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843A -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 - Google Patents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843A
KR20040025843A KR1020030064984A KR20030064984A KR20040025843A KR 20040025843 A KR20040025843 A KR 20040025843A KR 1020030064984 A KR1020030064984 A KR 1020030064984A KR 20030064984 A KR20030064984 A KR 20030064984A KR 20040025843 A KR20040025843 A KR 20040025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antenna
frequency
radio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188B1 (ko
Inventor
가나자와마사루
야마시따요시유끼
도노오까다비또
모리마사토모
다까기히사미쯔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5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Abstract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로서, 간이 구조로 효율적으로 전파를 방사 및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고품질의 통화나 다기능화한 통신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상기 무선기 및 그 무선기에 사용되는 섀시를 제공한다.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는 제1 섀시와, 상기 제1 섀시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섀시로 이루어진 섀시부를 구비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에 있어서, 상기 섀시부는 도전성을 가지며 전체 길이가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2)인 도체부와 전기적 노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 {Folding Type Portable Radio Machine and Chassis of The Radio Machine}
본 발명은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시에는 접어두고, 통화나 통신 등을 할 때에는 열어서 사용하는 구조의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에 관한 것이다.
절첩식 휴대 전화기 등의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는 휴대시에는 접어두지만 통화나 통신 등을 할 때에는 열어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내장된 외부 안테나를 뽑아서 사용한다.
도1은 종래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10)는 사용자의 손에 유지되는 다이얼 조작 키측 부분(11)과, 개폐되는 액정측 부분(12)과, 절첩식 휴대 전화기(10)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어 다이얼 조작 키측 부분(11)과 액정측 부분(12)을 연결하는 좌측 힌지 기구부(13a) 및 우측 힌지 기구부(13b) 등을 갖는다.
다이얼 조작 키측 부분(11)은 판부(20)와 하부 하우징(21)가 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프린트 기판 모듈(22)이 부착된 하부 섀시(23)가 내부에 조립된다. 액정측 부분(12)도 판부(30)와 상부 하우징(31)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며, 프린트 기판 모듈(32)이 부착된 상부 섀시(34)가 그 내부에 조립된다.
좌측 힌지 기구부(13a) 및 우측 힌지 기구부(13b)는 각각 다이얼 조작 키측 부분(11)의 판부(2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원호부(23) 및 액정측 부분(12)의 판부(3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원호부(33)에 의해 덮여있다.
또한, 다이얼 조작 키측 부분(11)의 프린트 기판 모듈(22)과 액정측 부분(12)의 프린트 기판 모듈(32)은 컬을 형성하고 있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아울러, 다이얼 조작 키측 부분(11)의 하부 하우징(21)에는 안테나(45)가 신축 자재로 수납된다. 하부 하우징(21)의 하면에는 배터리 팩(46)이 장착된다.
그러나, 상부 섀시(34) 및 하부 섀시(23)는 금속이 증착된 수지제의 성형품이다. 또한, 좌측 힌지 기구부(13a) 및 우측 힌지 기구부(13b)는 양쪽 모두 금속이 증착되어 다이얼 조작 키측 부분(11)과 액정측 부분(12)이 도통되고, 다른 경우, 양쪽 모두 금속이 증착되지 않아 다이얼 조작 키측 부분(11)과 액정측 부분(12)은 도통되어 있지 않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10)를 닫았을 때의 상부 섀시(34) 및 하부 섀시(23)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 도2(a)는 도1의 Y1-Y2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2(b)는 도1의 X2-X1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절첩식 휴대 전화기(10)를 휴대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상부 섀시(34)가 구비된 상부 하우징(31)을 내부에 하부 섀시(23)가 구비된 하부 하우징(21)에 대하여 닫아서 사용한다. 이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45)를 뽑아도 상부 섀시(34)가 안테나(45)에 의한 전파의 방사 및 흡수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휴대 통신 단말용 안테나에는 안테나가 인체로부터 20mm 떨어진 상태에서 플레이트 안테나의 이득이 종래의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이득보다 lMT-2000 시스템의 전 주파수 대역(1920 내지 2170MHz)에서 2.5dB이상 높은 구성의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하문헌1 참조).
또한, 종래에는 개방 상태에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설치된 제1 및 제2 도전성 막에 의해 모노폴 안테나가 구성되고, 폐쇄 상태에서 제2 도전성 막이 설지면(設地面)으로 동작하는 절첩식 이동 전화기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아울러, 종래에는 통상의 조작 상태에서는 모노폴로서 기능하고, 대기 상태에서는 슬롯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절첩식 이동 전화기용 안테나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또한, 종래에는 서로 분리된 2개의 충분한 폭을 갖는 통과 대역이 존재하며, 이 2개 대역의 중앙 주파수간의 비가 높고, 이 2개의 중앙 주파수 각각이 다른 쪽을 거의 손상시키지 않으며 조정 가능한 공진 구조를 중첩시킨 소형 안테나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4 참조).
[특허문헌1]
특개2002-246821호 공보
[특허문헌2]
특개2000-216611호 공보
[특허문헌3]
특개평11-317610호 공보
[특허문헌4]
특개2001-77623호 공보
그러나, 통신 또는 통화 등을 위하여 절첩식 휴대 전화기(10)를 열고 안테나(45)를 뽑아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파의 방사 및 흡수에 있어서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10)를 열었을 때의 상부 섀시(34) 및 하부 섀시(23)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로, 도3(a)는 도1의 Y1-Y2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3(b)는 도1의 X2-X1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통신이나 통화 등을 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상부 섀시(34)가 구비된 상부 하우징(31)을 내부에 하부 섀시(23)가 구비된 하부 하우징(21)을 회동시켜 절첩식 휴대 전화기(10)를 열고 안테나(45)를 뽑아 사용한다.
이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45)의 바로 옆에 상부 섀시(34)가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 섀시(34)는 안테나(45)가 전파를 방사 및 흡수하는 데에 있어서 장애물이 된다. 따라서, 안테나(45)의 이득이 악화되어 방사 효율이 열화됨에 따라 종래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10)에서는 고품질의 통화나 통신 등을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10)로 대표되는 종래의 휴대형 무선기에서는 일반적으로 헬리컬 안테나나 모노폴 안테나 등의 외부 안테나, 또는 칩 안테나, 판금 안테나, 패치 안테나 등의 내장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근년의 통신 양태의 다양화에 따라 휴대형 무선기에 블루투스(Bluetooth)나 무선 LAN 등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자 각각의 안테나를 실장히기 위한 스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에서는 한층 더한 소형화나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형 무선기의 구조는 통신의 다기능화와 휴대형 무선기에 요구되는 소형화나 경량화의 쌍방의 요구에 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로서, 간이한 구조로 전파를 효율적으로 방사 및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고품질의 통화나 다기능화한 통신 등에 대응할 수 있는 무선기 및 그 무선기에 사용되는 섀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제1 섀시와 상기 제1 섀시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섀시로 이루어진 섀시부를 구비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에 있어서,
상기 섀시부는 도전성을 가지며 전체 길이가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2)인 도체부와 전기적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전기적 노치측에 안테나가 구비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전기적 노치는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4분의 1 파장(λ/4)의 폭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에 내장되는 섀시로서, 상기 섀시는 제1 섀시 및 제2 섀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섀시 및 상기 제2 섀시를 연결하는 복수의 접합부가 상기 제1 섀시 및 상기 제2 섀시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섀시의 하나의 접합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2 섀시의 하나의 접합부의 면은 비도전성 재료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의 섀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도1은 종래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10)를 닫았을 때의 상부 섀시(34) 및 하부 섀시(23)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10)를 열었을 때의 상부 섀시(34) 및 하부 섀시(23)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를 열었을 때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5는 감마 정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5에 도시된 감마 정합에서의 입력 임피던스의 변화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도7은 도5와 등가이며 도5에 도시된 감마 정합의 변형도.
