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332B1 -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 Google Patents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332B1
KR101480332B1 KR20130003781A KR20130003781A KR101480332B1 KR 101480332 B1 KR101480332 B1 KR 101480332B1 KR 20130003781 A KR20130003781 A KR 20130003781A KR 20130003781 A KR20130003781 A KR 20130003781A KR 101480332 B1 KR101480332 B1 KR 101480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silver
scale
scales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838A (ko
Inventor
전일수
정대헌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0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332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ornaments creating visual effects, e.g. colors, 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97Lure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시용 유인구는 은갈치 비늘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은갈치 비늘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낚시용 유인구는 은갈치 비늘이 손실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데 은갈치 비늘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구비된 것이어서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유인구가 표출하는 광채가 생동감 있게 표현되므로 호빛성어류에게 살아 있는 먹잇감으로 인식시켜 어획량을 증가시키는 특징이 있다.
은갈치 비늘이 코팅법을 통해 일체화된 것이되 은갈치 비늘과 함께 바인더로서 실란커플링제인 MPTMS(methacryloxyprpyl trimethoxysilane)나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가 첨가된 코팅물을 사용하여 코팅한 것일 경우 견고한 코팅층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골격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은갈치 비늘이 코팅된 것일 경우 내구성이 더욱 우수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The decoying pitch for fishing having Cutlassfish scale and decoying needle assembly in which that is applied}
본 발명은 오징어 낚시용 채비에서 낚시바늘의 위쪽에 위치되어 오징어를 유인하는데 사용되는 유인구에 관한 것이다.
오징어나 갈치는 빛을 좋아하는 '호빛성어류'로서 빛에 반응하여 모여드는 습성이 있어 오징어나 갈치를 갖는 어업에는 빛을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선박에 많은 양의 램프(집어등)를 설치해 놓고 야간에 빛을 발산시켜 선박 주변에 모여든 오징어나 갈치를 잡고 있다.
오징어 잡이의 경우 채낚시 어업(채낚기 어업이라고 하기도 함)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채낚시 어업은 낚시바늘을 바다 속에 투입시켜 놓고 낚싯줄을 감아올리거나 걷어올려서 낚시바늘 주변에 있던 오징어 등의 호빛성어류가 낚시바늘에 끼어서 낚이도록 하는 낚시법을 의미한다.
채낚시용 채비는 낚싯줄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되어 있는 유인구바늘조립체를 갖는 형태이다.
또, 각각의 유인구바늘조립체는 일반적으로 다수 개의 바늘이 원주를 그리며 배열된 낚시바늘설치부를 갖고, 낚시바늘설치부의 상부에 타원형의 유인구가 위치되어 있으며, 낚시바늘설치부와 타원형의 유인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타원형의 유인구는 유인구바늘조립체가 전체적으로 호빛성어류의 먹이에 해당하는 작은 물고기로 인식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1997-007462호에는 오징어 낚시용 채비의 구조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유인구를 통해 오징어를 유인하는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루어낙시용 미끼에는 물고기의 비늘과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한 장식부 등이 구비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루어낚시용 미끼에서와 같은 방식은 호빛성어류를 대상으로 하는 유인구바늘조립체용의 유인구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 그러한 방식을 적용할 경우 어획량의 증가 효과가 발생되지 않고 오히려 어획량의 감소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1997-0074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빛성 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어획량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호빛성어류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코팅법이나 함침법을 통해 유인구의 표면에 은갈치 비늘이 위치되어 있도록 하여 유인구가 생동감 있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호빛성어류가 유인구 주변으로 모여드는 효과가 우수하고, 이로 인해 어획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또, 타원형의 유인구를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한다.
코팅법을 통해 유인구의 표면에 은갈치비늘을 코팅하는 경우 바인더로서 실란커플링제인 MPTMS(methacryloxyprpyl trimethoxysilane),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을 첨가할 경우 견고한 코팅이 이루어지고 표면경도가 우수하도록 하였다.
또, 유인구에 형성된 중공으로 바닷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타원형의 유인구 양쪽 끝단부를 차단하여 중공을 밀폐시킴으로써 빛을 발산하는 효과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인구는, 은갈치 비늘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은갈치 비늘이 일체화되어 있는 형태이다.
은갈치 비늘은 유인구의 성형재료와 혼합되어 성형됨으로써 일체화되거나 코팅법을 통해 일체화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시용 유인구는 은갈치 비늘이 손실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데 은갈치 비늘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구비된 것이어서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유인구가 표출하는 광채가 생동감 있게 표현되므로 호빛성어류에게 살아 있는 먹잇감으로 인식시켜 어획량을 증가시키는 특징이 있다.
