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035B1 - 두족류 낚시용 어구 - Google Patents

두족류 낚시용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035B1
KR102275035B1 KR1020200149563A KR20200149563A KR102275035B1 KR 102275035 B1 KR102275035 B1 KR 102275035B1 KR 1020200149563 A KR1020200149563 A KR 1020200149563A KR 20200149563 A KR20200149563 A KR 20200149563A KR 102275035 B1 KR102275035 B1 KR 10227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coupled
body portion
fishing gear
stee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구
Original Assignee
박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구 filed Critical 박민구
Priority to KR1020200149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족류 낚시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 투입되어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두족류 낚시용 어구로서, 낚시줄이 연결되도록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두족류가 걸리도록 다수의 바늘이 구비되는 바늘 조립체 및, 상단이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몸체부를 해상에 투입시 하단이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몸체부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받침부는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시 몸체부와 바늘 조립체를 해상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위치시킨다.

Description

두족류 낚시용 어구{fishing gear for cephalopod capture}
본 발명은 두족류 낚시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줄 견인시 바늘이 바닥면 또는 장애물에 걸리지 않아 어구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두족류 낚시용 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족류 낚시용 어구는 쭈구미, 문어 등을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로서, 두족류를 유인하여 포획하기 위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두족류 낚시용 어구는 물고기 등과 유사한 형태의 몸체와, 몸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두족류가 걸리는 후단이 전방을 향해 일정 각도로 절곡되는 바늘 조립체 및, 낚시줄이 연결되도록 몸체에 구비되는 연결고리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두족류 낚시용 어구는 바늘이 해상의 바닥면 또는 장애물(암석, 수초 등)에 걸려 빠지지 않는 현상으로 인해 어구(봉돌, 에기, 낚시줄 등)가 손실되는 사례가 빈번하였고, 손실된 어구는 해상에 그대로 방치되므로 환경 오염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두족류 낚시의 금어기가 풀리는 9월초부부터 11월말까지는 서해, 남해, 일부 동해 등지에서 두족류 낚시를 즐기기 위한 인구가 집중되며, 두족류 낚시를 위해 하루에 뜨는 낚시배의 대수도 대략 300 ~ 500척에 이르므로, 하루에 해상으로 떨어지는 어구의 수는 헤아릴 수 없는 정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3096호(2009년 10월 1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족류 낚시 과정에서 바늘 조립체가 해상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 위치되므로, 낚시줄 견인시 바늘이 바닥면 또는 장애물에 걸리지 않아 어구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두족류 낚시용 어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는 해상에 투입되어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두족류 낚시용 어구로서, 낚시줄이 연결되도록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두족류가 걸리도록 다수의 바늘이 구비되는 바늘 조립체 및,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를 해상에 투입시 하단이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바늘 조립체를 상기 해상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측 상부에 결합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전단에 형성되고, 상기 낚시줄이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되는 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1강선 및, 상기 제1강선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2강선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1강선 및, 상기 제1강선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2강선 및, 상기 제2강선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3강선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하중을 작용시키기 위한 중량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는 체결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늘 조립체의 전단에는 상기 체결홈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발광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착부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는 해상에 투입되어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두족류 낚시용 어구로서, 낚시줄이 연결되도록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두족류가 걸리도록 다수의 바늘이 구비되는 바늘 조립체 및,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를 해상에 투입시 하부로 연장된 하단이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시 상기 바늘 조립체를 상기 해상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하단은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되고, 후방으로 벤딩되어 하부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족류 낚시 과정에서 바늘 조립체가 해상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 위치되므로, 낚시줄 견인시 바늘이 바닥면 또는 장애물에 걸리지 않아 어구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 및 제3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 및 제3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 및 제3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 및 제3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를 들어올리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장착부에 수납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장착부에 수납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장착부에 