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988B1 - 엘리베이터 도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988B1
KR102252988B1 KR1020190034274A KR20190034274A KR102252988B1 KR 102252988 B1 KR102252988 B1 KR 102252988B1 KR 1020190034274 A KR1020190034274 A KR 1020190034274A KR 20190034274 A KR20190034274 A KR 20190034274A KR 102252988 B1 KR102252988 B1 KR 102252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door body
elev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709A (ko
Inventor
이호철
Original Assignee
(주) 현대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현대기업 filed Critical (주) 현대기업
Priority to KR102019003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98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정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의 외면과,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 수단의 외면을 일치시켜 손 끼임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에 있어서, 도어 본체; 상기 도어 본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도어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도어 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과 상기 프레임의 외면이 일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고정수단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승강하면서 사람 및 화물을 원하는 소정의 층까지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건물의 고층화에 따라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정성과 승차감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한층 더 강화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는 열림 및 닫힘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형성된 틈에 손 끼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이 빈번한 문제가 있다.
국내 승강기 안전기준에 관한 규정에 의하면, 수평 개폐식 승강장 도어의 경우 문짝 사이 틈새 및 문설주 사이의 틈새를 5mm이하로 하거나, 문틈이나 문짝과 문설주 사이 틈새에 어린이의 손이 끼이거나 끌려 들어가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손가락 끼임을 감지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거나 틈새를 보완할 수 있는 재질, 예건대 고무재질 등을 추가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엘리베이터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표면 장식을 위한 장식판이 설치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에 설치되는 장식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의 형성된 틈(d')이 5mm 보다 커지게 되어, 손 등의 끼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정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의 외면과,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 수단의 외면을 일치시켜 벽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거리를 좁힐 수 있고, 이를 통해, 손 끼임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에 있어서, 도어 본체; 상기 도어 본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도어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도어 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과 상기 프레임의 외면이 일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본체의 정면과 마주보는 내면과, 상기 내면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상기 외면과,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면은 상기 외면으로부터 상기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면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측면을 연결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도어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측면과 면접촉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제1 및 제2면과 면접촉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은 상기 플레이트의 제1 및 제2면의 길이의 합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제2면의 상기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는 엘리베이터 정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의 외면과,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 수단의 외면을 일치시켜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의 틈에 손 등의 끼임을 방지하여 안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10)는 도어 본체(100), 플레이트(200),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10)는 도어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본체(10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도어 본체(100)가 건물의 각 층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어 본체(10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10)가 개폐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10)는 수평 개폐식 엘리베이터 도어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상하 개폐식 등 다양한 형태의 엘리베이터 도어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좌측 도어 본체(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도어(10)는 플레이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도어 본체(1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200)는 엘리베이터의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해 대기 중에 바라보는 면인 도어 본체(10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프레임(300)에 의해 도어 본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200)의 양단부에 프레임(300)이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가 프레임(300)에 의해 도어 본체(100)의 정면에 결합될 때, 플레이트(200)의 외면(210)과 프레임(300)의 외면(310)은 일치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200)의 외면(210)과 프레임(300)의 외면(310)은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 본체(100)의 정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00)와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외측에 배치된 벽체(20)와의 틈이 5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표면에 다양한 색채, 무늬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 또는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플레이트(2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대표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투명하고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설치 또는 이동 중에 파손 염려가 적고, 외부 충격에 잘 견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플레이트(200)는 엘리베이터의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 중에 바라보는 면인 외면(210)과, 플레이트(200)의 외면(210)으로부터 도어 본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면(220)과, 제1면(220)에서 도어 본체(100)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230)과, 제2면(230)으로부터 도어 본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24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200)는 도어 본체(100)의 정면과 마주보는 내면과, 내면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외면(210)과, 외면(210)과 내면을 연결하는 측면(240)을 포함하고, 외면(210)은 외면(210)으로부터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240)과 평행한 제1면(220)과, 제1면(220)과 측면(240)을 연결하는 