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812A - 에기바늘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에기바늘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812A
KR20220091812A KR1020200182892A KR20200182892A KR20220091812A KR 20220091812 A KR20220091812 A KR 20220091812A KR 1020200182892 A KR1020200182892 A KR 1020200182892A KR 20200182892 A KR20200182892 A KR 20200182892A KR 20220091812 A KR20220091812 A KR 20220091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needle
egi
pipe casing
ro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희
Original Assignee
김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희 filed Critical 김정희
Priority to KR102020018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1812A/ko
Publication of KR2022009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기바늘 교정장치는: 원통형의 긴 외관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된 파이프 케이싱;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에기바늘의 삽입 가압에 의해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시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양단 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반대편으로 관통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로드 부재;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양단 개구 중 일측에서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케이싱과 상기 로드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에기바늘의 삽입 가압을 안내하는 제1 소켓;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양단 개구 중 타측에서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케이싱과 상기 로드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소켓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소켓으로 삽입 가압되는 에기바늘보다 작은 크기의 에기바늘의 삽입 가압을 안내하도록 구비된 제2 소켓; 및,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소켓과 상기 제2 소켓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로드 부재의 외면을 감싸게 상기 로드 부재로 끼워져 상기 제1 소켓 또는 상기 제2 소켓으로 에기바늘의 삽입시 압축되었다가 인출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로드 부재가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 복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주로 오징어, 낙지, 문어 등의 낚시에 사용되는 두족류 낚시용 루어 미끼인 에기의 바늘이 사용중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되어 손상되었을 때에 이를 간편하게 삽입 및 인출하여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게 할 수 있고, 한 가지 종류의 크기뿐만 아니라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에기 바늘도 양단부로 각각 손쉽게 삽입 및 인출하여 편리하게 바늘 교정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로드 부재의 탄성 복원을 위한 스프링 부재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로 숨겨지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두족류 낚싯줄로 사용되는 합사를 외측으로 감아 잡아당기며 라인 브레이커로서의 기능도 겸비하도록 하여 합사를 손으로 직접 잡아 당길시 발생되는 부상의 위험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는 에기바늘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기바늘 교정장치 {egi needle straightener}
본 발명은 에기바늘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오징어, 낙지, 문어 등의 낚시에 사용되는 두족류 낚시용 루어(lure) 미끼인 에기의 바늘이 사용중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되어 손상되었을 때에 이를 간편하게 삽입 및 인출하여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게 할 수 있고, 한 가지 종류의 크기뿐만 아니라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에기 바늘도 양단부로 각각 손쉽게 삽입 및 인출하여 편리하게 바늘 교정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로드 부재의 탄성 복원을 위한 스프링 부재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로 숨겨지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두족류 낚싯줄로 사용되는 합사를 외측으로 감아 잡아당기며 라인 브레이커(line breaker)로서의 기능도 겸비하도록 하여 합사를 손으로 직접 잡아 당길시 발생되는 부상의 위험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는 에기바늘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낚시대와 낚시바늘 등과 같이 낚시에 직접 필요한 채비와 함께 이들 채비의 사용성과 기능성 등을 더욱 편리하게 하면서 관리, 유지하기 위한 목적과 용도 등으로 다양한 기능성의 도구, 공구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주로 오징어, 낙지, 문어 등의 낚시에 사용되는 두족류 낚시용 바늘은 새우나 작은 물고기 등의 형상으로 된 몸체인 에기의 꼬리 부분에 다수의 바늘로 이루어진 바늘체가 상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두족류 낚시바늘은 다수의 바늘들로 이루어진 바늘체가 대상 어류(오징어, 낙지, 문어 등)를 낚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에기 바늘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85442호(2018년01월03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에기 바늘은 바늘체를 구성하는 바늘의 일부가 사용에 의해 제 각도와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벌어지거나 휘어지는 등의 제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다음 사용시에는 그 기능성이 저하되어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기존에는 이러한 바늘체의 바늘을 제 위치에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마련되지 