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727A - 전동 호치키스 - Google Patents

전동 호치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727A
KR20010049727A KR1020000038606A KR20000038606A KR20010049727A KR 20010049727 A KR20010049727 A KR 20010049727A KR 1020000038606 A KR1020000038606 A KR 1020000038606A KR 20000038606 A KR20000038606 A KR 20000038606A KR 20010049727 A KR20010049727 A KR 20010049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r
staple
staples
inner cas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980B1 (ko
Inventor
가나이도시유키
기타무라다쿠야
하라미이시기이치
Original Assignee
하시모토 히사오
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시모토 히사오, 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시모토 히사오
Publication of KR20010049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5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0Driving means
    • B27F7/36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19Stapl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플을 쳐내는 타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호치키스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100)과, 이 테이블(100)이 이동하여 상기 타출부와 함께 종이묶음을 협지했을 때에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부터 그 종이묶음을 향하여 타출시키는 드라이버를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로서, 테이블(100)을 호치키스 본체(10)의 프레임(12)의 측판부(24, 25)에 설치한 축(27)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테이블(1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호치키스{MOTOR-DRIVEN STAPLER}
본 발명은, 스테이플(staple)을 쳐내는 타출부(打出部)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호치키스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을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호치키스 본체의 타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테이블과, 상기 타출부로부터 스테이플을 타출시키는 드라이버(driver)와, 시트 스테이플(sheet staple)을 적층(積層) 수납한 카트리지(cartridge)와, 이 카트리지에 적층 수납된 시트 스테이플을 타출부로 이송하는 이송기구를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가 알려져 있다.
상기의 전동 호치키스는 상기 테이블이 상승이동하여 상기 타출부와 함께 종이묶음을 협지(挾持)하고 있을 때에, 드라이버가 하강하여 상기의 타출부로부터 스테이플을 타출시킨다. 타출된 스테이플의 선단부(先端部)가 종이묶음을 관통하여 이 선단부가 상기 테이블에 형성된 클린처(clincher)에 의하여 클린칭(clinching)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동 호치키스에 있어서는 테이블이 상하로 평행이동하여 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초기의 자세를 유지한 채로 타출부와 충돌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 충격음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충격 등에 의하여 테이블의 홈 포지션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이 오작동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트 스테이플을 타출부로 보내는 이송기구는 호치키스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카트리지는 호치키스 본체에 착탈(着脫)이 자유롭도록 장착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내의 시트 스테이플을 타출부로 송출하기 위해서는 카트리지와 호치키스 본체와의 사이의 위치관계가 중요하며, 카트리지와 호치키스 본체와의 양방향으로 치수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충격음을 작게할 수 있는 전동 호치키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홈 포지션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이 충격에 의하여 오작동하는 일이 없는 전동 호치키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카트리지의 치수 정밀도의 관리만으로 충분한 전동 호치키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전동 호치키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전동 호치키스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3은 도1의 서브 프레임과 매거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1에 나타내는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모터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6은 나사와 보스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7은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8은 구동축에 부착된 각 캠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9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0은 제1테이블 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1은 제1테이블 링크에 테이블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2는 클린처의 조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13은 테이블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4는 도13의 테이블 기구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15는 테이블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16은 제2테이블 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7은 제2테이블 링크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8은 테이블 리턴 레버와 테이블 리턴 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9는 테이블 리턴 레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20은 클린처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21(A)는 클린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21(B)는 클린처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22는 타출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3은 타출기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24는 위치 검지기구와 스테이플 검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5는 위치 검지기구와 스테이플 검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26은 위치 검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27은 포지션 캠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28은 포지션 캠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29는 제1검지 암의 돌출부와 가이드 돌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30은 스테이플 검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31은 스테이플 검지기구의 액추에이터의 접촉부와 스테이플 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32는 스테이플 검지기구의 액추에이터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33은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4는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35는 도34의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36은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37은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사시도,
도38은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39는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40은 푸셔와 드라이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1은 면판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42는 홀더에 압력이 가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43은 이송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4는 도43의 정면도,
