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690A - 인버터제어식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인버터제어식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690A
KR20040055690A KR1020030093803A KR20030093803A KR20040055690A KR 20040055690 A KR20040055690 A KR 20040055690A KR 1020030093803 A KR1020030093803 A KR 1020030093803A KR 20030093803 A KR20030093803 A KR 20030093803A KR 20040055690 A KR20040055690 A KR 20040055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voltage
output
generato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3238B1 (ko
Inventor
나카무라마사시
시미즈모토히로
무로노이가즈후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5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 H02M3/338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219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the switches being synchronously commutated at the same frequency of the AC in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8Control of generator circuit during starting or stopping of driving means, e.g. for initiating exci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85Partially controlled bri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사양이 다른 복수의 제어전원을 구성하는 것이다.
컨버터(2)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발전출력을 인버터회로(3)에서 소정 주파수의 교류로 변환한다. 발전출력은 제 2 정류회로(27, 28, 29)와 콘덴서(30)로 정류되어 RCC(31)에 입력된다. RCC(31)는 자려 발진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그 발진주파수에 따른 트랜지스터(Q1)의 온시간에 에너지가 트랜스에 축적되고, 오프시간에 2차측으로 방출된다. RCC(31)의 2차측에는 필요한 전원의 수에 따라 권선이 형성된다. 권선(NS1, NS2)은 제어전원(17)의 음양 양 전원을 형성하고, 권선 (NS3∼NS5)은 FET 드라이버(13)용 전원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인버터제어식 발전장치{INVERTER CONTROLLED GENER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인버터제어식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전원을 스스로 발전기의 출력으로부터 얻도록 하고 있는 인버터제어식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옥외에서 사용하는 가반형 전원이나 비상용 전원으로서, 엔진으로 구동되는 교류발전기를 사용한 전원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전원장치에서는 엔진으로 구동되는 발전기로부터 출력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 후, 인버터에 의해 상용주파수 등, 소정 주파수의 교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종류의 전원장치에서는 인버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엔진으로 구동되는 발전기의 출력으로부터 공급된다. 따라서 엔진의 시동 초기에는 엔진회전수가 작아 발전기의 출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인버터용 구동전원의 전원전압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또 이와 같은 종류의 전원장치에서는 발전 출력전압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등의 제어 자체 등은, 아날로그제어하는 경우가 많은 한편으로, 인버터의 구동신호계나 엔진의 제어 등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하여 디지털제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디지털제어용 및 아날로그제어용 전원 및 전압 사양마다의 전원이 필요하게 되는 등, 전원계통이 복잡화하는 경향에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6-12159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발전기는 부 권선 또는 주 권선의 트랜스 2차 출력으로부터 전원을 얻고 있다. 이 발전기에서는 가능한 한 저회전영역으로부터 전원을 확보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회전상승에 따라 전압이 상승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손실을 억제하기 위하여 배전압 정류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배전압 정류방식을 사용한 발전기에서는 권선으로부터의 트랜스출력을, 배전압 정류하여 양측 및 음측의 양 극성을 사용한 전원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회로 구성상, 마이크로컴퓨터용 전원을 음전원으로 하는 경우, 출력전압의 고정밀도화가 어려워 불균일이 확대되는 원인이 된다.
