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816A - 왕복식 전기면도기 - Google Patents

왕복식 전기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816A
KR20040035816A KR10-2004-7003962A KR20047003962A KR20040035816A KR 20040035816 A KR20040035816 A KR 20040035816A KR 20047003962 A KR20047003962 A KR 20047003962A KR 20040035816 A KR20040035816 A KR 20040035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lock
head block
support member
fre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004B1 (ko
Inventor
시바다케시
사토마사아키
모토하시료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5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10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reciprocating cutting elements, e.g. a pair of toothed shearing elements combined with a pair of perforated cutting elements or a combined toothed and perforated cutting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48Complete cutting head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8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 B26B19/282Motors without a rotating central drive shaft, e.g. linear mo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왕복식 전기면도기(1)를 제공한다. 이 왕복식 전기면도기(1)는, 본체 블럭(8)과 헤드 블럭(10)을 구비하며, 헤드 블럭(10)은, 그 좌우 양단 상부의 전후 위치에, 회전연결부(32)를 총 4곳에 구비하고, 본체 블럭(8)은, 각각 독립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총 4곳에 설치된 헤드 지지부재(37)와, 이들 헤드 지지부재(37)의 각각을 위쪽으로 밀어 부동(Float)시키는 헤드 부동 스프링(44)을 구비하며, 본체 블럭(8) 측의 각 헤드 지지부재(37)의 상단부를 4곳의 회전연결부(32) 각각에 본체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연결시키고, 헤드 블럭(10)을 본체 블럭(8)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한 것이다. 그 결과, 헤드 블럭(10)을 작은 누르는 힘으로 피부에 누른 경우에도, 헤드 블럭(10)이 양호하게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여 피부에 추종(追從)한다.

Description

왕복식 전기면도기{Reciprocation Type Electrical Shaver}
종래부터, 빠른 면도의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본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요동(搖動) 가능한 칼날 헤드(Head)를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가 복수의 칼날 헤드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왕복식 전기면도기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개소 62-22739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복수의 칼날 헤드를 구비한 헤드 블럭(Head Block)의 상단 부근에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헤드 블럭 전체의 전후 회전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다양한 면도방향에 대하여도 칼날 헤드가 피부에 추종(追從)하도록 고려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회전축이 헤드 블럭의 상단 부근에 있기 때문에, 피부와 접촉하는 외부 칼날과 회전축의 거리가 짧고, 피부에 대하여 외부 칼날이 경사져 접한 경우에 가압력이 작으면 헤드 블럭이 회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헤드 블럭을 거의 부동(Float)시킬 수(위쪽으로 밀어 자유롭게 요동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좌우방향으로 추종할 수 밖에 없다거나 면도시에 뼈부분의 굴곡 등에 의해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없으며, 피부를 손상하거나 울퉁불퉁하게 면도한 기분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소 55-8649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복수의 칼날 헤드를 각각 독립적으로 스프링에 의해 부동시켜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칼날 헤드의 상하 이동에 의해 요철을 갖는 피부를 추종하는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고려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내부 칼날 구동에 의한 칼날 헤드 전체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부동력(스프링에 의해 위쪽으로 미는 힘)에 대한 초기 하중을 소정값 이상으로 부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피부에 가압력을 상당히 높이지 않으면 피부를 추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피부에 대하여 외부 칼날이 경사져 접한 경우에는, 칼날 헤드가 피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소 63-19748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복수의 칼날 헤드를 상하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칼날 헤드를 링(Ring)에 의해 결합시켜, 피부의 요철을 추종하여 한쪽 방향의 칼날 헤드가 내려가면 다른 한쪽 방향의 칼날 헤드가 올라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면도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없으며, 더욱이 칼날 헤드가 피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평 10-4344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칼날 헤드와 모터를 일체로 하여 전후, 좌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칼날 헤드를 움직이기 위한 지지점이 상당히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양호한 추종성(追從性)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예의 주시한 것으로, 다양한 면도방법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한 칼날 헤드의 전체를 피부의 요철을 추종하면서, 뼈부분의 요철 등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왕복식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칼날과 슬라이딩(Sliding)되도록 내부 칼날을 왕복이동시켜 면도를 행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왕복식 전기면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1의 왕복식 전기면도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1의 왕복식 전기면도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헤드 블럭이 깊이 들어간 상태에서 실시예1의 왕복식 전기면도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헤드 블럭이 우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실시예1의 왕복식 전기면도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1의 왕복식 전기면도기의 헤드 블럭과 본체 블럭의 연결 개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1의 왕복식 전기면도기의 헤드 블럭과 본체 블럭의 연결 개소에 있어서 나사결합판이 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헤드 블럭이 전후로 경사져 있는 상태에서 실시예1의 왕복식 전기면도기의 헤드 지지부재와 회전연결축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헤드 블럭이 뒤로 경사져 있는 상태에서 실시예1의 왕복식 전기면도기의 헤드 지지부재와 회전연결축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헤드 블럭이 앞으로 경사져 있는 상태에서 실시예1의 왕복식 전기면도기의 헤드 지지부재와 회전연결축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2의 왕복식 전기면도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3의 