도8은 도5 및 도7과 등가이며 도7에 도시된 감마 정합의 변형도.
도9는 주파수가 900MHz대이며 표1에 도시된 조건하에서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10은 주파수가 900MHz대이며 표1에 도시된 길이 L이 0(제로)인 경우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11은 주파수가 1.5GHz대이며 표1에 도시된 조건하에서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12는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분해 사시도.
도13은 도4 및 도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를 열었을 때의 상부 섀시(300) 및 하부 섀시(400)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14는 도13과 유사하며 도13의 변형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열었을 때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16은 도15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분해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8은 노치 안테나와 공진 주파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9는 도18에 도시된 노치 안테나(900)에 Ex모드를 채용한 경우의 도18과 전기적으로 등가인 도면.
도20은 도17에 도시된 좌측 힌지 기구부(680)와 우측 힌지 기구부(690)의 사이에 도체를 설치한 경우의 전기적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1은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접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2는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를 동축 케이블(903)로 연결한 경우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나타낸 도면.
도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상부 섀시(500) 및 하부 섀시(600)의 분해 사시도.
도24는 도23에 도시된 하부 섀시(600)를 도시한 도면.
도25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 및 그 근방의 제1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6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 및 그 근방의 제2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950)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100, 200, 950:절첩식 휴대 전화기
101:조작키 부분
102:액정 표시 부분
103a:좌측 힌지
103b:우측 힌지
105:배터리 팩
112:하부 하우징
117:제1 프린트 기판 모듈
150, 250:안테나
154:상부 하우징
157:제2 프린트 기판 모듈
160:접촉 고정부
161:접촉면
180, 680:좌측 힌지 기구부
190, 690:우측 힌지 기구부
300, 500:상부 섀시
300a:좌측 접합부
300b:우측 접합부
400, 600:하부 섀시
400a:좌측 접합부
400b:우측 접합부
902:도체 부재
903:동축 케이블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의 일예로서 절첩식 휴대 전화기 및 그 전화기의 섀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열었을 때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4(a)는 사시도이고, 도4(b)는 평면도이며, 도4(c)는 측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외관은 조작키 부분(101)과, 액정 표시 부분(102)과, 상기 조작키 부분(101)과 액정 표시 부분(102)을 연결하는 연결부(103) 등으로 구성된다.
조작키 부분(101)은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는 입력키(110)가 탑재된 입력 키판(111)과, 후술되는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도12 참조) 등이 내장되는 하부 하우징(1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입력 키판(111)의 하부에는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114)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하부 하우징(112)의 내부 우측에는 송수신용 휩 안테나(150)가 신장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액정 표시 부분(102)은 대기 화면이나 발·착신 전화번호 등이 표시되는 액정 디스플레이(152)가 탑재되는 액정 디스플레이판(153)과, 후술되는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도12 참조) 등이 내장되는 상부 하우징(154)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액정 디스플레이판(153)의 상부에는 통화 상대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5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키 부분(101)의 하면에는 전원부로서 배터리 팩(105)이 장착되어 있다.
휴대시(대기시, 비통화시 등)에는 액정 표시 부분(102)이 조작키 부분(101)으로 접혀지지만, 통신 또는 통화 등을 수행할 때에는 조작키 부분(101)이 사용자의 손에 유지되며 액정 표시 부분(102)을 연결부(103)를 중심으로 수동으로 회동시켜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를 열고 안테나(150)를 하부 하우징(112)으로부터 뽑아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전체 길이[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세로 방향의 길이], 즉 도4(b)에 도시된 길이(1)는 사용 주파수의 파장(이하, 파장을 "λ"라 한다)의 약 1/2에 상당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급전선으로부터 안테나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정합 방법으로 감마 정합이 있다.
도5는 감마 정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도체의 안테나(50)는 전체 길이가 약 λ/2이며, 동축 케이블(51)에 의해 급전된다. 동축 케이블(51)의 외부 도체(51a)가 안테나(50)의 중앙에 접속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51)의 내부 도체(51b)는 콘덴서(C)를 통해 도체의 제1 접속부(52)의 일단에 접속된다. 제1 접속부(52)의 타단은 제2 접속부(55)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접속부(55)의 타단은 안테나(5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5중 d1은 안테나(50)의 직경, d2는 제1 접속부(52)의 직경, S는 제2 접속부(55)의 길이, L은 동축 케이블(51)로부터 제2 접속부(55)까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감마 정합에서의 입력 임피던스의 변화 상태를 나타낸그래프이다. 도6을 참조하면, 그래프의 세로축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로축은 동축 케이블(51)로부터 제2 접속부(55)까지의 길이(L)와 λ/4의 비율을 나타낸다.
도6(a)에 도시된 그래프는 도5의 제2 접속부(55)의 길이(S) 및 제1 접속부(52)의 직경(d2)이 일정한 경우의 입력 임피던스의 변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6(a)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실선으로 나타낸 곡선 (1)은 제1 접속부(52)의 직경(d2)과 안테나(50)의 직경(d1)과의 비율 d2/d1이 큰 경우의 저항분의 입력 임피던스를, 실선으로 나타낸 곡선 (2)는 d2/d1가 작은 경우의 저항분의 입력 임피던스를 나타낸 것이다. 점선으로 나타낸 곡선 (3)은 d2/d1가 큰 경우의 리액턴스분의 입력 임피던스를, 점선으로 나타내는 곡선(4)는 d2/d1가 작은 경우의 리액턴스분의 입력 임피던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6(b)에 도시된 그래프는 도5의 안테나(50)의 직경d1, 제1 접속부(52)의 직경d2, 및 제1 접속부(52)의 직경과 안테나(50)의 직경과의 비율 d2/d1이 일정한 경우의 입력 임피던스의 변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6(b)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실선으로 도시된 곡선 (1)은 제2 접속부(55)의 길이(S)가 작은 경우의 저항분의 입력 임피던스를, 실선으로 나타낸 곡선 (2)는 제2 접속부(55)의 길이(S)가 큰 경우의 저항분의 입력 임피던스를 나타낸 것이다. 점선으로 나타낸 곡선 (3)은 제2 접속부(55)의 길이(S)가 작은 경우의 리액턴스분의 입력 임피던스를, 점선으로 나타낸 곡선 (4)는 제2 접속부(55)의 길이(S)가 큰 경우의 리액턴스분의 입력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C)(도5 참조)의 용량, 안테나(50)(도5 참조)의 직경(d1), 제1 접속부(52)(도5 참조)의 직경(d2), 제2 접속부(55)(도5 참조)의 길이(S), 동축 케이블(51)(도5 참조)로부터 제2 접속부(55)까지의 길이(L)를 조정하면 입력 임피던스는 광범위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상술된 길이(L), 길이(S), 콘덴서(C)의 값을 선택하면 동축 케이블(51)의 임피던스 50Ω와 동일한 값의 임피던스가 되도록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길이(L)가 대략 λ/4이고, 길이(S)가 λ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값(예를 들면, λ/10 이하 정도)이며, 콘덴서(C)가 안테나(50)의 입력 임피던스의 인덕티브 리액턴스분을 제거하는 용량치인 경우에 동축 케이블(51)과 전체 길이가 대략 λ/2에 상당하는 안테나(50)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감마 정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5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것처럼 고쳐 쓸 수 있다. 도7은 도5에 도시된 감마 정합의 변형예로, 도5와 등가이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감마 정합의 변형예로, 도5 및 도7과 등가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발명자는 길이(S)가 λ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값(예를 들면, λ/10 이하 정도)이고, 콘덴서(C)가 안테나(C)의 입력 임피던스의인덕티브 리액턴스분을 제거하는 용량치이며, 길이(W)가 안테나(50)에 영향을 주지않는 길이(예를 들면, λ/4 이하 정도)이고, 길이(L)가 길이(W)보다 짧은 길이인 경우에 동축 케이블(51)과 동일한 임피던스가 되도록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L)가 짧은 경우에는 저항분이 작아져 안테나의 방사 특성이 열화되므로, 길이(L)는 λ/10 이상일 필요가 있다. 단, 반드시 직선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어도 된다.