또, 엔진회전수제어용 전자 거버너를 탑재하는 경우, 낮은 엔진회전수영역에서 인버터제어용 전원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전자 거버너를 작동 개시시킬 수 없다. 엔진의 저회전영역으로부터 전자 거버너를 작동 개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발전기측에 설치하는 전원용 권선 또는 트랜스 2차 권선의 감김수를 많게 하여 전압을 높이면 좋다. 그러나 고회전영역에서 손실이 커져 전원용 IC의 내압을 높일 필요도 있다.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는 발전장치에 있어서도 상황은 마찬가지이다. 엔진구동 발전장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었다 하여도 상기한 바와 같이 가반형 또는 비상용인 것이 많은 관계상, 배터리가 다 되었을 때에 리코일 스타터 등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엔진를 시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발전장치와 동일한 상황을 상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양이 다른 독립된 복수의 제어전원을 얻을 수 있는 인버터제어식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엔진 발전기의 주요부인 전원회로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엔진 발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인버터회로의 회로도,
도 4는 인버터회로용 드라이버의 회로도,
도 5는 엔진회전수와 RCC의 출력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엔진으로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를 정류하는 제 1 정류회로와, 상기 제 1 정류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직류를 소정 주파수의 교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회로를 가지는 인버터제어식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를 정류하는 제 2 정류회로와, 상기 제 2 정류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1차측을 가지는 자려 발진형 컨버터를 구비하고, 상기 자려 발진형 컨버터의 2차측이 제어전원으로서 상기 인버터회로에 접속된 점에 제 1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전원이 상기 자려 발진형 컨버터의 독립된 복수의 2차권선 출력을 결합하여 음양 양 전원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제 2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전원이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목표회전수로 제어하는 전자 거버너용 전원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점에 제 3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의 특징에 의하면, 제 1 정류회로와는 다른 계통인 제 2 정류회로로부터의 출력으로 전원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정류회로가 고장나는 일이 있어도 제어용 전원을 취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없다. 또 자려 발진형 컨버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서로 절연된 전압이 다른 독립된 전원을 얻을 수 있어 발진주파수 및 듀티의 제어에 의해 1차측 입력전압이 증대하여도 2차측 출력전압이 증대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 이상으로 출력전압이 증대하지 않는 안정된 출력을 2차측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어 전원 상승을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의 특징에 의하면, 독립된 2차 권선 출력을 겹치게 하여 CPU 등의 디지털용 음양 양 전원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음전원용에 비하여 고정밀도인 양 전원용 IC만으로 제어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의 정밀도에 기인하는 검출 전압의 측정오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3의 특징에 의하면, 인버터의 출력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아니라, 엔진 회전 직후의 비교적 저회전시로부터 확보되는 전원에 의하여 전자 거버너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자 거버너를 낮은 회전수영역에서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시동후의 저회전영역으로부터 전자 거버너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회전수제어를 보다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엔진발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발전기(100)는 엔진(E)으로 구동되는 회전자 및 고정자(모두 도시 생략)를 가진다. 고정자에는 3상 출력 권선(1)과, 단상의 보조 권선(1a)이 감겨 설치된다. 엔진(E)의 스로틀밸브(TH)의 개방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테핑모터(M)가 설치된다.
발전기(100)의 도시 생략한 회전자는 다극의 영구자석을 가지고 있어 회전자가 엔진(E)으로 구동되면 3상 출력 권선(1)은 엔진회전수에 따른 주파수의 교류를 출력한다. 3상 출력 권선(1)의 출력교류는 직류 전원회로 즉 컨버터(2)에 입력되어 직류로 변환된다. 컨버터(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는 스위칭장치, 즉 인버터(3)에 입력되어 인버터(3)를 구성하는 FET의 브리지회로에서 소정 주파수, 예를 들면 상용 주파수의 교류로 변환된다. 인버터(3)로부터 출력되는 교류는 저대역통과필터(4)에 입력되고, 이 교류 중 저주파분(여기서는, 상용 주파수)이 저대역 통과필터(4)를 통과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서 출력된다.
한편, 엔진(E)과 컨버터(2), 인버터(3) 및 저대역 통과필터(4)로 이루어지는 파워부(101)를 제어하는 제어부(102)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어부(102)는 그 전체처리를 실행하는 32비트, 32MHz의 중앙연산처리장치(CPU)(5)를 가진다. CPU (5)는 수정발진기(16)의 출력펄스를 클록펄스로서 동작한다. 제어부(102)의 제어전원(17)은 3상 출력 권선(1)이 발생하는 교류에 의거하여 형성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CPU(5)에서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는 다음의 각 검출부에서 검출된다. 엔진의 회전수는 보조 권선(1a)의 교류 출력전압의 주파수에 의거하여 회전수검출부 (6)에서 검출된다. 파워부(101)의 상태검출수단으로서는 컨버터(2)의 직류 출력전압, 즉 인버터(3)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치검출부(7), 인버터(3)의 출력전류를 검출하는 전류치검출부(8), 인버터(3)의 출력전압 파형을 검출하는 전압파형검출부(9), 인버터(3)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10) 및 인버터(3)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피크전류제한부(11)가 설치된다.
컨버터(2)는 사이리스터(SCR)를 브리지에 조립한 정류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이 사이리스터의 게이트신호를 제어하는 SCR 드라이버(12), 인버터(3)의 브리지회로의 각 아암을 구성하는 FET를 제어하는 스위칭제어회로로서의 FET 드라이버(13), 스테핑모터(M)를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14) 및 각종 표시 등에 사용되는 LED를 가세하는 LED 드라이버(15)가 설치된다. CPU(5)는 각 검출부(6, 7, 8, 9, 10)등에서 검출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드라이버(12, 13, 14, 15)에 지령신호를 출력한다.
