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099Y1 -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099Y1
KR200461099Y1 KR2020090012146U KR20090012146U KR200461099Y1 KR 200461099 Y1 KR200461099 Y1 KR 200461099Y1 KR 2020090012146 U KR2020090012146 U KR 2020090012146U KR 20090012146 U KR20090012146 U KR 20090012146U KR 200461099 Y1 KR200461099 Y1 KR 200461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ing member
coupling
elevator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892U (ko
Inventor
신동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원
Priority to KR2020090012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09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8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8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화재 발생시 승강로에 화염 및 연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에는, 엘리베이터 출입구 개방을 위하여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결합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도어 결합부가 포함되며, 상기 도어 결합부에는, 상기 제 1 도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일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제 1 도어 결합부; 및 상기 제 2 도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대응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제 2 도어 결합부가 포함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하여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화재 발생에 따른 화염이 방화 도어에 의하여 용이하게 차단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방화용 도어, 도어 결합부, 차폐부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A fireproof door for an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화재 발생시 승강로에 화염 및 연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에 구성된 수직방향의 통로(승강로) 내부에 화물 또는 승객이 탑승하는 컨테이너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컨테이너가 구동기구에 의하여 승강하도록 하는 운반용 장치이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승객의 탑승 및 하차를 위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는 상기 컨테이너에 탑승한 승객 또는 승강 대기중인 승객을 외부 충격이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며, 승객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건물등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는 화염 및 연기등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고 엘리베이터 통로 내부를 통하여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는 고온의 화염에 의하여 전후방 또는 측방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복수의 도어간에, 또는 도어와 컨테이너 이동 통로 간에 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상기한 틈을 통하여 화염이 컨테이너 내부로 유입되어 승객의 안전이 위협받게 되었고, 상기 화염이 컨테이너 승강로를 통하여 빠르게 전개되어 건물 전체가 화염에 휩싸이는 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결합력 또는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도어가 결합하는 부분의 구조를 개선하여, 화염에 의하여 상기 도어간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에는, 엘리베이터 출입구 개방을 위하여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결합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도어 결합부가 포함되며, 상기 도어 결합부에는, 상기 제 1 도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일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제 1 도어 결합부; 및 상기 제 2 도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대응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제 2 도어 결합부가 포함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하여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에 의하면, 복수의 도어가 결합되는 부분의 결합력이 향상되므로 화염등에 의하여 도어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복수의 도어간에 틈이 생기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에 의하여 화염 또는 연기의 유입이 차단되므로 엘리베이터 컨테이너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할 수 있고, 승강로를 통하여 화염이 다른 층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복수의 도어간에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도어의 장시간 사용에 따라 도어 사이에 틈이 발생하거나 예상치 않은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결국, 엘리베이터 탑승객 또는 탑승 대기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 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고안이나 본 고안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10)에는, 승객의 탑승 또는 하차를 위하여 개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 도어(100)와, 상기 승강 도어(100)의 일측에 일방향으로 결합되는 강화 브라켓(11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승강 도어(100)에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 1 도어(100a)와 제 2 도어(100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도어(100a) 및 제 2 도어(100b)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폐쇄되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 보여지는 승강 도어(100)의 면을 "전면"이라 정하고, 보이지 않는 배면을 "후면"으로 정한다. 