왕복식 전기면도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블럭과, 이 본체 블럭의 상부에 접속되는 헤드 블럭을 구비하고, 헤드 블럭은,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함께 설치된 아치(Arch) 형상의 외부 칼날과, 이 외부 칼날의 내측에서 본체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하는 내부 칼날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왕복식 전기면도기에 있어서, 헤드 블럭은, 그 좌우 양단 상부의 전후 위치에, 헤드 블럭과 본체 블럭을 연결하기 위한 회전연결부를 총 4곳에 구비하고, 본체 블럭은, 각각 독립하여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이는 총 4곳에 설치된 헤드 지지부재와, 이들 헤드 지지부재의 각각을 위쪽으로 밀어 부동시키는 부동부재를 구비하며, 본체 블럭 쪽의 각 헤드 지지부재의 상단부를 4곳의 회전연결부 각각에 본체 좌우방향을 축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연결시켜, 헤드 블럭을 본체 블럭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예컨대 헤드 블럭 좌우 양단에서 앞쪽의 회전연결부와 접속한 헤드 지지부재가 뒤쪽의 회전연결부와 접속한 헤드 지지부재보다도 아래로 깊이 들어간 경우에는, 헤드 블럭은 그 상면이 앞쪽으로 경사지도록 본체 블럭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시에, 뒤쪽의 회전연결부와 접속한 헤드 지지부재 쪽이 앞쪽의 회전연결부와 접속한 헤드 지지부재보다도 아래로 깊이 들어간 경우에는, 헤드 블럭은 그 상면이 뒤쪽으로 경사지도록 회전한다. 이에 따라, 작은 가압력으로 눌러도 헤드 블럭은 양호하게 전후방향으로 요동하여 피부를 추종하며, 외부 칼날을 확실히 거의 수직으로 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피부에 강하게 누른 경우에는 헤드 블럭 전체가 아래로 깊이 들어가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발명에서, 헤드 지지부재의 상단부와 헤드 블럭의 회전연결부의 좌우방향의 거리를 각각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헤드 블럭을 본체 블럭에 대하여 좌우로 자유롭게 요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있어서, 예컨대 헤드 블럭의 좌단의 회전연결부와 접속된 헤드 지지부재가 우단의 회전연결부와 접속된 헤드 지지부재보다도 아래로 깊이 들어간 경우에는, 헤드 지지부재의 상단부와 헤드 블럭의 회전연결부의 좌우방향의 거리가 각각 변경되면서 헤드 블럭은 그 상면이 좌우로 경사지도록 본체 블럭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며, 반대로 우측의 헤드 지지부재 쪽이 보다 아래로 깊이 들어간 경우에는, 헤드 블럭은 그 상면이 우측으로 경사지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헤드 블럭이 좌우방향으로도 요동 운동을 하면서 추종하므로, 외부 칼날을 더 확실히 피부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접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기구는, 상기 헤드 지지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헤드 블럭의 회전연결부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시키는 핀과, 이 핀을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좌우로 요동운동을 행하는 헤드 블럭에 스프링 부재에 의한 부동력을 주어, 사용자의 피부 등에 헤드 블럭의 흔들림에 기인하는 불쾌한 진동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발명에 있어서, 4곳의 회전연결부 중,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의 앞쪽에 위치하는 2곳의 회전연결부와,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의 뒤쪽에 위치하는 2곳의 회전연결부 중 한쪽이 헤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다른 쪽이 헤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 블럭을 안정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면도의 용이함이 향상된다.
상기에 있어서, 회전연결부를 헤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전후 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하여, 전후방향으로 기다란 긴 구멍을 헤드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긴 구멍을 통하여 헤드 지지부재를 회전연결부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 블럭 측의 회전연결부를 상기 긴 구멍을 따라 헤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헤드 블럭을 안정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요동시켜 면도의 용이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회전연결부를 헤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하여, 2개의 부재를 전후로 자유롭게 회동(回動)하도록 연결시켜 헤드 지지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헤드 블럭을 안정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요동시켜 면도의 용이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의 뒤쪽에 위치하는 2곳의 회전연결부를, 헤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뺨 등의 피부를 비교적 수직에 가까운 자세로 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면도하는 경우에, 헤드 블럭의 전후방향에서 이동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면도의 용이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발명에 있어서,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에서, 뒤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를 앞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앞쪽의 외부 칼날을 피부와 접촉시켜 뺨 등을 면도할 때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뒤쪽의 회전연결부가 헤드 블럭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은 누르는 힘으로도 헤드 블럭을 크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뒤쪽의 외부 칼날을 피부와 접촉시켜 턱 밑을 면도하는 경우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앞쪽의 회전연결부가 헤드 블럭의 상단 근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도 헤드 블럭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발명에 있어서,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에서, 앞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를 뒤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보다도 헤드 블럭의 전후 중심위치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앞쪽의 외부 칼날을 피부와 접촉시켜 뺨 등을 면도할 때에, 피부와의 접촉점과 회전 중심이 되는 뒤쪽의 회전연결부와의 거리를 크게 할 수가 있으므로, 작은 누르는 힘으로도 헤드 블럭을 크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발명에 있어서,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에서, 앞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의 부동량을 뒤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의 부동량보다도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앞쪽의 외부 칼날을 피부와 접촉시켜 뺨 등을 면도할 때에 헤드 블럭이 크게 회전하기 쉽게 되며, 헤드 블럭을 피부에 확실히 추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발명에 있어서,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에서, 앞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의 부동력을 뒤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의 부동력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앞쪽의 외부 칼날을 피부와 접촉시켜 뺨 등을 면도할 때에, 작은 누르는 힘으로도 헤드 블럭을 크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발명에 있어서, 본체 블럭은, 헤드 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부(Guide Portion)와, 이 가이드부 내에 아래로부터 삽입 관통하여 