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546A - 드라이버 유닛과 전동 스테플러 - Google Patents

드라이버 유닛과 전동 스테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546A
KR20040018546A KR10-2004-7001730A KR20047001730A KR20040018546A KR 20040018546 A KR20040018546 A KR 20040018546A KR 20047001730 A KR20047001730 A KR 20047001730A KR 20040018546 A KR20040018546 A KR 20040018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driver
unit
clincher
dri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9523B1 (ko
Inventor
하라미시키이치
Original Assignee
맥스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27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233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65736A external-priority patent/JP4089214B2/ja
Application filed by 맥스 캄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맥스 캄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18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5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0Driving means
    • B27F7/36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19Stapl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고정 프레임(12)과, 인너 프레임(20)과, 매거진(40)과, 카트리지(50)와,매거진(40)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너 프레임(20)에 축지지된 드라이버(70)와, 매거진(40)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클린처 유닛(100)의 클린처부(111)의 상승에 의해서 매거진(40)과 함께 인너 프레임(20)이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드라이버(70)가 타출부로 진입하여 스테플을 타출하고, 클린처부(111)가 하강했을 때에, 가압부재에 의해서 인너 프레임(20) 및 매거진(40)이 하강하여 초기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으로서, 매거진(40)을 축(44)둘레에서 인너 프레임(20)에 장착하고, 매거진(40)의 후부측을 상방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매거진(40)이 회동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카트리지(50)를 분리시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드라이버 유닛과 전동 스테플러{DRIVER UNIT AND ELECTRIC STAPLER}
종래부터 드라이버 유닛과 클린처 유닛이 상하로 분리된 전동 호치키스가 알려져 있다.
이 전동 호치키스에 있어서는, 드라이버 유닛의 드라이버의 상하 운동에 의해 스테플이 타출되고, 타출된 스테플의 다리부를 클린처 유닛의 클린처로 클린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 유닛에는 드라이버를 상하 운동시키는 구동 모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클린처 유닛에는 클린처를 동작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두 개의 전동모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치가 대형화되고 고가인 것으로 되어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하나의 구동모터로 스테플의 타출과, 타출된 스테플의 다리부를 클린치하는 전동 호치키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 호치키스는 클린처 유닛의 클린처부가 구동모터로 상하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이 클린처부의 상하 운동에 의해 드라이버 유닛으로부터 스테플을 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 유닛은 고정프레임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매거진과, 이 매거진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드라이버와, 매거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시트 스테플을 수납함과 동시에 스테플이 타출되는 타출부를 갖는 카트리지와, 상기 매거진을 상하로 가압함과 동시에 드라이버를 매거진에 대해서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매거진은 클린처 유닛의 클린처부의 상하 운동에 의해서 상하 운동하도록 되어 있어, 매거진이 스프링의 가압력을 이기고 상승하여 온 클린처 유닛에 접촉함으로써 상승되면, 드라이버가 상대적으로 매거진에 대해서 하강하여 카트리지의 타출부로 진입해 간다. 그리고, 이 드라이버의 진입에 의해 그 타출부로부터 스테플이 타출되어 간다. 타출된 스테플의 다리부는 클린처 유닛의 클린처에 의해 클린치되고, 그 후 클린처 유닛이 하강해 간다. 클린처 유닛이 하강하면, 매거진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초기위치로 되돌아 온다.
즉, 드라이버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매거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동 호치키스의 드라이버 유닛에 있어서는 스프링에 의해 드라이버를 매거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승시키고 있기 때문에, 스테플의 잼이 발생하면 그 스프링의 가압력이 크게 설정되어 있지 않게 됨으로써 드라이버는 카트리지의 타출부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카트리지를 매거진으로부터 떼어낼 수 없게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하 분리형의 전동 스테플러는 도 34(a)에 도시한 바와 같이,베이스판(3)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드라이버 유닛(1)과, 이 드라이버 유닛(1)에 대항시킴과 동시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린처 유닛(2)을 구비한 것이 있다.
