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113A - 문틀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비상문 - Google Patents

문틀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비상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113A
KR20170048113A KR1020150170380A KR20150170380A KR20170048113A KR 20170048113 A KR20170048113 A KR 20170048113A KR 1020150170380 A KR1020150170380 A KR 1020150170380A KR 20150170380 A KR20150170380 A KR 20150170380A KR 20170048113 A KR20170048113 A KR 20170048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emergency
stepped surface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677B1 (ko
Inventor
신판주
Original Assignee
신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판주 filed Critical 신판주
Publication of KR2017004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의 비상문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도어는 선로측이나 승강장측에서 비상시 열고 대피할 수 있는 문을 말한다. 비상문은 스크린도어 가동문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고 편측 힌지로 열고 닫히는 여닫이 방식이며 처짐에 취약한 비상문의 상, 하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보강금구로 고정함으로써 장시간 하중에 의한 처짐이나 충격에 의한 처짐, 프레임의 뒤틀림으로 인한 유리 박리를 차단하는 견고한 비상문에 관한 것이며 잠금을 고정하고 해지할 수 있는 패닉디바이스와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고 문틈을 조절할 수 있는 힌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틀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비상문{Emergency door of a screen door with a structure preventing door frame bending}
본 발명은 지하철 플렛폼에서 승객을 선로와 차단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상/하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사이를 보강금구로 고정함으로써 장시간 하중에 의한 처짐이나 충격에 의한 처짐, 프레임의 뒤틀림으로 인한 유리(glass) 박리를 차단하는 견고한 비상문에 관한 것이며 잠금을 고정하고 해지할 수 있는 패닉디바이스와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고 문틈을 조절할 수 있는 힌지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역사에는 오래전부터 승강장과 선로를 차단하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린도어에는 가동문을 중심에 배치되고 좌측 또는 우측에는 비상문이 배치되고 상대편에는 고정문이 배치된다.
고정문은 비상문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정문을 활용하여 광고를 함으로써 수익사업으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지하철이 승강장에 진입시 비상 상황으로 비상탈출을 시도할 경우 일부 구간에 대하여 고정문으로 차단되어 있어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지하철 내부에서 비상 상황시 차량의 승객이 어디서든지 비상문 또는 가동문을 수동으로 개폐하고 탈출할 수 있도록 고정문을 제거하고 비상문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상기 비상문은 여러 개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비상문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의 설계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스크린도어 비상문, 가동문, 또는 고정문의 프레밍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프레임 구성요소들의 상호 조립을 위해,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보다 긴 장볼트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수직프레임에 수직으로 교차시켜 조립한다. 이를 위해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장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장볼트는 조립구간의 공차 및 너트에 조임력에 따라 시간이 경과하면서 흔들리고 문틀이 처져 비상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상,하부프레임 절단면과 수직프레임이 서로 직각으로 만나기 때문에 상,하부프레임의 절단면의 가공 정밀도가 매우 중요하며, 절단면의 직각도와 평탄도에 따라 창호의 직각 조립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프레임과 강화유리가 맞닿으면서 강화유리가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서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처짐으로 발생되는 문 끼임현상 및 유리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상문의 처짐을 방지하고, 비상문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요소 간의 단차를 평탄하게 맞추기 위하여 상, 하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4개 부분 모서리를 보강금구로 고정한다. 