헤드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관통나사를 더 구비하고, 가이드부 내에 헤드 지지부재의 하단부와 부동부재를 배치하는 동시에, 관통나사에 의해 헤드 지지부재를 본체 블럭에 대하여 각각 독립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헤드 블럭을 본체 블럭에 대하여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유지할 수 있으며, 장치 전체의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발명에 있어서, 내부 칼날을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헤드 블럭 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 블럭이 크게 자세를 바꾼 경우에도 문제없이 내부 칼날에 구동전달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 블럭 내에 구동부를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헤드 블럭의 피부에의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발명에 있어서, 본체 블럭은, 헤드 블럭에 설치된 구동부의 전원부를 더 구비하고, 전원부와 구동부를 접속하는 배선은, 본체 블럭의 측면 및 헤드 블럭의 측면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 블럭과 본체 블럭 사이의 배선을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 블럭이 크게 자세를 바꾼 경우에도 배선은 크게 굴곡하지 않고, 따라서 헤드 블럭의 자세를 바꾼 때에 생기는 배선의 굴곡에 의한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본체 블럭은, 헤드 블럭에 설치된 구동부의 전원부를 더 구비하고, 전원부와 구동부를 접속하는 배선은, 본체 블럭의 측면 및 헤드 블럭의 측면을 각각의 전후로 구비한 회전연결부의 중간위치 근방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 블럭이 크게 자세를 바꾼 경우에도 배선은 크게 굴곡하지 않고, 따라서 헤드 블럭의 자세를 바꿀 때에 생기는 굴곡에 의한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배선의 주위를 피복하는 자유롭게 굴곡되는 원통체를 구비하며, 이 원통체의 양단부를 씰링(Sealing)하여, 본체 블럭 및 헤드 블럭을 방수(防水)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왕복식 전기면도기 전체를 방수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세에 의해 용이하게 면도가루분들을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발명에 있어서, 헤드 블럭은, 외부 칼날을 상부에 장착한 외부 칼날 카세트를 구비하고, 이 외부 칼날 카세트는, 헤드 블럭의 멈춤용 부재와, 이 멈춤용 부재에 의한 헤드 블럭의 멈춤을 해제하기 위한 버튼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외부 칼날을 떼어낼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왕복식 전기면도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30)를 구비한 본체 블럭(8) 위에, 헤드 블럭(10)을 전후 좌우로 자유롭게 요동 가능하면서,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이도록 접속시킨 것으로, 상기 헤드 블럭(10)의 상부 거의 중앙에 조삭용(粗削用) 슬리트(Slit) 칼날(2)을 상부에 구비한 슬리트 칼날 조립품(3)을 설치하고, 그 양측에는 외부 칼날(4)을 가지는 칼날 헤드(6)를 전후방향으로 함께 설치하는 동시에, 각 칼날 헤드(6)의 아래에 외부 칼날(4)과 슬라이딩하면서 왕복하는 내부 칼날(7)을 각각 각각 설치한 것이다. 단, 본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전후좌우의 위치관계는, 스위치(30)를 정면으로 보았을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도 3에는, 왕복식 전기면도기(1)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칼날 헤드(6)는, 칼날 구멍을 구비한 호일(Foil) 형상의 외부 칼날(4)과, 외부 칼날(4)을 아치 형상으로 설치하는 외부 칼날 설치틀(5)로 구성되어 있다. 각 칼날 헤드(6)와 슬리트 칼날 조립품(3)은, 상하로 개구된 거의 상자 형태의 유지틀(9) 내에서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이면서 각 외부 칼날(4)이나 조삭용 슬리트 칼날(2)이 상하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유지틀(9)의 좌우측면에 있어서 상단 중앙부에는 각각 버튼부(11)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 버튼부(11)의 아래에는 상기 버튼부(11)로의 가압과 연동하여 유지틀(9)로부터 출입하는 맞물림 돌기(12, 청구항 17에서 맞물림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거의 상자 형태의 외부 칼날 프레임(Frame, 26)의 양측부에는 위로 돌출된 돌기부(14)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14)의 안쪽면에는 상기 맞물림 돌기(12)와 결합하는 맞물림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틀(9)과 슬리트 칼날 조립품(3)과 칼날 헤드(6)로 구성되는 외부 칼날 카세트(Cassette, 16)는, 맞물림 돌기(12)가 맞물림 오목부(15)에 맞물림으로써, 양 돌기부(14) 사이에 끼워져 외부 칼날 프레임(26)에 접속된다. 이 외부 칼날 프레임(26)과 외부 칼날 카세트(16)에 의해 헤드 블럭(10)이 구성된다. 또한, 버튼부(11)를 누름으로써, 맞물림 돌기(12)와 맞물림 오목부(15)와의 맞물림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외부 칼날 카세트(16)는 외부 칼날 프레임(26)과 자유롭게 탈착(脫着) 가능하다.
외부 칼날 프레임(26)은, 상부 카바(13)의 하방 개구를 하부 카바(17)로 폐쇄하여 형성되는 상자 형태의 부재이며, 그 중공부(中空部)에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18)를 내장하고 있다. 리니어 모터(18)는, 그 상측에 상부 카바(13)가 상부 카바 고정나사(19)로 고정되며, 그 하측에 하부 카바(17)가 하부 카바 고정나사(20)로 고정되어 있다.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상면에서 거의 중앙부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니어 모터(18)의 상부에 배치된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한쌍의 구동자(22)가, 상기 개구부(21)로부터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구동자의 개구부(21)의 상단에는, 내부 칼날 스프링(23)을 통해 위쪽에 스프링으로 미는 상태로 내부 칼날(7)을 설치하고 있고, 외부 칼날 카세트(16)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내부 칼날(7)이 외부 칼날(4)의 내측을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리트 칼날 조립품(3)에 구비된 조삭용 슬리트 칼날(2)은, 구동자(22)의 한쪽방향에 설치된 슬리트 구동막대(25)와 연결되어, 구동자(22)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헤드 블럭(10)의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본체 블럭(8)과 헤드 블럭(10)을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하면서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이도록 접속시킨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헤드 블럭(10)을 구성하는 외부 칼날 프레임(26)에 구비된 한쌍의 돌기부(14)에는, 구상 돌기인 회전연결부(32)를 각각 외측면 상에 전후 2곳씩, 즉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전후 좌우 위치에 총 4곳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회전연결부(32)의 중앙에는 돌기부(14)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관통공(35)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회전연결부(32)의 상하 위치에 관해서는, 앞쪽에 위치하는 쪽을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상단 근방으로 하고, 뒤쪽에 위치하는 쪽은 앞쪽에 위치하는 쪽보다도 낮은 위치로 하여 구비하고 있다. 회전연결부(32)의 전후 위치에 관해서는, 앞쪽의 회전연결부(32)와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전후 중심위치와의 거리보다도, 뒤쪽의 회전연결부(32)와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전후 중심위치와의 거리 쪽을 크게 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양단부에는 구멍부(3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나사멈춤판(34, 청구항 3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의 일단측의 구멍부(36)에 관통시켜, 고정나사(33)를 돌기부(14)의 안쪽면에고정시키고 있다.