도45는 이송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46은 이송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47은 이송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48은 래칫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49(A)는 이송톱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49(B)는 이송톱니의 측면도,
도50(A)는 압압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50(B)는 압압부재의 저면도,
도50(C)는 압압부재의 배면도,
도50(D)는 압압부재의 측면도,
도51은 이송톱니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태는 설명도,
도52는 래칫 플레이트 및 이송톱니 등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53은 축에 가해지는 힘의 분력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54는 스테이플이 'ㄷ'자 형태로 성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55는 푸셔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56은 종이묶음이 두꺼운 경우의 테이블의 하강위치와 테이블 링크 캠 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57은 종이묶음이 두꺼운 경우에 테이블 링크 캠이 잠기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58은 내부 케이스 안에 스테이플이 없는 경우의 내부 케이스와 홀더 등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9는 시트 스테이플을 적층한 케이스를 외부 케이스의 개구로부터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60은 시트 스테이플을 적층한 케이스를 외부 케이스 안에 장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61은 반송로의 도중까지 이송된 시트 스테이플의 일부가 내부 케이스 안에 남겨져 있는 경우의 홀더 하강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62는 제2실시예의 이송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63은 이송톱니를 움직이는 작용점을 나타내는 설명도,
본 발명의 제1특징은, 스테이플을 쳐내는 타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호치키스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과, 이 테이블이 이동하여 상기 타출부와 함께 종이묶음을 협지했을 때에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부터 그 종이묶음을 향하여 타출시키는 드라이버를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로서,
상기 테이블은 호치키스 본체에 축지(軸支)되어, 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은, 스테이플을 쳐내는 타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호치키스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과, 이 테이블이 이동하여 상기 타출부와 함께 종이묶음을 협지했을 때에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부터 그 종이묶음을 향하여 타출시키는 드라이버를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로서,
상기 테이블의 홈 포지션을 검지하는 위치 검지 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위치 검지기구는, 상기 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축에 설치된 포지션 캠과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검지 암(檢知 arm)과 상기 검지 암이 소정위치로 회전한 것을 검지하는 암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포지션 캠의 원주면에 홈 포지션을 나타내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대칭위치에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검지 암은 제1선단부가 상기 포지션 캠의 원주면에 접하는 제1암부와, 제2선단부가 상기 포지션 캠의 원주면에 접하는 제2암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선단부와 제2포지션 캠으로 상기 포지션 캠을 협지하여 제1선단부가 상기 오목부와 접하고 제2선단부가 상기 돌출부와 접하여 검지 암이 소정의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은, 스테이플을 쳐내는 타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호치키스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과, 이 테이블이 이동하여 상기 타출부와 함께 종이묶음을 협지했을 때에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부터 그 종이묶음을 향하여 타출시키는 드라이버를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로서,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된 시트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 송출하는 이송기구를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전동 호치키스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도1은 예를 들면 복사기 등에 부착되는 전동 호치키스로서, 이 전동 호치키스(1)는 호치키스 본체(10)와 호치키스 본체(10) 안에 형성된 카트리지실(11)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카트리지(700)(도33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호치키스 본체(10)에는,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테이블(100)과 테이블(100)을 왕복시키는 테이블 기구(200)(도13 참조)와, 카트리지(700)에 설치된 타출부(50)로부터 스테이플(Sa)을 쳐내는 타출기구(300)(도2 참조)와, 타출된 스테이플의 선단부를 굽히는 클린처 기구(400)(도20 참조)와, 각 기구(200, 300, 400)를 구동하는 구동기구(500)(도7 참조)와, 테이블(100)의 홈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기구(600)(도24 참조)와, 타출부(50)에 스테이플(Sa)이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스테이플 검지기구(650)(도2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700)에는 카트리지(700)내에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을 타출부(50)로 송출하는 이송기구(900)(도3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호치키스 본체(10)는 도2 및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프레임(frame)(12)과 이 프레임(12)의 내측에 부착된 서브 프레임(13)과 이 서브 프레임(13)에 부착된 수지(樹脂)로 만든 매거진(magazine)(14)을 구비하고 있다.
서브 프레임(13)의 양측판부(15, 16)에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긴 구멍(17, 17)과 구동축용의 구멍(18)과 축 구멍(19) 등이 형성되어 있다. 축 구멍(19)에는 축(253)이 끼워져 있다.
매거진(14)은 카트리지실(11)을 형성하고 있고, 매거진(14)의 양측벽(20)의 내측에는 카트리지(700)를 안내하는 경사 가이드부(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매거진(14)의 바닥부(22)에는 카트리지(700)의 이송기구(900)가 들어갈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매거진(14)의 전방벽부(44)의 상부에는, 종이묶음을 협지하기 위한 평탄한 모양의 탑재부(45)가 형성되어 있고, 이 탑재부(45)의 내측에는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6)에는 후술하는 카트리지(700)의 면판(face plate)이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벽부(44)와 바닥부(22)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드라이버(350) 및 면판(351)이 진입하는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2)의 측판부(24, 25) 앞측의 하부에는 경사진 한쌍의 가이드 구멍(26)이 형성되어 있고, 측판부(24, 25) 후부(後部)의 상부에는 한쌍의 축(2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24, 25)간에는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동축(510)이 끼워져 있다. 측판부(24)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기아 스터드(gear stud)(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24)에는 모터용 축 구멍(30)과 이 축 구멍(30)의 근방에 나사 구멍(31)과 축 구멍(30)의 근방에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된 맞춤못(dowel)(32, 32)이 형성되어 있다. 측판부(24)의 나사 구멍(31)에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N1)가 관통하여 도5에 나타내는 구동모터(40)의 프레임의 전방끝면(40A)의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끼워지고, 구동모터(40)가 측판부(24)에 부착되어 있다.