이 경우, 도 1의 승강 도어(100)에 대한 앞쪽 방향을 "전방", 뒷쪽 방향을 "후방"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강화 브라켓(110)은 상기 승강 도어(100)의 일면에 가로 방향으로 덧대어지며, 접착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승강 도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강화 브라켓(110)은 상기 승강 도어(100)가 소정 방향으로 휘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승강 도어(100)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화용 도어(10)에는, 상기 승강 도어(10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 도어(100)의 양측 공간이 외부에 대하여 차폐되도록 하는 차폐부(120)가 포함된다. 상기 차폐부(120)는 상기 승강 도어(100)의 양측단으로부터 대략 "ㄷ"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승강 도어(100)의 하측에는, 상기 승강 도어(100)의 좌우 이동을 가이 드 하는 가이드부(150)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승강 도어(1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소정 부분이 함몰되는 홈(미도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승강 도어(100)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100a) 및 제 2 도어(100b)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50)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도어(100a) 및 제 2 도어(100b)의 탈선이 방지되도록 하는 탈선 방지 브라켓(180)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탈선 방지 브라켓(18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탈선 방지 브라켓(180)이 수용되는 브라켓 고정부(160)가 제공된다. 상기 브라켓 고정부(160)는 상기 제 1 도어(100a) 및 제 2 도어(100b)가 맞닿는 부분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탈선 방지 브라켓(180)과 브라켓 고정부(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방화용 도어(10)에는, 상기 제 1 도어(100a) 및 제 2 도어(100b)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100a,100b)간에 결합되는 영역을 구성하는 도어 결합부(200)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결합부(200)에는, 상기 제 1 도어(100a)측에 제공되는 제 1 도어 결합부(210)와, 상기 제 2 도어(100b) 측에 제공되는 제 2 도어 결합부(2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도어 결합부(210) 및 제 2 도어 결합부(220)는 상기 제 1 도어(100a)와 제 2 도어(100b)가 맞닿는 부분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00a) 및 제 2 도어(100b)는 상기 도어 결합부(210,220)에 의하여 결합력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결합부(210,22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도어 결합부(210)에는,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다수 회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제 1 결합부재(211)와, 제 2 결합부재(215) 및 제 3 결합부재(217)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결합부재(211)에는, 상기 제 1 도어(100a)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면(211a)과, 상기 제 1 도어(100a)의 전면에 대응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전면부(211b)가 포함된다. 상기 결합 전면부(211b)는 상기 제 1 경사면(211a)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도어(100a)의 측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재(215)에는, 상기 제 1 도어(100a)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경사면(215a)과, 상기 제 1 도어(100a)의 후면에 대응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후면부(215b)가 포함된다. 상기 결합 후면부(215b)는 상기 제 2 경사면(215a)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결합부재(217)는 상기 제 1 결합부재(211)와 제 2 결합부재(215)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결합부재(217)는 제 1 결합부재(211) 및 제 2 결합부재(215)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재(211) 및 제 2 결합부재(215)의 면들과 대응되는 면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3 결합부재(217)에는, 상기 결합 전면부(211b) 및 결합 후면부(215b)에 각각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결합부재(217)는 상기 제 1 결합부재(211) 및 제 2 결합부재(215)에 접착등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재(211) 및 제 2 결합부재(215) 또한 서로 접착되는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재(215)에는 접착을 위한 제 1 접착면(218)이 포함된다. 별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1 결합부재(211)에는 상기 제 1 접착면(218)과 대응되는 접착면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 결합부(220)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재(211) 및 제 2 결합부재(215)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4 결합부재(221) 및 제 5 결합부재(225)와, 상기 제 4,5 결합부재(221,225)에 결합되는 제 6 결합부재(227)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4 결합부재(221)에는, 상기 제 1 경사면(211a)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제 1 경사 대응면(221a) 및 상기 제 1 경사 대응면(221a)으로부터 상기 제 2 도어(100b)의 측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는 전면 대응부(221b)가 포함된다.
상기 승강 도어(100)가 닫혀진 상태, 즉 상기 제 1 도어(100a)와 제 2 도어(10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경사면(211a)과 제 1 경사 대응면(221a)은 서로 맞닿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경사면(211a)과 제 1 경사 대응면(221a)의 길이와 연장 방향은 서로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면(211a)과 제 1 경사 대응면(221a)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 전면부(211b) 및 전면 대응부(221b)는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경사 대응면(221a)과 전면 대응부(221b)가 이루는 각도가 α라고 하면, 상기 제 1 경사면(211a)과 결합 전면부(211b)가 이루는 각도는 180°-α가 된다.
여기서, 상기 α는 90°미만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α는 대략 70°~ 75°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4 결합부재(221)는 상기 제 2 도어(100b)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경사면(211a)과 결합 전면부(211b)가 이루는 각도는 105°~ 110°의 범위에서 형성될 것이다.