아울러, 본 출원의 발명자는 주파수가 900MHz대인 경우 및 1.5GHz대인 경우에 길이(L), 길이(W), 길이(S) 및 콘덴서(C)의 값을 각각 이하의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하면 표1에 도시된 우수한 방사 효율(dB)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주파수
900MHz대 1.5GHz대
λ/2(mm) 170 100
L(mm) 37 20
W(mm) 47 23.5
S(mm) 10 5
C(pF) 0.5 0.25
방사 효율(dB) 0.5 -0.3
주파수가 900MHz대이고 길이(L), 길이(W), 길이(S), 콘덴서(C)의 값을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 경우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9에 도시하였다.
또한, 주파수가 900MHz대이며 길이(W), 길이(S) 및 콘덴서(C)의 값을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하고, 길이(L)를 0(제로)로 한 경우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10에 도시하였다.
아울러, 주파수가 1.5GHz대이며 길이(L), 길이(W), 길이(S) 및 콘덴서(C)의 값을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 경우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11에 도시하였다.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주파수(MHz)를 나타낸 것이다. 세로축은 리턴 로스(dB), 즉 입력에 대한 손실 수준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리턴 로스가 0(제로)dB라면 입력이 모두 반사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9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표1에 도시된 조건하에서 주파수가 900 내지 1000MHz인 경우에 리턴 로스는 -10dB 내지 -30dB라는 양호한 값을 나타내며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10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길이(L)를 0(제로)로 한 경우에는 어느 주파수에서도 리턴 로스가 0(제로)dB로, 입력이 모두 반사되어 버린다. 즉, 표1에 도시된 설정을 수행하면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음을 도9 및 도10에서 알 수 있다.
또한, 도11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표1에 도시된 조건하에서 주파수가 1.5GHz 근방인 경우에는 리턴 로스가 -20dB 내지 -30dB라는 양호한 값을 나타내며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전체 길이, 즉 도4(b)에 도시된 길이(l)를 사용 주파수의 약 λ/2에 상당하는 길이로 설정하고, 아울러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를 상술된감마 정합을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면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로써, 상술된 감마 정합을 이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12는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액정 표시 부분(102)의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은 제1 섀시로서 기능하는 상부 섀시(300)에 탑재된다. 아울러, 상부 섀시(300)는 제1 하우징으로서 기능하는 상부 하우징(154)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조작키 부분(101)의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은 제2 섀시로서 기능하는 하부 섀시(400)에 탑재된다. 하부 섀시(400)는 제2 하우징으로서 기능하는 하부 하우징(112)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부 섀시(300)는 알루미늄이나 니켈 등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에 알루미늄, 니켈 또는 마그네슘 등의 금속 재료를 증착한 것으로 구성된다. 상부 섀시(300)와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의 접지 도체 패턴은 스프링 부재 등을 통해 접속된다.
상부 섀시(300)는 좌측 힌지 기구부(180) 및 우측 힌지 기구부(190)를 통해 하부 섀시(40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좌측 힌지 기구부(180)는 좌측 힌지(103a)와, 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 접합부로서 기능하는 좌측 접합부(300a)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2 접합부로 기능하는 좌측 접합부(400a)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힌지 기구부(190)는 우측 힌지(103b)와, 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300b)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를 구비한다.
좌측 접합부(300a 및 400a)는 중공 형상을 가지므로 좌측 힌지(103a)를 삽입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접합부(300b 및 400b)도 중공 형상을 가지므로 우측 힌지(103b)를 삽입 설치할 수 있다.
하부 섀시(400)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마그네슘 등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에 알루미늄이나 니켈 등의 금속 재료를 증착한 것으로 구성된다. 단,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는 상기의 금속 재료를 증착하지 않은 합성 수지 등의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우측 접합부(400b)를 마스크하고, 상기 금속 재료를 합성 수지에 증착시켜 하부 섀시(400)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 섀시(300)와 하부 섀시(400)가 좌측 힌지 기구부(180) 및 우측 힌지 기구부(190)를 통해 연결되면 우측 힌지(103a)가 삽입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300a)와 좌측 접합부(400a)의 사이는 도통되고, 우측 힌지(103b)가 삽입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300b)와 우측 접합부(400b)의 사이는 도통되지 않는다.
또한, 도통하는 좌측 힌지(103a)측의 도통을 확실하게 취하기 위하여 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된 좌측 접합부(300a)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된 좌측 접합부(400a)의 사이에 중공 형상의 접촉 고정부(160)가 끼워진다.
또한, 도12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에서는 우측 접합부(400b) 전체가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우측 힌지(103b)측이 도통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는 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가 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300b)와 접촉하는 면(161)만을 마스크하고, 상기 금속 재료를 합성 수지에 증착시켜 하부 섀시(400)를 형성하여 접촉면(161)만이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300b)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의 사이에 비도전성 와셔 부재 등을 개재시켜도 된다.
아울러, 안테나(150)가 하부 하우징(112) 내부의 우측 접합부(400b)측, 즉 도통되지 않은 측으로 신장 및 수납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에서는 조작키 부분(101)의 상부 섀시(300)와 액정 표시 부분(102)의 하부 섀시(400)가 좌측 힌지 기구부(180) 및 우측 힌지 기구부(190)를 통해 기계적으로는 접속되지만, 전기적으로는 좌측 힌지 기구부(180)에서만 도통이 취해지고 도통되지 않는 측[우측 힌지 기구부(190)측]에 안테나(150)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안테나(150)는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의 이면의 소정의 급전면(예를 들면, 도12중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에 위치하는 면)을 통해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의 급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상술된 감마 정합의 관계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13은 도4 및 도12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를 열었을 때의 상부 섀시(300) 및 하부 섀시(400)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 도13(a)는 도4(a)의 Y1-Y2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13(b)는 도4(a)의 X2-X1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13(a)에서는 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접합부(300b)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도12의 우측 힌지 기구부(190)측이 도통되지 않은 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도13(b)의 화살표는 전기 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13을 참조하면, 통신 또는 통화 등을 하기 위하여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를 열고 안테나(150)를 뽑으면 도체의 안테나(150)와 도체의 상부 섀시(300) 또는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의 사이에 전기 용량이 형성된다.
우측 힌지 기구부(190)측, 즉 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300b)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의 사이는 도통되지 않으므로, 상부 섀시(300)와 하부 섀시(400)의 사이에는 전기적 노치, 즉 전기적인 절결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13에 도시된 전기적 상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쳐 쓸 수 있다.