은갈치 비늘이 코팅법을 통해 일체화된 것이되 은갈치 비늘과 함께 바인더로서 실란커플링제인 MPTMS(methacryloxyprpyl trimethoxysilane)나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가 첨가된 코팅물을 사용하여 코팅한 것일 경우 견고한 코팅층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골격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은갈치 비늘이 코팅된 것일 경우 내구성이 더욱 우수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럭비공과 같은 타원형을 이루고 있고 표면 코팅방법을 통해 은갈치 비늘을 포함시킨 유인구의 개략도
B : 럭비공과 같은 타원형을 이루고 있고 성형재료와 은갈치 비늘을 혼합하여 성형된 유인구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인구가 사용된 오징어 낚시용 유인구바늘조립체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징어 낚시용 유인구바늘조립체의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인구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되 상부의 유인구는 타원형의 구 형태이고, 하부의 유인구는 정원형의 구 형태인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오징어 낚시용 유인구바늘조립체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호빛성 어류 예를 들면 오징어를 대상으로 한 채낚시 어업용 유인구바늘조립체 등에 사용되는 유인구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호빛성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어획량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호빛성어류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호빛성어류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유인구가 생동감있게 표현되면 어획량이 증가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루어낚시용 미끼 등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는 채낚시 어업용 유인구에 생동감을 부여하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생동감을 부여하더라도 역효과가 발생되는 빈도가 빈번하였다.
그 원인은 호빛성어류를 대상으로 하는 어업활동에서는 주로 채낚시 방법이 사용되고, 채낚시 방법은 줄을 늘어뜨린 상태에서 선박 방향으로 끌어올리는 형태이기 때문에 종래 루어낚시에서와 같은 미끼방식으로는 생동감을 부여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었다.
또, 호빛성어류를 대상하는 하는 어업활동에서 강한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너무 강한 반짝임은 호빛성어류가 미끼를 먹잇감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경계심을 갖게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본 출원의 발명자는 호빛성어류를 대상으로 하는 어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유인구는 은은한 빛을 발산하고, 유인구 자체가 큰 움직임이 없더라도 생동감이 부여될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결론에 근거한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통해 은갈치(은색의 번쩍이는 비늘을 가지고 있는 갈치)의 비늘을 포함시키되 외부에서 은갈치 비늘이 보이도록 포함시킴으로써 생동감을 부여한 유인구(20)를 안출하였다.
즉, 은갈치 비늘은 친수성이기 때문에 물속에서도 그 색상이 원활하게 표출되는 특징이 있다.
또, 움직임이 없어도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명함의 차이 등으로 인한 생동감과 빛의 반사 정도가 다르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호빛성어류에게 먹잇감으로 인식되는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은갈치의 비늘은 인과 철분 및 칼슘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번쩍이는 광채를 가지므로 호빛성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매우 향상되는 것이다.
이러한 은갈치 비늘을 유인구(20)에 구비함에 있어 손실되지 않도록 일체화되게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한 일체화방법으로는 유인구(20)의 성형재료와 은갈치 비늘을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써 유인구(20)가 은갈치 비늘을 갖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코팅법을 통해 은갈치 비늘을 일체화되게 구비하는 방법이 있다.
즉, 은갈치 비늘을 코팅액에 포함시키고 이 코팅액이 유인구(20)의 골격(성형된 것) 등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은갈치 비늘이 코팅된 유인구(20)를 얻는 것이다.(유인구(20)의 골격을 코팅액에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침지 과정을 여러 번 거치도록 하는 것이 좋음)
은갈치 비늘을 성형재료와 혼합하는 방식은 많은 양의 은갈치 비늘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코팅방법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은갈치 비늘을 사용하면서도 많은 양의 은갈치 비늘이 구비된 것과 같은 상태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코팅법을 통해 은갈치 비늘을 일체화함에 있어서는 코팅액 자체의 접착력이 우수하도록 하면서도 은갈치 비늘의 특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은갈치 비늘과 함께 바인더로서 실란커플링제인 MPTMS(methacryloxyprpyl trimethoxysilane)나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가 첨가된 코팅액을 만들고 이 코팅액을 골격을 형성하는 물체에 코팅하는 방법을 안출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사용해서 유인구(20) 형상으로 성형한 골격형성체를 상기 코팅액에 침지시켜 코팅 후 건조하는 공정을 3회 실시한 결과 코팅액의 부착력을 5B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경도는 3H가 되도록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부착력과 경도는 유인구(20)의 사용환경 및 보관환경 등을 고려할 때 에 매우 적합한 수치이다.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해서 유인구(20)의 골격을 형성하고 그 위에 코팅을 하는 이유는 폴리카보네이트가 광투과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내구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종래의 유인구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구현할 경우 코팅액의 접착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은갈치 비늘은 싱싱한 은갈치에서 채취하는 것이 좋다.