그리고 프레임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나사를 추가로 고정함으로써 처짐과 뒤틀림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수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수직기둥 상부에 구동장치가 내장된 구동박스가 조립되어 있고, 상기 구동박스의 중앙부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가동문 및 상기 가동문 양측에 비상시 탈출이 가능한 비상문이 설치된 스크린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상문은 상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제1고정조립홀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고정 조립홀은 제1고정나사로 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단차면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측부단차면은 서로 평탄하게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단차면의 위아래로 형성된 상부단차턱과 상기 측부단차면의 좌우로 형성된 측부단차턱 안쪽에는, 상기 상부단차면과 상기 측부단차면에 맞닿도록 배치된 제1보강금구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금구에 형성된 제1보강금구조립홀은, 상기 상부단차면과 상기 측부단차면에 형성된 제1고정조립홀에 맞추어져 있으며, 상기 제1보강금구조립홀과 상기 제1고정조립홀은 제1리벳으로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비상문은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된 제2고정조립홀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고정 조립홀은 제2고정나사로 서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단차면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측부단차면은 서로 평탄하게 맞추어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단차면의 위아래로 형성된 하부단차턱과 상기 측부단차면의 좌우로 형성된 상기 측부단차턱 안쪽에는, 상기 하부단차면과 상기 측부단차면에 맞닿도록 배치된 제2보강금구가 끼워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보강금구에 형성된 제2보강금구조립홀은, 상기 하부단차면과 상기 측부단차면에 형성된 제2고정조립홀에 맞추어져 있으며, 상기 제2보강금구조립홀과 상기 제2고정조립홀은 제2리벳으로 서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에 패닉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상문에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중간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상문이 닫혔을 때, 상기 수직프레임에 매립되어 있는 패닉디바이스를 고정해주는 고정핀이 상기 중간기둥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비상문이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상문을 이용하여 비상탈출 후 자동으로 닫힐 수 있는 도어클로저가 하부프레임의 하단의 매립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상문의 문틈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 내부에 문틈 조절장치가 매립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기둥 상단 측면에 제공된 조절홀을 통해 상기 문틈 조절장치의 문틈 조절나사를 돌려 문틈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는 견고한 구조로 비상문 처짐 방지 효과가 있으며, 문틈 조절에 용이하다. 또한 처짐으로 인한 유리파손이 방지되며, 비상문 뿐만 아니라 고정문과 가동문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스크린도어 중 우측비상문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우측비상문 중 수직프레임,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상부프레임 및 수직프레임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프레임에 강화유리가 부착된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3의 수직프레임 중 힌지가 존재하는 회전부 수직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문틈조절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3의 하부프레임 및 수직프레임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하부프레임에 강화유리 및 도어클로저가 부착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플랫폼에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수직기둥(2)과 수직기둥(2)들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동박스(1)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기둥(2)에 인접하여 좌측 비상문(6) 및 우측 비상문(7)이 배치되어 있으며, 좌측 비상문(6) 및 우측 비상문(7) 사이에는 좌측 가동문(4) 및 우측 가동문(5)이 배치된다. 좌측 비상문(6)과 좌측 가동문(4) 사이에는 중간기둥(8)이 설치되어 있으며, 우측 비상문(7)과 우측 가동문(5) 사이에도 중간기둥(8)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기둥(8)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간기둥(8)의 상단부는 구동박스(1)에 결합된다. 수직기둥(2), 좌측 비상문(6), 중간기둥(8), 좌측 가동문(4), 우측 가동문(5), 우측 비상문(7)의 아래에는 도어턱(3)이 있다.
도 2는 도 1의 스크린도어 중 우측비상문을 나타낸 것이다.
우측비상문(7)은 보강금구(60)를 이용하여 서로에 대하여 고정연결된 상부프레임(30), 하부프레임(40), 회전부 수직프레임(10), 고정부 수직프레임(20)을 포함한다. 보강금구(60)는 예컨대 T자형 또는 L자형의 평판형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 네 개의 프레임(10, 20, 30, 40)에는 강화유리(50)가 부착된다. 강화유리(50)에는 잠금해지 손잡이(72)가 설치되어 있다. 위 네 개의 프레임(10, 20, 30, 40)에는 패닉디바이스(70), 고정핀(71)이 설치된다. 회전부 수직 프래임(10)의 하부에는 하부힌지(90)와 도어클로저(91)가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부힌지(80)가 설치된다. 패닉디바이스(70)는 비상시 승객이 손 또는 몸으로 밀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우측비상문(7)의 잠금을 해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우측비상문 중 수직프레임,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40)만을 나타낸 것이다.
보강금구(60)는 상부프레임(30)의 좌측단부와 고정부 수직프레임(20)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한다.
다른 보강금구(60)는 상부프레임(30)의 우측단부와 회전부 수직프레임(10)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한다.
또 다른 보강금구(60)는 하부프레임(40)의 좌측단부와 고정부 수직프레임(20)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한다.
또 다른 보강금구(60)는 하부프레임(40)의 우측단부와 가동부 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한다.