상기 α가 90도의 각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재(211)와 제 4 결합부재(221)의 맞닿는 면이 상기 승강 도어(100)의 전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데, 이 때 외부로부터 소정의 힘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도어(100a,100b)가 서로 슬라이딩 되면서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0a,100b)가 서로 비틀어지는 경우, 상기 도어(100a,100b)간에는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 틈을 통하여 화염등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α가 90도 미만으로 형성되어, 경사면이 도어의 직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지 않고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한편, 제 2 결합부재(217)와 제 5 결합부재(225)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215a,225a) 또한 제 1 결합부재(211) 및 제 4 결합부재(221)에서 설명한 구성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경사면(215a)과 제 2 경사 대응면(225a)의 길이와 연장 방향은 서로 대응된다.
즉, 상기 제 2 경사면(215a)과 결합 후면부(215b)가 이루는 각도가 β라고 하면, 상기 제 2 경사 대응면(225a)과 후면 대응부(225b)가 이루는 각도는 180°-β가 된다.
여기서, 상기 β는 90°미만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β는 대략 70°~ 75°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결합부재(221)는 상기 제 1 도어(100a)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β가 90도의 각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α가 90도인 경우의 문제점과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β가 90도 미만으로 형성되어, 경사면이 도어의 직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지 않고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경사면(215a)과 제 2 경사 대응면(225a)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 후면부(215b)와 후면 대응부(225b)는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α,β가 90도 미만의 값을 가지게 되어, 상기 경사면(211a,215a) 및 경사 대응면(221a,225a)이 하부로부터 좌측 상방을 향하여 연장 되도록 도시된다.
반면에, 이와는 달리 α,β가 90도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되어, 상기 경사면 및 경사 대응면이 하부로부터 우측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용이하게 짐작 가능하다. 즉, 상기 도어 결합부(210,220)가 도 4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지는 방향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 6 결합부재(227)에는 제 4 결합부재(221)과 접착되기 위한 제 2 접착면(228)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4 결합부재(221)에는 상기 제 2 접착면(228)과 접착되는 접착면(도면번호 미부여)가 포함된다. 이 외에,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지는 않지만, 상기 제 4,5,6 결합부재(221,225,227)에는 상호 접착을 위한 다수의 접착면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탈선방지 브라켓 및 브라켓 고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탈선 방지 브라켓(180)에는, 상기 제 1 도어(100a)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방지 브라켓(181)과, 상기 제 2 도어(100b)로부터 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방지 브라켓(182)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지 브라켓(181) 및 제 2 방지 브라켓(182)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100a)와 제 2 도어(100b)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방지 브라켓(181) 및 제 2 방지 브라켓(182)이 고정되도록 하는 브라켓 고정부(160)가 제공된다. 상기 브라켓 고정부(160)에는, 상기 제 1,2 방지 브라켓(181,182)이 수 용되는 다수의 수용홈(16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도어(110a) 및 제 2 도어(100b)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방지 브라켓(181) 및 제 2 방지 브라켓(182)은 상기 수용홈(161)에 각각 수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도어(100a) 및 제 2 도어(100b)의 탈선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도어(100)에는, 승객의 탑승을 위하여 형성되는 출입구 형성부(30)와 상기 승강 도어(100)의 사이에서 이격되는 공간이 차폐되도록 하는 차폐부(120)가 제공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출입구 형성부(30)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차폐부(1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차폐 대응부(35)가 제공된다.
