄로 봉돌을 끌어오는 과정에서 수중 바닥면에서 끌리면서 바위 틈이나 수초숲에 걸려서, 낚싯줄이 더 이상 당겨지지 않고 끊어서 봉돌을 분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했다. 이는 낚시를 하는 사람에게는 손실일 뿐만 아니라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의한 실시 예는 오뚜기와 같이 상하로 선상태를 유지하면서 당겨지는 것이어서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그 일부를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그 분해결합도를 보인 것이다. 앞의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의 상기 집어용 미끼는 떡밥(11)이고, 상기 마개에는 상기 몸체 내부의 상기 저장공간으로 길게 연장되는 심대(60)가 형성되어, 상기 심대에 상기 떡밥을 붙여 상기 저장공간으로 장기 집어용 미끼를 넣을 수 있는 구조이다. 떡밥은 낚시 미끼의 하나로 쌀겨에 콩가루나 번데기 가루, 새우 가루 따위를 섞어 반죽하여 조그마하게 뭉쳐서 만드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어떠한 재료를 섞더라도 반죽하여 뭉치는 형태의 낚시 미끼를 떡밥이라고 한다.
상기 심대에는 상기 떡밥이 잘 붙도록 하는 미끼 부착 수단(61)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미끼 부착 수단은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심대를 감싸는 스프링 형상(62)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형상의 미끼 부착 수단에 의하여 떡밥은 상기 심대에 쉽게 부착된다. 떡밥은 반죽 상태인데, 상기 심대의 상기 스프링 형상에 붙여짐으로써, 상기 심대를 상기 봉돌의 내부에 넣으면 자연스럽게 상기 떡밥도 상기 봉돌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낚시를 하는 사람은 어렵지 않게 유인용 미끼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그 분해결합도이다. 앞의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집어용 미끼로 떡밥을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마개와 상기 추가 마개는 상기 심대가 통과하는 결합공(5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길게 축을 형성하는 심대(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심대에 상기 떡밥을 붙여 상기 저장공간으로 상기 집어용 미끼를 넣을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그 결합에도 특징이 있는바, 상기 심대(60)에 떡밥을 붙이지 않고, 상기 심대(60)는 상기 결합공(55)을 통해 상기 마개와 상기 추가 마개를 결합하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심대에 의하여 상기 마개와 상기 추가 마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심대에는 상기 떡밥이 잘 붙도록 하는 미끼 부착 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미끼 부착 수단은 상기 심대를 감싸는 스프링 형상(62)일 수 있다. 이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마개와 상기 추가 마개는 상기 심대가 통과하는 결합공(5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축을 형성하는 심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심대의 끝단에는 심대 나사선(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대 나사선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심대의 끝단에 결합하면서 상기 마개 또는 추가 마개를 상기 몸체에 결합시키는 낚시용 도래(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낚시용 도래는 도래 몸통(67)의 상단에 내부 볼베어링(65)이 형성되어 고리부(66)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66)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수중 환경에 제한됨이 없이 낚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도래의 기능에 의하여 낚싯줄이 꼬이거나, 채비 간의 얽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리부(66)에는 낚싯줄이 결속되어 있고, 하단에는 낚시바늘(6)과 결합된 무게추와 루어 등이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상부 및 하부 고리부에 모두 낚시바늘(6)을 연결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을 낚시바늘을 연결할 수 있으며, 무게추나 루어 등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일 실시 예는 부유체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오뚜기와 같이 수중에서 위 아래로 서 있는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집어용 미끼가 아래 쪽에 남게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집어용 미끼의 향이 보다 더 잘 확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마개 또는 추가 마개에 추가로 마개통공(56)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 2개 내지 3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바위
2: 수초숲
3: 낚싯줄
5: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6: 낚시바늘
10: 접어용 미끼
11: 떡밥
20: 저장공간
30: 통공
40: 몸체
41: 개방부
50: 마개
51: 추가 마개
52: 마개 나사선
53: 나사선
54: 부유체
55: 결합공
56: 마개통공
60: 심대
61: 미끼 부착 수단
62: 스프링 형상
63: 심대 나사선
64: 낚시용 도래
65: 볼베어링
66: 고리부
67: 도래 몸통

Claims (16)