도 4는 도 3의 상부프레임 및 고정부 수직프레임(20)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프레임(30)의 수직단면은 전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각형 형상은 4개의 면에 의해 제공되는 입체구조의 단면형상이다. 다만 상부프레임(30)의 일부 면은 상기 4개의 면들에 비하여 단차가 존재하는 단차면(34)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단차면(34)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에는 단차턱(33)이 형성된다. 단차면(34)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단차턱(33)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픈 가이드 공간이 제공되어 있다. 단차면(34)에는 단차 조립홀(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프레임(30)의 좌측 단부에는 고정 조립홀(31)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 수직프레임(20)의 상단부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두 개의 고정 조립홀(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 조립홀(21)을 통해 고정나사(63)의 나사산 몸체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산 몸체가 고정 조립홀(31)에 결합되어 고정부 수직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3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 수직프레임(20)의 수평단면은 전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각형 형상은 4개의 면에 의해 제공되는 입체구조의 단면형상이다. 다만 고정부 수직프레임(20)의 일부 면은 상기 4개의 면들에 비하여 단차가 존재하는 단차면(24)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단차면(24)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단차턱(23)이 형성된다. 단차면(24)에는 단차 조립홀(22)들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턱(32) 중 우측 단차턱의 상단부 근처에는 단차턱이 불연속적으로 존재한다. 즉, 우측 단차턱은 짧은 상부 단차턱과 긴 중간 단차턱으로 구성되며, 상부 단차턱과 중간 단차턱 사이에는 오픈 가이드 공간이 존재한다. 단차 조립홀(22)들은 상기 오픈 가이드 공간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픈 가이드 공간들을 사이로 삽입되며, 단차면(24, 34)에 맞닿아 결합될 수 있는, 예컨대 'T'자 형상 또는 'ㄱ'자 형상의 보강금구(60)에는 보강금구 조립홀(61)이 제공된다. 보강금구 조립홀(61)은 단차 조립홀(22, 32)에 리벳을 통해 연결된다. 즉, 보강금구(60)는 고정부 수직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30)을 서로 연결하거나, 연결 강도를 강화시킨다.
도 5는 도 4의 상부프레임(30)에 강화유리가 부착된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프레임(30)의 수직단면을 살펴보면,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면인 문틈 조절장치 격벽(36)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프레임(30)의 상측면과 문틈 조절장치 격벽(36) 사이에 매립 공간(35)이 제공되어 있다. 문틈 조절장치 격벽(36)과 상부프레임(30)의 후방단면이 결합되는 부분에 고정 조립홀(31)이 제공되어 있다.
보강금구(60)는 리벳(62)을 통해 단차면(34)에 결합되며, 보강금구(60)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는 단차턱(33)에 의해 그 위치가 제한된다. 강화유리(50)는 양면테이프(51)에 의해 상부프레임(30)에 결합된다.
도 6은 도 3의 수직프레임 중 힌지가 존재하는 회전부 수직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문틈조절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회전부 수직프레임(10)의 내부에는 매립 공간(15)이 존재하며, 상측 단부에는 고정 조립홀(11)이 제공되어 있다.
상부프레임(30) 중 회전부 수직프레임(10)에 인접한 단부 근처에는 상부힌지(80)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힌지(80)는 문틈 조절장치(81)에 연결되어 있으며, 문틈 조절장치(81)에는 문틈 조절나사(82)가 제공되어 있다. 문틈 조절나사(82)를 돌리면 문틈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문틈 조절나사(82)는 고정 조립홀(11)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하부프레임(40) 및 고정부 수직프레임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부 수직프레임(20)의 하단부에는 고정 조립홀(21)들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나사(63)들이 고정 조립홀(21)들을 통해 삽입되어 하부프레임(4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 조립홀(41)들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 수직프레임(20)의 하단부에도 단차면(24)과 단차턱(23)이 형성된다. 단차면(24)에는 단차 조립홀(22)들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턱(32) 중 우측 단차턱의 하단부 근처에는 단차턱이 불연속적으로 존재한다. 측, 우측 단차턱은 짧은 하부 단차턱과 긴 중간 단차턱으로 구성되며, 하부 단차턱과 중간 단차턱 사이에는 오픈 가이드 공간이 존재한다. 단차 조립홀(22)들은 상기 오픈 가이드 공간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프레임(40)의 수직단면은 전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내부 공간에 수평면의 격벽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프레임(40)의 아래쪽에 매립 공간(45)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래쪽이 오픈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프레임(40)의 일부 면은 다른 외부 면들에 비하여 단차가 존재하는 단차면(44)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단차면(44)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에는 단차턱(43)이 형성된다. 단차면(44)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단차턱(43)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픈 가이드 공간이 제공되어 있다. 단차면(44)에는 단차 조립홀(4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프레임(30)의 좌측 단부에는 고정 조립홀(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픈 가이드 공간들을 사이로 삽입되며, 단차면(24, 44)에 맞닿아 결합될 수 있는, 예컨대 'T'자 형상 또는 'ㄱ'자 형상의 보강금구(60)에는 보강금구 조립홀(61)이 제공된다. 보강금구 조립홀(61)은 단차 조립홀(22, 42)에 리벳을 통해 연결된다. 즉, 보강금구(60)는 고정부 수직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40)을 서로 연결하거나, 연결 강도를 강화시킨다.
