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481B1 -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 Google Patents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481B1
KR100563481B1 KR1020030035220A KR20030035220A KR100563481B1 KR 100563481 B1 KR100563481 B1 KR 100563481B1 KR 1020030035220 A KR1020030035220 A KR 1020030035220A KR 20030035220 A KR20030035220 A KR 20030035220A KR 100563481 B1 KR100563481 B1 KR 100563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electric shaver
head portion
handle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521A (ko
Inventor
시바타케시
타니구치후미오
야마사키마사노부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6160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1796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oscillating- 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48Complete cutting head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6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co-operating cutting elements both of which have shearing teeth
    • B26B19/063Movable or adjustable cutting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53Housing or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53Housing or handle
    • B26B19/3866Seal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10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reciprocating cutting elements, e.g. a pair of toothed shearing elements combined with a pair of perforated cutting elements or a combined toothed and perforated cutting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어떠한 면도방법을 해도 피부에 추종(追從)할 수 있도록 헤드 이동량을 크게하고. 방진이나 방수가 확실하게 되는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와 날을 구비한 헤드부(A)가 손잡이부(B)에 대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도록 하고, 손잡이부(B)의 내부에 헤드부(A)의 바닥면 보다도아래쪽에 위치하는 상자모양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자모양 공간보다도 위쪽으로 확장 돌출되는 전후(前後)벽을 설치하여, 상기 전후벽으로 상기 헤드부(A)를 전후방향(E)으로 끼워넣어 지지되도록 하였다.
전기면도기, 헤드부, 손잡이부, 모터부, 미끄럼 멈춤부

Description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Electric Shaver Floating Head Suppor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일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 마찬가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과 마찬가지를 나타내는 전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과 마찬가지를 나타내는 바깥날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과 마찬가지를 나타내는 헤드케이스 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과 마찬가지를 나타내는 후(後) 하우징을 떼어낸 상태의 배면도(背面圖)이다.
도 7은, 도 1과 마찬가지를 나타내는 전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은, 도 1과 마찬가지를 나타내는 집기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도 1과 마찬가지를 나타내는 집기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1과 마찬가지를 나타내는 붙잡기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도 1과 마찬가지를 나타내는 붙잡기 상태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전기면도기 5 ... 모터
12a ... 돌출부 20 ... 탄성튜브
21 ... 전(前) 하우징 21a ... 전(前) 벽
24 ... 후(後) 하우징 24a ... 후(後) 벽
43 ... 헤드지지 부재 46, 47 ... 가이드 홈
80 ... 미끄럼 멈춤부 90 ... 돌기부
100 ... 탄성부재 110 ... 상자모양 공간
A ... 헤드부 B ... 손잡이부
E ... 전후방향 F ... 좌우방향
L1, L2 ... 폭치수
본 발명은, 헤드부가 손잡이부에 대하여 상대운동을 하는 것에 의해,면도시에 날이 피부에 밀착하도록 한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전기면도기에 있어서,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분리하여 헤드부를 좌우로 요동하는 방식에서는, 헤드부의 아래부분 쪽에 내장된 모터부분이 손잡이부에 덮여 있으므로, 헤드부가, 좌우로 움직이는 량이 크게 규제되며, 피부의 추종성에 있어서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가진다.
종래, 헤드부가 손잡이부에 대하여 상대이동을 함으로써,면도시에 날을 피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구조가 수 많이 제안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서, 모터와 헤드부를 일체로 하여, 손잡이부의 전후 벽에 의해 헤드부가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문헌 1 참조).
일본특허문헌 1과 같이, 모터와 헤드부를 일체로 하여, 손잡이부의 전후벽에 의해 헤드부가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것에는, 헤드부와 일체로 된 모터가 손잡이 케이스의 안쪽까지 파고 들어가 있으므로, 손잡이 케이스의 상면(上面)은 크게 개방된 형으로 되어 있고, 그 개방면을 덮기 위하여 헤드부의 바닥면을 개방면과 같은 R면으로 형성하고, R면에 따라서만 헤드부가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에 대한 헤드부의 움직임은 대단히 제한된 것으로 되며, 피부로의 추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헤드부의 좌우 회전에 따른 모터가 손잡이 케이스 내의 이동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폭을 상당히 크게 하고 있으나, 헤드보다도 큰 폭의 손잡이부가 되고 말아 대단히 집기 어려운 것으로 되고 만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다른 종래예로서, 피부면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변화에 대하여 추종(追從)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모터와 헤드부를 일체로 하여 손잡이부에 대하여 헤드부가 좌우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일본특허문헌 2에 있어서도, 헤드부와 일체로 된 모터부가 손잡이부에 대하여 안쪽까지 파고 들어가 있고, 그 때문에 좌우방향으로 크게 회전하도록 한 경우에는, 모터가 손잡이 케이스의 안쪽면에 닿게 되어, 좌우방향의 회전자유각도는 조금밖에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날 헤드 케이스 내에 모터를 배치하고, 헤드 상단부근에 설치된 회 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WO 00/38891).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헤드부의 회전방향이 전후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헤드부가 회전하면 그 하단부는 손잡이부 보다도 크게 돌출한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부를 쥐는 손가락이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헤드부를 상당히 작게할 필요가 있고, 상기 경우, 통상의 모터로서는 충분한 파워(Power)를 내지 못하고, 잘리는 맛이 나쁘게 된다. 또한 회전축 위치를 아래쪽으로 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으나, 상기 경우에는 깎는 방향에 따라서는 헤드부가 피부로부터 떨어지는 쪽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일으키며, 실제 사용상 기능을 달성할 수 없는 결과로 되고 만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6 - 34377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평 10 - 4344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어떠한 면도방법을 해도 피부에 추종할 수 있도록 헤드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방진이나 방수를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전기 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터(5)와 날을 구비한 헤드부(A)가 손잡이부(B)에 대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는 전기면도기에 있어서, 손잡이부(B)의 내부에 헤드부(A)의 바닥면 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자모양 공간(110)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자모양 공간(110) 보다도 위쪽으로 확장 돌출되는 전후벽(21a, 24a)을 설치하여, 상기 전후벽(21a, 24a)으로 상기 헤드부(A)를 전후방향(E)으로 끼워 넣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전후방향(E)으로의 헤드부(A)의 밀어붙임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헤드부(A)를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부(B)의 전후벽(21a, 24a)을 손가락으로 끼운 상태에서 면도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이 헤드부(A)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경우가 없게 되고, 따라서, 어떠한 면도방법을 하여도 피부에 추종할 수 있도록 헤드부(A)의 움직임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피부 추종성능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손잡이부(B)의 상자모양 공간(110)과 헤드부(A)가 독립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방진이나 방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A)와 손잡이부(B)의 상자모양 공간(110)의 상면 쪽과의 사이에, 손잡이부(B)를 스프링 복원하는 복원요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복원요소가 손잡이부(B)의 굵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대단히 쥐기 쉬운 가는 손잡이부(B)를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헤드부(A)의 플로트(Float) 동작이 안정된다.
