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443A - 화상 표시 제어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제어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443A
KR20040107443A KR1020040043586A KR20040043586A KR20040107443A KR 20040107443 A KR20040107443 A KR 20040107443A KR 1020040043586 A KR1020040043586 A KR 1020040043586A KR 20040043586 A KR20040043586 A KR 20040043586A KR 20040107443 A KR20040107443 A KR 20040107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annular
pixe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237B1 (ko
Inventor
오노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리형 궤도로 이루어진 화상 이동 궤도를 통해 화상이 이동 및 표시된다. 표시 화면상에 표시될 화상의 중앙점이 기준 위치로서 정의되고 기준점은 시작점으로 사용되며, 1주(round)에 해당하는 이동이 완료될 때 기준 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고리형 궤도가 설정된다. 즉, 하나의 고리형 궤도를 매 사이클마다 반드시 기준 위치 Pt를 통과하도록 화상 이동 궤도가 설정된다. 이러한 화상 이동의 결과로서, 화소 변이로서의 화상 이동이 시각적으로 알아보기 힘들게 되며 고스트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제어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영상 신호 입력에 의해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표시 원리는 예를 들면 2매의 유리 기판을 서로 대향시켜 형성한 공간 내에 가스를 봉입한다. 그리고나서, 가스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진공 방전이 유도된다. 이에 의해, 유리 기판의 공간 내에서는 가스가 전리(電離)하여 플라즈마 상태가 되어 자외선이 방사된다. 여기서, 유리 기판 사이의 공간 내에 형광체층을 미리 형성해 두면, 이 형광체층에서는 상기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소정색의 가시광을 방사한다. 이러한 형광체로서 R, G, B의 3색에 대응하는 것을 형성해두고, 예를 들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한 표시 셀마다 상기한 방전 발광 현상이 얻어지도록 함으로써, 컬러 화상 표시가 가능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표시 구동하는 방식으로는, 서브 필드 방식이 알려져 있다.
서브 필드 방식은 1 필드를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각 서브 필드마다 표시 셀의 발광 기간을 제어함으로써, 각 표시 셀의 계조(휘도)를 표현하는 구동 방식이다. 이 때,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는 R, G, B의 각 표시 셀의 계조를 제어함으로써, 화면 전체의 계조 밸런스뿐만 아니라, 1 화소마다의 색 재현이 행해지게 된다. 즉, 컬러 화상의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표시되는 화상광은 형광체층으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에 의해 얻어진다. 그러나, 이 형광체층은 사용 경과에 따라 열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광체의 열화는, 진공 방전에 의해 조사되는 자외선이나, 진공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이온의 충격 등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형광체의 열화는 발광한 누적 시간이 길수록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실제의 표시에서는 각 표시 셀에 대응하는 형광체의 발광 누적 시간은 균일하게 되지 않으며, 표시되는 화상에 따라 차이가 생기게 된다. 즉, 표시 셀 간에서의 형광체의 열화의 정도에 차이가 생긴다.
형광체의 열화는, 발광 휘도의 저하로서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각 표시 셀마다 대응하는 형광체에 대한 열화에 차이가 생기는 것은, 형광체의 발광 휘도에 차이를 생기게 한다. 또한, 예를 들면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는 R, G, B의 형광체 사이에 발광 휘도에 차이가 생기면, 화이트 밸런스도 무너지게 된다.
이에 의해, 표시 화면 전체를 고려한 경우에도, 본래는 동일한 휘도, 색조로 표시되어야 할 영역에, 열화가 진행되고 있는 부분이 주위와 다른 휘도, 색조에 의해 표시되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소위 고스트 효과(ghost effect)라고 한다. 고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면 형광체가 열화하고 있는영역이 고정 패턴으로서, 본래의 화상에 중첩되는 것처럼 표시된다. 따라서, 이것은 표시 화질이 열화됨으로써 이전부터 문제가 되었다.
고스트 효과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표시 화상에 대한 화면 사이즈의 어스펙트비의 관계로 인해, 영상 부분의 상하 또는 좌우에 흑색 부분이 빈번히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흑색 부분으로서 표시되는 화상 부분의 형광체와 비교하면, 영상 부분의 형광체는 발광 누적 시간이 길어진다. 그 결과, 영상 부분으로서의 표시 영역과, 흑색 부분으로서의 표시 영역 사이에, 형광체의 열화의 정도가 대폭 차이나게 되어, 영상 부분과 흑색 부분의 경계가 분명하게 보이게 되는 고스트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영화 등의 영상 소스를 자주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백색으로 자막이 표시되는 부분이, 다른 표시 영역보다도 형광체의 발광 누적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고스트는 고정된 패턴으로서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고스트의 해결책으로서, 화상 표시 시에,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금씩 변이하는, 소위 화소 변이라고 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소 변이에 의한 화상 표시를 행하면, 예를 들면 고휘도로 재현해야 할 화상 부분을 형성하는 표시 셀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기 때문에, 특정한 표시 셀에 대응하는 형광체에서만 열화가 진행해 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고스트 효과가 저감되도록 하여 화상 표시를 행하게 된다.
이 화소 변이의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예를 들면 도 1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화상의 표시 위치를 변이시킨다.
즉, 도 14의 (a)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 궤도로서, 일정한 사이즈의 직경을 갖는 원 궤도를 가정한다. 다음으로, 이 원 궤도에 따라, 표시 화면(200)에 표시될 화상 전체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화상의 이동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상 전체에서의 1 화소의 움직임으로 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4의 (b)와 같이 하여 도시할 수 있다.
또, 이후의 설명에서, 화상을 형성하는 요소가 되는 화소 단위 상당의 특정 위치의 화상 부분에 대해서는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이라고 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R, G, B의 표시 셀의 조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화소에 대해서는 표시 화소라고 한다. 즉, 화소 변이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표시 화소에 대해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이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이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은 화소 변이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 화소 Pcnt의 위치에 고정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화소 변이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은, 우선, 표시 화소 P1의 위치로 이동된다. 표시 화소 P1은, 상기 표시 화소 Pcnt가 원 궤도의 중심이 되도록 된 후에, 표시 화면 상에서 원 궤도에서의 가장 위에 대응하며 도 14의 (a)의 250으로서 표시된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 표시 화소 P1부터, 도 14의 (a)에 화살표로 표시된 원 궤도의 진행 방향을 따라, 표시 화소 사이에서의 이동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이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은 표시 화소 P1부터 순차 진행하여 이동함으로써, 원 궤도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즉 도 14의 (a)의 260으로 표시된 표시 화소 P2에 도달한다. 또한 더 이동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원 궤도의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표시 화소 P3,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표시 화소 P4를 통과해가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표시 화소 P1의 우측 옆의 표시 화소 P5에 도달함으로써, 이 원 궤도를 1주하게 된다. 이 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표시 화소 P1을 기점으로 한, 마찬가지의 원 궤도에 의한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이동이 반복되게 된다.
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화면 상의 표시 화소는, 수직/수평 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14의 (b)에서도 알 수 있듯이,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이동 패턴은, 정확하게 원주 형상으로 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여기서는 원주 형상을 가정하여, 될 수 있는 한 이에 가까운 궤적 형상으로 표시 화소 사이에 이동시킨 경우에 얻어지는 고리형 궤도를 원 궤도라고 한다.
