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237B1 - 오징어 낚시바늘 - Google Patents

오징어 낚시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237B1
KR100353237B1 KR1019990061192A KR19990061192A KR100353237B1 KR 100353237 B1 KR100353237 B1 KR 100353237B1 KR 1019990061192 A KR1019990061192 A KR 1019990061192A KR 19990061192 A KR19990061192 A KR 19990061192A KR 100353237 B1 KR100353237 B1 KR 100353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ractant
needle
squid
fishing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784A (ko
Inventor
박현규
Original Assignee
박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규 filed Critical 박현규
Priority to KR101999006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237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97Lure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징어를 유인하는 유인체를 도자기 재질로 구성한 오징어 낚시바늘에 관한 것으로, 상,하 2단으로 조립되는 묶음바늘과, 형광안료가 혼합된 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유선형으로 사출성형되는 유인체와, 상기 묶음바늘과 유인체를 결속시키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의 상,하단에 연결되어 묶음고리와 유인체를 결속시킴과 동시 낚시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부 연결링으로 조립되는 오징어 낚시바늘에 있어서, 상기 유인체는 중량물이고 매끄러운 유선형의 표면을 갖는 도자기로 제조되며, 또한 상기 도자기 유인체의 표면에 형광도료가 혼합된 유색의 유약을 도포하여 형광유약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오징어 낚시바늘{Fishhook for cuttle fish}
본 발명은 오징어를 유인하는 유인체를 도자기 재질로 구성한 오징어 낚시바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모든 오징어 낚시바늘은 다수개의 바늘이 한묶음으로 체결되어 상,하 2단으로 조립되는 묶음바늘과, 형광안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사출성형되는 플라스틱 유인체와, 상기한 묶음바늘과 플라스틱 유인체를 결속시키기위한 연결고리 그리고 상기 연결고리의 상,하단에 결속되어 묶음고리와 플라스틱 유인체를 결속시킴과 낚시줄이 연결되는 상,하부 연결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오징어 낚시바늘은 낚시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씩 연결되어 권취드럼에 감긴 상태에서 조상기를 이용하여 풀어주고 감아주는 작업으로 오징어를 잡아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징어 낚시바늘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오징어 낚시바늘을 권취드럼에 감아줄 때 묶음바늘이 플라스틱 유인체에 접촉할 때 플라스틱 유인체가 묶음바늘의 뾰족한 바늘 끝부분에 찍히게 되어 긁힌 자국이 많은 발생됨과 동시 광택이 약해져 오징어의 유인효과가 떨어질 뿐 아니라 묶음바늘들이 플라스틱 유인체를 찍거나 긁을 때 뾰족한 끝부분이 구부러지거나 무디어지게 되어 오징어의 포획효과가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또한 상기와 같이 오징어 낚시바늘의 끝부분은 쉽게 구부러지고 무디어지게 되므로 사용수명이 매우 짧아 낚시줄을 자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인력의 낭비와 함께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다주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종래의 오징어 낚시바늘은 유인체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것이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워 낚시줄을 바다물속에 늘어드려 놓았을시 파도 또는 조류에 의해 많이 흔들리게 되어 옆에 있는 낚시줄과 서로 엉키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며, 이렇게 낚시줄끼리 엉키게 될 경우에는 오징어를 잡을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권취드럼으로 감아줄 수도 없게 되어 통상 낚시줄이 엉키게 되면 그 자리에서 낚시줄을 끊어버리고 새로운 낚시줄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낚시줄이 엉킬 때마다 낚시줄을 끊어내기 때문에 바다 밑에는 버려진 수많은오징어 낚시줄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바다에 버려진 낚시줄에 매어져 있는 플라스틱 유인체는 썩지도 않기 때문에 어장을 황폐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징어 낚시바늘에서 유인체를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므로서 나타나게 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오징어 낚시바늘의 유인체가 낚시바늘에 찍히지 않게 함과 동시 낚시바늘을 무디게 하지 않게 할 뿐 아니라 파도나 조류에 의해서도 흔들리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하는 재질로서 매끄럽고 무게가 무거운 도자기로 만들어진 유인체로 낚시바늘을 조립하도록 하므로서 낚시바늘의 끝부분을 무디게 하지 않게 하여 오징어가 잘 잡히도록 하며 사용수명이 길고 낚시줄들이 서로 엉키지 않게 하며 나아가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는 오징어 낚시바늘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하 2단으로 조립되는 묶음바늘과, 형광안료가 혼합된 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유선형으로 사출성형되는 유인체와, 상기 묶음바늘과 유인체를 결속시키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의 상,하단에 연결되어 묶음고리와 유인체를 결속시킴과 동시 낚시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부 연결링으로 조립되는 오징어 낚시바늘에 있어서,
상기 유인체는 중량물이고 매끄러운 유선형의 표면을 갖는 도자기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도자기 유인체의 표면에 형광도료가 혼합된 유색의 유약을 도포하여 형광유약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유인체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징어 낚시바늘 2 : 묶음바늘
3 : 연결튜브체 4 : 도자기 유인체
5a,5b : 연결고리 6a,6b : 상,하부 연결링
7 : 와샤 8 : 낚시줄
41 : 형광유약층 42 : 관통공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유인체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오징어 낚시바늘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오징어 낚시바늘(1)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하 2단으로 조립된 묶음바늘(2) 위에 유연한 고무재질의 연결튜브체(3)와 도자기 유인체(4)를 차례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연결고리(5a)(5b)로 조립하는데, 본 발명은 상기 도자기 유인체(4)를 중량물이면서 표면이 매끄러운 도자기로 제조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도자기 유인체(4)의 표면에 형광도료가 혼합된 유색의 유약으로 도포하여 형광유약층(41)을 형성하여 오징어를 유인하도록 구성한 것에도 특징을 두고 있다.
