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187Y1 - 두족류 포획용 어구 - Google Patents

두족류 포획용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187Y1
KR200459187Y1 KR2020100007621U KR20100007621U KR200459187Y1 KR 200459187 Y1 KR200459187 Y1 KR 200459187Y1 KR 2020100007621 U KR2020100007621 U KR 2020100007621U KR 20100007621 U KR20100007621 U KR 20100007621U KR 200459187 Y1 KR200459187 Y1 KR 200459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ephalopod
gear
fishing
fron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733U (ko
Inventor
황정용
황민호
황민규
Original Assignee
황정용
황민규
황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용, 황민규, 황민호 filed Critical 황정용
Priority to KR2020100007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18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7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7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1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Abstract

본 고안은 낙지나 쭈꾸미 등을 포획하는 데 사용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자연산 소라껍질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여 반영구적인 합성수지재질로 규격화된 양산을 가능하게 하므로 내구성 및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어구로써 낙지포획용이나 쭈꾸미포획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어구본체의 비중을 증대시켜 침강력과 해저면 정착력을 대폭 향상시키는 동시에 자연산 소라껍질과 유사한 질감으로 자연친화성을 증대시켜 두족류의 유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어획작업시 소라껍질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끝단부가 ㄱ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인출용 도구를 이용하여 인출할 경우 소라껍질의 내부로 삽입된 인출용 도구의 끝단부가 나선관형상으로 된 소라껍질의 내측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어구본체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어획되는 두족류가 신선한 활어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족류 포획용 어구{Implement for capturing the cephalopod}
본 고안은 낙지나 쭈꾸미 등을 포획하는 데 사용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자연산 소라껍질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여 반영구적인 합성수지재질로 규격화된 양산을 가능하게 하므로 내구성 및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어구로써 낙지포획용이나 쭈꾸미포획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어구본체의 비중을 증대시켜 침강력과 해저면 정착력을 대폭 향상시키는 동시에 자연산 소라껍질과 유사한 질감으로 자연친화성을 증대시켜 두족류의 유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어획작업시 소라껍질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끝단부가 ㄱ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인출용 도구를 이용하여 인출할 경우 소라껍질의 내부로 삽입된 인출용 도구의 끝단부가 나선관형상으로 된 소라껍질의 내측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어구본체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어획되는 두족류가 신선한 활어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지나 쭈꾸미 등과 같은 두족류(頭足類)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바위 틈이나 빈 소라껍질 속에 들어가 몸을 숨기는 습성이 있는데, 이러한 습성을 가진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다수의 자연산 소라껍질을 긴 줄에 일정간격으로 매달아 바다 밑바닥에 가라앉혀 놓은 후 이들이 산란이나 은신을 위해 소라껍질 속에 들어가 있을 때 건져 올리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통적인 두족류 포획용 어구로 사용되고 있는 자연산 소라껍질은 취성이 높은 석회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여러 번 반복 사용시 줄에 매달기위해 뚫어놓은 구멍부위가 쉽게 손상되어 유실되거나 건져 올리는 과정에서 서로 부딪치거나 선체에 부딪혀 쉽게 파손되는 등 내구성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자연으로부터 채취되는 수량이 극히 한정됨에 따라 그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자연산 소라껍질을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는 쭈꾸미포획시크기가 작은 소라껍질이 필요하고 낙지포획시 상대적으로 큰 소라껍질이 필요함에 따라 포획하고자 하는 두족류의 종류마다 크기가 다른 조개껍질이 준비되어야 하므로 실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자연산 소라껍질을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는 내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나선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획작업시 끝단부가 ㄱ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인출용 도구를 이용하여 소라껍질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인출할 경우 소라껍질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인출하기 위해 소라껍질의 내부에 삽입한 인출용 도구의 끝단부가 나선관형상으로 된 소라껍질의 내측에 자꾸 걸리게 되면서 소라껍질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인출할 