SCR 드라이버(12)에는 전압치검출부(7)에서 검출된 직류전압을 예정값으로 제어하도록 결정된 사이리스터의 도통각 제어지령이 CPU(5)로부터 공급되고, SCR 드라이버(12)는 이 지령에 응답하여 컨버터(2)에 설치되는 사이리스터의 도통각을 제어한다. 부하가 증대되면 직류전압은 저하하기 때문에 사이리스터의 도통각을 크게 함으로써 부하 증대시에도 직류전압을 예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사이리스터의 도통각은 부하에 대한 발전기(100)의 여력 출력을 대표하고 있어 이 도통각을 적정값으로 유지하도록 엔진회전수를 제어하면 출력이 적당한 여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간주된다. 따라서 발전기(100)가 적당한 여력을 가지고 운전할 수 있게, 바꾸어 말하면 도통각을 적정값으로 유지하도록 엔진(E)의 목표 회전수가 결정된다. 이 전자 거버너동작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관한 일본국 특개평 11-308896호 등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CPU(5)는 회전수검출부(6)에서 검출된 엔진회전수를 상기 목표회전수로 제어하도록 모터 드라이버(14)에 지령을 출력한다. 모터 드라이버(14)는 CPU(5)로부터 공급되는 지령에 응답하여 스로틀 개방도를 설정시키기 위하여 스테핑모터(M)를 구동한다. 이에 의하여 부하가 증대하였을 때에는 엔진(E)의 회전수를 증대하여 컨버터(2)에 설치된 사이리스터의 도통각을 적정값으로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CPU(5)는 소정 주파수(예를 들면 상용 주파수)의 정현파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정현파 출력수단과, 정현파 기준신호를 펄스폭 변조하여 PWM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수단을 가진다. 또 CPU(5)는 전압파형검출부(9)에서 검출된 파형신호 에 의거하여 상기 저대역통과필터(4)의 출력파형을 왜곡이나 옵셋성분이 적은 정현파에 근접하도록 결정된 상기 정현파 기준신호의 보정신호 산출수단을 가진다.
FET 드라이버(13)는 PWM 신호에 의거하여 인버터(3)의 FET를 스위칭동작시키는 스위칭제어회로를 가지고, CPU(5)로부터 공급되는 PWM 신호에 따라 상기 FET를 스위칭구동하여 인버터(3)의 직류 입력을 소정 주파수의 정현파교류로서 출력한다.
CPU(5)는 전류치검출부(8)에 의한 검출치에 의거하여 예정치 이상의 전류가 예정시간 계속되었을 때에 출력을 정지하는 브레이커기능을 가진다. 온도검출부 (10)에서 검출된 온도정보는 CPU(5)에 입력되고, CPU(5)는 이 온도정보가 인버터(3)의 FET를 보호하는 관점에서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때에 발전기(100)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도 1은 CPU(5) 및 FET 드라이버(13)의 전원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엔진발전장치의 회로도이다. 컨버터(2)는 SCR(20∼22)과 다이오드(23∼25)로 이루어지는 제 1 정류회로이다. 컨버터(2)의 출력측에는 평활용 콘덴서(26)가 접속된다. 3상 출력 권선(1)의 각 상에는 다이오드(27, 28, 29)가 각각 접속된다. 3상 출력 권선(1)의 출력은 제 2 정류회로인 다이오드(27∼29)로 정류되고, 콘덴서(30)로 평활되어 자려 발진형 컨버터인 RCC(Ringing Choke Converter)(31)의 1차측에 접속된다.
RCC(31)는 1차측 코일(NP, NB)과 2차측 코일(NS1, NS2 및 NS3, NS4, NS5)로 이루어지는 트랜스(32)를 가진다. 1차측 코일(NP, NB)은 트랜지스터(Q1, Q2)를 포함하는 자려 발진회로에 접속된다. 자려 발진회로에 포함되는 포토커플러(PC5)의 수광소자(PT)는 2차측의 션트 레귤레이터 및 포토커플러(PC5)의 발광소자(상세한 것은 후술)와 함께 2차측을 정전압으로 제어하는 피드백회로를 구성한다.