도14의 콘덴서(C)는 도체의 안테나(150)와 도체의 상부 섀시(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 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사선부는 상기된 전기적 노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14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전기적 상태는 도8에 도시된 감마 정합 회로와 등가이다. 즉,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전체 길이(l)는 사용 주파수의 약 λ/2에 상당하는 길이이며, 도14에 도시된 콘덴서(C)의 용량, 상부 섀시(300)의 우단부(170)로부터 좌측 힌지 기구부(180)까지의 길이(L) 및 좌측 힌지(103a)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300a) 및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400a)의 길이(S)를 조정하면 사용 주파수역에서의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좌측 힌지 기구부(180)측[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300a)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400a)] 및 우측 힌지 기구부(190)측[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300b)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의 도통·비도통에 착안하여 안테나(150)의 방사 효율을 측정하였다. 표2는 상기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표2에서 방사 효율(dB)의 값은 λ/2의 다이폴 안테나를 0(제로)dB로 한 경우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방사 효율(dB)
측정 조건 주파수
좌측 힌지 기구부180측 우측 힌지 기구부190측 819MHz 949MHz
도통 있음 도통 있음 -8.5 -7.0
도통 없음 도통 없음 -6.6 -7.9
도통 있음 도통 없음 -0.0 -1.3
표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를 금속 재료를 증착시키지 않고 성형하고, 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300b)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의 도통을 취하지 않으며, 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300a)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400a)의 도통을 취하는 경우에 주파수가 819MHz일 때에는 -0.0dB의 방사 효율이, 주파수가 949MHz일 때에는 -1.3dB의 방사 효율이 얻어지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좌측 힌지 기구부(180)측 및 우측 힌지 기구부(190)측 쌍방에 대하여 도통을 취하는 경우 및 쌍방에 대하여 도통을 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방사 효율이 각별히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가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취하면 하부 하우징(112)에 탑재된 안테나(150)와, 하부 섀시(400)와, 좌측 힌지 기구부(180)[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300a)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400a) 및 좌측 힌지(103a)]와, 종래에는 안테나(150)의 장애물이었던 상부 섀시(300)가 일체가 되어 방사 효율이 좋은 λ/2의 안테나로 동작하게 된다. 아울러, 상술된 예에서는 우측 접합부(400b)를 금속 재료를 증착시키지 않고 하부 섀시(400)를 성형하면 되므로, 간이하게 상기된 하부 섀시(4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를 열었을 때에는 상부 섀시(300)가 안테나(150)의 장애물이 되는 위치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방사 특성이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에 따르면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열고 안테나를 뽑아 통화나 통신 등을 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전파를 방사 및 흡수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통화나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상부 섀시(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우측접합부(300b)와 하부 섀시(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의 도통을 취하지 않는 구조로 구성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8에 도시된 감마 정합을 이용하기 위하여 콘덴서(C)의 용량, 길이(L) 및 길이(S)를 조정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는 적절한 값이 되도록 설계하면 사용 주파수 대역에서 실효적으로 고이득인 λ/2 다이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예에서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전체 길이, 즉 도4(b)에 도시된 길이(l)가 사용 주파수의 약 λ/2에 상당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의 전체 길이 및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의 전체 길이의 합이 사용 주파수의 약 λ/2에 상당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원칙적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열었을 때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15(a)는 사시도이고, 도15(b)는 평면도이며, 도15(c)는 측면도이다. 도16은 도15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외관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와 마찬가지로조작키 부분(101)과, 액정 표시 부분(102)과, 상기 조작키 부분(101)과 액정 표시 부분(102)을 연결하는 연결부(203)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16을 참조하면, 조작키측 부분(101)은 입력 키판부(111)와 제2 하우징으로서 기능하는 하부 하우징(112)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이 부착되고 제2 섀시로서 기능하는 하부 섀시(600)가 내부에 조립된다. 액정 표시 부분(102)은 액정 디스플레이판부(153)와 제1 하우징으로서 기능하는 상부 하우징(154)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며, 액정 디스플레이(152) 및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이 부착되고 제1 섀시로서 기능하는 상부 섀시(500)가 내부에 조립된다.
상부 섀시(500) 및 하부 섀시(600)는 좌측 힌지 기구부(680) 및 우측 힌지 기구부(690)를 구비하며, 각각 조작키 부분(101)의 입력 키판부(111)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원호부(23) 및 액정측 부분(102)의 액정 디스플레이판부(153)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원호부(33)에 의해 덮여 도15에 도시된 연결부(203)를 구성한다. 좌측 힌지 기구부(680) 및 우측 힌지 기구부(69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조작키측 부분(101)의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과 액정측 부분(102)의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좌측 힌지 기구부(680)와 우측 힌지 기구부(690)의 사이를 지나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과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에 각각 커넥터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가소성이 있는(플렉시블한) 플랫 케이블로, 도중에 컬을 형성하고 있다.
하부 하우징(112) 내부의 우측에는 송수신용 외부 안테나(250)가 부착되어있다. 단, 외부 안테나(25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휩 안테나(150)와 달리 신장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도15를 참조하면, 휴대시(대기시, 비통신시 등)에는 액정 표시 부분(102)이 조작키 부분(101)으로 접혀지지만, 통신 또는 통화 등을 수행할 때에는 조작키 부분(101)을 사용자의 손에 유지하고 액정 표시 부분(102)을 연결부(203)를 중심으로 수동으로 회동시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열어 사용한다.
또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전체 길이[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세로 방향의 길이], 즉 도15(b)에 도시된 길이(l)는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도록 설정한다.
도4, 도13 등에 도시된 전술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전체 길이를 사용 주파수의 파장의 약 1/2에 상당하도록 설정하며, 좌측 힌지 기구부(180)에서만 도통을 취하고 도통되지 않는 측인 우측 힌지 기구부(190)측에 안테나(150)를 위치시키며 전술된 감마 정합을 이용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의 감마 정합을 이용하여 제1 사용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는 동시에 노치 안테나와 공진 주파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사용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 정합까지 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이들의 원리를 설명하고, 이어서 이들 원리에 의거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17(a)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열었을 때의 도16에 도시된 상부 섀시(500) 및 하부 섀시(600)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15(a)의 Y1-Y2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17(a)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도통이 취해져 있고,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기계적으로는 접합되어 있지만 도통되어 있지 않음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17(b)는 도17(a)와 전기적으로 등가인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도15(b)에 도시된 길이(l)가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힌지 기구부(690)의 도통은 취해지지 않았지만, 우측 힌지 기구부(690) 이외의 부분[좌측 힌지 기구부(680)를 포함]은 도통이 취해져 있다.
따라서, 도17(b)에서 사선으로 도시된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의 사이에는 전기적 노치, 즉 전기적인 절결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17(b)에 도시된 전기적 상태는 도5 및 도7에 도시된 감마 정합의 변형인 도8에 도시된 상태와 등가이다. 즉,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전체 길이(l)를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도록 설정하고, 주지의 방법에 따라 승수(乘數)의 변화에 의거한 콘덴서(C)의 용량 조정, 전기적 노치가형성되어 있는 측의 상부 섀시(500) 및 하부 섀시(600)의 단부로부터 도통이 취해져 있는 좌측 힌지 기구부(680)까지의 X1-X2방향의 길이, 즉 전기적 노치의 X1-X2방향의 길이(L) 조정, 및 전기적 노치 Y1-Y2방향의 길이(S) 조정을 수행하면 전술된 감마 정합을 이용하여 제1 사용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에 의해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 및 좌측 힌지 기구부(680)가 일체가 되어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의 길이를 갖는 방사 효율이 좋은 안테나로서 동작하게 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도17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전기적 노치를 구비하는 소위 노치 안테나와 공진 주파수의 관계에 착안하여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나아가 제2 사용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고 있다.