수 없게 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인출용 도구의 끝단부가 나선관형상으로 된 소라껍질의 내측에 걸리지 않도록 인출용 도구를 반복적으로 삽입하여 인출하는 과정에서 두족류가 상처를 입게 됨에 따라 어획되는 두족류가 신선한 활어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상품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자연산 소라껍질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여 반영구적인 합성수지재질로 규격화된 양산을 가능하게 하므로 내구성 및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어구로써 낙지포획용이나 쭈꾸미포획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어구본체의 비중을 증대시켜 침강력과 해저면 정착력을 대폭 향상시키는 동시에 자연산 소라껍질과 유사한 질감으로 자연친화성을 증대시켜 두족류의 유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어획작업시 소라껍질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끝단부가 ㄱ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인출용 도구를 이용하여 인출할 경우 소라껍질의 내부로 삽입된 인출용 도구의 끝단부가 나선관형상으로 된 소라껍질의 내측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어구본체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어획되는 두족류가 신선한 활어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은 개구되고 후방은 폐쇄되며 내측저면은 평탄하고 내측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만곡 형성되는 유인관부의 하면에는 내부에 중량추가 삽입되는 중량추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량추부의 하면중앙에는 직립방지용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인관부의 전방개구부의 상부일측에는 아릿줄이 결속되는 끈삽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유인관부의 전방개구부의 외주면에는 보강테가 형성되는 어구본체가 구비되며, 상기 어구본체는 70 ~ 80중량%의 ABS수지와 20 ~ 30중량%의 칼페트가 혼합되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어구본체가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어구조립부재로 분할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어구본체의 외측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어구본체의 중량추부에 삽입되는 중량추가 상면이 개구된 함체형상의 중량추성형용 케이스와 중량추성형용 케이스의 내부에 충전되는 중량추형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어구본체의 유인관부의 전방개구부일측에 유인관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은폐용 덮개판이 이탈방지용 끈에 의해 매달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는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자연산 소라껍질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여 반영구적인 합성수지재질로 규격화된 양산이 가능하게 되므로 내구성 및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어구로써 낙지포획용이나 쭈꾸미포획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는 어구본체의 비중을 증대시켜 침강력과 해저면 정착력을 대폭 향상시키는 동시에 자연산 소라껍질과 유사한 질감으로 자연친화성을 증대시켜 두족류의 유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어획작업시 소라껍질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끝단부가 ㄱ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인출용 도구를 이용하여 인출할 경우 소라껍질의 내부로 삽입된 인출용 도구의 끝단부가 나선관형상으로 된 소라껍질의 내측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어구본체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어획되는 두족류가 신선한 활어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중량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은 개구되고 후방은 폐쇄되며 내측저면은 평탄하고 내측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만곡 형성되는 유인관부(3)의 하면에는 내부에 중량추(5)가 삽입되는 중량추부(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량추부(4)의 하면중앙에는 직립방지용 돌출부(4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의 상부일측에는 아릿줄이 결속되는 끈삽입공(6)이 관통형성되는 어구본체(2)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의 외주면에는 보강테(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상기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의 외주면에 보강테(7)를 형성하게 되면, 어구의 사용시 어구본체(2)가 선체에 부딪히거나 해저면에 안착될 때 충격에 의해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구본체(2)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상기 어구본체(2)의 외측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8)를 형성하게 되면, 어획작업시 어구본체(2)가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어획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바다속에 가라앉힌 어구본체(2)가 해저면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해저면에 견고하게 안착되어 안정적인 정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두족류의 유인성을 향상시켜 어획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구본체(2)는 70 ~ 80중량%의 ABS수지와 20 ~ 30중량%의 칼페트가 혼합되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상기 