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366A - 유리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유리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366A
KR20130012366A KR1020110073518A KR20110073518A KR20130012366A KR 20130012366 A KR20130012366 A KR 20130012366A KR 1020110073518 A KR1020110073518 A KR 1020110073518A KR 20110073518 A KR20110073518 A KR 20110073518A KR 20130012366 A KR20130012366 A KR 20130012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glass door
locking piece
ba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000B1 (ko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102011007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0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문(1)의 보호와 함께 손 끼임을 방지하는 안전바(2)를 구비한 프레임(P) 상에 장착되어 괘ㆍ해정하는 잠금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프레임(P)상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유리문(1)을 개폐하는 괘정바(11)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키실린더(21)와 함께 손잡이레버(25)를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록킹유니트(2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유니트(20)와 연동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괘정바(11)를 작동시키는 제1잠금편(30); 및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유니트(20)와 연동하여 안전바(2)를 고정시키는 제2잠금편(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설치에 있어 잠금장치를 유리문의 중앙으로 위치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 개방시 안전바를 자유롭게 출몰시켜 바람이나 먼지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출입자의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폐쇄시 유리문을 괘정함과 함께 안전바를 함몰되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시켜 외부로부터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문용 잠금장치{Glass 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유리문의 보호와 함께 손 끼임을 방지하는 안전바를 구비한 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괘ㆍ해정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에 있어 잠금장치를 유리문의 중앙으로 위치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 개방시 안전바를 자유롭게 출몰시켜 바람이나 먼지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출입자의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폐쇄시 유리문을 괘정함과 함께 안전바를 함몰되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시켜 외부로부터 침입을 방지하는 유리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유리 기술의 발달에 따라 근래 건축물에서 유리재질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며 소형의 창문은 물론 대형의 출입구 도어에 이르기까지 관심과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다. 즉, 유리문은 투명한 특성으로 인해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음은 물론 내부에서도 외부를 볼 수 있으므로 각종 건물의 출입구용 문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유리문은 미관뿐만 아니라 강도와 단열성에 있어서도 기존의 도어에 크게 뒤지지 않아 선호도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강화 유리를 이용하더라도 상부와 하부에만 단순구조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소지가 있고 특히, 부득이하게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주위에 사람이 크게 다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아울러, 유리문에는 사용자(특히 어린이)의 손이나 지팡이, 우산 등이 사이에 끼어 부상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등의 폐단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유리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게 요구되는 실정에 이르렀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8010호의 "유리문 프레임 안전보호대"에 의하면, 세로프레임(30)과 가로프레임(4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도어프레임(100)과; 가로프레임(40) 측방으로 내측에서 세로로 길게 좌우측에 2개씩 돌출되는 레일돌기(32)와, 홈을 형성하도록 전방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돌기(33)들이 형성시키는 가이드홈(31); 상기 가이드홈(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전방으로는 보호브러시(11)가 형성되고 "ㄷ"자형의 단면을 가진 몸체(13)와, 상기 "ㄷ"자형 몸체(13)의 끝단에 외부로 꺽어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2)를 가진 보호구(10)와; …중략… 상기 측판(62)의 후방으로 쐐기의 형태로 돌출된 끼움돌기(63)가 세로프레임(30)의 레일돌기(32)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부커버판(60);이 결합되어, 도어 사이로 손가락이 끼이게 되면, 상기 가이드홈(31)의 내측으로 보호구(10)가 가이드홈(31)을 타고 들어가며 사이에 낀 손가락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프레임 안전보호대를 제안하고 있다.