헤드 지지부재(37)는, 하방으로 개구된 원통부(38)의 상단에, 측면으로 도 6에 도시된 구형상 구멍(39)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구형상 구멍(39)의 중앙을 관통하는 나사 삽입공(40)을 형성한 연설편(延設片, 41)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부재이다. 단, 나사 삽입공(40)의 형상으로서는, 앞쪽에 위치하는 쪽을 거의 원형 형상으로 하고, 뒤쪽에 위치하는 쪽을 가로로 긴 타원 형상으로 한다. 4곳의 회전연결부(32)의 각각에 헤드 지지부재(37)의 구형상 구멍(39)을 끼워, 이 상태에서, 돌기부(14)의 외면측으로부터 유지 나사(42)(청구항 3에서 핀)를 나사 삽입공(40) 및 관통공(35)에 관통시키고, 또한 돌기부(14)의 내면쪽에 돌출된 유지 나사(42)의 선단부를 나사 멈춤판(34)의 자유단측의 구멍부(36)에 관통시키고 있다. 상기 유지 나사(42)는, 상기 유지 나사(42)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되어 돌기부(14)의 내면측에 나사판(34)을 누르는 너트(43)에 의해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헤드 지지부재(37)는, 외부 칼날 프레임(26), 즉 헤드 블럭(10)의 전후 좌우의 4곳에서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축에 지지된다. 또한, 돌기부(14)의 안쪽면의 관통공(35) 근방에는 주위보다 한층 낮은 오목부(46)를 형성하여, 나사멈춤판(34)과 오목부(46) 사이에 간격이 생기도록 하고 있다.
본체 블럭(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18)를 구동하기 위한 전지(28)(전원부) 및 상기 전지(28)와 접속되는 회로(29)를 내부에 구비하는 동시에, 스위치(30)를 정면에 구비한 것이며, 본체 블럭(8)의 상부에 구비된 칼날 헤드 유지체(49) 좌우 양단면의 전후위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된 원통부(청구항 12에서 가이드부, 31)가 총 4곳에 배치되어 있다. 원통부(31)의 관통공(61) 내의 일부의 직경은 작게 되어 있으며, 이 작은 직경부(62)의 상단과 하단에는 단부(60)와 단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31)는, 관통공(61) 내에 헤드 블럭(10)을 위로 부동하기 위한 헤드 부동 스프링(청구항 12에서 부동부재, 44)을 구비하며, 이 헤드 부동 스프링(44)은, 그 하단이 원통부(31)의 단부(60)에 맞물려 원통부(31)의 관통공(61) 내에 유지된다. 헤드 블럭(10)을 축으로 지지하는 헤드 지지부재(37)는, 원통부(31)의 상측 개구부로부터 관통공(61)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헤드 부동 스프링(44)에 의해 위로 부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된 상태(이하, 부동 상태라 한다)가 된다. 또한, 원통부(31)의 하측 개구부에서는, 헤드 고정나사(청구항 12에서 관통나사, 45)가 삽입되어, 그 상단부가 헤드 지지부재(37)의 하단부에 나사고정된다. 이 헤드 고정나사(45)의 하단은, 원통부(31)의 작은 직경부(62)의 관통공(61) 내에 형성된 단부(47)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헤드 고정나사(45)의 상방으로의 이동은 소정 범위 내로 제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헤드 블럭(10)은, 4곳의 헤드 지지부재(37)에 의해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부동 상태에서 본체 블럭(8)의 상부에 접속된다. 각 헤드 지지부재(37)의 부동량(상하 움직이는 폭)에 대하여는, 앞쪽에 배치된 2개의 헤드 지지부재(37)의 부동량이 뒤쪽에 배치된 2개의 헤드 지지부재(37)의 부동량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헤드 지지부재(37)를 위쪽으로 부동하는 각 헤드 부동 스프링(44)의 부동력이 뒤쪽에 배치된 2개의 헤드 부동 스프링(44)의 부동력보다도 작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헤드 블럭(10)의 외부 칼날 프레임(26)에 내장된 리니어 모터(18)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48)은, 본체 블럭(8)의 내부를 통하여 칼날 헤드 유지체(49)의 좌측면에 설치된 미도시된 관통공으로부터 일부 노출시킴은 물론,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좌측면에 배선된 돌기부(14)의 회전연결부(32) 근방으로부터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내부로 이어져 리니어 모터(18)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헤드 블럭(10)이 움직일 때에 배선(48)의 굴곡에 의해 생기는 반발력을 억제하여, 헤드 블럭(10)이 피부에 대한 추종성을 양호하게 한다. 또한, 이 배선(48)이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내부에 도입되는 위치는,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좌측면에 배선된 2개의 회전연결부(32)의 중간 위치 근방(청구항 15에서 회전연결부의 중간 위치 근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 블럭(10)이 크게 자세를 바꾼 경우에도, 배선(48)이 크게 굴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선(48)의 노출부분은, 그 주위를 자유롭게 굴곡되는 원통체(50)로 피복해두고, 또한 칼날 헤드 유지체(49)의 좌측면과 원통체(50)의 접합부분, 및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돌기부(14)에서 외부 칼날 프레임(26)과 원통체(50)의 접합 부분에는, 각각 씰링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본체 블럭(8)은 방수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왕복식 전기면도기(1) 전체를 수세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왕복식 전기면도기(1)에 있어서는, 헤드 블럭(10)을 피부에 누른 경우나, 면도시에 뼈부분의 요철 등으로 충격이 생기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지지부재(37), 즉 헤드 블럭(10) 전체에 대한 헤드 부동 스프링(44)의 부동력에 저항하여 깊이 들어감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단, 헤드 블럭(10)이 깊이 들어가는 것은, 헤드 지지부재(37)의 하단이 원통부(31)의 작은 직경부(62)의 단부(60)에 맞물림으로써, 소정 범위 내로 제한된다.