이러한 전동 스테플러에서는 용지(4)의 안착되는 높이 위치를 드라이버 유닛 (1)에 맞추기 위해서, 그 드라이버 유닛(1)의 양측에 한쌍의 용지 기준대(5,5)를 베이스판(3)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용지(4)를 철할 때에는, 도 3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린처(2)가 하강해 오고, 이 클린처 유닛(2)의 하강에 의해 드라이버 유닛(12)의 클린처(2)와 함께 내리 눌러져 간다. 드라이버 유닛(1)의 하강에 의해 이 드라이버 유닛(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드라이버 유닛(8)이 상승하여 스테플(6)을 타출해 간다. 이 타출된 스테플(6)의 다리부가 용지(5)를 관통하고, 클린처 유닛(2)에 의해 그 다리부가 클린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동 스테플러에 있어서는, 클린처 유닛(2) 하강에 의해 용지(4)가 용지 기준대(5,5) 사이의 하방에 끼워져 들어져 감으로써, 용지(4)가 삐뚤어진 상태로 스테플이 박혀 들어가게 된다. 이 때문에 철 불량이 발생하거나 용지가 삐뚤어져서 철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잼이 발생해도 카트리지를 매거진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드라이버 유닛과 전동 스테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 분량이 발생하거나 용지가 어긋나 철해지는 일이 없는 전동 스테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은 드라이버 유닛과 클린처 유닛이 상하로 분리된 전동 스테플러의 드라이버 유닛과 구동 스테플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에 관한 전동 호치키스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설명도이다.
도 2는 전동 호치키스의 드라이버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드라이버 유닛의 계략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드라이버 유닛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인너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고정 프레임과 매거진의 사이의 장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고정 프레임과 인너 프레임의 장착 관계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카트리지가 장착된 매거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매거진의 하부의 선단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드라이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포밍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드라이버와 포밍 플레이트를 겹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드라이버와 포밍 플레이트를 겹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매거진과 링크 부재와 드라이버와 포밍 플레이트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매거진에 드라이버와 링크 부재를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은 매거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매거진과 고정 프레임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9는 카트리지의 반송부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부분도이다.
도 20은 드라이버의 초기 위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1은 매거진과 인너 프레임의 고정프레임에 대해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매거진이 고정 프레임에 대해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3은 매거진이 링크 부재에 의해서 상승이 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4는 드라이버가 매거진에 대해서 하강하여 스테플을 타출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5는 드라이버와 매거진과 고정프레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6은 매거진을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낸 매거진을 더욱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8은 매거진을 회동시켰을 때의 드라이버 판부가 빠져나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9는 제 2 실시예의 전동 스테플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베이스판에 클린처 유닛과 용지 받침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1은 제 2 실시예의 전동 스테플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2는 제 2 실시예의 전동 스테플러의 철 작동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3은 베이스판에 장착한 용지 받침대가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4의 (a)는 종래의 스테플러의 설명도이다. (b)는 종래의 스테플러의 문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서는, 고정프레임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프레임과, 이 가동프레임에 장착되어 가동프레임과 함께 상하운동하는 매거진과, 이 매거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시트 스테플을 수납함과 동시에 스테플이 타출되는 타출부를 선단측에 갖는 카트리지와, 상기 매거진의 앞쪽에 장착되고 매거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하운동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 프레임의 장공을 개재하여 고정프레임에 축지지된 드라이버와, 상기 매거진을 하방 또는 상방의 어느 한쪽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드라이버를 매거진에 대해서 타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클린처 유닛의 이동수단이 매거진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매거진과 함께 가동 프레임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을 이기면서 고정프레임에 대해서 이동됨으로써, 드라이버가 상대적으로 상기 타출부에 진입하여 스테플을 타출하고, 상기 클린처 유닛의 이동수단이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가동 프레임 및 매거진이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는 드라이버 유닛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의 축 지지점보다 상기 타출부에서 분리된 위치에서 상기 매거진을 가동 프레임에 지지시키고, 이 매거진을 가동 프레임에 대해서 그 지지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4에서는, 드라이버 유닛을 하방에 배치하고, 상기 클린처 유닛을 드라이버 유닛의 상방에 배치하며,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양측에 또 그 드라이버 유닛의 상방과 거의 면일치하는 용지 받침대를 설치하고,
이 용지 받침대를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하강과 함께 하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이 발명은 청구항 1에서는, 드라이버의 축지지점으로부터 후방의 위치에서 매거진을 가동프레임에 지지시키고, 이 매거진을 가동프레임에 대해서 그 지지축 둘레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매거진을 가동프레임에 대해서 회동시키면, 드라이버가 매거진에 대해서 초기상태로 되돌아온다.
