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6373A - 깔때기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유출로가 구비된 밀폐요소와필름백 - Google Patents

깔때기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유출로가 구비된 밀폐요소와필름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6373A
KR20040056373A KR1020030094461A KR20030094461A KR20040056373A KR 20040056373 A KR20040056373 A KR 20040056373A KR 1020030094461 A KR1020030094461 A KR 1020030094461A KR 20030094461 A KR20030094461 A KR 20030094461A KR 20040056373 A KR20040056373 A KR 20040056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element
bag
packaging
welding member
spo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686B1 (ko
Inventor
빌트한스-페터
쉬바르쯔에르하르트
Original Assignee
도이취시시-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베트리브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이취시시-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베트리브스 카게 filed Critical 도이취시시-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베트리브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4005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1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a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3/00Flexible bags
    • Y10S383/906Dispensing feature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g Frame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을 위한 밀폐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름백용 밀폐요소에 관한 것이며, 밀폐가능한 주둥이부재, 상기 밀폐가능한 주둥이부재에 인접한 용착부재(2), 및 상기 용착부재와 주둥이부재를 거쳐 연장되어 있는 유출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밀폐요소를 포함하는 필름백에 관한 것이다. 배출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백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비우기 위하여, 상기 용착부재내의 유출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깔때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주둥이부재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깔때기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유출로가 구비된 밀폐요소와 필름백{Closing element with outlet channel extending in funnel-like manner and film bag}
본 발명은 액체 또는 페이스트(paste)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을 위한 밀폐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백(film bag)에 관한 것이다.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은 매우 광범위하게, 특히 음료수 용기로서 또는 화장품, 세정제 등에 사용된다.
음료수용기는 삽입부내로 꽂히는 빨대로 인하여 대부분의 시간동안 항시 열려져 있다. 이것은, 일단 음료수 용기가 한 번 개방되고 난 후에는 음료수 용기는다시 밀폐될 수 없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개방을 한 후에 상기 용기의 내용물이 완전히 흘러나가지 않았을 때, 나머지는 새어나가거나 또는 채워진 재료가 급격히 상할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그래서, 스크류 마개로 밀페되는 필름백이 이미 개발되었다. 이러한 백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밀폐요소(31,보트(boat)라고도 불리우는)는 접합봉합선들(weld seams)(35)을 구비한 상기 백(30)의 양 측면 사이의 상부에 있는 용착부재(weld member)(32)에 접합된다. 상기 밀폐요소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파선으로 도시된 유출로(3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유출로는 스크류형의 마개(36)에 의하여 상부가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유출로는, 구멍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백의 내부에 위치한 평평한 바닥부까지 이어져 있는 방식으로 실현된다. 보통의 배출위치, 예컨대 상기 백이 도면에서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위치에서의 배출특성은 최적이 아니며, 완전히 비우는 작업은 매우 어렵게 실현된다는 데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여분의 액체가 구석부위에 남게된다. 비록 상기 백이 뒤집어져서 상부가 밑부분으로 간다고 하더라도, 여분의 액체는 상기 측벽들의 내측단부 또는 상기 밀폐요소의 바닥부에 남아 있을 수 있으며 흘러나오지 않을 것이다. 헹굼액이 상기 백내에 남아있는 것은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몇몇의 적용예 예컨대 살균충전하는 동안에는 이롭지 못하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용기, 특히 필름백에 밀폐요소를 제공하는 것과, 개선된 배출특성과 상기 용기 내의 내용물을 향상되게 비우는 것을 제공하는 마개를 필름백이 구비하게 하는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요소의 첫 번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밀폐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밀폐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b의 Ⅲa-Ⅲa선을 따른 수직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 및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 및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3a 및 도 4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요소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밀폐요소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요소가 구비된 필름백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밀폐요소가 구비된 필름백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8a,8b,8c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요소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밀폐요소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밀폐요소가 구비된 필름백을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폐요소 2 ... 용착부재
3 ... 캡 4a,4b ... 유출로
5 ... 주둥이부재 6a ... 핀
6b ... 슬롯 6c ... 가이드웹
6e ... 확대부 8,9 ... 밀폐비드
15 ... 풀오프링 16 ... 플랜지
20 ... 필름백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용착부재내의 유출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깔때기와 유사한(funnel like) 형태로 주둥이부재(spout member)까지 뻗어 있으므로, 상기 경사진 위치에서의 액체는 상기 주둥이부재쪽으로 안내 되기 때문에, 이것은 개선된 배출특성을 가져온다. 상기 백의 남아있는 내용물이 제거될 때, 어떠한 액체도 상기 용착부재(도 10의 A부위)의 하부에 남아 있지 않으며 완전히 배출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깔때기와 같은 형태"는, 이 경우에, 상기 유출로가 상기 용착부재의 전부분에 걸쳐서 깔때기와 같은 또는 원뿔형의 방식으로 상기 배출구쪽으로 뻗어 있을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유출로가 단지 부분적으로만 깔때기와 같은 형태로 뻗어 있다고 하여도 목적한 이점을 달성한다. 청구항 1과 관련하여, '깔때기와 유사한(funnel-like)'은, 상기 밀폐요소의 길이방향축에 대하여 반드시 회전적으로 대칭일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상기 밀폐요소의 길이방향축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유출로의 경사진 부분의 경사각(γ)은 넓은 범위에서 변화가능하며 거의 90도일 수도 있으나, 20도와 85도 사이, 더욱 좋게는 30도에서 75도 사이가 바람직하다.
