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837B1 -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837B1
KR101582837B1 KR1020130051014A KR20130051014A KR101582837B1 KR 101582837 B1 KR101582837 B1 KR 101582837B1 KR 1020130051014 A KR1020130051014 A KR 1020130051014A KR 20130051014 A KR20130051014 A KR 20130051014A KR 101582837 B1 KR101582837 B1 KR 101582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oor
fastening
tempered glass
glas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045A (ko
Inventor
남정호
Original Assignee
남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호 filed Critical 남정호
Priority to KR102013005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8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캡이 결합된 강화유리도어에 도어록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록에 설정된 잠금을 유지하면서 안전감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의 간소화로 작업공정이 단축됨은 물론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록의 유동 밀 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Prevention device for move and pushing of tempered glass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캡이 결합된 강화유리도어에 도어록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록에 설정된 잠금을 유지하면서 안전감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구성의 간소화로 작업공정이 단축됨은 물론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록의 유동 밀 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란, 원판유리를 용도에 맞게 절단하여 강화공정을 위해 4변을 다듬고, 유리를 세척 및 건조시켜 마킹한 후, 가열로(furnaec)의 과정을 거쳐 급냉(quenching)시키면 일반유리와 투시성이 동일하면서도 충격이 4~5배 이상으로 강한 강화유리가 된다.
상기 강화유리는 보통 3~19mm 의 두께를 형성하며, 표면에 생긴 압축능력과 내부에 생긴 인장능력으로 인하여 일반유리보다 쉽게 파손되지 않고, 파손시에 입자가 날카롭지 않은 조각으로 부서지는 특징이 있어 안전이 요구되는 장소에 적합하므로,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병원이나 학교의 출입문 및 주거공간의 진열장과 유리가구, 각종도어와 산업용 강화유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이하 '강화유리도어'라 함)가 출입문에 설치될 경우, 강화유리도어의 일측 상,하단과 문틀을 회전축으로 연결하여 강화유리도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하여 내,외부를 개폐하였으나, 이는 강화유리도어와 문틀 사이의 공간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손가락이 끼어 다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9421호로 강화유리도어용 측면 보호캡이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연질의 보호구가 결합된 보호캡을 강화유리도어의 측단부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손이 도어와 문틀 사이에 낄 때, 사용자의 손에 밀착되는 연질의 보호구 모양이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본 건 출원인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5310호의 강화유리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에 적용할 경우, 도어록의 내면과 보호캡의 외면만 밀착되고,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보호캡의 두께만큼 도어와 도어록 사이에 틈이 발생하므로 도어록이 강화유리도어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도어에 도어록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유동이 발생함과 아울러 도어록의 잠금봉이 문틀의 결합공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아니하여 도어록의 잠금설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건 출원인은, 제10-2010-123495호, 제10-2010-123496호 및 제10-2010-123497호에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고정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선 공개된 특허는, 강화유리도어에 도어록이 장착되면, 도어록에 내장된 밀착부재가 돌출되면서 강화유리도어의 측면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도어록이 유동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강화유리도어에 도어록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짐과 아울러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도어록이 고정장치에 의해 강화유리도어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빠루와 같은 도구로 고정장치의 부착력보다 더 큰 힘으로 도어록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도어록은 외력에 의해 연질인 보호캡의 길이만큼 강화유리도어의 측면을 따라 밀려 잠금봉이 문틀의 결합공에서 이탈하므로 강화유리도어에 설정된 잠금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캡이 결합된 강화유리도어에 도어록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록에 설정된 잠금을 유지하면서 안전감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하는 구성이 간소화되어 작업공정이 단축됨은 물론 생산성이 증대되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는,
연질의 보호캡을 수용하도록 강화유리도어의 측단부에 실내,외측몸체가 'ㄷ'자부재에 연결된 도어록을 설치하여 강화유리도어의 잠금을 설정 및 해제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을 수용하는 도어록의 실내측몸체 선단부에 관통된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과 동일선상으로 도어록의 실외측몸체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안내공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강화유리도어를 뚫지 않고 보호캡만을 뚫어 관통하면서 체결공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ㄷ'자부재로 연결된 도어록의 실내,외측몸체가 강화유리도어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압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체결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캡이 결합된 강화유리도어에 도어록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록에 설정된 잠금을 유지하면서 안전감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하는 구성이 간소화되어 작업공정이 단축됨은 물론 생산성이 증대되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100)는, 연질의 보호캡(10)을 수용하도록 강화유리도어(20)의 측단부에 'ㄷ'자부재에 실내,외측몸체(31)(32)가 연결된 도어록(30)을 설치하여 강화유리도어(20)의 잠금을 설정 및 해제하는 도어록(30)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10)을 수용하는 도어록(30)의 실내측몸체(31) 선단부에 관통된 안내공(110)이 구성되고, 상기 안내공(110)과 동일선상으로 도어록(30)의 실외측몸체(32)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공(120)이 구성되며, 상기 안내공(120)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강화유리도어(20)를 뚫지 않고 보호캡(10)만을 뚫어 관통하면서 체결공(120)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공(120)에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ㄷ'자부재로 연결된 도어록(30)의 실내,외측몸체(31)(32)가 강화유리도어(20)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압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도어록(30)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체결고정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체결고정부재(130)는, 상기 보호캡(10)을 뚫으면서 체결공(120)에 체결하는 직결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어록(30)의 실내측몸체(31)에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100)의 안내공(110)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공(110)과 동일선상으로 도어록(30)의 실외측몸체(32)에 체결공(120)을 형성한 후, 실내,외측몸체(31)(32)를 'ㄷ'자부재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안내공(110)은 체결고정부재(13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도록 체결고정부재(130) 직경의 2배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100)의 안내공(110)과 체결공(120)이 도어록(30)의 실내,외측몸체(31)(32)에 각각 형성되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공(110)과 체결공(120)이 형성된 도어록(30)을 보호캡(10)이 결합된 강화유리도어(20)의 측단부에 결합하는데, 상기 도어록(30)은 보호캡(10)을 수용하면서 강화유리도어(20)의 측단부에 실내,외몸체(31)(32)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안내공(110)으로 체결고정부재(130)를 결합한 후, 상기 체결고정부재(130)를 수동 및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고정부재(1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고정부재(130)는 안내공(110) 내부에서 회전함과 동시에 체결고정부재(130)의 단부는 강화유리도어(20)를 뚫지 않고 보호캡(10)만을 뚫으면서 체결공(120)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캡(10)에 안내공(110)과 동일선상으로 안내공(110')을 형성하여 체결고정부재(13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캡(10)을 뚫거나 안내공(110')으로 결합되어 통과한 체결고정부재(130)가 체결공(120)에 됨으로써, 도어록(30)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고정부재(130)가 체결공(120)에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도어록(30)의 실내,외측몸체(31)(32)는 강화유리도어(20)의 양측면에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의해 좀더 견고하게 고정되어 도어록(30)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록(30)에 강화유리도어(20)와의 마찰력을 유지하는 고무패드(30')를 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보호캡(10)을 수용하도록 강화유리도어(20)에 설치된 도어록(30)은 체결고정부재(130)가 보호캡(10)의 안내공(110')에 결합되어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빠루와 같은 도구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보호캡(10)의 후단부에 위치한 체결고정부재(130)가 강화유리도어(20) 측단부에 밀착되면서 도어록(30)의 밀림을 방지하여 도어록(30)에 설정될 잠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110: 안내공
120: 체결공 130: 체결고정부재

