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628A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628A
KR20130093628A KR1020137009670A KR20137009670A KR20130093628A KR 20130093628 A KR20130093628 A KR 20130093628A KR 1020137009670 A KR1020137009670 A KR 1020137009670A KR 20137009670 A KR20137009670 A KR 20137009670A KR 20130093628 A KR20130093628 A KR 20130093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door
support rail
rail
fast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539B1 (ko
Inventor
게이고 다루이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와,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에 고정된 지지 레일과, 지지 레일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고정장치를 가지고 있다. 지지 레일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위쪽에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정면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고정장치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장치를 지지 레일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ELEVATOR CAR COMPARTMENT AND ELEVATOR CA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장치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칸실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 암(arm)을 통하여 도어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이 알려져 있다. 도어장치에는 장착 암에 대한 도어장치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잭 볼트(jack bolt)와, 도어장치를 장착 암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및 너트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서는, 장착 암에 대한 도어장치의 위치가 각 잭 볼트의 조작에 의하여 조정됨으로써, 엘리베이터칸 실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에 대한 도어장치의 위치가 조정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개소54-17514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서는 도어장치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도어장치의 중량을 지지하는 장착 암의 부담이 크게 되어 버려, 장착 암이 대형화해 버린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전체의 중량이 증가해 버린다.
또, 도어장치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복수의 잭 볼트가 도어장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가 많아져 버리고, 비용이 증가해 버린다. 또한, 각 잭 볼트의 각각을 조작하면서 도어장치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므로, 도어장치의 설치작업에도 시간이 걸려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도어장치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위쪽에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정면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에 고정된 지지 레일 및 지지 레일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장치를 지지 레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위쪽에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정면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에 고정된 지지 레일과, 지지 레일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고정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칸 실 및 고정장치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마련되며, 관통구멍에 고정장치가 통과된 상태에서 고정장치에 의해 지지 레일에 고정되는 행거 케이스(hanger case)와, 행거 케이스에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를 가지는 도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에서는, 지지 레일이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에 고정되고, 도어장치를 지지 레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지지 레일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도어장치로부터 떨어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이 아니라, 도어장치에 가까운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에 지지 레일을 통하여 도어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장치의 중량을 지지하는 지지 레일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 실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지지 레일을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에 직접 고정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에 대한 도어장치의 위치의 오차를, 엘리베이터칸 실의 깊이방향 및 높이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큰 폭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잭 볼트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장치가 지지 레일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에 대한 도어장치의 위치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정면폭방향에 관하여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장치의 위치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어, 도어장치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서는, 지지 레일이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에 고정되고, 도어장치의 행거 케이스를 지지 레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지지 레일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도어장치의 중량을 지지하는 지지 레일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칸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지지 레일을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에 직접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잭 볼트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장치가 지지 레일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도어장치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게 되고, 도어장치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고정장치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행거 케이스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행거 케이스의 위치를 조정할 때에, 고정장치가 행거 케이스로부터 벗어나기 어렵게 되어, 행거 케이스의 위치의 조정작업을 더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칸의 상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 내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칸(1)은, 엘리베이터칸 실(2)과, 엘리베이터칸 실(2)에 마련된 도어장치(3)와, 엘리베이터칸 실(2)을 둘러싼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 실(2)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도시생략)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실(2)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칸 본체(5)와,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에 마련되고, 도어장치(3)를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에 장착하는 장착장치(6)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는, 엘리베이터칸 바닥(5a)과, 엘리베이터칸 바닥(5a)의 위쪽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칸 천장(5b)과, 엘리베이터칸 실(2)의 폭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측면벽(5c)과,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의 깊이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향하는 엘리베이터칸 정면벽(5d) 및 엘리베이터칸 배면벽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는 엘리베이터칸 정면벽(5d)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방향(폭방향)은, 엘리베이터칸 실(2)의 폭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정면벽(5d)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수벽(袖壁, wing wall)부(7)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벽부(8)를 가지고 있다.
장착장치(6)는 상벽부(8)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장치(6)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장치(3)는 장착장치(6)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에 지지된다.
도어장치(3)는 장착장치(6)에 장착되는 행거 케이스(9)와, 행거 케이스(9)에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의 도어(10)를 가지고 있다.