상기 용착부재내의 깔때기와 같은 유출로가 예컨대 상기 밀폐요소의 길이방향축에 대하여 회전적으로 대칭이 아닌 경우, 예컨대 상기 용착부재의 길이방향연장부는 폭방향 연장부에 비하여 크고, 상기 주둥이부재쪽으로의 상기 용착부재내의 유출로의 길이는 상기 길이방향으로부터 상기 폭방향으로 점차 감소한다(상기 용착부재에서 상기 유출로는 그 측부를 가압함에 의하여 약간 열려지는 접혀진 종이 모자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상기 유출로의 중간부의 폭은 배출 방향쪽으로 상기 용접부재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둥이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대면하고 있는 상기 용착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유출로는, 상기 밀폐요소의 길이방향축(L)쪽으로 우선 대략 평행하게(밀폐요소를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작하는 경우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약간의 경사가 있게)연장되며, 이어서 상기 주둥이부재쪽으로 좁아지게 된다.
상기 주둥이부재내의 유출로는 속이 빈 원통형 또는 배출방향을 따라 원뿔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둥이부재는 스크류마개 또는 베이오넷락(bayonet lock)을 거쳐 뚜껑에 의하여 밀폐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폐요소는 특히 마우스피스(mouthpiece)로서 음료수용기에 사용된다. 상기 주둥이부재는, 상기 용착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대면하고 있는 그 단부에서 평탄면(smooth surface)을 갖는다. 상기 주둥이부재가 베이오넷락을 거쳐 뚜껑으로 밀폐될 때, 상기 평탄면은 상기 베이오넷락 위에 쉽게 실현된다.
상기 용착부재에는 측면들상에 연장되어 있는 밀폐비드(seal beads)들이 제공될 때 이롭다. 두 개의 밀폐비드는, 예컨대, 상기 용착부재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용착부재가 접합되고 있는 동안, 밀폐가능한 재료인 상기 비드(bead)들은 녹은 재료들이 상기 용착부재의 가장자리를 넘어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필름백은 본 발명의 상기 밀폐요소를 구비하며, 이 경우에 상기 용착부재내의 유출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깔때기와 같은 형태로 상기 주둥이부재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밀폐요소는, 상기 중간부 또는 구석부내의 측벽들 사이의 상부에 접합되거나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밀폐요소가 접합된 상태에서, 소위 백의 견부(肩部)(도 10의 B지역)는 좌측 및 우측에 생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밀폐요소에 인접하여 있는 백의 견부(肩部)는, 상기 백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밀폐요소쪽으로 경사져서, 대응되는 접합봉합선(weld seams)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어, 배출과정에서 상기 백의 견부(肩部)내에 여분의 액체가 남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봉합선은 상기 백의 내부와 대면하고 있는 상기 용착부재의 측면의 하부가장자리와 만난다. 따라서, 상기 접합봉합선이 상기 배출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유출로라는 일종의 연장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배출하는 동안 여분의 액체가 축적될 수 있는 죽은 공간(dead volume)이 상당부분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요소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밀폐요소는 매우 다양한 용기들을 밀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유연한 필름백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하의 설명이 왜 이러한 형태의 적용에 관한 것인지에 대한 이유다.
