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938A - 승용형 작업기 - Google Patents

승용형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938A
KR20040100938A KR1020040034755A KR20040034755A KR20040100938A KR 20040100938 A KR20040100938 A KR 20040100938A KR 1020040034755 A KR1020040034755 A KR 1020040034755A KR 20040034755 A KR20040034755 A KR 20040034755A KR 20040100938 A KR20040100938 A KR 20040100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haft
clutch
turning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3808B1 (ko
Inventor
시오자키다카히데
오사노히카루
가미야다츠오
야먀구치마코토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0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형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조향기구에 의한 선회제어와 선회시 또는 선회후의 모든 조작을 하기 위한 제어의 제휴와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는 승용형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행방향 좌우에 배치되는 차륜을 구비하고, 또한 조향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조향되는 차륜에의 전동을 각별하게 온, 오프(ON, OFF)하는 좌우 사이드클러치를 설치, 선회내측의 차륜의 회전수의 검출에 기초하여, 선회시의 이식작업 등의 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하게 하는 선회연동 제어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용형 작업기{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조향용 전륜의 직진상태로부터 소정각 이상의 조향작동에 의하여, 좌우 후륜의 전동을 온 오프(ON OFF)하는 좌우 사이드클러치 중 선회내측의 것을 오프(OFF)작동시키는 선회연계기구 등을 설치한 승용형 이앙기 등의 승용형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기술로서는, 일본 특개 2000 - 350507호 공보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조향용 전륜의 직진상태로부터 소정각 이상의 조향작동에 의하여 좌우 후륜의 선회 내측의 것을 제동하는 선회연계기구를 설치한 승용형 이앙기가 있다. 상기 승용형 이앙기에서는, 전륜에 대한 조향조작을 하는 것 만으로, 선회 내측의 후륜을 제동시켜서 작게 도는 선회를 조향성 좋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특개 2000-350507호 공보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는, 좌우 후륜을 축지지하는 후부 케이스에 좌우 후륜의 제동장치를 설치한 구성이며, 기체(機體) 전부(前部)에 있는 전륜의 조향기구와는 기체 전후방향에 매우 떨어진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륜의 조향기구와 좌우 후륜의 제동장치를 연계하는 기구가 기체 전후방향으로 긴 것으로 되고, 상기 작동 정밀도를 올리기 위하여 연계기구의 강도를 올릴 필요가 있으며, 상기 결과, 기체의 중량이 무겁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계기구가 기체 전후방향으로 긴 것이므로, 다른 구성부재와의 간섭 등의 염려가 있으며,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상기 승용형 작업기의 개량을 거듭하여, 각 부재의 조립오차 등도 적게되어 성능좋은 기구를 얻을 수 있으며, 양호한 기체선회를 할 수 있는 작업성이 좋은 승용형 작업기를 개발하여 특허출원을 하였다.(일본 특원 2001 -346489호)
그러나, 본 출원인의 발명인 상기 승용형 작업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선회후에 모이식구를 밭에 강하시켜서 모의 이식을 시작하는 타이밍 등을 보다 정확하게 실행하는 것으로, 더욱 그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조향기구에 의한 선회제어와 선회시 또는 선회후의 모든 작업을 하기 위한 제어의 연계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는 승용형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8 줄기 심기 승용형 이앙기를 나타내는 전체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전동구성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밋션케이스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주 클러치 및 후륜 브레이크의 조작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승용형 이앙기의 좌우전륜의 조향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 체인지레버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 제어계의 블록회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선회 연동제어의 사고방식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선회 연동제어의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모종이식장치(3)의 모종 이송벨트의 표면과 뒷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 ... 주행차량 2 ... 승강용 링크장치
3 ... 모심기장치 4 ... 시비장치
6 ... 전륜(前輪) 7 ... 후륜(後輪)
10 ... 메인프레임 11 ... 밋션케이스
12 ... 엔진 13 ... 유압펌프
14 ... 스티어링포스트 16 ... 스티어링핸들
17 ...조작패널 19 ... 스텝
20 ... 조종석 22 ... 전륜 지지케이스
23 ... 롤링간(杆) 24 ... 후륜 지지케이스
25 ... 롤링축 31, 33 ... 벨트
32 ... 카운터축 34 ... 밋션입력축
35 ... 입력축 36 ... 출력축
40 ... 케이싱 43 ... 메인클러치
44, 45 , 80, 81 ... 마찰판 46 ... 스프링
47 ... 전환조작용 고정부재 48 ... 슬라이딩부재
50 ... 카운터축 51 ... 주행 1차축
52 ... 주행 2차축 53 ... 이식 1차축
54 ... 이식 2차축 56, 57, 85 ... 시프트
58 ... 이식부 전동축 60 ... 리어액슬
61 ... 프런트액슬 63, 65 ... 용기
