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259B1 - 승용형 작업기 - Google Patents

승용형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259B1
KR100485259B1 KR10-2002-0065731A KR20020065731A KR100485259B1 KR 100485259 B1 KR100485259 B1 KR 100485259B1 KR 20020065731 A KR20020065731 A KR 20020065731A KR 100485259 B1 KR100485259 B1 KR 100485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clutch
right rear
linkage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045A (ko
Inventor
카미야히사시
세이케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08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brakes or clutches as main steering-effect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형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승용형 이앙기는 좌우 후륜을 축 지지하는 후부 케이스에 좌우 후륜 제동장치를 설치한 구성으로서, 기체 앞 부분에 있는 전륜 조향기구와는 기체 전후방향으로 매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전륜 조향기구와 좌우 후륜 제동장치를 연계하는 기구가 기체 전후방향으로 길어지고, 그 작동 정밀도를 올리기 위해서 연계기구의 강도를 올릴 필요가 있어 기체의 중량이 무거워지고, 또한 연계기구가 기체 전후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다른 구성부재와의 간섭 및 고장이 발생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륜(6) 근방에 배치한 미션 케이스(11)에 좌우 후륜(7)으로의 전동을 별도로 단속하는 좌우 사이드 클러치(I)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륜(6)의 직진 상태로부터 설정 각도 이상의 조향 작동에 따라, 좌우 후륜(7)의 선회 안쪽 사이드 클러치(I)를 단절 작동시키는 선회연계기구(A)를 설치한 승용형 작업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승용형 작업기{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조향용 전륜의 직진상태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의 조향작동에 따라, 좌우 후륜의 전동(傳動)을 단속(斷續)하는 좌우 사이드 클러치 중 선회(旋回) 안쪽의 것을 단절 작동시키는 선회연계기구를 설치한 승용형 이앙기 등의 승용형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종래 기술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0-350507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향용 전륜의 직진상태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의 조향작동에 의해서 좌우 후륜의 선회 안쪽의 것을 제동하는 선회연계기구를 설치한 승용형 이앙기가 있다. 상기 승용형 이앙기에서는, 전륜에 대한 조향조작을 행하는 것 만으로, 선회 안쪽의 후륜을 제동시켜서, 작게 도는 선회를 조작성 좋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는, 좌우 후륜을 축 지지하는 후부(後部) 케이스에 좌우 후륜 제동장치를 설치한 구성으로서, 기체(機體) 앞 부분에 있는 전륜 조향기구와는 기체 전후방향으로 매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전륜 조향기구와 좌우 후륜 제동장치를 연계하는 기구가 기체 전후방향으로 길어져, 그 작동 정밀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연계기구의 강도를 올릴 필요가 있고, 그 결과, 기체의 중량이 무거워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계기구가 기체 전후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다른 구성부재와의 간섭 등의 우려가 있고,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각 부재의 조립 오차 등도 적어서 성능이 좋은 기구를 얻는 수 있으며, 양호한 기체 선회를 행할 수 있는 작업성 좋은 승용형 작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전륜 조향기구와 좌우 후륜 제동장치와의 연계기구를 간결한 구성으로 하여 기체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적절한 기체의 정지 및 선회를 행할 수 있는 승용형 작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엔진(12)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는 미션(mission)과 상기 미션으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구동하는 전륜(6)과 후륜(7)을 구비하며, 더욱이 스티어링 핸들(16)의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6)과 좌우 후륜(7)으로의 전동을 별도로 단속하는 좌우 사이드 클러치(I)를 설치한 승용형 작업기에 있어서, 기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륜(6) 근방에 배치된 미션 내에 좌우 후륜(7)으로의 전동을 별도로 단속하는 좌우 사이드 클러치(I)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륜(6)의 직진상태로부터 설정 각도 이상의 조향작동에 따라, 좌우 후륜(7)의 선회 안쪽의 사이드 클러치(I)를 단절 작동시키는 선회연계기구(A)를 설치하고, 상기 선회연계기구(A)는, 스티어링 핸들(16)의 회동조작이 전달되는 피트만 아암(175)에 설치한 작동롤러(177)와, 그 작동롤러(177)의 좌우 양측을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보아 コ자 모양으로 절결된 절결부(178)를 가져서 그 절결부(178)의 좌우측면(178a, 178b)이 상기 작동롤러(177)에 눌러짐으로써 회동하는 종동체(179)와, 그 종동체(179)의 좌우 양측부와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I)의 좌우 클러치 조작아암(86I)을 연결하는 좌우 각각의 로드(180)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작업기로 한 것이다.
따라서, 기체선회를 위해, 스티어링 핸들(16)을 조작하여 전륜(6)을 직진상태로부터 설정 각도 이상으로 조향하면, 좌우 후륜(7)의 선회 안쪽의 사이드 클러치(I)가 선회연계기구(A)에 의해 자동적으로 단절 작동되어 선회 안쪽의 후륜(7)이 공회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선회 안쪽 후륜(7)이 경반(耕盤)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고, 또한, 진흙을 다량으로 들어 올려 진흙면을 황폐하게 하는 등의 경우도 없으며, 선회가 부드럽고 말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작게 도는 선회를 조작성 좋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륜(6)의 근방에 배치된 미션 케이스(11) 내에 좌우 후륜(7)으로의 전동을 별도로 단속하는 좌우 사이드 클러치(I)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티어링 핸들(16)로써 조작되는 부재와 좌우 후륜(7)의 좌우 사이드 클러치(I)를 가까이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선회연계기구(A)를 간결하고 경량의 컴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각 부재의 조립 오차 등도 적어지므로 성능이 좋은 기구를 얻을 수 있고, 양호한 기체 선회를 행할 수 있어, 작업이 양호하게 이뤄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조종석(20)에 설치된 1개의 페달(140)과, 상기 페달(140)에 의해 작동하는 미션 내에 설치된 메인 클러치(43)와, 좌우 후륜(7)을 제동하는 좌우 후륜 브레이크(J)와, 페달(140)에 의한 메인 클러치(43)의 단속조작과 좌우 후륜 브레이크(J)를 작동시키는 연계기구(B)를 설치하여, 상기 연계기구(B) 중 페달(140)로부터 메인 클러치(43)로의 연계용으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연계부재(150)와 페달(140)로부터 좌우 후륜 브레이크(J)로의 연계용으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연계부재(144)를 기체의 정면에서 볼 때 기체 좌우로 나뉘어져 배치된 청구항 1에 기재된 승용형 작업기로 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l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1개의 페달(140)로써 메인 클러치(43)의 단속조작과 좌우 후륜 브레이크(J)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메인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l개의 페달(140)에 집약할 수가 있어, 조종자는 1개의 페달(140)을 발로 밟아 조작하는 것 만으로 기체를 정지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좋다.
또한, 연계기구(B) 중 페달(140)로부터 메인 클러치(43)로의 연계용으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연계부재(150)와 페달(140)로부터 좌우 후륜 브레이크(J)로의 연계용으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연계부재(144)를 기체의 정면에서 볼 때 기체 좌우로 나누어 배치하였기 때문에, 간결한 구성으로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기체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8조 이식 승용형 이앙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용형 이앙기는 주행차량(1)에 승강용 링크장치(2)로 작업장치의 일종인 이앙장치(3)를 장착하는 동시에, 시비장치(4)를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승용 시비이앙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차량(1)은, 구동륜인 좌우 각 한 쌍의 전륜(6,6) 및 후륜(7,7)을 가지는 4륜 구동차량이다.