또한, 4곳의 헤드 지지부재(37)가 각각 독립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뒤쪽의 외부 칼날(4)이 피부와 접촉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에 2곳 배치된 헤드 지지부재(37) 각각이 깊이 들어가, 외부 칼날(4)을 배치한 상면이 뒤쪽으로 경사지도록, 앞쪽의 2곳의 회전연결부(32)를 중심으로 하여 헤드 블럭(10) 전체가 회전한다. 이에 대하여, 예컨대 앞쪽의 외부 칼날(4)이 피부와 접촉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에 2곳 배치된 헤드 블럭(10) 각각이 깊이 들어가며, 외부 칼날(4)을 배치한 상면이 앞쪽으로 경사지도록, 뒤쪽의 2곳의 회전연결부(32)를 중심으로 하여 헤드 블럭(10) 전체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칼날 헤드를 피부에 누름으로써, 헤드 블럭(10) 전체가 피부를 추종하여 회전한다.
더욱이, 이 구조에 있어서는, 회전연결부(32)를 앞쪽으로 한쌍과 뒤쪽으로 한쌍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와 접촉하는 칼날 헤드(6)와 헤드 블럭(10)의 전후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연결부(32)와의 거리를, 피부의 접촉방향에 관계없이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은 누르는 힘으로 면도한 경우에도, 헤드 블럭(10)을 전후로 회전시켜 큰 모멘트(Moment)가 발생하고, 피부에 대한 양호한 추종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헤드 블럭(10)이 전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앞쪽과 뒤쪽의 회전연결부(32)의 전후방향에서의 거리가 변화하며, 앞쪽과 뒤쪽의 헤드 지지부재(37)의 전후방향에서의 거리 사이에 이탈이 생긴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앞쪽의 헤드 지지부재(37)에 구비된 나사 삽입공(40)의 형상을 거의 원형 형상으로 하여 앞쪽의 회전연결부(32)를 전후로 이동 불가능하게 하고, 뒤쪽의 헤드 지지부재(37)에 구비된 나사 삽입공(40)(청구항 5에 있어서 긴 구멍)의 형상을 가로로 긴 타원 형상으로 하여 뒤쪽의 회전연결부(32)를 소정 범위 내에서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헤드 블럭(10)의 전후 회전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전후방향에서의 거리의 이탈을 흡수하기 위하여, 앞쪽과 뒤쪽의 회전연결부(32)를 모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방법도 고려되지만, 이렇게 한 경우에는 헤드 블럭(10)의 전후 회전은 원활하게 행하여 지지만, 면도시에 헤드 블럭(10)이 흔들리기 때문에, 면도하기 매우 어렵게 되어 버린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와 반대로, 앞쪽의 회전연결부(32)를 소정 범위 내에서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고, 뒤쪽의 회전연결부(32)를 전후로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방법도 고려되며, 이에 따르면 헤드 블럭(10)의 전후 회전은 원활하게 행하여지는 동시에 면도시에 흔들리지 않는다. 그러나, 통상의 면도시에는 턱 등의 피부를 비교적 수직에 가까운 자세로 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면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에 이 방법에서는, 외부 칼날(4)을 배치한 상면이 피부에 추종하여 앞쪽으로 경사질 때에, 헤드 블럭(10) 전체가 회전하는 동시에, 뒤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면도하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나사 삽입공(40)을 본 실시예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헤드블럭(10)의 전후 회전은 원활하게 행하여지는 동시에, 면도시에 흔들리지 않고, 더욱이 뺨 등의 피부를 비교적 수직에 가까운 자세로 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면도하는 경우에도, 헤드 블럭(10)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면도하기 쉽게 된다.