행거 케이스(9)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방향에 따른 도어 레일 (11)이 마련되어 있다. 도어 레일(11)의 길이 치수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 치수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의 도어(10)는 공통의 도어 레일(11)에 걸려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칸의 도어(10)는, 도어 레일(11)에 안내되면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의 도어(10)는, 행거 케이스(9)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도어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방향에 대해서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2)는 각 엘리베이터칸의 도어(10)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개폐된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칸(1)의 상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장착장치(6)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지지 레일(12)과, 지지 레일(12)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고, 도어장치(3)의 행거 케이스(9)를 각 지지 레일(12)에 고정하는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고정장치(13)를 가지고 있다.
각 지지 레일(12)은 상벽부(8)에 예를 들면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 직접 고정되어 있다. 또, 각 지지 레일(12)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지지 레일(12)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위쪽에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또한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레일(12)의 길이 치수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 치수와 일치하고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부(8)가 볼트(3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천장(5b)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레일(1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부(8)에 접촉하는 판 모양의 레일 기부(基部)(12a)와, 레일 기부(12a)의 양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지지 레일(12)의 폭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레일 대향부(12b)와, 각 레일 대향부(12b)의 단부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레일 돌출부(12c)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지 레일(12)의 단면 형상은, 레일 기부(12a), 각 레일 대향부(12b) 및 각 레일 돌출부(12c)에 의해, 대략 'C'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 레일(9)에는, 레일 기부(9a), 각 레일 대향부(9b) 및 각 레일 돌출부(9c)에 의해 형성된 유지용 홈(14)이 마련되어 있다. 유지용 홈(14)은 지지 레일(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각 지지 레일(1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수의 고정장치(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고정장치(13)가 각 지지 레일(12)에 2개씩 마련되어 있다. 고정장치(13)는, 유지용 홈(14)에 끼워진 체결 볼트(15)와, 체결 볼트(15)에 나사 맞춤(螺合)되는 체결 너트(16)를 가지고 있다.
체결 볼트(15)는 지지 레일(12)에 유지되면서 지지 레일(12)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체결 볼트(1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용 홈(14) 내에 배치된 두부(頭部)(15a)와, 두부(15a)에 고정되며, 유지용 홈(14)의 개구부(즉, 각 레일 돌출부(12c) 사이의 공간)에 끼우는 단면 직사각형 모양의 회전 멈춤부(15b)와, 회전 멈춤부(15b)로부터 유지용 홈(14) 밖으로 돌출하는 나사부(15c)를 가지는 각근(角根, square base)볼트로 되어 있다. 체결 볼트(15)는 회전 정지부(15b)가 각 레일 돌출부(12c)에 안내됨으로써 지지 레일(12)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행거 케이스(9)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체결 볼트(15)의 나사부(15c)가 삽입된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열쇠구멍(17)이 마련되어 있다. 각 열쇠구멍(17)은 행거 케이스(9)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열쇠구멍(17)은 각 지지 레일(12) 사이의 간격에 대응시켜 배치되며, 또한 도어 레일(1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쇠구멍(17)은, 대경부와, 대경부로부터 돌출하는 소경부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소경부가 대경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각 열쇠구멍(17)이 행거 케이스(9)에 형성되어 있다. 열쇠구멍(17)의 대경부의 지름은 나사부(15c) 및 체결 너트(16)를 모두 통과하는 지름으로 되어 있다. 열쇠구멍(17)의 소경부의 지름은 나사부(15c) 및 체결 너트(16) 중, 나사부(15c)만을 통과하는 지름으로 되어 있다.
체결 볼트(15)의 나사부(15c)가 열쇠구멍(17)의 소경부에 통과된 상태에서는, 열쇠구멍(17)의 내주부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방향에 대해서 체결 볼트(15)에 맞물리고 있다. 행거 케이스(9)는 체결 볼트(15)의 나사부(15c)가 열쇠구멍(17)의 소경부에 통과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15)의 두부(15a)와 체결 너트(16)와의 사이에서 레일 돌출부(12c)와 함께 조여짐으로써, 지지 레일(12)에 고정된다. 즉, 행거 케이스(9)는 체결 볼트(15)의 두부(15a)와 체결 너트(16)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 너트(16)가 체결 볼트(15)에 대해서 조여짐으로써, 지지 레일(12)에 고정된다.
각 엘리베이터칸의 도어(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패널(18)과, 도어 패널(18)의 상부에 마련되며, 도어 레일(11)에 걸리는 도어 행거(19)를 가지고 있다. 도어 행거(19)는, 도어 패널(18)의 상부에 볼트(도시생략)로 고정된 행거판(20)과, 행거판(20)에 마련되며, 도어 레일(1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도어 레일(11)상에 놓이는 복수의 행거 롤러(21)와, 행거판(20)에 마련되며, 각 행거 롤러(21)의 위치에 대응시켜 도어 레일(1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업 쓰러스트 롤러(upthrust roller)(22)를 가지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의 도어(10)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각 행거 롤러(21)가 도어 레일(11)상을 전동(轉動)한다.