수납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가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가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가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 및 제3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 및 제3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 및 제3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 및 제3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를 들어올리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를 제1강선과 제2강선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장착부에 수납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장착부에 수납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장착부에 수납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가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가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의 받침부가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바늘 교정장치는 척추가 없고 몸이 연하며 체절이 없는 연체동물 가운데 다리(팔)가 머리에 달려있는 오징어, 쭈꾸미, 문어 등의 두족류(頭足類)를 포획하기 위한 두족류 낚시용 어구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는 해상에 투입되어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두족류 낚시용 어구로서, 몸체부(100)와, 바늘 조립체(200) 및, 받침부(3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물속에 잠길 수 있도록 일정 중량을 가질 수 있고, 물고기 등의 미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00)를 물고기 등의 미끼 형상으로 적용하는 경우, 물고기의 머리 부위가 몸체부(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후술 될 바늘 조립체(200)가 몸체부(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물고기의 지느러미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0)의 외면에는 물고기의 눈, 입, 무늬 등이 다양한 색상으로 인쇄될 수 있으나, 몸체부(100)의 외면에 물고기의 눈, 입, 무늬 등이 음각, 양각 등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몸체부(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몸체부(100)는 전방측 상부에는 낚시줄(20)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고리(110)가 결합된다. 연결고리(110)는 몸체부(100)의 전후방향 무게중심(C)을 기준으로 전방측 상부에 사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삽입부(111) 및, 삽입부(111)의 전단에 연결홀을 형성하는 링부(112)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111)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몸체부(100)의 전방측 상부에 사선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링부(112)는 몸체부(100)의 전후 방향측 무게중심(C)을 기준으로 전방측 상부에 사선 방향으로 위치된다.
즉, 사용자가 낚시줄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경우, 낚시줄(20)에 견인되는 몸체부(100)의 전방이 먼저 들어 올려진 후, 후술 될 바늘 조립체(200)가 나중에 들어 올려지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몸체부(100)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하중을 작용(저중심 설계)시키기 위한 중량체(4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중량체(400)는 몸체부(100)의 하부로 돌출되어 무게중심(C)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몸체부(100)를 물고기 형태로 적용하는 경우 전후로 길이를 갖는 지느러미 형태로 돌출시킬 수 있으며, 중량체(400)의 내부에 별도의 부재(금속 등)를 삽입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중량체(400)는 몸체부(100)의 하부로 하중을 작용시키므로, 몸체부(100)를 해상에 투입시 몸체부(100)를 바른 자세로 해상의 바닥면(10)에 안착시킬 수 있고, 낚시줄을 견인하여 회수할 때 몸체부(100)가 측방으로 회전되거나 불규칙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몸체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발광체(30)를 결합시켜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한 장착부(130)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30)는 발광체(3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과 폭으로 형성시킬 수 있고, 장착부(130)의 개수와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발광체(30)는 외피의 내부에 화학물질이 수용되고,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캐미라이드(chemilight, 3mm 등)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배터리와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형태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장착부(130)에는 도 9 내지 11에서처럼 수납부(500)가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수납부(500)는 일측이 장착부(130)에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고, 반대되는 타측이 수납부(5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된 수납부(500)의 일측을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수납부(500)를 장착부(13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납부(500)의 상부에는 발광체(30)를 장착하기 위한 수납공간(510)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수납부(500)는 발광체(30)로부터 발산된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반투명 등의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수납부(500)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해 두족류를 유인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수납부(500)의 일측에는 발광체(30)로부터 발생된 빛이 몸체부(100)의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나 이상의 통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수납부(500)의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해 두족류를 유인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 몸체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별도의 연결관(미도시)을 설치하여, 연결관의 내부에 발광체(30)를 삽입된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연결관의 일부분에 하나 이상의 통로(미도시)를 형성시켜 외부로 빛을 발산시키거나, 연결관의 외부로 발광체(30)의 일측을 돌출시켜 외부로 빛을 발산시킬 수 있다.