도18은 노치 안테나와 공진 주파수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9는 도18에 도시된 노치 안테나(900)에 후술되는 Ex 모드를 채용한 경우의 도18과 전기적으로 등가인 도면이다. 또한, 도18에서는 도17(b)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전기적 노치를 사선으로 나타내었다.
도18을 참조하면, 내부에 전기적 노치를 구비한 노치 안테나(900)에서 전기적 노치의 x방향의 길이를 S로 하고, 전기적 노치의 y방향의 길이를 L로 하고, 상기 노치 안테나를 사용하는 주파수의 파장을 λ2로 하는 경우에 이하의 2가지의 경우에 공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L이 S보다 크고 L=λ2/4인 경우(이하, "Ex모드"라 한다)와 S가 L보다 크고 S=λ2/2인 경우(이하, "Ey 모드"라 한다)에 공진한다.
그러나, Ey 모드에서는 노치 안테나(900)에 급전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901)을 길게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Ex 모드를 채용하고 이를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적용하는 것을 발견하여 동축 케이블(901)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다.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Ex 모드를 채용하면 도18에 도시된 노치 안테나(900)는 도19에 도시된 전체 길이가 λ2/4의 모노폴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등가가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도18에 도시된 전기적 노치의 y방향의 길이(L)를 제2 사용 주파수의 λ2/4에 상당하는 길이로 설정하고, 도17(b)에 도시된 콘덴서(C)의 용량을 조정하면 제2 사용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대기시나 휴대시에 접은 상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접은 상태에서도 제1 사용 주파수 및 제2 사용 주파수의 쌍방에서 공진시키는 구조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접은 상태에서도 상술된 전기적 노치가 형성되는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구조는 후술하겠지만 도17에 도시된 좌측 힌지 기구부(680)와 우측 힌지 기구부(690)의 사이에 도체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이 상태와 전기적으로 등가인 상태를 도20에 도시하였다. 도20에서도 전기적노치는 사선으로 나타내었다. 도20(a)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열었을 때를 나타낸 것이고, 도20(b)는 닫았을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20을 참조하면, 좌측 힌지 기구부(680)로부터 X1방향[우측 힌지 기구부(690)측]으로 도체 부재(902)가 설치되고, 나아가 도18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부 섀시(500)에 설치되던 급전점이 도체 부재(902)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20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 노치는 도체 부재(902)와 하부 섀시(600)의 사이에 Y1-Y2방향으로 폭 S'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의 개폐는 좌측 힌지 기구부(680) 및 우측 힌지 기구부(690)를 중심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하면 도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섀시(500)를 하부 섀시(600)에 대하여 닫아도 전기적 노치는 도체 부재(902)와 하부 섀시(600)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개폐 상태를 불문하고 전기적 노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제2 사용 주파수에서 공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전체 길이가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접으면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전체 길이는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4가 된다. 이 상태를 도21에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21(a)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열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21(b)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닫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21에서 화살표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에서의 전류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21(a)의 좌측 도면은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열었을 때의 전류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세로축은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전체 길이 방향에서의 임의의 위치를, 가로축은 전류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전류 분포에 있어서, 상반부는 상부 섀시(500)측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고, 하반부는 하부 섀시(600)의 전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7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접으면 상부 섀시(500)에서의 전류 방향은 하부 섀시(600)에서의 전류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므로,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제1 사용 주파수에서의 공진 상태가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길이가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 동축 케이블(903)을 통해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를 결선(結線)하고 있다.
도22(a)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열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22(b)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닫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22에서 화살표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에서의 전류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22(a)의 좌측 도면은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열었을 때의 전류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가로축은 전류의 크기를, 세로축은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전체 길이 방향에서의 임의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전류 분포에 있어서, 화살표(A)로도시된 부분은 동축 케이블(903)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길이가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는 길이의 동축 케이블(903)을 통해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를 접속하면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닫아도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에서의 전류의 방향이 동일 방향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동축 케이블(903)을 통해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를 결선하면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접어도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열었을 때와 동일하게 전체 길이가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감마 정합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접어도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섀시(500)에서의 전류 방향과 하부 섀시(600)에서의 전류 방향의 상쇄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 사용 주파수에서 공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 주파수에서의 공진은 전술된 바와 같이 도17의 전기적 노치의 y방향의 길이(L)에 기인하기 때문에 제2 사용 주파수에서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개폐 상태를 불문하고 공진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는 상술된 원리에 의거하여 감마 정합을 이용하여 제1 사용 주파수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는 동시에 노치 안테나와 공진 주파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사용 주파수에서 임피던스 정합까지 취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3은 도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상부 섀시(500) 및 하부 섀시(6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3을 참조하면, 도16에 도시된 상부 섀시(500)에는 액정 디스플레이(152) 및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이 부착된다. 또한, 하부 섀시(600)에는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이 부착된다.
상부 섀시(500)는 알루미늄이나 니켈 등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에 알루미늄, 니켈 또는 마그네슘 등의 금속 재료를 증착한 것으로 구성된다. 상부 섀시(500)와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의 접지 도체 패턴은 스프링 부재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부 섀시(500)는 좌측 힌지 기구부(680) 및 우측 힌지 기구부(690)를 통해 하부 섀시(60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좌측 힌지 기구부(680)는 좌측 힌지(103a)와, 상부 섀시(5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 접합부로써 기능하는 좌측 접합부(300a)와, 하부 섀시(6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2 접합부로써 기능하는 좌측 접합부(400a)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힌지 기구부(690)는 우측 힌지(103b)와, 상부 섀시(5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300b)와, 하부 섀시(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를 구비한다.
좌측 접합부(300a 및 400a)는 중공 형상을 가지므로 좌측 힌지(103a)를 삽입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접합부(300b 및 400b)도 중공 형상을 가지므로 우측 힌지(103b)를 삽입 설치할 수 있다.
하부 섀시(600)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마그네슘 등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에 알루미늄이나 니켈 등의 금속 재료를 증착한 것으로 구성된다. 단, 하부 섀시(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는 상기의 금속 재료가 증착되지 않은 합성 수지 등의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우측 접합부(400b)를 마스크하고 상기 금속 재료를 합성 수지에 증착시켜 하부 섀시(600)를 형성한다. 따라서, 간이하게 상술된 우측 접합부(400b)를 구비하는 하부 섀시(600)를 성형할 수 있다.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는 좌측 힌지 기구부(680) 및 우측 힌지 기구부(690)를 통해 연결되며, 좌측 힌지(103a)가 삽입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300a)와 좌측 접합부(400a)의 사이는 도통되고, 우측 힌지(103b)가 삽입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300b)와 우측 접합부(400b)의 사이는 도통되지 않는다.