이 발명은 청구항 4에서는, 용지 받침대를 드라이버 유닛의 하강과 함께 하강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드라이버 유닛의 하강에 의해서 용지를 한쌍의 용지 받침대 사이의 하방에 끼워넣는 일이 없다.
이하, 이 발명에 관한 전동 호치키스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에 있어서, 10은 상하 분리형의 전동 스테플러로, 이 전동 스테플러(10)는, 드라이버 유닛(11)과 이 드라이버 유닛(11)의 하방에 배치된 클린처 유닛(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동 스테플러(10)는 가령 복사기 등에 장착된다.
클린처 유닛(100)은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수단인 클린처부(상승수단)(111)와, 이 클린처부(112)를 상하운동시키는 상하기구(112)와, 이 상하기구(112)를 구동시키는 모터(113)등을 구비하고 있다. 114는 도시하지 않은 클린처를 회동 동작시키는 클린처 암으로, 이 클린처 암(114)은 축(115)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클린처 암(114)의 회동은 캠(116)의 회동에 의해서 행해진다.
드라이버 유닛(11)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12)과, 이 고정 프레임(12)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인너프레임(가동프레임)(20)과, 이 인너프레임(2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매거진(40)과, 이 매거진(4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카트리지(50)와, 매거진(40)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드라이버(7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밍 플레이트(80) 등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프레임(1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판부(13)와 이 전판부(13)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측판부(14)를 갖고 있다. 측판부(14)의 상부에는 나사구멍(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구멍(15)의 하방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15)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구멍(15)에는 나사(18)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17은 베이스(도시생략)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이다.
인너 프레임(2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측판(21,21)과 이 측판(21,21)의 저부를 연결한 저판(22)을 갖고 있다. 각 측판(21)에는 앞쪽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30)이 형성되고, 이 장공(30)에 부싱(23)이 장착되어 있다. 부싱(23)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2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측판(21)에는 장공(32)의 후방(도 6에서 우측)에 좌우방향으로 약간 연장된 장공(25)과, 이 장공(25)의 하방에 원호형상의 장공(26)과, 후부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장공(27)과, 장공(26)과 장공(27)의 사이에서 전후로 연장된 대장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측판(21)의 상부 중간위치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너프레임(20) 좌우의 각 측판(21)에 장착된 부싱(23)의 장공(24)내의 상방 위치에는, 고정프레임(12)의 나사구멍(15)에 나사결합된 나사(18)의 축(19)이 관통장착되고, 이 장공(24)내의 하방위치에는 고정프레임(12)의 돌기(16)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인너프레임(20)은 고정프레임(12)을 따라서 상하로 평행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프레임(12)의 부싱(23)의 장공(24), 즉, 고정프레임(12)의 장공(30)을 따라서 인너프레임(20)이 상하로 평행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매거진(4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벽부(41)와 천정벽부(42)와 전방벽부(48)등을 갖고, 이들 측벽부(41), 천정판벽부(42) 및 전방벽부(48) 등으로 카트리지(50) 장착하기 위한 룸(도시생략)을 형성하고 있다. 또 매거진(40)의 선단측(도 9에서 좌측)의 하부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벽부(40T)의 상부와전방벽부(48)의 하부 사이에 드라이버(70) 및 포밍 플레이트(80)가 진입하는 간극(K1)이 형성되고, 하부 가이드벽(40H)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하부 가이드벽(40H) 하측이 카트리지(50)의 반송부(51)가 삽입되는 공간부(40U)로 되어 있다.
또 각 측벽부(41)의 전방측에는 상하로 연장된 안내홈(43)이 형성되고, 안내홈(43)의 후방의 측벽부(41,41)사이에 축(44)이 관통 장착되어 있다. 또 각 측벽부(41)의 축(44)의 하방에 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45)에는 스프링(46)의 일단이 장착되어 있고, 스프링(46)의 하단은 축(47)에 장착되어 있다. 축(47)의 양단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너프레임(20)의 측판(21,21)의 장공(27,27)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축(47)이 그 측판(21,21)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매거진(40)의 각 측벽부(41)간의 축(44)의 양단부가 인너프레임(20)의 각 측판(21)의 장공(25)에 각각 삽입되고, 매거진(40)의 돌기(45)가 인너프레임(20)의 장공(26)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그 장공(26)내에 삽입되어 있고, 매거진(40)은 그 축(44)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매거진(40)은 그 축(44)에 의해서 인너프레임(20)의 축판(22)사이에 축지지 되어 있다.