못하여 사용자가 단순히 칼 등의 일반적인 도구를 사용하게 되므로 쉽게 다치게 되는 등 작업성이 매우 불편해질 뿐 아니라 바늘 간의 간격도 좁아 제대로 사용하기가 곤란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오징어, 낙지, 문어 등과 같은 두족류의 낚시에는 낚싯줄로서 합사를 사용하게 되는데 대상 어류가 에기 바늘에 걸려 낚일 때에는 질긴 합사를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잡아당겨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손이 쉽게 베이게 되는 등 부상의 위험도 커지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85442호(2018년01월03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오징어, 낙지, 문어 등의 낚시에 사용되는 두족류 낚시용 루어(lure) 미끼인 에기의 바늘이 사용중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되어 손상되었을 때에 이를 간편하게 삽입 및 인출하여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게 할 수 있고, 한 가지 종류의 크기뿐만 아니라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에기 바늘도 양단부로 각각 손쉽게 삽입 및 인출하여 편리하게 바늘 교정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로드 부재의 탄성 복원을 위한 스프링 부재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로 숨겨지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두족류 낚싯줄로 사용되는 합사를 외측으로 감아 잡아당기며 라인 브레이커(line breaker)로서의 기능도 겸비하도록 하여 합사를 손으로 직접 잡아 당길시 발생되는 부상의 위험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는 에기바늘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기바늘 교정장치는: 원통형의 긴 외관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된 파이프 케이싱;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에기바늘의 삽입 가압에 의해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시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양단 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반대편으로 관통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로드 부재;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양단 개구 중 일측에서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케이싱과 상기 로드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에기바늘의 삽입 가압을 안내하는 제1 소켓;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양단 개구 중 타측에서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케이싱과 상기 로드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소켓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소켓으로 삽입 가압되는 에기바늘보다 작은 크기의 에기바늘의 삽입 가압을 안내하도록 구비된 제2 소켓; 및,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소켓과 상기 제2 소켓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로드 부재의 외면을 감싸게 상기 로드 부재로 끼워져 상기 제1 소켓 또는 상기 제2 소켓으로 에기바늘의 삽입시 압축되었다가 인출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로드 부재가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 복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복원 어셈블리는, 상기 로드 부재의 중간 위치에 구비된 스냅 링과, 상기 스냅 링 및 상기 제2 소켓의 사이에 구비되어 에기바늘의 상기 제1 소켓으로의 삽입시 에기바늘이 상기 로드 부재를 가압할 때에 압축되며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스냅 링 및 상기 제1 소켓의 사이에 구비되어 작은 크기의 에기바늘의 상기 제2 소켓으로의 삽입시 상기 로드 부재가 가압 될 때에 압축되며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케이싱의 외주면은 열 수축 튜브로 밀착 감싸지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로 오징어, 낙지, 문어 등의 낚시에 사용되는 두족류 낚시용 루어 미끼인 에기의 바늘이 사용중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되어 손상되었을 때에 이를 간편하게 삽입 및 인출하여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게 할 수 있고, 한 가지 종류의 크기뿐만 아니라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에기 바늘도 양단부로 각각 손쉽게 삽입 및 인출하여 편리하게 바늘 교정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로드 부재의 탄성 복원을 위한 스프링 부재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로 숨겨지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두족류 낚싯줄로 사용되는 합사를 외측으로 감아 잡아당기며 라인 브레이커로서의 기능도 겸비하도록 하여 합사를 손으로 직접 잡아 당길시 발생되는 부상의 위험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는 에기바늘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기바늘 교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에기바늘 교정장치의 제1 소켓으로 대형 사이즈의 에기바늘이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에기바늘 교정장치의 제1 소켓으로 대형 사이즈의 에기바늘이 삽입되어 교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기바늘 교정장치에 의해 교정되기 전 손상된 상태의 에기 바늘과 본 발명에 따른 에기바늘 교정장치에 의해 교정된 상태의 에기 바늘을 각각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기바늘 교정장치의 외주면에 낚싯줄이 감겨져 라인 브레이커로 사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기바늘 교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긴 외관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된 파이프 케이싱(110)과,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에기 바늘(10)의 삽입 가압에 의해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시 파이프 케이싱(110)의 양단 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반대편으로 관통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로드 부재(120)와, 제1 소켓(130)과, 제2 소켓(140)과, 탄성 복원 어셈블리(150)를 포함한다.