맞춤못(32, 32)은 구동모터(40)의 프레임의 전방끝면(40A)에 접하여 있고, 구동모터(40)는 나사(N1, N1)와 맞춤못(32, 32)에 의하여 4점이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 4점은 구동모터(40)의 출력축(41) 가까이에 위치하므로 측판부(24)의 면진동(面振動)의 영향을 피할 수 있고, 구동모터(40)의 출력축(41)을 진동이 없는 측판부(24)에 대하여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모터(40)의 출력을 다운시키는 일 없이 후술하는 중간기어(502)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기구(500)]
구동기구(500)는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2)의 측판부(24)에 부착된 모터(40), 이 모터(40)의 구동축(41)에 부착된 기어(501), 기어(501)에 맞물린 중간기어(502, 503), 중간기어(503)에 맞물린 구동기어(504), 그리고 이 구동기어(504)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510) 등으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중간기어(502, 503)는 기어 스터드(28)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구동축(510)은, 모터(40)의 구동에 의하여 각 기어(501)∼(504)를 통하여 시계방향(도7에 있어서)으로 회전하여 간다.
구동축(510)에는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클린처 캠(511, 511), 한쌍의 테이블 링크 캠(table link cam)(512, 512), 테이블 링크 캠(512, 51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테이블 리턴 캠(table return cam)(513, 513), 드라이버 캠(514), 그리고 테이블(100)의 홈 포지션을 검지하기 위한 포지션 캠(515)이 부착되어 있다.
구동축(510)은 회전이 자유롭도록 서브 프레임(13)의 양측판부(15, 16)에 구멍(18)으로 끼워져 있고, 서브 프레임(13) 안에는 드라이버 캠(514)과 포지션 캠(515)이 배치되고, 서브 프레임(13)의 측판부(15, 16)와 프레임(12)의 측판부(24, 25)와의 사이에는 클린처 캠(511, 511)과 테이블 링크 캠(512, 512)과 테이블 리턴 캠(513, 513)이 배치되어 있다.
[테이블(100)]
테이블(100)은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로 연장된 평판상의 테이블부(101)와 이 테이블(101)의 양단에 후방으로 연장된 암부(102, 102)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부(101)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개구(10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암부(102)는 도10 및 도11에 나타내는 제2테이블 링크(210)의 측판부(211, 211)에 부착되어 있다.
제2테이블 링크(210)의 전방끝판(212)에는 도12에 나타내는 한쌍의 클린처 홀더(113, 114)가 서로 대향하며 나사(N2)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고, 이 클린처 홀더(113, 114) 사이이면서 아울러 테이블(100)의 개구(103)의 상방위치에 클린처(115, 116)가 배치되어 있다. 클린처 홀더(113, 114)에는 돌기축(117, 118)이 형성되며, 이 돌기축(117, 118)이 클린처(115, 116)의 작은 구멍(119, 120)에 삽입되어 있어, 클린처(115, 116)가 돌기축(117, 11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 기구(200)]
테이블 기구(200)는 도13∼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510)(도13 및 도14에서는 생략되어 있음)에 설치된 한쌍의 테이블 링크 캠(512), 한쌍의 제2테이블 링크(201), 제1테이블 링크(암부)(210), 한쌍의 테이블 리턴 캠(513), 한쌍의 테이블 리턴 레버(2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테이블 링크(201)는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하부에 축(20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축(202)에는 테이블 링크 캠(512)의 원주면과 접하고 있는 롤러(203)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축(202)에는 나사(N3)(도13 참조)가 부착되어 있고, 이 나사(N3)의 머리(Na)가 프레임(12)의 가이드 구멍(26)에 삽입되어 있다(도2 참조). 제2테이블 링크(201)는 그 가이드 구멍(26)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2테이블 링크(201)의 상부에는 구멍(204)과 결합부(205)가 형성되어 있고 구멍(204)에는 축(206)(도15 참조)이 결합되어 있다.
제1테이블 링크(210)는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끝판(212)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측판부(211, 211)와 이 측판부(211, 211)의 외측에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 암판부(213, 213)를 구비하고 있다. 측판부(211, 211)와 암판부(213, 213)는 그 상부가 연결부(214, 21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측판부(211) 및 암판부(213)에는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종이두께 조정용 긴 구멍(215A, 215B)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긴 구멍(215A, 215B)의 후방부가 되는 암판부(213)의 후부에는 축 구멍(2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후부의 상단에는 결합부(217)가 형성되어 있다.
제1테이블 링크(210)의 측판부(211)와 암판부(213)의 사이에 제2테이블 링크(201)의 상부가 들어가 있어, 제2테이블 링크(201)의 축(206)이 측판부(211) 및 암판부(213)의 긴 구멍(215A, 215B)에 끼워져 있다. 축(206)은 긴 구멍(215A, 215B) 내측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테이블 링크(210)의 암판부(213)의 축 구멍(216)에는 프레임(12)에 설 치된 축(27)이 삽입되어 있고, 제1테이블 링크(210)가 축(2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테이블 링크(210) 결합부(217)와 제2테이블 링크(201) 결합부(205)와의 사이에는 종이두께 조정용 스프링(220)이 부착되어 있어, 이 종이두께 조정용 스프링(220)에 의하여 제2테이블 링크(201)의 축(206)에 도15에 나타내는 화살표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제2테이블 링크(201)는 테이블 링크 캠(512)의 원주면에 롤러(203)가 접하여 있으므로, 테이블 링크 캠(512)이 회전하면 이 회전과 함께 프레임(12)의 가이드 구멍(26)을 따라 도15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간다. 제2테이블 링크(201)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1테이블 링크(210)는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2)의 축(27)을 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간다.