그러나, 상기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소 변이에서는, 화상의 이동 패턴이 단일 고리형 궤도(원 궤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4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은 표시 화면 상에서의 본래의 표시 위치를 중심으로 한 원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표시 화상은 항상 본래의 표시 위치에 어긋난 부분부터 이동이 개시되게 된다. 이 때문에, 화소 변이에 의해 화상이 이동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쉬워, 그만큼 보기 흉한 화상이 되게 된다.
또한, 고스트 효과의 저감의 관점에서 보면, 화상 표시 시의 화소 변이로서의 화상 이동은,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화상이 이동되고 있는 것이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쉽다. 따라서, 화소 변이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행하지 않도록 하여, 임의의 소정의 조건, 규칙에 따라서, 간격을 두고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일정 시간 간격마다 화소 변이를 행하도록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표시 화상이 정지하고 있으면 고스트는 쉽게 발생한다. 따라서, 일정 시간 이상 표시 화상이 정지한 상태에 있는 것을 판별했을 때에 화소 변이를 개시시키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간격적으로 화소 변이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그를 위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할 필요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전자의 경우에는, 기동용 타이머를 부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화상의 정지를 검출하기 위한 평균 휘도 검출 기능과, 이 평균 휘도 검출 기능에 의한 검출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기능 및 이 메모리 기능에 의해 저장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 기능 등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부 및 프로그램 등을 부가할 필요가 있다. 즉, 회로 구성 혹은 프로그램 구성이 복잡해져서 장치 설계의 효율화를 저해시키거나, 또한 비용 상승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R, G, B 셀과 화소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표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
도 4는 실시예의 화소 변이로서의 화상 이동의 궤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화상 이동의 궤도의 시뮬레이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시뮬레이션 예에서의 화상 이동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a), (b), (c), (d) 및 (e)는 도 5에 도시하는 시뮬레이션 예에 대응하는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발생 확립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이동 패턴으로서, 인접하는 표시 화소간의 이동 규칙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개념에 기초한 화상 이동의 궤도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화상 이동의 궤도의 시뮬레이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시뮬레이션 예에 대응하는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발생 가능성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의 (a) 및 (b)는 실시예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실시예로서의 화소 변이에 의한 화상 이동 개시 시에, 고리형 궤도의 설정을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의 (a) 및 (b)는 종래의 화소 변이로서의 화상 이동의 궤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종래 기술로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부
11 : A/D 변환 회로
12 :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
13 : 표시 위치 제어부
14 : 표시부
30(30R, 30G, 30B) : (R, G, B) 셀
31 : 화소
41 : APL 연산 회로
42 : PLE 특성 설정 회로
43 : 표시 휘도 레벨 제어 회로
101 : 앞면 유리 기판
102 : 서스테인 전극
102A : 전극 X
102B : 전극 Y
102a : 투명 도전막
102b : 금속막
103 : 유전체층
104 : 보호막
105 : 배면 유리 기판
106 : 격벽
107 : 어드레스 전극
108(108R, 108G, 108B) : (R, G, B) 형광체층
109 : 방전 공간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관점에서 고려되었으며, 입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화상 표시 제어 장치를 제안한 것으로서, 이 화상 표시 제어 장치는 시작 및 복귀점으로서 사용되는 기준 위치로서 상기 화상의 중앙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 궤도를 포함하는 화상 이동 궤도를 통해 상기 화상을 이동 및 표시하고, 상기 화상 이동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 제어기는 상기 기준 위치를 공유하는 복수의 고리형 궤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고리형 궤도는 순차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화상이 상기 선택된 고리형 궤도를 통해 이동 및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제어 장치는 랜덤 번호 생성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제어기는 상기 랜덤 번호 생성기에 의해 발생된 랜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고리형 궤도들 중에서 상기 화상 이동이 시작할 하나의 고리형 궤도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누적된 통전 시간을 측정 및 홀딩하도록 구성된 홀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제어기는 상기 누적된 통전 시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이동 궤도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상기 고리형 궤도 중에서 화상의 이동을 개시시켜야 할 하나의 고리형 궤도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표시 제어기는 상기 기준 위치를 접선을 통한 접촉 위치로 하는 2쌍의 고리형 궤도를 구비하며, 상기 2쌍의 고리형 궤도간의 위치 관계는 한쌍의 고리형 궤도의 접선과 다른 쌍의 고리형 궤도의 접선이 서로 직교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표시 화면은 3색의 한 쌍의 표시 셀들로 구성된 화소들이 수평및 수직 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표시 제어기는 상기 화상 이동 궤도를 통해 상기 화상을 이동 및 표시하는 표시 제어로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상기 화소 단위로 이동되도록 하며; 현 화소로부터 다음 화소로의 이동은 상기 현 화소에 인접한 화소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제어를 실행하는 화상 표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화상 표시 제어 방법은 시작 및 복귀점으로서 사용되는 기준 위치로서 상기 화상의 중앙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 궤도를 포함하는 화상 이동 궤도를 통해 상기 화상을 이동 및 표시하고, 상기 화상 이동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표시 제어 방법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기준 위치를 공유하는 복수의 고리형 궤도와, 상기 화상이 상기 선택된 고리형 궤도를 통해 이동 및 표시되도록 실행되는 상기 표시 제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화상 표시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패널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로서는, AC형(교류형)을 예로 든다. 표시 패널로서는, 3 전극 구조에 의한 면 방전형의 구성을 채용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의 가장 앞면에, 투명한 앞면 유리 기판(101)이 배치된다. 그리고, 이 앞면 유리 기판(101)의 배면측에, 전극X(102A) 및 전극 Y(102B)로 쌍을 이루는 서스테인 전극(102)이 배치된다. 전극 X(102A) 및 전극 Y(102B)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쌍을 이루는 전극 X(102A) 및 전극 Y(102B)로 이루어지는 서스테인 전극(102)이 하나의 행으로서의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들 전극 X(102A), 전극 Y(102B)는, 각각 투명 도전막(102a)과 금속막(버스 도체)(102b)을 조합하여 형성된다.
앞면 유리 기판(101)의 배면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스테인 전극(102)(전극 X(102A), 전극 Y(102B))이 배치되고, 그 위에 또한 예를 들면 저융점 유리로 이루어지는 유전체층(103)이 배치된다. 이 유전체층(103)의 배면측에, 예를 들면 MgO 등에 의한 보호막(104)이 형성된다.
또한, 배면 유리 기판(105)의 앞면측에는 어드레스 전극(107)이 서스테인 전극(102)(전극 X(102A), 전극 Y(102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어드레스 전극은 열로서의 라인을 형성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어드레스 전극(107) 사이에는 격벽(106)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어드레스 전극(107)이 배치되는 배면 유리 기판 상면부와, 그 양측의 격벽(106)의 측벽부가 피복하기 위해, R, G, B 각 색의 형광체층(108R, 108G, 108B)이 순차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격벽(106)의 앞면측 단부가, 실제로는 보호막(104)에 접촉하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형광체층(108R, 108G, 108B)이 형성되어 있는 방전 공간(109)이 형성되게 된다. 이 방전 공간(109)은, 진공으로 된 후에예를 들면 네온(Ne), 크세논(Xe), 헬륨(He) 등의 가스가 봉입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서스테인 전극(전극 X, 전극 Y)과 어드레스 전극 A가 교차하는 위치에 구성되는 표시 패널의 구조체 부분이 셀(30)이다. 이 셀에서, 도 1에 도시한 표시 패널의 구조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대응하여 배치되는 형광체층(108)의 색에 기초하여, R의 셀(30R), G의 셀(30G), B의 셀(30B)이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나열되는 R, G, B의 셀(30R, 30G, 30B)의 세트에 의해, 컬러 표현이 가능한 하나의 화소(31)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 패널 구조를 채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도 3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의 표시 패널에 있어서, 하나의 셀(30)에 상당하는 부위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또, 이 도 3에서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기 도 1에 도시한 구조의 표시 패널에 대한 표시 구동은, 소위 서브 필드 방식에 의해 행해진다. 알려진 바와 같이, 서브 필드 방식은 1 서브 필드를, 표현해야 할 계조수에 따라 2치로 가중한 소정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한다. 그리고, 설정된 계조에 따라, 각 서브 필드에서 필요한 셀이 발광 구동된다.