메인 프레임(10) 상에 미션 케이스(11)와 엔진(12)이 앞뒤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미션 케이스(11)의 뒤부분 윗면에 유압펌프(13)가 일체로 조립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미션 케이스(11)의 앞부분으로부터 스티어링 포스트(14)가 위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포스트(14)의 상단부에 스티어링 핸들(16)과 조작패널(17)이 설치되어 있다. 기체의 위부분에는 조종용 플로어(floor)가 되는 스텝(19)이 설치되고, 엔진(12)의 위쪽 부분에 조종석(20)이 설치되어 있다. 전륜(6,6)은, 미션 케이스(11)의 옆쪽에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설치한 전륜 지지케이스(22,22)에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후륜(7,7)은, 롤링 막대(23)의 좌우 양단부에 일체로 설치한 후륜 지지케이스(24,24)에 축 지지되어 있다. 롤링 막대(23)는 메인 프레임(10)의 후단부에 돌출되게 설치한 롤링축(25)에 의해 진행방향과 수직한 면 내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엔진(12)의 회전동력은, 벨트(31)(도 3)를 매개로 유압펌프(13)의 구동축인 카운터축(32)에 전해지고, 더욱이 상기 카운터축(32)으로부터 벨트(33)를 매개로 유압식 변속장치(HST)의 입력축(35)으로 전해지며, 유압식 변속장치(HST)의 출력축(36)으로부터 벨트를 통해 미션 입력축(34)으로 전해진다.
또, 미션 입력축(34) 상에는, 메인 클러치(43)가 설치되어 있고, 유압식 변속장치(HST)의 구동력은 메인 클러치(43)를 통해 미션 입력축(34)으로 전동된다. 메인 클러치(43)는 주지의 다판(多板) 클러치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클러치축 쪽의 마찰판(44)과 미션 입력축 쪽의 마찰판(45), 양 마찰판을 눌러부치는 스프링(46), 전환 조작용 고정부재(47)와 미끄럼 부재(4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1)의 케이싱(40) 앞 부분에는, 미션 입력축(34), 카운터축(50), 주행 1차축(51), 주행 2차축(52), 모 이식 1차축(53), 모 이식 2차축(54)이 각각 평행하게 지지되어 있다. 미션 입력축(34)의 기어 G1과 카운터축(50)의 기어 G2, 및 기어 G2와 주행 1차축(51)의 기어 G3가 각각 서로 맞물려 있어, 미션 입력축(34)의 회전이 주행 1차축(51)에 순서대로 전해진다.
주변속장치(K)로서, 주행 1차축(51)에 상기 기어 G3와 기어 G4가 각각 정(定) 위치에 끼워지고, 주행 2차축(52)에 서로 일체로 성형된 기어 G5, G6가 축방향으로 미끄럼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져 있다. 쉬프터(56)로 기어 G5, G6를 이동시켜서, 기어 G4, G5가 맞물리면 저속의 작업속도, 기어 G3와 기어 G4가 맞물리면 고속의 노상(路上)주행속도가 된다.
또한, 모 이식 1차축(53)에는 평소 기어 G4에 맞물리는 기어 G7과 백기어 G8이 끼워져 있어, 기어 G6을 백기어 G8에 맞물리게 하면 후진(後進)속도로 된다. 기어 G5, G6가 어느 쪽 기어와도 맞물리지 않는 위치가 중립(neutral)으로 된다. 이 주변속장치(K)를 조작하는 체인지 레버(change lever)(90)는 조작패널(17)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포기간 변속장치(C)로서, 모 이식 1차축(53)에 서로 일체로 성형된 기어 G9, G10이 축방향으로 미끄럼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져 있는 동시에, 모 이식 2차축(54)에 기어 G11, G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쉬프터(57)로 기어 G9, G10을 적절히 이동시킴으로써, 기어 G9와 기어 G11, 기어 G10과 기어 l1, 및 기어 Gl1과 기어 G12의 3개 조합이 얻어져, 3단계의 포기간 전환을 할 수 있다. 모 이식 2차축(54)으로부터 베벨기어 G13, G14를 통해 모 이식부 전동축(58)으로 전동된다.
케이싱(40)의 뒤부분에는, 리어 차축(rear axle)(60,60)과 프론트 차축(front axle)(61,61)이 지지되어, 상기 주행 2차축(52)으로부터 리어 차동장치(D)를 매개로 리어 차축(60,60)으로 전동되는 동시에, 리어 차동장치(D)로부터 프론트 차동장치(E)를 매개로 좌우 프론트 차축(61,61)으로 전동된다. 그리고, 좌우 프론트 차축(61,61)에 의해 각각 좌우 전륜(6,6)이 구동 회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리어 차동장치(D)는, 주행 2차축(52)의 기어 G15에 맞물리는 기어 G16이 외주부에 형성된 용기(63)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내의 세로축(64)에 설치한 1차 베벨기어 G17과 좌우의 리어 차축(60,60)에 별도로 설치한 2차 베벨기어 G18, G18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각 차축로 전동되는 구동력이 적절히 변동하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 차동장치(E)도 리어 차동장치(D)와 같은 구성이며, 용기(65), 세로축(66), 리어 차동장치쪽 기어 G19, 프론트 차동장치쪽 기어 G20, 세로축(66)에 설치한 베벨기어 G21, 프론트 차축(61)에 설치한 베벨기어 G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어 차동장치(D) 및 프론트 차동장치(E)에는 차동기능을 정지하여, 좌우 양 차축에 구동력이 균등하게 전동되도록 하는 차동 로크장치(F, H)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동 로크장치F(H)는, 용기63(65)에 형성된 클릭69(70)과 차축의 각봉부(角棒部)에 끼워넣어지는 차동 로크부재71(72)의 클릭73(74)과 차축50(51)을 서로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 후륜 차동 로크장치(F)를 조작하는 차동 로크 레버(91)는 조작패널(17)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전륜의 차동 로크장치(H)는, 스텝(19)에 설치한 차동 로크페달(91')을 발로 누르면 차동기능이 정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차동 로크 레버(91) 및차동 로크 페달(91')(도 2)은 모두 기체의 앞 부분에 배치되어 있어, 예컨대 논밭의 두렁을 타고 넘어 기체를 논밭으로부터 나오게 할 때 등에, 조종자는 기체로부터 내려서 기체의 앞쪽에 서고(자기의 신체를 웨이트(weight) 대신에 사용하기 위해서 기체의 앞 단부에 타고) 기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이 두렁 통과를 안전하게 행한다.
이 때, 좌우 전륜(6,6) 중 어느 하나 또는 좌우 후륜(7,7) 중 어느 하나가 공회전한 경우에 즉석에서 조종자는 기체 앞 부분에 있는 차동 로크레버(91) 및 차동 로크 페달(91')을 용이한 자세에서 조작할 수 있고, 차동 로크상태로써 안전하게 두렁을 통과할 수 있다.