또한, 도통되는 좌측 힌지 기구부(680)측의 도통을 확실하게 취하기 위하여 상기 섀시(5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300a)와 하부 섀시(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400a)의 사이에 중공 형상의 접촉 고정부(160)가 끼워진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는 제1 연결부로 기능하는 좌측 힌지 기구부(680) 및 제2 연결부로 기능하는 우측 힌지 기구부(690)를 통해 기계적으로는 접속되지만, 전기적으로는 좌측 힌지 기구부(680)에서만 도통이 취해진다. 따라서, 좌측 힌지 기구부(680)와 우측 힌지 기구부(690)의 사이에는 도17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설명된 전기적 노치가 형성되며,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 및 좌측 힌지 기구부(680)에 의해 노치 안테나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섀시(500) 및 하부 섀시(600)의 도통이 취해지는 부분인 좌측 힌지 기구부(680)와 상부 섀시(500) 및 하부 섀시(600)의 도통이 취해지지 않은 부분인 우측 힌지 기구부(690)의 사이의 도23의 Z1-Z2 방향의 길이가 도17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설명된 길이(L), 즉 제2 사용 주파수의 파장(λ2)의 약 1/4에 상당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전체 길이[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세로 방향의 길이], 즉 15(b)에 도시된 길이(l)는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연 상태에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내부에 설치된 콘덴서의 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동시에 노치 안테나와 공진 주파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사용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 정합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하부 섀시(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 전체가 비도통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우측 힌지 기구부(690)측이 도통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하는 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부 섀시(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가 상부 섀시(5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300b)와 접촉하는 면(161)만을 마스크하고, 상기 금속 재료를 합성 수지에 증착시켜 하부 섀시(600)를 형성하여 접촉면(161)만이 비도통 재료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부 섀시(5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300b)와 하부 섀시(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접합부(400b)의 사이에 비도전성 와셔 부재 등을 개재시켜도 된다.
아울러, 상기 예에서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100)의 전체 길이, 즉 도4(b)에 도시된 길이(l)가 제1 사용 주파수의 약 λ1/2에 상당하도록 설정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의 전체 길이 및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의 전체 길이의 합이 사용 주파수의 약 λ1/2에 상당하도록 설정하여도 된다.
도24는 도23에 도시된 하부 섀시(60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24(a)는 평면도이고, 도24(b)는 도23의 Z2-Z1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23 및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섀시(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측 접합부(400a)에 있어서, 도체 부재(902)가 좌측 접합부(400a)의 중공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Z1방향, 즉 우측 힌지 기구부(690)측의 우측 접합부(400b)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로 또한 하부 섀시(600)와의 사이에 길이 S'의 간격을 형성하며 연설되어 있다.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의 개폐는 좌측 힌지 기구부(680) 및 우측 힌지 기구부(690)를 중심으로 수행되는데, 상기 도체 부재(902)에 의해 상부 섀시(500)를 하부 섀시(600)에 대하여 닫아도 전기적 노치가 도체 부재(902)와 하부 섀시(600)와의 사이에 길이 S'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즉,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개폐 상태를 불문하고 전기적 노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개폐 상태를 불문하고 원하는 제2 사용 주파수에서 공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1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섀시(500)에 부착되는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과 하부 섀시(600)에 부착되는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은 도중에 컬을 형성하고 있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25는 이러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 및 그 근방의 제1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26은 이러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 및 그 근방의 제2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5를 참조하면,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의 일단에는 상부 섀시(500)에 부착되는 제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모듈(117)에 접속되는 커넥터(910)가 설치되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의 타단에는 하부 섀시(600)에 부착되는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에 접속되는 커넥터(911)가 설치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이 커넥터(910 및 911)를 통해 프린트 기판 모듈(117 및 157)에 접속되면 적어도 1주(周) 나선형으로 컬부(41)가 형성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에 형성된 컬부(41)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축부재(912)가 삽입되므로, 장기간의 반복 개폐 동작에 의해 컬부(41)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컬부(41)의 외주부를 따라 보호 시트(913)가 배치되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이 보호된다.
보호 시트(913)에는 복수의 구멍(91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과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을 접속하고 길이가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는 길이의 동축 선로인 동축 케이블(903)을 이 구멍(914)에 통과시키는데, 대략 보호 시트(913)를 따라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의 외주를 감듯이 동축 케이블(903)이 배치된다.
혹은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의 복수의 구멍(914)이 형성된 보호 시트(913)를 이용하지 않고 축부재(912)의 중심에 축방향의 구멍(915)을 설치하고, 이 구멍(915)에 상술된 동축 케이블(903)을 통과시키는 구조로 구성하여도 된다.
어떻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에 형성된 컬부(41)를 이용하여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 동축 케이블(903)을 통해 하부 섀시(600)에 설치된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과 상부 섀시(500)에 설치된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이 접선된다. 따라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접어 하부 섀시(600))에 대하여 상부 섀시(500)를 닫아도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열었을 때와 동일하게 전체 길이가 약 λ1/2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감마 정합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1 사용 주파수에서 공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체 부재(902)가 좌측 접합부(400a)로부터 도통되지 않은 우측 힌지 기구부(690)측으로 연설되고 하부 섀시(600)와의 사이에 길이 S'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나아가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 동축 케이블(903)을 통해 하부 섀시(600)에 설치된 제1 프린트 기판 모듈(117)과 상부 섀시(500)에 설치된 제2 프린트 기판 모듈(157)이 결선되기 때문에 접혀진 상태에서도 제1 사용 주파수 및 제2 사용 주파수의 쌍방에서 공진시킬 수 있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에 의하면,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 및 힌지 기구부(680 및 690)가 일체가 되어 서로 다른 사용 주파수 대역(듀얼 밴드)에서 내장 안테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효적이고 고이득인 변형 감마 정합형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로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듀얼 밴드에서 전파의 방사 및 흡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통화나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을 위하여 각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외부 안테나(예을 들면, 휩 안테나 등)를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내부에 특별히 스페이스를 마련하여 실장하지 않아도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내부에 설치된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와 및 힌지 기구부(680 및 690)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적 노치를 이용한 내장 안테나를 이용하여 각각의 주파수에서 공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의 소형화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는 도27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950)로 변형할 수 있다. 여기서, 도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절첩식 휴대 전화기(9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7을 참조하면, 절첩식 휴대 전화기(950)는 상술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와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의 경우와 달리 도16에 도시된 외부 안테나(150)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부 섀시(500)와 하부 섀시(600) 및 힌지 기구부(680 및 690) 등이 일체가 된 내장 안테나만으로도 듀얼 밴드에 대응할 수있기 때문에 휩 안테나 등으로 대표되는 외부 안테나 그 자체를 설치하지 않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27에 도시된 구조에 따르면, 절첩식 휴대 전화기(950)의 외부 안테나가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절첩식 휴대 전화기(950)를 포켓이나 가방 등에서 넣었다 뺐다 하는 경우의 장애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출납이 원활해진다. 아울러, 절첩식 휴대 전화기(950)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외부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하던 스페이스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된 도15 내지 도27에 도시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이용되는 원리(도17 및 도19 참조)를 휴대시(대기시, 비통신시 등)에도 접지않고 사용하는 소위 스트레이트식 휴대 전화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소위 스트레이트식 휴대 전화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을 도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중앙 부근에 전기적 노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기판의 형상을 평면에서 볼 때 대략 コ모양으로 형성하고, 기판의 긴 변을 제1 사용 주파수의 파장(λ1)의 약 1/2에 상당하는 길이로 설정하고, 상기 전기적 노치의 긴 변을 제2 사용 주파수의 파장(λ2)의 약 1/4에 상당하는 길이로 설정한 구조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하면, 전기적으로는 도17(a)에 도시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200)를 열었을 때의 상태와 등가가 되며, 도17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원리에 의거하여 서로 다른 사용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실효적이고 고이득인 변형 감마 정합형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 및 상기 전화기의 하우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시(대기시, 비통신시 등)에는 접히지만, 통화나 통신 등을 할 때에는 열어서 사용하는 구조의 다른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에도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부기 1) 제1 섀시와, 상기 제1 섀시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섀시로 이루어진 섀시부를 구비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에 있어서,