2차측 코일(NS1, NS2)은 출력단자(V1, V2)를 가지는 제어전원(17)에 접속된다. 제어전원(17)은 정류회로(171), 정전압회로(172) 및 평활회로(173)를 포함하는 정전압공급장치를 2세트 구비하고, 2차측 코일(NS1, NS2)은 대응하는 정전압공급장치에 각각 개별로 접속된다. 이들 2세트의 정전압제어장치는 공통어스를 가지는 1쌍의 음양 전원을 구성하고, 출력단자(V1, V2)는 상기 제어부(102)에 접속되어 CPU(5) 등의 디지털용 전원, 즉 인버터(3)의 스위칭제어나 스테핑모터(M)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전자 거버너용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2차측 코일(NS3∼NS5)은 FET 드라이버(13)에 접속되어 인버터(3)를 구성하는 FET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도 3은 인버터(3)의 회로도이다. 인버터(3)는 FET(38, 39, 40, 41)의 브리지회로이다. FET(38∼41)는 각각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로 스위칭되어 소정 주파수의 교류를 출력한다.
도 4는 FET 드라이버 및 FET의 접속을 나타내는 회로이다. FET 드라이버 (13)는 드라이버회로(131, 132, 133, 134)를 포함한다. 드라이버회로(131∼134)의 공통부분을 드라이버회로(131)로 대표하여 설명한다. RCC(31)의 2차 코일(NS3)은 드라이버회로(131)의 정류회로(131a)에 접속된다. 정류회로(131a)의 출력은 포토커플러(PC1)의 수광부를 구성하는 포토트랜지스터(131b)에 접속된다. 포토트랜지스터(131b)의 출력단, 즉 2개의 포토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콜렉터의 접속점은 저항(R)을 거쳐 FET(38)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부를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131c)가 CPU(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발광하면 포토트랜지스터(131b)가 도통하여 2차 코일(135)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포토트랜지스터(131b)를 흘러 FET(38)의 게이트가 온이 된다.
드라이버회로(133)에는 2차측 전압을 1차측으로 피드백하는 포토커플러(PC5)의 발광소자(LD)와 션트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회로 IC(1)가 설치된다. 또한 이 발광소자(LD)와 션트 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지는 회로는 드라이버회로(131∼134)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하고 있어도 된다.
RCC(3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2 정류회로인 다이오드(27∼29)의 출력에 의하여 콘덴서(30)의 단자전압(1차측 전원전압)이 상승하면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에 베이스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Q1)가 온된다. 그 결과, 1차측 코일(NP)에 전원전압이 인가되어 1차측 코일(NB)에는 권선비에 따른 전압이 발생한다. 코일(NB)에서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Q1)는 온상태로 유지된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전류는 불포화영역까지 증가를 계속한다. 그리고 1차측 코일(NP, NB)의 전압이 저하하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전류가 감소하여 그 트랜지스터(Q1)는 오프가 된다.
트랜지스터(Q1)가 오프가 됨으로써, 트랜지스터(Q1)가 온되어 있는 기간에 축적된 전력으로 2차측의 각 코일(NS1∼NS5)에 각각의 권선비에 따른 전압이 발생한다. 트랜스(32) 내에 축적된 에너지가 2차측 코일로부터 방출되면 1차측 코일 (NB)에 전압이 유기된다. 그렇게 하면 이 전압에 의하여 다시 트랜지스터(Q1)가 온이 된다. 그 결과 다시 1차측 코일(NP)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게 되고, 이후 이 반복에 의하여 2차측에 계속하여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의 1차측의 전원전압은 엔진회전수에 의존하나, 1차측 전압이 변화되어도 2차측 전압은 이하에 설명하는 이유에 의하여 일정하게 유지된다. 1차측 전압이 상승하여 상기 드라이버회로(134)의 전압(E)이 상승하면 회로 IC(1)의 션트 레귤레이터의 캐소드전극의 전압이 감소하고, 포토커플러(PC5)의 발광소자(LD)의 전류가 증가한다. 그렇게 하면 포토커플러(PC5)의 수광소자(PT)의 전류가 증가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전류가 증가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전류가 감소하여 단시간에 오프로 전환되게 된다. 그렇게 하면 트랜스(32)에 축적되는 에너지가 감소하여 2차측의 전압이 저하한다. 즉, 트랜지스터(Q1)의 온 폭(듀티비)을 변경함으로써 전류의 증가를 억제하고, 그 결과 2차측 전압의 상승을 억제한다. 저항(R2)은 션트저항으로, 소정 이상의 전류가 흐른 경우에 트랜지스터(Q1)를 오프로 하여 과전류를 방지한다. 이와 같이 엔진회전수가 증대하여도 RCC(31)의 2차측 전압을 정전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저회전수로 2차측 전압이 상승하도록 설정하여도 상승후의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저회전영역에서의 전자 거버너동작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에 나타낸 엔진발전장치의 동작관련의 수치 데이터의 일례를 든다. 발전출력은 단상 100V, 엔진(E)의 정격 회전수 3300rpm, 최대 회전수가 3600rpm으로 설정되고, 그 회전수는 전자 거버너에 의해 부하에 따른 최적 회전수로 제어된다. 그리고 엔진회전수가 약 800rpm으로 상승하였을 때 RCC(31)는 동작을 개시한다. 이때 RCC(31)의 1차측 전압은 약 70V이다.