드라이버(7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단차(71)를 갖는 드라이버판부(72)와, 이 드라이버판부(72)의 상부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기판부(73)와, 이 기판부(73)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74)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74)에는 장공(75)이 형성되어 있다. 또기판부(73)의 양측의 상단에는 절결홈(76)이 형성되어 있다.
포밍 플레이트(8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다리로 나뉘어진 포밍 플레이트판부(81)와, 이 포밍 플레이트판부(81)의 상부에 형성된 기판부(83)와, 이 기판부(83)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85)와, 이 연장부(85)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부(86)를 갖고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70)와 포밍 플레이트(8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판부(72)의 후방에 포밍판부(81)가 겹쳐져 있고, 포밍 플레이트(80)의 연장부(85)가 드라이버(70)의 기판부(73)의 절결홈(76)에 삽입되어 있으며, 드라이버(70)의 포밍 플레이트(8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드라이버(70) 및 포밍 플레이트(80)는 매거진(40)의 전방벽부(48)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도 16 참조:또, 도 16에서 포밍 플레이트(80)은 생략되어 있음), 각 돌출부(74,74)의 장공(75,75)에 고정프레임(12)의 나사구멍(15)에 나사결합된 나사(18)의 축(19)이 관통장착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축(19)의 선단부가 매거진(40)의 안내홈(43)에 삽입되어 있다.
즉,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70) 및 포밍 플레이트(80)는 나사(18)에 의해서 고정프레임(12)에 도시한 높이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인너프레임(20) 및 매거진(40)이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상승하면, 드라이버(70) 및 포밍 플레이트(80)는 매거진(40)에 대해서 하강해 가게 된다. 결국, 드라이버(70) 및 포밍 플레이트(80)는, 인너프레임(20) 및 매거진(40)의 상하운동에 대응하여, 매거진(40)의 전방벽부(48)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하게된다.
또 포밍 플레이트(80)의 연장부(85)에 스프링(가압부재)(89)의 일단이 걸려있고, 스프링(89)의 타단이 매거진(40)의 전단벽(40T)의 돌출벽부(40Ta)(도 10 참조)에 걸려져 있다. 포밍 플레이트(80)의 지지부(86)가 스프링(89) 안에 넣어져 있어, 스프링(89)을 지지하고 있다. 이 스프링(89)에 의해, 드라이버(70) 및 포밍 플레이트(80)는 매거진(40)에 대해서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거진(40)은 스프링(89)에 의해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드라이버(70)의 돌출부(74)와 인너프레임(20) 사이에는, 도 7,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부재(90)가 한쌍 설치되어 있다.
각 잉크부재(9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 형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잉크부재(90)의 중간부에는 삼각형상의 구멍(91)이 형성되고, 이 구멍(91)의 후방에는 축공(9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잉크부재(90)에는, 축공(92)의 후방축에 후방으로 경사져 하방으로 연장된 스톱퍼부(9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공(92)에는 매거진(40)의 축(44)의 양단부가 관통 장착되고, 구멍(90)에는 고정프레임(12)에 나사결합된 나사(18)의 축(19)이 끼워져 있다.
잉크부재(90)는 매거진(40)이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상승하면, 축(44)을 중심으로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톱퍼부(93)가 인너프레임(20)의 돌출부(29)에 접촉하여, 매거진(40)의 상승을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되어있다.(도 23 참조)
카트리지(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스테플(도시생략)를 적층수납하는 수납부(51)와, 이 수납부(51)의 하부에 좌측방향으로 돌출된 반송부(52)를 갖고 있다. 반송부(52)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스테플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53)를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판(54,55)과, 가이드판(54,55)의 전방에 배치된 페이스 플레이트(56)와, 가이드벽(55)의 아래에 배치된 푸셔(57)를 갖고 있다. 그리고 반송부(52)의 선단부가 스테플을 타출하는 타출부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55)의 선단과 페이스플레이트(56)의 사이에는 간극(K3)이 형성되고, 이 간극(K3)에는 드라이버(70)의 드라이버판부(72)가 위에서부터 하방으로 진입해가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판(55)의 선단부는 스테플을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엔빌부(55a)로 되어 있다. 푸셔(57)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서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페이스 플레이트(56)의 양단부에는 후방(도 3에서 우측방향)으로 연장된 측판부(58)가 형성되고, 이 측판부(58)의 후방부가 축지지 되어 있다. 페이스 플레이트(56)는 축(59)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어, 페이스 플레이트(56)와 푸셔(57)의 사이에 스테플이 낀 경우 페이스 플레이트(5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그 끼어 있는 스테플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동작]
다음에 상기 와 같이 구성되는 전동 스테플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카트리지(50)를 매거진(40)에 장착한다. 카트리지(50)가 매거진(40)에 장착되면, 카트리지(50)의 반송부(52)가 매거진의 공간부(40U)에 삽입된다. 그리고카트리지(50)가 장착된 매거진(40)을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상태로 인너프레임(20)에 세트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50)의 수납부(51)의 후부가 인너프레임(20)의 축(47)에 의해서 가압되게 된다.