상기 섀시부는 도전성을 가지며 전체 길이가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2)인 도체부와 전기적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2) 상기 전기적 노치측에 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3) 상기 도체부는 상기 사용 주파수의 약 4분의 1 파장(λ/4) 이하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전기적 노치는 상기 사용 주파수의 약 10분의 1 파장(λ/10) 이하의 전체 길이 및 약 λ/10 이상 λ/4 이하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4) 상기 도체는 상기 제1 섀시 및 상기 제2 섀시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린트 기판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5) 상기 전기적 노치는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약 4분의 1 파장(λ/4)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6) 도전성을 갖는 제1 섀시와,
힌지 기구부를 통해 상기 제1 섀시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전성을 갖는 제2 섀시를 구비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부는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도통시키는 부분과 도통시키지 않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섀시 및 상기 제2 섀시의 전체 길이는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7) 상기 힌지 기구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도통시키는 부분은 상기 제1 섀시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섀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의 사이에는 도전체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8) 상기 힌지 기구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도통시키는 부분과 상기 힌지 기구부의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도통시키지 않는 부분 사이의 길이는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4분의 1 파장(λ/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 또는 7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9) 상기 제2 섀시와 일정 간격을 형성하면서,
상기 힌지 기구부의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도통시키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도통시키지 않는 부분을 향해 도전성 부재가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 내지 8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10)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결선하며,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2)의 전체 길이를 갖는 동축 선로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 내지 9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11) 상기 제1 섀시 및 상기 제2 섀시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린트 기판 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가소성 프린트 기판을 아울러 구비하되,
상기 동축 선로는 상기 가소성 프린트 기판에 감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12) 상기 제2 섀시에 신장 자재로 설치되는 안테나를 더욱 구비하되,
상기 안테나는 상기 힌지 기구부의 상기 상부 섀시와 상기 하부 섀시를 도통시키지 않는 부분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13)
내부에 프린트 배선판을 탑재하는 도전성을 갖는 제1 섀시를 구비한 제1 하우징과,
내부에 프린트 배선판을 탑재하는 도전성을 갖는 제2 섀시를 구비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배면으로 신장 가능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좌우 어느 한 쪽에 부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 섀시에 탑재된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급전 회로로부터 급전을 받으며,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는 좌우에 설치된 연결부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가 위치하는 쪽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전기적으로 비접속시키고, 다른 쪽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무선기의 전체 길이는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14) 상기 제1 섀시는 상기 제1 섀시에 탑재되는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접지 도체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섀시는 상기 제2 섀시에 탑재되는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접지 도체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무선기.
(부기 15)
내부에 프린트 배선판을 탑재하는 도전성을 갖는 제1 섀시를 구비한 제1 하우징과,
내부에 프린트 배선판을 탑재하는 도전성을 갖는 제2 섀시를 구비한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는 좌우에 설치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통해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전기적으로 비접속시키며,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에서의 무선기의 전체 길이는 제1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1/2)이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길이는 무선기의 제2 사용 주파수의 대략 4분의 1 파장(λ2/4)이며,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의 내장 안테나로서 상기 제1 사용 주파수 및 상기 제2 사용 주파수의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부기 16)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에 내장되는 섀시로서,
상기 섀시는 제1 섀시 및 제2 섀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섀시 및 제2 섀시를 연결하는 복수의 접합부가 상기 제1 섀시 및 상기 제2 섀시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섀시의 하나의 접합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2 섀시의 하나의 접합부의 면은 비도전성 재료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의 섀시.
(부기 17) 상기 제2 섀시의 상기 하나의 접합부는 비도전성 재료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6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의 섀시.
(부기 18) 상기 제2 섀시와 일정 간격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2 섀시의 다른 접합부 부근으로부터 상기 제2 섀시의 상기 하나의 접합부를 향해 도전성 부재가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6 또는 17에 기재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의 섀시.
이상의 상술된 바에서 명확하듯이, 본 발명의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하우징에 따르면, 무선기를 열고 안테나를 뽑아 통화나 통신 등을 하는 경우에 전파를 효율적으로 방사 및 흡수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통화나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제1 섀시와, 상기 제1 섀시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섀시로 이루어진 섀시부를 구비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에 있어서,
    상기 섀시부는 도전성을 가지며 전체 길이가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2)인 도체부와 전기적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노치측에 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노치는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4분의 1 파장(λ/4)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4. 도전성을 갖는 제1 섀시와,
    힌지 기구부를 통해 상기 제1 섀시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전성을 갖는 제2 섀시를 구비한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부는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도통시키는 부분과 도통시키지 않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섀시 및 상기 제2 섀시의 전체 길이는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부의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도통시키는 부분과 상기 힌지 기구부의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도통시키지 않는 부분 사이의 길이는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4분의 1 파장(λ/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섀시와 일정 간격을 형성하면서,
    상기 힌지 기구부의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도통시키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도통시키지 않는 부분을 향해 도전성 부재가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7.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결선하고, 무선기의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2)의 전체 길이를 갖는 동축 선로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8. 내부에 프린트 배선판을 탑재하는 도전성을 갖는 제1 섀시를 구비한 제1 하우징과,
    내부에 프린트 배선판을 탑재하는 도전성을 갖는 제2 섀시를 구비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배면으로 신장 가능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좌우 어느 한 쪽에 부착된 안테나를 구비하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 섀시에 탑재되는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급전 회로로부터 급전을 받으며,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는 좌우에 설치된 연결부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가 위치하는 쪽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전기적으로 비접속시키고, 다른 쪽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며,
    무선기의 전체 길이는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9. 내부에 프린트 배선판을 탑재하는 도전성을 갖는 제1 섀시를 구비한 제1 하우징과,
    내부에 프린트 배선판을 탑재하는 도전성을 갖는 제2 섀시를 구비한 제2 하우징을 구비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는 좌우에 설치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통해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를 전기적으로 비접속시키며,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에서의 무선기의 전체 길이는 제1 사용 주파수의 대략 반파장(λ1/2)이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길이는 무선기의 제2 사용 주파수의 대략 4분의 1 파장(λ2/4)이며,
    상기 제1 섀시와, 상기 제2 섀시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의 내장 안테나로서 상기 제1 사용 주파수 및 상기 제2 사용 주파수의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10.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에 내장되는 섀시로서,
    상기 섀시는 제1 섀시 및 제2 섀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섀시 및 제2 섀시를 연결하는 복수의 접합부가 상기 제1 섀시 및 상기 제2 섀시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섀시의 하나의 접합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2 섀시의 하나의 접합부의 면은 비도전성 재료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의 섀시.