64, 66 ... 세로축 69, 70, 73, 74 ... 돌기
71, 72 ... 디퍼렌셜기어 로킹부재 76 ... 사이드클러치축
77 ... 출력축 82 ... 작동통
83 ... 판스프링 86I ... 좌우클러치 조작아암
86J ... 좌우브레이크 조작아암 87 ... 디스크
88 ... 압력 플레이트 89 ... 좌우후륜 전동축
90 ... 체인지레버 91 ... 디퍼렌셜기어 로킹레버
91’...디퍼렌셜기어 로킹페달 110 ... HST 조작레버
130 ... 스로틀레버 142 ... 회전운동 지지축
143 ... 좌우브레이크 작동아암 144 ... 작동로드
145 ... 카운터축 146, 148 ... 아암
147 ... 연결로드
148a ... 메인클러치 작동캠 롤러(베어링)
149 ... 클러치캠 150 ... 작동로드
151 ... 클러치 시프트 152 ... 아암
160 ... 유압실린더 161 ... 전자유압밸브
162 ... 이식전동케이스 163 ... 모 탑재대
164 ... 모 이식구 165 ... 센터플로트
166 ... 사이드플로트 167 ... PTO 전동축
168 ... 시비 전동케이스 169 ... 센터플로트 센서
170 ... 제어장치 171 ... 핑거레버
172 ... 핑거레버 스위치 173 ... PTO 클러치 작동 솔레노이드
174 ... 출력축 175 ... 피트먼아암
176 ... 좌우로드 177 ... 작동롤러
178 ... 잘림부 179 ... 종동체(從動體)
180 ... 좌우로드 182 ... 좌우센서 누름편
183 ... 오토리프트 스위치 190 ... 맞물림편
191 ... 백리프트 스위치 192 ...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
200 ... 예비모종 탑재대 201 ... 센터마스코트
205 ... 전동축 회전수 센서 206 ∼ 209 ... 설정다이얼
210, 210b, 210c ... 사이드마커 210a ... 봉
213 ... 모종 이송벨트 213a ... 표면
213b ... 뒷면
A ... 선회 연계기구(피트먼아암(175)·작동롤러(177)·종동체(179)·좌우로드(180) ·좌우클러치 조작아암(86I))
B ... 연계기구(회동지지축(142)·좌우브레이크 작동아암(143)·작동로드(144)·카운터축(145)·우아암(146R), 좌아암(146L)·좌우연결로드(147L, 147R)·좌우브레이크 조작아암(86J)·아암(148)·메인클러치 작동캠 롤러(148a)·클러치캠(149)·작동로드(150)·클러치시프트(151)·아암(152)
C ... 포기사이 변속장치 D ... 리어 디퍼렌셜기어장치
E ... 프런트 디퍼렌셜기어장치 G ... 기어
F, H ... 디퍼렌셜기어 로킹장치 I ... 좌우 사이드클러치
J ... 좌우후륜 브레이크장치 K ... 주 변속장치
N1 ... 선회시작으로부터 기체 90˚선회까지의 안쪽 드라이브축 회전신호 설정값
N2 ... 기체 90˚선회로부터 이식 클러치「ON」까지의 드라이브축 회전신호 설정값
θ1 ... 직진조작시의 핸들한정 설정각도의 하한값
θ2 ... 직진조작시의 핸들한정 설정각도의 상한값
상기 본 발명의 과제는 다음의 구성에 의하여 해결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엔진(12)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는 전동장치와 상기 전동장치로부터의 출력으로 구동하는 진행방향 좌우로 배치되는 차륜(7)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차륜(7)으로의 전동을 각별하게 온 오프하는 좌우 사이드클러치 Ⅰ을 설치한 승용형 작업기에 있어서, 선회내측의 차륜(7)의 회전수의 검출에 기초하여, 선회시의 모든 작업용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행하게 하는 선회연동 제어장치(170)를 설치한 승용형 작업기이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조타차륜(6)이 소정각도이상 조타되고 있을 때에, 선회연동 제어장치(170)가 작동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승용형 작업기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클러치 Ⅰ이 끊어져 있는 선회방향안쪽의 차륜(7)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동력이 전해지고 있는 선회방향 바깥쪽의 차륜(7)보다 슬립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그 측정정밀도를 올릴 수 있다. 또한, 이 때 차륜(7)보다 회전이 빠른 전동축(드라이브축, 89)의 회전수를 검출하면, 더욱 상기 측정정밀도를 올릴 수 있다.
이 때, 선회 안쪽 차륜(7)으로의 동력전동을 끊기 위하여 사이드클러치 Ⅰ만을 이용하고, 사이드 브레이크 J를 작동시키지 않고 선회연동제어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클러치 Ⅰ의 「ON」, 「OFF」의 조작을 수동으로 하여도 좋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예를 들면 선회를 시작으로 90도이상 선회한 후에 선회연동 제어장치(170)가 작동하도록 해 둘 수 있다.
[발명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8 줄기 심기 승용형 이앙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용형 이앙기는 주행차량(1)에 승강용 링 장치(2)로 작업장치의 일종인 이식장치(3)를 장착하는 동시에 시비장치(4)를 설치, 전체로 승용 시비 이앙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차량(1)은, 구동륜인 좌우 각 한쌍의 전륜(前輪, 6) 및 후륜(7)을 가지는 4륜 구동차량이다.
메인프레임(10)의 위에 밋션케이스(ll)와 엔진(12)이 전후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밋션케이스(ll)의 후부 상면에 유압펌프(13)가 일체로 구성되며, 또한 밋션 케이스(ll)의 앞 부분으로부터 스티어링포스트(14)가 윗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포스트(14)의 상단부에 스티어링핸들(16)과 조작패널(17)이 설치되어져 있다. 기체의 상부에는 조종용 플로어가 되는 스텝(19)이 설치되고, 엔진(12)의 윗쪽부에 조종석(20)이 설치되어 있다. 전륜(6)은, 밋션케이스(11)의 옆쪽으로 방향을 변경가능하게 설치한 전륜지지 케이스(22)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후륜(7)은, 롤링간(23)의 좌우 양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후륜지지 케이스(24)에 축지지되어 있다. 롤링간(23)은 메인프레임(10)의 후단부에 돌출되게 설치한 롤링축(25)에서 진행방향과 수직한 면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엔진(12)의 회전동력은, 벨트(31, 도 3)를 사이에 개재하여 유압펌프(13)의 구동축인 카운터축(32)에 전해지고, 더욱이 상기 카운터축(32)으로부터 벨트(33)를 개재하여 유압식 변속장치(HST)의 입력축 (35)에 전해지고, 유압식 변속장치(HST)의 출력축(36)으로부터 벨트(미도시)를 개재하여 밋션입력축(34)에 전해진다.