상기 밀폐요소(1)는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며, 밀폐가능한 주둥이부재(5)와 상기 밀폐가능한 주둥이부재에 접합된 용착부재(2)를 구비한다. 도 3a, 3b, 3c, 3d 및 도 4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유출로(4a,4b)는 상기 용착부재(2)와 상기 주둥이부재(5)를 거쳐 연장되어 있다. 상기 용착부재(2)내의 유출로(4b)는 예컨대 속이 빈 원통의 형상이며, 5mm 내지 20mm의 직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밀폐가능한 주둥이부재(5)의 외경은 6mm 내지 25mm 사이이다. 상기 용착부재(2)에서, 상기 유출로(4a)는 상기 주둥이부재(5)쪽으로 깔때기와 같은 형태로 연장된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주둥이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대면하고 있는 상기 용착부재(2)의 단부에서의 상기 유출로(4a)는 우선 대략 평행하게 상기 밀폐요소의 길이방향축(L)을 따라 P점까지 위로 연장되며, 그 다음 직경이 상기 주둥이부재(5)내의 유출로(4b)의 직경(b)이 될 때까지 P점으로부터 상기 주둥이부재(5)쪽으로 점차 좁아진다. 상기 용착부재(2)내의 유출로(4a)는 상기 밀폐요소의 수직축(L)에 대하여 대략 75도의 각도(γ)로 연장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각도는 넓은 범위에서 다앙하게 변할 수 있다. 상기 용착부재(2)의 높이(m)는 5mm 내지 20mm 사이이다. 상기 전체 밀폐요소(1)의높이(h)는 15mm 내지 70mm 사이이다. 용착부재(2)는 10mm 내지 70mm의 길이를 가지며, 도 1 및 도3로부터 명백하듯이, 그 단부(2a)가 평평하게 마무리된다. 이것은 상기 용착부재(2)내의 유출로(4a)의 길이방향으로의 연장(k)이 상기 폭방향으로의 연장(q)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주둥이부재(5)내의 유출로(4b)의 직경(b)과 상기 주둥이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대면하고 있는 단부(10)에서의 유출로(4b)의 길이(k)의 비율은 0.1에서 0.7 사이이다. 상기 유출로(4a)의 중간부의 폭(q)은 대체적으로 상기 주둥이부재(5)내의 유출로(4b)의 횡부(b)와 동일하다.
도 3b 및 도 3d에서와 같이, 상기 주둥이부재(5)방향으로의 상기 유출로(4b)의 길이(k)는, P점으로부터 상기 주둥이부재(5)내의 유출로(4a)의 직경(b)과 동일하게 될 때까지 점차적으로 줄어든다. 도 3b 및 도 3d의 B-B선과 C-C선의 단면에서와 같이, 절단선C-C에서의 치수(k')는 B-B선의 치수(k)에 비하여 작은 반면, 주둥이부재(5)방향으로의 상기 유출로(4b)의 폭(q)은 대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깔때기형과 유사한" 연장이라는 표현은, 이 경우에 상기 길이방향축(L)에 대하여 회전적으로 대칭인 깔때기(funnel)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질적인 것은 상기 용착부재(2)내에서의 상기 유출로는 출구방향으로 점차 좁아진다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밀폐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며, 시작부에서 상기 용착부재(2)내의 유출로(4a)는 상기 밀폐요소의 길이방향축(L)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지는 않지만 상기 용착부재(2)의 길이(k)는 상기 용착부재(2)의 하부로부터 이것이 상기 주둥이부재(5)내의 유출로(4b)의 직경(b)과 동일하게 될 때까지 점차 감소한다는 특징만을 제외하면, 이것은 도 3a에 도시된 상기 밀폐요소와 동일하다(도 3b 내지 도 3d를 참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로(4a)는 상기 용착부재(2)내에서 깔때기와 같은 형태로 상기 주둥이부재(5)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며, 액체는 상기 용착부재의 측단부에 어떠한 남김도 없이 상기 필름백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상기 밀폐요소는 보트(boat)처럼 형성되며, 예컨대 그 길이방향으로의 연장이 폭방향으로의 연장보다 크다. 물론, 밀폐요소는 원형단면 또는 상기 밀폐요소의 중앙 길이방향축에 대하여 회전적으로 대칭되게 연장되는 유출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3 및 도 4와 관련되어,