다른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9344호의 "유리문 안전장치"에 의하면, 유리문의 서로 맞닿는 유리의 모서리에 한쪽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와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고 이동대에 고정대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고정대의 양쪽 옆면에 조립되는 한쌍의 마감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이동대에 삽입되고 "V", "U", "W"형상 및 "V" 및 "U" 형상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부와, 상기 제1탄성부의 한쪽 끝부분에서 원호형상으로 고정대쪽으로 연장되고 끝부분은 원형상으로 굽어져 곡면이 고정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탄성부로 이루어지는 유리문 안전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유리문(1)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프레임(P)을 형성하여 유리문(1)의 강도를 대폭 증대시키고 나아가 파손시 그 여파를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부상을 억제하면서 유리문(1)의 측면에 프레임(P)으로부터 출몰하는 안전바(2)를 구비하여 사용자(특히 어린이)의 손이나 지팡이, 우산 등이 사이에 끼어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안전바(2)는 일측으로 노출되는 모헤어(2a)를 구비하여 개방시에 안전바(2)상에 어떠한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선 스프링(S)에 의해 돌출되어 바람이나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고 손이나 지팡이, 우산 등이 끼어 힘이 가한 상태에선 함몰되어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하지만, 상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유리문의 구성이라도 출입구를 폐쇄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구성이 전혀 없고 종래에 잠금장치를 그대로 적용하기 때문에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잠금장치를 유리문의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키가 작은 사용자는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 사다리 등을 놓고 괘ㆍ해정시켜야 됨에 따라 사용에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리문을 잠금장치를 통하여 괘정시켜 폐쇄하더라도 안전바의 출몰 간격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외부에서 안전바를 임의로 함몰시키고, 그 사이로 손을 내부에 넣어 잠금장치에 구비된 레버를 통해 해정시켜 유리문을 비교적 쉽게 개방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8010호 "유리문 프레임 안전보호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9344호 "유리문 안전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에 있어 잠금장치를 유리문의 중앙으로 위치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 개방시 안전바를 자유롭게 출몰시켜 바람이나 먼지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출입자의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폐쇄시 유리문을 괘정함과 함께 안전바를 함몰되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시켜 외부로부터 침입을 방지하는 유리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리문의 보호와 함께 손 끼임을 방지하는 안전바를 구비한 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괘ㆍ해정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상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유리문을 개폐하는 괘정바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키실린더와 함께 손잡이레버를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록킹유니트;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유니트와 연동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괘정바를 작동시키는 제1잠금편;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유니트와 연동하여 안전바를 고정시키는 제2잠금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록킹유니트는 키실린더 또는 손잡이레버에 의해 회동되는 제1잠금편을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맞물리는 승강돌부와 함께 제2잠금편을 좌우로 슬라이드 되도록 맞물리는 유동돌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잠금편은 록킹유니트의 승강돌부와 맞물리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일단에 괘정바를 결합하는 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2잠금편은 록킹유니트의 유동돌부와 맞물리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본체상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2잠금편은 안전바의 후면을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그 형상이 일자형 또는 절곡형 중에서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리문용 잠금장치는 설치에 있어 잠금장치를 유리문의 중앙으로 위치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 개방시 안전바를 자유롭게 출몰시켜 바람이나 먼지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출입자의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폐쇄시 유리문을 괘정함과 함께 안전바를 함몰되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시켜 외부로부터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가 유리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유리문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전체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잠금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유리문의 개방 상태에서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유리문의 폐쇄 상태에서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리문(1)의 보호와 함께 손 끼임을 방지하는 안전바(2)를 구비한 프레임(P) 상에 장착되어 괘ㆍ해정하는 잠금장치와 관련되며, 그 구성으로는 본체(10)와 록킹유니트(20) 및 제1ㆍ2잠금편(30)(4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유리문용 잠금장치에 관 한다.
이때, 도 1과 같이 유리문(1)은 테두리 전체에 걸쳐 프레임(P)을 형성하여 유리문(1)의 강도를 대폭 증대시키고 나아가 파손시에도 그 여파를 최소한 감소시켜 부상을 억제함과 동시에 유리문(1)의 측면에 프레임(P)으로부터 출몰하는 안전바(2)를 구비하여 사용자(특히 어린이)의 손이나 지팡이, 우산 등이 사이에 끼어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여기서, 안전바(2)는 일측으로 노출되는 모헤어(2a)를 구비하여 개방시에 안전바(2)상에 어떠한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선 스프링(S)에 의해 돌출되어 바람이나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고 손이나 지팡이, 우산 등이 끼어 힘이 가한 상태에선 함몰되어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한편, 본원발명의 잠금장치는 전술한 유리문(1) 구조에만 적용되는 것에 국한하지 않으며 이밖에 다양한 구조를 지닌 유리문(1)에 적용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상기 프레임(P)상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유리문(1)을 개폐하는 괘정바(11)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록킹유니트(20) 및 제1ㆍ2잠금편(30)(40)을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프레임(P)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바(Bar)타입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구애받지 않고 조작이 가능하도록 프레임(P)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0)는 유리문(1)을 개폐하기 위한 괘정바(11)를 구비한다.