본 왕복식 전기면도기(1)에 있어서는, 헤드 블럭(10)의 하부에 구동부인 리니어 모터(18)를 배치하여, 헤드 블럭(10) 전체가 고중량이면서 저중심이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뒤쪽의 회전연결부(32)를 앞쪽의 회전연결부(32)보다도 낮은 위치로 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의 외부 칼날(4)을 피부와 접촉시켜 헤드 블럭(10)의 상면을 앞쪽으로 경사지게 하여 뺨 등을 면도할 때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뒤쪽의 회전연결부(32)가 헤드 블럭(10)의 중심 근처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헤드 블럭(10)의 중량의 영향을 적게 하여, 헤드 블럭(10)이 작은 누르는 힘으로도 크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전술한 바와 같이, 뒤쪽의 회전연결부(32)와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전후 중심위치와의 거리를 크게 하여, 뺨 등을 면도할 때에, 피부와의 접촉점과 회전 중심이 되는 뒤쪽의 회전연결부(32)와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헤드 블럭(10)은 더 회전하기 쉽게 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지지부재(37)의 부동량은 앞쪽 편을 뒤쪽 편보다도 크게 하고, 부동력은 앞쪽 편을 뒤쪽 편보다 약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뺨 등을 면도할 때에는 헤드 블럭(10)이 크게 회전하기 쉽게 되며, 피부에의 확실한 추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뒤쪽의 외부 칼날(4)을 접촉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블럭(10)의 상면이 뒤쪽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턱 밑을 면도하는 경우에는, 앞쪽의 회전연결부(32)가 회전 중심이 되는 동시에, 헤드 블럭(10)을 회전시키는 힘으로서 매우 작은 힘 조차 활용되지 않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앞쪽의 회전연결부(32)를 칼날 헤드(6)의 상단 근방으로 하여, 이러한 작은 힘으로도 원활한 회전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왕복식 전기면도기(1)의 헤드 블럭(10)을 상면이 우측으로 경사지도록 회전시킨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예컨대 우측의 헤드 지지부재(37)가 좌측의 헤드 지지부재(37)보다도 아래로 깊이 들어간 경우에는, 헤드 블럭(10)은 정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헤드 지지부재(37)가 깊이 들어간 경우에는 헤드 블럭(10)은 정면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헤드 블럭(10)은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되는 동시에, 보다 확실한 피부에의 추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 블럭(10)이 좌우로 경사진 상태에서는, 좌우의 헤드 지지부재(37)에 구비된 나사 삽입공(40) 사이의 거리와, 헤드 블럭(10)의 좌우에 구비된 관통공(35) 사이의 거리와의 관계가 변화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술한 바와 같이, 헤드 지지부재(37)가 유지 나사(41)에 의해 맞물리는 동시에, 상기 유지 나사(42)가 나사멈춤판(34)으로 맞물리고, 더불어 나사멈춤판(34)과 돌기부(14) 사이에는 오목부(46)에 의한 간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멈춤판(34)의 위쪽의 요동에 의해, 유지 나사(42)는 스프링 부동되면서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이탈이 발생한 경우에도, 돌기부(14)나 헤드 지지부재(37)를 변형시키는 힘이 생기는 일이 방지되는 동시에, 헤드 블럭(10)이 유지 나사(42)의 좌우 이동에 의해 불안정하게 진동하여 예리함의 악화나 소음 발생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이 유지 나사(42)와 나사멈춤판(34) 등으로 된 기구가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서 좌우 방향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기구에 해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헤드 블럭(10)은 전후 좌우로 크게 요동하면서 피부에 추종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18)를 헤드 블럭(10)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헤드 블럭(10)이 크게 자세를 바꾼 경우에도 문제없이 구동자(22)나 슬리트 구동막대(25)를 통하여 내부 칼날(7)이나 슬리트 칼날 조립품(3)에 구동 전달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예컨대 리니어 모터(18)를 본체 블럭(8) 내부에 배치하는 동시에, 위쪽으로 돌출시킨 구동자(22)나 슬리트 구동막대(25)에 의해 헤드 블럭(10) 내에 구동 전달을 행하면, 확실한 구동 전달 때문에 헤드 블럭(10)의 이동에 상당한 제약을 줄 필요가 있어, 피부에의 추종성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생겨 버린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2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왕복식 전기면도기(1)는 실시예1의 것과 거의 같은 구성을 구비하므로, 공통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실시예1과 다른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뒤쪽의 헤드 지지부재(37)를, 본체 연결부재(51)와 그것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링(Ring)부재(52)인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은, 본체 연결부재(51)의 상단부에 돌출하여 설치된 원형 구멍에, 링 부재(52)의 하단부에 돌출하여 설치된 원형 형상의 돌기부를 삽입 관통하기 때문에, 그 선단을 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연결한 것이다. 이에 따라, 헤드 블럭(10)의 회전연결부(32)는, 유지 나사(41)를 통하여 회전연결부(32)와 연결되는 링 부재(51)의 회동에 의해, 본체 블럭(8)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하나의 예와 마찬가지로, 헤드 블럭(10)의 전후 회전은 원활하게 행해지는 동시에 면도시 흔들림이 일어나지 않고, 또한 뺨 등의 피부를 비교적 수직에 가까운 자세로 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면도하는 경우에도, 헤드 블럭(10)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제한할 수 있어, 면도가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실시예3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왕복식 전기면도기(1)는 실시예1의 것과 거의 같은 구성을 구비하므로, 공통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실시예1과 다른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리니어 모터(18)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48)을, 본체 블럭(8)의 내부를 통하여 칼날 헤드 유지체(49)의 상면의 좌단부로부터 일부 노출시킴은 물론,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하면의 좌단부로부터 내부에 도입하여 리니어 모터(18)에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배선(48)의 노출 부분을 자유롭게 굴곡되는 원통체(50)으로 피복하는 동시에, 상기 원통체(50)의 양단부에 각각 씰링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칼날 헤드 유지체(49)의 상면의 좌단부로부터 외부 칼날 프레임(26)의 하면의 좌단부까지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선(48)을 길게 배치할 수 있어, 헤드 블럭(10)이 자세를 바꿀 때에도 배선(48)의 굴곡이 작게 억제된다. 따라서, 헤드 블럭(10)의 요동 운동시에 배선(48)의 굴곡에 의해 생기는 반발력이 억제되므로, 헤드 블럭(10)의 피부에의 추종성은 양호하게 된다.
또, 이 출원은 2001년 9월 25일자 특허출원에 기초하여 우선권주장을 수반한다. 그 출원의 내용 전체가 참조에 의해, 이 출원에 짜 넣어져 있다.