도 5는 엔진회전수와 RCC의 2차측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정전압제어를 행한 것, 도 5b는 정전압제어를 행하지 않은 것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5a의 경우, 엔진회전수가 증대하여도 2차측 전압(직류전압)은 소망의 전압, 예를 들면 제어부(102)에 포함되는 IC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으로 거의 유지된다. 이 경우의 손실은 약간의 값으로 억제되고 있다. 한편 도 5b의 경우, 엔진회전수의 증대에 따라 직류전압은 증대하게 되고, 예를 들면 가능한 한 저회전수 중에 상기 IC의 필요 전압를 얻을수 있도록 최고 회전수일 때에 IC의 내압에 가까운 값까지 직류전압이 증대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도시와 같이 큰 손실은 피할 수 없다.
RCC의 2차 출력전압을 피드백하여 발진주파수 및 듀티비를 제어하였으나, 발진주파수를 제어하는 수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차측 입력전압을 검출하여 이것에 따라 발진주파수나 듀티비를 변화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솔린엔진의 스로틀제어를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가스엔진의 믹서에 대한 가스연료공급장치나, 디젤엔진의 연료공급용 컨트롤랙 등, 스로틀밸브에 상당하는 조정기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고, 동일하게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여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엔진회전수가 상승하여도 손실이 커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압사양이 다른 복수의 독립된 전원을 한번에 얻을 수 있다. 인버터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1 정류회로와는 다른 계통으로 전원을 구성하기 때문에 제 1 정류회로 이후에 고장이 있어도 전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독립된 2차 권선 출력으로, 음양 각각의 전원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음전원용 IC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정밀도가 높은 양전원용 IC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 제어계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인버터회로의 제어전원이 확보되기 전의 엔진 저회전시로부터 전자 거버너에 의한 엔진회전제어를 행할 수 있다.

Claims (3)

  1. 엔진으로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를 정류하는 제 1 정류회로와,
    상기 제 1 정류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직류를 소정 주파수의 교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회로를 가지는 인버터제어식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를 정류하는 제 2 정류회로와,
    상기 제 2 정류회로의 출력측에 1차측이 접속되는 자려 발진형 컨버터를 구비하고,
    상기 자려 발진형 컨버터의 2차측이 제어전원으로서 상기 인버터회로에 접속된 인버터제어식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원이 상기 자려 발진형 컨버터의 독립된 복수의 2차 권선 출력을 결합하여 양 및 음의 양쪽의 전원을 형성하고 있는 인버터제어식 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원이,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목표회전수로 제어하는 전자 거버너용 전원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인버터제어식 발전장치.
KR1020030093803A 2002-12-20 2003-12-19 인버터 제어식 발전 장치 KR100823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0864A JP2004201480A (ja) 2002-12-20 2002-12-20 インバータ制御式発電装置
JPJP-P-2002-00370864 2002-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690A true KR20040055690A (ko) 2004-06-26
KR100823238B1 KR100823238B1 (ko) 2008-04-18

Family

ID=3237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803A KR100823238B1 (ko) 2002-12-20 2003-12-19 인버터 제어식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37484B2 (ko)
EP (1) EP1432114B1 (ko)
JP (1) JP2004201480A (ko)
KR (1) KR100823238B1 (ko)
CN (1) CN100418295C (ko)
TW (1) TWI26865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82B1 (ko) * 2007-07-26 2009-06-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력 변환기용 게이트 전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7969B2 (ja) * 2002-12-10 2007-10-24 株式会社デンソー 発電制御装置
JP2004274842A (ja) * 2003-03-06 2004-09-30 Suzuki Motor Corp 交流発電機の発電制御装置
JP4561167B2 (ja) * 2004-04-28 2010-10-13 国産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発電装置
JP4218625B2 (ja) * 2004-10-22 2009-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液晶ディスプレイの保護装置
ITVE20040052A1 (it) * 2004-12-23 2005-03-23 Idm Srl Generatore di corrente continua e/o alternata a magneti permanenti.