테이블 리턴 레버(250)는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 긴 구멍(251)이, 중간부의 위치에는 축 구멍(25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 리턴 레버(250)의 상부에는 롤러(2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255)는 테이블 리턴 캠(513)의 원주면에 접하여 있고, 축 구멍(252)에는 서브 프레임(13)에 설치된 축(253)의 단부(端部)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긴 구멍(251)에는 제2테이블 링크(201)의 축(202)이 삽입되어 있다.
테이블 리턴 레버(250)는, 테이블 리턴 캠(513)이 회전하면 도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253)을 중심으로 하여 실선위치와 쇄선위치의 사이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테이블 링크(201)가 하방으로 이동된 때에 테이블 리턴 레버(250)는 도19에 나타내는 실선위치로 이동하고,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테이블 링크(201)가 상방위치(초기위치)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테이블 리턴 레버(250)는 도19에 나타내는 쇄선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테이블 리턴 레버(250)가 도19에 나타내는 실선위치로부터 쇄선위치로 이동하면, 테이블 리턴 레버(250)의 긴 구멍(251)에 제2테이블 링크(201)의 축(202)이 삽입되어 있고, 또한 이 축(202)에 부착된 나사(N3)의 머리(Na)가 프레임(12)의 가이드 구멍(26)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축(202)은 가이드 구멍(26)에 이끌려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과 함께 제2테이블 링크(201)는 도17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15에 나타내는 위치(초기위치)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하여 제1테이블 링크(210)는 도17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15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하여 제1테이블 링크(210)는 테이블(100)을 도1에 나타내는 대기위치(홈 포지션)로 되돌린다.
테이블 리턴 레버(250)와 테이블 리턴 캠(513) 등에 의하여, 테이블(100)을 원래의 위치(대기위치)로 되돌리는 테이블 리턴 기구(2000)가 구성되어 있다. 이 테이블 리턴 기구(2000)에 의하여 테이블 링크 캠(512)의 원주면에 롤러(203)를 항상 접하게 하여 두어 스프링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테이블(10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때, 그 스프링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하여 테이블 링크 캠(512)을 회전시키지 않고 마무리가 되므로 모터(40)의 출력은 작더라도 무방하게 된다.
[클린처 기구(400)]
클린처 기구(400)는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510)에 설치된 한쌍의 클린처 캠(511), 한쌍의 제1클린처 링크(401), 한쌍의 제2클린처 링크(410), 그리고 클린처(115, 11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린처 캠(511)에는 클린처용의 돌출부(511A)와 되돌림용의 돌기부(511B)가 형성되어 있다.
제1클린처 링크(401)의 하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스터드(402)를 통하여 프레임(12)에 붙어 있는 축(403)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1클린처 링크(401)의 측부에는 클린처 캠(511)의 원주면에 접하는 접촉부(405)가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후방(도20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연장되며 제2클린처 링크(410)의 롤러(411)에 접해지는 접촉부(4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부(406)의 후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07)가 형성되어, 이 돌출부(407)에는 왼쪽(도20에 있어서)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만곡형상의 경사면(40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클린처 링크(401)는 클린처 캠(511)의 돌출부(511A)가 제1클린처 링크(401)의 접촉부(405)에 접해짐으로써 축(403)을 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간다.
제2클린처 링크(410)는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이 자유롭도록 그 상부가 제1테이블 링크(210)의 측판부(211, 211) 사이에 설치된 축(412)(도13 참조)의 단부(측판부(211, 21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제2클린처 링크(410)의 상부의 선단에는 전방(도20에 있어서 왼쪽)으로 돌출된 돌기(413)가 형성되어, 이 돌기(413)가 클린처(116)의 오목부(116A)에 결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제2클린처 링크(410)의 돌기(413)가 클린처(116)의 오목부(116A)에 결합되어 있다. 제2클린처 링크(410)의 하부에는 롤러(411)가 설치되어 있다. 제2클린처 링크(410)의 타방의 돌기(413)는 클린처(115)의 오목부(115A)에 결합되어 있다.
제2클린처 링크(410)는 제1클린처 링크(401)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1클린처 링크(401)의 접촉부(406)의 전방 끝(406A)이 제2클린처 링크(410)의 롤러(411)에 접하여, 축(41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도20에 있어서)으로 회전하여 간다. 제2클린처 링크(410, 410)의 회전에 의하여 각 클린처(115, 116)는 클린처 홀더(113, 114)의 돌기축(117, 118)을 중심으로 하여 도21(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여 도21(B)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클린처(115, 116)의 회전에 의하여 스테이플의 선단부가 클린칭된다.