Claims (17)

  1. 본체 블럭(Block)과, 이 본체 블럭의 상부에 접속되는 헤드 블럭(Head Block)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블럭은,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함께 설치된 아치(Arch) 형상의 외부 칼날과, 이 외부 칼날의 내측에서 본체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하는 내부 칼날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왕복식 전기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 블럭은, 그 좌우 양단 상부의 전후 위치에, 상기 헤드 블럭과 본체 블럭을 연결하기 위한 회전연결부를 총 4곳에 구비하고,
    상기 본체 블럭은, 각각이 독립하여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이는 총 4곳에 설치된 헤드 지지부재와, 이들 헤드 지지부재의 각각을 위쪽으로 밀어 부동(Float)시키는 부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블럭 쪽의 각 헤드 지지부재의 상단부를 상기 4곳의 회전연결부 각각에 본체 좌우방향을 축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연결시켜, 상기 헤드 블럭을 상기 본체 블럭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지지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헤드 블럭의 회전연결부의 좌우방향의 거리를 각각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블럭을 상기 본체 블럭에 대하여 좌우로 자유롭게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기구는, 상기 헤드 지지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헤드 블럭의 회전연결부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시키는 핀과, 이 핀을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곳의 회전연결부 중, 상기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의 앞쪽에 위치하는 2곳의 회전연결부와,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의 뒤쪽에 위치하는 2곳의 회전연결부 중 한쪽이 헤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다른 쪽이 헤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를 헤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하여, 전후방향으로 기다란 긴 구멍을 헤드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구비하며, 상기 긴 구멍을 통하여 헤드 지지부재를 회전연결부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를 헤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하여, 2개의 부재를 전후로 자유롭게 회동(回動)하도록 연결시켜 헤드 지지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의 뒤쪽에 위치하는 2곳의 회전연결부를, 상기 헤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에서, 뒤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를 앞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에서, 앞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를 뒤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보다도 헤드 블럭의 전후 중심위치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에서, 앞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의 부동량을 뒤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의 부동량보다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블럭의 좌우 양단에서, 앞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의 부동력을 뒤쪽에 위치하는 회전연결부의 부동력보다도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블럭은, 상기 헤드 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부(Guide Portion)와, 이 가이드부 내에 아래로부터 삽입 관통하여 상기 헤드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관통나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 내에 상기 헤드 지지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부동부재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나사에 의해 상기 헤드 지지부재를 상기 본체 블럭에 대하여 각각 독립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칼날을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상기 헤드 블럭 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블럭은, 상기 헤드 블럭에 설치된 구동부의 전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와 구동부를 접속하는 배선은, 본체 블럭의 측면 및 헤드 블럭의 측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블럭은, 상기 헤드 블럭에 설치된 구동부의 전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와 구동부를 접속하는 배선은, 본체 블럭의 측면 및 헤드 블럭의 측면을 각각의 전후로 구비한 회전연결부의 중간위치 근방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의 주위를 피복하는 자유롭게 굴곡되는 원통체를 구비하며, 이 원통체의 양단부를 씰링(Sealing)하여, 본체 블럭 및 헤드 블럭을 방수(防水)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블럭은, 상기 외부 칼날을 상부에 장착한 외부 칼날 카세트를 구비하고,
    이 외부 칼날 카세트는, 상기 헤드 블럭의 멈춤용 부재와, 이 멈춤용 부재에 의한 상기 헤드 블럭의 멈춤을 해제하기 위한 버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KR1020047003962A 2001-09-25 2002-09-24 왕복식 전기면도기 KR100598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92456 2001-09-25
JP2001292456A JP3979052B2 (ja) 2001-09-25 2001-09-25 往復式電気かみそり
PCT/JP2002/009804 WO2003026854A1 (fr) 2001-09-25 2002-09-24 Rasoir electrique du type a mouvement de va-et-v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816A true KR20040035816A (ko) 2004-04-29
KR100598004B1 KR100598004B1 (ko) 2006-07-13

Family

ID=1911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962A KR100598004B1 (ko) 2001-09-25 2002-09-24 왕복식 전기면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17270B2 (ko)
EP (1) EP1439040B1 (ko)
JP (1) JP3979052B2 (ko)
KR (1) KR100598004B1 (ko)
CN (1) CN1276822C (ko)
DE (1) DE60208228T2 (ko)
WO (1) WO2003026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8762B2 (en) * 1998-08-21 2005-05-2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Client-server electronic program guide
KR100563481B1 (ko) * 2002-06-17 2006-03-27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JP2005040358A (ja) * 2003-07-22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ェーバー
JP3972903B2 (ja) * 2003-12-26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2008502405A (ja) * 2004-06-14 2008-01-3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刈込み装置
JP4725103B2 (ja) 2004-12-28 2011-07-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KR200385700Y1 (ko) * 2005-01-12 2005-06-02 오태준 망왕복전기면도기
JP4748565B2 (ja) * 2005-01-14 2011-08-17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747904B2 (ja) * 2005-07-29 2011-08-1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シェーバー
JP4715425B2 (ja) * 2005-09-27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127290B2 (ja) * 2006-04-25 2008-07-30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用の内刃及び往復式電気かみそり