바늘 조립체(200)는 미끼 형상의 몸체부(100)에 달라붙은 두족류가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분으로, 바늘 조립체(200)의 전단이 몸체부(100)의 후단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후단에 다수의 바늘(210)이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바늘(210)의 후단은 전방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바늘 조립체(200)는 금속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후방을 따라 다단(1 ~ 2단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늘 조립체(200)를 다단으로 연결하는 경우, 전방을 향해 절곡된 바늘(210)의 후단은 전후 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몸체부(100)의 후단에는 체결홈(120)이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바늘 조립체(200)의 전단에는 체결홈(12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구(220)는 바늘 조립체(200)의 전방을 향해 원통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고, 체결구(220)의 외주면과 체결홈(120)의 내주면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늘 조립체(20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체결구(220)와 체결홈(120)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바늘 조립체(20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마모되거나 손상된 바늘(21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두족류의 종류 등에 대응하는 바늘(210)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바늘 조립체(200)와 몸체부(100)를 분리시킨 상태로 보관하거나 세척 및 건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받침부(300)는 바늘 조립체(200)의 바늘(210)이 바닥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부분으로, 받침부(300)는 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몸체부(100)가 수평하게 위치시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바늘 조립체(200)를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위치시킨다.
여기서, 받침부(300)는 몸체부(10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될 수 있고, 상단이 몸체부(100)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이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0)는 도 1 내지 5에서처럼 몸체부(10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단이 몸체부(100)의 전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1강선(310)과, 제1강선(31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고, 몸체부(100)가 수평하게 위치시 바닥면(10)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2강선(320) 및, 제2강선(32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단이 몸체부(100)의 후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3강선(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강선(310)과 제2강선(320) 및 제3강선(330)은 형태 변형이 가능한 금속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제1강선(310)의 상단은 후방으로 절곡되어 몸체부(100)의 전면에 삽입된 상태로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제1강선(310)들의 하단은 몸체부(100)의 좌우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강선(320)은 몸체부(100)가 수평하게 위치시 바닥면(10)에 수평하게 안착된느 부분으로, 제2강선(320)들은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고, 제2강선(320)의 전단은 제1강선(31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결된다. 이때 제2강선(320)은 제1강선(310)의 상단보다 몸체부(100)의 좌우 방향에 더 넓은 폭으로 배치되고, 제2강선(320)의 전단과 제1강선(310)의 하단은 곡선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강선(330)은 제2강선(320)의 후단과 몸체부(100)를 연결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제3강선(330)들의 상단은 전방으로 절곡되어 몸체부(100)의 후면에 삽입된 상태로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제3강선(330)들의 하단은 몸체부(100)의 좌우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강선(320)의 후단에 연결된다. 이때 제3강선(330)의 하단과 제2강선(320)의 후단은 곡선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강선(310)의 상단과 제3강선(330)의 상단이 결합되는 위치는 몸체부(100)의 전면 및 후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제1강선(310)과 제2강선(320) 및 제3강선(330)의 직경, 길이, 각도 등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받침부(300)는 몸체부(100)가 수평하게 위치시 몸체부(100)와 바늘 조립체(200)를 해상의 바닥면(10)으로부터 일정 높이(대략 3 ~ 5cm)로 이격 위치시키므로, 낚시줄(20)을 당겨 몸체부(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몸체부(100)와 바늘 조립체(200)의 바늘(210)이 바닥면 또는 장애물(암석, 해초 등)에 걸리지 않아 몸체부(100)와 바늘 조립체(200) 및 낚시줄(20)의 손실을 줄을 수 있다.