클린처 유닛(100)의 클린처부(111)가 상승하기 전에는, 스프링(89)의 가압력에 의해, 인너프레임(20) 및 매거진(4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하강한 위치(초기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인너프레임(20) 및 매거진(40)이 초기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70)의 드라이버판부(72)의 선단부(하단부)는 매거진(40)의 간극(K1)내에 진입해 있음과 동시에, 카트리지(50)의 반송부(52)의 간극(K3)의 상방에 위치(초기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시트다발(도시생략)이 드라이버 유닛(10)과 클린처 유닛(100)의 사이에 보내져서 드라이버 유닛(100)의 상면에 놓여지면, 가령 도시하지 않은 복사기 등으로부터 철 신호가 출력되고 클린처 유닛(100)의 모터(113)가 구동된다. 이 모터(113)의 구동에 의해 상하기구(112)가 클린처부(111)를 상승시켜 간다.
이 클린처부(111)가 소정 위치까지 상승하면, 매거진(40)의 하부에 시트다발을 개재하여 접촉하고, 클린처부(111)의 상승과 함께 인너프레임(20) 및 매거진(40)이 스프링(89)의 가압력을 이기고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상승해 간다. 인너프레임(20) 및 매거진(40)이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한 위치까지 상승하면, 링크부재(90)의 스톱퍼부(93)가 인너프레임(20)의 돌출부(29)에 접촉하여, 매거진(40)의 상승이 정지된다.
한편, 드라이버(70)는 매거진(40)의 상승에 따라서 매거진(40)에 대해서 하강해가게되며, 이 하강에 의해 드라이버(70)의 드라이버판부(72)의 선단부가 카트리지(50)의 반송부(52)의 간극(K3)내로 진입해 간다. 그리고, 매거진(40)이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한 위치까지 상승하면, 드라이버판부(72)는 도 24에 도시한 위치까지 페이스 플레이트(56)와 푸셔(57)의 사이로 들어가서, 스테플을 타출하게 된다. 타출된 스테플의 다리부는 시트다발을 관통한다.
매거진(40)의 상승이 정지하면, 캠(116)의 회동에 의해 클린처(114)가 도 21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축(115)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해 가고, 이 회동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클린처를 회동 동작시킨다. 클린처의 회동동작에 의해 시트다발을 관통한 스테플의 다리부가 클린치되어 가게 된다. 이 클린처의 회동 동작시에는 매거진(40)이 링크부재(90)에 의해서 도 23에 도시한 위치에 정지되고 그 위치로부터 상승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클린처에 의한 클린치가 확실하게 행해지게 된다.
클린치가 종료하면, 클린처 유닛(100)의 클린처부(111)가 하강해 간다. 이 하강과 동시에, 스프링(89)의 가압력에 의해서 매거진(40) 및 인너프레임(20)이 하강해 간다. 이 매거진(40)의 하강에 따라서 드라이버(70)는 매거진(4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승해 가고, 매거진(40) 및 인너프레임(20)이 도 1에 도시한 초기위치로 되돌아온다. 매거진(40)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면, 드라이버(70)도 도 2에 도시한 초기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또 포밍 플레이트(80)는 드라이버(70)와 함께 일체로 되어 상하운동하고, 통상의 전동 스테플러와 마찬가지로 스테플을 ⊃ 형상으로 형성해 가게 되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70)에 의해서 스테플을 타출할 때에 잼이 발생한 경우 즉, 스테플(S)이 페이스 플레이트(56)와 푸셔(57)의 사이에 끼면, 드라이버판부(72)는 도 24에 도시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클린처 유닛(100)의 클린처부(111)가 하강해도, 스프링(89)의 가압력으로는 매거진(40) 및 인너프레임(20)이 하강할 수 없게 되고 만다. 결국,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드라이버(70)의 드라이버판부(72)가 페이스 플레이트(56)와 푸셔(57)의 사이로 들어간 상태에 있으면, 카트리지(50)를 매거진(40)으로부터 인출할 수 없게 된다.