제2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200)는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00)의 양 단부는 모두 제1면(220), 제2면(230) 및 측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10)는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플레이트(200)를 도어 본체(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300)은 플레이트(200)의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프레임(300)은 형상이 상이할 수 있으나, 플레이트(200)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프레임(300)이 플레이트(200)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도어 본체(100)에 플레이트(200)가 고정됐을 때, 프레임(300)의 외면(310)과 플레이트(200)의 외면(210)은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300)과 플레이트(200)가 맞닿는 부분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0)의 외면(310)과 플레이트(200)의 외면(210)이 일치하여, 요홈 등과 같은 패인 부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200)의 외면(210)으로부터 벽체(20)까지의 이격 거리(d)가 좁아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승강기 안전기준에 관한 규정에서 고시한 5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사용자의 손 끼임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도어 본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볼트결합, 후크결합, 끼움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방식에 따라, 프레임(300)과 도어 본체(100)에는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도어 본체(100)과 결합하는 면을 포함하는 결합부(32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20)는 플레이트(200)의 측면(240)과 면접촉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320)와 측면(240)의 면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20)의 내측면의 면적은 측면(240)의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320)와 측면(240)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00)은 결합부(32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30)은 결합부(320)로부터 플레이트(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30)는 결합부(320)의 적어도 일부에서 플레이트(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30)는 플레이트(200)의 제1 및 제2면(220, 230)과 면접촉될 수 있다. 연장부(330)와 제1 및 제2면(220, 230)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300)의 외면(310)과 플레이트(200)의 외면(210)이 평탄하게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도어(10)와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벽체(20) 사이의 이격 거리(d)를 좁힐 수 있다.
프레임(300)의 외측면(340)의 길이는 플레이트(200)의 제1면(220) 및 제2면(230)의 길이의 합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면(220)의 길이란, 플레이트(200)의 외면(210)으로부터 내면을 향하는 방향의 길이로서, 플레이트(200)의 제2면(230)까지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제2면(230)의 길이란, 플레이트(200)의 제1면(220)과 측면(240)사이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300)이 플레이트(200)를 고정하기 위해 도어 본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프레임(300)의 외면(310)과 플레이트(200)의 외면(210)이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1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10)와 플레이트(200) 및 프레임(300)의 형상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레이트(200)는 도어 본체(100)의 정면과 마주보는 내면과, 내면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외면(210)과, 내면과 외면(210)을 연결하는 측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면(210)은 외면(210)으로부터 측면(2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면(220)과, 제1면(220)으로부터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2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면(230)은 상기 제1면(220)에서 상기 프레임(300)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00)은 플레이트(200)를 도어 본체(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도어 본체(100)의 정면과 결합하는 결합부(320)와, 결합부(32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330)는 플레이트(200)의 제1 및 제2면(220, 230)과 면접촉될 수 있다. 즉, 연장부(330)는 제1 및 제2면(220, 230)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면인 제2면(230)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200)는 도어 본체(100)의 정면과 마주보는 내면과, 내면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외면(210)과, 내면과 외면(210)을 연결하는 측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면(210)은 외면(210)으로부터 측면(2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면(220)과, 제1면(220)에서 도어 본체(100)의 정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면(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300)은 도어 본체(100)에 결합되는 결합부(320)와, 결합부(320)에서 플레이트(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30)를 포함하며, 연장부(330)는 플레이트(200)의 제1 및 제2면(220, 230)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330)는 제2면(230)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면접촉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레이트(200)는 도어 본체(100)의 정면과 마주보는 내면과, 내면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외면(210)과, 내면과 외면(210)을 연결하는 측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면(210)은 외면(210)으로부터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면(220)과, 제1면(220)에서 측면(2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2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면(230)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홈의 형상을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도어 본체(100)에 결합되는 결합부(320)와, 결합부(320)에서 플레이트(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330)는 플레이트(200)의 제1 및 제2면(220, 230)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면(230)에 형성되는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는 홈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는,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홈과,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300)의 돌기가 서로 맞물려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플레이트(200)가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어 본체(100)에 프레임(30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등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10) 역시, 플레이트(200)의 외면(210)과, 플레이트(200)를 도어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프레임(300)의 외면(310)이 일치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200)의 외면(210)과 프레임(300)의 외면(310)이 평탄하게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레이트(200)의 외면(210)과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벽체(20) 사이의 이격 거리(d)가 좁아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 끼임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엘리베이터 도어 20: 벽체
100: 도어 본체 200: 플레이트
210: 플레이트의 외면 220: 제1면
230: 제2면 240: 측면
300: 프레임 310: 프레임의 외면
320: 결합부 330: 연장부
340: 프레임의 외측면