리어 차축(60,60)은 베벨기어 G23, G24,ㆍㆍㆍ에 의해서 사이드 클러치축(76,76)에 전동 연결되고, 더욱이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76,76)으로부터 리어 출력축(77,77)에 사이드 클러치(I,I)를 매개로 전동된다. 사이드 클러치(I)는 다판 클러치로서, 사이드 클러치축 쪽의 마찰판(80), 리어 출력축 쪽의 마찰판(81)을 구비하고 있다. 리어 출력축(77)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작동통(82)은, 판 스프링(83)에 의해서 양 마찰판(80,81)을 눌러부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고, 평소에는 사이드 클러치(I)가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쉬프터(85I)로 작동통(82)을 힘 작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사이드 클러치(I)가 단절된다.
더욱이, 리어 출력축(77,77)에는 후륜 브레이크 장치(J,J)가 설치되어 있다. 후륜 브레이크 장치(J)는, 리어 출력축(77)에 설치한 디스크(87,ㆍㆍㆍ)에 프레셔 플레이트(88,ㆍㆍㆍ)를 눌러부쳐서 제동하는 것이며, 이 프레셔 플레이트(88,ㆍㆍㆍ)의 작동은 쉬프터(85J)로 행한다. 즉, 평소에는 사이드 클러치(I)가 연결되고 후륜 브레이크 장치(J)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이고, 쉬프터(85I)를 조작하여 작동통(82)을 힘 작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사이드 클러치(I)가 단절되고, 쉬프터(85J)를 조작하면 후륜 브레이크 장치(J)가 걸리는 것이다. 이들 사이드 클러치(I) 및 후륜 브레이크 장치(J)의 조작(좌우 쉬프터(85Iㆍ85J)의 조작)은, 후술하는 스텝(19) 상에 설치한 페달(140)로 행한다. 또, 좌우 쉬프터(85I)에는, 좌우 클러치 조작아암(86I)의 기초부가 고착되어 있고, 좌우 쉬프터(85J)에는, 좌우브레이크 조작아암(86J)의 기초부가 고착되어 있다.
리어 출력축(77,77)의 후단부는 케이싱(40) 밖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 단부에 상기 후륜 지지케이스(24,24)에 전동하는 좌우 후륜 전동축(89,89)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좌우 후륜 전동축(89,89)에 의해 각각 좌우 후륜(7,7)이 회전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체인지 레버(90)의 조작위치는, 뒤에서 앞쪽으로 조작하는 차례로 후진속도, 중립, 작업속도, 노상 주행속도로 되어 있다. 또한, 차동 로크레버(91)를 앞쪽으로 조작하면 차동 로크, 뒤쪽으로 조작하면 차동 온(on)으로 된다.
따라서, 논밭 내에서 이앙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차동 로크레버(91)를 차동 로크로 하고, 체인지 레버를 작업속도로 시프트하며, 이앙장치(3)의 모 적재대에 모종을 재치하고, 시비장치(4)의 비료탱크에 입상(粒狀) 비료 넣어, 각 부를 구동시켜서 전진하면, 좌우 후륜(7,7)의 차동 로크장치(F)는 차동 로크되어 차동 기능이 정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기체의 직진성이 좋고 양호한 이앙작업과 시비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노상 주행의 경우에는, 리어 차동장치(D) 및 프론트 차동장치(E) 모두 차동기능이 작동하는 상태로 조작하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유압식 변속장치(HST)는, 조종석(20)의 오른쪽에 설치된 HST 조작레버(l10)로써 조작된다. 기체를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바라본 작동 설명용 사시도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HST 조작레버(110)는, 기체에 전후방향으로 축(111)으로써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조작레버 기초부(112)에 축(113)으로써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크랭크 모양으로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조작레버(110)의 조작 스트로크를 규제하기 위한 장공(長孔) 및 상기 조작레버(110) 쪽의 핀(112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 기초부(112)는, 로드(114)로써 기체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위치 결정축(115)의 아암(116)에 연결되어 있다. 위치 결정축(115)에는, 부채형의 캠판(117)이 고정되어 있고, 이 캠판(117)에는, HST 조작레버(110)가 중립위치(N)시에 스프링(118)으로써 탄성력을 받는, 포지션 롤러(119)가 끼워지는 원호홈(117N)과, HST 조작레버(110)가 전진 최대속도위치(F)시에 스프링(ll8)으로써 힘을 받게 되어 있는 포지션 롤러(119)가 삽입되는 원호홈(117F)과, HST 조작레버(110)가 후진 최대속도위치(R)시에 스프링(118)으로써 탄성력을 받는 포지션 롤러(119)가 삽입되는 원호홈(117R)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축(115)에는, HST 조작아암(120)이 설치되어 있고, 이 HST 조작아암(120)이 유압식 변속장치(HST)의 트러니온축(121)에 고정된 트러니온 조작아암(122)에 로드(123)로써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HST 조작레버(110)가 중립위치(N)로 되어 있을 때에는, 캠판(117)의 원호홈(117N)에 포지션 롤러(119)가 끼워지고, 유압식 변속장치(HST)는 중립으로 유지되어 기체는 정지상태이다. 그리고, HST 조작레버(110)를 중립위치(N)에서 전진 최대속도위치(F)를 향해 조작할수록, 로드(114)ㆍ아암(116)ㆍ위치 결정축(115)ㆍHST 조작아암(120)ㆍ로드(123)ㆍ트러니언 조작아암(122)ㆍ 트러니온축(121)과 연계 작동하여, 트러니온축(121)이 전진방향으로 서서히 조작되고, 기체는 서서히 전진속도가 빠르게 된다.
반대로, HST 조작레버(110)를 중립위치(N)에서 후진 최대속도위치(R)를 향하여 조작할수록, 로드(114)ㆍ아암(116)ㆍ위치 결정축(115)ㆍHST 조작아암(120)ㆍ로드(123)ㆍ트러니온 조작아암(122)ㆍ트러니온축(121)과 연계 작동하여, 트러니온축 (121)이 후진방향으로 서서히 조작되고, 기체는 서서히 후진속도가 빠르게 된다.
