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455A -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455A
KR20040044455A KR10-2004-7002459A KR20047002459A KR20040044455A KR 20040044455 A KR20040044455 A KR 20040044455A KR 20047002459 A KR20047002459 A KR 20047002459A KR 20040044455 A KR20040044455 A KR 20040044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nutritional composition
energy ratio
lipid
nutr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6944B1 (ko
Inventor
미즈모토겐지
사사키하지메
구메히새
야마구치마코토
Original Assignee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3474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4445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4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0Milk; Whey; Colost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abet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로서 에너지 비율이 단백질 10∼25%, 지질 20∼35% 및 당질 40∼60%이고, 또한, 지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올레인산이 60∼90%, 당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팔라티노오즈 및/또는 트레할루로오즈가 60∼100%인, 혈당치 콘트롤용 및 비만 예방용 영양 조성물.
당뇨병 환자 및 내당능 이상자의 영양 관리, 혈당 콘트롤 및 비만 예방을 위한 경구·경관영양제, 치료식, 재택용 당뇨병식, 비만 예방식, 혹은 보건 기능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BLOOD GLUCOSE LEVEL}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에 수반하여 당뇨병 환자가 증가되고 있으며, 환자수는 잠재 환자를 포함하여 1,5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은 필수 치료법이며, 그 목적으로 환자의 대사이상을 가능한 한 정상화하는 것, 당뇨병의 근저인 인슐린 분비 부전이나 인슐린 저항성을 시정하는 것, 혈관 합병증의 진전을 예방, 저지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당뇨병의 60 내지 80%는 비만을 유인으로서 발증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비만자의 대부분 인슐린의 과잉 분비가 보이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비만이 되면, 인슐린 분비가 너무 많아져, 비만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FOOD Style 21, pp. 46, 2002. 5 (Vol. 6 No. 5)] .
그런데, 미국에 있어, 임상 영양학의 발전과 함께 80년대의 후반부터 90년대전반에 걸쳐, 수많은 병태별 경구·경관(장) 영양제가 개발되었다. 즉, 당뇨병 환자용 "글루세르나(Glucerna)", 신장 질환 환자용으로 인공투석전용의 "수풀레나(Suplena)"와 투석중용의 "네프로(Nepro)", 침습기 환자 일반용의 "페라티브(Perative)"와 그 중에서도 소화관에 상처를 갖고 있는 환자용의 "알리트락(AlitraQ)", 에이즈 환자용의 "어드베라(Advera)", 그리고 근래에는 호흡 절박 증후군(ARDS) 용의 "옥시파(OXEPA)"가 발매되고, 이들 제품이 미국의 병태별 경구·경장 영양제의 시장의 7할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FOOD Style 21, pp. 54, 1991. 1 (Vol. 3 No. 1)]. 또한, 일본에서는, 중증 화상 환자전용으로 개발된 농후 유동식 "YH-80", YH80보다 일반식에 가까운 조성으로 한 「파이브렌 YH」, 신장 기능이 저하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리날렌",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계된 종합 영양유동식 "메이밸런스 C"[FOOD Style 21, pp. 58, 1991. 1 (Vol. 3 No. 1)], 의식 장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액상 고영양 유동식 A-3[KISO TO RINSHO 29 (17): 4529-4543, 1995] 등이 발매되고 있다. 그러나, 글루세르나와 같은 당뇨병 환자용 유동식은 아직도 발매되지 않았다.
한편, 유동식에 관한 특허는 수없이 많이 출원되고 있지만, 당뇨병에 관한 것은 적고,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의 에너지 비율을 특정하여 점성 가용성 식물 섬유 및 이눌린 또는 그의 가수분해물을 가한 당뇨병 환자용 영양 조성물(일본국 특개평 11-18725호)이 보여지는 정도이다.
본 발명은 당대사이상 환자의 영양 관리와 혈당치 콘트롤 및 비만 예방에 유효한 영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슐린 분비의 상대적 부족과 인슐린 저항성을 배경으로 한 식후의 급격한 혈당 상승 억제 및 장기간 혈당치 상황을 반영하는 글리코헤모글로빈(HbAlc)치의 개선에 유효한 당뇨병 환자용, 내당능 이상자용 및 비만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영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당뇨병 환자, 내당능 이상자용 및 비만 예방용 영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정상 랫트에 대한 영양 조성물 및 글루세르나의 경구투여 후의 혈당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6)를 나타낸다. *: P<0.05: 글루세르나와의 유의차 (Student-t 검정).
도 2는 정상 랫트에 대한 영양 조성물 및 메이밸런스 C의 1회 경구투여후의혈당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6)를 나타낸다. *: P<0.05: 메이밸런스 C와의 유의차 (Student-t 검정).
도 3은 정상 랫트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의 1회 경구투여 후의 혈당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6)를 나타낸다. *:P<0.05: 메이밸런스 C와의 유의차(Student-t 검정).
도 4는 스트렙토조신 유발 당뇨병 랫트에 대한 영양 조성물 및 메이밸런스 C의 경구투여 후에 있어서의 혈당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6)를 나타낸다. *:P<0.05: 메이밸런스 C와의 유의차 (Student-t 검정).
도 5는 스트렙토조신 유발 당뇨병 랫트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의 1회 경구투여 후에 있어서의 혈당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6)를 나타낸다. *:P<0.05: 메이밸런스 C와의 유의차 (Student-t 검정).
도 6은 GK 랫트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의 1회 경구투여 후의 혈당치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6)를 나타낸다. *:P<0.05: 메이밸런스 C와의 유의차(Student-t검정).
도 7은 자연 발증 당뇨병 모델의 C57BL/KsJ-db/db Jc1 마우스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분체의 9주간, 자유 섭취에 의한 체중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8)를 나타낸다.
도 8은 상기 마우스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 분체의 31일간, 자유 섭취에 의한 혈당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8)를 나타낸다. *: P<0.05: 같은 문자의 것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는다. (Mann-Whitney의 U 검정)
도 9는 상기 마우스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 분체의 31 일간, 자유 섭취에 의한 HbAlc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8)를 나타낸다. *:P<0.05: 같은 문자의 것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는다. (Mann-Whitney의 U 검정)
도 10은 상기 마우스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 분체의 9주간, 자유 섭취 후의 혈청 GOT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8)를 나타낸다. *:P<0.05: 같은 문자의 것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는다. (Mann-Whitney의 U 검정)
도 11은 상기 마우스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 분체의 9 주간, 자유 섭취 후의 혈청 GPT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8)를 나타낸다. *:P<0.05: 같은 문자의 것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는다. (Mann-Whitney의 U 검정)
도 12는 상기 마우스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분체의 9 주간, 자유 섭취 후의 간장 당의 간장 축적 중성 지방량을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8)를 나타낸다. *: P<0.05: 같은 문자의 것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는다. (Mann-Whitney의 U 검정)
도 13은 상기 마우스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분체의 9주간, 자유 섭취 후의 간장 1 g 당의 간장 축적 중성 지방량을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8)를 나타낸다. *:P<0.05: 같은 문자의 것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는다. (Mann-Whitney의 U 검정)
도 14는 C57BL/6N Jc1 마우스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분체의 1 개월간, 자유 섭취에 있어서의 섭취 에너지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9)를 나타낸다. *:P< 0.05: (Mann-Whitney의 U 검정)
도 15는 상기 마우스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 분체1 개월간, 자유 섭취에 있어서의 체중 추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 (은)는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9)를 나타낸다. *:P<0.05 (Mann-Whitney의 U 검정)
도 16은 상기 마우스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분체의 1 개월간, 자유 섭취 후의 후복막 지방량(%/체중)을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9)를 나타낸다. *:P<0.05: 같은 문자의 것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는다. (Mann-Whitney의 U 검정)
도 17은 상기 마우스에 대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분체의 1 개월간, 자유 섭취 후의 부고환 지방량(%/체중) 을 나타내는 도이다. (■)는 영양 조성물, (□)은 글루세르나, (◆)는 메이밸런스 C를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평균치±표준편차(n=9)를 나타낸다. *:P<0.05: 같은 문자의 것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는다. (Mann-Whitney의 U 검정)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이하, "영양 조성물"또는 "조성물"이라고도 하는)에 있어서, 단백질은 조성물중, 10∼25%의 에너지 비율, 바람직하기로는 10∼20%의 에너지 비율로 함유된다.