파이프 케이싱(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기바늘 교정장치(100)의 경량화와 녹 방지를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마련되며, 양단 개구에서 내측으로 일정 부분은 제1 소켓(130) 및 제2 소켓(140)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 되게 내주면 중 다른 부분보다 약간 확장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로드 부재(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케이싱(110)과 함께 에기바늘 교정장치(100)의 경량화와 녹 방지를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마련되며, 양단부는 제1 소켓(130) 또는 제2 소켓(140)으로 삽입되어 교정되는 에기 바늘(10)이 삽입되어 교정되는 과정 중에 마모 손상이 발생 되지 않도록 둘레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chamfering) 또는 라운드 가공(rounding)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부재(120)는 동일 축선 상 파이프 케이싱(110)의 좌우 양단부로 각각 삽입되는 상이한 크기의 에기 바늘(10)의 가압에 의해 그 반대편으로 각각 파이프 케이싱(110)으로부터 돌출 및 노출되게 구비되어 삽입된 에기 바늘(10)이 만에 하나라도 제1 소켓(130) 또는 제2 소켓(140)의 내측에 끼워져 잘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경우라도 그 반대편으로 돌출 및 노출된 로드 부재(120)의 단부를 밀어 넣어 에기 바늘(10)의 탈거가 손쉽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소켓(1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케이싱(110)의 양단 개구 중 일측에서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파이프 케이싱(110)과 로드 부재(120)의 사이에 구비되며, 비교적 대형 에기바늘(10)(예컨대, 외경 14 mm 이상)의 삽입 가압을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제2 소켓(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케이싱(110)의 양단 개구 중 타측에서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파이프 케이싱(110)과 로드 부재(120)의 사이에 구비되며, 제1 소켓(13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소켓(130)으로 삽입 가압되는 에기 바늘(10)보다 작은 크기의 소형 에기 바늘(10)의 삽입 가압을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각각 상이한 크기의 에기 바늘을 교정하기 위하여 각각 상이한 바늘 교정기들을 휴대할 필요없이 하나의 몸체에 두 가지 종류의 크기를 갖는 에기 바늘을 좌우에서 각각 교정하는 구조로 에기바늘 교정장치(100)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사용과 휴대가 간편해지도록 할 수 있고, 하나의 로드 부재(120)로 대형과 소형의 에기 바늘(10)을 쉽게 인출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기 바늘(10)의 교정시 불필요한 부상을 방지하며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켓(130)과 제2 소켓(140)의 내주면은 각각 삽입되는 에기 바늘(10)의 크기에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진 면을 갖도록 테이퍼 가공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소켓(130) 또는 제2 소켓(140)으로 각각 끼워져 교정되는 에기 바늘(10)의 진입이 부드럽게 원활해지도록 안내할 수 있고, 에기 바늘(10)이 삽입되는 과정 중에도 에기 바늘(10)이 점차 오므라지며 교정도 함께 진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에기 바늘(10)의 인출시에도 에기 바늘(10)이 제1 소켓(130) 또는 제2 소켓(140)의 내주면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인출되도록 하여 에기 바늘(10)의 마모 손상도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1 소켓(130) 및 제2 소켓(140)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에기 바늘(10)과 직접 접촉에 의해 마모가 제일 쉽게 발생 될 수 있는 제1 소켓(130) 및 제2 소켓(140)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녹 방지와 함께 마모 손상이 방지되어 에기바늘 교정장치(100)의 내구성이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 복원 어셈블리(1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제1 소켓(130)과 제2 소켓(140)의 사이에 구비되어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로드 부재(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로드 부재(120)의 외면을 감싸게 로드 부재(120)로 끼워져 제1 소켓(130) 또는 제2 소켓(140)으로 에기바늘(10)의 삽입시 압축되었다가 인출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로드 부재(120)가 복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오징어, 낙지, 문어 등의 낚시에 사용되는 두족류 낚시용 루어 미끼인 에기의 바늘(10)이 사용중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되어 손상되었을 때에 이를 간편하게 삽입 및 인출하여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게 할 수 있고, 한 가지 종류의 크기뿐만 아니라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에기 바늘(10)도 양단부로 각각 손쉽게 삽입 및 인출하여 편리하게 바늘 교정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에기바늘 교정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에기바늘 교정장치(100)에 의해 교정되기 전 손상된 상태의 에기 바늘(1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에기바늘 교정장치(100)에 의해 교정된 상태의 에기 바늘(10)을 도시한 도면이다.