또한, 밋션입력축(34) 위에는, 메인클러치(43)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압식 변속장치(HST)의 구동력은 메인클러치(43)를 개재하여 밋션입력축(34)에 전동된다. 메인클러치(43)는 주지(周知)의 다판클러치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클러치축 쪽의 마찰판 44와 밋션입력축쪽의 마찰판 45, 양 마찰판을 밀어붙이는 스프링(46), 전환조작용의 고정부재(47)와 슬라이딩부재(48)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밋션케이스(11)의 케이싱(40)의 앞 부분에는, 밋션입력축(34), 카운터축(50), 주행 1차축(51), 주행 2차축(52), 이식 1차축(53), 이식 2차축(54)이 각각 평행하게 지지되어 있다. 밋션입력축(34)의 기어 G1과 카운터축(50)의 기어 G2, 및 기어 G2와 주행 1차축(51)의 기어 G3가 각각 서로 물리고 있으며, 밋션입력축(34)의 회전이 주행 1차축(51)에 순방향으로 전해진다.
주변속장치 K로서, 주행 1차축(51)에 상기 기어 G3와 기어 G4가 각각 정위치에 끼워지고, 주행 2차축(52)에 서로 일체로 성형된 기어 G5, G6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지고 있다. 시프트(56)에서 기어 G5, G6을 이동시키고, 기어 G4, G5가 맞물리면 저속의 작업속도, 기어 G3와 기어 G4가 맞물리면 고속의 노상주행속도로 된다.
또한, 이식 1차축(53)에는 기어 G4에 상시 맞물리는 기어 G7과 백기어 G8이 끼워지고 있어, 기어 G6을 백기어 G8에 맞물리게 하면 후진속으로 된다. 기어 G5, G6이 어느쪽의 기어와도 맞물리지 않는 위치가 중립이 된다. 이 주변속장치 K를 조작하는 체인지레버(90)는 조작패널(17)에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포기사이 변속장치 C 로서, 이식 1차축(53)에 서로 일체로 성형된 기어 G9, GlO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지고 있는 동시에, 이식 2차축(54)에 기어 Gl1, Gl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57)에서 기어 G9, GlO을 적절히 이동시킴으로써, 기어 G9와 기어 Gl1, 기어 G10과 기어 G11,및 기어 Gll과 기어 G12의 3종류의조합을 얻을 수 있고, 3 단계의 포기사이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이식 2차축(54)으로부터 베벨기어 G13, G14를 개재하여 이식부 전동축(58)에 전동 된다.
케이싱(40)의 후부에는, 리어액슬(60)과 프런트액슬(61)이 지지되고, 상기 주행 2차축(52)로부터 리어 디퍼렌셜기어장치 D를 개재하여 리어액슬(60)에 전동되는 동시에, 리어 디퍼렌셜기어장치 D로부터 프런트 디퍼렌셜기어 장치 E를 개재하여 좌우 프런트액슬(61)에 전동된다. 그리고, 좌우 프런트액슬(61)에 의해 각각 좌우전륜(6)이 구동 회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리어 디퍼렌셜기어 장치 D는, 주행 2차축(52)의 기어 Gl5에 맞물리는 기어G16이 외주부에 형성된 용기(63)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내의 세로축(64)에 설치된 1차 베벨기어 G17과 좌우의 리어액슬(60)에 각별히 설치된 2차 베벨기어 Gl8이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수납되고 있으며, 각 액슬에 전동되는 구동력이 적절히 변동하게 되어 있다.
프런트 디퍼렌셜기어 장치 E도 리어 디퍼렌셜기어장치 D와 마찬가지 구성으로, 용기(65), 세로축(66), 리어 디퍼렌셜기어장치측의 기어 G19, 프런트 디퍼렌셜기어 장치측의 기어 G20, 세로축(66)에 설치된 베벨기어 G21, 프런트 액슬(61)에 설치된 베벨기어 G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어 디퍼렌셜기어장치 D 및 프런트 디퍼렌셜기어 장치 E에는 디퍼렌셜기어 기능을 정지하고, 좌우 양 액슬에 구동력이 균등하게 전동되도록 하는 디퍼렌셜 로킹장치 F, H가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디퍼렌셜 로킹장치 F(H)는, 용기 63(65)에 형성된 돌기 69(70)와 액슬의 각 막대부에 끼워지는 디퍼렌셜기어 로킹부재 71(72)의 돌기 73(74)와 액슬 60(61)을 서로 고정하게 되어 있다. 상기 후륜의 디퍼렌셜 로킹장치 F를 조작하는 디퍼렌셜기어 로킹레버(91)는 조작패널(17)에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전륜의 디퍼렌셜 로킹장치(H)는, 스텝(19)에 설치된 디퍼렌셜 로킹페달(91,)을 밟으면 디퍼렌셜기어 기능이 정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디퍼렌셜기어 로킹레버(91) 및 디퍼렌셜 로킹페달(91,, 도 2)은, 모두 기체의 앞 부분에 배치되고 있으며, 예컨대 밭의 두렁을 타올라서 기체를 밭으로부터 꺼낼때 등에, 조종자는 기체로부터 내려서 기체의 전방에 서서(자기의 신체를 웨이트 대신으로하기 위하여 기체 앞단부에 타서) 기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상기 두렁넘기를 안전하게 한다.
이 때, 좌우전륜(6)의 어느것 또는 좌우후륜(7)의 어느것이 공회전한 경우에 즉시 조종자는 기체 앞부분에 있는 디퍼렌셜기어 로킹레버(91) 및 디퍼렌셜기어 로킹페달(91’)을 용이한 자세에서 조작할 수 있어서 디퍼렌셜기어 로킹상태로 하여 안전하게 두렁넘기를 행 할 수 있다.