임의의 서브 필드 기간에, 발광 구동되어야 할 셀(30)에서는, 면 방전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 면 방전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 공간(109) 내에 봉입된 가스를 플라즈마 상태로 하는 플라즈마 방전이다. 따라서, 방전 공간(109) 내에서는 자외선이 방사되게 된다.
그리고, 이 자외선의 조사에 반응하여 형광체층(108)으로부터는 가시광이 방사된다. 이 가시광은 형광체층이 실제로 R 형광체층(108R), G 형광체층(108G), B 형광체층(108B)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R, G, B 중 어느 한 색으로 방사된다.
그리고, 이 가시광은 형광체층(108)에 의해 반사되고, 보호막(104), 유전체층(103), 앞면 유리 기판(101)을 투과하여, 표시광으로서 앞면측에 조사되게 된다.
그런데, 형광체층(108)은 화상 표시의 실행으로 인해 시간 경과에 따라 열화해 간다. 또, 형광체층(108)의 열화의 주된 요인은, 종래 기술로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방전 공간(109) 내에서의 면 방전에 의해 조사되는 자외선 및 이온화한 가스의 충격에 의한 것이다.
형광체층(108)의 열화는, 휘도의 저하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임의의 고정적인 표시 영역 부분에서의 형광체층(108)에, 다른 영역보다도 열화가 진행된 경우에는, 주위의 표시 영역 사이에서 휘도에 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차는 일명 고스트 현상이라고 한다. 고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고스트 부분이 고정 패턴으로서 표시 화상에 중첩된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표시 화상의 질을 손상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로서는, 이러한 고스트에 의한 표시 화질의 열화를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고스트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화소 변이를채용한다. 그리고, 화소 변이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패널의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에 화소 단위로 화상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고휘도로 표시되는 화소(셀)의 위치가 어긋나도록 되기 때문에, 특정한 화소에 대응하는 형광체만의 열화가 진행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고스트가 저감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 변이를 위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화상의 이동 패턴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설정한다.
도 4에는 화상의 이동 패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 4에 따르면, 화상 이동을 위한 궤도로서, 고리형 궤도 (1), (2), (3), (4)의 4개의 고리형 궤도가 나타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이동을 위한 1회분의 궤도(화상 이동 궤도)로서, 4중의 고리형 궤도를 갖고 있게 된다. 그리고, 이 4중 고리형 궤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각 4개의 고리형 궤도는, 각각 이상적으로는 원주 형상으로서의 궤도를 갖고 있고, 또한 그 원주 형상 사이즈는 서로 동일하게 된다.
또한, 이들 4개의 고리형 궤도는 모두 표시 화면 상에서의 임의의 특정한 점을 기준 위치 Pt로 하여, 이 기준 위치 Pt를 개시 위치로 하고 있고, 고리형 궤도를 1주한 후에는 이 기준 위치 Pt로 반드시 되돌아가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4개의 고리형 궤도의 표시 화면 상에서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하나의 고리형 궤도는, 다른 3개의 고리형 궤도와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고리형 궤도가 좌우 어느 하나의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또 다른 하나의 고리형 궤도가 상하 어느 하나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또 다른 하나의 고리형 궤도가 45도 방향의 경사 위 또는 경사 아래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고리형 궤도 (1)을 기준으로 하면, 남은 3개의 고리형 궤도 중, 고리형 궤도 4는, 고리형 궤도 (1)에 인접하여 좌측 수평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고리형 궤도 (3)은 고리형 궤도 (1)에 인접하여 하측 수직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고리형 궤도 (2)는, 고리형 궤도 (1)에 인접하여 45도 방향으로 경사 좌측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즉, 각 고리형 궤도 (1), (2), (3), (4)로서의 원주 형상의 중심을, 각각 CT1, CT2, CT3, CT4로 하면, 이들을 정점으로 하는 사각형이 형성되게 된다. 또, 이 경우에는 고리형 궤도 (1), (2), (3), (4)가 실제 원 형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사각형은 정방형이 된다. 그리고, 이 사각형(정방형)에서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2세트의 변 중, 변 CT4-CT2와 변 CT1-CT3의 세트는 수직이며, 변 CT4-CT1과 변 CT2-CT3의 세트는 수평이 되도록, 이들 4개의 고리형 궤도를 배치한다. 대안적으로, 기준점 Pt이 접선에 접하여, 서로 접하여 있는 2쌍의 고리형 궤도가 있을 수도 있다. 이들 접선 쌍들은 서로 수직하고 있다.
또한, 고리형 궤도 (1)∼(4)로서 나타내는, 괄호 ( ) 내의 자연수는, 화상 이동을 위한 궤도의 선택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즉, 화상 이동을 처음부터 개시시켰다고 가정하는 경우에는, 우선 기준 위치 Pt를 기점으로 하여, 고리형 궤도 (1)에 의해 화상 이동을 개시시킨다. 이 고리형 궤도 (1)에 의한 1주분의 화상 이동이 종료했을 때에는, 화상은 기준 위치 Pt에 있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이 기준 위치 Pt로부터 고리형 궤도 (2)에 의한 1주분의 화상 이동이 진행된다. 또한, 유사하게 기준 위치 Pt로부터, 고리형 궤도 (3)에 의한 1주분의 화상 이동과, 고리형 궤도 (4)에 의한 1주분의 화상 이동을 순차 행하게 된다. 여기까지, 고리형 궤도 (1), (2), (3), (4)를 각각 1주시킨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화상의 이동 패턴으로서의 1 사이클이 된다. 이 1 사이클의 화상의 이동이 종료하면, 이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리형 궤도 (1)에 의한 1주분의 화상 이동부터 개시하는 1 사이클의 화상 이동을 반복해가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이동 패턴의 시뮬레이션으로서, 화상 이동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상 전체에서의 1 화소의 움직임으로 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하여 도시할 수 있다.
또, 여기서도, 화상을 형성하는 요소가 되는 화소 단위 상당의 특정 위치의 화상 부분에 대해서는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이라고 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구조로서, 예를 들면 R, G, B의 표시 셀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화소에 대해서는 표시 화소라고 한다.
도 5에서, 표시 화소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하고, 이들 표시 화소를 수평(H) 및 수직(V) 방향 좌표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4에서의 기준 위치 Pt를 좌표 (0, 0)으로 한다. 또한, 도 4에도시한 개념에 따른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표시 화소 사이의 이동의 실행에 의해 얻어진 궤적을, 도 5의 좌표 상에서는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이동에 의해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표시 화소의 좌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좌표 (0, 0)이라고 가정되는 기준점 Pt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중앙점이다.