탄성 복원 어셈블리(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부재(120)의 중간 위치에 구비된 스냅 링(151)과, 스냅 링(151) 및 제2 소켓(140)의 사이에 구비되어 대형 에기 바늘(10)의 제1 소켓(130)으로의 삽입시 에기 바늘(10)이 로드 부재(120)를 가압할 때에 압축되며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1 스프링(153)과, 스냅 링(151) 및 제1 소켓(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작은 크기의 소형 에기 바늘의 제2 소켓(140)으로의 삽입시 로드 부재(120)가 가압 될 때에 압축되며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2 스프링(155)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로드 부재(120)의 변위를 좌우에서 탄성 복원하는 제1 스프링(153)과 제2 스프링(155)이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좌우에 각각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에기 바늘(10)의 인출시 보다 적은 힘으로도 쉽게 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로드 부재(120)의 탄성 복원을 위한 스프링 부재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부로 숨겨지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기바늘 교정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냅 링(15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부재(120)의 중간 위치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제1 스프링(153)과 제2 스프링(155)을 분할 구획하며, 로드 부재(120)의 좌우 이동에 따라서 함께 좌우로 이동되어 제1 스프링(153) 및 제2 스프링(155)의 압착시 이들의 밀림 압축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냅 링(151)은 녹 방지를 위하여 도금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켓(130)과 제2 스프링(155)의 사이, 그리고 제2 소켓(140)과 제1 스프링(153)의 사이에는 제1 소켓(130)의 배면과 제2 소켓(140)의 배면에 각각 고정되게 스토퍼(16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소켓(130)으로 대형의 에기 바늘(10)이 삽입 가압시에는 스냅 링(151)이 제1 스프링(153)을 가압 압착하며 제2 소켓(140)의 배면에 고정 설치된 스토퍼(160)에 의해 제1 스프링(153)이 더 이상 뒤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 되게 할 수 있으며, 제2 소켓(140)으로 소형의 에기 바늘이 삽입 가압시에는 스냅 링(151)이 제2 스프링(155)을 가압 압착하며 제1 소켓(130)의 배면에 고정 설치된 스토퍼(160)에 의해 제2 스프링(155)이 더 이상 뒤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 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60)는, 에기바늘 교정장치(100)의 경량화와 녹 방지를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마련되며, 중심부로는 로드 부재(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환형(環形)의 고리 형태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로드 부재(120)의 파이프 케이싱(110) 내부에서의 좌우 이동시 스토퍼(160)가 베어링의 역할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로드 부재(120)의 좌우 이동이 원활히 이뤄지게 스토퍼(160)에 의해 로드 부재(120)의 이동이 안내되며 안정되게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60)는 제1 소켓(130) 및 제2 소켓(140)의 배면에 각각 제1 소켓(130) 및 제2 소켓(14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가공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별도로 제작 및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케이싱(110)의 외주면은 열 수축 튜브(111)로 밀착 감싸지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열 수축 튜브(111)는 가열시 수축되는 재질로서 제작시 파이프 케이싱(110)의 외주면에 감싸진 상태에서 가열되면 파이프 케이싱(110)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탄성과 질긴 인성을 함께 갖는다.