상기 연결고리(5a)(5b)들 중 도자기 유인체(4)의 관통공(42)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고리(5a)는 길고 상기 묶음바늘(2)들의 중심공(21)에 위치하는 다른 연결고리(5b)는 짧은 것을 사용하는데, 상기한 두개의 연결고리(5a)(5b)는 연결튜브체(3)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게 조립하므로서 오징어 낚시바늘(1) 자체가 연결튜브체(3)에 의하여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리(5a)(5b) 각각의 끝단에는 상,하부 연결링(6a)(6b)을 연결시켜 상기 묶음바늘(2)과 도자기 유인체(4)를 결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하부 연결링(6b)과 하측의 묶음바늘(2) 사이에는 묶음바늘을 안정되게 받쳐주는 와샤(7)가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오징어 낚시바늘(1)은 상,하부 연결링(6a)(6b)을 낚시줄(8)에 묶어주는 구조로서 다수의 오징어 낚시바늘(1)이 일정간격으로 두고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오징어를 잡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오징어 낚시바늘(1)은 유선형으로 형성된 도자기 유인체(4)의 중량이 종래의 플라스틱 유인체보다 3배 이상의 무거운 중량물이며, 또한 낚시줄(8)에 일정간격으로 무수히 많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낚시줄(8) 자체는 그에 매달려 있는 오징어 낚시바늘(1)의 도자기 유인체(4)의 중량에 의하여 파도에 흔들리거나 또는 조류에 의해 쉽게 흐르지 않게 되므로 옆에 있는 낚시줄(8)과 엉키는 현상없이 오징어를 잡을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도자기 유인체(4) 자체는 도자기 자체의 특성으로서 강도가 우수하고 표면이 매끄러우므로 낚시줄(8)을 조상기로 권치드럼에 감고 풀어줄 때 바늘의 뾰족한 끝부분이 도자기 유인체(4)에 찍히거나 긁히지도 않게 되므로서 형광유약층(41)의 광택이 변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도자기 유인체(4)는 바늘 끝부분이 닿을 때 미끄러지게 하므로서 묶음바늘(2)의 각 바늘 끝부분들이 항시 뾰족한 상태로 유지되게 하므로서 환한 광택으로 오징어의 유인한 다음 일단 묶음바늘(2)에 걸린 오징어는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오징어의 포획량을 향상시키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오징어 낚시바늘에서 오징어를 유인하는 유인체를 중량물이고 표면이 매끄러운 도자기로 제조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낚시줄에 중량을 실어주어 파도 또는 조류에 의해 심하게 흔들리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하므로서 낚시줄끼리 서로 엉키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하는 효과와, 낚시줄을 권취드럼에 감고 풀어줄 때 묶음바늘이 도자기 유인체에 접촉할 때 바늘 끝부분이 도자기 유인체의 표면에서 미끄러지도록 하므로서 도자기 유인체가 묶음바늘에 의해 찍히거나 긁히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하여 도자기 유인체의 표면에 도포된 형광유약층의 광택이 변하지 않고 항시 밝은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효과와 함께 묶음바늘의 바늘 끝부분이 무디어지지 않고 항시 뾰족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오징어의 포획량이 향상되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며, 특히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은 낚시줄을 엉키지 않게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오징어 낚시 도중에 낚시줄이 엉키어 끊어버리는 사례를 배제할 수 있어 오징어 낚시바늘에 의하여 바다가 오염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오징어 낚시바늘의 묶음바늘을 항시 뾰족한 상태로 유지시킴과 동시 도자기 유인체의 표면에 도포된 형광유약층이 항시 밝은 광택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오징어 낚시바늘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특징을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상,하 2단으로 조립되는 묶음바늘과, 형광안료가 혼합된 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유선형으로 사출성형되는 유인체와, 상기 묶음바늘과 유인체를 결속시키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의 상,하단에 연결되어 묶음고리와 유인체를 결속시킴과 동시 낚시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부 연결링으로 조립되는 오징어 낚시바늘에 있어서,
    상기 유인체는 중량물이고 매끄러운 유선형의 표면을 갖는 도자기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낚시바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유인체의 표면에 형광도료가 혼합된 유색의 유약을 도포하여 형광유약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낚시바늘.