그리고, 이 좌표 상에서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실제의 이동 방법은, 도 6에 도시하게 된다. 도 6은 고리형 궤도 (1), (2), (3), (4)마다 4중 고리형 궤도 전체의 이동 순서와, 이동 순서에 대응한 좌표 (V, H)의 값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따르면, 고리형 궤도 (1), (2), (3), (4)마다, 48개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이동이 수행된다. 따라서, 고리형 궤도 (1), (2), (3), (4)를 일주한 4중 고리형 궤도 전체로는, 48×4=196개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 경우의 실제의 각 고리형 궤도로서는 4변이 동일한 마름모형에 가까운 형상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리형 궤도 (1)은 좌표 (V, H)=(0, 0)에서부터 이동을 개시하여, 좌표 (-1, 0)에서 종료하고 있다. 이에 계속되는 고리형 궤도 (2)는 좌표 (0, 0)에서부터 이동을 개시하여, 좌표 (0, -1)에서 종료하고 있다. 다음의 고리형 궤도 (3)은, 좌표 (0, 0)에서부터 이동을 개시하여, 좌표 (1, 0)에서 종료하고 있다. 또한, 최후의 고리형 궤도 (4)는, 좌표 (0, 0)에서부터 이동을 개시하여, 좌표 (0, 1)에서 종료하고 있다.
즉, 고리형 궤도 (1)∼(4) 모두, 기준 위치 Pt에 상당하는 좌표 (0, 0)에서부터 이동을 개시하여, 최후에는 좌표 (0, 0)에 대하여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좌표에 도달하고 있다. 즉, 이것은 각 고리형 궤도 (1)∼(4)는 반드시 기준 위치 Pt를 기점으로 하여 이동을 개시하고, 1주분의 이동을 종료하여 기준 위치 Pt로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하여, 4중 고리형 궤도를 형성하는 고리형 궤도 모두는, 기준 위치 Pt를 기점으로 하여, 여기로 되돌아가는 궤도로 하고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 기준 위치 Pt를, 화소 변이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표시 화면 상에서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이 본래에 표시될 표시 화소의 위치에 설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화소 변이를 위해서 화상의 이동이 행해짐에 있어서, 각 고리형 궤도에 따른 이동이 개시, 종료될 때마다 표시 화면 상에서 본래 표시되어야 할 위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이동량을 동일하게 한 조건으로, 도 14의 (a) 및 (b)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은 단일 고리형 궤도에 따라 화상을 이동시키는 경우와, 본 실시예의 4중 고리형 궤도에 따라 화상을 이동시키는 경우를 비교한 경우에는, 본 실시예 쪽이, 화상이 이동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실제의 실험 결과에서도, 화상이 이동하고 있는 것의 시각적 인식성이 상당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본 실시예에서의 4중 고리형 궤도에 의한 화상의 이동은, 화상 표시 중에, 지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예의 4중 고리형 궤도에 의해서는 화상 이동이 지속적으로 행해져도, 이것을 보고 있는 사람은 위화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화상이 이동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의해, 고스트 저감 효과는 보다 높아지게 된다. 또한,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간격을 두고 적절한 타이밍, 기회에 따라 화소 변이로서의 화상 이동을 개시시킬 필요성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부가할 필요도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다음과 같은 화소 이동의 규칙이 정의됨으로써, 화상이 이동하고 있는 것의 시각적 인식성을 보다 낮게 하고 있다.
도 7의 (a)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표시 화소의 일부가 추출되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현재, 표시 화소 (B, 1)에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표시 화소 (B, 1)에 위치하는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설정된 고리형 궤적에 따라 단순하게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이동시키려고 하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표시 화소 (B, 1)의 우측 경사 상에 위치하는 표시 화소 (A, 2)가 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실제의 시험 결과로부터, 상기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경사끼리 인접하는 관계에 있는 표시 화소 간에서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이동시키는, 즉 단순하게 화소 단위로 경사 방향으로 화상을 이동시키면, 화상의 이동이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소 (B, 1)로부터 표시 화소 (A, 2)와 같이 하여, 고리형 궤적을 따른 경우에,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7의 (b) 내지 (c)에 도시하는 수순, 혹은 도 7의 (d) 내지 (e)에 도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으로 하였다.
먼저, 도 7의 (b) 내지 (c)에 도시하는 수순부터 설명한다. 우선,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소 (B, 1)에 위치하고 있는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그 바로 위의 표시 화소 (A, 1)로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표시 화소 (A, 1)에 위치하고 있는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우측 옆에 위치하는 표시 화소 (A, 2)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표시 화소 (B, 1)에 위치하고 있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이, 표시 화소 (A, 2)로 이동되게 된다.
또는,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표시 화소 (B, 1)에 위치하고 있는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그 바로 우측 옆의 표시 화소 (B, 2)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표시 화소 (B, 2)에 위치하고 있는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그 바로 위에 위치하는 표시 화소 (A, 2)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서도, 표시 화소 (B, 1)에 위치하고 있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표시 화소 (A, 2)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의 표시 화소 위치(표시 화소 (B, 1))로부터 경사 방향에 위치하는 표시 화소 (표시 화소 (A, 2))에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직접 이 경사 방향의 표시 화소로 이동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우선 현재의 표시 화소 위치에 대하여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에 인접하고, 또한 현재의 표시 화소 위치로부터 경사 방향에 위치하는 목표의 표시 화소모두,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에 인접하고 있는 표시 화소(표시 화소 (A, 1) 또는 (B, 2))에,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이동시키는 수순이 실행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또한 상하좌우 어느 한 방향에 인접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되는 목표의 표시 화소(표시 화소 (A, 2))에,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이동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표시 화소로부터 다음의 표시 화소 사이의 이동으로서, 경사 방향으로의 이동은 행하지 않도록 하고, 반드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이동을, 상하좌우(수평/수직) 방향으로만 하면, 화상 이동의 시각적 인식성은 경사 방향의 이동을 따른 경우보다도 대폭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험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미 도 6에 도시한 4중 고리형 궤도의 이동 방법을 참조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화소간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이동을, 상하좌우(수평/수직) 방향으로만 한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4중 고리형 궤도에 의한 화상 이동은, 예를 들면 도 14의 (a),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인 단일 원 궤도에 의한 화상 이동과 비교하여, 보다 양호한 고스트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이 점에 대하여, 재차 도 5를 참조함과 함께,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앞의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의 4중 고리형 궤도에 의한 화상 이동예(시뮬레이션 결과)로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한 표시 화소 상에서의, 하나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이동의 천이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표시 화소의 매트릭스가 도시되는 하측에서, 화소 대응화상 부분을 이동시킨 결과로서, 각 고리형 궤도 (1), (2), (3), (4)의 1주마다 대응하는, 수평(H) 좌표에서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발생 횟수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이들 각 고리형 궤도 (1), (2), (3), (4)마다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발생 횟수를, 동일하게 수평 좌표마다 가산한, 발생 총수가 나타나 있다. 따라서, 발생 총수는 도 5에 도시하는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4중 고리형 궤도의 1사이클인 경우, 수평 좌표에서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발생 횟수를 나타내게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시뮬레이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중 고리형 궤도의 1사이클에,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192회 이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시뮬레이션을 행한 경우에, 수평 좌표마다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발생 확률은, 발생 총수/192로 표시된다. 이 계산에 의해 얻어진 수평 좌표와 발생 확률의 관계를 도 8에 도시한다.