리어액슬(60)은 베벨기어 G23, G24,등에 의해 사이드클러치축(76)에 전동연결되고, 또한 상기 사이드클러치축(76)으로부터 리어 출력축(77)에 사이드클러치 Ⅰ를 개재하여 전동된다. 사이드클러치 Ⅰ는 다판클러치이며, 사이드클러치축 측의 마찰판(80), 리어출력축 측의 마찰판(81)을 구비하고 있다. 리어 출력축(77)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작동통(82)은, 판스프링(83)에 의해 양쪽 마찰판 80, 81을 밀어 붙이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있고, 상시는 사이드클러치 Ⅰ가 온(ON) 상태가 되어 있다. 시프트(85Ⅰ)에서 작동통(82)을 복원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사이드클러치 Ⅰ가 오프(OFF)된다.
또한, 리어 출력축(77)에는 후륜 브레이크장치 J가 설치되어져 있다. 후륜 브레이크장치 J는, 리어 출력축(77)에 설치된 디스크(87)에 압력플레이트(88)를 밀어붙여서 제동하는 것이며, 이 압력플레이트(88)의 작동은 시프트(85J)에서 한다. 즉, 상시는 사이드클러치 Ⅰ가 온(ON)에서, 후륜 브레이크장치 J가 걸리지 않고 있는 상태이며, 시프트(85I)를 조작해서 작동통(82)을 복원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사이드클러치 Ⅰ가 오프(OFF)되고, 시프트(85J)를 조작하면 후륜 브레이크장치 J가 걸리는 것이다. 이들 사이드클러치 Ⅰ 및 후륜 브레이크 장치 J의 조작(좌우 시프트(85Ⅰ·85J의 조작)은, 후술하는 스텝(19)위에 설치한 페달(140)에서 한다. 또한, 좌우 시프트(85Ⅰ)에는, 좌우클러치 조작아암(86Ⅰ,도 5)의 베이스부가 고착되고 있어, 좌우 시프트(85J)에는, 좌우 브레이크 조작아암(86J)의 베이스부가 고착되어 있다.
리어 출력축(77)의 후단부는 케이싱(40)외로 돌출하고, 상기 돌출 단부에 상기 후륜 지지케이스(24)에 전동하는 좌우 후륜전동축(89)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후륜전동축(89)에 의해 각각 좌우 후륜(7)이 구동 회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체인지레버(90)의 조작위치는, 뒤에서 전방으로 조작하는 순으로 후진속, 중립, 작업속도, 노상주행속도로 되어 있다. 또한, 디퍼렌셜기어 로킹레버(91)를 전방으로 조작하면 디퍼렌셜기어 로킹, 후방으로 조작하면 디퍼렌셜기어 온(ON)으로 된다.
따라서, 논밭내에서 모이식 작업을 할 경우에는, 디퍼렌셜기어 로킹레버(91)를 디퍼렌셜기어 로킹으로 하고, 체인지레버를 작업속도로 시프트 하여, 모이식장치(3)의 모종 탑재대에 모종을 재치하고 시비장치(4)의 비료탱크에 입상(粒狀)비료를 넣고, 각부를 구동시켜서 전진하면, 좌우 후륜(7)의 디퍼렌셜기어 로킹장치(F)는 디퍼렌셜기어 로킹되어서 디퍼렌셜기어 기능이 정지한 상태이므로, 기체의 직진성이 좋아서 양호한 모내기 작업과 시비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노상주행의 경우에는, 리어 디퍼렌셜기어장치 D 및 프런트 디퍼렌셜기어장치 E 모두 디퍼렌셜기어 기능이 작동하는 상태로 조작하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기체앞 부분에 설치된 예비 모종탑재대(200)과 직진 주행의 지표로 하는 센터마스코트(201)를 나타낸다.
다음에, 모심기장치(3)는, 주행차량(1)에 승강용 링크장치(2)에서 승강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그 승강시키는 구성과 모심기장치(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주행차량(1)에 베이스부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일반적인 유압실린더(160, 도 1)의 피스톤 상단부를 승강용 링크장치(2)에 연결하고, 주행차량(1)에 설치된 유압펌프(13)에서 전자유압밸브(161), 도 8)를 개재하여 유압실린더(160)에 압유(壓油)를 공급·배출하여 유압실린더(160)의 피스톤을 신장전진·압축후퇴 시켜서 승강용 링크장치(2)에 연결한 모심기장치(3)가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심기장치(3)는, 승강용 링크장치(2)의 후부에 롤링축을 개재하여 롤링이 자유롭게 장착된 프레임을 겸하는 이식 전동케이스(162)와, 상기 이식 전동케이스(162)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기체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모종탑재대(163)와, 이식 전동케이스(162)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모종탑재대(163)의 하단보다 1 포기분식의 모종을 분할하여 논밭에 이식하는 모종이식구(164)와, 이식전동케이스(162)의 하부에 상기 후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그 앞 부분이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정지체인 센터플로트(165)·사이드플로트(16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센터플로트(165)·사이드플로트(166)는, 논밭을 정지함과 동시에 모종이식구(164)로 모종을 이식할 수 있는 논밭의 앞쪽을 정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PTO 전동축(167)은 양단에 유니버설조인트를 가지고, 시비 구동케이스(168)의 동력을 모심기장치(3)의 이식 전동케이스(162)에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센터플로트 센서(169)는 센터플로트(165) 앞부분의 상하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쇼미터에 의해 구성되고, 센터플로트(165)의 앞부분 상면과 링크에 의해 연휴(連携)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플로트 센서(169)의 센터플로트(165) 앞부분의 상하위치 검출에 근거하고, 제어장치(170, 도 8)의 모심기장치 승강수단에 의하여 전자유압 밸브(161)를 제어하여, 유압실린더(160)에서 모심기장치(3)의 상하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센터플로트(165)의 앞부분이 외력으로 적정범위 이상으로 들어 올릴 수 있었던 때에는, 유압펌프(13)에서 밋션케이스(ll)내로부터 퍼 내진 압유를 유압실린더(160)에 보내 피스톤을 돌출시켜 승강용 링크장치(2)를 위로 이동시켜서 모심기장치(3)를 소정위치까지 상승하게 하고, 또한, 센터플로트(165)의 앞부분이 적정범위이상으로 내려 간 때에는 유압실린더(160)내의 압유를 밋션케이스(11)내로 되돌려서 승강용 링크장치(2)를 아래로 이동시켜서 모심기장치(3)을 소정위치까지 하강하게 하고, 그리고, 센터플로트(165)의 앞부분이 적정범위에 있을 때(모심기장치(3)이 적정한 소정위치에 있을 때)에는 유압실린더(160)내의 압유의 출입을 정지하여 모심기장치(3)를 일정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센터플로트(165)를 모심기장치(3)의 자동높이제어를 위한 접지센서로서 사용되고 있다.