또한 상기 복원요소는, 헤드부(A)에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 헤드 지지부재(43)를 손잡이부(B)의 전후벽(21a, 24a)의 안쪽에 형성된 가이드홈(46, 47)에서 상하이동 자유롭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 지지부재(43)를 위쪽으로 향하여 스프링 복원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우, 헤드부(A)의 회전과 상하 이동이 부드럽게 행하여 진다.
또한 상기 헤드 지지부재(43)를 헤드부(A)의 좌우방향(F)에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피부가 닿은 쪽의 헤드 지지부재(43)와는 다른 헤드 지지부재(43)가 회전축으로 되고, 헤드부(A)를 좌우로 경사지게 하는 힘이 크게 되며 , 피부 추종성을 향상한다.
또한 상기 헤드 지지부재(43)를 안내하는 가이드홈 46의 상단쪽에 탄성부재(10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가이드홈 46에 따라서 헤드 지지부재(43)가 이동할 때에, 플로트한 헤드 지지부재(43)가 복귀할 때의 충격을 탄성부재(100)에 의해 완화할 수 있도록 되며, 손으로의 충격이나 소리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B)는, 전후 2개의 하우징(21, 24)에 의해 상자모양 공간(110)과 그것 보다도 위쪽으로 돌출되는 전후벽(21a, 24a)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전후 2개의 하우징(21, 24)에 의해 헤드부(A)의 유지와 손잡이부(B)의 상자모양 공간(110) 형성을 동시에 행 할 수 있으므로 조립하기 쉽게 됨과 동시에, 전후벽(21a, 24a)이 헤드부(A)의 지지벽으로 되는 것으로 헤드 지지 강성(剛性)을 크게할 수 있고, 면도성능이 안정됨과 동시에 부품수를 적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A)의 바닥면 중앙부근에 바닥면 양쪽 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우, 돌출부(12a)에 헤 드부(A)를 지지하는 축을 형성하고, 돌출부(12a)의 양 바깥쪽의 아래면 위치를 위쪽으로 올리는 것에 의해, 보다 헤드부(A)의 좌우 경사를 크게 할 수 있어, 피부의 추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A)의 돌출부(12a)를 손잡이부(B)의 전후벽(21a, 24a)에서 전후방향(E)으로부터 덮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의 경우, 면도시에 헤드부(A)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쉽고, 수염이 쌓이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벽(21a, 24a)의 좌우방향(F)의 폭치수 L1을 손잡이부(B)의 좌우방향(F)의 폭치수 L2 보다도 짧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통상(通常)의 손에 의한 잡는 상태에 있어서, 손가락이 헤드부(A)의 아래쪽의 가동범위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게 저감하고, 손가락이 헤드부(A)에 닿아서 헤드부(A)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는 경우 없이, 그립(Grip)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벽(21a, 24a)의 어느 한쪽에 헤드부(A)를 전후방향(E)에 유지하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우, 전후벽(21a, 24a)의 사이의 피치가 편차져도, 항상 헤드부(A)를 한쪽의 벽 21a 또는 24a로 유지할 수 있고,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A)의 뒷면 아래부분으로 부터, 전후벽(21a, 24a)의 어느 다른 쪽에 접하여 헤드부(A)의 전후방향(E)의 경사를 방지하는 돌기부(90)를 돌출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의 경우, 헤드부(A)의 전후방향(E)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면도시에 헤드부(A)에 대하여 전후방향(E)의 힘이 가해져도, 돌기부(90)에 의해 헤드부(A)가 전후로 경사져서 면도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A)와 손잡이부(B)의 상자모양 공간(110)의 사이를 방수구조로하여 헤드부(A)와 손잡이부(B)를 탄성튜브(20)로 결합함과 동시에, 탄성튜브(20) 내에 헤드부(A)에 손잡이부(B)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배선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의 경우, 방수상태에서 헤드부(A)에 손잡이부(B)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됨과 동시에, 큰 상대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방수가 가능하게 되어 청소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B)의 적어도 정면에 엘라스토머(Elastomer) 제품의 미끄럼 멈춤부(8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손가락으로 손잡이부(B)를 쥔상태에 있어서, 엄지손가락이 정확하게 그 위치에 와 그립성이 향상되며, 면도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대단히 안정된, 미끄러지기 어렵게 쥐는 기분을 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면도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 날 헤드블록(2)과, 손잡이 블록(3)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손잡이 블록(3) 내의 상단(上端) 부근에 날 헤드블록(2)을 지지하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 헤드블록(2)과, 손잡이 블록(3)과의 사이에 날 헤드 지지 블록(4)이 설치되어 있다.