한편, 기체에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스로틀 레버(130)에 연결된 조작 와이어(131)가 엔진(12)의 액셀레이터 작동기구에 연계되어 있어, 스로틀 레버(130)를 증속방향으로 조작하면 조작 와이어(131)는 (가)방향으로 작동하여 액셀레이터 작동기구를 전개방향을 향해 작동시켜서 엔진(12)의 회전을 올린다. 그리고, 이 조작 와이어(131)의 중도부에 걸림부재(13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축(115)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2개의 상(上) 아암(133R)과 하 아암(133F)에 각각 연결된 조작 와이어(134Rㆍ134F)가 모두 액셀레이터 연동아암(135)의 하단에 연결되며, 이 액셀레이터 연동아암(135)은 기체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그 위 부분은 후크 형상부(135a)로 되어 있어 걸림부재(132)의 엔진쪽 조작 와이어(131)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후크 형상부(135a)는, 조작 와이어(131)의 바깥쪽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조작 와이어(131)는, 후크 형상부(135a)의 안쪽을 자유롭게 (가)방향 및 (가)방향과 반대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로틀 레버(130)를 증속 및 감속방향으로 조작하면, 조작 와이어(131)를 매개로 엔진(12)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HST 조작레버(110)를 중립위치(N)에서 전진 최대속도위치(F) 또는 후진 최대속도위치(R)을 향하여 조작할수록, 하 아암(133F) 또는 상 아암(133R)의 회전에 의해 조작 와이어(134Fㆍ134R)를 당겨서 액셀레이터 연동아암(135)의 후크 형상부(135a)를 (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후크 형상부(135a)가 걸림부재(132)에 맞닿아 조작 와이어(131)를 (가)방향으로 작동하고 액셀레이터 작동기구를 전개방향을 향해 작동시켜 엔진(12)의 회전을 올린다. 즉, HST 조작레버(110)로써 차 속도를 빨리할수록 연동하여, 엔진(12)의 회전수도 오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HST 조작레버(110)로써 변속조작과 엔진(12) 회전수의 조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고 작업효율이 좋다(스로틀 레버(130)를 조작할 필요가 없다). 또한, HST 조작레버(110)가 중립위치(N)에서 스로틀 레버(130)를 최저속으로 감속할 때, 후크 형상부(135a)가 걸림부재(132)에 맞닿기 시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HST 조작레버(110)가 중립위치(N)에서 스로틀 레버(130)로써 자유롭게 엔진(12)의 회전수를 상하 조절할 수 있고, HST 조작레버(110)를 중립위치(N)에서 전진 최대속도위치(F) 또는 후진 최대속도위치(R)를 향하여 도중(途中)까지 조작하고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연동하여 올려진 스로틀 위치로부터 스로틀 레버(130)로써 자유롭게 엔진(12)의 회전수를 올릴 수 있다.
다음, 도 6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페달(140)의 연계구성을 설명한다.
페달(140)은 메인 클러치(43)와 좌우 후륜 브레이크 장치(J)를 함께 조작할 수 있고, 스티어링 핸들(16)의 오른쪽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페달(140)을 밟으면 메인 클러치(43)가 단절되고, 이어서 좌우 후륜 브레이크(J)가 걸려서 기체가 정지한다.
페달(140)의 기초부에 설치한 보스부(140a)는, 기체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동 지지축(142)을 바깥에서 끼우고, 분할핀(140b)으로써 회동 지지축(142)에 고정되어, 페달(140)을 밟음 조작하면 회동 지지축(142)도 일체로 회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페달(140)의 보스부(140a)에는, 좌우 브레이크 작동아암(143)의 기초부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좌우 브레이크 작동아암(143)의 선단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작동로드(1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로드(144)의 하단은, 그 하단부에 형성된 장공(144a)을 통해 기체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카운터축(145)의 우단부에 용접으로 고정된 L자 모양의 우(右) 아암(146R)의 위쪽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카운터축(145)의 좌단부에는, 좌(左) 아암(146L)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우 아암(146R)ㆍ좌 아암(146L)의 각 아래 부분에서 뒤쪽을 향해 좌우 연결로드(147Lㆍ147R)가 설치되고, 각 좌우 연결로드(147Lㆍ147R)의 후단은 좌우 후륜 브레이크 장치(J,J)를 조작하는 좌우 쉬프터(85J,85J)를 조작하는 좌우 브레이크 조작아암(86J,86J)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회동 지지축(142)의 우단부에는, 아암(148)의 기초부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그 아암(148)의 선단부에는 메인 클러치 작동 캠롤러(베어링)(148a)가 설치되어 있어, 페달(140)을 밟음 조작하여 아암(148)이 위쪽으로 움직일 때, 기체에 기초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설치된 클러치캠(149)을 밀어올림 작동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캠(149)의 선단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작동로드(150)가 설치되고, 작동로드(150)의 하단은, 기체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클러치 쉬프터(151)에 설치된 아암(152)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쉬프터(151)는, 상기 미끄럼 부재(48)를 작동시켜서 메인 클러치(43)를 단속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캠(149)의 메인 클러치 작동 캠롤러(148a)가 맞닿는 아래면(149a)의 형상은, 페달(140)을 발로 밟아 조작하여 아암(148)이 위쪽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곧 클러치캠(149)를 밀어올림 작동시켜서 메인 클러치(43)를 단절 조작하고, 메인 클러치(43)가 단절된 뒤에는, 메인 클러치 작동 캠롤러(148a)가 아래면(149a)의 직선부(149b)를 전동하는 것만으로 클러치캠(149)을 위쪽으로 거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조종자가 페달(140)을 밞음 조작하면, 좌우 브레이크 작동아암(143)ㆍ아암(148)이 위쪽으로 회동하지만, 이 때, 아암(148)의 메인 클러치 작동 캠롤러(148a)는 곧 클러치캠(149)을 밀어올림 작동시켜서 메인 클러치(43)를 단절 조작한다. 그리고, 메인 클러치(43)가 단절 조작될 때까지는, 좌우 브레이크 작동아암(143)이 위쪽으로 회동하더라도 작동로드(144) 하단에는 장공(144a)이 있기 때문에 우 아암(146R)은 회동하지 않는다.
메인 클러치(43)가 단절 조작된 뒤에, 더욱이, 조종자가 페달(140)을 밟음 조작하면, 좌우 브레이크 작동아암(143)이 위쪽으로 더 회동하여, 작동로드(144)로써 우 아암(146R)이 회동하여 좌우 후륜 브레이크(J,J)가 작동한다. 이 때, 메인 클러치(43)가 단절 조작된 후에는, 메인 클러치 작동 캠롤러(148a)가 클러치캠(149)의 아래면(149a)의 직선부(149b)를 전동하는 것만으로 클러치캠(149)을 위쪽으로 거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종자가 페달(140)을 밞음 조작하는 힘은, 최초에는 메인 클러치(43)를 단절 조작하는 것만이고, 메인 클러치(43)가 단절 조작된 후에는 좌우 후륜 브레이크(J,J)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되어, 밞는 힘이 매우 가벼우므로 좋고 조작성이 매우 좋다,
그리고, 페달(140)의 좌우 후륜 브레이크(J,J)를 작동시키는 연계용 작동로드(144) 등은 기체 오른쪽에 배치하고, 메인 클러치(43)를 조작하는 연계용 작동로드(150) 등은 기체 왼쪽에 배치하여, 각각을 기체 좌우에 나누어 배치하였기 때문에, 간결한 구성으로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기체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한편, 페달(140)은, 밟은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및 고정 해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을 설명한다.