클린처(115, 116)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도21(A)에 나타내는 화살표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며, 클린칭이 종료된 후에는 그 스프링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도21(B)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도21(A)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아온다. 또한 이 되돌림에 의하여 제2클린처 링크(410)는 도20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제1클린처 링크(401)는 클린처 캠(511)의 돌기부(511B)가 제1클린처 링크(401)의 경사면(407A)에 접해짐으로써 도20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아온다.
[타출 기구(300)]
타출기구(300)는 도22 및 도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510)에 부착된 드라이버 캠(514), 회전이 자유롭도록 서브 프레임(13)의 축(253)에 연결된 한쌍의 드라이버 링크(301), 이 드라이버 링크(301)에 부착된 드라이버(350) 및 포밍 플레이트(35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버 링크(301, 301)간에는 드라이버 캠(514)의 원주면에 접하여진 롤러(302)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드라이버 링크(301)는 드라이버 캠(514)의 회전과 함께 축(25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드라이버(350) 및 포밍 플레이트(351)를 서브 프레임(13)의 긴 구멍(17)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시킨다. 즉, 드라이버 캠(514)의 1회전에 의하여 드라이버(350) 및 포밍 플레이트(351)는 상하로 1회 왕복하도록 되어 있다.
[위치 검지기구(600)]
위치 검지기구(600)는 도24∼도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510)에 연결된 포지션 캠(515), 검지 암(601), 이 검지 암(601)의 차광판(602)을 검지하는 핫 센서(암 검지수단)(6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지션 캠(515)에는 도27 및 도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포지션을 나타내는 오목부(604), 구동축(510)에 대한 오목부(604)의 대칭위치의 돌기부(605), 이들 오목부(604) 및 돌기부(605)를 종단하는 환상(環狀)홈(6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604)의 깊이와 돌기부(605)의 높이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환상홈(606)의 깊이는 오목부(604)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다.
검지 암(601)은 회전이 자유롭도록 서브 프레임(13)의 축(253)에 연결되어 있고, 포지션 캠(515)의 상방위치까지 연장된 원호상(圓弧狀)의 제1암부(611)와 이 제1암부(611)의 하부로부터 포지션 캠(515)의 하방을 통하여 전방(도26에 있어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2암부(612)를 구비하고 있다. 제1암부(611)의 선단에는 포지션 캠(515)의 원주면에 접하는 돌출부(613)가 형성되어, 이 돌출부(613)에는 포지션 캠(515)의 환상홈(606)에 인입되는 가이드 돌기(614)가 형성되어 있다. 도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614)의 높이(H)는 포지션 캠(515)의 오목부(604)의 깊이(D)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 돌기(614)에 의하여 제1암부(611)의 돌출부(613)가 축선방향으로 틀어지는 일 없이 포지션 캠(515)의 원주면과 접하게 된다.
제2암부(612)에는 포지션 캠(515)의 원주면에 접하는 돌출부(6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616)는 구동축(515)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제1암부(612)의 돌출부(613)와 대칭이 되는 위치에 있다. 또한 제2암부(612)의 선단에는 차광판(602)이 설치되어 있다.
제1암부(611)의 돌출부(613)가 포지션 캠(515)의 오목부(604)에 들어가면, 제2암부(612)의 돌출부(616)가 포지션 캠(515)의 돌기부(605)에 올라가도록 되어 있다. 즉, 제1암부(611)의 돌출부(613)와 제2암부(612)의 돌출부(616)로 항상 포지션 캠(515)을 협지하도록 되어 있다.
핫 센서(610)는 서브 프레임(13)에 부착된 기판(620)에 설치되어 있고, 발광 다이오드(610a), 이 발광 다이오드(610a)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 다이오드(610b) 등으로 구성되고 차광판(602)이 발광 다이오드(610a)의 빛을 차광함으로써 차광판(602)을 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암부(611)의 돌출부(613)가 포지션 캠(515)의 오목부(604)에 인입되었을 때, 즉 제2암부(612)의 돌출부(616)가 포지션 캠(515)의 돌기부(605)에 올라갔을 때, 검지 암(610)의 차광판(602)이 발광 다이오드(610a)의 빛을 차광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테이블(100)이 도1에 나타내는 홈 포지션에 위치한 때이다. 즉, 테이블(100)이 도1에 나타내는 홈 포지션에 위치하였을 때, 검지 암(610)의 차광판(602)이 발광 다이오드(610a)의 빛을 차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스테이플 검지기구(650)]
스테이플 검지기구(650)는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651)을 구비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652), 액추에이터(652)의 하부에 설치된 차광판(653)을 검지하는 핫 센서(액추에이터 검지 수단)(67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652)의 축(651)은 회전이 자유롭도록 매거진(14)의 전방벽(44)에 형성된 한쌍의 축받침부(44A, 44A)로 지지되며, 액추에이터(652)는 축(65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시계방향(도30에 있어서)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액추에이터(652)의 상단부에는 스테이플(S)에 접촉하는 접촉부(65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촉부(655)에는 도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상의 접촉면(656)이 형성되어, 이 접촉면(656)의 상부가 스테이플(S)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접촉면(656)의 하부측에는 돌출부(657)가 형성되어 있다.