ES2314761T3 (es) * 2006-02-03 2009-03-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odo para suavizar corriente electrica alterna a partir de una serie de unidades de generacion de energia y planta eolica que incluye una serie de molinos de viento con velocidad de rotacion variable.
TWI412198B (zh) * 2010-08-02 2013-10-1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多重高壓動力元件過電流保護裝置及其方法
JP5281329B2 (ja) * 2008-07-25 2013-09-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発電機
RU2540416C2 (ru) * 2011-05-17 2015-02-10 Хонда Мотор Ко., Лтд. Инверторный генератор
JP5605336B2 (ja) * 2011-08-31 2014-10-15 国産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JP6037164B2 (ja) * 2012-12-07 2016-11-30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電源回路及び照明装置
US9689366B2 (en) * 2013-06-13 2017-06-27 Unison Industries, Llc Method to decouple battery from high level cranking currents of diesel engines
US10294858B2 (en) 2013-08-29 2019-05-21 Polaris Industries Inc. Portable generator
CN105450074B (zh) * 2015-11-01 2019-05-28 四川泛华航空仪表电器有限公司 自激式晶体管逆变器
US10903534B2 (en) * 2018-06-05 2021-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ttery pack capacity optimization via self-regulation of cell temperatur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2709A (en) * 1976-09-24 1978-05-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ple output self oscillating converter regulator power supply
US5077485A (en) * 1989-11-06 1991-12-31 Sundstrand Corporation Voltage regulator load division using real and reactive generator output power components to control the exciter
US5081365A (en) * 1990-06-06 1992-01-14 Field Bruce F Electric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JP2587806B2 (ja) 1990-12-27 1997-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携帯用エンジン発電機
JPH05316753A (ja) * 1992-05-08 1993-1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車用空調装置の電源回路
JP3173677B2 (ja) 1992-10-06 2001-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制御式発電機
JP3019682B2 (ja) * 1993-09-17 2000-03-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における発電制御方法
DE29506350U1 (de) 1995-04-12 1996-08-14 Dolmar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batterielosen Stromversorgung der elektronischen Steuerung einer durch einen Verbrennungsmotor angetriebenen Arbeitsmaschine
CN2301808Y (zh) * 1997-01-01 1998-12-23 林兆生 电源供电器
JP3536581B2 (ja) * 1997-04-16 2004-06-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発電制御装置
JP3351464B2 (ja) 1998-02-13 2002-11-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自励発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540152B2 (ja) 1998-04-17 2004-07-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発電機
JP3498892B2 (ja) 1998-04-20 2004-02-23 株式会社ケーヒン 電源装置
JP2001069795A (ja) * 1999-08-31 2001-03-16 Keihin Corp エンジン発電機
US6392312B1 (en) * 1999-10-26 2002-05-21 Gary Jay Morris Portable electric power generator with remote control and safety apparatus
US6707169B2 (en) 2000-07-19 2004-03-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ngine generator, controller, starter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system for the engine generator
JP2002101560A (ja) * 2000-09-26 2002-04-05 Honda Motor Co Ltd 発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82B1 (ko) * 2007-07-26 2009-06-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력 변환기용 게이트 전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37484B2 (en) 2005-08-30
CN1512654A (zh) 2004-07-14
EP1432114B1 (en) 2017-01-18
TW200507440A (en) 2005-02-16
TWI268654B (en) 2006-12-11
JP2004201480A (ja) 2004-07-15
US20040120167A1 (en) 2004-06-24
EP1432114A1 (en) 2004-06-23
CN100418295C (zh) 2008-09-10
KR100823238B1 (ko) 200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238B1 (ko) 인버터 제어식 발전 장치
JP3542313B2 (ja) 半導体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方法及び電源装置
GB2378059A (en) Switching power source device
JP323658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8089792B2 (en) Cycloconverter generator
JPH0534472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6215255B1 (en) Electric ballast system
JP2002171750A (ja) 電源装置
JP250481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2771936B2 (ja) 直流電源回路
JP448400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819380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60408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506169B2 (ja) 内燃機関用電源装置
JP2003348846A (ja) 電源回路
JP200432894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S62147960A (ja) 内燃機関駆動発電装置
JP200213612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167311B2 (ja) 複合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9285122A (ja) Rccスイッチング方式電源回路
JP200215305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H09167694A (ja) 放電灯用電源装置
JPH1198839A (ja) 自励式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H10309079A (ja) 電源装置
JPH10141190A (ja) マグネト点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