먼저, 날 헤드블록(2)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 도 5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날 헤드블록(2)은, 크게 나누어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5)를 수납한 헤드 케이스블록(6)과 안쪽날(7)과 바깥날 블록(8)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리니어 모터(5)의 좌우방향(F : 도 1)의 진동이 그 선단의 구동자(9)에 의해 안쪽날(7)에 전달되어, 안쪽날(7)과 바깥날(10)이 서로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 바깥날(10)의 날 구멍으로 들어간 수염을 자르는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5)는 그 아래부분에 있어서, 베이스대(11)와 일체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헤드 케이스(12) 내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되고, 아래쪽으로부터 헤드 아래나사(13)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헤드 케이스(1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로부터 헤드 케이스 커버(14), 구동자 방수고무(15), 고무누름판(16)을 개재하여 헤드 위나사(17)로 고정되어 있다. 헤드 케이스(12)를 나사고정하는 것에 의해, 헤드케이스 블록(6)은 리니어 모터(5)를 내장한 1개의 상자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 케이스 커버(14)의 아래면에는, 방수용의 고무(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헤드케이스 블록(6)은 방수된 케이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리니어 모터(5)의 아래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리드선(18)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5)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그 선단부가 그립 블록(3) 내의 구동회로에 결합되는 것이며, 헤드 케이스(12) 아래부분에 설치된 구멍(미도시)을 통하여 방수성있는 고무튜브(20)를 끼워 통하게 한 후에, 후술하는 전(前) 하우징(21)의 상면에 설치된 구멍(22, 도 7)을 통하여, 전후 하우징(21,24) 내의 회로(19, 도 3)에 결선(結線)된다. 고무튜브(20)의 상단은, 헤드케이스(12) 바닥면에 설치된 통공(筒穴 : 미도시)에 압입 한 후에 후술하는 헤드 멈춤부재(23)의 계지공(係止穴) 23a(도 5)에 의해 그 바깥쪽으로부터 계지(係止)되고, 고무튜브(20)의 하단은 후 하우징(24) 위면의 리드선용 통공에 압입된 후에, 후술하는 크릭(click)부재(25)의 계지공(係止穴) 25b(도 7)에 삽입되어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헤드부(A)와 손잡이부(B)의 상자모양 공간(110)의 사이를 방수구조로 하고, 또한 상기 고무튜브(20)에서 헤드부(A)와 손잡이부(B)를 결합하고, 고무튜브(20) 내에 리드선(18)을 통하여, 방수상태 헤드부(A)에 손잡이부(B)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했으므로, 큰 상대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방수가 가능하게 되고, 청소성도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 헤드케이스(1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 중앙부근 만을 아래쪽으로 돌출시킨 돌출부(12a)로 되어 있다. 돌출부(12a)에 헤드부(A)를 지지하는 축을 형성하고, 상기 양 바깥쪽의 아래면 위치를 위쪽으로 올리는 것에 의해, 보다 헤드부(A)의 좌우 경사를 크게할 수 있어, 피부에의 추종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헤드케이스(12)의 아래쪽에의 돌출부(12a)만을 전후벽(21a, 24a)으로 덮고, 그 양 바깥쪽에 전후방향(E)으로 관통된 틈새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면도시에 헤드부(A)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쉽고, 헤드부(A)를 좌우로 크게 회전시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음과 동시에, 수염이 쌓이기 어려운 구조로 된다. 또한, 전후벽(21a, 24a)의 폭치수 L1(도2)은 손잡이부(B)의 좌우방향(F)의 폭치수 L2(도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상의 손에 의한 그립상태에 있어서, 손가락이 헤드 아래쪽의 가동범위에 들어가는 가능성이 크게 저감되고, 손가락이 헤드부(A)에 닿아 헤드부(A)의 움직임에 대하여 방해되는 경우 없이, 그립성을 확 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A)를 전후방향(E)으로 유지하는 기구와 전후방향(E)의 덜컥거림을 방지하는 기구를 설명한다. 전벽(21a)에는 헤드부(A)를 전후방향(E)으로 유지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헤드 멈춤부재(23)의 전후 한쌍의 계지(係址))돌기(27)가 헤드케이스(12)의 전후 양면의 각 볼록부(26)에 계지하는 것으로, 헤드 멈춤부재(23)는 헤드케이스 블록(6)에 설치된다. 또한 헤드 멈춤부재(23)의 앞쪽의 상단부에는 좌우로 돌출되는 돌출편(28), (28)이 설치되고, 상기 돌출편(28), (28)이 전 하우징(21)의 전벽(21a)에 설치된 개구(29)에 걸리는 것으로, 헤드 멈춤부재(23)의 돌출편(28)이 전벽(21a)에 계지되고, 이에 따라, 헤드케이스 블록(6)은 전 하우징(21)에 대하여 전후방향(E, 도 1)에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전 하우징(21)의 전 벽(21a)과 후 하우징(24)의 후 벽(24a) 사이의 피치가 편차져도, 항상 헤드케이스 블록(6)을 전 하우징(21)의 전 벽(21a)에서 유지하고, 전후방향(E)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헤드 멈춤부재(23)의 뒷면 아래부분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돌기부(90, 도 7)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90)가 후벽(24)의 내면에 접하고 있고, 이에 따라 헤드케이스 블록(6)의 전후방향(E)의 경사를 방지하고 있다. 