도 25에 도시한 상태에서, 매거진(40)을 인너프레임(20), 즉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축(44)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간다. 매거진(40)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44)둘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가면, 드라이버(70)는 고정프레임(12)이 나사(18)의 축(19)에 의해 그 높이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이 축(19)둘레에서 드라이버(70)는 회동해가게 되므로, 매거진(40)의 회동과 함께 드라이버(70)의 드라이버판부(72)가 페이스 플레이트(56)와 푸셔(57)의 사이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결국,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거진(40)의 저부의 점(40P)(도 25에서 드라이버판부72의 선단부(a)와 일치하는 점)은 매거진(40)의 회동과 동시에 축(44)을 중심으로 해서 반경 R1의 원호 E1상을 이동해 간다. 한편 드라이버(70)의 드라이버판부(72)의 선단부(72a)는 축(19)을 중심으로 해서 반경 R2(R2 < R1)의 원호 E2상을 이동하게 가게 되어, 회동과 함께 그 드라이버판부(72)의 선단부(72a)와 점 P의 차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축(19)은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드라이버판부(72)의 선단부(72a)와 점(40P)의 거리를 해소하려고 하며, 매거진(40)의 축(44)이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내려가기 시작한다. 축(44)이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하강하면, 매거진(40)이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것은 매거진(40)이 축(19)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되며, 매거진(40)과 드라이버(70)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통상의 대기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되게 된다.
결국, 매거진(40)이 드라이버(70)에 대해서 상승한 상태에서 통상의 대기위치로 되돌아오게 됨으로써, 즉 드라이버(70)가 매거진(40)에 대해서 하강한 상태에서 상승하여 통상의 대기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 드라이버(70)의 상승에 의해, 드라이버판부(72)가 페이스 플레이트(56)와 푸셔(57)의 사이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도 27에 도시한 위치까지 매거진(40)이 회동되면, 즉 매거진(40)이 고정프레임(12)에 대해서 약 32°회동되면, 도 28에 도시한 위치까지 드라이버판부(72)는 페이스 플레이트(76)와 푸셔(57)의 사이로부터 빠져나온다. 여기까지 빠져나오면, 잼에 의해서 드라이버판부(72)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거의 없어지게 되어, 스프링(89)의 가압력에 의해서 드라이버(70)는 매거진(40)에 대해서 상승해 가며, 드라이버(70)의 드라이버판부(72)는 페이스 플레이트(56)와 푸셔(57)의 사이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게 된다.
드라이버판부(72)가 페이스 플레이트(56)와 푸셔(57)의 사이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면, 카트리지(50)를 매거진(40)으로부터 떼어내고 카트리지(50)의 페이스 플레이트(56)를 축(59)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페이스 플레이트(56)와 푸셔(57)의 사이에 낀 스테플을 제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잼이 발생해도 매거진(40)을 회동시킴으로써, 드라이버판부(72)가 페이스 플레이트(56)와 푸셔(57)의 사이로부터 빠져나와, 카트리지(50)를 매거진(40)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29는, 가령 잡지 등을 중간철 하기 위한 전동 스테플러(200)를 나타낸다. 이 전동 스테플러(200)는 두 개의 드라이버 유닛11과, 각 드라이버 유닛(11)의 상방에 배치된 두 개의 클린처 유닛(100)을 구비하고 있다(도 31 참조).
드라이버 유닛(11)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203)에 형성된 한쌍의 개구(204)내에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드라이버 유닛(11)의 고정프레임(12)은 개구(204) 내에 장착되어 있고, 이 개구(204)내에서 드라이버 유닛(11)의 인너프레임(20)이 상하운동하게 된다.