Claims (8)

  1. 도어 본체;
    상기 도어 본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도어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도어 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과 상기 프레임의 외면이 일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본체의 정면과 마주보는 내면과, 상기 내면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외면과,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면은 상기 외면으로부터 상기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면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측면을 연결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도어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측면과 면접촉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제1 및 제2면과 면접촉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제2면의 상기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좌우 대칭인 엘리베이터 도어.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은 상기 플레이트의 제1 및 제2면의 길이의 합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7. 삭제
  8. 삭제
KR1020190034274A 2019-03-26 2019-03-26 엘리베이터 도어 KR10225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74A KR102252988B1 (ko) 2019-03-26 2019-03-26 엘리베이터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74A KR102252988B1 (ko) 2019-03-26 2019-03-26 엘리베이터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09A KR20200113709A (ko) 2020-10-07
KR102252988B1 true KR102252988B1 (ko) 2021-05-17

Family

ID=7288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274A KR102252988B1 (ko) 2019-03-26 2019-03-26 엘리베이터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794B1 (ko) * 2020-12-31 2021-09-13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안전 기능이 강화된 엘리베이터용 전망 평면 유리도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9146B2 (ja) * 1996-06-14 2004-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窓付扉
JP2006124040A (ja) * 2004-10-26 2006-05-18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ガラス窓付きドア
CN201614217U (zh) 2010-02-04 2010-10-27 铃木电梯(中国)有限公司 安装有透明视窗的电梯门
JP2011136775A (ja) 2009-12-25 2011-07-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2015131724A (ja) 2014-01-15 2015-07-2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窓ガラス付きドアパネル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1602606B1 (ko) 2015-07-01 2016-03-10 박윤규 엘리베이터용 도어
KR101619947B1 (ko) 2016-04-18 2016-05-11 신우하이테크(주) 엘리베이터 도어의 보호패널 고정구조 및 방법
JP6047887B2 (ja) 2012-02-21 2016-12-21 Fdk株式会社 チョークコイル
KR101827679B1 (ko) * 2017-06-20 2018-02-08 이창근 전망용 창의 단차가 제거된 엘리베이터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491B1 (ko) * 2015-11-30 2022-08-10 윤일식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9146B2 (ja) * 1996-06-14 2004-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窓付扉
JP2006124040A (ja) * 2004-10-26 2006-05-18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ガラス窓付きドア
JP2011136775A (ja) 2009-12-25 2011-07-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CN201614217U (zh) 2010-02-04 2010-10-27 铃木电梯(中国)有限公司 安装有透明视窗的电梯门
JP6047887B2 (ja) 2012-02-21 2016-12-21 Fdk株式会社 チョークコイル
JP2015131724A (ja) 2014-01-15 2015-07-2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窓ガラス付きドアパネル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1602606B1 (ko) 2015-07-01 2016-03-10 박윤규 엘리베이터용 도어
KR101619947B1 (ko) 2016-04-18 2016-05-11 신우하이테크(주) 엘리베이터 도어의 보호패널 고정구조 및 방법
KR101827679B1 (ko) * 2017-06-20 2018-02-08 이창근 전망용 창의 단차가 제거된 엘리베이터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09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0605C2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легкими стеклопанелями
WO2013180441A1 (en) Double sliding window
KR20200037052A (ko) 손가락 끼임 보호용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방문 구조
KR102252988B1 (ko) 엘리베이터 도어
KR20130012366A (ko) 유리문용 잠금장치
US8083271B2 (en) Window lock and sash
KR101213121B1 (ko) 안전도어
ITBO20080381A1 (it) Infisso scorrevole.
KR101974193B1 (ko) 슬라이딩도어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US20150368956A1 (en) Sliding sash secondary lock
KR20220019507A (ko)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KR101133264B1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KR101566683B1 (ko) 도어 안전장치
KR101993032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2347346B1 (ko)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KR200332674Y1 (ko)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JP2005145610A (ja) エレベータのエプロン装置
KR20170048113A (ko) 문틀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비상문
JP5312245B2 (ja) 自動開閉ドアにおける手指等の挟み事故防止装置
KR100880621B1 (ko) 미닫이식 안전 창문
KR100914747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2243115B1 (ko) 양문형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2278145B1 (ko) 미닫이 도어 및 도어 손잡이
KR200490535Y1 (ko) 손 끼임 방지 문짝
KR102357408B1 (ko) 손끼임 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41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220

Effective date: 20201103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