도 8은 도 7의 하부프레임(40)에 강화유리 및 도어클로져가 부착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하부프레임(40)의 단면구조는 도 5와 마찬가지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하부프레임(40)의 하측단부에는 걸레받이(46)가 제공되며, 매립 공간(45) 내부에는 하부힌지(90)에 연결되는 도어클로저(91)가 매립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에서는 상부프레임(30)/하부프레임(40)과 고정 수직프레임(20)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만 예시하였으나, 상부프레임(30)/하부프레임(40)과 회전부 수직프레임(10) 간의 연결관계도 도 4/도 7에 제시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1: 구동박스 2: 수직기둥
3: 도어턱 4: 좌측 가동문
5: 우측 가동문 6: 좌측 비상문
7: 우측 비상문 8: 중간기둥
10: 회전부 수직프레임(수직프레임) 11: 고정 조립홀
12: 단차 조립홀 13: 단차턱
14: 단차면 15: 매립 공간
20: 고정부 수직프레임(수직프레임) 21: 고정 조립홀
22: 단차 조립홀 23: 단차턱
24: 단차면 25: 매립 공간
30: 상부프레임 31: 고정 조립홀
32: 단차 조립홀 33: 단차턱
34: 단차면 35: 매립 공간
36: 문틈 조절장치 격벽
40: 하부프레임 41: 고정 조립홀
42: 단차 조립홀 43: 단차턱
44: 단차면 45: 매립 공간
46: 걸레받이
50: 강화유리 51: 양면테이프
60: 보강금구 61: 보강금구 조립홀
62: 리벳 63: 고정나사
70: 패닉디바이스 71: 고정핀
72: 잠금해지 손잡이 80: 상부힌지
81: 문틈 조절장치 82: 문틈 조절나사
90: 하부힌지 90,91,92: 도어클로저

Claims (6)

  1. 수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수직기둥(2) 상부에 구동장치가 내장된 구동박스(1)가 조립되어 있고, 상기 구동박스(1)의 중앙부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가동문(3, 4) 및 상기 가동문(3, 4) 양측에 비상시 탈출이 가능한 비상문(6, 7)이 설치된 스크린도어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6,7)은 상부프레임(30)과 수직프레임(2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고정조립홀(21)과 상기 상부프레임(30)에 형성된 고정 조립홀(31)은 제1고정나사(63)로 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30)의 상부단차면(34)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형성된 측부단차면(24)은 서로 평탄하게 맞추어져 있고,
    상기 상부단차면(34)의 위아래로 형성된 상부단차턱(33)과 상기 측부단차면(24)의 좌우로 형성된 측부단차턱(23) 안쪽에는, 상기 상부단차면(34)과 상기 측부단차면(24)에 맞닿도록 배치된 제1보강금구(60)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제1보강금구(60)에 형성된 제1보강금구조립홀(61)은, 상기 상부단차면(34)과 상기 측부단차면(24)에 형성된 제1고정조립홀(22, 32)에 맞추어져 있으며, 상기 제1보강금구조립홀(61)과 상기 제1고정조립홀(22, 32)은 제1리벳(62)으로 서로 고정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6, 7)은 하부프레임(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4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프레임(20)의 하부에 형성된 제2고정조립홀(21)과 상기 하부프레임(40)에 형성된 고정 조립홀(41)은 제2고정나사(63)로 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40)의 하부단차면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형성된 상기 측부단차면(24)은 서로 평탄하게 맞추어져 있고,
    상기 하부단차면의 위아래로 형성된 하부단차턱과 상기 측부단차면(24)의 좌우로 형성된 상기 측부단차턱(23) 안쪽에는, 상기 하부단차면과 상기 측부단차면(24)에 맞닿도록 배치된 제2보강금구(60)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제2보강금구에 형성된 제2보강금구조립홀(61)은, 상기 하부단차면과 상기 측부단차면(24)에 형성된 제2고정조립홀(22, 42)에 맞추어져 있으며, 상기 제2보강금구조립홀(61)과 상기 제2고정조립홀(22,42)은 제2리벳(62)으로 서로 고정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20, 30)에 패닉디바이스(7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25,35)이 확보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6,7)에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중간기둥(8)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상문(6,7)이 닫혔을 때, 상기 수직프레임(20)에 매립되어 있는 패닉디바이스(70)를 고정해주는 고정핀(71)이 상기 중간기둥(8)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비상문(6,7)이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6,7)을 이용하여 비상탈출 후 자동으로 닫힐 수 있는 도어클로저(91)가 