  1. 내부에 집어용 미끼(10)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20)이 형성되고,
    상기 집어용 미끼의 향이 빠져 나갈 수 있는 통공(30)이 형성된 몸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집어용 미끼를 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마개(50)에 의하여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2개가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개방부는 상기 마개와 추가 마개(51)로 닫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강제로 끼웠다가 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비중이 낮은 부유체(54)로 형성되어, 수중에서 상기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이 위 아래로 서 있는 상태를 유지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외부를 코팅한 스티로폼이거나, 합성수지로서 그 내부에 공기를 채워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이 낮은 부유체로 형성된 마개는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어용 미끼는 떡밥(11)이고,
    상기 마개에는 상기 몸체 내부의 상기 저장공간으로 길게 연장되는 심대(60)가 형성되어,
    상기 심대에 상기 떡밥을 붙여 상기 저장공간으로 장기 집어용 미끼를 넣을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심대에는 상기 떡밥이 잘 붙도록 하는 미끼 부착 수단(6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11. 제10 항에 잇어서,
    상기 미끼 부착 수단은 상기 심대를 감싸는 스프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와 상기 추가 마개는 상기 심대가 통과하는 결합공(5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길게 축을 형성하는 심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심대에 의하여 상기 마개와 상기 추가 마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어용 미끼는 떡밥이고,
    상기 심대는 상기 떡밥을 붙여 상기 저장공간으로 상기 집어용 미끼를 넣을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심대에는 상기 떡밥이 잘 붙도록 하는 미끼 부착 수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14. 제13 항에 잇어서,
    상기 미끼 부착 수단은 상기 심대를 감싸는 스프링 형상(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1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와 상기 추가 마개는 상기 심대가 통과하는 결합공(5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축을 형성하는 심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심대의 끝단에는 심대 나사선(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대 나사선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심대의 끝단에 결합하면서 상기 마개 또는 추가 마개를 상기 몸체에 결합시키는 낚시용 도래(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도래는 도래 몸통(67)의 상단에 내부 볼베어링(65)이 형성되어 고리부(66)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KR2020150000975U 2015-02-11 2015-02-11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KR201600028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975U KR20160002894U (ko) 2015-02-11 2015-02-11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975U KR20160002894U (ko) 2015-02-11 2015-02-11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94U true KR20160002894U (ko) 2016-08-19

Family

ID=5685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975U KR20160002894U (ko) 2015-02-11 2015-02-11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89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132A (ko) * 2019-02-26 2020-09-03 이기강 친환경 물고기 유인 낚시추
KR20210133332A (ko) 2020-04-28 2021-11-08 주식회사 해밀 발포집어제를 이용한 집어기
KR20220019125A (ko) * 2020-08-06 2022-02-16 이홍원 낚시 채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181A (ko) 2005-10-05 2005-10-27 이승화 미끼의 향이 함유된(집어의 효과가 있는) 커버봉돌
KR100938823B1 (ko) 2009-07-07 2010-01-26 송환석 낚시 집어용 봉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181A (ko) 2005-10-05 2005-10-27 이승화 미끼의 향이 함유된(집어의 효과가 있는) 커버봉돌
KR100938823B1 (ko) 2009-07-07 2010-01-26 송환석 낚시 집어용 봉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132A (ko) * 2019-02-26 2020-09-03 이기강 친환경 물고기 유인 낚시추
KR20210133332A (ko) 2020-04-28 2021-11-08 주식회사 해밀 발포집어제를 이용한 집어기
KR20220019125A (ko) * 2020-08-06 2022-02-16 이홍원 낚시 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378A (en) Fishing lure
US20120110890A1 (en) Bucket containing floating net for fishing
US20150075057A1 (en) Container for the delivery and distribution of the lure or food or pharmaceutical substance for fish or for the dissolution of the substance in the aquatic environment
US20090126256A1 (en) Modular fishing lure system
JP6639486B2 (ja) 疑似餌システム
US4827657A (en) Fishing equipment
KR20160002894U (ko)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KR100724702B1 (ko)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KR200485370Y1 (ko) 주꾸미 낚싯바늘 유닛
US20130283669A1 (en) Bobber for Hiding or Shielding a Hook
KR100751564B1 (ko) 삼본 낚시 편대 채비
US11582961B2 (en) Chum delivery device
KR200447474Y1 (ko) 인조미끼
CN109673594A (zh) 一种手动式弹性诱鱼钓组装置
US11477972B2 (en) Chum delivery device
KR200484050Y1 (ko) 낚시찌
KR200443771Y1 (ko) 바다 낚시용 낚시찌
US20180199552A1 (en) Hooked on fishing lure/spinner bait
CN205922565U (zh) 一种无饵自动提示爆炸钩
CN218789972U (zh) 一种带有隐藏鱼钩的仿生鱼饵
CN202603448U (zh) 自捕苍蝇装置
JP3142052U (ja) 擬似草使用釣具
KR20190103569A (ko) 루어 낚시용 일체형 스푼 루어
US20220394961A1 (en) Integrated hook harness and fishing lures incorpo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