상기 유출로(4a)가, 포인트 11에서의 상기 주둥이부재(5)내의 상기 유출로의 치수가 될 때까지, 상기 용착부재(2)내에서 깔때기와 같은 형태로 연장되는 경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포인트 11은 용착부재(2)와 주둥이부재(5) 사이의 변이를 표시하고 있다. 물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로(4a)는 상기 용착부재(2)내의 유출로(4b)의 직경(b)과 먼저 동일해질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유출로(4a)가 단지 부분적으로만 원뿔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반면 다른 부분들은 예컨대 상기 중앙의 길이방향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예들이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로(4a)의 깔때기와 같은 연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도 8a) 또는 완전히(도 8b) 상기 주둥이부재내의 유출로부분(4b)까지 계속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2개의 부착된 밀폐비드들(8, 9(도 2b))은 상기 용착부재(2)의 상단 및 하단(18,19)에 대하여 이격되게 배열되어 상기 용착부재(2)의 측면상에서 연장된다. 상기 비드(8,9)들은 밀폐가능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그로부터 상기 용착부재(2) 그 자체가 형성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각 상단 및 하단(18,19)으로부터 상기 비드(8) 및 비드(9)까지의 거리(n,o)는 0.5mm 내지 5mm사이이다. 비드(8,9)들은 상기 측벽의 길이를 넘어 연장되며, 상기 용착부재(2)가 상기 2개의 필름백의 측부들 사이에서 접합되어 있을 때마다, 녹은 재료는 상기 백의 단부를 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상기 원료들에 기초한 많은 변형들 또는 다른 열가소성 재료들은, 예컨대 용착부재 및 비드들을 위한 재료로서 사용된다.
도 1b, 도 3a, 도 4 및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둥이부재(5)는 가이드 슬롯(guide slot)(6b)과 핀(6a)에 의하여 형성된 베이오넷 락(bayonet lock)에 의하여 밀폐되며, 캡(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슬롯(6b)은 플랜지(flange)(16)위의 상기 주둥이부재(5)의 평탄한 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캡(도 1b, 도 3a 및 도 4)의 내부에 제공되는 상기 핀(6a)과 협동작업 하고, 상기 핀(6a)은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상기 캡(3)이 회전함에 따라 정지부(6d)까지 진행된다. 상기 가이드슬롯은 상기 가이드웹(guide web)(6c)에 의하여 형성된다(도 4, 상기 핀이 슬라이딩하여 정지부(6b)에 이를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캡을 아랫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상기 상부 웹(web)은 윗 방향으로 미세하게 휘어져서 상기 장소에 형성되어 있는 작은 확대부(6e) 내부로 꺽어져 있다.)
상기 2개의 베이오넷 락을 상기 주둥이부재(5)상의 맞은편들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두 개의 대향된 핀(6a)들은 캡(3)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웹들을 상기 캡의 내부에 제공하고 상기 핀들을 상기 주둥이부재 상에 제공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상기 캡(3)은, 상단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주둥이부재(5)를 밀폐한다.
더욱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캡(3)은, 알려진 방식으로, 복수의 개별적이거나 또는 연접하고 있으며 원주상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함부로 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tamper-proofness)을 제공하는 잠금캠(locking cam)들을 구비하는 풀오프링(pull-off ring)(15)을 포함한다. 상기 밀폐요소(1)가 처음으로 열려질 때, 상기 풀오프링은 상기 캡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뜯어지게 된다.