페달(140)의 밟음면(153)은, 그 위 부분 왼쪽 각부(角部)가 절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절결부에 페달 고정부재(154)의 밟음면(154a)이 위치하도록, 페달 고정부재(154)가 페달(140)에 힌지 지지축(155)으로써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페달 고정부재(154)의 밟음면(154a)은 페달(140)의 밟음면(153)보다 약간 조종자 쪽으로 나간 배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페달 고정부재(154)에는, 그 밟음면(154a)과는 반대쪽 아래면에 톱 모양의 걸림부(154b)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페달 고정부재(154)와 페달(140) 사이에는 토크 스프링(156)이 설치되어 있어, 항상, 페달 고정부재(154)이래면의 톱 모양 걸림부(154b)가 아래쪽을 향하여 힘을 받고 있다. 또한, 기체 쪽에는, 페달 고정부재(154)의 톱 모양 걸림부(154b)가 걸리는 걸림판(157)이 고정되어 있어, 조종자가 페달(140)의 밟음면(153)을 밟으면, 자동적으로 걸림판(157)의 선단(157a)에 페달 고정부재(154)의 톱 모양 걸림부(154b)가 걸려서, 페달(140)은 그 밟은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조종자가 페달 고정부재(154)의 밟음면(154a)을 누르면, 토크 스프링(15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걸림부(154b)가 위로 움직이고, 걸림판(157)의 선단(157a)으로부터 걸림부(154b)가 빠지고 페달(140)의 고정은 해제되어, 페달(140)은 누르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페달(140)을 최대로 누른 때에, 페달(140)의 밟음면(153)의 이면(裏面)에 맞닿아 페달(140)을 멈추는 고무재로 구성되는 스토퍼(158)가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논밭에서 이앙작업 중에 모 적재대(163)에 모종의 남김이 적어져, 예비 적재대(200)에 실은 예비 모종을 공급하기 위해서 페달(140)을 밟으면, 메인 클러치(43)가 단절 조작되고 좌우 후륜 브레이크(J,J)가 작동하여 기체는 정지하며, 페달(140)은 페달 고정부재(154)로써 자동적으로 그 누름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즉시, 조종자가 조종석(20)을 떠나 모종 공급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그리고, 모종 공급을 끝내면, 조종자는 조종석(20)에 앉아, 페달 고정부재(14)의 밟음면(154a)을 밟아 넣으면, 토크 스프링(15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걸림부(154b)가 위쪽으로 움직여 걸림판(157)의 선단(157a)으로부터 빠지고, 페달(140)의 고정은 해제되어 밟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 곧바로, 이앙작업을 속행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좋다.
또한, 주행시에, 노상 주행시 등에서 단지 기체를 멈추게만 할 때는, 페달(140)의 밟음면(153)과 페달 고정부재(154)의 밟음면(154a)을 동시에 밟아 넣으면, 페달(140)의 고정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밟아 넣음을 멈추면 즉석에서 발진할 수 있다.
다음, 이앙장치(3)는, 주행차량(1)에 승강용 링크장치(2)에 의해 승강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데, 그 승강시키는 구성과 이앙장치(3)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주행차량(1)에 기초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일반적인 유압실린더(160)(도 1)의 피스톤 상단부를 승강용 링크장치(2)에 연결하고, 주행차량(1)에 설치한 유압펌프(13)로써 전자유압밸브(161)를 매개로 유압실린더(160)에 압력유를 공급ㆍ배출하여, 유압실린더(160)의 피스톤을 신장전진ㆍ수축후퇴시켜서 승강용 링크장치(2)에 연결한 이앙장치(3)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앙장치(3)는, 승강용 링크장치(2)의 뒤 부분에 롤링축을 매개로 하여 롤링이 자유롭게 장착된 프레임을 겸하는 모 이식 전동케이스(162)와, 상기 모 이식 전동케이스(162)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기체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모 적재대(163)와, 모 이식 전동케이스(162)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모 적재대(163)의 하단으로부터 1포기 분씩 모종을 분할하여 논밭에 이식하는 모 이식구(164)와, 모 이식 전동케이스(162)의 아래 부분에 그 뒤 부분이 지지되고 그 앞 부분이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정지체(整地體)인 센터 플로트(165)ㆍ사이드 플로트(166)ㆍㆍㆍ등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센터 플로트(165)ㆍ사이드 플로트(166)ㆍㆍㆍ는, 논밭을 정지하는 동시에 모 이식구(164)ㆍㆍㆍ로써 모종이 이식되는 논밭의 앞쪽을 정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PTO 전동축(167)은 양단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가지며, 시비 구동케이스(168)의 동력을 이앙장치(3)의 모 이식 전동케이스(162)에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센터 플로트 센서(169)는 센터 플로트(165) 앞 부분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로 구성되며, 센터 플로트(165)의 앞 부분 윗면과 링크에 의해 연계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플로트 센터(169)의 센터 플로트(165) 앞 부분의 상하 위치검출에 기초하여, 제어장치(170)(도 14)의 이앙장치 승강수단에 의해 전자유압밸브(161)를 제어하고 유압실린더(160)로써 이앙장치(3)의 상하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센터 플로트(165)의 앞 부분이 외력으로써 적정 범위 이상으로 들어 올려진 때에는 유압펌프(13)로써 미션 케이스(11) 내로부터 퍼 내어진 압력유를 유압실린더(160)에 들여보내 피스톤을 돌출시키고 승강용 링크장치(2)를 위로 움직여서 이앙장치(3)를 소정위치까지 상승시키며, 또한, 센터 플로트(165)의 앞 부분이 적정 범위 이상으로 내려간 때에는 유압실린더(160) 내의 압력유를 미션 케이스(11) 내로 되돌려 승강용 링크장치(2)를 아래로 움직여서 이앙장치(3)를 소정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센터 플로트(165)의 앞 부분이 적정범위에 있을 때(이앙장치(3)가 적정한 소정위치에 있는 때)에는 유압실린더(160) 내 압력유의 출입을 멈추어 이앙장치(3)를 일정위치에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센터 플로트(165)를 이앙장치(3)의 자동 높이제어를 위한 접지센서로서 사용하고 있다.
조종핸들(16)의 아래쪽에 핑거 레버(171)(도 2)가 배치되어, 상기 핑거 레버(171)를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면 포텐셔미터로 구성되는 핑거 레버 스위치(172)(도 14)가 작동되고, 제어장치(170)의 PTO 클러치 작동수단에 의해 PTO 클러치 작동 SOL(173)이 조작되며, 시비 구동케이스(168) 내에 설치된 동력을 단속(斷續)하는 PTO 클러치가 조작되어 시비장치(4) 및 이앙장치(3)로의 동력이 단속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어장치(170)의 이앙장치 승강수단에 의해, 전자유압밸브(161)가 조작되어 수동으로써 이앙장치(3)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핑거 레버(171)를「위」로 조작하면, PTO 클러치가 단절되어 시비장치(4) 및 이앙장치(3)의 작동이 정지하며, 또한 전자유압밸브(161)가 강제적으로 이앙장치(3)를 상승하는 쪽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핑거 레버(171)를「위」로 조작한 뒤에, 핑거 레버(171)를「하」로 1회 조작하면, 전자유압밸브(161)가 센터 플로트(165)의 상하 이동으로써 전환되는 자동제어상태로 되며, 이앙장치(3)가 상승된 상태이면 센터 플로트(165)가 접지하여 적정자세로 될 때까지 이앙장치(3)는 하강한다. 더욱이, 1회 더 핑거 레버(171)를 「하」로 조작하면, 전자유압밸브(161)가 센터 플로트(165)의 상하 이동으로써 전환되는 자동제어상태대로, PTO 클러치가 연결되어 시비장치(4) 및 이앙장치(3)가 구동된다. 이 후, 핑거 레버(171)를 「하」로 조작할 때마다, 전자유압밸브(161)가 센터 플로트(165)의 상하 이동으로써 전환되는 자동제어상태대로, PTO 클러치가 단속적으로 교대로 전환된다.