스티어링핸들(16)의 아래쪽에 핑거레버(171, 도 2)가 배치되고, 상기 핑거레버(171)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면 포텐쇼미터에 의해 구성되는 핑거레버스위치(172, 도 8)가 작동되어서, 제어장치(170)의 PTO 클러치 작동수단에 의하여 PTO클러치 작동 솔레노이드(173)를 조작하고, 시비 구동 케이스(168) 내에 설치된 동력을 단접하는 PTO클러치를 조작하여 시비장치(4) 및 모심기장치(3)에의 동력을 온 오프(ON OFF)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어장치(170)의 모심기 장치 승강수단에 의하여, 전자 유압밸브(161)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모심기장치(3)을 상하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핑거레버(171)를 「상(上)」으로 조작하면, PTO 클러치가 OFF되어 시비 장치(4) 및 모심기장치(3)의 작동이 정지하고, 또한 전자유압밸브(161)이 강제적으로 모심기장치(3)을 상승하는 쪽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핑거레버(171)을「상」으로 조작한 후에, 핑거레버(171)를 「하(下)」로 1회 조작하면, 전자 유압밸브(161)가 센터플로트(165)의 상하이동으로 전환되는 자동제어 상태가 되고, 모심기장치(3)가 상승된 상태이면 센터플로트(165)가 접지하여 적정자세가 될 때 까지 모심기장치(3)는 하강한다. 다시 또 한 번, 핑거레버(171)을 「하」로 조작하면, 전자 유압밸브(161)가 센터플로트(165)의 상하동으로 전환되는 자동제어 상태인 채로, PTO 클러치가 온(ON)되어 시비장치(4) 및 모심기장치(3)가 구동된다. 이후, 핑거레버(171)를 「하」로 조작할 때마다, 전자 유압밸브(161)가 센터플로트(165)의 상하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자동제어 상태인 채로, PTO클러치가 온(ON)과 오프(OFF)로 교대로 전환되어 진다.
여기에서, 스티어링핸들(16)에서 전륜(6)이 조향조작되는 부분의 구성에 대하여 도 5와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스티어링핸들(16)은, 스티어링포스트(14)내에 설치되어진 스티어링 축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스티어링축의 회전은 밋션케이스(11) 내에 설치된 스티어링 변속기어를 개재하여 감속되어서 출력축(174)에 전동된다. 그리고, 출력축(174)의 하단은, 밋션케이스(11)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피트먼아암(17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피트먼아암(175)의 앞 부분 좌우측과 좌우전륜 지지케이스(22, 도 1)와는 좌우로드(176, 도 1)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핸들(16)을 회전운동 조작하면, 스티어링축·스티어링 변속기어·출력축(174)·피트먼아암(175)·좌우로드(176), 좌우전륜 지지케이스(22)에 전달되어서, 좌우전륜(6)이 좌우 조향조작된다.
한편, 피트먼아암(175)의 후부 상면에는, 작동롤러(177)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그 작동롤러(177)의 좌우 양측을 둘러싸는 것 같이 평면으로 보아 コ자 모양으로 잘려나간 잘림부(178)를 가지는 종동체(179)가 밋션케이스(11)의 바닥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종동체(179)의 좌우 양측부에는 상기 좌우클러치 조작아암 86I에 연결된 좌우로드 180의 앞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핸들(16)을 소정량(기체를 우선회시키는 의사를 가지고 작업자가 오른쪽으로 돌리는 량)이상 오른쪽으로 돌리면, 피트먼아암(175)도 우회전운동하고, 작동롤러(177)가 ①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종동체(179)의 잘림부(178)의 좌측면(178a)를 누르기 위하여, 종동체(179)를 ②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우로드 180을당겨, 우클러치 조작아암(86I)이 조작되어서 우사이드클러치(I)가 끊어지고, 선회중심측의 우후륜(7)이 공회전상태가 되므로, 우후륜(7)이 논바닥을 손상하는 일이없이, 또한, 진흙을 다량으로 들어 올려서 진흙면을 황폐하게 해버리는 것 같은 일도 없고, 우선회를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스티어링핸들(16)을 소정량이상 왼쪽으로 돌리면, 피트먼아암(175)도 좌회전운동하고, 작동롤러(177)가 ①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종동체(179)의 잘림부(178)의 우측면(178b)을 누르기 위하여, 종동체(179)를 ②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좌로드 180을 당겨, 좌클러치 조작아암(86I)이 조작되어서 좌 사이드클러치(I)가 끊어지고, 선회 중심측의 좌후륜(7)이 공회전상태가 되므로, 좌후륜(7)이 논바닥을 손상하는 일없이, 또한, 진흙을 다량으로 들어올려서 진흙면을 황폐하게 해버리는 일도 없이, 좌선회를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피트먼아암(175)의 앞 부분 상면에는, 좌우센서 누름편(182)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티어링핸들(16)을 좌우 어딘가로 200도 회전시키면, 밋션케이스(11)의 바닥면에 고정된 오토리프트 스위치(183)가 온(ON)이 된다(스티어링핸들(16)은 좌우로 최대 360도∼ 400도 회전한다).