여기서 괘정바(11)는 본체(10)를 기준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설치되며, 본체(10)와 함께 프레임(P)의 내부에 설치되지만 프레임(P) 상측 또는 하측으로 출몰하며 유리문(1)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측 또는 하측 괘정바(11)의 상단 또는 하단을 지지하도록 프레임(P) 상에 안내대(도면미도시)가 설치된다. 안내대는 괘정바(11)를 1점 또는 2점 이상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괘정바(11)의 원활한 승하강을 위해 부싱 역할을 수행하는 안내링(도면미도시)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록킹유니트(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키실린더(21)와 함께 손잡이레버(25)를 연동하도록 연결된다. 록킹유니트(20)는 유리문(1)을 실질적으로 개폐되도록 작동하는 것으로, 본체(10)의 내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록킹유니트(20)는 일측과 타측으로 돌출된 회전축을 구비하고, 이러한 회전축은 본체(10)에 형성된 회전공에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도 2 및 3과 같이, 록킹유니트(20)의 회전축은 본체(10)의 일측과 타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데 일측으로 키실린더(21)와 결합되어 키와 함께 연동하여 작동하게 되고, 타측으로 손잡이레버(25)와 결합되어 사용자로부터 연동하여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키실린더(21)와 손잡이레버(25)는 프레임(P)의 외부에서 장착되어 사용자가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잠금편(3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유니트(20)와 연동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괘정바(11)를 작동시킨다. 제1잠금편(30)은 도 3과 같이, 록킹유니트(20)와 연동하여 유리문(1)을 개폐하도록 괘정바(11)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잠금편(30)은 상단에 괘정바(11)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0)의 내부에서 록킹유니트(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준다. 그리고 제1잠금편(30)은 본체(10)의 내부에서 보다 원활하게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바(Bar)타입으로 형성되고, 상하 슬라이드 범위를 제안하는 스토퍼홈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잠금편(30)은 본체(10)의 내부에서 프레임(P)상에 괘정바(11)의 위치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잠금편(40)은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유니트(20)와 연동하여 안전바(2)를 고정시킨다. 제2잠금편(40)은 도 3과 같이, 록킹유니트(20)와 연동하여 안전바(2)를 프레임(P)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외부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2잠금편(40)은 본체(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0)의 내부에서 록킹유니트(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준다. 그리고 제2잠금편(40)은 본체(10)의 외부에서 보다 원활하게 좌우로 슬라이드 되도록 밀편타입으로 형성되고, 좌우 슬라이드 범위를 제안하는 스토퍼돌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잠금편(40)은 형상에 따라 본체(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어느 한 면에만 구비할 수도 있고, 양면으로 모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록킹유니트(20)는 키실린더(21) 또는 손잡이레버(25)에 의해 회동되는 제1잠금편(30)을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맞물리는 승강돌부(20a)와 함께 제2잠금편(40)을 좌우로 슬라이드 되도록 맞물리는 유동돌부(20b)를 각각 구비한다. 록킹유니트(20)는 언급한 바와 같이, 키실린더(21) 또는 손잡이레버(25)에 의해 회전운동을 수행하고 제1잠금편(30) 및 제2잠금편(40)과 연동하여 유리문(1)을 실질적으로 개폐되도록 유도한다.