Claims (3)

  1. 연질의 보호캡을 수용하도록 강화유리도어의 측단부에 실내,외측몸체가 'ㄷ'자부재에 연결된 도어록을 설치하여 강화유리도어의 잠금을 설정 및 해제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을 수용하는 도어록의 실내측몸체 선단부에 관통된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과 동일선상으로 도어록의 실외측몸체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안내공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강화유리도어를 뚫지 않고 보호캡만을 뚫어 관통하면서 체결공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ㄷ'자부재로 연결된 도어록의 실내,외측몸체가 강화유리도어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압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체결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정부재는, 직결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3. 삭제
KR1020130051014A 2013-05-07 2013-05-07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KR101582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014A KR101582837B1 (ko) 2013-05-07 2013-05-07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014A KR101582837B1 (ko) 2013-05-07 2013-05-07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45A KR20140132045A (ko) 2014-11-17
KR101582837B1 true KR101582837B1 (ko) 2016-01-07

Family

ID=5245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014A KR101582837B1 (ko) 2013-05-07 2013-05-07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8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000B1 (ko) * 2011-07-25 2013-02-13 김명호 유리문용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512U (ko) * 1999-04-08 1999-12-06 서종근 유리문의손보호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000B1 (ko) * 2011-07-25 2013-02-13 김명호 유리문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45A (ko)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837B1 (ko) 도어록의 유동 및 밀림 방지장치
KR20220132331A (ko) 끼임방지도어
CN201110108Y (zh) 一种防护窗
KR101132790B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고정장치 및 그 방법
CN205908162U (zh) 防盗锁扣件
KR101507491B1 (ko) 강화유리도어의 손잡이 고정장치
KR200421676Y1 (ko) 강화유리 도어용 브라켓의 체결구조
KR200397655Y1 (ko) 개폐용 샤시 프레임의 완충구조
KR20080035348A (ko) 방화문
KR200473055Y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KR102247490B1 (ko) 창문 스토퍼
KR200484945Y1 (ko) 손 끼임 방지 도어용 잠금장치
CN201125608Y (zh) 门万向定位器
KR200451319Y1 (ko) 잠금장치
KR100947110B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고정장치
WO2010081389A1 (zh) 门窗执手
KR200358360Y1 (ko) 출입문 안전장치
KR100873735B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20090008365U (ko)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KR200272204Y1 (ko) 여닫이식 유리문용 보호구
CN205658635U (zh) 对穿门把手
KR200431430Y1 (ko) 도어의 손잡이 어셈블리.
KR20090005345U (ko)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KR200394879Y1 (ko)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080079726A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밀림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