요컨대, 돌기부(90)가 후 하우징(24)의 후 벽(24a)의 내면에 접하는 것으로, 헤드케이스 블록(6)은 전후방향(E)에 경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하방향만으로 가이드 되도록 되는 것으로, 면도시에 헤드부(A)에 대하여 전후방향(E)의 힘이 가해져도, 헤드부(A)가 전후방향(E)에 경사지지 않고, 종래와 같이 헤드부(A)가 전후로 경사져 면도하 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케이스(12)의 길이방향 양 단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 탈착 스위치(30)가 배치되어 있다. 각 날 탈착 스위치(30)는, 헤드케이스(12)에 내포된 날 탈착 스위치 스프링(31)에 의해 바깥쪽으로 복원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안쪽 날(7)을 설명한다. 상기 리니어 모터(5)의 구동자(驅動子, 9)는, 도 5에 나타내는 헤드케이스(12)의 상면 중앙부의 구멍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자(9)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부터 슬릿(Slit) 구동간(驅動桿, 32), 트리머(Trimmer) 구동간(33)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자(9)의 속에는 안쪽 날을 위로 올리는 스프링(34, 이하 압상스프링이라고 한다)이 스프링 스톱퍼(35)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그 위에서 안쪽 날(7)이 결합하는 것에 의해, 안쪽 날(7)이 위쪽으로 복원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바깥날 블록(8)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날이 전후방향(E)에 바깥날(10, 네트(Net)날), 슬릿(Slit) 날(36), 바깥날(10, 네트날)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들은 슬릿 플로트 스프링(37)에 의해 각각이 독립적으로 플로트가능하도록, 프레임 형상의 유지프레임(38)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바깥날(10)은 바깥날 프레임(39)에 의해 고정되고, 바깥날 프레임(39)은 날 커버 부재(40)에 의해, 유지프레임(38)에 결합되어 있다. 유지프레임(38)의 좌우방향(F) 양단에 설치된 결합공(41)에 대하여 날 탈착 스위치(30) 상부의 결합돌기(42, 도 5)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바깥날 블록(8)은 헤드케이스(12)에 대하여 탈착이 자유 롭게 유지되는 것이다.
다음에 날 헤드 지지 블록(4)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도 5, 도 6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헤드 지지부재(4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 コ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위쪽 선단부에는 홀 부(4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헤드케이스(12)의 전후 벽에는, 각각 2개소, 계 4개소의 전후방향(E)에 돌출하는 지지 돌기(45)가 설치되어 있다. 전후의 지지돌기(45)는 각각, 정면으로부터 보아 동(同)축상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 지지부재(43)는 좌우로 2개 배치되어 있고, 각각 상부의 홀 부(44)가 헤드케이스(12)의 지지돌기(45)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또한 헤드케이스(12)를 아래쪽으로부터 전후로 끼워 넣은 상태로 결합하고 있다. 또한, 각 헤드 지지부재(4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의 각 하우징(21, 24)의 전후벽(21a, 24a)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세로 홈 모양의 가이드홈(46,47)에 각각 파묻히는 것에 의해, 헤드 지지부재(43)는 전후벽(21a, 24a)에 끼워진 상태로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유지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 지지부재(43)가 좌우로 2개 설치된 것에 의한 기능은 이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피부면과 다른 각도에서 헤드부(A)가 꽉 눌린 경우, 헤드부(A)의 양단부가 피부에 닿고, 헤드부(A)를 아래로 내리게 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때, 헤드부(A)의 회전지점은, 피부가 닿은 쪽과 반대 쪽의 헤드 지지부재(43)가 축으로 되기 때문에, 역점(力點)과의 거리가 크게 되고, 헤드부(A)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크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대하여 따르는 상태까지, 헤드부(A)가 가벼 운 힘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피부와 날이 밀착하여, 보다 면도흔적이 없는 전기면도기(1)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전벽(21a) 쪽의 안내홈(46)의 상단쪽에 엘라스토머제품의 탄성부재(100, 도 7)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100)는 가이드홈(46)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홈(46)에 따라서 헤드 지지부재(43)가 이동할 때에, 플로트한 헤드 지지부재(43)가 복귀할 때의 충격을 탄성부재(100)에 의하여 완화하고 손에의 충격이나 소리를 저감하는 움직임을 한다.