캡(3)은 상부를 구비하며, 이 상부의 내경은 상기 주둥이부재(5)의 상부를 수용하고 밀폐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상기 캡의 하부는, 상기 베이오넷락의 가이드웹들(6c)의 돌출단부를 수용해야 하므로, 큰 내경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평탄부(7)는 상기 베이오넷락(6b)의 위에 4mm 내지 25mm의 치수(c)로 형성되며, 상기 평탄부(7)는 마우스피스로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백의 실시예이다. 상기 밀폐요소(1)는 상기 측벽들 사이에서 상기 필름백(20)내에 접합되어 상기 용착부재(2)의 보다 긴 측부는 상기 백(20)의 상단(25)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접합된 밀폐요소(1)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8에 관련되어 설명된 상기 밀폐요소(1)와 대응된다. 백의 견부(肩部)(23)는 상기 밀폐요소(1)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다.액체가 상기 백(20)으로부터 부어질 때, 상기 백의 견부(23)에 여분의 액체가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백의 견부(23)는 접합봉합선(24)에 의하여 상기 용착부재(2)의 옆에 경사지게 접합된다. 상기 봉합선(23) 각각은 상기 길이방향 말단(26)으로부터 출구방향으로 경사져서 위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백의 내부와 대면하고 있는 상기 용착부재의 팁(tip)(2a)의 하부 외측단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합선(24)과 깔때기와 같은 유출로(4a)의 결합 작용으로 인하여, 상기 채워진 재료는, 좋은 유동조건하에서 가능한 죽은 공간들에 여분이 남지 않은 체, 방해받지 않고 출구방향쪽으로 흘러 외부로 나갈 수 있다. 상기 접합봉합선(24)은 이렇게 해서 상기 유출로(4a)로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도 7에는 다른 실시예가 나타나 있으며, 이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략 일치하지만, 상기 밀폐요소(1)는 상기 백(20)의 측벽들 사이의 구석부에 접합된다. 상기 접합봉합선(24)은 상기 백의 길이방향 말단(26) 및 상기 상단(25)으로부터 상기 백의 내부와 대면하고 있는 용착부재(2)의 하부외측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백이 상기 밀폐요소(1)와 함께 배출의 목적으로 아랫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때, 상기 채워진 재료는 상기 접합봉합선(24)을 거쳐 상기 용착부재의 저면과 깔때기와 같은 형태로 상기 주둥이부재(5)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인접한 유출로(4a) 및 상기 인접한 주둥이부재내(5)의 유출로(4b)로 쉽게 흘러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을 완전히 비우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상황과 달리, 상기 접합봉합선(24)은 그러나 상기 용착부재의 하단과 동일선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요소는 스크류캡(screw cap)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캡(27)은 그 내면에 한줄나사산 또는 다중줄나사산의 암나사(28)가 제공된다. 대응되는 나사산은 상기 주둥이부재(5)의 외측면에 실현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캡이 나사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캡(cap)상의 웹(29)들 및 깃부(collar)에 잡혀져 있는 링(26)에 의하여 역시 함부로 만짐을 방지하는 것(tamper proofness)이 제공되며, 이 링은 반대방향으로 개방운동하는 동안 상기 깃부에 걸려서 유지된다.
열려지는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되면, 상기 마개가 열렸음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웹은 뜯어지게 되고, 상기 링은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
알려진 밀폐요소와 비교해 보면, 이것은 재료를 절약할 수 있으며, 이것은 수없이 많이 이용되는 품목이라는 사실의 관점에서 보면, 재료의 절약은 생산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Claims (15)

  1. 밀폐가능한 주둥이부재(5);
    상기 밀폐가능한 주둥이부재에 인접하여 있는 용착부재(2);
    상기 용착부재(2)와 상기 주둥이부재(5)를 거쳐 연장되어 있는 유출로(4a,4b);를 구비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에 있어서,
    상기용착부재(2)내의 상기 유출로(4a)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깔때기와 같은 형태로 상기 주둥이부재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재(2)내의 상기 유출로(4a)는 상기 밀폐요소의 길이방향축(L)에 대하여 20도 내지 85도의 각도(γ)로 깔때기와 같은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재(2)의 길이방향연장부(k)는 상기 폭(q)방향연장부 보다 크며, 여기서 상기 용착부재(2)내의 유출로(4a)의 길이(k)는 상기 주둥이부재(5)방향으로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재(2)내의 상기 유출로(4a)의 중간부에서의 폭(q)은 배출방향쪽으로 대체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대면하고 있는 상기 용착부재의 단부에서의 상기 유출로는 먼저 상기 밀폐요소의 길이방향 축(L)에 대체적으로 평행하며, 그 다음 상기 주둥이부재(5)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부재(5)내의 유출로(4)는 속이 빈 원통형 또는 원뿔형으로 출구방향쪽으로 점차 좁아드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부재(5)는 베이오넷 락(6a,6b)을 거쳐 캡(3)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단부에서 상기 용착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대면하고 있는 주둥이부재(5)는 마우스피스로서 평탄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
  9. 제7항 및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7)은 상기 베이오넷락(6a,6b)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재(2)는 부착된 비드(8,9)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비드(8,9)들은 상기 용착부재(2)의 상단 및 하단(18,19)으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재료를 수용하는 포장, 특히 필름백을 위한 밀폐요소(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폐요소(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백(2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요소(1)는 상기 중간부 또는 구석부의 상단에서 상기 필름백의 측벽사이에 접합되거나 또는 접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백(20).