여기서, 스티어링 핸들(16)로써 전륜(6,6)이 조향조작되는 부분의 구성에 관해서 도 8과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스티어링 핸들(16)은, 스티어링 포스트(14) 내에 설치된 스티어링축 위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스티어링축의 회전은 미션 케이스(11) 내에 설치된 스티어링 변속치차를 매개로 감속되어 출력축(174)으로 전동된다. 그리고, 출력축(174)의 하단은, 미션 케이스(11)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피트만 아암(pitman arm)(175)이 고정되어 있다. 피트만 아암(175)의 앞 부분 좌우쪽과 좌우 전륜 지지케이스(22,22)(도 1)는 좌우 로드(176,176)(도 1)로써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핸들(16)을 회동조작하면, 스티어링축ㆍ스티어링 변속치차ㆍ출력축(174)ㆍ피트만 아암(175)ㆍ좌우 로드(176,176)ㆍ좌우 전륜 지지케이스 (22,22)로 전달되어, 좌우 전륜(6,6)이 좌우 조향조작된다.
한편, 피트만 아암(175)의 뒤 부분 윗면에는 작동롤러(177)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그 작동롤러(177)의 좌우 양측을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보아 コ자 모양으로 절결된 절결부(178)를 가지는 종동체(179)가 미션 케이스(11)의 바닥면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종동체(179)의 좌우 양측부에는, 상기 좌우 클러치 조작아암(861,861)에 연결된 좌우 로드(180,180)의 앞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핸들(16)을 소정량(기체를 오른쪽으로 선회시키는 의사를 가지고 작업자가 오른쪽으로 돌리는 양) 이상 오른쪽으로 돌리면, 피트만 아암(175)도 오른쪽으로 회동하고, 작동롤러(177)가 (다)방향으로 회동하여 종동체(179)의 절결부(178) 좌측면(178a)을 누르기 때문에, 종동체(179)를 (라)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우(右) 로드(180)를 당기고, 우 클러치 조작아암(86I)이 조작되어 우 사이드 클러치(I)가 단절되며, 선회 중심쪽의 우(右) 후륜(7)이 공회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우 후륜(7)이 경반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고, 또한, 진흙을 다량으로 들어 올려서 진흙면을 황폐하게 해버리는 등의 경우도 없어, 오른쪽 선회를 부드럽고 말끔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스티어링 핸들(16)을 소정량 이상 왼쪽으로 돌리면, 피트만 아암(175)도 오른쪽으로 회동하여, 작동롤러(177)가 (다)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종동체(179)의 절결부(178)의 우측면(178b)을 누르기 때문에, 종동체(179)를 (라)와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좌(左) 로드(180)를 당기고, 좌 클러치 조작아암(86I)이 조작되어 좌 사이드 클러치(I)가 단절되며, 선회 중심쪽의 좌 후륜(7)이 공회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좌 후륜(7)이 경반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고, 또한, 진흙을 다량으로 들어 올려서 진흙면를 황폐하게 하는 경우도 없어, 왼쪽 선회를 부드럽고 말끔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피트만 아암(175)의 앞 부분 윗면에는, 좌우 센서 누름편(182,182)이 설치되어 있어, 스티어링 핸들(16)을 좌우 어느 쪽으로 200도 회전시키면, 미션 케이스(11)의 바닥면에 고정된 오토 리프트 스위치(183)가 온(ON)으로 된다(스티어링 핸들(16)은 좌우로 최대360도∼400도 회전한다).
다음, 이앙장치(3)를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는 제어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인지 레버(90)를 후진속도로 조작하면, 체인지 레버(90)의 기초부에 설치한 맞닿음편(190)이 맞닿아 ON으로 되는 백 리프트 스위치(191)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장치(170)(도 14)의 이앙장치 상승수단에 의해 전자유압밸브(161)를 제어하여 유압실린더(160)로써 이앙장치(3)를 최대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체인지 레버(90)를 후진속도로 조작하면, 자동적으로 이앙장치(3)를 최대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하여 놓으면, 논밭의 두렁 부근에서 기체를 선회시키는 등을 위해서 기체를 두렁을 향해 후진시킬 때에, 자동적으로 이앙장치(3)는 최대위치까지 상승되어 있기 때문에, 이앙장치(3)가 두렁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핸들(16)을 좌우 어느쪽으로든 200도 회전시킬 때에 도 14에 나타내는 오토 리프트 스위치(183)가 ON으로 되면, 제어장치(170)의 이앙장치상승수단에 의해 전자유압밸브(161)를 제어하여 유압실린더(160)로써 이앙장치(3)를 최대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렁 부근에서 기체를 선회시키기 위해서 스티어링 핸들(16)을 좌우 어느쪽으로든 최대한까지 회전시키면, 오토 리프트 스위치(183)가 ON으로 되어, 자동적으로 이앙장치(3)는 최대위치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기체 선회시에 이앙장치(3)를 상승시키는 조작이 불필요해지고, 능률 좋게 기체 선회를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한편, 조작패널(17)에는, 이앙장치(3)의 자동상승을 행하게 하는 상태와 행하게 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자동 리프트 전환 스위치(192)가 설치되어 있어, 즉, 자동 리프트 전환 스위치(192)가 자동으로 되어 있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백 리프트 스위치(191)가 ON으로 되거나 오토 리프트 스위치(183)가 ON으로 되면 자동적으로 이앙장치(3)는 제어장치(170)의 이앙장치 상승수단에 의해 자동 상승된다. 그리고, 자동 리프트 전환 스위치(192)를 OFF로 하고 있으면, 백 리프트 스위치(191)가 ON으로 되거나 오토 리프트 스위치(183)가 ON으로 되어도 이앙장치(3)는 자동 상승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자동 리프트 전환 스위치(192)로, 백 리프트 스위치(191)가 ON으로 되거나 오토 리프트 스위치(183)가 ON으로 되어도 이앙장치(3)는 자동 상승되지 않은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백 리프트와 오토 리프트의 각각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따로 따로 설치한 구성보다 간결한 구성으로 되어, 하나의 스위치로 양자의 상태 전환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미스(miss)가 적어지고 작업성이 좋다.
또, 자동 리프트 전환 스위치(192)를 OFF, 백 리프트 스위치(191)가 ON으로 되거나 오토 리프트 스위치(183)가 ON으로 되어도 이앙장치(3)가 자동 상승하지 않은 상태로 해두면, 기체를 후진에 의해 헛간 등에 넣을 때, 체인지 레버(90)를 후진속도로 조작하더라도 이앙장치(3)가 자동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이앙장치(3)를 내린채로 후진할 수 있어, 헛간의 입구 상부나 헛간 내의 다른 부재에 이앙장치(3)를 부딪치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부채형이나 표주박형 등의 변형 논밭에서 두렁 부근을 따라 둘레 이식을 행하는 경우에, 굽어진 두렁을 따라 스티어링 핸들(16)을 돌리면서 이식하여 작업을 하지만, 이 때, 자동 리프트 전환 스위치(192)가 자동위치로 되어 있으면, 스티어링 핸들(16)을 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200도 이상 회전하면 자동적으로 이앙장치(3)가 상승하여 모 이식작업을 행할 수 없으나, 자동 리프트 전환 스위치(192)를 OFF로 하고 있으면, 스티어링 핸들(16)을 좌우 어느 방향으로 200도 이상 회전하더라도 이앙장치(3)는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변형 논밭에서도 적절히 모종 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l 및 도 2에는, 기체 앞 부분에 설치한 예비 모 적재대(200)와 직진 주행의 지표가 되는 센터 마스코트(201)를 나타내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스티어링 핸들(16)로써 조작되는 피트만 아암(l75) 근처의 기체 앞 부분에 미션 케이스(11)를 설치하여, 상기 미션 케이스(11)에 좌우 후륜(7,7)으로의 구동을 단속하는 좌우 사이드 클러치(I,I)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티어링 핸들(16)로써 조작되는 부재(피트만 아암(175) 등)와 좌우 후륜(7,7)의 좌우 사이드 클러치(I,I)를 가까이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스티어링 핸들(16)의 조작으로써 좌우 후륜(7,7)의 좌우 사이드 클러치(I,I)를 단절하는 연계기구가 간결하고 컴팩트하게 되고, 각 부재의 제조 오차 등이 적어져 성능이 좋은 기구를 얻을 수 있으며, 양호한 기체선회를 행할 수 있어 이앙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1)의 좌우 사이드 클러치(I,I)와 좌우 후륜 브레이크 장치(J,J)는, 기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륜(6)과 중복되는 위치로 되어 있고, 피트만 아암(175)으로부터 매우 가까운 거리로 되어 있다.