도 8에서는, 횡축에 수평 좌표를 나타내고, 종축에 발생 확률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수평 좌표마다의 발생 확률(발생 총수/192)이 나타나 있다.
도 8에 따르면, 수평 좌표에서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발생 확률은 다음 경향을 나타낸다. 즉, 수평 좌표의 원점 부근이 피크가 된다. 또한, 수평 좌표가 원점으로부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방향으로 멀어져 감에 따라서, 원점에 대칭이 되는 변화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해 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수직(H) 좌표에서 본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이동 패턴에 따라 얻어지는 발생 총수는, 도 5에 도시한 수평 좌표와 발생 총수의 관계와 마찬가지가 된다.따라서, 수직 좌표에서의 발생 확률은 도 8의 횡축을 수직 좌표로 치환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생 확률의 결과로부터는 다음과 같이 유추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이 고스트를 진행시키는 흰색에 가까운 휘도 레벨에 의해 표시되야 한다고 가정한 경우, 발생 확률이 높은 좌표는 그만큼 고스트가 진행되기 쉬워진다. 또한, 반대로 말하면, 발생 확률이 낮을수록, 고스트는 진행되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도 8에 도시하는 발생 확률로서, 수평 좌표와 수직 좌표의 양자를 고려해보면, 원점을 포함하는 5×5 표시 화소 정도의 범위에서 가장 심하게 고스트가 진행된다. 이 범위보다도 외측에는,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고스트의 진행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중심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서서히 고스트 정도가 약해지는 고스트의 패턴이 얻어지게 된다. 이것은 고스트가 발생한 부분과 발생하지 않은 부분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정도의 고스트에도, 주위의 고스트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영역의 경계가 명확하면, 그만큼 고스트가 눈에 띄게 된다. 그러나, 명확하지 않으면, 그만큼 시각적으로는 고스트가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4중 고리형 궤도에 의해서 얻어지는 화상의 발생 확률로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지게 되고, 이에 의해 고스트가 시각적으로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즉, 종래보다도 높은 고스트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고스트의 저감 효과의 관점에서 본 경우, 본 실시예에서의 4중 고리형 궤도는, 다음과 같은 것도 배려하고 있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4중 고리형 궤도를 형성하는 4개의 고리형 궤도 각각의 위치 관계는, "하나의 고리형 궤도는 다른 3개의 고리형 궤도와의 위치 관계에서, 다른 하나의 고리형 궤도가 좌우 어느 하나의 수평 방향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또 다른 하나의 고리형 궤도가 상하 어느 하나의 수직 방향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또 다른 하나의 고리형 궤도가 45도 방향에 의한 경사 위 또는 경사 아래 방향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에 기초한, 4중 고리형 궤도를 형성하는 4개의 고리형 궤도의 위치 관계로서의 다른 형태를 생각해 보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는 것도 생각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4중 고리형 궤도 전체를 45도 회전시키는 것이다.
도 10은 이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서, 앞에서 나타낸 도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 이동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상 전체의 이동을, 하나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움직임으로 보고 있다. 또한, 이 4중 고리형 궤도에 의한 표시 화소 간의 이동은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의해 설명한 규칙에 기초한다. 따라서, 4중 고리형 궤도에서의 각 고리형 궤도의 선택 순서는, 고리형 궤도 (1)→(2)→(3)→(4)가 된다. 각 고리형 궤도에서는, 예를 들면 기준 위치 Pt를 기점으로 하여, 여기로 되돌아가는 궤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표시 화소 간의 이동 패턴을 응용하게 된다. 또한, 도 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방향의 표시 화소로의 직접적인 이동은 행해지지 않고, 반드시 수평 혹은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표시 화소에 대한 이동을 행하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4중 고리형 궤도와, 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4중 고리형 궤도에서는, 이동 규칙 패턴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조건으로 한 후에, 각 고리형 궤도의 위치 관계를 다른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하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로서, 여기서도 각 고리형 궤도 (1), (2), (3), (4)의 1주마다 대응하는 수평(H) 좌표에서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발생 횟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의 각 고리형 궤도 (1), (2), (3), (4)마다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발생 횟수를, 동일하게 수평 좌표마다 가산한, 발생 총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하는 시뮬레이션은, 고리형 궤도 (1), (2), (3), (4)의 1주마다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30회 이동시키는 이동 패턴이다. 따라서, 4중 고리형 궤도의 일주분은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을 120회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수평 좌표마다에서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발생 확률은 발생 총수/120로 표현되게 된다. 이 계산에 의해, 수평 좌표와 발생 확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은 도 11에 도시한 것으로 된다.
도 11에 따르면, 예를 들면 수평 좌표의 플러스 방향에서는, 원점으로부터 좌표값이 증가해 감에 따라 발생 확률이 낮아지게 되는 경향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발생 확률은 좌표값의 증가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저하하는 것은 아니고, 단계적으로 저하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인접하는 좌표 사이에서 발생 확립이 현저하게 변화한다. 또, 수평 좌표의 마이너스 방향에서도 원점을 대칭으로 하여,상기한 수평 좌표의 플러스 방향측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여, 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의 절대값의 증가에 따른 발생 확률의 저하 경향이 단계적으로 된다는 것은, 이 발생 확률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경계가 되는 표시 화면 상의 위치에서, 누적 발광 횟수의 차가 비교적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누적 발광 횟수의 차가 비교적 크다는 것은, 이 발생 확률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경계에서의 고스트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연결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좌표가 원점으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발생 확률의 값은, 임의의 정도의 피크가 연속한 상태에서는, 직선적으로 하강해가는 특성이 얻어지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발생 확률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좌표의 경계에서의 고스트 발생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특성에 있어서도, 원점 부근에서 약 0.1로 피크가 연속된다. 그러나, 원점에 대해서는, 피크보다도 극단적으로 낮은 발생 확률의 값(약 0.08)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확률 분포도, 인접하는 좌표 사이에서 발생 확률이 현저한 차를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고스트를 생기게 하기 쉽다. 따라서,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원점 부근의 피크가 연속하고 있는 범위에서는, 임의의 좌표만이 현저히 다른 값을 채용하는 상태로 되지는 않고, 약 0.183으로 균일하게 되어 있다. 즉, 이 범위에서는 균일한 고스트 범위가 얻어지게 되어, 고스트도 눈에 띄지 않게 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서의 4중의 고리형 궤도에 의한 화소 변이를 채용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일본 공개 특허 출원(JP-A-H08-248934)에 개시된 내용에 기초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입력된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입력부(10)에 입력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감마 보정 등의 소정의 입력단에서의 신호 처리가 실시되어, A/D 변환 회로(11)에 입력된다.