어구본체(2)를 ABS수지와 칼페트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ABS수지의 비중이 1.07 ~ 1.15정도이며 칼페트의 비중이 2.1정도이므로 어구본체(2)의 자중으로 침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력을 상쇄하기 위한 중량추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칼페트(CALPET)는 무기화합물 전문 제조업체인 효창산업(www.hccp.co.kr)에서 현재 시판하고 있는 플라스틱 증량제로서, 자연산 조개껍질의 주성분인 탄산칼슘(CaCO3)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것이므로, 이를 ABS수지에 일정 비율로 혼합할 경우 원재료인 ABS수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어구본체(2)가 자연산 조개껍질과 유사한 질감을 가질 수 있게 되므로 자연친화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어 어구의 사용시 두족류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게 됨으로써 두족류의 유인성을 향상시켜 어획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ABS수지와 칼페트의 혼합비율을 ABS수지 70 ~ 80중량%, 칼페트 20 ~ 30중량%로 한정한 이유는 ABS수지의 비율을 80중량% 이상으로 높이고 칼페트의 비율을 20중량% 이하로 낮출 경우 견고성이 증대되어 내구성은 향상되지만 비중이 낮아져 침강력 및 해저력 정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ABS수지의 비율을 70중량% 이하로 낮추고 칼페트의 비율을 30중량% 이상으로 높힐 경우에는 비중이 높아져 침강력 및 해저력 정착력이 향상되지만 견고성은 떨어져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어구본체(2)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출금형내에 중량추(5)를 삽입한 후 어구본체(2)를 사출성형하는 인서트사출방식에 의해 어구본체(2)와 중량추(5)가 일체가 되도록 구성하거나,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어구조립부재(2a)(2b)로 분할하여 사출성형한 후 중량추부(4)의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4b)에 중량추(5)를 삽입한 다음 조립용 스크류나 접착제 또는 열접착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어구본체(2)를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어구조립부재(2a) (2b)로 분할형성한 후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분할형성되는 한 쌍의 어구조립부재(2a)(2b)의 분할면에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결합용 암수부재인 결합홈(9a)과 결합돌기(9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어구본체(2)의 중량추부(4)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량추(5)는 다수의 중량추성형용 캐비티가 형성된 몰드를 만들어 그 몰드에 금속조각과 함께 시멘트나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을 투입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렇게 제작할 경우 몰드에 투입된 시멘트나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이 완전히 경화된 후 몰드로부터 중량추(5)를 분리하여 어구본체(2)와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중량추(5)를 완전히 경화시키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어구본체(2)의 중량추부(4)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량추(5)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함체형상의 중량추성형용 케이스(5a)의 내부에 금속조각과 함께 시멘트나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과 같은 중량추형성부재(5b)가 충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중량추(5)를 중량추성형용 케이스(5a)의 내부에 중량추형성부재(5b)가 충전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중량추성형용 케이스(5a)의 내부에 충전된 중량추형성부재(5b)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중량추성형용 케이스(5a)자체를 어구본체(2)에 끼워 중량추(5)를 어구본체(2)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어구본체(2)의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일측에 유인관부(3)의 내부로 삽입되는 은폐용 덮개판(10)이 이탈방지용 끈(10a)에 의해 매달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는 소라껍질 속에 들어가 자신의 몸을 숨길 때 반드시 주변에 있는 은폐물을 끌고 들어가 자신이 들어가 있는 소라껍질의 입구를 막음으로써 자신의 몸을 외부로부터 최대한 은폐하려고 하는 쭈꾸미의 습성을 이용한 것으로, 어구본체(2)의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 일측에 은폐용 덮개판(10)을 매달아 놓게 되면, 쭈꾸미가 어구본체(2)로 접근할 때 어구(1)의 주변에 쭈꾸미가 덮개용으로 사용할 만한 작은 조개껍질이 없을 경우 이 은폐용 덮개판(10)을 이용하여 은폐할 수 있게 되므로 쭈꾸미에 대한 유인성을 향상시켜 어획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이 은폐용 덮개판(10)은 쭈꾸미의 어획작업시 쭈꾸미의 포획여부를 표시하는 표지판 역할을 하게 되므로 어획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사용 및 작용관계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는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의 상부일측에 관통형성된 끈삽입공(6)에 결속되는 아릿줄(20)을 이용하여 로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속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시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가 일정한 간격으로 결속되어 있는 로프를 바닷속으로 투하하게 되면, ABS수지와 칼페트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합성수지재질로 된 두족류 포획용 어구(1)가 어구본체(2)의 자중과 중량추(5)의 무게에 의해 신속하게 가라앉아 해저 바닥면에 안착된다.