상기 한 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핸들(16)의 소정각 이상의 조작에 의해, 선회안쪽 후륜(7)의 사이드클러치 I의 「OFF」가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는, 사이드클러치페달에 의하여 수동으로 사이드클러치(I)의 「OFF」가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후진시에 모심기장치(3)를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는 제어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지레버(90)를 후진속(後進速)으로 조작하면, 체인지레버(90)의 베이스부에 설치한 맞물림편(190)이 물려서 온(ON)이 되는 백리프트 스위치(191)가 설치되고 있으며, 제어장치(170, 도 8)의 모심기장치상승수단에 의하여 전자유압밸브(161)를 제어하여 유압실린더(160)에서 모심기장치(3)을 최대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체인지레버(90)를 후진속으로 조작하여, 자동적으로 모심기장치(3)를 최대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하여 두면, 논밭의 두렁 근처에서 기체를 선회시키기 위해서 등 기체를 두렁을 향해서 후진시킬 때에, 자동적으로 모심기장치(3)는 최대위치까지 상승하고 있으므로, 모심기장치(3)가 두렁에 충돌하여 파손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핸들(16)을 좌우 어느쪽으로 200도 회전시켰을 때에 도 8에 나타내는 오토리프트 스위치(183)가 온(ON)이 되면, 제어장치(170)의 모심기 장치 상승수단에 의하여 전자유압밸브(161)를 제어하여 유압실린더(160)로 모심기장치(3)를 최대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두렁근처에서 기체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스티어링핸들(16)을 좌우 어느쪽으로 최대한까지 회전시키면, 오토리프트 스위치(183)가 온(ON)이 되고, 자동적으로 모심기장치(3)는 최대위치까지 상승하므로, 기체 선회시에 모심기장치(3)를 상승시키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고, 능률좋게 기체선회를 행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좋다.
한편, 조작패널(17)에는, 모심기장치(3)의 자동상승을 행하게 하는 상태와행하게 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리프트 전환스위치(192)가 설치되어 있으며, 즉,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192)를 자동으로 하고 있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백리프트 스위치(191)가 온(ON)이 되든지 오토리프트 스위치(183)가 온(ON)이 되면 자동적으로 모심기장치(3)는 제어장치(170)의 모심기장치 상승수단에 의하여 자동상승된다. 그리고,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192)를 오프(OFF)로 하고 있으면, 백리프트 스위치(191)가 온(ON)이 되어도 오토리프트 스위치(183)이 온(ON)이 되어도 모심기장치(3)는 자동상승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192)에서, 백리프트 스위치(191)가 온(ON)이 되어도 오토리프트 스위치(183)가 온(ON)이 되어도 모심기장치(3)는 자동상승되지 않는 상태로 할 수가 있으므로, 백리프트와 오토리프트의 각각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를 따로따로 설치한 구성보다도 간결한 구성으로 되고, 하나의 스위치로 양자의 상태 전환을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미스가 적어져 작업성이 좋다.
또한,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192)를 오프(OFF)로 하여, 백리프트 스위치(191)가 온(ON)이 되어도 오토리프트 스위치(183)이 온(ON)이 되어도 모심기장치(3)이 자동상승하지 않는 상태로 하여 두면, 기체를 후진해서 헛간등에 보관할 때에 체인지레버(90)를 후진속으로 조작하여도 모심기장치(3)가 자동상승하지 않으므로, 모심기장치(3)를 내린 채로 후진할 수가 있고, 헛간의 입구상부나 헛간내의 다른 부재에 모심기장치(3)를 부딪치고 마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부채형이나 표주박형 등의 변형된 논밭에서 두렁주위를 따라 둘레심기를 할 경우에, 굽은 두렁에 따라 스티어링핸들(16)을 돌리면서 이식작업을 하는데, 이 때에,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192)를 자동위치로 하고 있으면, 스티어링핸들(16)을 좌우 어느쪽인가에 200도이상 회전하면 자동적으로 모심기장치(3)가 상승해버려 이식작업을 행할 수 없지만, 자동리프트 전환스위치(192)를 오프(OFF)로 하고 있으면, 스티어링핸들(16)을 좌우 어느쪽인가에 200도이상 회전하여도 모심기장치(3)는 상승하지 않으므로 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고, 변형된 논밭에서도 적절하게 모종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이앙기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제어장치(170)은 선회안쪽의 후륜(7)의 회전수의 검출에 기초하고, 선회시의 모종이식 등의 여러가지 작동을 자동적으로 행하게 하는 선회 연동제어를 가능하게 한 것에 큰 특징이 있다. 특히, 선회 안쪽의 후륜(7)이 소정각도 이상 조타되고 있을 때에, 상기 선회 연동제어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제어의 방식을 도 9와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즉, 스티어링핸들(16)을 한정하고, 선회 안쪽의 후륜(7)의 사이드클러치(Ⅰ)가 끊어진 상태에서, 좌우 드라이브축(전동축, 89)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선회시의 안쪽의 후륜(7)의 전동축 회전수가 설정값 N1을 넘으면 모심기장치(3)를 강하시킨다. 그 후, 후륜(7)의 전동축 회전수가 설정값 N2와 모종이식구(164)의 작동이 「오프(OFF)」 상태에 들어가서(= 모심기장치(3)가 올린상태로 이동하여)부터 스티어링핸들(16)의 한정조작 시작까지의 후륜의 전동축(89)의 회전수 n의 합계값 이상이 되면 이식「온(ON)」으로 하는 기구이다.
상기 선회 연동제어의 플로우를 도 10에 나타낸다.