A/D 변환 회로(11)에서는,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에 입력된다. 또한, 분기하여 APL 검출부에 입력된다.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동기 분리, 색 복조 등을 비롯한, 표시부(14)에서의 화상 표시에 필요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표시 위치 제어부(13)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는 동기 신호에 따라, 표시부(14)에 표시되어야 할 화상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에서는, 표시 위치 제어부(13)에 의한 제어에 따라, 예를 들면 서브 필드 방식에 의해 표시부(14)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14)에서 그에 상당하는 표시 위치에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알려진 바와 같이, PLE(Peak Luminance Enhancement) 제어가 행해진다. 간단히 설명하면, PLE 제어란, 예를 들면 필드 화면 전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 레벨을 검출하고, 이 평균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실제로 화상 표시시키기 위한 휘도 레벨인 표시 휘도 레벨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 설정된 표시 휘도 레벨에 따른 계조가 표현되도록 하여, 예를 들면 상기한 서브 필드 방식에 의한 구동을 행하는 것이다. 실제의 PLE 제어에서는, 평균 휘도 레벨이 작아서 어두운 화상에서는, 표시 휘도 레벨을 높게 설정하여 고휘도의 표시가 행해지게 한다. 이에 배해, 평균 휘도 레벨이 커서 밝은 화상에서는, 표시 휘도 레벨을 낮게 설정하여 휘도를 제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PLE 제어가 행해지는 것으로, 평균 휘도 레벨이 높은 영상 신호를 화상으로 하여 표시시킬 때의 최대 소비 전력이 감소되고, 또한 콘트라스트가 양호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PLE 제어도, 도 15에서는 상기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에서 실행된다.
이후의 도 15는 고스트 저감을 목적으로 한 화소 변이를 행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화소 변이는 도 1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단일 원 궤도에 따라 화상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 궤도는 화상의 기준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따라서, 화소 변이로서의 화상 이동이 비교적 눈에 띄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정상적으로 화상 이동을 행하지는 않고,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실행하는 구성을 채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후의 설명도, 이러한 간헐적인 화상 이동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15에서, APL 검출부(15)에서는, 예를 들면 A/D 변환 회로(11)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따라, 예를 들면 필드마다의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 레벨을 검출하여, 화상 이동 제어부(16)에 출력한다.
화상 이동 제어부(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화소 변이로서의 화상 이동 동작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는 디바이스이다. 화상 이동 제어부(16)에서는, APL 검출부(15)로부터 입력되는 필드 기간 마다의 평균 휘도 레벨의 정보를, 메모리부(18)에 전송하여 저장시킨다. 그리고, 또한 이 평균 휘도 레벨의 정보를 판독하여, 판별부(19)에 입력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메모리부(18)에 기입하여 저장한 평균 휘도 레벨과, 판별부(19)에 입력되어 있는, 그 전의 필드의 평균 휘도 레벨을 비교하여, 차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 결과로서 차가 없다는 판별 결과가 얻어지면, 우선 타이머(20)에 클럭 동작을 개시시킨다. 그리고, 화상 이동 제어부(16)는 타이머(20)에 의한 클럭 시간으로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판별부(19)에서의 판별 결과로서 차가 있다는 판별 결과가 출력되지 않은 것을 인식한 경우에, 기억부(17)에 기억되어 있는, 화소 변이로서의 화상 이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판독하게 된다. 또, 이 프로그램으로서는, 도 14의 (a) 및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일 고리형 궤도(원 궤도)에 따라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된다.
화상 이동 제어부(16)는 이 화상 이동을 위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즉, 화상 이동 제어부(16)는 표시 위치 제어부(13)에, 도 14의 (a) 및 (b)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은 화상 이동이 행해지도록, 수평/수직 방향에서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지시한다. 표시 위치 제어부(13)는 지시된 화상의 표시 위치가 되도록,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에서의 표시부(14)에 대한 구동 처리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4의 (a) 및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화소 변이로서의 화상 이동이 개시되게 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시간적으로 전후가 되는 필드 사이에서 평균 휘도에 차가 없는, 즉 화상에 변화가 없다고 하는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되고 있을 때에, 화소 변이를 개시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표시되는 화상에 변화가 없다는 것은, 그 화상에서 휘도차가 큰 부분에서 고스트가 발생하기 쉬운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때에 화소 변이를 실행시킴으로써, 간헐적인 화소 변이라고 하더라도, 효율적으로 고스트가 저감되도록 배려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 도 12의 (a)에서의 동일한 부분에는 도 15에서와 같은 부호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우선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가 입력부(10)에 입력되고, 여기서 감마 보정 등의 필요한 신호 처리가 실시된다. 이후에, A/D 변환 회로(11)에 의해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에 입력된다.
이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도, 입력된 디지털 영상 신호로부터 분리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를 위한 동기 제어를 실행함과 함께, 색 복조 등의 필요한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표시 위치 제어부(13)에 의한 제어에 따라, 화상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여, 예를 들면 서브 필드 방식에 따라서 표시부(14)를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말하는 표시부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구조의 패널과, 이 패널에 배치되는 전극군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등으로 이루어진다. 표시 위치 제어부(13)는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의 표시 구동에 의해, 표시부(14)에 표시되어야 할 필드 화상의 표시 위치를, 화소(셀) 단위로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표시부에서 표시 패널의 전극을 구동하는 드라이버(시프트 레지스터)에 입력해야 할 데이터가, 표시할 화상 위치에 따라 시프트되도록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4중 고리형 궤도에 따른 화상 이동을 지속적으로 행해야도록 구성했다고 한다면, 이 화상 이동의 패턴의 반복에 의해 화상 이동을 행함으로써, 처음부터 표시 위치 제어부(13)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표시 위치 제어부(13)로서는, 예를 들면 화소 변이를 위한 이동 패턴의 프로그램을 차례대로 로드할 필요는 없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화상 이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시켜 두는 기억부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화소 변이로서의 화상 이동의 개시 타이밍을 제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APL 검출부(15), 제어부(16), 메모리부(18), 판별부(19), 타이머(20)도 생략해도 된다.
이에 의해, 도 12에 도시한 구성은 도 15보다도 간략하게 된다.
또, 도 12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에서는 통전 시간 카운팅/저장을 위한 처리도 실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현재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누적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의 누적 통전 시간은, 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현재까지의 통산의 통전 시간(즉, 메인 전원이 온 상태로 되어 있는 시간)을 가리킨다.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에서의 통전 시간 카운트/저장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메인 전원이 온이 되면, 이 때부터의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된다. 그리고, 메인 전원을 오프로 할 때에 카운트를 종료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가 구비하고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통전 시간에, 금회 카운트하여 얻어진 통전 시간을 적산하여 갱신하게 된다.
여기서 또한, 고스트의 저감 효과를 보다 높이는 것을 고려하면, 예를 들면 전원 온 시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4중 고리형 궤도에 의한 화상 이동을 개시시킬 때에는, 예를 들면 최초로 선택되는 고리형 궤도가 랜덤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장기간 동안 본 경우의, 표시 화면 상에서의 화소 대응 화상 부분의 발생 확립은 더 분산하여 분포하기 때문에, 고스트가 더 발생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랜덤 번호 생성기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전원 온 시에, 우선 랜덤 번호 생성기에 의해 랜덤 번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랜덤 번호의 값에 따라, 4중 고리형 궤도를 형성하는 4개의 고리형 궤도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2개의 고리형 궤도를 선택한다. 그리고나서, 이 선택된 고리형 궤도로부터 화상 이동을 개시시키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2의 (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누적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저장되는 누적 통전 시간의 값을 랜덤 번호로 하여 이용하도록 하고, 전원 온 시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통전 시간의 값에 따라, 화상 이동을 개시시키기 위한 고리형 궤도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랜덤 번호 생성기를 부가하여 설치할 필요는 없고, 이미 실장되어 있는 누적 통전 시간을 카운팅/홀딩하기 위한 구성을 유용하면 된다.