도 3과 같이, 록킹유니트(20)의 내측에는 제1잠금편(30)을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맞물리는 승강돌부(20a)를 구비하고 외측에는 제2잠금편(40)을 좌우로 슬라이드 되도록 맞물리는 유동돌부(20b)를 구비한다. 즉, 록킹유니트(20)의 승강돌부(20a)는 제1잠금편(30)과 함께 본체(10)의 내부로 위치하고 유동돌부(20b)는 제2잠금편(40)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위치한다. 따라서 록킹유니트(20)가 키실린더(21) 또는 손잡이레버(25)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승강돌부(20a)가 제1잠금편(30)을 승하강시킴과 동시에 유동돌부(20b)가 제2잠금편(40)을 좌우로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1잠금편(30)은 록킹유니트(20)의 승강돌부(20a)와 맞물리는 걸림홈(31)을 구비하고, 일단에 괘정바(11)를 결합하는 체결홈(32)을 구비한다. 제1잠금편(30)은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괘정바(11)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록킹유니트(20)의 승강돌부(20a)와 맞물리는 걸림홈(31)과 괘정바(11)를 결합하는 체결홈(32)을 구비한다.
도 3과 같이, 제1잠금편(30)은 록킹유니트(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걸림홈(31)을 구비한다. 이러한 걸림홈(31)은 록킹유니트(20)의 승강돌부(20a)를 수용하면서 본체(10)의 내부로 설치되어 승강돌부(20a)의 회전에 의해 이와 맞물린 걸림홈(31)이 상하로 슬라이드 된다. 그리고 제1잠금편(30)은 상단에 체결홈(32)을 구비하여 괘정바(11)의 일단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제1잠금편(30)과 괘정바(11)를 일체로도 구비할 수도 있지만 설치의 용이성과 유연성을 위해 체결홈(32)을 통하여 탈부착 가능한 분리형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2잠금편(40)은 록킹유니트(20)의 유동돌부(20b)와 맞물리는 걸림홈(41)을 구비하고, 본체(10)상에 결합되는 하우징(42)을 구비한다. 제2잠금편(40)은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외부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전바(2)를 프레임(P)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하는 것으로, 록킹유니트(20)의 유동돌부(20b)와 맞물리는 걸림홈(41)과 제2잠금편(40)을 본체(10)의 외부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우징(42)을 구비한다.
도 3과 같이, 제2잠금편(40)은 록킹유니트(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걸림홈(41)을 구비한다. 이러한 걸림홈(41)은 록킹유니트(20)의 유동돌부(20b)를 수용하면서 본체(10)의 외부로 설치되어 유동돌부(20b)의 회전에 의해 이와 맞물린 걸림홈(41)이 좌우로 슬라이드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잠금편(40)을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42)을 구비하여 본체(10)의 외부에 결합시키면서 좌우 슬라이드 범위를 제안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2잠금편(40)은 안전바(2)의 후면을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그 형상이 일자형 또는 절곡형 중에서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한다. 제2잠금편(40)은 록킹유니트(20)와 연동하여 안전바(2)를 프레임(P)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외부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2잠금편(40)은 록킹유니트(20)에 작동에 의해 안전바(2)의 후면을 밀착시켜 고정하게 되는데 그 형상이 일자형 또는 절곡형 중에서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한다.
이때, 도 4a는 일자형의 제2잠금편(40)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절곡형의 제2잠금편(40)을 나타낸 것이다. 일자형의 제2잠금편(40)은 안전바(2)와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고정력이 부가되는 단점이 있지만, 록킹유니트(20)의 유동돌부(20b)와 맞물리는 걸림홈(41)을 제외한 별도의 가공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가 용이하고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절곡형의 제2잠금편(40)은 안전바(2)와의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높은 고정력을 부가하는 장점이 있지만, 록킹유니트(20)의 유동돌부(20b)와 맞물리는 걸림홈(41)과 함께 절곡시키기 위한 밴딩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제조가 복잡해지고 재료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어느 경우에나 제조와 사용조건에 따른 효율성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잠금편(40)은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안전바(2)와 대응되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안전바(2)에 전체에 걸쳐 고정력을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문(1)의 최하단이나 최상단에서 손잡이레버(25)를 조작할 수 있는 기구 등의 삽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또한, 제2잠금편(40)은 걸림홈(41)을 제거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안전바(2)의 후면을 밀착시키는 스프링을 탄지할 수도 있다. 즉, 유리문(1)을 개방시에는 스프링에 의해 안전바(2)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바(2)의 출몰작동과 연동되어 안전상태를 지니게 되고, 폐쇄시에는 록킹유니트(20)에 의해 안전바(2)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완전한 폐쇄상태를 지닐 수 있다. 이는 키실린더(21)와 함께 손잡이레버(25)에 의한 록킹유니트(20)의 회전력을 대폭 저감시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켜 준다.