이 때, 본 고안에 의한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는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의 상부일측에 관통형성된 끈삽입공(6)에 로프와 연결되는 아릿줄(20)이 결속됨에 따라 중량추부(4)의 내부에 삽입된 중량추(5)의 무게로 인해 유인관부(3)의 후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로프에 매달려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유인관부(3)의 후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로프에 매달려 있는 어구본체(2)를 바닷속으로 가라앉히게 되면 중량추부(4)의 하면중앙에 형성된 직립방지용 돌출부(4a)가 해저면에 닿는 순간 어구본체(2)가 균형을 잃고 유인관부(3)의 일측면쪽으로 눕혀지게 됨에 따라 해저면에 안착되는 어구본체(2)의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가 해저면을 향하도록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놓여질 수 있게 되므로 더욱 더 용이하게 두족류를 유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는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가 보강테(7)에 의해 보강됨에 따라 해저면에 안착될 때의 충격에 의해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8)에 의해 해저면에 견고하게 안착되어 조류 등에 의해 유동하지 않게 되므로 안정적인 정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는 물보다 비중이 큰 ABS수지와 자연산 조개껍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칼페트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어구본체(2)의 비중이 증대되어 침강력과 해저면 정착력이 대폭 향상되는 동시에 자연산 조개껍질과 유사한 질감으로 자연친화성이 증대되므로 쭈꾸미의 유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를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가 개방된 상태로 해저면에 안착시켜 놓은 후 일정 시간동안 방치해두게 되면, 두족류 포획용 어구(1)를 은신처로 오인한 두족류가 두족류 포획용 어구(1)로 접근하여 유인관부(3)의 내부로 들어간 후 자신의 몸을 은신하게 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로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속된 각 두족류 포획용 어구(1)의 내부에 두족류가 들어가 편안하게 은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로프를 이용하여 두족류 포획용 어구(1)를 끌어올리게 되면, 각 두족류 포획용 어구(1)의 내부에 은신하고 있는 두족류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는 도 6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의 상부일측에 관통형성된 끈삽입공(6)에 아릿줄(20)을 묶어 중량추부(4)가 하방을 향하도록 어구본체(2)를 로프에 매달게 되면, 어획작업시 로프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를 끌어올릴 때 작업자가 아릿줄(20)에 의해 로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매달린 어구본체(2)를 손아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되므로 어획작업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8)에 의해 어구본체(2)가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어획작업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는 도 6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구본체(2)의 유인관부(3)가 전방은 개구되고 후방은 폐쇄되며 내측저면은 평탄하고 내측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만곡 형성됨에 따라, 어획작업시 어구본체(2)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끝단부가 ㄱ자형태로 구부러진 인출용 도구(30)를 이용하여 인출할 경우 어구본체(2)의 내부로 삽입한 인출용 도구(30)의 끝단부가 어구본체(2)의 내측에 전혀 걸리지 않게 되어 어구본체(2)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어구본체(2)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인출용 도구(30)에 의해 포획된 두족류가 상처를 입게 되는 일이 현저히 감소되어 어획되는 두족류가 신선한 활어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는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자연산 소라껍질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여 반영구적인 합성수지재질로 규격화된 양산이 가능하게 되므로 내구성 및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어구로써 낙지포획용이나 쭈꾸미포획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1)는 어구본체(2)의 비중을 증대시켜 침강력과 해저면 정착력을 대폭 향상시키는 동시에 자연산 소라껍질과 유사한 질감으로 자연친화성을 증대시켜 두족류의 유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어획작업시 소라껍질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끝단부가 ㄱ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인출용 도구(30)를 이용하여 인출할 경우 소라껍질의 내부로 삽입된 인출용 도구(30)의 끝단부가 나선관형상으로 된 소라껍질의 내측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어구본체(2)의 내부에 포획된 두족류를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어획되는 두족류가 신선한 활어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 두족류 포획용 어구 2 : 어구본체
2a, 2b : 어구조립부재 3 : 유인관부
3a : 전방개구부 4 : 중량추부
4a : 직립방지용 돌출부 4b : 삽입홈
5 : 중량추 6 : 끈삽입공
7 : 보강테 8 : 미끄럼방지용 돌기
9a : 결합홈 9b : 결합돌기
10 : 은폐용 덮개판 10a : 이탈방지용 끈

Claims (9)

  1. 전방은 개구되고 후방은 폐쇄되며 내측저면은 평탄하고 내측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만곡 형성되는 유인관부(3)의 하면에는 내부에 중량추(5)가 삽입되는 중량추부(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량추부(4)의 하면중앙에는 직립방지용 돌출부(4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의 상부일측에는 아릿줄이 결속되는 끈삽입공(6)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의 외주면에는 보강테(7)가 형성되는 어구본체(2)가 구비되며,