단백질로서는 우유 단백, 식물 유래의 단백, 대두 단백 또는 그의 가수분해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우유 단백이 일반적이다. 우유 단백으로서는 MPC(MilkProtein Concentrate), 카제인 단백, 훼이 단백, 마그네슘 카제이네이트 및 이들의 가수분해물, 발효유 및 발효유에서 유청을 제거한 성분(후레쉬 치이즈, 쿠와르크 등)(일본국 특개평 5-252896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MPC, 또는 MPC와 카제인을 조합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훼이 단백으로서는 훼이를 농축·건조한 훼이 파우더, 훼이를 한외여과(Ultrafiltration: UF)로 농축한 후, 건조한 훼이 단백질 농축물(Whey Protein Concentrate: WPC), 훼이 중의 지방을 제거한 후, UF 농축한 탈지 WPC(저지방으로 고단백질), 훼이로부터 단백질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한 WPI, 나노필터레이션 농축한 탈염 훼이, 훼이 유래의 미네랄 성분이 농축된 미네랄 농축 훼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 지질은 조성물중, 20∼35%의 에너지 비율, 바람직하기로는 20∼30%의 에너지 비율로 함유된다. 이 비율은 제 6차 개정의 일본인의 영양 소요량에 준하는 것이다. 지질중의 지방산 조성중 1가 불포화 지방산(MUFA)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 1가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인산은 지질중, 60∼90%의 에너지 비율, 바람직하기로는 60∼80%의 에너지 비율로 함유된다. 올레인산을 많이 포함한 지질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 올레인산의 하이오레익 해바라기유, 평지씨 오일, 올리브유, 고 올레인산 사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팜유 등을 들 수 있다. 또, 올레인산을 함유하는 지질원으로서 영양 조제 유지(日本油脂社제)를 들 수 있다. 해바라기유, 평지씨 오일, 올리브유 및 올리브유와의 혼합물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지질로서는 우유 유래의 인지질, 레시틴(대두 혹은 난황 유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유 인지질은 우유 지방구 피막(MFGM)에만 국재되어 있다. MFGM을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서 한외여과(ultrafiltration: UF) 및 정밀여과(microfiltration: MF)의 조합으로 제조되는 WPI의 부산물(MF 유지액)의 동결건조물, 훼이 크림에서 버터 오일을 제외한 획분(버터 시럼) 등을 들 수 있다. 버터 시럼으로부터 에탄올로 수회 추출하여 농축한 지질 획분, 또는 아세톤 불용성 획분(α-Lipid: 뉴질랜드의 Anchor Products사)을 이용하여도 좋다.
레시틴은 화학적으로는 포스파티딜콜린(PC)을 의미하지만, 통상은 이 PC외에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E), 포스파티딜 이노시톨(PI) 및 포스파티딘산(PA)의 4종 및 다른 인지질의 혼합체를 레시틴이라고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들 모든 레시틴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에 인지질 순도의 지표인 아세톤 불용성 획분이 62∼65%의 페이스트상의 것, 인지질 함량이 95%이상의 분말상 고순도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을 높인 분획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n-6계열 다가 불포화지방산 및 n-3계열 다가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이들의 다가 불포화 지방산은 지방산 조성중의 10∼40%, 바람직하기로는 10∼30%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의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지방산 조성물중 약 20%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영양 조성물의 지질 조성은 n-6계열 다가 불포화지방산과 n-3계열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배합비가 약 5: 1∼약 1: 1, 바람직하기로는 약 4: 1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는 n-3계의 α-리놀렌산 함유 비율이 높은 들기름(자소유), 또는 아마인유 등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HA를 많이 함유하는 가다랭이나 참치 오일을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지질로서 우유 인지질, 대두 레시틴, 하이오레익 해바라기유 및 들기름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 당질은 조성물중, 40∼60%의 에너지 비율, 바람직하기로는 50∼60%의 에너지 비율로 함유된다. 이 에너지 비율은 제 6차 개정의 일본인의 영양 소요량에 거의 준한다. 당질로서는 팔라티노오즈, 트레할루로오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한다. 팔라티노오즈, 트레할루로오즈는 이들 혼합물의 당질중, 60∼100%의 에너지 비율, 바람직하기로는 60∼80%의 에너지 비율로 함유된다.
다른 당질로서는 예를 들면, 당알코올(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등), 트레할로오즈, 팔라티니트, 말토덱스트린, 가공 전분, 아밀로오즈 전분, 타피오카 전분, 옥수수 전분, 프락토오즈, 락토오즈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말토덱스트린, 크실리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말토덱스트린은 전분 또는 옥수수 전분의 산가수분해나 효소분해로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의 당으로, DE치가 20이하이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또한 식물 섬유를 함유할 수 있다. 식물 섬유로서는 수용성 식물 섬유, 비수용성 식물 섬유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수용성 식물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난소화성 덱스트린, 펙틴, 글루코만난, 알긴산·알긴산 분해물, 구아 검, 구아 검 효소 분해물, 갈락토만난 등을 들 수 있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식품에의 첨가가 용이하며, 식품 가공상 지장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비수용성 식물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결정 셀룰로오스, 대두 식물 섬유, 밀기울, 콘 화이버, 비트 화이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표준 유동식 배합량에 준한 비타민 및 미네랄을 포함할 수가 있다. 비타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 B2,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B6, 판토텐산칼슘, 엽산, 비타민 B12, 비타민 A지방산 에스테르, 비타민 D3, α-비타민 E, 비타민 K2, L-아스코르빈산나트륨, β-카로틴 등을 들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염소, 마그네슘 또는 천연물 유래의 미량 원소, 예를 들면 효모 미네랄의 동, 아연, 셀렌, 망간, 크롬 등이 들 수 있다. 글루콘산 동, 글루콘산 아연 등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의 침투압은 약 300∼1000 mOsm/ℓ, 예를 들면 약 300∼750 mOsm/ℓ의 침투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온에서 측정하는 경우, 영양 조성물의 점도는 약 5∼40 mPa·s, 특히 5∼20 m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양 조성물의 칼로리는 약 0.7∼3 Kcal/㎖, 특히 1∼1.5 Kcal/㎖인 것이 바람직하다.
영양 조성물은 직접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서 조성물은 튜브를 통하여 비장-위장, 장을 경과하며, 또한, 경구 섭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양 조성물은 각종 형태, 예를 들면, 과실 쥬스형 음료, 밀크 셰이크형 음료 등이어도 좋다. 또한, 영양 조성물은 사용 전에 재구성할 수 있는 가용성 분말로 할 수 있다.
영양 조성물은 각종 플레이버(예를 들면 바닐라 등), 감미료 및 기타 첨가물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인공 감미료, 예를 들면 아스파르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구린내 저감 효과가 있는 삼피니온 엑기스를 5∼500 mg(0.005∼0.5%); 영양 강화의 목적으로 카로티노이드 제제(예를 들면, α-카로틴, β-카로틴, 리코핀, 루테인 등을 함유)를 10∼200 ㎍(0.00001∼0.0002%)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항산화제로서 카테킨, 폴리페놀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영양 조성물은 예를 들면,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전술한 배합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유화제를 혼합물에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당업계 공지의 방법으로 제품으로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액상 영양 조성물을 미리 가열 멸균한 후, 무균적으로 용기에 충전하는 방법(예를 들면, UHT 멸균법과 어셉틱 포장법을 병용한 방법), 또한, 액상 영양 조성물을 용기에 충전한 후, 용기와 함께 가열 멸균하는 방법(예를 들면, autoclave법) 등이다.
사용 형태가 액상인 경우, 균질화물을 캔용기에 충전하고, 리토르트 살균을 실시하거나 또는 다시, 약 140∼145℃에서 약 5∼8초간 가열 살균한 후, 냉각하고, 무균 충전을 행한다. 사용 형태가 분말인 경우, 균질화물을, 예를 들면, 분무 건조한다. 또, 사용 형태가 고형인 경우에는 한천 등을 가하여 고형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당뇨병 환자 및 당대사 이상자의 영양 관리 및 혈당콘트롤 및 비만 예방에 유효하다. 구체적으로는 1형 당뇨병, 2형 당뇨병, 내당능 이상자, 수술후 내당능 장해, 글루코오즈 불내증의 환자 등의 영양 관리에 유용하고, 혈당치 콘트롤에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영양 조성물은 고혈당증의 재발 위험성이 있는 환자에게도 유용하고, 당뇨병 환자의 식이요법의 보조제로서도 유용하다. 또한, 당뇨병 유발의 리스크 요인인 비만의 예방에도 유효하다.
뇌신경 외과 영역에 있어서는 자발적 섭식 행동을 할 수 없는 의식 장해를 가지는 환자가 많고, 더욱이 40세 이상의 중·고령자의 경우, 어떤 합병증을 수반하고 있는 것이 많다. 이들 의식 장해 환자의 소화 흡수능은 저해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고, 보다 생리적인 식이섭취 경로인 장관을 통한 영양 투여가 가능하다. 그리하여 영양 관리면에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이 하는 역할은 중요하다. 또한, 신부전을 합병한 다장기 장해(MODS) 환자에서는 물·전해질 이상을 초래하기 쉽고, 조기부터의 경장 영양의 방해가 되어 있다. 그러한 증례에 대하여, 신부전에서의 물·전해질에 유의한 액상 영양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이러한 영양 조성물로서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당뇨병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인에 있어서도, 식후의 급격한 혈당상승과 인슐린 분비는 내장 지방의 축적을 촉진하여 비만증, 고지혈증, 고혈압증, 동맥경화증 등의 생활 습관병의 발증을 일으키는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식후의 혈당 콘트롤을 배려한 식사는 당뇨병 식사요법의 근본인 동시에, 상기의 생활 습관병 예방상에도 중요하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경구·경관 영양제, 치료식, 재택용 당뇨병식으로서의 용도 이외에, 비만 예방식, 보건기능식품(특정 보건용 식품 및 영양 기능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환자에 영양 조성물의 투여는 환자의 상태, 환자의 체중, 환자의 연령 및 영양 조성물이 영양의 유일인 것인가 등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그의 투여량은 환자의 담당의사에 의해 결정된다. 영양 조성물이 다른 식품의 보충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1일 투여되는 영양 조성물은 그에 따라 감량된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예를 들면, 2∼5회의 수회 투여로 섭취하여 필요 1일량을 보충하거나, 또는 1회 투여로 섭취할 수 있다. 영양 조성물은 필요 기간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액상 영양 조성물에 한천을 가하거나, 분말상 영양 조성물에 물과 한천을 가하고, 열처리한 후에 냉각하여 고형화한 영양 조성물로서 섭취할 수도 있다. 고형화한 영양 조성물은 섭취 후의 만복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의 고형식을 대체하여 섭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원료의 배합량에 따라 액상 영양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 조성물은 100 Kcal/100㎖이며, 에너지 비율은 단백질 23.7%, 지질 30.2%, 당질46.1%이었다. 또한, 지질 중의 올레인산의 에너지비율은 70%, 당질중의 팔라티노오즈의 에너지 비율은 69%이었다. 이하의 시험예의 영양 조성물로서 사용했다.