또한, 받침부(300)가 장애물(암석, 해초 등)을 타고 넘으면서 바닥면(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몸체부(100)와 바늘 조립체(200)가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몸체부(100)를 자연스럽게 이동시킬 수 있어 두족류에게 어필할 수 있는 미끼의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0)는 도 6 내지 8에서처럼 몸체부(10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단이 몸체부(100)의 전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1강선(310-1) 및, 제1강선(310-1)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고, 몸체부(100)가 수평하게 위치시 바닥면(10)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2강선(320-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강선(310-1)과 제2강선(320-1)은 형태 변형이 가능한 금속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제1강선(310-1)의 상단은 후방으로 절곡되어 몸체부(100)의 전면에 삽입된 상태로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제1강선(310-1)들의 하단은 몸체부(100)의 좌우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강선(320-1)은 몸체부(100)가 수평하게 위치시 바닥면(10)에 수평하게 안착되는 부분으로, 제2강선(320-1)들은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고, 제2강선(320-1)의 전단은 제1강선(310-1)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결된다. 이때 제2강선(320-1)은 제1강선(310-1)의 상단보다 몸체부(100)의 좌우 방향에 더 넓은 폭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2강선(320-1)의 전단과 제1강선(310-1)의 하단은 도 8에서처럼 곡선 또는 각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강선(310-1)의 상단이 결합되는 위치는 몸체부(100)의 전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제1강선(310)과 제2강선(320)의 직경, 길이, 각도 등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받침부(300)는 몸체부(100)가 수평하게 위치시 바늘 조립체(200)를 해상의 바닥면(10)으로부터 일정 높이(대략 3 ~ 5cm)로 이격 위치시키므로, 낚시줄(20)을 당겨 몸체부(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바늘 조립체(200)의 바늘(210)이 바닥면 또는 장애물(암석, 해초 등)에 걸리지 않아 바늘 조립체(200)의 손실을 줄을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300)가 장애물(암석, 해초 등)을 타고 넘으면서 바닥면(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몸체부(100)와 바늘 조립체(200)가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몸체부(100)를 자연스럽게 이동시킬 수 있어 두족류에게 어필할 수 있는 미끼의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강선(320-1)은 후단의 절곡되는 각도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강선(320-1)의 후단을 하방으로 절곡시켜 바닥면(10)과 바늘 조립체(200)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1)는 도 12 내지 14에서처럼 상단이 몸체부(100)의 후단에 결합되고, 몸체부(100)를 해상에 투입시 하부로 연장된 하단이 해상의 바닥면(10)에 안착되며, 몸체부(10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301)는 하단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되고, 후방으로 벤딩되어 하부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침부(301)는 하부로 연장된 하단이 몸체부(100)의 후단을 하방에서 일정 높이로 지지하므로, 두족류 낚시용 어구를 해상에 투입시 받침부(301)의 하단이 해상의 바닥면(10)에 안착되고, 이때 몸체부(100)의 후단이 일정 높이로 지지되므로 바늘 조립체(200)를 해상의 바닥면(10)으로부터 이격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받침부(301)는 몸체부(100)가 수평하게 위치시 바늘 조립체(200)를 해상의 바닥면(10)으로부터 일정 높이(대략 3 ~ 5cm)로 이격 위치시키므로, 낚시줄(20)을 당겨 몸체부(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바늘 조립체(200)의 바늘(210)이 바닥면 또는 장애물(암석, 해초 등)에 걸리지 않아 몸체부(100)와 바늘 조립체(200) 및 낚시줄(20)의 손실을 줄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두족류 낚시 과정에서 바늘 조립체(200)가 해상의 바닥면(10)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 위치되므로, 낚시줄(20) 견인시 바늘(210)이 바닥면(10) 또는 장애물에 걸리지 않아 어구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어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닥면 20: 낚시줄
30: 발광체 100: 몸체부
110: 연결고리 111: 삽입부
112: 링부 120: 체결홈
130: 장착부 200: 바늘 조립체
210: 바늘 220: 체결구
300, 301: 받침부 310, 310-1: 제1강선
320, 320-1: 제2강선 330: 제3강선
400: 중량체 500: 수납부
510: 수납공간 C: 무게중심

Claims (9)

  1. 해상에 투입되어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두족류 낚시용 어구로서,
    낚시줄이 연결되도록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두족류가 걸리도록 다수의 바늘이 구비되는 바늘 조립체; 및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를 해상에 투입시 하단이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바늘 조립체를 상기 해상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위치시키되,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하중을 작용시키기 위한 중량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발광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에는 수납부가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수납부는 일측이 상기 장착부에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고,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수납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는 상기 발광체를 장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어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측 상부에 결합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전단에 형성되고, 상기 낚시줄이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되는 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어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1강선 및,
    상기 제1강선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2강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어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1강선 및,
    상기 제1강선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2강선 및,
    상기 제2강선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3강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어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는 체결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바늘 조립체의 전단에는 상기 체결홈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어구.