우선, 좌우 후륜의 전동축(89)의 회전수를 전동축 회전수센서(205)에서 검출하고, 또한 기준값 Nl(선회 시작으로부터 기체 90˚선회까지의 안쪽 드라이브축 회전신호 설정값), N2(기체 90˚선회로부터 이식 클러치「온(ON)」까지의 드라이브축 회전 신호설정값), θ1 ((직진조작시의 핸들한정 설정각도의) 하한값), θ2((직진조작시의 핸들한정 설정각도의) 상한값)를 세트한다.
계속하여, 논밭의 단단하고 연함이나 수심, 논바닥깊이 등의 논밭조건의 상위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수 N1, N2 및 핸들 한정각도 θ1, θ2의 각 설정값을 조절하는 설정다이얼 206 ∼ 209에 의해, 보정값 nO를 설정한다.
모심기장치(3)의 모종이식구(164)가 모종의 모이식 상태에 있는지 없는지를 핑거레버(171)의 조작에 따르는 제어장치(170)의 상태에서 검출하고, 이식 「온(ON)」부터 이식「오프(OFF)」가 되었을 때, 모종이식구(164)의 작동이 「오프(OFF)」상태에 들어가고 나서 스티어링핸들(16)의 한정조작 개시(開始)까지의 후륜(7)의 전동축(89)의 회전수 n을 전동축 회전수센서(205)로 검출하고, 그 값(n)을기억해 둔다. 이어서, 스티어링핸들(16)의 한정각도(조타각도) θ를 스티어링핸들(16)의 축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는 포텐쇼미터에서 검출하여 직진시(θ1〈θ〈θ2 )이외 시에는 좌우의 어느쪽 방향에 선회중인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좌선회중이면 좌후륜(7)의 전동축(89)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회전수 n1이 n1≥N1 + nO가 되면, 선회시작으로부터 기체가 90도이상 선회한 것이 되므로 모종이식 구(164)를 내린다. 이 모종이식구(164)의 강하로 베개형상의 땅이 고르게 된다.
계속하여, 좌후륜(7)의 전동축(89)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회전수 n2가 n2≥ N2 + n + nO가 되면, 모종이식구(164)를 작동시켜서 모종의 모이식을 개시시킨다.
우선회의 경우에도 좌선회시와 동일한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선회제어시에는 이식부「내림」부터 이식 「온(ON)」까지의 사이에 모심기장치(3)의 유압실린더(160)의 유압감도를 둔감(상승측으로 전환되지 않는다)상태로 함으로써 센터플로트(165) 등을 앞이 올라가는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센터플로트 센서(169)의 제어목표를 센터플로트(165)가 앞이 올라가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행할 수 있고, 센터플로트(165)를 앞이 올라가는 상태로 함으로써 선회 궤적을 고르게 할 수가 있으며, 베개형상의 땅처리를 용이하게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이렇게 사이드클러치Ⅰ이 끊겨져 있는 후륜(7)의 전동축(드라이브축, 89)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동력이 전하여 지고 있는 후륜(7)의 회전수 검출에 비교하여 보다 슬립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또한, 후륜(7)보다 회전이 빠른 드라이브축(89)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용이하게 그 측정 정밀도를 올릴 수 있다. 그 결과, 각 모이식줄기 마다의 모종의 모이식 시작이 거의 일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과 도 11의 이앙기의 평면약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마커(210)를 기체본체의 전방부 양측에 설치하고 있어, 사이드마커의 선단에 기체의 전후방향에 평행한 봉(210a)을 배치함으로써 모종이식의 줄기맞춤을 할 때에 기체가 인접 줄기에 평행하게 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에 이앙기의 평면약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마커 210b, 210c를 각각 한 쪽 2본 설치, 한 쪽 2본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이 기체에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라도, 줄기 맞춤시에 기체가 인접 줄기에 평행하게 되어 있는지 아닌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한 쪽 2본의 사이드마커 210b, 210c 중의 1본의 마커 210c는, 기체전방에서 선회의 목표가 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특히 8 줄기 심기등의 이앙기에서는 베개형상의 땅에서의 선회의 목표가 되므로, 선회조작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심기장치(3)의 모판을 모종이식구(164)측에 보내기 위한 모종이송 벨트(213)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표면(213a)과 뒷면(213b)의 미끄럼방지 패턴을 바꾸고, 모종의 상태에 맞추어 다시 짜기 가능한 모종이송벨트(21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표면(213a)을 도 13(a)에 나타내는 볼록패턴을 갖는 것은, 일반적인 밑바닥이 평면상의 매트모판에 알맞고, 뒷면(213b)을 도13(b)에 나타내는 나막신 패턴을 갖는 것은, 밑바닥이 다이아몬드 커트면의 매트모판에 적합하다. 상기무단상(無端狀)의 벨트(213)로서 띠모양 벨트의 단부(端部)를 서로 연결시켜 제작하고 있을 경우는, 이음매를 풀음으로써 어느쪽의 면에서도 표면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이음매 없는 무단벨트에서는 뒤집는 것으로 어느쪽의 면에서도 표면으로 할 수가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클러치 Ⅰ의 「OFF」에서 선회 안쪽의 차륜(7)이 슬립하기 어려워 지고, 논밭에 기체(機體)가 추수(追隨)하므로, 선회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적정하게 선회연동 제어장치(170)를 작동시킨다. 그 결과, 예컨대, 각 이식줄기마다의 모종의 모이식 개시위치가 거의 일정하게 되는 효과등이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조타차륜(6)이 소정각도이상 조타되고 있을 때에만 선회연동 제어장치(170)가 작동하므로, 직진시 등에 있어서의 선회연동 제어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엔진(12)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는 전동장치와 상기 전동장치로부터의 출력으로 구동하는 진행방향 좌우로 배치되는 차륜 6,7을 구비하고, 더욱이 차륜 7에의 전동을 각별히 온, 오프(ON, OFF)하는 좌우 사이드클러치 Ⅰ를 설치한 승용형 작업기에 있어서,
    선회 내측의 차륜 7의 회전수의 검출에 기초하여, 선회시의 모든 작업용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행하게 하는 선회연동 제어장치(17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작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조타(操舵)차륜(6)이 소정각도이상 조타되고 있을 때, 선회연동 제어장치(170)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작업기.