이러한, 누적 통전 시간의 값에 기초한 고리형 궤도의 선택을 위한 처리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처리가 예를 들면 도 12의 (a)에 도시하는 구성이면, 표시 위치 제어부(13)와,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에서의 통전 시간 카운팅/홀딩을 위한 기능 부분이 결합하여 실행하게 되면 된다.
도 13에에 도시한 처리는, 메인 전원이 온 상태로 되어, 예를 들면 표시 위치 제어부(13) 및 신호 처리/동기 제어부(12)가 기동할 때 개시된다. 그리고, 우선 단계 S101의 처리에서, 금회의 전원 온 시부터의 통전 시간 Tc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이것과 함께, 계속되는 단계 S102의 처리에서, 현재 저장되어 있는 누적 통전 시간 Ts를 판독한다.
단계 S103에서는, 상기 단계 S102에서 판독한 누적 통전 시간 Ts의 아래 두자릿수의 값 Tsa를 인식한다. 여기서의 값 Tsa는, 10진수 표기로, 00∼99까지의자연수로서의 값을 갖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이 인식한 값 Tsa에 대하여, 다음의 단계 S104에서, Tsa=4n(n은 임의의 자연수)이 성립하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별한다. 여기서, Tsa=4n이 성립한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4중 고리형 궤도를 형성하는 4개의 고리형 궤도 중에서, 화상 이동을 개시시키는 고리형 궤도로서, 고리형 궤도 (1)을 선택한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에서의 이동 순서 번호 [0]부터 화상 이동을 개시시키는 것으로 설정을 행한다.
또한, 단계 S103에서, Tsa=4n이 성립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 S10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나서, Tsa=4n+1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별한다. 여기서, Tsa=4n+1이 성립하고 있다는 판별 결과가 얻어지면, 단계 S107로 진행한다. 그리고나서, 화상 이동을 개시시키는 고리형 궤도로서 고리형 궤도 (2)를 선택한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에서의 이동 순서 번호 [48]부터 화상 이동을 개시시키는 것으로서 설정을 행한다.
이에 비해, 단계 S106에서, Tsa=4n+1이 성립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또한 단계 S108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Tsa=4n+2가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별한다.
단계 S108에서 Tsa=4n+1이 성립하고 있다는 판별 결과가 얻어지면, 단계 S109로 진행한다. 단계 S109에서는, 화상 이동을 개시시키는 고리형 궤도로서 고리형 궤도 (3)을 선택한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에서의 이동 순서 번호 [96]부터 화상 이동을 개시시키는 것으로 설정을 행한다.
그리고, 단계 S108에서 Tsa=4n+2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값 Tsa는 4n+3으로서 표현되는 값을 갖는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단계 S110의 처리에 의해, 화상 이동을 개시시키는 고리형 궤도로서 고리형 궤도 (4)를 선택한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에서의 이동 순서 번호 [144]로부터 화상 이동을 개시시키는 것으로 설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누적 통전 시 Ts의 특별히 아래 두자릿수의 값 Tsa를 랜덤 번호로서 취급하고, 이 값 Tsa에 기초하여, 상기 단계 S104∼단계 S110의 처리에 의해, 화상 이동을 개시시키는 고리형 궤도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단계 S111에서는, 상기 단계 S104∼단계 S110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고리형 궤도부터 화상 이동을 개시시킨다. 그리고, 이후에는 단계 S112의 처리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형 궤도 (1)→(2)→(3)→(4)→(1) . . . 의 순서로 순회시키도록 하여, 4중 고리형 궤도에 의한 화상 이동을 계속시킨다. 이 화상 이동을 위한 제어는, 단계 S113에서 메인 전원이 오프가 되는 것이 판별되기까지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 S113에서 메인 전원이 오프가 되는 것이 판별되면, 단계 S114에서, 지금까지 실행되어 있던 금회의 전원 온 시 이후의 통전 시간 Tc의 카운트를 종료한다. 다음의 단계 S115에서는, 이 통전 시간 Tc의 값을, 지금까지 저장되어 있는 누적 통전 시간 Ts에 가산함으로써, 이 누적 통전 시간 Ts의 갱신을 행한다. 그리고, 단계 S116에서, 이 갱신된 누적 통전 시간 Ts를, 메모리 상에 재기입하여저장한다. 여기까지의 처리가 완료되면, 예를 들면 단계 S117의 처리에 의해 메인 전원을 오프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지금까지의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효과는, 도 4에 도시한 4중 고리형 궤도 중 하나의 고리형 궤도만에 의한 단일, 2개, 3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고리형 궤도에 의해서 화상 이동을 행한 경우에도 발생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궤도는 화상이 본래 표시되어야 할 기준 위치 Pt를 기점으로 하고, 또한 이 기준 위치 Pt로 되돌아가도록 하여 화상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기준 위치 Pt의 주위를 단일 고리형 궤도에 의해 이동시키는 종래의 경우와 비교해도, 화상의 이동은 시각적으로 눈에 띄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지금까지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4중 고리형 궤도의 형태로 함으로써, 또한 화상의 이동은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어렵게 되고, 또한 고스트 저감 효과도 향상되게 된다.
또한, 고리형 궤도수가 복수인 경우에도, 2중, 3중 혹은 5중 이상에 의한 복수의 고리형 궤도에 의해 화상 이동을 행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고리형 궤도수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고리형 궤도를 설정하여, 복수의 고리형 궤도에 의해 화상 이동시킨다고 하는 개념으로 설명을 행하였지만, 이것은 다음과 같은 다른 개념으로도 고려할 수 있다.
즉, 고리형 궤도로서는 임의의 소정의 궤도 형상을 갖는 것을 일례로 생각하였지만, 그 하나의 고리형 궤도에 의해, 기준 위치 Pt를 기점으로 한 후에, 순차 다른 소정의 이동 궤적에 의해 화상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개념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4중 고리형 궤도에 있어서는 우선, 원으로 되는 하나의 고리형 궤도 형상을 설정하고, 이 고리형 궤도 형상에 따라, 순차, 고리형 궤도 (1)→(2)→(3)→(4)로서의 이동 궤적에 따라 화상 이동시킨 것으로서 얻어지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4중 고리형 궤도를 시뮬레이션한 도 5에서는, 각 고리형 궤도로서의 표시 화소 간의 이동 궤적이, 대략 정방형에 의한 마름모형으로서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고리형 궤도를 적용시키는 표시 화소 범위를 한정하여,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 결과, 실제에서의 각 고리형 궤도에 의한 표시 화소 간의 이동 궤적으로서는, 보다 실제 원에 가까운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각 고리형 궤도에 의한 표시 화소들의 이동 궤적으로서는, 원형이라고 가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장된 타원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이외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아야 하며, 많은 다른 변경, 변형, 그 실시예 및 등가물의 조합 및 서브조합이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동떨어짐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8)

  1. 입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시작 및 복귀점으로서 사용되는 기준 위치로서 상기 화상의 중앙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 궤도를 포함하는 화상 이동 궤도를 통해 상기 화상을 이동 및 표시하고, 상기 화상 이동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기는 상기 기준 위치를 공유하는 복수의 고리형 궤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리형 궤도는 순차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화상이 상기 선택된 고리형 궤도를 통해 이동 및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랜덤 번호 생성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제어기는 상기 랜덤 번호 생성기에 의해 발생된 랜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고리형 궤도들 중에서 상기 화상 이동이 시작할 하나의 고리형 궤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누적된 통전 시간을 측정 및 홀딩하도록 구성된 홀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기는 상기 누적된 통전 시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이동 궤도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고리형 궤도 중에서 화상의 이동을 시작할 하나의 고리형 궤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기는 상기 기준 위치를 접선을 통한 접촉 위치로 하는 2쌍의 고리형 궤도를 구비하며, 상기 2쌍의 고리형 궤도간의 위치 관계는 한쌍의 고리형 궤도의 접선과 다른 쌍의 고리형 궤도의 접선이 서로 직교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면은 3색의 한 쌍의 표시 셀들로 구성된 화소들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표시 제어기는 상기 화상 이동 궤도를 통해 상기 화상을 이동 및 표시하는 표시 제어로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상기 화소 단위로 이동되도록 하며,
    현 화소로부터 다음 화소로의 이동은 상기 현 화소에 인접한 화소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
  7. 입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제어를 실행하는 화상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시작 및 복귀점으로서 사용되는 기준 위치로서 상기 화상의 중앙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 궤도를 포함하는 화상 이동 궤도를 통해 상기 화상을 이동 및 표시하고, 상기 화상 이동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를 공유하는 복수의 고리형 궤도는 순차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화상이 상기 선택된 고리형 궤도를 통해 이동 및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제어 방법.