다음에 상기 헤드 지지부재(43)를 복원하는 스프링 블록(50)을 설명한다. 스프링 블록(50)은, 도 3,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헤드 지지부재(43)에 대응하여 좌우 2개 설치되어 있으며, 한 개의 스프링 블록(50)에는 코일 스프링(51)과 판 스프링(52)이 상하의 스프링 받침부재(53)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코일 스프링(51)은 상하의 각 스프링 받침부재(53)에 설치된 돌기(미도시)로 지지되어 있다. 판 스프링(52)은 개략 U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편이 위쪽의 스프링 받침부재(53)의 돌기를 용착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아래쪽의 스프링 받침부재(53)에는, 코일 스프링(51)을 끼우는 위치에 2개소의 돌출부(미도시)를 가지고 있고, 상기 선단 훅크(Hook)가 위쪽의 스프링 받침부재(53)에 설치된 구멍(미도시)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 블록(50)을 형성한다. 스프링 블록(50) 위쪽의 스프링 받침부재(53)가 헤드 지지부재(43)의 아래면에 닿아, 아래쪽의 스프링 받침부재(53)가 전후의 하우징(21, 24)의 상자모양 공간(110)의 바닥면에 닿는 것으로, 헤드 지지부재(43)는 스프링 블록(50)에 의해 아래로부터 지지된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헤드케이스 블록(6)의 큰 상대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방수가 가능하게 되고, 청소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헤드부(A)와 손잡이부(B)의 상자모양 공간(110)의 위면쪽 사이에 복원요소를 구성하는 헤드 지지부재(43)와 스프링 블록(50)을 설치한 것으로 복원요소가 손잡이부(B)의 굵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대단히 잡기 쉬운 가는 손잡이부(B)를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헤드부(A)의 아래면의 두께방향 전체에 걸쳐서 헤드부(A)를 지지할 수 있고, 헤드부(A)의 동작이 안정된다. 또한, 헤드부(A)에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 헤드 지지부재(43)를 하우징의 전후벽(21a, 24a)의 안쪽에 형성된 안내홈(46, 47)에서 상하이동 자유롭게 유지하고, 헤드 지지부재(43)를 스프링 블록(50)으로 스프링 복원한 것에 의해, 헤드부(A)의 회전과 상하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다음에 상기 스프링 블록(50)의 스프링력을 조정하는 기구를 설명한다. 후 하우징(24)의 한쪽 옆면 상부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채형의 평면부(63)와 홀(62)이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홀(62)에 레버축(64)이 삽입되어 연결된다. 레버축(64)의 선단부에 설치된 돌기(65)에, 레버 조작자(操作子, 66)가 회전 자유롭게 결합하고 있고, 레버 조작자(66)는 후 하우징(24)의 상기 평면부(63)에 배치된다. 레버축(64)은 상기 스프링 블록(50)의 안쪽에 삽입되어, 레버 조작자(66)를 움직이는 것에 의해 레버축(64)이 회전하고, 레버축(64)에 설치된 돌출부(67)의 선단 높이가 변화하는 것으로, 스프링 블록(50) 전체가 상하로 신축하고, 스프링 받침부재(53)의 아래면이나 판 스프링(52)을 받치는 높이를 변화시킬수 있어, 이에 따라, 플로트량이나 플로트력의 조정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레버축(64)의 중앙부근에는 선단에 구(球) 형상을 가지는 돌기(6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68)가 레버축(64)에 장착되어 있는 크릭(Click)부재(25)의 홈(25a)과 결합하는 것에 의해, 크릭감을 얻으면서 레버축(64)의 회전위치를 위치결정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손잡이 블록(3)에 대하여, 도 1, 도 2, 도 3, 도 6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손잡이 블록(3)은 전후로 분할된 하우징(21, 24)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후의 하우징(21, 24)은 그 사이에 고무인 O 링(55, 도3, 도 7)을 끼워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안쪽에 방수 가능한 상자모양 공간(110)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자모양 공간(110)의 전후 상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전후벽(21a, 24a)이 각각 돌출하여 있으며, 이들 전후벽(21a, 24a)의 각 내면이 헤드 유지부로 되어 있다. 하우징(21, 24) 내에 형성된 상자모양 공간(110)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56), 회로(19), 그들을 유지하기 위한 베이스대(56a) 등이 배치된다. 전후의 하우징(21, 24)은 상기 뒷면부로부터 하우징 고정나사(57)에 의해 고정된다. 도 3 중의 58은 나사 덮개이다.
상기 전 하우징 21의 전면에는, 스위치(59)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전 하우징 21 전면에 설치한 훅크(Hook)에 의해 전면 패널(60)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후 하우징 24의 뒷면에는 후면 패널(61)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트리머 블록(70)은, 도 2, 도 3,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 패널(61)쪽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상부위치에 있어서, 트리머 구동자(71, 도 3)가 날 헤드블록(2)에 설치된 트리머 구동 간(驅動桿: 33, 도 5)으로 결합하고, 구동된다.
그리고, 헤드부(A)는 아래쪽에 상자모양 공간(110)을 형성하는 손잡이부(B)의 전후벽(21a, 24a)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유지되는 것에 의해, 전후방향(E)으로의 헤드부(A)의 밀어 붙임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헤드부(A)를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부(B)의 상자모양 공간(110)의 상면쪽과 헤드부(A)가 독립적으로 구성되므로, 방진(防塵)이나 방수를 확실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헤드부(A)의 움직임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피부 추종성능이 크게 향상한다. 더욱이, 손잡이부(B)의 전후벽(21a, 24a)에서 헤드부(A)를 전후방향(E)으로부터 끼워 넣어서 유지하는 것으로, 전후벽(21a, 24a)을 손가락으로 끼운 상태에서 면도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이 헤드부(A)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헤드 지지블록은 헤드부(A)와 손잡이부(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날 헤드블록이 손잡이부(B)의 굵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대단히 쥐기 쉬운 가는 손잡이부(B)를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헤드부(A)의 아래면의 두께방향 전체에 걸쳐서 헤드부(A)를 지지할 수 있고, 헤드부(A)의 동작이 안정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B)는 전후 2개의 하우징(21, 24)에 의해서 하부에 상자모양 공간(110)이 구성되고, 동시에 그 위쪽으로 돌출되는 전후벽(21a, 24a)이 구성되므로, 헤드부(A)의 유지와 손잡이부(B)의 상자모양 공간(110) 형성이 동시에 행하여 지므로, 조립하기 쉽게된다. 