상기 차폐부(120) 및 차폐 대응부(35)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승강 도어(100)와 출입구 형성부(30)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에 따른 화염이 상기 승강 도어(100)를 통하여 컨테이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00a)와 제 2 도어(100b)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승강 도어(100)가 닫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100a,100b)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후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 1 경사면(211a)과 제 1 경 사 대응면(221a)는 서로 맞닿게 되며, 상기 제 2 경사면(215a)은 상기 제 2 경사 대응면(225a)와 맞닿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211a,215a)과 경사 대응면(221a,225a)은 상기 도어(100a,100b)의 전후방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화재 발생에 따른 화염이 승강 도어(100)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 1 도어(100a) 및 제 2 도어(100b)의 비틀림에 따라 도어(100a,100b)간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국,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화염 및 연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 도어(100)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100a,10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탈선방지 브라켓 및 브라켓 고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16)

  1. 엘리베이터 출입구 개방을 위하여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결합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도어 결합부가 포함되며,
    상기 도어 결합부에는,
    상기 제 1 도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경사면을 가지는 제 1 결합부재 및 제 2 경사면을 가지는 제 2 결합부재가 포함되는 제 1 도어 결합부; 및
    상기 제 2 도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제 1 경사 대응면을 가지는 제 4 결합부재 및 제 2 경사 대응면을 가지는 제 5 결합부재가 포함되는 제 2 도어 결합부가 포함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하여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 결합부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제 2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제 3 결합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 2 도어 결합부에는 상기 제 4 결합부재 및 제 5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제 6 결합부재가 더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재, 제 2 결합부재 및 제 3 결합부재는 접착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재에는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대응하여 연장되는 결합 전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재에는 상기 제 1 도어의 후면에 대응하여 연장되는 결합 후면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 전면부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전면 대응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5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 후면부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후면 대응부가 더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결합 전면부에 대하여 90도보다 큰 각도를 이루며, 상기 제 2 경사면은 상기 결합 후면부에 대하여 9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경사면과 상기 제 1,2 경사 대응면의 길이는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측단부에는,
    화염 전파가 차단되도록 하는 차폐부가 제공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에는,
    휘는 현상을 방지하고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강화 브라켓이 제공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에는,
    상기 제 1,2 도어의 탈선이 방지되도록 하는 탈선방지 브라켓이 각각 제공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탈선방지 브라켓에는,
    상기 제 1 도어에 제공되며,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방지 브라켓; 및
    상기 제 2 도어에 제공되며, 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방지 브라켓이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지 브라켓 및 제 2 방지 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도어의 하측에는 상기 탈선방지 브라켓이 고정되도록 하는 브라켓 고정부가 제공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고정부에는,
    상기 제 1 방지 브라켓 및 제 2 방지 브라켓이 수용되는 수용 홈이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KR2020090012146U 2009-09-16 2009-09-16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KR200461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146U KR200461099Y1 (ko) 2009-09-16 2009-09-16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146U KR200461099Y1 (ko) 2009-09-16 2009-09-16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92U KR20110002892U (ko) 2011-03-23
KR200461099Y1 true KR200461099Y1 (ko) 2012-06-22

Family

ID=4420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146U KR200461099Y1 (ko) 2009-09-16 2009-09-16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09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5844A2 (en) * 1983-05-03 1984-11-21 Catheter Technology Corporation Valved two-way catheter
JPS60109482A (ja) * 1983-11-18 1985-06-1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用扉
JP2003012256A (ja) * 2001-06-29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の引き戸装置
KR20080013833A (ko) * 2007-09-21 2008-02-1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용 도어 가이드 장치 및 이를포함한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5844A2 (en) * 1983-05-03 1984-11-21 Catheter Technology Corporation Valved two-way catheter
JPS60109482A (ja) * 1983-11-18 1985-06-1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用扉
JP2003012256A (ja) * 2001-06-29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の引き戸装置
KR20080013833A (ko) * 2007-09-21 2008-02-1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용 도어 가이드 장치 및 이를포함한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92U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7072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の引き戸装置
KR100921713B1 (ko)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200461099Y1 (ko)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JP487671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708836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72500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移動規制具
KR20100104101A (ko)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
KR200476513Y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JP6054482B1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
JP5692791B2 (ja) エレベータ乗り場装置
JP5174897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装置
KR100711636B1 (ko) 화염차단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도어
KR100937718B1 (ko)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JPH01197296A (ja) エレベータ扉
KR102252988B1 (ko) 엘리베이터 도어
CN112424107B (zh) 电梯的层站出入口装置
KR20110100818A (ko) 엘리베이터 도어
KR101048808B1 (ko)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센터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KR101633051B1 (ko) 승강장 안전바
KR100455501B1 (ko)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KR101351071B1 (ko)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JP2003012258A (ja) エレベーター乗場の引き戸装置
WO2020105073A1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側ドア装置
KR101206703B1 (ko) 엘리베이터 방화도어의 열 차단 구조
TWI646037B (zh) 配置隔絕元件的電梯門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