핫 센서(670)는, 발광 다이오드(670a)와 이 발광 다이오드(670a)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 다이오드(670b) 등(도25 참조)으로 구성되며, 차광판(653)이 발광 다이오드(670a)의 빛을 차광함으로써 차광판(653)을 검지하는 것이다.
액추에이터(652)는 후술하는 카트리지(700)의 타출부(50)의 틈(765)에 스테이플(S1)이 있을 때에, 그 접촉면(656)이 스테이플(S1)과 접촉하여 도30에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한다. 이 때에는, 액추에이터(652)의 차광판(653)이 발광 다이오드(670a)의 빛을 차광하여, 수광 다이오드(670b)는 수광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그 틈(765)에 스테이플(S1)이 있다고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판단한다.
그 틈(765)에 스테이플(S1)이 없을 때에는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652)는 축(65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하여 액추에이터(652)의 차광판(653)이 발광 다이오드(670a)와 수광 다이오드(670b)와의 사이에서 떨어져 수광 다이오드(670b)가 발광 다이오드(670a)의 빛을 수광한다. 이 수광에 의하여 틈(765)에 스테이플(S1)이 없다고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판단한다.
또한 액추에이터(652)의 접촉면(656)에 돌출부(657)를 설치하였으므로, 드라이버(350)가 상승하여 스테이플(S1)을 타출할 때에, 드라이버(350)가 돌출부(657)와 접촉하여 접촉면(656)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즉, 드라이버(350)가 돌출부(657)에 접촉되면 액추에이터(652)가 축(65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도30에 있어서)으로 회전하므로, 드라이버(350)는 접촉면(656)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드라이버(350)에 의한 접촉면(650)의 마모가 방지되며, 틈(765)에 스테이플(S1)이 있어도 그 스테이플(S1)을 검지하지 않게 되어 버리는 오작동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접촉면(650)의 마모의 방지에 의한 액추에이터(652)의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카트리지(700)]
카트리지(700)는 도33∼도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701), 이 외부 케이스(701)내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내부 케이스(800), 내부 케이스(800)내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홀더(79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701)]
외부 케이스(701)는 도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부(우측)와 상부에 형성된 개구(702, 703)와 전방벽부(704)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유지부(7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부 케이스(701)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한쌍의 측벽(706)을 구비하며, 측벽(706)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오목부(707, 708)가 형성되고 측벽(706)의 외측면의 하부에는 돌기(709), 가이드 오목부(708)에 대응된 위치에 오목부(7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벽부(704)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창(713)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705)의 하면에는 가이드판(720)이 부착되어 있고, 또한 유지부(705)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푸셔부재(pusher 部材)(7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측벽(706, 706)의 하부에는 가이드 홀더(73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유지부(705)의 전면에는 구멍(71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홀더(730)에는 가이드판(740)과 이송기구(90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홀더(730)의 전후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판부(731, 732)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판부(731)에는 결합구멍(733)이 형성되며, 지지판부(732)의 내측에는 결합돌기(73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부(731, 731)의 결합구멍(733, 733)에는 외부 케이스(701)의 측벽(706, 706)의 돌기(709, 709)가 결합되고, 지지판부(732, 732)의 결합돌기(734, 734)는 유지부(705)의 양측면에 설치된 오목부(705T)에 결합되어 있으므로써, 가이드 홀더(730)가 외부 케이스(70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홀더(730)에는 이송기구(900)를 설치하기 위한 수납부(735)와 수납부(735)의 전후에 결합부(736, 737)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판(740)에는 후술하는 시트 스테이플(ST)을 적층한 케이스(850)의 바닥벽부(851)를 받치는 홀더부(741)와 이 홀더부(741)의 면보다 한층 높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742)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부(741)와 가이드부(742)의 단차의 높이는 케이스(850)의 바닥벽부(851)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742)와 유지부(705)의 가이드판(720)으로 스테이플(S)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반송로(721)가 형성되고 각 가이드판(720, 740)의 선단에는 돌출부(720A, 74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케이스(701)의 가이드 홀더(730)에 형성된 가이드판(740)의 가이드부(742)와 외부 케이스(701)의 유지부(705)에 부착된 가이드판(720)으로 반송로(721)를 형성한 것이므로, 호치키스 본체(10)의 구성에 관계없이 반송로(721)의 틈(높이)의 치수 정밀도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그 치수 정밀도의 집적공차(集積公差)를 작게할 수 있고, 카트리지(700)측만으로도 스테이플(S) 이송의 성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740)에는 홀더부(741)의 앞측으로부터 가이드부(742)의 후부에 이르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슬릿(slit)(743, 743)이 형성되며 홀더부(741)의 양측에 한쌍의 구멍(745)이 형성되어 있다.