행거판(20)에 대한 도어 패널(18)의 위치는, 행거판(20)을 도어 패널(18)에 고정하는 볼트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 실(2)의 깊이방향 및 폭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벽부(8)와 도어 패널(18)과의 사이의 틈새 치수(갭(gap) 치수)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를 닫고 있을 때의 도어 패널(18)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중심선과의 사이의 치수(JJ치수)의 각각의 미조정(微調整)은 행거판(20)에 대한 도어 패널(18)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칸(1)을 조립할 때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칸 실(2)은 각 고정장치(13)를 지지 레일(12)에 미리 장착된 상태에서 공장으로부터 출하된다. 즉, 엘리베이터칸 실(2)이 공장으로부터 출하될 때에는, 유지용 홈(14)에 끼워진 체결 볼트(15)에 체결 너트(16)를 체결한 상태에서, 각 고정장치(13)가 지지 레일(12)에 장착되어 있다. 또, 이 때, 각 고정장치(13)는 행거 케이스(9)의 각 열쇠구멍(17)의 위치에 맞추어 지지 레일(12)에 장착되어 있다.
도어장치(3)는 엘리베이터칸 실(2)로부터 떼어진 상태로 공장으로부터 출하된다. 도어장치(3)가 공장으로부터 출하될 때에는, 각 엘리베이터칸의 도어(10)가 행거 케이스(9)로부터 떼어져 있다.
엘리베이터의 설치 현장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실(2)에 행거 케이스(9)를 장착한 후, 각 엘리베이터칸의 도어(10)를 행거 케이스(9)에 조립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을 완성시킨다.
즉, 엘리베이터칸(1)을 조립할 때에는, 우선 각 체결 너트(16)를 느슨하게 하여, 체결 너트(16)와 지지 레일(12)과의 사이에 행거 케이스(9)가 끼워지는 틈새를 생기게 한다.
이 후, 열쇠구멍(17)의 대경부에 체결 너트(16)를 통과하게 하면서, 행거 케이스(9)를 지지 레일(12)에 밀어 닿게 한다. 이 후, 지지 레일(12)에 밀어 닿게 하면서 행거 케이스(9)를 아래쪽으로 옮기며, 열쇠구멍(17)의 소경부를 체결 볼트(15)의 나사부(15c)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체결 볼트(15)의 나사부(15c)가 열쇠구멍(17)의 소경부에 끼워진다.
이 후, 행거 케이스(9)를 각 고정장치(13)와 함께 지지 레일(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에 대한 행거 케이스(9)의 위치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방향에 대해서 조정한다. 이 후, 각 체결 너트(16)를 조여, 행거 케이스(9)를 지지 레일(12)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행거 케이스(9)가 엘리베이터칸 실(2)에 장착된다.
이 후, 각 엘리베이터칸의 도어(10)를 도어 레일(11)에 걸고, 각 엘리베이터칸의 도어(10)를 행거 케이스(9)에 조립한다. 이 후, 행거판(20)을 도어 패널(18)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느슨하게 하여, 행거판(20)에 대해서 도어 패널(18)을 옮기면서, 갭 치수 및 JJ치수의 미조정을 실행한다. 이 후, 볼트를 조이고, 행거판(20)에 도어 패널(18)을 다시 고정한다. 이 후, 부속부품을 행거 케이스(9)에 장착하여 도어장치(3)를 완성시킴으로써, 도어장치(3)가 엘리베이터칸 실(2)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엘리베이터칸(1)이 조립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2)에서는, 지지 레일(12)이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에 고정되며, 도어장치(3)를 지지 레일(12)에 고정하는 고정장치(13)가 지지 레일(12)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도어장치(3)로부터 떨어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이 아니라, 도어장치(3)에 가까운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에 지지 레일(12)를 통하여 도어장치(3)를 장착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장치(3)의 중량을 지지하는 지지 레일(12)의 부담을 경감할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칸 실(2)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지지 레일(12)을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에 직접 고정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에 대한 도어장치(3)의 위치의 오차를, 엘리베이터칸 실(2)의 깊이방향 및 높이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큰 폭으로 작게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실(2)의 깊이방향 및 높이방향의 각각에 대한 도어장치(3)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잭 볼트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점수를 줄일 수가 있고,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고정장치(13)가 지지 레일(12)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에 대한 도어장치(3)의 위치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의 정면폭방향에 