또한, 헤드부(A)의 지지벽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드 유지 강성(剛性)을 크게할 수 있으므로, 면도성능이 안정됨과 동시에 부품갯수를 적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B)의 좌우방향(F)의 폭 치수(L2,도 2)보다도 전후벽(21a, 24a)의 폭 치수(L1)가 작게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손에 의한 그립(Grip)상태에 있어서, 손가락이 헤드 아래쪽의 가동범위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게 저감하고, 손가락이 헤드부(A)에 닿아 헤드부(A)의 움직임에 대하여 방해가 되는 경우 없고, 그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1, 도 2의 점부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B)의 정면(B1)에는 엘라스토머 제품의 미끄럼 멈춤부(80)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손잡이부(B)의 옆면으로부터 뒷면 하반부에 걸쳐서 엘라스토머와 같은 마찰계수가 큰 탄성부재로부터 이루어지는 미끄럼 멈춤부(80)가 연속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미끄럼 멈춤부(80)는 손잡이부(B)의 정면 상반부 B1a에도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옆면 B2의 미끄럼 멈춤부(80)를 옆면 상반부 B2a까지 돌출해 있다. 더욱이 손잡이부(B)의 옆면 B2의 미끄럼 멈춤부(80)를 정면 하반부 B1b 까지 돌출해 있고, 이에 따라, 손잡이부(B)를 일주(一周)하도록 미끄럼 멈춤부(80)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나타내는 「집기」나, 도 9에 나타내는 「붙잡기」의 경우의 어느 것도, 손의 크기나 파지(把持)시의 미묘한 위치 어긋남에 관계없이, 중지(中指), 약지(藥指), 소지(小指)의 어느 한 본(本)이상에 있어서 작은 언덕 ·기본 마디 ·가운데 마디 ·끝마디, 및 새끼손가락 언덕부·엄지손가락 언덕부가 확실하게 미끄럼 멈춤부(80)에 접촉하므로, 옆면방향 및 뒷면방향으로부터의 접촉압에 대한 그립성(그립 파지 특성)이 향상한다. 더욱이 손잡이부(B)의 정면 상반부 B1a에도 엘라스토머 제품의 미끄럼 멈춤부(80)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손가락으로 손잡이부(B)를 쥔 상태에 있어서, 엄지가 정확하게 그 위치에 설치되어, 대단히 안정된 미끄러지기 어렵게 붙잡는 기분을 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모터와 날을 구비한 헤드부가 손잡이부에 대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는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내부에 헤드부의 바닥면 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자모양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자모양 공간보다도 위쪽으로 확장 돌출되는 전후벽을 설치하여, 상기 전후벽으로 상기 헤드부를 전후방향으로 끼워넣어 지지하도록 하므로, 전후방향으로의 헤드부의 밀어붙임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헤드부를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부의 전후벽을 손가락으로 끼운 상태에서 면도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이 헤드부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경우가 없게 되고, 따라서, 어떠한 면도방법을 하여도 피부에 추종할 수 있도록 헤드부의 움직임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피부 추종성능이 크게 향상하는 것이다. 더욱이, 손잡이부의 상자모양 공간과 헤드부가 독립하여 구성되므로, 상자모양 공간을 폐(閉) 공간으로 하는 것으로 방진이나 방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전기면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부의 상자모양 공간의 상면쪽과의 사이에, 손잡이부를 스프링 복원하는 복원요소를 설치하였으므로, 복원요소가 손잡이부의 굵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대단히 집기 쉬운 가는 손잡이 부를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헤드부의 프로트 동작이 안정된다.
또한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복원요소는, 헤드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 헤드 지지부재를 손잡이부 전후벽의 안쪽에 형성된 가이드홈에서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헤드 지지부재를 위쪽으로 향하여 스프링 복원되므로 헤드부의 회전과 상하이동이 부드럽게 행해진다.
또한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헤드 지지부재를 헤드부의 좌우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하였으므로, 피부가 닿은 쪽의 헤드 지지부재와는 다른 헤드 지지부재가 회전축으로 되고, 헤드부를 좌우로 기울이는 힘이 크게 되며, 피부 추수성(追隨性)이 향상한다.
또한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헤드 지지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의 상단쪽에 탄성부재를 배치하였으므로, 가이드홈에 따라서 헤드 지지부재가 이동할 때에, 프로트한 헤드 지지부재가 복귀할 때의 충격을 탄성부재에 의해 완화할 수 있게 되고, 손으로의 충격이나 음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상기 손잡이부는, 전후 2개의 하우징에 의해서 상자모양 공간과 그것 보다도 위쪽으로 돌출되는 전후벽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후 2개의 하우징에 의해서 헤드부의 유지와 손잡이부의 상자모양 공간형성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조립하기 쉽게 됨과 동시에, 전후벽이 헤드부의 지지벽으로 되는 것으로 헤드 유지 강성을 크게 할 수 있고, 면도성능이 안정됨과 동시에 부품갯수를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상기 헤드부의 바닥면 중앙부근에 바닥면 양쪽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상기 돌출부에 헤드부를 지지하는 축을 형성하고, 돌출부의 양 바깥쪽의 아래면 위치를 위쪽으로 올리는 것에 의해, 보다 헤드부의 좌우 기울기를 크게 할 수 있어, 피부로의 추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상기 헤드부의 돌출부를 손잡이부의 전후벽에서 전후방향으로부터 덮었으므로, 면도시에 헤드부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쉽고, 수염이 쌓이기 어렵게 된다.
또한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전후벽 좌우방향의 폭 치수를 손잡이부의 좌우방향 폭치수 보다도 짧게 하였으므로, 통상의 손에 의한 그립상태에 있어서, 손가락이 헤드부 아래쪽의 가동범위에 들어 갈 가능성이 크게 저감하고, 손가락이 헤드부에 닿아서 헤드부의 움직임에 대하여 방해되는 경우 없이, 그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전후벽의 어느 한쪽에 헤드부를 전후방향으로 유지하는 기구를 설치하였으므로, 전후벽사이의 피치가 편차져도, 항상 헤드부를 한쪽의 벽으로 유지하여,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1 기재의 발명은, 상기 헤드부의 뒷면 아래부분으로부터, 전후벽의 어느 다른 쪽으로 접하여 헤드부의 전후방향 기울기를 방지하는 돌기부를 돌출하여 이루어지므로, 헤드부의 전후방향 기울기를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면도시에 헤드부에 대하여 전후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헤드부가 전후로 기울어 면도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2 기재의 발명은,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부의 상자모양 공간과 의 사이를 방수구조로 하여,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탄성튜브로 결합함과 동시에, 탄성튜브 내에 헤드부에 손잡이부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배선을 통하게 하였으므로, 방수상태로 헤드부에 손잡이부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됨과 동시에, 큰 상대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방수가 가능하게 되며, 청소성이 향상한다.