  14.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요소(1)에 접하여 있는 백의 견부(23)는, 상기 백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밀폐요소쪽으로 경사져서, 대응되는 접합봉합선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백(20).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봉합선(24)은 상기 용착부재(2)의 측면의 팁(2a)의 외측하단에서 만나며, 상기 하단은 상기 백의 내부와 마주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백(20).
KR1020030094461A 2002-12-23 2003-12-22 깔때기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유출로가 구비된 밀폐요소와필름백 KR100572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28874A EP1433716B1 (de) 2002-12-23 2002-12-23 Verschlusselement mit trichterförmig zulaufendem Auslaufkanal
EP02028874.2 2002-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373A true KR20040056373A (ko) 2004-06-30
KR100572686B1 KR100572686B1 (ko) 2006-04-19

Family

ID=3240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461A KR100572686B1 (ko) 2002-12-23 2003-12-22 깔때기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유출로가 구비된 밀폐요소와필름백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762430B2 (ko)
EP (1) EP1433716B1 (ko)
JP (1) JP2004203489A (ko)
KR (1) KR100572686B1 (ko)
CN (1) CN1283526C (ko)
AT (1) ATE304492T1 (ko)
BR (1) BRPI0305973B8 (ko)
CA (1) CA2451000C (ko)
CY (1) CY1105659T1 (ko)
DE (1) DE50204290D1 (ko)
DK (1) DK1433716T3 (ko)
ES (1) ES2248480T3 (ko)
HK (1) HK1067354A1 (ko)
PL (1) PL206884B1 (ko)
RU (1) RU2263615C2 (ko)
SI (1) SI1433716T1 (ko)
TW (1) TWI2245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40612A1 (it) * 2004-09-13 2004-12-13 Vitop Moulding Srl Rubinetto erogatore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JP4682569B2 (ja) * 2004-09-21 2011-05-11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パウト
CN100575204C (zh) * 2004-11-04 2009-12-30 格奥尔格·门申有限公司和两合公司 焊接的塑料倒出部件
DE202007011545U1 (de) * 2007-08-17 2007-10-18 Deutsche Sisi-Werke Gmbh & Co. Betriebs Kg Adapter
FR2933675B1 (fr) * 2008-07-08 2010-08-13 Seaquist General Plastics Element de fermeture d'un recipient en particulier fait dans un materiau de type feuille
ES2310499B1 (es) * 2008-07-18 2010-01-05 Volpak, S.A.U. "boca de descarga para bolsas flexibles".
EP2186743B1 (de) * 2008-11-14 2011-08-03 Nordenia Deutschland Halle GmbH Folienverpackungsbeutel
US20130202228A1 (en) * 2009-01-08 2013-08-08 Pouch Pac Innovations, Llc Fitment for a pouch
WO2010102648A1 (en) * 2009-03-13 2010-09-16 Jan Folkmar Two part nozzle and piping bags therefrom
IT1395743B1 (it) * 2009-09-16 2012-10-19 Goglio Spa Confezione ad apertura facilitata per prodotti solidi, granulari o liquidi.