KR1019990061192A 1999-12-23 1999-12-23 오징어 낚시바늘 KR100353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192A KR100353237B1 (ko) 1999-12-23 1999-12-23 오징어 낚시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192A KR100353237B1 (ko) 1999-12-23 1999-12-23 오징어 낚시바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784A KR20010057784A (ko) 2001-07-05
KR100353237B1 true KR100353237B1 (ko) 2002-09-16

Family

ID=1962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192A KR100353237B1 (ko) 1999-12-23 1999-12-23 오징어 낚시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2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404B1 (ko) 2013-11-22 2014-06-03 박종민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KR101480332B1 (ko) 2013-01-14 2015-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KR20160045270A (ko) 2014-10-17 2016-04-27 박종민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KR20230103505A (ko) 2021-12-31 2023-07-07 박현규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421B1 (ko) * 2012-07-25 2014-03-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빛을 발산하는 오징어 낚시용 유인구바늘조립체
KR101403408B1 (ko) * 2013-03-25 2014-06-03 박종민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용 유인관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8989A (ja) * 1996-12-26 1998-07-07 Oka Toyoko 魚釣り用仕掛け具
KR19990015674U (ko) * 1997-10-15 1999-05-15 김만주 무공해 낚시용 추
KR100188774B1 (ko) * 1996-06-07 1999-06-01 이경희 세라믹 수중찌
KR19990036905U (ko) * 1998-12-11 1999-10-05 박용복 홀로그램 필름을 이용한 오징어 낚시용 낚시봉
JPH11318277A (ja) * 1998-05-13 1999-11-24 Shiyaku Igarashi 環境保全疑似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774B1 (ko) * 1996-06-07 1999-06-01 이경희 세라믹 수중찌
JPH10178989A (ja) * 1996-12-26 1998-07-07 Oka Toyoko 魚釣り用仕掛け具
KR19990015674U (ko) * 1997-10-15 1999-05-15 김만주 무공해 낚시용 추
JPH11318277A (ja) * 1998-05-13 1999-11-24 Shiyaku Igarashi 環境保全疑似餌
KR19990036905U (ko) * 1998-12-11 1999-10-05 박용복 홀로그램 필름을 이용한 오징어 낚시용 낚시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332B1 (ko) 2013-01-14 2015-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KR101403404B1 (ko) 2013-11-22 2014-06-03 박종민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KR20160045270A (ko) 2014-10-17 2016-04-27 박종민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KR20230103505A (ko) 2021-12-31 2023-07-07 박현규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784A (ko) 200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1340A (en) Fishing lure with double-walled annular region having plural passages
US6286246B1 (en) Electrostatically flocked fishing lur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4903429A (en) Device to attract fish
US6786000B1 (en) Pocketed hoop net
US6185857B1 (en) Teaser school fishing apparatus
US20080040966A1 (en) Fishing rig
KR100353237B1 (ko) 오징어 낚시바늘
KR20210081727A (ko) 줄 꼬임 방지용 낚시채비
CN201192038Y (zh) 高效金枪鱼延绳钓渔具
KR101872513B1 (ko) 다중도래 낚시채비
US6665977B2 (en) Spinnerbait fishing lure
US5187893A (en) Wire mesh lobster trap launch steadying device
JP2008187907A (ja) 疑似餌用スカート及び疑似餌
KR101673704B1 (ko) 갈치잡이용 주낙어구
US20060260180A1 (en) Deep-water squid jig
CA2440571A1 (en) Fishing lure
US3212209A (en) Fish lure
JPH04228018A (ja) 船引き釣り具
US4862633A (en) Gangion for longline fishing gear
KR20220060673A (ko) 인조미끼가 결합된 낚시채비
KR200494458Y1 (ko) 부력부재가 마련된 루어낚시용 인공미끼
US7174670B2 (en) Salmon egg chain
KR102526013B1 (ko) 두족류 낚시 채비
US4729187A (en) Longline assembly
KR102599174B1 (ko) 낙지용 주낙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