또, 베이스판(203)에 형성된 세 개의 개구(240)에 용지 수납대(용지기준)(205)가 상하운동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개구(204)와 개구(240)는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용지 수납대(205)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216)에 의해서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고, 용지 수납대(205)의 상면(205A)과 드라이버 유닛(11)의 상면(20A)이 거의 면일치 되게끔 용지 수납대(205)가 도 31에 도시한 위치보다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규재부재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또 용지 수납대(205)는 드라이버 유닛(11)의 인너프레임(20)에 접속되어 있어, 인너프레임(20)과 함께 상하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동작]
다음에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유닛(11)과 클린처 유닛(100)의 사이에 용지(215)가 삽입되고, 그 용지(215)가 드라이버 유닛(11)의 상면(20A)과 용지 수납대(205)의 상면(25A)에 놓여지면, 각 클린처 유닛(100)의 클린처부(111)가 하강하여, 용지(215)를 그 클린처부(111)와 드라이버 유닛(11)의 상면(20A)으로 협지하는 상태가 된다. 더욱 클린처부(111)가 하강하면, 용지(215)를 개재하여 드라이버 유닛(11)의 인너프레임(20)이 하강하여 가압되어 간다. 이 인너프레임(20)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드라이버(70)에 의해서 스테플(206)이 타출되어 간다.
그런데, 인너프레임(20)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용지(215)도 클린처부(111)로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지만,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수납대(205)는 인너프레임(20)과 함께 스프링(216)의 가압력을 이기고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용지(215)는 용지 수납대(205)와 용지 수납대(200) 사이의 하방으로 밀려들어가게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용지(215)는 평평한 상태인 채로 스테플(206)이 박혀들어가, 철 불량이 발생하거나 용지가 삐뚤어져서 철해지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철이 완료하면, 클린처 유닛(100)의 클린처부(111)가 상승하고, 용지(215)는 소정위치로 반송된다. 클린처부(111)가 상승하면 스프링(216)의 가압력에 의해 인너프레임(20) 및 용지 수납대(205)는 도 30에 도시한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잼이 발생해도 카트리지를 매거진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 철 분량이 발생하거나 용지가 어긋나 철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Claims (5)

  1. 고정프레임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프레임과, 이 가동프레임에 장착되어 가동프레임과 함께 상하운동하는 매거진과, 이 매거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시트 스테플을 수납함과 동시에 스테플이 타출되는 타출부를 선단측에 갖는 카트리지와, 상기 매거진의 앞쪽에 장착되고 매거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하운동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 프레임의 장공을 개재하여 고정프레임에 축지지된 드라이버와, 상기 매거진을 하방 또는 상방의 어느 한쪽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드라이버를 매거진에 대해서 타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클린처 유닛의 이동수단이 매거진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매거진과 함께 가동 프레임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을 이기면서 고정프레임에 대해서 이동됨으로써, 드라이버가 상대적으로 상기 타출부에 진입하여 스테플을 타출하고, 상기 클린처 유닛의 이동수단이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가동 프레임 및 매거진이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는 드라이버 유닛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의 축 지지점보다 상기 타출부에서 분리된 위치에서 상기 매거진을 가동 프레임에 지지시키고, 이 매거진을 가동 프레임에 대해서 그 지지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유닛.
  2.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테플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상방에 배치되고, 클린처 유닛이 드라이버 유닛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테플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하방에 배치하고, 상기 클린처 유닛을 드라이버 유닛의 상방에 배치하며,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양측에 또 그 드라이버 유닛의 상방과 거의 면일치가 되는 용지 받침대를 설치하고,
    이 용지 받침대를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하강과 함께 하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테플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과 클린처 유닛이 복수쌍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테플러.