또한, 그 미션 케이스(11)에 좌우 후륜(7,7)의 좌우 후륜 브레이크 장치(J,J)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페달(140)로부터의 거리가 짧고, 페달(140)과 좌우 후륜 브레이크 장치(J,J)와의 연계기구가 간결하고 컴팩트하게 되고, 각 부재의 제조 오차 등이 적어져 성능이 좋은 기구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페달(140)은, 메인 클러치(43)도 단속 조작하기 때문에, 미션 케이스(11)에 메인 클러치(43)를 설치한 것과 함께, 페달(140)과 메인 클러치(43)와 좌우 후륜 브레이크 장치(J,J)의 연계기구가 간결하고 컴팩트하게 되며, 각 부재의 제조 오차 등이 적어져 성능이 좋은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 핸들(16)의 소정 각도 이상의 조작에 따라, 선회 안쪽 후륜(7)의 사이드 클러치(I)를 단절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스티어링 핸들(16)의 소정 각도 이상의 조작에 의해, 선회 안쪽 후륜(7)의 사이드 클러치(I)를 단절하고, 또한, 선회 안쪽 후륜(7)의 브레이크 장치(J)를 제동하도록 구성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좌우 후륜(7)이 차동장치를 통해 구동되는 경우에는, 스티어링 핸들(16)의 소정 각도 이상의 조작에 의해, 선회 안쪽 후륜(7)의 브레이크 장치(J)를 제동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 핸들(16)을 조작하여 전륜(6)을 직진 상태로부터 설정 각도 이상으로 조향하면, 좌우 후륜(7)의 선회 안쪽 사이드 클러치(I)가 선회연계기구(A)에 의해 자동적으로 단절되게 작동되어, 선회 안쪽 후륜(7)이 공회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선회 안쪽 후륜(7)이 경반(耕盤)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고, 또한, 진흙을 다량으로 들어 올려서 진흙면를 황폐하게 하는 등의 경우도 없으며, 선회를 부드럽고 말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작게 도는 선회를 조작성 좋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핸들(16)로써 조작되는 부재와 좌우 후륜(7)의 좌우 사이드 클러치(I)를 가까이 배치할 수 있고, 선회연계기구(A)를 간결하고 경량 컴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각 부재의 조립 오차 등도 적어져 성능이 좋은 기구를 얻을 수 있으며, 양호한 기체 선회를 행할 수 있어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조종자는, 1개의 페달(140)을 밞음 조작하는 것 만으로 기체를 정지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좋다. 또한, 연계기구(B)를 간결한 구성으로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기체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결한 구성에 의해, 적절한 기체의 정지 및 선회를 행하고 능률 좋게 작업을 행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8조(條) 이식 승용형 이앙기를 나타내는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l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전동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미션 케이스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유압식 변속장치(HST)의 조작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주클러치 및 후륜 브레이크의 조작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주클러치 및 후륜 브레이크의 조작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l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주클러치 및 후륜 브레이크의 조작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주클러치의 조작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주클러치 및 후륜 브레이크의 조작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주클러치 및 후륜 브레이크의 조작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좌우 전륜의 조향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체인지 레버(change lever)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제어계의 블록회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 주행차량
2... 승강용 링크장치
3... 이앙장치
4... 시비장치
6... 전륜
7... 후륜
10... 메인 프레임(main frame)
11... 미션 케이스
12... 엔진
13... 유압펌프
14... 스티어링 포스트
16... 스티어링 핸들
17... 조작패널
19... 스텝
20... 조종석
22.. 전륜 지지케이스
23... 롤링 막대
24... 후륜 지지케이스
25... 롤링축
31,33... 벨트
32... 카운터축
34... 미션 입력축
35... 입력축
36... 출력축
40... 케이싱(casing)
43... 메인 클러치
44,45,80,81... 마찰판
46... 스프링
47... 전환 조작용 고정부재
48... 미끄럼 부재
50... 카운터축
51... 주행 1차축
52... 주행 2차축
53... 모 이식 1차축
54... 모 이식 2차축
58... 모 이식부 전동축
60... 리어 차축(rear axle)
61... 프론트 차축(front axle)
63,65... 용기(容器)
64,66... 세로축
69,70,73,74... 클릭
71,72... 차동 로크(differential lock) 부재
76... 사이드 클러치축
77... 출력축
82... 작동통(作動筒)
83... 판 스프링
85... 쉬프터(shifter)
86I... 좌우 클러치 조작아암
86J... 좌우 브레이크 조작아암
87... 디스크
88... 프레셔 플레이트
89... 좌우 후륜 전동축
90... 체인지 레버
91... 차동 로크레버
91'... 차동 로크페달
110... HST 조작레버
111,113... 축
112... 조작레버 기초부
112a... 핀
114... 로드
115... 위치 결정축
116... 아암
117... 캠판
117F,117N,117R... 원호홈
118... 스프링
119... 포지션 롤러
120... HST 조작아암
121... 트러니온(trunnion) 축
122... 트러니온 조작아암
123... 로드
130... 스로틀 레버(throttle lever)
131... 조작 와이어
132.. 걸림부재
133... 아암
134... 조작 와이어
135.. 액셀레이터 연동아암
135a... 후크 형상부
140... 페달
140a... 보스부
140b... 분할핀
142... 회동 지지축
143... 좌우 브레이크 작동아암
144... 작동 로드
144a... 장공
145... 카운터축
146,148... 아암
147... 연결 로드
148a... 메인 클러치 작동 캠롤러(베어링)
149... 클러치캠
149a... 아래면
150... 작동 로드
151... 클러치 쉬프터
152... 아암
153,154a... 발 밟음면
154... 페달 고정부재
155... 힌지 지지축
156... 토크 스프링
157.. 걸림판
157a... 선단(先端)
158... 스토퍼
160... 유압실린더
161... 전자유압밸브
162... 모 이식 전동케이스
163... 모 적재대
164... 모 이식구
165... 센터 플로트
166... 사이드 플로트
167... PTO 전동축
168... 시비 구동케이스
169... 센터 플로트 센서
170... 제어장치
171... 핑거 레버
172... 핑거 레버 스위치
173... PTO 클러치 작동 SOL
174... 출력축
175... 피트만 아암(pitman arm)
176... 좌우 로드
177... 작동 롤러
178.. 절결부
179... 종동체
180... 좌우 로드
182... 좌우 센서 누름편
183.. 오토 리프트 스위치