US8328047B2 (en) * 2009-11-03 2012-12-11 Aptargroup, Inc. Robust pouch and valve assembly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fluent substance
EP2386285A1 (en) * 2010-05-10 2011-11-16 B. Braun Melsungen AG Port device
JP5839330B2 (ja) * 2011-01-07 2016-01-06 ヘンドリック ルー,ガブリエル 老人用カップフィーダおよび使用方法
DE202011001356U1 (de) 2011-01-11 2012-04-12 Pöppelmann Holding GmbH & Co. KG Ausgießer und Behältnis mit einem solchen
RU2511550C1 (ru) * 2012-10-16 2014-04-10 Юрий Григорьевич Короткий Закр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упаковки жидкого или пастообраз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6198460B2 (ja) * 2013-05-24 2017-09-20 三笠産業株式会社 スパウト及びスパウトが装着された容器
US9481495B2 (en) * 2014-04-24 2016-11-01 Scholle Ipn Corporation Dispensing system
JP6713927B2 (ja) * 2014-11-18 2020-06-24 株式会社明治 液状乳化物の封入容器及び液状乳化物製品
KR20160064947A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드림 자립형 포장 용기의 접힘부 접합 장치
CN107533037A (zh) * 2015-02-16 2018-01-02 株式会社岛津制作所 试样气化单元及气相色谱仪
TW201713575A (zh) 2015-09-30 2017-04-16 陶氏全球科技有限責任公司 具有乙烯/α-烯烴多嵌段共聚物的配件
US11576397B2 (en) 2016-02-05 2023-02-14 Conopco, Inc. Frozen confection
DE102016007554A1 (de) * 2016-06-06 2017-12-07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sowie zur Produktabgabe
JP6983506B2 (ja) * 2016-12-20 2021-12-17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スパウト、及びそれを備える医療用バッグ
EP3936457A1 (en) 2016-12-22 2022-01-12 Unilever IP Holdings B.V. A fitment for combining with a closure
WO2018136068A1 (en) * 2017-01-19 2018-07-26 Silgan White Cap LLC Mounting portion for a spout
US10442582B1 (en) 2018-08-14 2019-10-15 Phoenix Closures, Inc. Spout fitment apparatus for a flexible container
CN109760935B (zh) * 2019-03-12 2023-09-01 汕头市柏达塑胶有限公司 一种灌装袋吸嘴
US11377267B2 (en) 2019-05-15 2022-07-05 Phoenix Closures, Inc. Choke-resistant closure
WO2021142228A1 (en) 2020-01-09 2021-07-15 Troy Mcconnell Selective flow cohesive streaming caps
US20230040059A1 (en) * 2021-08-09 2023-02-09 Ilc Dover Lp Controlling a fluid flow
WO2023078647A1 (de) * 2021-11-05 2023-05-11 Georg Menshen Gmbh & Co. Kg AUSGIEßVORRICHTUNG
USD1004428S1 (en) * 2021-11-29 2023-11-14 Kolmar Korea Co., Ltd. Spout for packag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21349A1 (de) * 1969-04-26 1970-11-12 Spiess C F & Sohn Verfahren zum Anbringen eines Verschluss- oder Entleerungsstueckes an Tuben,Behaeltern,Beuteln usw.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nd Verschlussstueck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IL34311A0 (en) * 1969-04-26 1970-06-17 Thimonnier & Cie A mouthpiece for a bag of plastics material
US3822811A (en) * 1972-04-10 1974-07-09 Eyelet Specialty Co Safety closure
JPS5984790A (ja) 1982-09-13 1984-05-16 ハ−マン・ロ−ブ・ザ・サ−ド 液体充填ノズル装置
US4510287A (en) * 1983-11-21 1985-04-09 Monsanto Company ABS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4732299A (en) * 1986-02-10 1988-03-22 Hoyt Earl E Collapsible container
CH677093A5 (en) * 1988-09-14 1991-04-15 Mifa Ag Frenkendorf Collapsible container for pourable materials - has moulded spout with two fastening wings set at corner area
CH680358A5 (en) * 1990-04-11 1992-08-14 Mifa Ag Frenkendorf Pourer for thermoplastic material packaging with pouring throat - has two arms extending at angle from throat and formed by through central web from which seal ribs extend on both sides
FR2715636B1 (fr) 1994-02-01 1996-04-12 Comexo Sa Sachet à maintien vertical avec bouchon et douille.