KR10-2004-7001730A 2001-08-09 2002-08-09 드라이버 유닛과 전동 스테플러 KR100519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2740A JP4923354B2 (ja) 2001-08-09 2001-08-09 ドライバユニットと電動ホッチキス
JPJP-P-2001-00242740 2001-08-09
JPJP-P-2001-00365736 2001-11-30
JP2001365736A JP4089214B2 (ja) 2001-11-30 2001-11-30 ステープラにおける用紙基準の移動機構
PCT/JP2002/008182 WO2003013800A1 (fr) 2001-08-09 2002-08-09 Unite de commande et agrafeuse electr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546A true KR20040018546A (ko) 2004-03-03
KR100519523B1 KR100519523B1 (ko) 2005-10-05

Family

ID=2662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730A KR100519523B1 (ko) 2001-08-09 2002-08-09 드라이버 유닛과 전동 스테플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96167B2 (ko)
EP (1) EP1424168B1 (ko)
KR (1) KR100519523B1 (ko)
CN (1) CN1315619C (ko)
DE (1) DE60234938D1 (ko)
TW (1) TW561088B (ko)
WO (1) WO2003013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8924B2 (ja) * 2002-08-30 2008-04-23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ー
JP4300397B2 (ja) * 2002-11-26 2009-07-22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脚ガイド機構
WO2004071727A1 (ja) * 2003-02-14 2004-08-26 Max Kabushiki Kaisha ステープラ
JP4239732B2 (ja) * 2003-07-07 2009-03-18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ーの駆動機構
US7784661B2 (en) * 2005-10-04 2010-08-31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4844074B2 (ja) * 2005-10-07 2011-12-21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
US9522463B2 (en) * 2012-07-25 2016-12-20 Worktools Inc. Compact electric spring energized desktop stapler
CN106240893B (zh) * 2013-10-15 2020-12-18 蒋超 一种机器人的工作方法
JP7003824B2 (ja) * 2018-04-17 2022-02-04 マックス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889Y2 (ja) * 1992-08-04 1997-10-15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
JPH0615281U (ja) * 1992-07-23 1994-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Zifコネクタ
DE69313999T2 (de) * 1992-12-29 1998-01-29 Max Co Ltd Präzisionsheftgerät
JP2560430Y2 (ja) * 1993-08-04 1998-01-21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EP0779134B1 (en) * 1995-12-11 2000-04-12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3476298B2 (ja) * 1995-12-28 2003-12-10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DE69727761T2 (de) * 1996-10-23 2004-08-05 Max Co. Ltd. Elektrischer Heftapparat
JP3508496B2 (ja) * 1996-11-13 2004-03-22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JP3518314B2 (ja) * 1998-02-20 2004-04-12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チキス
JP2000167782A (ja) * 1998-12-02 2000-06-20 Nisca Corp ステープラ用針パッケージ及びステープラ装置
JP3620351B2 (ja) * 1999-07-06 2005-02-16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ー
JP4708652B2 (ja) * 1999-12-21 2011-06-22 イサベルク・ラピッド・エービー 可逆電動モーターを備えた綴じ具
US6634536B2 (en) * 1999-12-28 2003-10-21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2001347472A (ja) * 2000-06-05 2001-12-18 Nisca Corp ステープラ装置
JP4524868B2 (ja) * 2000-06-21 2010-08-18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24168B1 (en) 2009-12-30
US6896167B2 (en) 2005-05-24
TW561088B (en) 2003-11-11
CN1538895A (zh) 2004-10-20
US20040188492A1 (en) 2004-09-30
DE60234938D1 (de) 2010-02-11
KR100519523B1 (ko) 2005-10-05
EP1424168A4 (en) 2008-10-08
EP1424168A1 (en) 2004-06-02
WO2003013800A1 (fr) 2003-02-20
CN1315619C (zh)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364B1 (ko) 전동 스테플러의 스테플 검출기구
US5029745A (en) Electric stapler
US7222769B2 (en) Electric stapler
KR100519523B1 (ko) 드라이버 유닛과 전동 스테플러
KR20010049727A (ko) 전동 호치키스
US7900804B2 (en) Stapler and staple cartridge
US7124925B2 (en) Stapler
JP4296679B2 (ja) 電動ステープラー
EP1582323B1 (en) Staple-leg guide mechanism
EP2292394B1 (en) Electric stapler
JP2001239470A (ja) 上下分離タイプのステープルシート後処理装置
EP1518650B1 (en) Moving mechanism for motor-driven staplers
JP2004025764A (ja) 電動ステープラ
JP4923354B2 (ja) ドライバユニットと電動ホッチキス
JP2631355B2 (ja) ステープラー
JP2671255B2 (ja) ステープラー
JP2727169B2 (ja) ステープラー
EP1767314A1 (en) Stapler
JP4182619B2 (ja) 電動ホッチキス
JPH0653075U (ja)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マガジン作動案内装置
JP2003165106A (ja) 電動ステープラ
JP2003211408A (ja) 電動ステープラ
JPH04129680A (ja) マガジン固定型電動ホッチキス
JP4069355B2 (ja) 電動ステープラ
JP2003165105A (ja) ステープラにおける用紙基準の移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