우유 단백 농축물(MPC)은 뉴질랜드 Fonterra사제, 카제이네이트는 DMV사제, 우유 인지질은 뉴질랜드 데이어리 인그리디언츠 리미티드(New Zealand Dairy Ingredients Limited)사제,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마츠타니 케미컬 인더스트리(Matsutani Chemical Industry)사제, 하이오레익 해바라기유는 일본유지(NOF Corporation)사제(올레인산 함량 80%), 자소유는 일본유지 사제(팔미틴산 6%, 스테아린산 2%, 올레인산 19%, 리놀산 12%, α-리놀렌산 60%), 팔라티노오즈는 신미츠이 세이토사(Shin Mitsui Sugar)제를 이용했다.
성분 원료 기본배합100g 중
단백질 우유 단백 농축물(MPC)카제이네이트 5g1g
지질 영양 조제 유지(10% 자소유 함유)우유 인지질대두 레시틴 3.0g0.1g0.3g
당질 팔라티노오즈말토덱스트린크실리톨 8g3g0.9g
식물섬유 난소화 덱스트린 1.6g
일반성분 플레이버시트르산 (pH 조제) 0.5g0.2g
비타민 비타민A 지방산에스테르비타민 D3α-비타민 E(α-TE)디벤조일티아민 염산염비타민 B2비타민 B6비타민 B12나이아신판토텐산엽산비타민 C비타민 K2α-카로틴β-카로틴루틴리코핀 1.3mg0.005mg40mg4.7mg2.6mg3.7mg0.005mg29.4mg9.5mg0.49mg60.6mg0.11mg0.8㎍4.2㎍1.4㎍5.59㎍
미네랄 염화나트륨수산화칼륨황산마그네슘·7수화물시트르산 3나트륨·2수화물황산제일철 100mg150mg10mg120mg5mg
실시예 2
하기 표 2에 나타낸 원료의 배합량에 따라 액상 영양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 영양 조성물은 100 kcal/100㎖이며, 에너지 비율은 단백질 24%, 지질 30%, 당질 46%이었다. 또한, 지질중의 올레인산의 에너지 비율은 70%, 당질중의 팔라티노오즈의 에너지 비율은 69%이었다. 이하의 시험예의 영양 조성물로서 사용했다.
성분 원 료 기본배합100g중
단백질 우유 단백 농축물(MPC)카제이네이트 3.5g2.4g
지질 하이오레익 해바라기유 + 자소유우유 인지질대두 레시틴 2.91g0.1g0.29g
당질 팔라티노오즈말토덱스트린크실리톨 7.01g2.45g0.9g
식물섬유 난소화 덱스트린 1.88g
일반성분 플레이버삼피니온 엑기스시트르산(pH 조정) 0.38g0.05g0.13g
비타민 비타민A비타민D비타민E(α-IE)비타민B1비타민B2비타민B6비타민B12나이아신판토텐산엽산비타민Cα-카로틴β-카로틴루틴리코핀 250 IU30 IU13.1mg0.96mg0.6mg0.4mg1.1㎍1.8mg1.2mg75㎍91mg0.8㎍4.2㎍1.4㎍5.6㎍
미네랄 염화나트륨황산제일철크롬 효모아연 효모인산2수소칼륨시트르산3나트륨·2수화물수산화칼륨 100mg5mg2mg5mg20mg100mg100mg
실시예 3
하기 표 3에 나타난 원료의 배합량에 따라 액상 영양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 영양 조성물은 100 Kcal/ 100㎖이며, 에너지 비율은 단백질 22%, 지질 30%, 당질 48%이었다. 또한, 지질 중의 올레인산의 에너지 비율은 70%, 당질 중의 팔라티노오즈의 에너지 비율은 69%이었다. 이하의 시험예의 영양 조성물로서 사용했다.
성분 원 료 기본배합100g중
단백질 우유 단백 농축물(MPC)카제이네이트 3.2g2.4 g
지질 하이오레익 해바라기유 + 자소유우유 인지질대두 레시틴 2.9g0.1g0.29g
당질 팔라티노오즈말코 덱스트린크실리톨 8g3g0.9g
식물섬유 난소화 덱스트린 1.5g
일반성분 플레이버삼피니온 엑기스 0.4g0.05g
비타민 비타민A비타민D천연 비타민E(α-TE)비타민B1비타민B2비타민B6비타민B12나이아신판토텐산엽산비타민Cα-카로틴β-카로틴루틴리코핀 250 IU30 IU8mg0.6mg0.5mg0.3mg0.9㎍1.6mg1.0mg50㎍45mg0.8㎍4.2㎍1.4㎍5.6㎍
미네랄 염화나트륨수산화칼륨인산2수소칼륨크롬 효모아연 효모구연산3나트륨·2수화물황산제일철 100mg100mg20mg2mg5mg100mg5mg
실시예 4 (영양 조성물 분체의 조제)
표 3에 나타낸 원료의 배합량에 따라서 조제한 액상 영양 조성물 53 kg을 증발기로 32 kg으로 농축했다. 이 농축 영양 조성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배풍 온도95℃, 오리피스 NO. 74, 코어 NO. 17)로 처리하여 영양 조성물 분체 10kg을 얻었다. 또한, 비교 대조의 메이밸런스 C(표 4), 및 글루세르나(표 5)도 동일하게 처리하여 분체를 얻었다. 각각의 고형분 함유량은 영양 조성물 분체가 96.7%, 글루세르나가 95.3%, 메이밸런스 C가 96.3%이었다. 1 g 당 에너지는 영양 조성물 분체가 5.6 Kcal, 글루세르나가 5.5 Kcal, 메이밸런스 C분체가 4.6 Kcal이었다.
메이밸런스 C
성분 원료 기본배합100g 중
단백질 우유 단백질 농축물(MPC) 4g
당질 덱스트린자당 14.2g0.4g
지질 식물유 2.8g
식물섬유 난소화성 덱스트린 1g
미네랄 칼륨나트륨염소칼슘인마그네슘철 100mg110mg140mg110mg85mg15mg1mg
비타민 비타민A비타민D비타민E비타민B1비타민B2비타민B6비타민B12나이아신판토텐산엽산비타민C 200 IU20 IU3mg0.15mg0.2mg0.3mg0.6㎍1.6mg0.6mg50㎍16mg
글루세르나
성분 원료 기본배합100g 중
단백질 카제인 4.2g
당질 말토덱스트린과당 6.2g1.7g
지질 해바라기유+대두유+대두 레시틴 5.56g
식물섬유 대두 다당류 1.4g
미네랄 칼륨나트륨염소칼슘인마그네슘철 156mg93.2mg144mg70mg70mg28mg1.4mg
비타민 비타민A비타민D비타민E비타민B1비타민B2비타민B6비타민B12나이아신판토텐산엽산비타민C 352 IU28 IU3.2 IU0.16mg0.18mg0.22mg0.64mg 2.12mg0.92mg42mg21.2mg
실시예 5 (영양 조성물 고형화의 제법)
실시예 4에서 조제된 영양 조성물 분체 120g에 2g의 한천(상품명: "Agar Quick", Ina Shokuhin사제)를 가하고, 150 ㎖의 뜨거운 물(약 60℃)을 넣었다. 이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이것을 500 W 정격고주파 출력의 전자 렌지("RE-BM5W", SAMSUNG사제)에서 5분간 열처리한 후, 냉장실에서 고형화했다. 이 영양 조성물은 672 kcal이다. 영양 조성물의 칼로리는, 필요로 하는 칼로리로 조정이 가능하며, 한천 농도는 0.5∼2%가 바람직하다.
시험예 1 (정상 랫트의 혈당치에 미치는 영향)
(1) 5주령의 Sprague-Dawley IGS 수컷 랫트(일본 찰스리버사)를 2주간 예비 사육한 후, 7주령에서 본 실험에 제공했다. 랫트를 18시간 절식(물만 자유 섭취)한 후, 각 개체의 꼬리 정맥의 혈당치를 측정하고, 각 군간의 평균 혈당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실시예 1로 조제한 영양 조성물 투여군, 비교 대조로서 글루세르나 투여군의 2군(n= 6) 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영양 조성물, 또는 글루세르나 12.5 Kcal/kg를 프로우브를 이용해 강제 경구 투여했다. 투여 직전(0분), 투여 후 30분, 60분, 90분, 및 120분 후에 꼬리 정맥혈의 혈당치를 소형 전극식 혈당 측정기("Antosense II", Bayer·Sankyo사제)로 측정했다. 또, 글루세르나(Dynabbott사제)의 에너지 비율은 단백질 16.4%, 지질 49.2%, 당질 34.4%(255 Kcal/250㎖)이었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글루세르나와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과의 혈당치의 추이를 비교하면, 글루세르나는 30분 후에 130 mg/㎗정도까지 상승한 반면에, 조성물은 약 110 mg/㎗ 정도의 상승하여, 글루세르나와 비해 혈당치의 상승은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2) 6주령의 Sprague-Dawley(SD) 수컷 랫트(일본 SLC)를 구입하여 1주간 예비 사육한 후, 7주령으로 본 실험에 제공했다. 랫트를 18시간 절식(물만 자유 섭취)한 후, 각 개체의 꼬리 정맥의 혈당치를 측정하여 각 군간에서의 평균 혈당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실시예 2에서 조제한 영양 조성물 투여군과 비교 대조로서 메이밸런스 C(Meiji Milk Products) 투여군의 2군(n= 6)으로 나누었다. 또, 메이밸런스 C는 100 Kcal/100㎖ 로, 에너지 비율은 단백질 16%, 지질 25%, 당질 59%이다.