  7. 삭제
  8. 해상에 투입되어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두족류 낚시용 어구로서,
    낚시줄이 연결되도록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두족류가 걸리도록 다수의 바늘이 구비되는 바늘 조립체; 및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를 해상에 투입시 하부로 연장된 하단이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해상의 바닥면에 안착시 상기 바늘 조립체를 상기 해상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위치시키되,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하중을 작용시키기 위한 중량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발광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에는 수납부가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수납부는 일측이 상기 장착부에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고,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수납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는 상기 발광체를 장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어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하단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되고, 후방으로 벤딩되어 하부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어구.
KR1020200149563A 2020-11-10 2020-11-10 두족류 낚시용 어구 KR10227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563A KR102275035B1 (ko) 2020-11-10 2020-11-10 두족류 낚시용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563A KR102275035B1 (ko) 2020-11-10 2020-11-10 두족류 낚시용 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035B1 true KR102275035B1 (ko) 2021-07-08

Family

ID=7689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563A KR102275035B1 (ko) 2020-11-10 2020-11-10 두족류 낚시용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0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661B1 (ko) 2021-08-20 2022-11-25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채비
KR102481282B1 (ko) * 2022-05-25 2022-12-28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용 봉돌
WO2023234474A1 (ko) *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세온 낚시용 인조미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243A (ja) * 2008-07-17 2010-02-04 One Knack Corp 疑似餌
JP2010035450A (ja) * 2008-08-01 2010-02-18 Olympic:Kk ルアー
JP3185998U (ja) * 2013-07-02 2013-09-12 貴生 小山 発光ルアー
KR20160131357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한조크리에이티브 오징어 낚시용 루어
JP2019097560A (ja) * 2017-12-06 2019-06-24 イ, ノ エウルLEE, No Eul 頭足類釣り用漁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243A (ja) * 2008-07-17 2010-02-04 One Knack Corp 疑似餌
JP2010035450A (ja) * 2008-08-01 2010-02-18 Olympic:Kk ルアー
JP3185998U (ja) * 2013-07-02 2013-09-12 貴生 小山 発光ルアー
KR20160131357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한조크리에이티브 오징어 낚시용 루어
JP2019097560A (ja) * 2017-12-06 2019-06-24 イ, ノ エウルLEE, No Eul 頭足類釣り用漁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661B1 (ko) 2021-08-20 2022-11-25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채비
KR102481282B1 (ko) * 2022-05-25 2022-12-28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용 봉돌
WO2023234474A1 (ko) *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세온 낚시용 인조미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035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CN101617646B (zh) 钓鱼诱饵
US5551185A (en) Fishing lure
US3483651A (en) Fishing lures
US20050172537A1 (en) Artificial fishing lure
US20080148623A1 (en) Fishing jig
US20050246940A1 (en) Fishing lure for sinking presentation
US20060191187A1 (en) Weighted shank fish hooks
US20140059916A1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US20010045048A1 (en) Articulated fishing lure
US10492478B1 (en) Weedless fishing lure jig with offset bait
US7076911B2 (en) Soft body covered swimming-jig fishing lure
US6708442B2 (en) Hood for artificial lure and baitfish
US5934008A (en) Fishing lure
US20160338330A1 (en) Fishing Lure
US4893431A (en) Fishing lure
US6560915B2 (en) Fishing lure
US20110035987A1 (en) Fishing lure and accessory
CN112655672A (zh) 拟饵
JP2010193801A (ja) ルアー
US4998373A (en) Double hook lure
KR10242556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US6006467A (en) Weedless hook and lure having lure interchangeability
KR102668668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US4765086A (en) Fishing 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