푸셔부재(750)는 전면에 경사면(751)을 구비하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유지부(705)의 구멍(711)에 삽입되는 돌출부(752)와, 도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돌출부(752)의 양측에 형성된 접촉면(753)을 구비하고 있다. 이 푸셔부재(750)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전방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또한 외부 케이스(701)의 측벽(706, 706)에는 면판부재(760)의 암부(761, 761)가 축에 의하여 지지되어 축(762)을 중심으로 화살표방향(도34 참조)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면판부재(760)는 평판상의 면판부(76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면판부(763)에는 도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된 면부(7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면부(764)와 각 가이드판(720, 740)의 돌출부(720A, 740A)와의 사이에 드라이버(350)가 진입되어 가는 틈(7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면부(763)의 상부와 유지부(705)의 상부와의 사이(타출구(51))로부터 매거진(14)의 탑재부(45)(도1 참조)에 탑재된 종이묶음(도시하지 않음)을 향하여 스테이플(S)이 타출되는 것으로서, 면부(763)와 유지부(705)로 타출부(50)가 구성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800)]
내부 케이스(800)는 하면과 전면을 개구한 하우징(housing)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벽(801)의 하부에는 홈(80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802)에 의하여 탄성 레그부(803)가 형성되며, 이 탄성 레그부(803)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804)와 이 돌기(804)의 아래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톱니(805)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804)는 외부 케이스(701)의 측벽(706)의 가이드 오목부(708)에 삽입되어 있으며 돌기(804)의 선단부(804A)가 그 가이드 오목부(708)의 접촉면(708A)(도39 참조)에 접하여 있다.
또한 돌기(804)로부터 아래의 탄성 레그부(803) 부분의 내측면(803A)은 도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801)의 내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내측면(803A, 803A)간의 거리가 측벽(801, 801)의 내측면간의 거리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800)의 양측벽(801)은 외부 케이스(701)의 측벽(706) 내측에 접하여 있고, 내부 케이스(800)는 외부 케이스(7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800)가 외부 케이스(701)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800)의 탄성 레그부(803)가 가이드 홀더(730)에 설치된 가이드판(740)의 구멍(745)에 삽입되어 탄성 레그부(803)의 결합 톱니(805)가 그 구멍(745)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때, 탄성 레그부(803)의 돌기(804)는 외부 케이스(701)의 측벽(706)의 오목부(710) 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측벽(801)의 앞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긴 구멍(807)이 형성되고, 양측벽(801)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파수부(把手部)(808)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800)의 후측벽(810)의 하단에는 결합돌기(811)가 형성되고, 상부판(820)의 앞단에는 측판(801)의 앞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며 하방으로 연장된 V자형의 지지판부(821)가 형성되며, 이 지지판부(821)의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8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823)는 외부 케이스(701)의 전방벽부(704)의 창(713) 하부(도35 참조)에 인입되어 있다. 또한 상부판(820)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스프링 부착부(825)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790)]
홀더(79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틀(791)과(도36 참조) 이 틀(791)의 하부에 형성된 바닥판(792)을 구비하며, 이 바닥판(792)의 중앙부에 원통형 벽부(79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틀(791)의 양측벽부(794)에는 내부 케이스(800) 측벽(801)의 긴 구멍(807)에 삽입되는 돌기(795)와(도37 참조), 내부 케이스(800)의 측벽(801)에 접하여지는 돌출부(796)가 형성되어 있다(도39 참조). 홀더(790)는 돌기(795)가 측벽(801)의 긴 구멍(807)에 의하여 안내되며 그 돌출부(796)가 내부 케이스(800)의 측벽(801)에 접하여져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틀(791)의 전방벽부(797)에는 결합돌기(798)가 형성되며, 이 결합돌기(798)는 내부 케이스(800)의 전면개구(800A)로부터 외부 케이스(701)의 전방벽부(704)의 창(713)으로 삽입되어 있다.
틀(791)의 원통형 벽부(793)의 내측에는 도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780)의 하부가 부착되어 있고, 스프링(780)의 상부가 내부 케이스(800)의 상부판(820)의 스프링 부착부(825)에 결합되어 있다. 이 스프링(780)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홀더(790)는 하방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내부 케이스(800) 안에 수납된 시트 스테이플(ST)에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다(도39 참조).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은, 종이로 만든 케이스(850)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고, 케이스(850)는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저벽부(851)와 측벽부(852)와 후벽부(853)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기구(900)]
이송기구(900)는 도43∼도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래칫 플레이트(ratchet plate)(901), 이송톱니(910), 이 이송톱니(910)에 전방으로의 압력을 가하는 압압부재(920), 이 압압부재(920)에 전방으로의 압력을 가하는 이송 스프링(930)(도43 및 도46에 있어서 생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래칫 플레이트(901)]
래칫 플레이트(901)는 도47 및 도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암부(908)를 구비하며, 이 암부(908)의 선단부(909)에는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902)이 형성되어 있다. 암부(908)의 후부에는 광폭의 장착부(903)가 형성되고, 장착부(903)에는 원형상의 구멍(9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장착부(903)의 상단으로부터 구멍(904)까지 연장된 홈(905)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부(903)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폭이 좁은 로드부(90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903) 후부의 하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받스테이플부(907)가 형성되어 있다.
래칫 플레이트(901)의 선단부(909)는 드라이버(350)의 홈(350A)내에 인입되어 있다(도43 참조).