각 군에 영양 조성물, 또는 메이밸런스 C의 12.5 ㎖/kg(12.5 Kcal/kg)를 프로우브를 이용하여 강제 경구 투여했다. 투여 직전(0분), 투여 30분, 60분, 90분, 120분 및 180분 후에 꼬리 정맥혈의 혈당치를 측정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각 군의 측정치는 각각 평균치±표준편차(Mean±SE)로 나타냈다. 각 군사이의 유의차는 Student-t test로 검정하여 5% 미만을 유의로 판정했다.
메이밸런스 C와 영양 조성물의 혈당치의 경시적 추이를 비교하면), 메이밸런스 C는 30∼60분 후에 약 140∼160 mg/㎗정도까지 혈당치가 상승한 것에 반해, 영양 조성물은 30분 후에 120 mg/㎗ 정도, 60분 후에 약 140 mg/㎗ 정도로 상승이 되어, 메이밸런스 C에 비하여 혈당치의 상승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정상 랫트에 대해서 섭취 후의 혈당치의 상승이 기존의 일반적인 유동식과 비교해 유의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3) 실시예 3에서 조제한 영양 조성물 및 비교 대조로서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의 정상 랫트에 대한 혈당 상승 억제 효과를 조사했다. 6주령의 Sprague-Dawley(SD) 수컷 랫트(일본 SLC사)를 구입하여 1주간 예비 사육(CRF-1: Oriental Yeat Industry)한 후, 7주령으로 본 실험에 제공했다. 랫트를 18시간 절식(물만 자유섭취)한 후, 각 개체의 꼬리 정맥의 혈당치를 측정하여 각 군간에서의 평균 혈당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영양 조성물 투여군, 비교 대조로서 글루세르나 투여군 및 메이밸런스 C투여군의 3군(n=6)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또는 메이밸런스 C의 12.5 Kcal/kg를 프로우브를 이용해 강제 경구 투여했다. 투여 직전(0분), 투여 30분, 60분, 90분, 120분 및 180분 후에 꼬리 정맥혈의 혈당치를 측정했다(피험물질 투여후는 절식 및 절수로 했다). 결과는 각각 평균치±표준편차(Mean±SE)로 나타냈다. 각 군사이의 유의차는 Student-t test로 검정하여 5%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판정했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영양 조성물과 글루세르나 투여군의 혈당치은 0∼60분간은 거의 90∼130 mg/㎗ 정도의 값으로 추이했다. 한편, 메이밸런스 C의 혈당치는 30∼60분 후에 대략 140∼160mg/㎗ 정도까지 영양 조성물에 대해서 유의하게 상승했다.
즉,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정상 랫트에 대해서 섭취 후의 혈당치의 상승을 글루세르나와 거의 동일한 정도로 억제했다.
시험예 2 (스트렙토조신 유발 1형 당뇨병 모델 랫트의 혈당치에 미치는 효과)
(1) 6주령의 Sprague-Dawley(SD) 수컷 랫트(일본 SLC사)를 1주간, 보통먹이(CRF-1: Oriental Yeast Industry제)로 예비 사육한 후, 7 주령으로 실험에 제공했다. 스트렙토조신(STZ)(Wako Pure Chemicals)를 시트르산 완충액(pH 4.5, 0.05M)에 14 mg/㎖ 농도로 용해한 후, 즉시 70 mg/5㎖/kg을 랫트의 복강내에 주사했다. STZ를 주사한 후에는 보통먹이와 물을 주어 1주간 사육했다. 다음 날 저녁부터 18시간 절식한(물만 자유섭취) 후, 꼬리 정맥혈의 혈당치를 측정했다. 혈당치의 평균이 각 군 사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실시예 2에서 조제한 영양 조성물 투여군,비교 대조로서 메이밸런스 C 투여군의 2군(n= 6)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 영양 조성물, 또는 메이밸런스 C의 12.5 Kcal/kg을 프로우브를 이용해 강제 경구 투여했다. 투여 직전(0분), 투여 30분, 60분, 90분, 120분 및 180분 후에 꼬리 정맥혈의 혈당치를 측정했다. 메이밸런스 C는 100 Kcal/100㎖이며, 에너지 비율은 단백질 16%, 지질 25%, 당질 59%이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각 군의 측정치는 각각 평균치±표준편차(Mean±SE)로 나타냈다. 각 군사이의 유의차는 Student-t test로 검정하여 5% 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판정했다.
메이밸런스 C와 영양 조성물과의 혈당치의 경시적 추이를 비교하면, 메이밸런스 C는 투여후부터 점차 혈당치가 상승하고, 60분 후에 대략 350 mg/㎗ 정도까지 상승했다. 메이밸런스 C에 대해, 영양 조성물은 투여 60∼120분 후에 약간의 혈당치의 상승 정도로 거의 같은 수준으로 추이하고, 60분 후에서는 메이밸런스 C에 비해 유의하게 혈당치의 상승이 억제되었다.
STZ 유발 당뇨병은 췌장의 B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함으로써 고혈당을 나타내는 인슐린 결핍성의 실험적 당뇨병 모델(Steiner, H. et a1.: Diabetologia, 6, 558, 1970; Hoftiezer, V. and Carpenter, A. M.: Diabetologia, 9, 178, 1973)이다. STZ의 췌장 B세포 장해 효과는 투여량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췌장 B세포의 파괴의 정도가 크고, 재생이 적은 경우, 저인슐린혈증과 현저한 고혈당이 발증한다(Blondel, O. et a1.: Diabetes, 38, 610, 1989). 이 병태는 인슐린 의존성 1형 당뇨병(IDDM)에 유사하다.
STZ 유발 당뇨병 랫트를 이용한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기존의 일반적인 유동식과 비교하여 인슐린 결핍성의 1형 당뇨병에서도 혈당치의 상승을 완화하는 작용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2) 6주령의 Sprague-Dawley(SD) 수컷 랫트(Japan SLC)를 1주간, 보통 먹이(CRP-l: Oriental Yeast Industry)로 예비 사육한 후, 7주령으로 실험에 제공했다. 스트렙토조신(STZ)(Wako Pure Chemicals)를 시트르산 완충액(pH 4.5, 0.05M)으로, 14 mg/㎖ 농도로 용해한 후, 즉시 70 mg/5㎖/kg을 랫트의 복강내에 주사했다. STZ를 주사한 후에는 보통먹이와 물을 주어 1주간 사육했다. 다음날 저녁부터 18시간 절식(물만 자유 섭취)시킨 후, 꼬리 정맥혈의 혈당치를 측정했다. 혈당치의 평균이 각 군 사이에 동일(260∼270 mg/㎗)하게 되도록, 실시예 2에서 조제한 영양 조성물 투여군, 비교대조로서 글루세르나 투여군 및 메이밸런스 C투여군의 3군(n= 6)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또는 메이밸런스 C의 12.5 Kcal/kg을 프로우브를 이용해 강제 경구 투여했다. 투여 직전(0분), 투여 30분, 60분, 90분, 120분 및 180분 후에 꼬리 정맥혈의 혈당치를 측정했다. 결과는 각각 평균치±표준편차(Mean±SE)로 나타냈다. 각 군 사이의 유의차는 Student-t test로 검정하고, 5% 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판정했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영양 조성물은 투여 후 60분에서, 혈당치는 270mg/㎗에서 300mg/㎗로 약간 상승하고, 그 후 120분 후까지 거의 같은 값으로 추이하고, 180분 후에는 투여전의 값까지 저하했다. 글루세르나도 영양 조성물과 같은 혈당치로 추이했다. 한편, 메이밸런스 C는 투여 후 60분에서 혈당치는 270mg/㎗ 에서 350mg/㎗까지 상승하고,180분 후에는 영양 조성물 및 글루세르나와 거의 같은 값까지 저하했다.
즉,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1형 당뇨병 모델 랫트의 혈당 상승을 글루세르나와 거의 동일한 정도로 억제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유동식의 하나인 메이밸런스 C와 비교하여 유의한 혈당치의 상승억제를 나타낸 것으로부터, 본 영양 조성물은 인슐린 결핍성의 1형 당뇨병(IDDM)에서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3 (자연 발증 2형 당뇨병(GK 랫트) 랫트에 대한 작용)
(1) 5주령의 수컷 GK 랫트(CLEA Japan)를 2주간 보통먹이(CRF-1: Oriental Yeast Industry)로 예비 사육한 후, 7주령으로 실험에 제공했다. 꼬리 정맥의 혈당치를 측정하여 혈당치의 평균이 각 군 사이 동일하게 되도록, 실시예 3에서 조제한 영양 조성물의 투여군, 비교 대조로서 글루세르나 투여군 및 메이밸런스 C투여군의 3 군(n= 6)으로 나누었다.