이에 따라, 열 수축 튜브(111)가 파이프 케이싱(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두족류 낚싯줄로 사용되는 합사(20)를 외측으로 감아 잡아당길 때에 합사(20)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라인 브레이커로서의 기능도 겸비하도록 하여 합사(20)를 손으로 직접 잡아 당길시 발생 되는 부상의 위험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는 에기바늘 교정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에기바늘 교정장치 110 : 파이프 케이싱
111 : 열 수축 튜브 120 : 로드 부재
130 : 제1 소켓 140 : 제2 소켓
150 : 탄성 복원 어셈블리 151 : 스냅 링
153 : 제1 스프링 155 : 제2 스프링
160 : 스토퍼 170 : 히팅 커터

Claims (3)

  1. 원통형의 긴 외관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된 파이프 케이싱(110);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에기바늘(10)의 삽입 가압에 의해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시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의 양단 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반대편으로 관통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로드 부재(120);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의 양단 개구 중 일측에서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과 상기 로드 부재(120)의 사이에 구비되며, 에기바늘(10)의 삽입 가압을 안내하는 제1 소켓(130);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의 양단 개구 중 타측에서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과 상기 로드 부재(12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소켓(13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소켓(130)으로 삽입 가압되는 에기바늘(10)보다 작은 크기의 에기바늘의 삽입 가압을 안내하도록 구비된 제2 소켓(140); 및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소켓(130)과 상기 제2 소켓(1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 부재(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로드 부재(120)의 외면을 감싸게 상기 로드 부재(120)로 끼워져 상기 제1 소켓(130) 또는 상기 제2 소켓(140)으로 에기바늘(10)의 삽입시 압축되었다가 인출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로드 부재(120)가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 복원 어셈블리(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기바늘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 어셈블리(150)는,
    상기 로드 부재(120)의 중간 위치에 구비된 스냅 링(151)과,
    상기 스냅 링(151) 및 상기 제2 소켓(1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에기바늘(10)의 상기 제1 소켓(130)으로의 삽입시 에기바늘(10)이 상기 로드 부재(120)를 가압할 때에 압축되며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1 스프링(153)과,
    상기 스냅 링(151) 및 상기 제1 소켓(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작은 크기의 에기바늘의 상기 제2 소켓(140)으로의 삽입시 상기 로드 부재(120)가 가압 될 때에 압축되며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2 스프링(1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기바늘 교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케이싱(110)의 외주면은 열 수축 튜브(111)로 밀착 감싸지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기바늘 교정장치.
KR1020200182892A 2020-12-24 2020-12-24 에기바늘 교정장치 KR20220091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892A KR20220091812A (ko) 2020-12-24 2020-12-24 에기바늘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892A KR20220091812A (ko) 2020-12-24 2020-12-24 에기바늘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812A true KR20220091812A (ko) 2022-07-01

Family

ID=8239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892A KR20220091812A (ko) 2020-12-24 2020-12-24 에기바늘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18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42Y1 (ko) 2016-11-14 2018-02-21 김봉진 문어 낚싯바늘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42Y1 (ko) 2016-11-14 2018-02-21 김봉진 문어 낚싯바늘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7065B2 (en) Needle-shield remover
US20200046910A1 (en) Needle shield remover
US20070156093A1 (en) Short catheter
CN208541346U (zh) 一种神经拉钩
JP2021501655A (ja) 針遮蔽体除去器及び針遮蔽体除去器を備える薬剤送達デバイス
US2021008552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the external auditory canal
KR20220091812A (ko) 에기바늘 교정장치
WO2000056384A1 (en) An adjustable needle assembly
JP533713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用リールシート
US3034798A (en) Fishing rod handles
JP6928378B2 (ja) 釣針外し器
KR20160117189A (ko) 릴 다리 고정 장치
CN102124958B (zh) 家禽捕捉器
KR200494331Y1 (ko) 에기루어 바늘 교정기
KR102304073B1 (ko) 에기용 갈고리바늘 교정기
KR20030030915A (ko) 릴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낚싯대
JP4327543B2 (ja) 釣竿
JP3209937U (ja) 釣針外し具
CN110975110A (zh) 导丝及其制作方法
CN211633194U (zh) 一种胶囊胃镜取出装置
JP2019086085A (ja) ホースクランプ
JP4744378B2 (ja) 瘻孔カテーテル用抜去補助具
KR200493509Y1 (ko) 낚시 바늘 교정장치
KR20170061617A (ko) 낚싯대
KR20180002350U (ko) 헤어로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