은갈치 비늘은 칼과 같은 도구로 은갈치의 표면(비늘이 있는 부분)을 긁어서 채취할 수 있으며, 채취된 것을 말려서 보관할 수 있다.
채취된 은갈치 비늘은 가루 형태로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유인구(20)는 타원형을 이루고 전, 후, 좌, 우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은갈치 비늘이 보이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형태는 유인구(20)가 구형인 경우보다 은갈치 비늘을 통한 생동감이 더 잘 표현되기 때문이다.
다만, 도 5와 같이 한 개의 유인구바늘조립체에 상, 하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유인구(20)가 위치되는 경우 어느 한 개는 타원형의 유인구(위쪽에 위치된 것)가 되고, 다른 하나는 구형의 유인구(아래 쪽에 위치된 것)가 되도록 함으로써 호빛성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더 우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인구(20)에 있어서, 갑오징어 뼈를 분쇄한 가루가 포함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인구(20)에 탄성이 부여되어 손상이 적고, 오징어 냄새를 유발하여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오징어를 어업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갑오징어 뼈 가루를 코팅액에 포함시켜 코팅하는 방법과 유인구(20)의 성형을 위한 재료와 혼합하여 성형하여 갑오징어 뼈 가루를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인구를 사용하여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오징어 낚시용 유인구(20)와 낚시바늘(11)이 구비된 유인구바늘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0은 낚시바늘설치부이다.
또, 21은 중공, 30은 간격유지구, 40은 패킹이다.
또, 50은 연결구, 51, 52는 고리, 53은 연결부이다.
10. 낚시바늘설치부
11. 낚시바늘
20. 유인구
21. 중공
30. 간격유지구
40. 패킹
50. 연결구
51, 52. 고리
53. 연결부

Claims (6)

  1. 호빛성어류를 대상으로 하는 낚시용 유인구에 있어서,
    은갈치 비늘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은갈치 비늘이 일체화되며,
    상기 은갈치 비늘은 코팅법을 통해 일체화된 것이되, 은갈치 비늘과 함께 바인더로서 실란커플링제인 MPTMS(methacryloxyprpyl trimethoxysilane)나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가 첨가된 코팅물을 사용하여 코팅한,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유인구의 골격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은갈치 비늘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5. 제 1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갑오징어 뼈 가루가 더 포함되어 있는,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6. 제 1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오징어 낚시용 유인구(20)와 낚시바늘(11)이 구비된,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를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KR20130003781A 2013-01-14 2013-01-14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KR101480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3781A KR101480332B1 (ko) 2013-01-14 2013-01-14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3781A KR101480332B1 (ko) 2013-01-14 2013-01-14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38A KR20140091838A (ko) 2014-07-23
KR101480332B1 true KR101480332B1 (ko) 2015-01-08

Family

ID=5173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3781A KR101480332B1 (ko) 2013-01-14 2013-01-14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9729A4 (en) * 2014-09-05 2018-04-18 Nippon Soda Co., Ltd. Fishhoo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237B1 (ko) 1999-12-23 2002-09-16 박현규 오징어 낚시바늘
JP2005210918A (ja) 2004-01-27 2005-08-11 Shimano Inc ルアー
KR200401908Y1 (ko) 2005-09-14 2005-11-22 김선삼 낚시용 스푼루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237B1 (ko) 1999-12-23 2002-09-16 박현규 오징어 낚시바늘
JP2005210918A (ja) 2004-01-27 2005-08-11 Shimano Inc ルアー
KR200401908Y1 (ko) 2005-09-14 2005-11-22 김선삼 낚시용 스푼루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38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2380A1 (en) Fishing lure
US7263798B2 (en) Removable head for a fishing lure
US7322151B2 (en) Fishing lure having stabilizing wings along each side of the lure body
US9504237B2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CN202145801U (zh) 一种背钩式软体假饵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US4214396A (en) Fishing lures
US20100229454A1 (en) Rattling weight for fishing baits
US20100229453A1 (en) Jig head with a rattle
US20030159328A1 (en) Plastic worm shroud
KR200484089Y1 (ko) 루어 낚시용 인조 미끼
US20110296738A1 (en) Fishing lure
KR20180001065U (ko) 갈치 낚시채비
KR20180002179U (ko)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KR101480332B1 (ko)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US20160270379A1 (en) Fishing Hook with Moveably Attached Jighead
JP2016514478A (ja) 釣り用ルアー
US9332746B2 (en) Fishing line wobble device
US20170303519A1 (en) Fishing lures
KR101480298B1 (ko) 갑오징어의 뼈가 함유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US3280497A (en) Fishing lure
KR200401908Y1 (ko) 낚시용 스푼루어
KR101885237B1 (ko) 낚시용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US20180199552A1 (en) Hooked on fishing lure/spinner bait
CN210841239U (zh) 一种鸭子结构的鱼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