18시간 절식(물만 자유음수) 후,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혹은 메이밸런스 C의 12.5 Kcal/kg을 프로우브를 이용해 강제 경구 투여했다. 투여 직전(0분), 투여 30분, 60분, 90분, 120분, 및 180분 후에 꼬리 정맥혈의 혈당치를 측정했다. 결과는 각각 평균치±표준편차(Mean±SE)로 나타냈다. 각 군 사이의 유의차는 Student-t test에 의해 검정하고, 5% 미만을 유의로 판정했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각 실험군에 있어서의 경구투여 후의 혈당치의 추이를 보면, 영양 조성물 투여군과 글루세르나 투여군은 함께 투여 후, 30분까지는 혈당치가 100 mg/㎗정도에서 150 mg/㎗정도까지 완만하게 상승하고, 그 후에도 120분 경까지는 거의 150 mg/㎗ 전후로 추이하고, 양군 사이에 유의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메이밸런스 C투여군의 혈당치는 투여 후 60분에는 210 mg/㎗ 정도까지 상승했다. 메이밸런스 C의 혈당치는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 및 글루세르나에 대해서 유의로 상승하고, 이후 120분까지 유의인 혈당 상승을 나타냈다.
GK 랫트는 내당능 저하를 지표로서 Wister계 랫트의 선택 교배에 의해 만들어진 자연 발증형의 당뇨병 모델 동물이었다(Goto Y. et a1.: Proe. Jap. Aead., 51: 80, 1975; Gota Y. et a1.: Tohoku J. Exp. Med., 119: 85, 1976). 이 랫트에서는 비만은 보이지 않고, 고혈당, 내당능의 저하 및 글루코오즈 자극성 초기 인슐린 분비 반응의 저하가 보이고 있다(Gato Y, Kakizaki M.: Proe. Jap. Aead., 57: 381, 1981 ; Kimura K. et. a1.: Tohoku J. Exp. Med., 137: 453, 1982 ; Toyota T. et a1.: Diabetologia, 14: 319, 1987 ; Sugiyama Yasuo, et al.: Diabetes 32: 593, 1989).이들은 사람의 비비만형 인슐린 비의존형의 2형 당뇨병의 병태에 매우 유사하며 NIDDM의 동물 모델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을 GK 랫트에게 경구 투여하면, 통상의 유동식의 경구투여 후에 보여지는 혈당치의 상승이, 글루세르나와 거의 동일한 정도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당뇨병 전체의 약 95%를 차지하는 2형 당뇨병의 영양 관리와 혈당 콘트롤에 유용하다.
이상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섭취 후의 혈당치의 상승이 완화되고, 인슐린 결핍성의 1형 당뇨병 및 인슐린 저항성의 2형 당뇨병에 대해서,섭취 후의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4 (자연 발증 2형 당뇨병 마우스의 장기 투여에 있어서의 효과)
동물은 C57BL/KsJ-db/db Jcl 마우스(수컷)의 7주령을 구입(CLEA, Japan)하여 보통먹이(CRF -1, Oriental Yeast Industry)로 1주간의 순화시킨 후, 8주령에서 사용했다. 보통먹이의 포식시의 혈당치 및 HbA1c(DCA2000 시스템, Bayer Medical)치를 측정하고, 혈당치의 평균이 각 군 사이에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영양 조성물 분체 투여군, 글루세르나 분체 투여군 및 메이밸런스 C 분체 투여군의 3군(n= 8)으로 나누었다(군나눌 때의 측정치를 Day 0). 군나누기 후 다음날부터, 각 군에게 보통먹이 대신에 실시예 4에서 조제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또는 메이밸런스 C 분체 및 물을 9주간 자유 섭취시켰다.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또는 메이밸런스 C의 분체 섭취량으로부터 각 군의 섭취 에너지를 산출했다.
자유 섭취 후는 당뇨병 병태의 지표가 되는 혈당치 및 헤모글로빈 Alc(HbAlc)을 정기적(1회/주, 오후 2시∼4시)으로 측정했다. HbAlc는 글루코오즈와 헤모글로빈의 결합물이다. 사람에서는 혈당치가 채혈 시점의 순간의 값을 나타내는데 대해, HbAlc는 채혈 시점보다 거슬러 올라가 1∼3개월간의 혈당 콘트롤 상태를 반영하므로, 장기간의 혈당 콘트롤의 양부를 판정하는 검사로서 의료시설에서 이용되고 있다.
9주간 자유 섭취 후, 18시간 절식(물만 자유 섭취)하고, 디에틸에테르 마취하에서 채혈·부검하였다. 혈청을 분리한 후, 혈청 GOT 및 혈청 GPT를 DRI-CHEM3500(FUJI FILM)으로 측정했다. 간장을 적출하고, 간장중의 중성 지방 축적량을 Folch 들의 방법에 따라 지질을 추출하고, "Iatroscan"(Iatron Laboratories, Inc.)로 지질 성분으로서 정량 분석했다. 1차 전개용매는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 50: 20: 2.5를 사용하고, 2차 전개용매는 헥산: 디에틸에테르: 포름산 =65: 5: 0.15를 사용했다.
측정 결과는 평균치±표준편차(Mean±S.D.)로 나타냈다. 각 군 사이의 유의차는 Mann-Whitney의 U 검정에 의해, 5% 미만을 유의로 판정했다.
〈결과〉
영양 조성물군의 섭취 에너지는 9주간 거의 일정하게 추이했다. 한편, 글루세르나군의 섭취 에너지는 섭취 개시의 3주 이후부터 점차 감소했다. 메이밸런스 C의 섭취 에너지는 섭취 개시 4주 이후부터 감소하고, 5주이후∼8주에서는 글루세르나와 동일한 정도로 되었다. 9주간의 체중 추이를 도 7에 나타낸다.
영양 조성물 및 글루세르나 분체 섭취군은 메이밸런스 C분체 섭취군에서 전체 기간을 통해서 체중의 증가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혈당치는 영양 조성물 또는 글루세르나 섭취군에서는 동일한 정도로 추이하고, 섭취 개시전의 500 mg/㎗ 전후의 값에서 4주째 경까지 추이했다. 한편, 메이밸런스 C섭취군에서는 혈당치는 섭취 개시 1주일 경부터 영양 조성물 또는 글루세르나 섭취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3주∼4주 경에서는 영양 조성물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졌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HbA1c는 17일경까지 모든 군으로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 24일째에는 영양조성물의 HbA1c는 메이밸런스 C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지고, 31일째에는 영양 조성물의 그것은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다.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혈당치는 5주째에 메이밸런스 C군에서 측정 한계치를 넘어 6주째에서는 혈당치 및 HbA1c가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의 양군에서 측정 한계치를 넘었기 때문에, 이후의 혈당치 및 HbA1c의 측정은 중지했다.
9주간, 각각의 분체 섭취 후의 혈청 GOT 및 GPT치는 글루세르나군의 혈청 GOT와 혈청 GPT치가 영양 조성물군 및 메이밸런스 C군의 그러한 값에 대해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결과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다.
글루세르나 섭취군의 간장은 해부시의 육안 관찰에서도 현저한 지방간을 나타내고 있었다. 한편, 영양 조성물 및 메이밸런스 C군은 특히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간장중의 중성 지방 축적량 및 간장 1 g당 중성 지방량은 글루세르나 섭취군에서 영양 조성물 및 메이밸런스 C섭취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아졌다. 결과를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다.
C57BL/KsJ-db/db Jcl 마우스는 C57BL/6J 계 마우스로부터 분기한 C57BL/KsJ 계 콜로니 중에서, 과식, 비만 및 고인슐린혈증 등 현저한 당뇨병 증상을 자연 발증하는 돌연변이계로서 1966년에 발견되었다. 이 마우스는 2형 당뇨병 병태를 나타내는 비만형 당뇨병 마우스이다. 이 마우스는 생후 4∼5주령경보다 비만이 시작되어, 체중 증가에 수반해 혈당치는 6∼7주령경보다 상승하기 시작한다. 비만은 과식에 의해 일으켜진다고 여겨지고 있다. 비만, 당뇨병 및 그 합병증의 발증 기구의해석 구명, 혈당 강하제의 약리·스크리닝 등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마우스를 이용한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당대사이상 환자의 영양 관리와 혈당 콘트롤에 이용되고 있는 글루세르나에 비하여 장기간의 혈당 콘트롤 및 지질 대사가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 발견된 종래의 영양 조성물에는 보여지지 않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을 예방하기에는 장기간의 양호한 혈당 콘트롤의 유지가 가장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의 HbA1c를 7%이하에 유지할 수 있으면, 망막증이나 신부전의 발증, 진전이 억제된다고 보고되어 있다(N Engl J Med 329:977-986, 1993; Diabetes Care 20:621-622, 1997; UKPDS 33. Lancet 352: 854-865, 1998).
또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당대사 이상 환자의 영양 관리를 향상시키는 데 글루세르나와 거의 유사하다.
시험예 5 (정상 마우스의 장기 투여에 있어서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효과)
동물은 C57BL/6Jc1 마우스의 4주령을 구입(CLEA, Japan)하여 보통먹이(CRF-1, Oriental Yeast Industry)로 1주간 순화하고, 5주령에서 사용했다. 각 개체의 체중을 측정한 후, 각 군간에서의 체중의 평균이 거의 같은 레벨이 되도록 하고, 영양 조성물 분체 투여군, 글루세르나 분체 투여군 및 메이밸런스 C투여군의 3군(n= 9)으로 나누었다(군나누기시의 측정치를 0일째로 했다). 군나누기 후, 각 군에 보통먹이 대신에 실시예 4에서 조제한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또는 메이밸런스 C를 자유 섭취시키고, 정기적으로 체중 및 섭이량을 측정했다. 1개월간 자유섭취 후, 디에틸에테르 마취 조건하에서 안와(orbit)로부터 헤파린 처리한 튜브로 채혈했다. 채혈 후에 개복하고, 간장, 신장, 비장, 부고환지방 및 후복막지방을 적출하고, 중량을 측정했다. 적출 간장의 일부를 0.5% Triton X-100/0.85%NaCl로 호모지나이즈 처리한 후, 원심조작(10,000rpm, 10분간)에 의해 상청을 회수했다. 상청중의 총 콜레스테롤을 콜레스테롤 E -테스트 와코; 중성 지방을 트리글리세라이드 테스트와코(Wako Pure Chemicals)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결과는 모두 Mann-Whitney의 U 검정으로 통계 처리했다. 결과는 평균치±표준편차로 나타내고, 다른 문자에서는 유의차를 나타내고, 같은 문자에서는 유의차가 없다.