하부프레임(40)의 하단의 매립공간(45)에 배치된, 스크린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6,7)의 문틈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30) 내부에 문틈 조절장치(81)가 매립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기둥(10) 상단 측면에 제공된 조절홀(11)을 통해 상기 문틈 조절장치의 문틈 조절나사(82)를 돌려 문틈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KR1020150170380A 2015-10-23 2015-12-02 문틀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비상문 KR101753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48344 2015-10-23
KR1020150148344 2015-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113A true KR20170048113A (ko) 2017-05-08
KR101753677B1 KR101753677B1 (ko) 2017-07-19

Family

ID=5942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380A KR101753677B1 (ko) 2015-10-23 2015-12-02 문틀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비상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6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7373A (zh) * 2019-07-26 2019-11-01 宁波中车时代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模块化固定门结构
KR102642415B1 (ko) * 2023-08-31 2024-03-04 (주)동우자동도어 양방향 슬라이딩 방식의 비상도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011B1 (ko) * 2006-09-26 2008-02-18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스크린도어의 비상도어패널
JP5190389B2 (ja) * 2009-01-23 2013-04-24 三協立山株式会社 枠組体及びサッ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7373A (zh) * 2019-07-26 2019-11-01 宁波中车时代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模块化固定门结构
KR102642415B1 (ko) * 2023-08-31 2024-03-04 (주)동우자동도어 양방향 슬라이딩 방식의 비상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677B1 (ko)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7030B2 (en) Security gate
US7730668B2 (en) Motor vehicle egress window
US20090217595A1 (en) Sliding window assembly
US20100269431A1 (en) Repair and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for door and jambs
KR101753677B1 (ko) 문틀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비상문
JP5104883B2 (ja) エレベータ用運転操作盤
CN110461634A (zh) 用于车门的玻璃装置、门、机动车及其制造方法和密封装置
EP3310700B1 (en) Removable elevator car door panel
EP3587244A1 (en) Slide and rotating cockpit door and method
EP3280665B1 (en) Accessible elevator buffer
US20100126088A1 (en) Repair and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for non-standard doors and jambs
JP6873658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2016145101A (ja)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CN101233291A (zh) 门扇
US20160236908A1 (en) Elevator door arrangement
KR200425034Y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용 기둥 고정구조
JP6480232B2 (ja) 網戸付きサッシ
KR20130093628A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JP6122306B2 (ja) 鉄道車両の構造
JP6106513B2 (ja) 鉄道車両の天井板支持構造及び天井板取付金具
US10538914B2 (en) Glass panel arrangement and a guide track for supporting a glass panel
KR100935010B1 (ko) 강성이 향상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창호
JP2009096618A (ja) エレベータかご操作盤装置
JP2016215957A (ja) 鉄道車両の扉支持構造
US20100307078A1 (en) Repair and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for doors and jam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