KR1020030064984A 2002-09-20 2003-09-19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 KR100908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74342 2002-09-20
JP2002274342 2002-09-20
JP2003092858A JP4150621B2 (ja) 2002-09-20 2003-03-28 折り畳み式携帯型無線機および当該無線機のシャーシ
JPJP-P-2003-00092858 2003-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843A true KR20040025843A (ko) 2004-03-26
KR100908188B1 KR100908188B1 (ko) 2009-07-16

Family

ID=3194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984A KR100908188B1 (ko) 2002-09-20 2003-09-19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283853B2 (ko)
EP (2) EP1401111B8 (ko)
JP (1) JP4150621B2 (ko)
KR (1) KR100908188B1 (ko)
CN (1) CN100490458C (ko)
DE (1) DE6033619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3804A (ja) * 2000-07-14 2002-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装置
JP4150621B2 (ja) * 2002-09-20 2008-09-17 富士通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型無線機および当該無線機のシャーシ
JP2004134975A (ja) * 2002-10-09 2004-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
US20050054399A1 (en) * 2003-09-10 2005-03-10 Buris Nicholas 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proved antenna bandwidth
KR100791737B1 (ko) * 2003-11-26 2008-01-0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무선기
JP3841100B2 (ja) * 2004-07-06 2006-11-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
JP4358084B2 (ja) * 2004-07-12 2009-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無線機
EP1739785A4 (en) * 2004-10-28 2007-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OLDABLE PORTABLE RADIO
JP4605590B2 (ja) * 2004-11-26 2011-01-0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
WO2006057350A1 (ja) * 2004-11-26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折畳式携帯無線装置
JP4642483B2 (ja) * 2005-01-14 2011-03-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無線装置
JP5000110B2 (ja) * 2005-08-24 2012-08-15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およびその筐体の製造方法
WO2007077511A1 (en) * 2006-01-02 2007-07-12 Nxp B.V. Improved ultra wide band notch antenna assembly for rf communication equipment
US7787618B2 (en) 2006-03-29 2010-08-31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7306377A (ja) * 2006-05-12 2007-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JP2008011116A (ja) * 2006-06-28 2008-01-17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携帯型無線通信機
US7701398B2 (en) * 2006-10-06 2010-04-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ntenna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422214B2 (en) * 2007-01-25 2013-04-16 Kyocer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JP5185570B2 (ja) * 2007-06-07 2013-04-17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個人識別通信システム及び個人識別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
JP4712775B2 (ja) * 2007-08-06 2011-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
JP5489475B2 (ja) * 2008-01-30 2014-05-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KR100961137B1 (ko) * 2008-08-05 2010-06-09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2010161441A (ja) * 2009-01-06 2010-07-22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JP5423493B2 (ja) * 2010-03-12 2014-02-1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5565858B2 (ja) * 2010-04-26 2014-08-0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JP5644397B2 (ja) * 2010-11-11 2014-12-2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
JP5794300B2 (ja) * 2011-05-25 2015-10-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US8466841B1 (en) 2012-07-05 2013-06-18 Google Inc. Dipole antenna with gamma matching
EP2688379B1 (de) * 2012-07-19 2017-06-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nische Baugruppe der Automatisierungstechnik
US9516150B2 (en) * 2013-08-14 2016-12-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ver for electronic device, antenna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039779B (zh) * 2017-12-25 2020-09-22 天津工业大学 一种具有阻抗匹配功能的无线输电线圈
US11632449B2 (en) * 2020-12-09 2023-04-18 Motorola Mobility Llc Antenna configuration for a folda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2832A (en) * 1945-01-22 1950-04-04 Motorola Inc Indicating and carrying means for portable radio receiving sets
US3763434A (en) * 1972-03-02 1973-10-02 Motorola Inc Battery connecting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
JP3251680B2 (ja) * 1991-12-26 2002-01-28 株式会社東芝 携帯無線機
DE69424968T2 (de) * 1993-04-28 2000-10-19 Casio Computer Co Ltd Antennenvorrichtung zur Erzeugung gewünschter Strahlungsdiagramme ohne Veränderung der Antennenstruktur
US5926748A (en) * 1993-07-23 1999-07-20 Nec Corporation Portable radio apparatus capable of keeping antenna away from user when calling
US5784251A (en) * 1995-05-01 1998-07-21 Apple Computer, Inc. Appliance chassis having hingedly mounted section
EP0829112B1 (en) * 1995-06-02 1999-10-06 Ericsson Inc. Multiple band printed monopole antenna
US5705860A (en) * 1996-03-29 1998-01-06 Sony Corporation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having EMI and ESD improvements
JPH09270728A (ja) 1996-04-01 1997-10-14 Nec Corp 携帯無線機
JPH1188209A (ja) * 1997-09-11 1999-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通信機
US6011699A (en) * 1997-10-15 2000-01-04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flexible circuit conductors
GB2335081B (en) 1998-03-05 2002-04-03 Nec Technologies Antenna for mobile telephones
US5995052A (en) * 1998-05-15 1999-11-30 Ericsson Inc. Flip open antenna for a communication device
TW406481B (en) * 1998-09-21 2000-09-21 Acer Peripherals Inc Mobile phone
GB2344969B (en) 1998-12-19 2003-02-26 Nec Technologies Mobile phone with incorporated antenna
EP1026779A3 (en) * 1999-02-01 2003-06-04 Supersensor (Proprietary) Limited Hydrid antenna arrangement for use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s
FR2797352B1 (fr) 1999-08-05 2007-04-20 Cit Alcatel Antenne a empilement de structures resonantes et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multifrequence incluant cette antenne
FR2798552B1 (fr) * 1999-09-13 2001-11-30 Centre Nat Rech Scient Dispositif assurant une division de puissance micro-onde predeterminee sur une pluralite de charges, notamment pour la production de plasma
US6246374B1 (en) * 2000-04-06 2001-06-12 Motorola, Inc. Passive flip radiator for antenna enhancement
JP3476138B2 (ja) 2000-05-17 2003-12-10 ソニー株式会社 折畳式携帯無線機
JP3769196B2 (ja) 2001-02-14 2006-04-19 高橋 斉 プレートアンテナ及びそのアンテナを備える通信放送端末
JP3654430B2 (ja) 2001-02-16 2005-06-02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用アンテナ装置
JP2002274342A (ja) 2001-03-19 2002-09-25 Kubota Corp 乗用作業機
JP3631696B2 (ja) 2001-06-25 2005-03-23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JP3699025B2 (ja) 2001-09-19 2005-09-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動機の巻線温度検出素子の取付け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機
JP4150621B2 (ja) * 2002-09-20 2008-09-17 富士通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型無線機および当該無線機のシャー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3863A3 (en) 2013-03-06
EP1953863B1 (en) 2014-05-21
US20080009249A1 (en) 2008-01-10
CN100490458C (zh) 2009-05-20
US7283853B2 (en) 2007-10-16
EP1401111B1 (en) 2011-03-02
JP2004166191A (ja) 2004-06-10
US8483783B2 (en) 2013-07-09
DE60336197D1 (de) 2011-04-14
EP1401111B8 (en) 2011-11-02
EP1953863A2 (en) 2008-08-06
EP1401111A2 (en) 2004-03-24
US20040058721A1 (en) 2004-03-25
CN1496085A (zh) 2004-05-12
JP4150621B2 (ja) 2008-09-17
EP1401111A3 (en) 2006-07-05
KR100908188B1 (ko)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188B1 (ko)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
US70690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internal antennas
KR0184927B1 (ko) 2 상태 폴드-오버 쌍극성 안테나
EP2448065B1 (en) Mobile communiction terminal with a frame and antenna
JP3613525B2 (ja) 携帯無線機
US6806835B2 (en) Antenna structure, method of using antenna structure and communication device
US6307511B1 (en)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band antenna system
JP4358084B2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4132669B2 (ja) 無給電放射素子を有するデュアル・バンド・ダイバーシチ・アンテナ
US8606195B2 (en) Radio
KR100849810B1 (ko) 안테나 장치
JP2007538459A (ja) 別々の低周波数帯アンテナを複数含む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システムとそれを組み込んだ無線端末及び無線電話機
US6442400B1 (en)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band antenna system
EP1505800B1 (en) Ground connecting apparatus for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US7187959B2 (en) Antenna structure for devices with conductive chassis
WO2007043138A1 (ja) 折畳式携帯無線装置
EP168664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240072418A1 (en)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JP2003008320A (ja) 携帯無線機
KR20010072223A (ko) 기생 튜닝을 갖는 스위블 안테나
US20060077106A1 (en) Antenna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2006067133A (ja) 折り畳み式携帯無線機
WO2006011254A1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2004159172A (ja) 携帯無線装置
JP3904957B2 (ja) 携帯電話機のデュアルバンド用アンテ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