AU4151196A (en) * 1994-11-10 1996-07-31 Jerry E Buchanan Fitment for flexible containers
JP3409964B2 (ja) * 1995-04-21 2003-05-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組合体
JPH10167294A (ja) * 1996-12-02 1998-06-23 Dotsuji Shokai:Kk 積層袋体飲み口
JPH10203542A (ja) * 1997-01-20 1998-08-04 Kao Corp 詰め替え用袋
US5823393A (en) * 1997-08-29 1998-10-20 The Scandinavian Candy Co., Inc. Disposable package and dispenser
JPH11255250A (ja) * 1998-03-10 1999-09-21 Fuji Seal Inc 注出管付き包装袋
US6050451A (en) * 1998-11-19 2000-04-18 Aptargroup, Inc. Dispensing structure incorporating a valve-containing fitment for mounting to a container and a package with a dispensing structure
JP4275240B2 (ja) * 1999-04-12 2009-06-10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注出具付き容器
JP2000335604A (ja) 1999-05-28 2000-12-05 Mitsubishi Heavy Ind Ltd 容器用注出口構造
DE29920623U1 (de) * 1999-11-24 2000-02-17 Georg Menshen Gmbh & Co Kg Ausgiess-Formteil für ein Behälterteil aus folienartigem Kunststoffmaterial
JP2002029552A (ja) 2000-07-17 2002-01-29 Kau Pack Kk 注出口
US6273307B1 (en) * 2000-08-17 2001-08-14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Fitment for a pouch opening
BR0114025A (pt) * 2000-09-21 2003-07-29 Dentsply Int Inc Ponteira para ministração, mistura e aplicação de um material
JP2002104443A (ja) 2000-10-02 2002-04-10 Fujimori Kogyo Co Ltd 注出口部材および包装袋
US6439429B1 (en) * 2001-07-05 2002-08-27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Tamper-evident closure and spout fitment for a pouch
US6860406B2 (en) * 2001-08-13 2005-03-01 Illinois Tool Works Inc. Flexible pouch fitment structure
KR20040032870A (ko) * 2001-09-28 2004-04-17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파우치용 스파우트 및 스파우트를 고착한 플라스틱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55045A1 (en) 2004-08-12
PL364156A1 (en) 2004-06-28
BR0305973A (pt) 2005-05-17
CA2451000A1 (en) 2004-06-23
KR100572686B1 (ko) 2006-04-19
RU2263615C2 (ru) 2005-11-10
BRPI0305973B8 (pt) 2016-05-10
DK1433716T3 (da) 2005-11-21
CN1283526C (zh) 2006-11-08
CA2451000C (en) 2006-11-21
EP1433716A1 (de) 2004-06-30
CY1105659T1 (el) 2010-12-22
ATE304492T1 (de) 2005-09-15
TW200410879A (en) 2004-07-01
CN1509953A (zh) 2004-07-07
BR0305973B1 (pt) 2013-12-31
PL206884B1 (pl) 2010-10-29
HK1067354A1 (en) 2005-04-08
JP2004203489A (ja) 2004-07-22
SI1433716T1 (sl) 2005-12-31
EP1433716B1 (de) 2005-09-14
RU2003136782A (ru) 2005-06-10
DE50204290D1 (de) 2005-10-20
ES2248480T3 (es) 2006-03-16
US7762430B2 (en) 2010-07-27
TWI224573B (en)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686B1 (ko) 깔때기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유출로가 구비된 밀폐요소와필름백
RU2271323C2 (ru) Вы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ерстия мешка
CN110035957B (zh) 重装容器的倒出用袋嘴及其与包装容器的倒出单元连结的连结构造
US7549559B2 (en) Directional pour spout container cap
US9309041B2 (en) Container fitment having ellipsoidal opening
JPH05132069A (ja) 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62091A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US11203468B2 (en) Pouring spout of container
US10961025B2 (en) Pouring spout of container
MXPA00010049A (es) Envase de pico vertedor con cuello de apriete.
KR20020093634A (ko) 액체 또는 페이스트-유사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포장용밀폐 요소
JP2009508770A (ja) 容器、閉鎖手段、及びその使用
JP2002087443A (ja) 包装袋
JP3530976B2 (ja) チューブ状容器
JP6632801B2 (ja) 小出し可能な複合液出しキャップ
JP7455728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4275726A (ja) 開閉機構付きスパウト
JP4881060B2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KR200245436Y1 (ko) 긴 배출관을 구비한 포장용 용기
JPH10120007A (ja) 注出用ノ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袋体
JP4929841B2 (ja) 注出口部を有する詰め替え用の包装袋
CN114679907A (zh) 挤出吹塑成型的容器
JPH07291272A (ja) 流動体容器の注出具
JP2004175365A (ja) 合成樹脂製注出口
JPH1081346A (ja) 袋 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