    상기 어구본체(2)는 70 ~ 80중량%의 ABS수지와 20 ~ 30중량%의 칼페트가 혼합되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본체(2)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어구조립부재(2a)(2b)로 분할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본체(2)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본체(2)의 중량추부(4)에 삽입되는 중량추(5)는 상면이 개구된 함체형상의 중량추성형용 케이스(5a)와 중량추성형용 케이스(5a)의 내부에 충전되는 중량추형성부재(5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본체(2)의 중량추부(4)에 삽입되는 중량추(5)는 상면이 개구된 함체형상의 중량추성형용 케이스(5a)와 중량추성형용 케이스(5a)의 내부에 충전되는 중량추형성부재(5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본체(2)의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일측에는 유인관부(3)의 내부로 삽입되는 은폐용 덮개판(10)이 이탈방지용 끈(10a)에 의해 매달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본체(2)의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일측에는 유인관부(3)의 내부로 삽입되는 은폐용 덮개판(10)이 이탈방지용 끈(10a)에 의해 매달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본체(2)의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일측에는 유인관부(3)의 내부로 삽입되는 은폐용 덮개판(10)이 이탈방지용 끈(10a)에 의해 매달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본체(2)의 유인관부(3)의 전방개구부(3a)일측에는 유인관부(3)의 내부로 삽입되는 은폐용 덮개판(10)이 이탈방지용 끈(10a)에 의해 매달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KR2020100007621U 2010-07-21 2010-07-21 두족류 포획용 어구 KR200459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21U KR200459187Y1 (ko) 2010-07-21 2010-07-21 두족류 포획용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21U KR200459187Y1 (ko) 2010-07-21 2010-07-21 두족류 포획용 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33U KR20120000733U (ko) 2012-02-02
KR200459187Y1 true KR200459187Y1 (ko) 2012-03-22

Family

ID=4584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621U KR200459187Y1 (ko) 2010-07-21 2010-07-21 두족류 포획용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1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65B1 (ko) 2016-11-11 2018-09-17 황정용 일체형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102003185B1 (ko) 2019-03-08 2019-07-25 주식회사 비에스해양개발 목재를 이용한 두족류 서식 및 산란장치
KR102003184B1 (ko) 2019-03-08 2019-07-25 주식회사 비에스해양개발 황토단지를 이용한 두족류 서식 및 산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169Y1 (ko) 2003-07-03 2003-09-19 주식회사 케이시알 탄산칼슘 복합재료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 어구
KR200407656Y1 (ko) 2005-11-15 2006-02-01 윤석희 두족류 포획용 인공패각
KR100819748B1 (ko) 2007-08-14 2008-04-08 손장배 두족류 포획용 인공패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169Y1 (ko) 2003-07-03 2003-09-19 주식회사 케이시알 탄산칼슘 복합재료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 어구
KR200407656Y1 (ko) 2005-11-15 2006-02-01 윤석희 두족류 포획용 인공패각
KR100819748B1 (ko) 2007-08-14 2008-04-08 손장배 두족류 포획용 인공패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65B1 (ko) 2016-11-11 2018-09-17 황정용 일체형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102003185B1 (ko) 2019-03-08 2019-07-25 주식회사 비에스해양개발 목재를 이용한 두족류 서식 및 산란장치
KR102003184B1 (ko) 2019-03-08 2019-07-25 주식회사 비에스해양개발 황토단지를 이용한 두족류 서식 및 산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33U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240B1 (ko) 낚시바늘 집
KR200459187Y1 (ko) 두족류 포획용 어구
JP2000245286A (ja) 魚類、貝類、養殖イケス、カゴ
KR101830507B1 (ko) 조립식 바다 통발
KR200432522Y1 (ko) 연체동물 주낙용 낚시구
KR200454801Y1 (ko)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200467070Y1 (ko)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101191489B1 (ko) 주꾸미 포획용 어구
KR101899565B1 (ko) 일체형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100846059B1 (ko) 두족류 포획구
KR101407741B1 (ko) 낚시용 찌
KR100760356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
KR200457823Y1 (ko)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200461745Y1 (ko) 두족류 포획용 어구
KR102237352B1 (ko) 뻘 바닥 또는 모래 바닥에 묻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패각용 주꾸미 포획어구
KR101720579B1 (ko) 족대
KR200195413Y1 (ko) 낙지 주낙용 낚시
KR200490888Y1 (ko) 공기 주머니가 구비되는 루어낚시 채비
KR20090010476U (ko) 쭈꾸미 포획용 통발식 어구
WO2006054275A2 (en) Fish trap element
KR200321173Y1 (ko)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CN208175852U (zh) 一种钓鱼用钓坠
KR100720169B1 (ko) 루어용 다기능 싱커
CN107711741A (zh) 一种无鱼钩钓鱼器
KR102317753B1 (ko) 장어통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