대해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어장치(3)의 위치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어, 도어장치(3)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고정장치(13)는 지지 레일(12)에 유지되면서 지지 레일(12)을 따라서 변위 가능한 체결 볼트(15)와, 체결 볼트(15)에 나사 맞춤된 체결 너트(16)를 가지고, 체결 볼트(15)에 대한 체결 너트(16)의 조임에 의해 도어장치(3)를 지지 레일(12)에 고정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도어장치(3)를 지지 레일(12)에 고정할 수 있으며, 지지 레일(12)에 대해서 도어장치(3)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1)에서는, 지지 레일(12)이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에 고정되며, 도어장치(3)의 행거 케이스(9)를 지지 레일(12)에 고정하는 고정장치(13)가 지지 레일(12)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어장치(3)의 중량을 지지하는 지지 레일(12)의 부담을 경감할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칸(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지지 레일(12)을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5)에 직접 고정할 수가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 실(2)의 깊이방향 및 높이방향의 각각에 대한 도어장치(3)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잭 볼트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점수를 줄일 수가 있고,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고정장치(13)가 지지 레일(12)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도어장치(3)의 위치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고, 도어장치(3)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체결 볼트(15)가 삽입되는 열쇠구멍(관통구멍)(17)이 행거 케이스(9)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행거 케이스(9)의 위치를 조정할 때에는, 체결 볼트(15)가 행거 케이스(9)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져, 행거 케이스(9)의 위치의 조정 작업을 더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행거 케이스(9)에 마련된 관통구멍이 열쇠구멍(17)이므로, 체결 볼트(15)에 체결 너트(16)가 나사 맞춤 되어 있는 상태이더라도, 열쇠구멍(17)의 대경부에 체결 너트(16)를 통과함으로써, 열쇠구멍(17)의 소경부에 체결 볼트(15)를 끼울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체결 볼트(15)로부터 체결 너트(16)를 떼어내지 않고, 행거 케이스(9)를 지지 레일(12)에 고정할 수가 있고, 도어장치(3)의 설치작업을 더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고정장치(13)가 체결 볼트(15) 및 체결 너트(16)를 가지고 있지만, 고정장치(13)의 구성은 지지 레일(12)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며, 도어장치(3)를 지지 레일(12)에 고정하는 것이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정장치가 지지 레일(12)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후크(hook)와, 지지 레일(12)에서의 후크의 위치를 고정하는 핀을 가지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후크에는 핀이 통과되는 핀 통과구멍이 마련된다. 또, 지지 레일(12)에서의 후크의 위치는, 핀 통과구멍에 통과된 핀이 지지 레일(12)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된 위치 결정구멍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행거 케이스(9)는 후크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 레일(12)에서의 후크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지지 레일(12)에 고정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행거 케이스(9)에 마련된 관통구멍이 열쇠구멍(17)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둥근 구멍이나 긴 구멍등을 관통구멍으로하여 행거 케이스(9)에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체결 볼트(15)로부터 체결 너트(16)를 일단 떼어낸 후, 행거 케이스(9)의 관통구멍에 체결 볼트(15)를 통과하게 된다. 또, 긴 구멍을 관통구멍으로 하는 경우, 긴 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배치함과 아울러, 긴 구멍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체결 너트(16)를 체결 볼트(15)에 나사 맞춤시킨 채로, 슬롯의 개방 부분으로부터 체결 볼트(15)를 긴 구멍에 삽입할 수가 있다.
1 : 엘리베이터칸 2 : 엘리베이터칸 실
3 : 도어장치 4: 엘리베이터칸 출입구
5 :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 9 : 행거 케이스
10 : 엘리베이터칸의 도어 12 : 지지 레일
13 : 고정장치 15 : 체결 볼트
16 : 체결 너트 17 : 열쇠구멍(관통구멍).