한편, 제2잠금편(40)은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과 함께 언급되고 있지만 제1잠금편(30)과 함께 본체(1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물론, 제2잠금편(40)을 본체(10)의 내부에 설치하더라도 록킹유니트(20)와 연동하여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동일하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제2잠금편(40)을 통해 안전바(2)를 고정하는 것이라면 본체(10)로부터 그 위치변경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사용에 있어서, 먼저 유리문(1)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 상태일 경우엔, 록킹유니트(20)와 연동되는 제1잠금편(30)과 제2잠금편(40)이 해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도 5a처럼 제1잠금편(30)은 본체(10)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함몰 상태가 되고 이와 결합된 괘정바(11) 또한 프레임(P)의 상단으로 부터 함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도 5b처럼 제2잠금편(40)은 하우징(42)으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함몰 상태가 되고 이에 따른 안전바(2)는 프레임(P)의 내부로 출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유리문(1)은 출입이 가능한 개방 상태를 지니면서 안전바(2)의 출몰작동으로 손이나 지팡이, 우산 등이 끼어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상태를 지니게 된다.
그리고 유리문(1)이 사용자에 의해 폐쇄 상태일 경우엔, 록킹유니트(20)와 연동되는 제1잠금편(30)과 제2잠금편(40)이 괘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도 6a처럼 제2잠금편(40)은 본체(10)로부터 노출된 돌출 상태가 되고 이와 결합된 괘정바(11) 또한 프레임(P)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도 6b처럼 제2잠금편(40)은 하우징(42)으로부터 노출된 돌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른 안전바(2)는 프레임(P)의 내부로 출몰할 수 있는 공간을 차단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유리문(1)은 출입이 불가능한 폐쇄 상태를 지니면서 안전바(2)가 돌출된 고정상태로서, 외부의 침입을 원전척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설치에 있어 잠금장치를 유리문의 중앙으로 위치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 개방시 안전바를 자유롭게 출몰시켜 바람이나 먼지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출입자의 부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폐쇄시 유리문을 괘정함과 함께 안전바를 함몰되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시켜 외부로부터 침입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유리문 2: 안전바
2a: 모헤어 10: 본체
11: 괘정바 20: 록킹유니트
20a: 승강돌부 20b: 유동돌부
21: 키실린더 25: 손잡이레버
30: 제1잠금편 31: 걸림홈
32: 체결홈 40: 제2잠금편
41: 걸림홈 42: 하우징
P: 프레임 S: 스프링

Claims (5)

  1. 유리문(1)의 보호와 함께 손 끼임을 방지하는 안전바(2)를 구비한 프레임(P) 상에 장착되어 괘ㆍ해정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P)상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유리문(1)을 개폐하는 괘정바(11)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키실린더(21)와 함께 손잡이레버(25)를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록킹유니트(2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유니트(20)와 연동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괘정바(11)를 작동시키는 제1잠금편(30); 및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유니트(20)와 연동하여 안전바(2)를 고정시키는 제2잠금편(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니트(20)는 키실린더(21) 또는 손잡이레버(25)에 의해 회동되는 제1잠금편(30)을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맞물리는 승강돌부(20a)와 함께 제2잠금편(40)을 좌우로 슬라이드 되도록 맞물리는 유동돌부(20b)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편(30)은 록킹유니트(20)의 승강돌부(20a)와 맞물리는 걸림홈(31)을 구비하고, 일단에 괘정바(11)를 결합하는 체결홈(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편(40)은 록킹유니트(20)의 유동돌부(20b)와 맞물리는 걸림홈(41)을 구비하고, 본체(10)상에 결합되는 하우징(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편(40)은 안전바(2)의 후면을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그 형상이 일자형 또는 절곡형 중에서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20110073518A 2011-07-25 2011-07-25 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1233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518A KR101233000B1 (ko) 2011-07-25 2011-07-25 유리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518A KR101233000B1 (ko) 2011-07-25 2011-07-25 유리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366A true KR20130012366A (ko) 2013-02-04