190... 맞닿음편
191... 백 리프트 스위치
192... 자동 리프트 전환 스위치
200... 예비 모 적재대
201... 센터 마스코트
A... 선회연계기구(피트만 아암(175)ㆍ작동롤러(177)ㆍ종동체(179)ㆍ좌우 로드(180)ㆍ좌우 클러치 조작아암(86I))
B... 연계기구(회동 지지축(142)ㆍ좌우 브레이크 작동아암(143)ㆍ작동로드 (l44)ㆍ카운터축(145)ㆍ우 아암(146R), 좌 아암(146L)ㆍ좌우 연결 로드(147L,147R)ㆍ좌우 브레이크 조작아암(86J)ㆍ아암(148)ㆍ메인 클러치 작동 캠롤러(148a)ㆍ클러치캠(149)ㆍ작동 로드(150)ㆍ클러치 쉬프터(151)ㆍ아암(152))
C... 포기간 변속장치
D... 리어 차동장치
E... 프론트 차동장치
G... 기어
H... 차동 로크장치
I... 좌우 사이드 클러치
J... 좌우 후륜 브레이크
K... 주변속 장치

Claims (2)

  1. 엔진(12)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는 미션과 상기 미션으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구동하는 전륜(6)과 후륜(7)을 구비하며, 더욱이 스티어링 핸들(l6)의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6)과 좌우 후륜(7)으로의 전동을 별도로 단속(斷續)하는 좌우 사이드 클러치(I)를 설치한 승용형 작업기에 있어서,
    기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륜(6)의 근방에 배치한 미션 내에 좌우 후륜(7)으로의 전동을 별도로 단속하는 좌우 사이드 클러치(I)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륜(6)의 직진상태로부터 설정 각도 이상의 조향작동에 따라, 좌우 후륜(7)의 선회 안쪽 사이드 클러치(I)를 단절하도록 작동시키는 선회연계기구(A)를 설치하고, 상기 선회연계기구(A)는, 스티어링 핸들(16)의 회동조작이 전달되는 피트만 아암(175)에 설치한 작동롤러(177)와, 그 작동롤러(177)의 좌우 양측을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보아 コ자 모양으로 절결된 절결부(178)를 가져서 그 절결부(178)의 좌우측면(178a, 178b)이 상기 작동롤러(177)에 눌러짐으로써 회동하는 종동체(179)와, 그 종동체(179)의 좌우 양측부와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I)의 좌우 클러치 조작아암(86I)을 연결하는 좌우 각각의 로드(180)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조종석(20)에 설치한 1개의 페달(140)과, 상기 페달(140)에 의해 작동하는 미션 내에 설치한 메인 클러치(43)와, 좌우 후륜(7)을 제동하는 좌우 후륜 브레이크(J)와, 페달(140)에 의한 메인 클러치(43)의 단속조작과 좌우 후륜 브레이크(J)를 작동시키는 연계기구(B)를 설치하여,
    상기 연계기구(B) 중, 페달(140)로부터 메인 클러치(43)로의 연계용으로 세로방향으로 배치한 연계부재(150)와, 페달(140)로부터 좌우 후륜 브레이크(J)로의 연계용으로 세로방향으로 배치한 연계부재(144)를 기체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기체 좌우에 나누어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작업기.
KR10-2002-0065731A 2001-11-12 2002-10-28 승용형 작업기 KR100485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46489 2001-11-12
JP2001346489A JP2003146238A (ja) 2001-11-12 2001-11-12 乗用型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045A KR20030040045A (ko) 2003-05-22
KR100485259B1 true KR100485259B1 (ko) 2005-04-25

Family

ID=1915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731A KR100485259B1 (ko) 2001-11-12 2002-10-28 승용형 작업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146238A (ko)
KR (1) KR100485259B1 (ko)
CN (1) CN12758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2333B2 (ja) * 2004-06-22 2010-03-31 井関農機株式会社 走行車両
KR101055906B1 (ko) * 2005-11-28 2011-08-09 대동공업주식회사 승용이앙기의 무단변속 조작장치
KR100866514B1 (ko) * 2007-06-12 2008-11-03 전형기 승용이앙기의 방향전환장치
JP5888352B2 (ja) * 2014-02-10 2016-03-22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N104534066A (zh) * 2015-01-06 2015-04-22 山东雷沃桥箱有限公司 一种植保机械用变速箱
JP5761475B2 (ja) * 2015-01-08 2015-08-12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946A (ja) * 1996-02-19 1997-08-2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用走行車
JP2000350507A (ja) * 1999-06-10 2000-12-19 Kubota Corp 水田作業機の操作装置
KR20010029583A (ko) * 1999-09-27 2001-04-06 미쯔이 고오헤이 승용형 수전 작업기
JP2001204210A (ja) * 2000-01-25 2001-07-31 Kubota Corp 乗用水田作業機
JP2001275413A (ja) * 2000-03-31 2001-10-09 Kubota Corp 水田作業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946A (ja) * 1996-02-19 1997-08-2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用走行車
JP2000350507A (ja) * 1999-06-10 2000-12-19 Kubota Corp 水田作業機の操作装置
KR20010029583A (ko) * 1999-09-27 2001-04-06 미쯔이 고오헤이 승용형 수전 작업기
JP2001204210A (ja) * 2000-01-25 2001-07-31 Kubota Corp 乗用水田作業機
JP2001275413A (ja) * 2000-03-31 2001-10-09 Kubota Corp 水田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8792A (zh) 2003-05-21
JP2003146238A (ja) 2003-05-21
CN1275821C (zh) 2006-09-20
KR20030040045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1283B1 (en) Work vehicle
CN101959733B (zh) 行进式农业机械
KR100485259B1 (ko) 승용형 작업기
JP4629881B2 (ja) 乗用型水田作業機
JP4106217B2 (ja) ブレーキ及びクラッチ操作機構
JP4086416B2 (ja) 水田作業機
JP4178876B2 (ja) 乗用型作業機
JP4126899B2 (ja) 走行車両
JP4487459B2 (ja) 乗用型作業機
JP3960879B2 (ja) 水田作業機
JP3577825B2 (ja) 農作業機
JP4154926B2 (ja) 乗用型田植機
JP4174647B2 (ja) 乗用型作業機
JP3945217B2 (ja) 乗用型作業機
JP2003260961A (ja) 走行変速装置とクラッチ体の連動機構
JP4232479B2 (ja) 乗用型田植機
JP4297589B2 (ja) 乗用型田植機
JP4297572B2 (ja) 乗用型田植機
JPH0750897Y2 (ja) コンバイン
JP4310475B2 (ja) 農作業機
JP4115072B2 (ja) 乗用型水田作業機
JP4524849B2 (ja) 乗用型田植機
JP2001347848A (ja) 農作業車における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の切換レバー
JP2005034071A (ja) 乗用型作業機
JP2561395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走行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