DE102006030946A1 (de) * 2006-07-05 2008-01-10 Braun Gmbh Schereinheit für einen Trockenrasierer
DE102006034050A1 (de) * 2006-07-20 2008-01-24 Braun Gmbh Elektrischer Rasierapparat
US20080295340A1 (en) * 2007-05-29 2008-12-04 Vito James Carlucci Free pivoting cutting head and blade assembly for hair cutter
JP4595967B2 (ja) * 2007-07-12 2010-1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刃
JP4595968B2 (ja) * 2007-07-12 2010-1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内刃
JP2009201714A (ja) * 2008-02-28 2009-09-10 Sanyo Electric Co Ltd 電気かみそり
DE102008031132A1 (de) * 2008-07-01 2010-01-07 Braun Gmbh Elektrisches Kleingerät zum Entfernen von Haaren
JP4955711B2 (ja) 2009-01-15 2012-06-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840450B2 (ja) * 2009-01-16 2011-12-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RU2524025C2 (ru) 2009-03-09 2014-07-2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Бритва с улучшенным отслеживанием контура
WO2011037110A1 (ja) * 2009-09-25 2011-03-31 パナソニック電工 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575517B2 (ja) * 2009-10-28 2010-11-04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US8898909B2 (en) * 2010-08-25 2014-12-02 Spectrum Brands, Inc. Electric shaver
US8745882B2 (en) 2010-09-29 2014-06-10 The Gillette Company Flexible and separable portion of a razor handle
US8745883B2 (en) 2010-09-29 2014-06-10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WO2013098685A1 (en) * 2011-12-27 2013-07-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haver
US8938885B2 (en) 2012-05-01 2015-01-27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CN105377514B (zh) * 2013-05-16 2017-05-10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具有可枢转剃须单元的剃须头
CN103612269A (zh) * 2013-12-09 2014-03-05 上海奔腾电工有限公司 一种往复式电动剃须刀的外刀网罩结构
US9713877B2 (en) 2014-11-12 2017-07-25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with drag reduction
USD779123S1 (en) 2014-11-12 2017-02-14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CN104457409A (zh) * 2014-11-20 2015-03-25 惠州大亚湾吉豫武术培训中心 武术刀
JP6376468B2 (ja) * 2014-11-28 2018-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CN106003164B (zh) * 2016-05-19 2018-04-27 青岛市中心医院 一种智能化身体脱毛机器人用脱毛装置
JP6471984B2 (ja) * 2016-06-16 2019-02-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当該電気かみそりで用いられる外刃
EP3300861B1 (en) 2016-09-28 2019-07-03 Braun GmbH Electrically driven device
EP3300844B1 (en) 2016-09-28 2020-04-15 Braun GmbH Electric shaver
JP6741971B2 (ja) * 2018-04-27 2020-08-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2022155367A (ja) * 2021-03-30 2022-10-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737A (en) 1978-12-11 1981-10-06 The Gillette Company Dry shaver with differentially biased inner cutter and base members
JPS60175361A (ja) * 1984-02-20 1985-09-09 Sanyo Electric Co Ltd 防水式電池機器
DE3610736A1 (de) 1986-03-29 1987-10-01 Braun Ag Elektrischer rasierapparat mit einem schwenkbaren scherkopfsystem
GB8626631D0 (en) 1986-11-07 1986-12-10 Gillette Co Dry shavers
DE3726354A1 (de) * 1987-08-07 1989-02-16 Braun Ag Elektrischer rasierapparat mit scherkopfsteuerung
US5611145A (en) 1991-12-20 1997-03-18 Wetzel; Matthias Dry-shaving apparatus
JP2731657B2 (ja) 1992-01-24 1998-03-25 株式会社テック 往復動式電気かみそり
GB2266070A (en) * 1992-04-10 1993-10-20 Gillette Co Dry shaver
US5367771A (en) * 1992-05-13 1994-11-29 Sanyo Electric Co., Ltd. Electric shaver with two rows of outer blades
DE4244164C2 (de) * 1992-12-24 1995-09-07 Braun Ag Trockenrasierapparat mit einem schwenkbar gelagerten Langhaarschneider
JP3699736B2 (ja) * 1995-01-11 2005-09-28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電気かみそり
JPH1043443A (ja) 1996-08-07 1998-02-17 Tec Corp 電気かみそり
DE19736776C2 (de) * 1997-08-23 1999-06-02 Braun Gmbh Trockenrasierapparat
AT2988U1 (de) * 1998-07-24 1999-08-25 Payer Lux Elektroprod Trockenrasierapparat
JP2000061173A (ja) 1998-08-26 2000-02-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美容器具
CA2429756A1 (en) * 2002-05-27 2003-11-27 Izumi Products Company Electric shaver having movable cutter units
KR100563481B1 (ko) * 2002-06-17 2006-03-27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DE60204780T2 (de) * 2002-10-01 2006-05-18 The Gillette Co., Boston Gelenkgetriebe mit virtueller Schwenkachse für Haarentfernungsgerät mit Schwingkop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004B1 (ko) 2006-07-13
EP1439040A4 (en) 2004-12-08
CN1276822C (zh) 2006-09-27
US20040237310A1 (en) 2004-12-02
EP1439040B1 (en) 2005-12-21
US7017270B2 (en) 2006-03-28
JP2003093765A (ja) 2003-04-02
CN1558815A (zh) 2004-12-29
JP3979052B2 (ja) 2007-09-19
WO2003026854A1 (fr) 2003-04-03
DE60208228T2 (de) 2006-09-07
EP1439040A1 (en) 2004-07-21
DE60208228D1 (de)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004B1 (ko) 왕복식 전기면도기
JP4604846B2 (ja) 体毛処理器具
KR200426275Y1 (ko) 멀티형 헤드무빙면도기
JP2006333999A (ja) 体毛処理器具
JP4161966B2 (ja) 電気かみそり
CA2164396C (en) Electric shaver
CA2527497A1 (en) Reciprocating-type electric shaver
JP2006042898A (ja) 電気かみそり
US10434669B2 (en) Electric shaver
JPH06343776A (ja) 電気ひげそり器
JP2003210871A (ja) 電気かみそり
JP4535364B2 (ja) 電気かみそり
JP4573260B2 (ja) 電気かみそり
US10220530B2 (en) Electric shaver
JPH05146562A (ja) 往復動式電気かみそり
JPH0584364A (ja) 電気かみそり
JP3861796B2 (ja) 電気かみそりの可動ヘッド保持構造
JP3901029B2 (ja) 電気かみそり
JPH0919572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2001145789A (ja) 電気かみそり
JPS6137423Y2 (ko)
JP3493701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S6211571Y2 (ko)
JPS6036224Y2 (ja) 電気かみそりの内刃取付装置
JP3767999B2 (ja) 電気機器のスライ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