KR101233000B1 KR101233000B1 (ko) 2013-02-13

Family

ID=4789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518A KR101233000B1 (ko) 2011-07-25 2011-07-25 유리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00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030B1 (ko) * 2015-08-07 2016-10-13 양은주 잠금쇠가 매립된 화장실 문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한 화장실 문
KR101882621B1 (ko) * 2017-09-04 2018-07-26 김명호 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2059274B1 (ko) * 2018-11-08 2019-12-24 민중건 양문형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2096202B1 (ko) * 2019-02-14 2020-04-01 김명호 유리문용 양방향 잠금장치
KR102372839B1 (ko) * 2020-11-27 2022-03-11 주식회사 이츠락 프레임 도어의 분리형 도어락
KR102372838B1 (ko) * 2020-11-27 2022-03-11 주식회사 이츠락 프레임 도어락 및 이의 교체방법
KR102600836B1 (ko) * 2022-05-06 2023-11-10 주식회사 삼부테크 잠금장치가 내장된 일체형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837B1 (ko) * 2013-05-07 2016-01-07 남정호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KR102243115B1 (ko) 2020-10-23 2021-04-22 민중건 양문형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2381680B1 (ko) 2021-01-13 2022-04-01 주식회사 미아금속 유리문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4193A (ko) * 2008-03-01 2009-09-04 김선종 강화도어 잠금장치
KR101020614B1 (ko) 2008-07-31 2011-03-11 임식규 강화유리 안전도어의 안전바 및 도어 동시잠금장치
KR101020615B1 (ko) 2008-11-12 2011-03-09 임식규 안전도어 및 안전바 동시 잠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030B1 (ko) * 2015-08-07 2016-10-13 양은주 잠금쇠가 매립된 화장실 문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한 화장실 문
KR101882621B1 (ko) * 2017-09-04 2018-07-26 김명호 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2059274B1 (ko) * 2018-11-08 2019-12-24 민중건 양문형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2096202B1 (ko) * 2019-02-14 2020-04-01 김명호 유리문용 양방향 잠금장치
KR102372839B1 (ko) * 2020-11-27 2022-03-11 주식회사 이츠락 프레임 도어의 분리형 도어락
KR102372838B1 (ko) * 2020-11-27 2022-03-11 주식회사 이츠락 프레임 도어락 및 이의 교체방법
KR102600836B1 (ko) * 2022-05-06 2023-11-10 주식회사 삼부테크 잠금장치가 내장된 일체형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000B1 (ko)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000B1 (ko) 유리문용 잠금장치
US8615928B2 (en) Safety gate
CA2681489C (en) Double hung sash lock with tilt lock release buttons
US10815707B2 (en) Window opening limit devices and method of use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CA2714836C (en) Door package
KR101510659B1 (ko) 도어핸들을 이용한 안전도어락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2059274B1 (ko) 양문형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20170062768A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1566683B1 (ko) 도어 안전장치
KR102096202B1 (ko) 유리문용 양방향 잠금장치
KR102243115B1 (ko) 양문형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1882621B1 (ko) 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1907996B1 (ko) p와 d 단면 형상을 갖는 도어
KR20150042955A (ko) 확장된 발코니용 창호 시스템
KR101117809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2600836B1 (ko) 잠금장치가 내장된 일체형 손잡이
JP4285334B2 (ja) サッシ
KR20100036899A (ko) 자동 장금 장치 및 열림 장치
KR102045299B1 (ko) 수동 안전 도어
KR200467633Y1 (ko) 창문의 개폐가 용이한 창틀 구조
KR102416134B1 (ko) 링크 연결식 프로젝트 창문
KR200410368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