영양 조성물,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분체의 1개월간, 자유 섭취에 있어서의 섭취 에너지(섭이량으로부터 에너지에 환산) 추이는 각 군 사이에서 거의 차이가 없게 동일한 정도의 섭취 에너지이었다. 체중 추이는 현저한 발육 성장기의 5주∼7주령까지는 각 군간에 대부분 차이가 없게 동일한 정도로 체중이 증가였다. 그러나, 성 성숙기의 7주령 이후로부터 시험 종료일의 9주령에서, 영양 조성물군이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의 양군에 비해 유의하게 체중의 증가의 성장이 낮았다. 섭취 에너지 추이의 결과를 도 14에, 체중 추이의 결과를 도 15에 나타낸다.
1개월간 자유 섭취시킨 후, 해부시의 육안 관찰에서는 특히 각 군에 있어서 장기의 이상은 보이지 않았지만, 내장 지방의 양은 분명히 차이가 있었다. 육안 관찰에 의한 내장 지방은 영양 조성물군에 비해, 메이밸런스 C군이 현저히 많고, 다음에 글루세르나군이 많았다. 후복막 지방량(%/체중)과 내장 지방의부고환지방량(%/체중)은 영양 조성물군이 메이밸런스 C군과 비교해 유의하게 낮은 값이었다. 후복막지방량(%/체중)의 결과를 도 16에, 부고환지방량(%/체중)의 결과를 도 17에 나타낸다. 이들의 내장 지방량은 영양 조성물군은 글루세르나군과 비해 저하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한 차는 아니었다. 간장 1 g당 중성 지방은 영양 조성물군, 글루세르나군 및 메이밸런스 C군으로 대부분 같은 값이었지만, 간장 1 g당 콜레스테롤량은 영양 조성물군이 글루세르나군 및 메이밸런스 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이었다.
성장기에 있는 마우스에 영양 조성물을 2주간(5주령∼7주령) 주었을 경우는 대조로서 준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와 거의 동량의 섭취 에너지에서 동일한 정도의 체중증가를 나타낸 것으로부터 발육의 현저한 성장기에서는 영양 조성물은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와 동일한 정도로 발육하는 것이 나타났다. 한편, 7주령 이후의 성성숙기부터의 섭취 에너지는 각 군에서 바뀌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영양 조성물군의 체중이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추이했다. 이 결과로부터, 영양 조성물은 성성숙한 마우스에서는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에 비해 체중 증가의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주요한 내장 지방으로 부고환 지방량 및 후복막 지방량이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군에 비해 영양 조성물군에서 낮은 값인 것으로부터, 영양 조성물의 체중 증가의 억제는 내장 지방의 축적이 억제된 결과인 것으로 고찰된다. 영양 조성물은 메이밸런스 C와 비교해 섭취 후의 혈당치 및 혈청 인슐린치가 낮은 것이 검증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영양 조성물은 저G.I.(글리세믹인덱스) 식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영양 조성물은 당뇨병 환자뿐만 아니라, 비만 예방 및 다이어트용의 식품이라고 해도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팔라티노오즈(palatinose)는 글루코오즈와 프락토오즈가 α-1,6 결합한 헤테로디사카라이드이고, 자당과 마찬가지로 글루코오즈와 프락토오즈로 소화되어 흡수되나[Toshinao Aida, et al.,: 日本榮養·食糧學會誌, Vol. 36(3), 169-173, 1983], 그의 가수분해 속도가 자당의 1/5로 느리기 때문에[Tsuji Y. et al.: Nutr. Sci. Vitaminol., 32, 93-100, 1986], 섭취 후의 혈중 글루코오즈 및 인슐린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장시간 유지한다(Kawai, K. et al.: Endocrinol, Japan, 32(6), 933-936, 1985].
트레할루로오즈(trehalulose)는 글루코오즈와 프락토오즈가 α-1,1 결합한 헤테로디사카라이드이고, 팔라티노오즈에 매우 유사한 생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소화성이며 충치를 일으키지 않는 감미료이다. 팔라티노오즈와 같이, 소장에서 이소마르타제에 의해, 글루코오즈와 프락토오즈로 소화되어 흡수된다. 소장에서의 가수분해 속도는 자당의 1/3, 팔라티노오즈의 2배 정도이다[Yamada K., Shinohara H. et al.: Nutrition Reports International, 32 (5), 1211-1219, 1985].
한편, 일본 후생성(후생노동성)은 포화 지방산(SFA: 팔미틴산, 스테아린산등): 1가 불포화 지방산(MUFA: 올레인산 등): 다가 불포화 지방산(PUFA: 리놀산, 리놀렌산 등)의 바람직한 섭취 비율을 종래의 1: 1.5: 1에서 3: 4: 3으로 되도록, 또한, n-6계 지방산: n-3계 지방산의 비율이 4: 1이 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일본국에 있어서, MUFA의 섭취비를 1.5배까지 높인 식생활의 실시는 어려운 것이 이유의 하나이다.
본 발명자들은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특정의 에너지 비율이 되도록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을 조제하여 정상 동물의 공복시 혈당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이 영양 조성물은 당뇨병 환자용 유동식 "글루세르나"와 거의 동등의 혈당 상승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다음에, 실험적 당뇨병 모델 동물, 한층 더 자연발증 당뇨병 모델 동물을 이용해 혈당 상승 억제 효과 또는 병태의 개선 효과를 조사한 결과, 이 영양 조성물은 글루세르나와 거의 동등의 혈당 상승 억제작용을 나타냄과 동시에, 글루세르나에 대해서 유의한 지질 대사 개선작용을 나타냈다. 또한, 사람 정상인에 있어서의 이 영양 조성물의 1회 음료 시험에 있어서, 음료 후의 인슐린치는 메이밸런스 C 에 비해 낮은 값으로 추이했다. 또한, 정상 동물의 내장 지방 축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본 영양 조성물은 글루세르나 및 메이밸런스 C에 비해 내장 지방 축적을 억제했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영양 조성물이 당뇨병 환자, 내당능 이상자를 위한 혈당치 콘트롤용 및 비만 예방용으로서 유용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로, 에너지 비율이 단백질 10∼25%, 지질 20∼35% 및 당질 40∼60%이고, 또한, 지방의 에너지 비율중의 올레인산이 60∼90%, 당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팔라티노오즈 및/또는 트레할루로오즈가 60∼100%인 혈당치 콘트롤용 및 비만 예방용 영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에너지 비율이 단백질 10∼25%, 지질 20∼ 35 % 및 당질 40∼60%이고, 더욱이, 지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올레인산이 60∼90%, 당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팔라티노오즈 및/또는 트레할루로오즈가 60∼100%인 조성물의 혈당치 콘트롤용 및 비만 예방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로, 에너지 비율이 단백질 10∼25%, 지질 20∼35% 및 당질 40∼60%이고, 더욱이, 지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올레인산이 60∼90%, 당질의 에너지 비율 내의 팔라티노오즈 및/또는 트레할루로오즈가 60∼100%인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치의 콘트롤 방법 및 비만 예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당뇨병 환자 및 내당능 이상자의 영양 관리, 혈당 콘트롤 및 비만 예방을 위한 경구·경관영양제, 치료식, 재택용 당뇨병식, 비만 예방식, 또는 보건 기능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1형 및 2형 당뇨병 환자의 영양 관리나 혈당 콘트롤 및 비만 예방을 위한 영양 조성물로서 혹은 중독 뇌장해나 두부외상(대사항진 및 이화항진에 의한 고혈당증의 유발) 환자, 수술후 고령 환자에 있어서의 경관·경장영양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36)

  1.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로서 에너지 비율이 단백질 10∼25%, 지질 20∼35% 및 당질 40∼60%이고, 또한, 지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올레인산이 60∼90%, 당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팔라티노오즈 및/또는 트레할루로오즈가 60∼100%인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우유 인지질, 대두 레시틴, 하이오레익 해바라기유 및 들기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당뇨병 환자, 내당능 이상자용 또는 비만 예방용의 영양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재택용 당뇨병식 또는 비만 예방식인 영양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경구·경관(장) 영양제인 영양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치료식인 영양 조성물.
  7. 제 3항에 있어서, 보건 기능 식품인 영양 조성물.
  8.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로서, 에너지 비율이 단백질 10∼25%, 지질 20∼35% 및 당질 40∼60%이고, 또한, 지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올레인산이 60∼90%, 당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팔라티노오즈 및/또는 트레할루로오즈가 60∼100%인 비만 예방용 영양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우유 인지질, 대두 레시틴, 하이오레익 해바라기유 및 들기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경구·경관(장) 영양제인 영양 조성물.
  11. 제 8항에 있어서, 치료식인 영양 조성물.
  12. 제 8항에 있어서, 보건 기능 식품인 영양 조성물.