또한 청구항 13 기재의 발명은, 손잡이부의 적어도 정면에 엘라스토머제품의 미끄럼 멈춤부를 배치하였으므로, 손가락으로 손잡이부를 쥔 상태에 있어서, 엄지손가락이 정확하게 그 위치에 배치되어, 그립성이 향상되며, 면도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대단히 안정된, 미끄러지기 어렵게 잡는 기분을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모터와 칼날을 구비한 헤드부가 손잡이부에 대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는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내부에 헤드부의 바닥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자모양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자모양 공간보다도 위쪽으로 확장 돌출되어 헤드의 요동방향(F)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된 전후벽(前後壁)을 설치하여, 상기 전후벽으로 상기 헤드부를 전후방향(E)으로 끼워넣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부의 상자모양 공간의 윗면쪽과의 사이에, 손잡이부를 스프링으로 복원하는 복원요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요소는, 헤드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 헤드 지지부재를 손잡이부 전후벽의 안쪽에 형성된 가이드홈에서 상하이동 자유롭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 지지부재를 위쪽으로 향하여 스프링 복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지지부재를 헤드부의 좌우방향(F)으로 복수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지지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의 상단(上端) 쪽에 탄성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전후(前後) 2개의 하우징에 의해 상자모양 공간 그 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전후벽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바닥면 중앙부근에 바닥면 양쪽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돌출부가 손잡이부의 전후벽에서 전후방향(E)으로부터 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벽의 좌우방향(F)의 폭 치수를 손잡이부 좌우방향(E)의 폭 치수 보다도 짧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벽의 어느 한 쪽에 헤드부를 전후방향(F)으로 유지하는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뒷면 아래부분으로부터, 전후벽의 어느곳이 다른 쪽에 접하여 헤드부의 전후방향(F) 경사를 방지하는 돌기부를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부의 상자모양 공간과의 사이를 방수구조로하여,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탄성튜브로 결합함과 동시에, 탄성튜브 내에 헤드부에 손잡이부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배선을 통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13. 제 6항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적어도 정면에 엘라스토머제품의 미끄럼 멈춤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KR1020030035220A 2002-06-17 2003-06-02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KR100563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76471 2002-06-17
JP2002176471 2002-06-17
JPJP-P-2002-00316160 2002-10-30
JP2002316160A JP3861796B2 (ja) 2002-10-30 2002-10-30 電気かみそりの可動ヘッド保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521A KR20040002521A (ko) 2004-01-07
KR100563481B1 true KR100563481B1 (ko) 2006-03-27

Family

ID=2971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220A KR100563481B1 (ko) 2002-06-17 2003-06-02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92457B2 (ko)
EP (1) EP1375089B1 (ko)
KR (1) KR100563481B1 (ko)
CN (1) CN100425412C (ko)
AT (1) ATE327083T1 (ko)
DE (1) DE60305380T2 (ko)
TW (1) TWI2591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9052B2 (ja) * 2001-09-25 2007-09-19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EP1444073B1 (en) * 2001-11-15 2005-09-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ry shaver with a cradle shaving head
JP4396094B2 (ja) 2002-05-30 2010-01-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EP1404494B1 (en) * 2002-06-17 2004-10-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ry shaver with a trimmer
JP2004350764A (ja) * 2003-05-27 2004-12-16 Izumi Products Co 充電式電気かみそり
US7536787B2 (en) * 2004-03-30 2009-05-26 Ridgewood Industries Llc Wet razor and electric trimmer assembly
DE102004023558A1 (de) * 2004-05-13 2005-12-08 Braun Gmbh Elektrisches Haarentfernungsgerät, insbesondere elektrischer Rasierapparat
JP4576919B2 (ja) * 2004-07-30 2010-11-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GB2419103A (en) 2004-10-18 2006-04-19 Gillette Co Electric razor with pivoting head
JP4552646B2 (ja) * 2004-12-16 2010-09-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除毛装置
US20060213997A1 (en) * 2005-03-23 2006-09-2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ursor control device barcode reader
JP4229091B2 (ja) * 2005-05-31 2009-02-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体毛処理器具
JP4604846B2 (ja) * 2005-05-31 2011-01-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体毛処理器具
US7557795B2 (en) * 2005-06-30 2009-07-07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using laser self-mixing velocimeter
PL1904279T3 (pl) * 2005-07-11 2012-02-29 Eveready Battery Inc Uchwyt dla przyboru do golenia
JP4747904B2 (ja) * 2005-07-29 2011-08-1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シェーバー
JP4715425B2 (ja) * 2005-09-27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US7543750B2 (en) * 2005-11-08 2009-06-09 Microsoft Corporation Laser velocimetric image scanning
US7505033B2 (en) * 2005-11-14 2009-03-17 Microsoft Corporation Speckle-based two-dimensional motion tracking
US20070109267A1 (en) * 2005-11-14 2007-05-17 Microsoft Corporation Speckle-based two-dimensional motion tracking
KR200412311Y1 (ko) * 2005-12-02 2006-03-27 오태준 슬림형 전기면도기의 헤드틸팅장치