KR1020040034755A 2003-05-20 2004-05-17 승용형 작업기 KR100603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2356A JP4088780B2 (ja) 2003-05-20 2003-05-20 乗用型作業機
JPJP-P-2003-00142356 2003-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938A true KR20040100938A (ko) 2004-12-02
KR100603808B1 KR100603808B1 (ko) 2006-07-25

Family

ID=3353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755A KR100603808B1 (ko) 2003-05-20 2004-05-17 승용형 작업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88780B2 (ko)
KR (1) KR100603808B1 (ko)
CN (1) CN130929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0396B2 (ja) * 2005-04-21 2011-06-29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作業機
JP4929614B2 (ja) * 2005-04-27 2012-05-09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移植機
JP5034195B2 (ja) * 2005-09-14 2012-09-26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移植機
JP4832849B2 (ja) * 2005-10-14 2011-12-07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5002945B2 (ja) * 2005-11-16 2012-08-15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移植機
JP5070776B2 (ja) * 2006-09-12 2012-11-1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用制御装置
JP5070782B2 (ja) * 2006-09-22 2012-11-1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機
JP4930088B2 (ja) * 2007-02-15 2012-05-09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作業機
JP4886561B2 (ja) * 2007-03-16 2012-02-2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4766000B2 (ja) * 2007-05-21 2011-09-07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機
KR100866514B1 (ko) 2007-06-12 2008-11-03 전형기 승용이앙기의 방향전환장치
JP5656344B2 (ja) * 2008-01-31 2015-01-21 井関農機株式会社 走行車両
JP4998324B2 (ja) * 2008-02-26 2012-08-15 井関農機株式会社 走行車両
JP5056677B2 (ja) * 2008-08-29 2012-10-2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4801745B2 (ja) * 2009-01-29 2011-10-26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JP5212236B2 (ja) * 2009-04-09 2013-06-19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5267501B2 (ja) * 2010-05-10 2013-08-21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作業機
JP5427160B2 (ja) * 2010-11-08 2014-02-26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JP5545232B2 (ja) * 2011-01-28 2014-07-09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移植機
CN202496196U (zh) * 2011-02-09 2012-10-24 井关农机株式会社 移植机
CN103004340B (zh) * 2011-09-20 2017-04-12 井关农机株式会社 苗移植机
JP5561316B2 (ja) * 2012-06-18 2014-07-30 井関農機株式会社 走行車両
JP5565451B2 (ja) * 2012-12-11 2014-08-06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機
JP5888292B2 (ja) * 2013-07-16 2016-03-16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移植機
JP6198506B2 (ja) * 2013-07-29 2017-09-20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乗用型田植機
JP2015047090A (ja) * 2013-08-30 2015-03-16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5761311B2 (ja) * 2013-11-14 2015-08-12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移植機
JP5751314B2 (ja) * 2013-11-15 2015-07-22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移植機
JP2014030435A (ja) * 2013-11-22 2014-02-20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JP5812167B2 (ja) * 2014-08-18 2015-11-11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5854108B2 (ja) * 2014-10-24 2016-02-09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移植機
JP6481365B2 (ja) * 2014-12-26 2019-03-13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6578707B2 (ja) * 2015-04-01 2019-09-25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6050435B2 (ja) * 2015-06-12 2016-12-21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JP6259051B2 (ja) * 2016-11-24 2018-01-10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JP6361758B2 (ja) * 2017-02-24 2018-07-25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6524193B2 (ja) * 2017-12-07 2019-06-05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JP7100792B2 (ja) * 2019-01-31 2022-07-14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の自動走行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7808A (ja) * 1996-02-05 1997-08-1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自動走行車両における操舵装置
JP3354809B2 (ja) * 1996-10-14 2002-12-09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JP2000106725A (ja) * 1998-10-05 2000-04-18 Kubota Corp 水田作業機
JP4107537B2 (ja) * 1999-06-10 2008-06-25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の操作装置
JP4638998B2 (ja) * 2001-05-16 2011-02-23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44020A (ja) 2004-12-09
CN1572132A (zh) 2005-02-02
CN1309292C (zh) 2007-04-11
KR100603808B1 (ko) 2006-07-25
JP4088780B2 (ja)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808B1 (ko) 승용형 작업기
KR101741606B1 (ko) 이앙기
JP5723556B2 (ja) 乗用型作業機の走行変速装置
JP2015086995A (ja) 作業車両の作業部駆動制御機構
JP4797355B2 (ja) 乗用型作業機
KR102073989B1 (ko) 수전 작업기
JP5385642B2 (ja) 田植機
CN110023177B (zh) 作业车
JP5544825B2 (ja) 乗用型田植機
JP5293720B2 (ja) 乗用型田植機
KR100651030B1 (ko) 승용형 모종이식기
KR100485259B1 (ko) 승용형 작업기
JP5765830B2 (ja) 田植機
JP4178876B2 (ja) 乗用型作業機
JP4766000B2 (ja) 作業機
JP2006149305A (ja) 乗用型苗移植機
JP5984698B2 (ja) 乗用型田植機
KR100408934B1 (ko) 농작업기
EP3838716A1 (en) Working machine
JP2011193808A (ja) 乗用型田植機
JP4645077B2 (ja) 走行車両
JP3248714B2 (ja) 乗用農作業機
JP5614442B2 (ja) 乗用型作業機
JP2004243981A (ja) 走行車両
JP2004217071A (ja) 走行車等の旋回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