  13.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에너지 비율이 단백질 10∼25%, 지질 20∼35% 및 당질 40∼60%이고, 또한, 지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올레인산이 60∼90%, 당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팔라티노오즈 및/또는 트레할루로오즈가 60∼100%인 조성물의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14. 제 13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우유 인지질, 대두 레시틴, 하이오레익 해바라기유 및 들기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15. 제 14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당뇨병 환자, 내당능 이상자용 또는 비만 예방용의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16. 제 1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재택용 당뇨병식 또는 비만 예방식인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17. 제 1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경구·경관(장) 영양제인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18. 제 1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치료식인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19. 제 1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보건 기능 식품인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20.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에너지 비율이 단백질10∼25%, 지질 20∼35% 및 당질 40∼60%이고, 한편, 지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올레인산이 60∼90%, 당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팔라티노오즈 및/또는 트레할루로오즈가 60∼100%인 조성물의 비만 예방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21. 제 20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우유 인지질, 대두 레시틴, 하이오레익 해바라기유 및 들기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것인 비만 예방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22. 제 20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경구·경관(장) 영양제인 비만 예방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23. 제 20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치료식인 비만 예방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24. 제 20항에 있어서, 보건 기능 식품인 비만 예방용 영양 조성물 제조를 위한 사용.
  25.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로서, 에너지 비율이 단백질 10∼25%, 지질 20∼35% 및 당질 40∼60%이고, 또한, 지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올레인산이 60∼90%, 당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팔라티노오즈 및/또는 트레할루로오즈가 60∼ 100%인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치의 콘트롤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우유 인지질, 대두 레시틴, 하이오레익 해바라기유 및 들기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것인 방법.
  27.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당뇨병 환자, 내당능 이상자용 또는 비만 예방용의 것인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재택용 당뇨병식 또는 비만 예방식인 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경구·경관(장) 영양제인 방법.
  30. 제 2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치료식인 방법.
  31. 제 2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보건 기능 식품인 방법.
  32.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로서, 에너지 비율이 단백질 10∼25%, 지질 20∼35% 및 당질 40∼60%이고, 또한, 지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올레인산이 60∼90%, 당질의 에너지 비율중의 팔라티노오즈 및/또는 트레할루로오즈가 60∼100%인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우유 인지질, 대두 레시틴, 하이오레익 해바라기유 및 들기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것인 방법.
  34. 제 3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경구·경관(장) 영양제인 방법.
  35. 제 3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치료식인 방법.
  36. 제 3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보건 기능 식품인 방법.
KR1020047002459A 2001-09-07 2002-09-06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KR100926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2463 2001-09-07
JP2001272463 2001-09-07
JPJP-P-2002-00073141 2002-03-15
JP2002073141 2002-03-15
JP2002160602 2002-05-31
JPJP-P-2002-00160602 2002-05-31
PCT/JP2002/009092 WO2003022288A1 (fr) 2001-09-07 2002-09-06 Compositions nutritionnelles permettant de reguler le niveau de glucose sangu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455A true KR20040044455A (ko) 2004-05-28
KR100926944B1 KR100926944B1 (ko) 2009-11-17

Family

ID=2734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459A KR100926944B1 (ko) 2001-09-07 2002-09-06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7641924B2 (ko)
EP (1) EP1424074B1 (ko)
JP (1) JP3545760B2 (ko)
KR (1) KR100926944B1 (ko)
CN (3) CN107875118A (ko)
AT (1) ATE368467T1 (ko)
AU (1) AU2002330496B2 (ko)
BR (1) BR0212369A (ko)
CA (1) CA2458325C (ko)
DE (1) DE60221541T2 (ko)
DK (1) DK1424074T3 (ko)
ES (1) ES2289142T3 (ko)
HK (1) HK1247107A1 (ko)
MY (1) MY135783A (ko)
NZ (1) NZ531255A (ko)
TW (2) TWI359021B (ko)
WO (1) WO20030222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229A (ko) * 2012-10-25 2015-07-06 런 뎀 스위트, 엘엘씨 인간과 환자의 영양 요구를 측정, 평가하고 그 영양 요구의 충족을 돕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75630C (en) * 2002-02-12 2011-01-18 Hunza Di Pistolesi Elvira & C. S.A.S. N-acyl-phosphatidyl-ethanolamines and/or mixtures of n-acyl-ethanolamines with phosphatidic acids or lysophosphatidic acids
SE526943C2 (sv) * 2002-08-26 2005-11-22 Indevex Ab Födoämneskompositionsprodukt
JP4048166B2 (ja) * 2002-11-18 2008-02-13 三井製糖株式会社 血糖値上昇抑制剤及び体脂肪蓄積抑制剤並びに食用材料
JP4851902B2 (ja) * 2002-11-18 2012-01-11 三井製糖株式会社 体脂肪蓄積抑制剤
CN100448374C (zh) * 2002-11-18 2009-01-07 三井制糖株式会社 血糖值上升抑制剂、体脂肪蓄积抑制剂以及食用材料
TWI317636B (en) * 2002-11-22 2009-12-01 Meiji Dairies Corp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liver disease patients or for patients underhigh levels of invasive stress
WO2004084655A1 (en) * 2003-03-24 2004-10-07 Cerestar Holding B.V. Comestibles containing isomaltulose and trehalose for sustained carbohydrate energy release and reduced glycemic/insulinemic responses, and for preserving osmolality
DE10324548A1 (de) * 2003-05-28 2004-12-16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Diätisches Lebensmittel bei einer gewichtskontrollierenden bzw. gewichtsreduzierenden Ernährung
CA2573261A1 (en) * 2004-07-09 2006-01-19 Meiji Dairies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enhancing the production of ppar and/or ppar-associated factors
EP1791443A1 (en) 2004-08-20 2007-06-06 Cargill, Incorporated Ingredient systems comprising trehalose, food products containing trehalos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8231925B2 (en) 2004-08-20 2012-07-31 Cargill, Incorporated Ingredient systems comprising trehalose, food products containing trehalose,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1811865B1 (en) * 2004-11-26 2008-07-16 N.V. Nutricia Infant nutrition with protease inhibitor
JP4893907B2 (ja) * 2005-03-11 2012-03-07 公立大学法人島根県立大学 1型糖尿病用献立判定装置および1型糖尿病用献立判定プログラム
US8283327B2 (en) * 2005-03-19 2012-10-09 Kneller Bruce W Palatinose for enhancing dietary supplement and pharmaceutical delivery
JP5000874B2 (ja) * 2005-03-29 2012-08-15 三井製糖株式会社 スクラーゼ活性又はグルコアミラーゼ活性を阻害する剤
WO2006108008A2 (en) * 2005-04-06 2006-10-12 Novartis Ag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nutritionally improving glucose control and insulin action
CA2620366C (en) * 2005-08-26 2014-04-01 Nestec S.A. Nutrition for obese patients
US20070166354A1 (en) 2005-10-26 2007-07-19 Bridget Barrett-Reis Method of reducing the risk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 preterm infants
JPWO2007060947A1 (ja) * 2005-11-22 2009-05-07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健康食用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健康食及び健康食セット
AU2006340316B2 (en) * 2006-03-23 2013-03-28 Nestec S.A. High-calorie nutritional supplement
CN101410101A (zh) * 2006-03-31 2009-04-15 明治乳业株式会社 抗脂肪沉积用组合物
NZ571807A (en) * 2006-04-07 2013-05-31 Megmilk Snow Brand Co Ltd Fat accumulation inhibitor
DE102006017611A1 (de) * 2006-04-12 2007-10-25 Südzucker AG Mannheim/Ochsenfurt Kohlenhyrathaltige Sportgetränke
EP1880612A1 (fr) * 2006-07-17 2008-01-23 Corman S.A. Ingrédient laitier enrichi en lipides polaires et applications de celui-ci
ATE410929T1 (de) * 2006-07-24 2008-10-15 Unilever Nv Verbessertes getränk
CN103494196A (zh) * 2006-10-19 2014-01-08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老年人的长期喂养
JP4814774B2 (ja) * 2006-12-06 2011-11-16 花王株式会社 肥満調節剤の評価方法
JP5208428B2 (ja) * 2007-01-30 2013-06-12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美肌剤
JPWO2008093848A1 (ja) * 2007-02-02 2010-05-20 サンスター株式会社 ホスファチジルコリンを含有する炎症マーカー低減組成物
DE102007009029A1 (de) 2007-02-23 2008-09-04 Südzucker AG Mannheim/Ochsenfurt Niedrig-glykämische Mischungen
FR2918543A1 (fr) * 2007-07-09 2009-01-16 Routinsa Sa Compositions alimentaires enrichies en acides insatures a base de graines d'oleagineux.