US20070213742A1 (en) * 2006-03-08 2007-09-13 Callahan Mark J Surgical hair trimmer
ITMI20061015A1 (it) * 2006-05-23 2007-11-24 Perfect Steam Appliances Ltd Macchinetta ad azionamento manuale per tagliare i capelli
JP4438774B2 (ja) * 2006-07-14 2010-03-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シェーバ洗浄装置およびシェーバシステム
JP4697079B2 (ja) * 2006-07-20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シェーバ
JP2008023025A (ja) * 2006-07-20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ェーバ洗浄装置およびシェーバシステム
US20080034591A1 (en) * 2006-08-08 2008-02-14 Kam Fai Fung Shaver with swivel head
US20080161146A1 (en) * 2006-12-28 2008-07-03 Shimano Inc. Bicycle chain wheel with fastener covers
US20080216324A1 (en) * 2007-03-08 2008-09-11 Mark Tauer Surgical hair trimmer
JP4595967B2 (ja) * 2007-07-12 2010-1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刃
JP5127730B2 (ja) * 2009-01-15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ひげそり器
JP5002605B2 (ja) * 2009-01-15 2012-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955711B2 (ja) * 2009-01-15 2012-06-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388188B2 (ja) * 2009-04-23 2014-01-15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往復式電気かみそり
US8720072B2 (en) 2010-08-11 2014-05-13 Thomas J. Bucco Razor with three-axis multi-position capability
JP5820995B2 (ja) * 2011-07-28 2015-1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刃保護キャップおよび当該刃保護キャップが装着される電気かみそり
RU2675125C2 (ru) * 2014-02-24 2018-12-1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Роторная бритва, содержащая дискообразный элемент
JP6376468B2 (ja) * 2014-11-28 2018-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USD765914S1 (en) 2015-01-06 2016-09-06 Telebrands Corp. Abrasive skin treatment device
US10004535B2 (en) 2016-01-27 2018-06-26 Telebrands Corp. Abrasive skin treatment device
JP6715506B2 (ja) * 2016-02-09 2020-07-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US9966984B2 (en) 2016-02-26 2018-05-08 Apple Inc. Device case with balanced hinge
EP3403778B1 (en) * 2017-05-17 2020-01-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air cutting device
ES2900466T3 (es) * 2017-10-06 2022-03-17 Braun Gmbh Depiladora
EP3772800A1 (en) 2019-08-06 2021-02-10 Koninklijke Philips N.V. Watertight and stiff motor suspension
EP3831555A1 (en) 2019-12-04 2021-06-09 Koninklijke Philips N.V. A shaver head for an electric shaver
USD1005504S1 (en) 2020-12-23 2023-11-21 Telebrands Corp. Abrasive skin treatment device
USD1022327S1 (en) 2020-12-23 2024-04-09 International Edge, Inc. Foot file
USD1017136S1 (en) 2020-12-23 2024-03-05 Telebrands Corp. Abrasive skin treatment device
USD1023468S1 (en) 2021-03-29 2024-04-16 Telebrands Corp. Foot fi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9992A (ja) * 1991-02-25 1992-09-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首振りヘッド部を具備した往復動式電気かみそり
GB2266070A (en) * 1992-04-10 1993-10-20 Gillette Co Dry shaver
JPH06343776A (ja) 1993-06-10 1994-12-20 Tokyo Electric Co Ltd 電気ひげそり器
JPH1043443A (ja) * 1996-08-07 1998-02-17 Tec Corp 電気かみそり
DE19633037C1 (de) * 1996-08-16 1997-05-28 Braun Ag Trockenrasierapparat mit Schutzkappe
DE19832473C1 (de) * 1998-07-20 2000-03-30 Braun Gmbh Trockenrasierapparat
AT2988U1 (de) * 1998-07-24 1999-08-25 Payer Lux Elektroprod Trockenrasierapparat
DE19859622A1 (de) 1998-12-23 2000-07-06 Braun Gmbh Antriebseinrichtung für oszillierende elektrische Produkte des persönlichen Bedarfs, insbesondere Trockenrasierer
JP3979052B2 (ja) * 2001-09-25 2007-09-19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EP1444073B1 (en) 2001-11-15 2005-09-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ry shaver with a cradle shaving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59130B (en) 2006-08-01
KR20040002521A (ko) 2004-01-07
US6892457B2 (en) 2005-05-17
US20040010919A1 (en) 2004-01-22
ATE327083T1 (de) 2006-06-15
CN1468694A (zh) 2004-01-21
CN100425412C (zh) 2008-10-15
DE60305380T2 (de) 2007-03-29
EP1375089B1 (en) 2006-05-24
TW200400103A (en) 2004-01-01
EP1375089A1 (en) 2004-01-02
DE60305380D1 (de)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481B1 (ko)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EP1439040B1 (en) Reciprocation type electric shaver
US7020966B2 (en) Dry shaver with a cradle shaving head
CA2393851C (en) Attachment for hair clippers
JP4229091B2 (ja) 体毛処理器具
EP2140987B1 (en) Blade assembly
US20100018057A1 (en) Electric shaver
KR100665452B1 (ko) 헤어 커터
JP3826876B2 (ja) 電気かみそり
JP4535364B2 (ja) 電気かみそり
JP3861796B2 (ja) 電気かみそりの可動ヘッド保持構造
JP4144325B2 (ja) 電気かみそり
JP3937941B2 (ja) 電気かみそり
US20170225342A1 (en) Electric shaver
JP3945376B2 (ja) 電気かみそり
JPH0889671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2826177B2 (ja) ヘアカッター
JP3081001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4622205B2 (ja) 電気かみそり及びその可動ヘッド保持構造
JP2004016813A (ja) 電気かみそり
JP3892477B2 (ja) 電気かみそり
JPH0439351B2 (ko)
JPH02144091A (ja) 電気かみそり
JPH0442033B2 (ko)
JP2000024339A (ja) 剃刀における刃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