Claims (4)

  1.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위쪽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정면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에 고정된 지지 레일, 및
    상기 지지 레일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장치를 상기 지지 레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지지 레일에 유지되면서 상기 지지 레일을 따라서 변위 가능한 체결 볼트와, 상기 체결 볼트에 나사 맞춤 되는 체결 너트를 가지며, 상기 체결 볼트에 대한 상기 체결 너트의 조임에의해, 상기 도어장치를 상기 지지 레일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3.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위쪽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정면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실 본체에 고정된 지지 레일과, 상기 지지 레일에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고정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칸 실, 및
    상기 고정장치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고정장치가 통과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 레일에 고정되는 행거 케이스(hanger case)와, 상기 행거 케이스에 지지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를 가지는 도어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지지 레일에 유지되면서 상기 지지 레일을 따라서 변위 가능한 체결 볼트와, 상기 체결 볼트에 나사 맞춤되는 체결 너트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은 열쇠구멍으로 되어 있고,
    상기 행거 케이스는, 상기 열쇠구멍에 통과된 상기 체결 볼트의 두부(頭部)와 상기 체결 너트와의 사이에 조여짐으로써, 상기 지지 레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KR1020137009670A 2010-10-04 2010-10-04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KR101410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7360 WO2012046289A1 (ja) 2010-10-04 2010-10-04 エレベータのかご室、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628A true KR20130093628A (ko) 2013-08-22
KR101410539B1 KR101410539B1 (ko) 2014-06-20

Family

ID=4592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670A KR101410539B1 (ko) 2010-10-04 2010-10-04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26325B1 (ko)
JP (1) JP5452728B2 (ko)
KR (1) KR101410539B1 (ko)
CN (1) CN103153834B (ko)
WO (1) WO2012046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8793B2 (ja) * 2012-05-30 2016-04-2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装置
JP2016088627A (ja) * 2014-10-29 2016-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WO2020048936A1 (en) * 2018-09-04 2020-03-12 Inventio Ag Device for fastening a transom in a lift insta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162A (en) * 1966-05-04 1969-02-04 Williamsburg Steel Products Co Door hanger and track construction
JPS52150172U (ko) * 1976-05-10 1977-11-14
JPS5849334Y2 (ja) * 1978-05-30 1983-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かごのドア装置
JPS5742070U (ko) * 1980-08-23 1982-03-06
JPS58151182U (ja) * 1982-04-01 1983-10-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かごのドア−装置
JPS58151183U (ja) * 1982-04-06 1983-10-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かごのドア−装置
KR200266320Y1 (ko) 2001-01-20 2002-02-28 우봉일 실홈이 아래로 향한 승강기의 실(Sill)
US6845849B2 (en) * 2003-01-21 2005-01-25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Height adjustment clip for an elevator door
JP2007137613A (ja) * 2005-11-18 2007-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ハンガーケース固定装置
KR20090022262A (ko) * 2007-08-30 2009-03-0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
JP5388459B2 (ja) * 2008-03-03 2014-01-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の設置方法
JP2010208761A (ja) * 2009-03-09 2010-09-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6325B1 (en) 2017-03-22
KR101410539B1 (ko) 2014-06-20
CN103153834B (zh) 2015-02-11
CN103153834A (zh) 2013-06-12
JP5452728B2 (ja) 2014-03-26
JPWO2012046289A1 (ja) 2014-02-24
EP2626325A4 (en) 2016-03-30
EP2626325A1 (en) 2013-08-14
WO2012046289A1 (ja)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7850A1 (en) Partition panel assembly
KR20060081666A (ko) 트랙 잭 시스템
KR101410539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US10415299B2 (en) Adjustable shim and pre-hung door with the same
US20140305746A1 (en) Fixing arrangement for a light curtain in an elevator
US20140352219A1 (en) Security Insert Panels For Sliding Glass Doors And Windows
JP5388459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の設置方法
CN112875473A (zh) 电梯的门装置
JP6335593B2 (ja) 非常解除型開放ストッパー装置付引戸装置
KR101753677B1 (ko) 문틀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비상문
JP2023551065A (ja) 取付ブラケットを有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8230786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5812750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り口装置およびその三方枠固定装置
CN112262095B (zh) 电梯的门支承装置
JPWO2006048928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H07285768A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
JP2010184755A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ユニット
JP5887738B2 (ja) エレベータ乗場扉の上部気密装置
KR20180135179A (ko) 오버헤드 도어의 안전장치
JP7179579B2 (ja) 長尺材の躯体支持構造
JP4822805B2 (ja) ノンレール引戸の建て込み方法
KR200431533Y1 (ko) 자동문용 도어 후레임과 연결바의 연결구조
JP3839742B2 (ja) エレベータ乗場の敷居取付装置
JP2022054624A (ja) ドア枠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取り付け方法
JP6560521B2 (ja) 引戸門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