KR1020040043586A 2003-06-13 2004-06-14 화상 표시 제어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KR101032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9220 2003-06-13
JP2003169220 2003-06-13
JP2004084508A JP4172409B2 (ja) 2003-06-13 2004-03-23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
JPJP-P-2004-00084508 2004-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443A true KR20040107443A (ko) 2004-12-20
KR101032237B1 KR101032237B1 (ko) 2011-05-02

Family

ID=3330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586A KR101032237B1 (ko) 2003-06-13 2004-06-14 화상 표시 제어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19530B2 (ko)
EP (1) EP1486939B1 (ko)
JP (1) JP4172409B2 (ko)
KR (1) KR101032237B1 (ko)
CN (1) CN10037876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985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시프트 제어부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9284A1 (en) 2005-08-12 2007-05-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DE102005042704A1 (de) * 2005-09-01 2007-03-08 Ingenieurbüro Kienhöfer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zeigevorrichtung mit einer Mehrzahl von verschleißbehafteten Bildelementen und Anzeigevorrichtung
KR100762794B1 (ko) * 2006-04-04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잔상 제거 방법 및 잔상 제거 기능을 갖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US8264506B2 (en) * 2007-09-04 2012-09-11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rotated image in a display device
WO2016079551A1 (en) * 2008-08-21 2016-05-26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rotated image in a display device
JP5781351B2 (ja) * 2011-03-30 2015-09-24 日本アビオニクス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画素出力レベル補正方法、赤外線カメラシステム及び交換可能なレンズシステム
JP5778469B2 (ja) 2011-04-28 2015-09-16 日本アビオニクス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生成方法、赤外線カメラシステム及び交換可能なレンズシステム
US9250695B2 (en) 2013-03-15 2016-02-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on a display panel of an electronic devi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operating in a reduced power mode of operation
KR20150047325A (ko) * 2013-10-24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비젼 및 그 제어방법
KR102194775B1 (ko) * 2014-02-27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US9625987B1 (en) 2015-04-17 2017-04-18 Google Inc. Upda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 different power modes
US10475417B2 (en) * 2017-03-29 2019-11-12 Intel Corporation History-aware selective pixel shifting
CN107016961B (zh) * 2017-06-07 2019-09-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存储介质、图像驱动装置以及显示装置
KR102348651B1 (ko) * 2017-11-21 2022-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391552B2 (ja) * 2019-06-27 2023-12-05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210014260A (ko) * 2019-07-29 2021-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EP4322143A1 (en) 2021-07-09 2024-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3282494A1 (ko) * 2021-07-09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1305B2 (ja) * 1990-05-18 1997-11-26 小糸工業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JPH05134618A (ja) * 1991-11-15 1993-05-28 Pfu Ltd 表示装置
KR0120574B1 (ko) * 1994-05-17 1997-10-22 김광호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방법 및 회로
JP3454292B2 (ja) * 1995-03-09 2003-10-0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表示器の焼付防止回路
JPH0950258A (ja) * 1995-08-09 1997-02-18 Fujitsu Ltd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5805172A (en) * 1995-11-13 1998-09-08 Brown; Ray Method of generating abstract designs
JP3312097B2 (ja) * 1996-05-22 2002-08-05 アビックス株式会社 スクロール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H09319322A (ja) * 1996-05-28 1997-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rt画面焼付防止装置及びそれを具備したテレビ受像機
JPH1011028A (ja) * 1996-06-26 1998-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映像表示装置
JPH1020838A (ja) * 1996-07-01 1998-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の蛍光面保護回路
JPH1071242A (ja) 1996-08-29 1998-03-17 Okumura Yuki Kk 複数の異種表示手段を備えたパチンコ遊技機
JPH1186388A (ja) * 1997-09-12 1999-03-30 Sony Corp テープ記録/再生装置及びテープイジェクト方法
JPH11338448A (ja) * 1998-04-27 199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オンスクリ―ンディスプレイ画面の出力方法および出力装置
US6628247B2 (en) * 1998-04-27 2003-09-30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Display system with latent image reduction
JP4095158B2 (ja) * 1998-04-28 2008-06-04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0227775A (ja) * 1999-02-08 2000-08-15 Nec Corp 表示装置の焼付防止方法及び表示装置の焼付防止装置
US7620527B1 (en) * 1999-05-10 2009-11-17 Johan Leo Alfons Gielis Method and apparatus for synthesizing and analyzing patterns utilizing novel “super-formula” operator
US20010035874A1 (en) * 2000-04-27 2001-11-01 Pelco Method for prolonging CRT screen life by reduced phosphor burning
US7317430B2 (en) * 2001-08-30 2008-01-08 Ip Mining Corporation Display panel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 same
JP3489676B2 (ja) 2000-10-16 2004-01-26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20040091297A (ko) * 2003-04-21 200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형 영상 표시장치의 잔상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007271678A (ja) * 2006-03-30 2007-10-18 Pioneer Electronic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画面の焼付防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985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시프트 제어부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6939B1 (en) 2012-08-29
KR101032237B1 (ko) 2011-05-02
EP1486939A2 (en) 2004-12-15
US20040252135A1 (en) 2004-12-16
JP2005025161A (ja) 2005-01-27
JP4172409B2 (ja) 2008-10-29
CN100378769C (zh) 2008-04-02
CN1573860A (zh) 2005-02-02
EP1486939A3 (en) 2009-05-27
US7719530B2 (en) 201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237B1 (ko) 화상 표시 제어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JP448441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パネルのグレイスケール表現方法及び装置
JP200608009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装置
JP200820390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パネルのグレイスケール表現方法
JP4210829B2 (ja) カラー画像表示装置
US20080278416A1 (en) Multiple grayscal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100524313B1 (ko) 표시장치의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JP3741204B2 (ja) カラー画像表示装置
JP200510753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200516532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方法
JP200306689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100760680B1 (ko) 잔상 제거 방법 및 장치, 잔상 제거 기능을 갖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JP4380288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
JP200819160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8228316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303605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121875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
KR1005731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장치
JP201125751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52879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500404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5049751A (ja) 画像表示装置
JP200433362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JP201124826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50093778A1 (en) Panel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