WO2009072886A1 (en) * 2007-12-05 2009-06-11 N.V. Nutricia Protein-dense micellar casein-based liquid enteral nutritional composition
DE102008007072A1 (de) 2008-01-31 2009-08-13 Südzucker Aktiengesellschaft Mannheim/Ochsen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fermentierbarer Getränke
JPWO2009096579A1 (ja) * 2008-02-01 2011-05-26 味の素株式会社 高血糖抑制用栄養組成物
EP2100604B1 (en) * 2008-03-10 2012-07-04 Nestec S.A. Medium chain dicarboxylic acids and their derivates and metabolic disorders
CA2676518A1 (en) * 2008-08-29 2010-02-28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Whey protein pre-load
US20100267658A1 (en) * 2009-04-15 2010-10-21 Sudzucker Aktiengesellschaft Mannheim/Ochsenfurt Trehalulose-containing composition, its preparation and use
WO2011112074A1 (en) * 2010-03-11 2011-09-15 N.V. Nutricia Novel glucose tolerance test and composition for use
RU2013103519A (ru) * 2010-06-28 2014-08-10 Нестек С.А. Рецептуры для кормления через зонд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WO2012074375A1 (en) * 2010-12-01 2012-06-07 N.V. Nutricia Prevention or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P5905246B2 (ja) * 2010-12-16 2016-04-20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インスリン分泌促進剤
WO2012073965A1 (ja) * 2010-12-01 2012-06-07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インスリン分泌促進剤
JP2012116795A (ja) * 2010-12-01 2012-06-21 Nisshin Oillio Group Ltd インスリン分泌促進剤
JP5718293B2 (ja) 2011-09-15 2015-05-13 花王株式会社 Gip上昇抑制剤
US9897565B1 (en) 2012-09-11 2018-02-20 Aseko,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insulin dosages for diabetic subjects
US9171343B1 (en) 2012-09-11 2015-10-27 Aseko, Inc. Means and method for improved glycemic control for diabetic patients
USD743972S1 (en) * 2013-02-22 201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USD742390S1 (en) * 2013-02-22 2015-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DE102013011977A1 (de) 2013-07-18 2015-01-22 Südzucker Aktiengesellschaft Mannheim/Ochsenfurt Optimierte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Isomaltulose-haltigen Zusammensetzung
US9486580B2 (en) 2014-01-31 2016-11-08 Aseko, Inc. Insulin management
US9898585B2 (en) 2014-01-31 2018-02-20 Aseko, Inc. Method and system for insulin management
US11081226B2 (en) 2014-10-27 2021-08-03 Aseko, Inc. Method and controller for administering recommended insulin dosages to a patient
AU2015339576B2 (en) 2014-10-27 2020-02-06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D780213S1 (en) 2015-04-06 2017-02-28 Dom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9524S1 (en) * 2015-04-06 2017-02-21 Dom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alytics
US9467745B1 (en) 2015-04-06 2016-10-11 Domo, Inc. Viewer traffic visualization platform
USD778933S1 (en) 2015-04-06 2017-02-14 Dom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6655S1 (en) 2015-04-06 2018-12-25 Dom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744070B2 (en) 2015-06-19 2020-08-1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Enteral fast access tract platform system
CA2990230A1 (en) 2015-06-19 2016-12-22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ified nutrient delivery
USD769908S1 (en) 2015-08-07 2016-10-25 Dom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alytics
EP3337402A4 (en) 2015-08-20 2019-04-24 Aseko, Inc. THERAPY ADVISER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CN105532869A (zh) * 2015-12-08 2016-05-04 石家庄君乐宝乳业有限公司 持续提供能量的无蔗糖风味发酵乳及其制备方法
ES2862774T3 (es) * 2016-04-11 2021-10-07 Nestle Sa Nutrición infantil que proporciona beneficios metabólicos
CN105995980B (zh) * 2016-05-20 2019-04-05 武汉天天好生物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体重管理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A3042592A1 (en) * 2016-11-04 2018-05-11 Immd Sp. Zo.O Inteligent delivery of ingested and absorbed molecules
WO2018225055A1 (en) * 2017-06-09 2018-12-13 A1C Foods Ltd. Satiating edible compositions having low glycemic index value,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consuming same
CN111227254A (zh) * 2020-02-27 2020-06-05 赫斯提亚健康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用于辅助降血糖的碳水化合物组合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834A (en) 1975-07-12 1977-02-05 Ajinomoto Kk Method of producing food composition
JPS63112963A (ja) * 1986-10-30 1988-05-18 Mitsui Seito Kk 特殊飲食物
US5116819A (en) * 1989-05-05 1992-05-26 Clintec Nutrition Co. Enteral diet for patients with pulmonary disease
US5198250A (en) * 1990-07-16 1993-03-30 Lipotech Partners Limited Partnership Fo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hort chain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methods of using
US5104676A (en) 1991-06-27 1992-04-14 Abbott Laboratories Weight control product
US5256640A (en) * 1991-09-30 1993-10-26 Sandoz Ltd. Gallstone mitigation by nutrient stimulated gallbladder contraction
US5260336A (en) * 1992-04-30 1993-11-09 New England Deaconess Hospital Corporation Monounsaturated fat as dietary supplement to minimize the effects of catabolic illness
US5470839A (en) 1993-04-22 1995-11-28 Clintec Nutrition Company Enteral diet and method for providing nutrition to a diabetic
NZ260933A (en) 1993-07-16 1996-07-26 Hercules Inc Cation-complexed polysaccharides; use in foods and pharmaceuticals
US5714472A (en) * 1993-12-23 1998-02-03 Nestec Ltd. Enternal formulation designed for optimized nutrient absorption and wound healing
US5843921A (en) * 1994-03-15 1998-12-01 Childrens Hospital Of Los Angeles Therapeutic food composition and method to diminish blood sugar fluctuations
US5605893A (en) * 1994-03-15 1997-02-25 Children's Hospital Of Los Angeles Method of using a therapeutic food composition to diminish blood sugar fluctuations in diabetic patients
DE19528461A1 (de) * 1995-08-03 1997-02-06 Braun Melsungen Ag Präparat zur Ernährung
MY115050A (en) * 1995-10-16 2003-03-31 Mead Johnson Nutrition Co Diabetic nutritional product having controlled absorption of carbohydrate
DE69731016T2 (de) 1996-03-04 2005-10-06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Herstellung einer Trehalulose enthaltende Polysaccharidzusammensetzung.
AU2556897A (en) * 1996-04-12 1997-11-07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Diabetic supplement bar
SE517520C2 (sv) * 1997-06-19 2002-06-11 Haldex Brake Prod Ab Anordning för lufttorkning försedd med omkopplingsventil i luftledning mellan luftkompressor och lufttorkare
EP1310173B2 (en) 1997-06-23 2014-12-3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mposition for providing nutrition to diabetics
JP3855486B2 (ja) * 1997-10-17 2006-12-13 味の素株式会社 キシリトールの製造法
JP3302346B2 (ja) 1999-10-08 2002-07-15 株式会社ファンケル 食品組成物
JP3195594B2 (ja) * 1999-11-02 2001-08-06 明治乳業株式会社 乳由来のリン脂質を配合した食品組成物。
GB2372446A (en) * 1999-11-08 2002-08-28 Los Angeles Childrens Hospital Methods for regulating blood glucose and appetite suppression in type 2 diabetics
US6207638B1 (en) * 2000-02-23 2001-03-27 Pacifichealth Laboratories, Inc. Nutritional intervention composition for enhancing and extending satiety
US6248375B1 (en) * 2000-03-14 2001-06-19 Abbott Laboratories Diabetic nutritionals and method of using
EP1296656B1 (en) 2000-06-27 2006-08-02 F. Hoffmann-La Roche Ag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AU2001278161A1 (en) * 2000-08-08 2002-02-18 Advanced Functional Foods International, Inc. Nutritional supplement for the management of we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229A (ko) * 2012-10-25 2015-07-06 런 뎀 스위트, 엘엘씨 인간과 환자의 영양 요구를 측정, 평가하고 그 영양 요구의 충족을 돕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45760B2 (ja) 2004-07-21
CN101897947A (zh) 2010-12-01
MY135783A (en) 2008-06-30
US20090143277A1 (en) 2009-06-04
JPWO2003022288A1 (ja) 2004-12-24
EP1424074A1 (en) 2004-06-02
HK1247107A1 (zh) 2018-09-21
ES2289142T3 (es) 2008-02-01
US7641924B2 (en) 2010-01-05
BR0212369A (pt) 2004-08-17
TWI332399B (en) 2010-11-01
WO2003022288A1 (fr) 2003-03-20
EP1424074B1 (en) 2007-08-01
TWI359021B (en) 2012-03-01
DE60221541T2 (de) 2007-11-22
ATE368467T1 (de) 2007-08-15
DK1424074T3 (da) 2007-10-01
US20050002988A1 (en) 2005-01-06
CN1553805A (zh) 2004-12-08
DE60221541D1 (de) 2007-09-13
CA2458325C (en) 2011-08-02
CA2458325A1 (en) 2003-03-20
EP1424074A4 (en) 2004-11-17
NZ531255A (en) 2005-08-26
KR100926944B1 (ko) 2009-11-17
US7815947B2 (en) 2010-10-19
CN107875118A (zh) 2018-04-06
TW201036618A (en) 2010-10-16
AU2002330496B2 (en)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944B1 (ko) 혈당치 콘트롤용 영양 조성물
US7790209B2 (en) Total enteral nutritious composition
JP5688818B2 (ja) 栄養組成物
JP2006503105A (ja) ロイシンに富んだ栄養的組成物
JP2015530412A (ja) カルシウムβ−ヒドロキシ−β−メチルブチレート、タンパク質および低レベルの電解質を含む栄養組成物
CA2573261A1 (en) Compositions for enhancing the production of ppar and/or ppar-associated factors
CA2903561C (en) Nutritional compositions including calcium beta-hydroxy-beta-methylbutyrate, casein phosphopeptide, and protein
WO2013148685A1 (en) Pea protein containing nutritional compositions
US20100035810A1 (en) Adiponectin production enhancer
US6468556B1 (en) Liver fat accumulation inhibitory composition, food additive for liver fat accumulation, inhibition, and method of inhibiting liver fat accumulation
US20150025143A1 (en) Beta-hydroxy-beta-methylbutyric acid for improving glucose tolerance
KR20090003282A (ko) 항지방축적용 조성물
JP2010053141A (ja) 栄養組成物
KR101355830B1 (ko) 알릴이소시아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N116546981A (zh) 使用至少一种甘氨酸或其衍生物和/或至少一种n-乙酰半胱氨酸或其衍生物以及至少一种百里酚和/或香芹酚的组合物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