[이송톱니(910)]
이송톱니(910)는 도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뾰족하게 되어 있는 한쌍의 톱니부(911)를 구비하며, 톱니부(911)의 사이에는 광폭의 홈(912)과 또한 이 홈(912)의 중간위치에 폭이 좁은 홈(9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913)의 양측이 레그부(914, 91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송톱니(910)의 후단에 홈(915)이 형성되어, 홈(915)과 홈(913)과의 사이가 연결부(916)로 되어 있다. 이 연결부(916)가 래칫 플레이트(901)의 구멍(904)에 삽입되어 이송톱니(910)의 레그부(914, 914)가 래칫 플레이트(901)의 구멍(904)으로부터 장착부(903)의 상단에 걸쳐서 넘어서 이송톱니(910)가 래칫 플레이트(901)의 장착부(903)에 장착되어 있다.
[압압부재(920)]
압압부재(920)는 도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체(921)를 구비하며, 이 원기둥체(921)의 전면은 전방으로 감에 따라 상승하는 경사면(922)으로 되어 있다. 또한 원기둥체(921)에는, 경사면(922)으로부터 후부로 연장된 홈(923)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원기둥체(921)의 후면에는 홈(923)에 연결되는 구멍(9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재(920)의 구멍(924)에는 래칫 플레이트(901)의 로드부(906)가 끼워지며, 압압부재(920)의 홈(923)에 래칫 플레이트(901)의 장착부(903)가 인입되어 래칫 플레이트(901)에 장착된 이송톱니(910)가 압압부재(920)의 경사면(922)과 접하고 있다. 또한 로드(906)에는 이송 스프링(930)이 부착되어 있다.
이 압압부재(920)는 도35 및 도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홀더(730)의 수납부(735)에 수납되어 있으며 래칫 플레이트(901)의 받침부(907)가 수납부(735)의 바닥면(735A)과 접하고 있다. 이 받침부(907)에 의하여 래칫 플레이트(901) 및 압압부재(9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송 스프링(930)의 일단은 가이드 홀더(703)의 결합부(737)에 결합되며, 이송 스프링(930)의 타단은 원기둥체(921)의 후면에 접하고 있다. 이 이송 스프링(930)에 의하여 래칫 플레이트(901) 및 압압부재(920)는 전방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래칫 플레이트(901)의 장착부(903)가 가이드 홀더(730)의 결합부(736)와 접하여져 래칫 플레이트(901) 및 압압부재(920)에는 도35에 나타내는 위치보다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되어 있다.
이송톱니(910)의 톱니부(911)는 가이드판(740)의 슬릿(743)에 삽입되어 있어 홀더부(741)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송기구(900)의 동작]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이 가이드판(740)의 홀더부(741)에 탑재되면, 도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무게에 의하여 이송톱니(910)가 눌리어 가이드판(740)의 슬릿(743)에 이송톱니(910)의 톱니부(911)가 들어가는 상태가 된다. 이송톱니(910)의 삽입은, 이송톱니(910)가 래칫 플레이트(901)의 구멍(904)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도51에 있어서)으로 회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회전시에 압압부재(920)는 이송 스프링(930)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하여 후방(도51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드라이버(350) 및 포밍 플레이트(351)가 상승되어 가면, 드라이버(350)의 홈(350A)의 바닥부(350b)가 래칫 플레이트(901)의 경사면(902)에 접해진다. 계속하여 상승되어 가면, 그 상승에 따라 경사면(902)에 의하여 래칫 플레이트(901) 및 압압부재(920)가 도51에 나타내는 상태 그대로 이송 스프링(930)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하여 보다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래칫 플레이트(901)가 소정의 양까지 후방으로 이동하면, 포밍 플레이트(351)가 래칫 플레이트(901)의 경사면(902)과 접하게 되어 도52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후방으로 이동한다.
드라이버(350)에 의한 스테이플(S)의 삽입이 완료하여 드라이버(350) 및 포밍 플레이트(351)가 초기위치로 하강하면, 이송 스프링(9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압압부재(920)가 이송톱니(910)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이 때 압압부재(920)의 경사면(922)에 의하여 이송톱니(910)는 도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한다. 그리고 이송 스프링(9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압압부재(920)와 함께 래칫 플레이트(901)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가면, 올라간 이송톱니(910)의 톱니부(911)는 가이드판(740)의 슬릿(743)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시트 스테이플(ST)의 스테이플(S)과 스테이플(S)의 사이에 톱니부(911)의 선단부가 인입되어 간다. 그러므로 래칫 플레이트(901)의 이동과 함께 이송톱니(911)는 시트 스테이플(ST)을 전방으로 보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스프링(9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압압부재(920)가 이송톱니(910)를 압압하면, 압압부재(920)의 경사면(922)에 의하여 이송톱니(910)는 도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하며, 또한 이송 스프링(930)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시트 스테이플(ST)이 이송되어 간다. 이와 같이 한 개의 이송 스프링(930)에 의하여 시트 스테이플(ST)의 이송과 이송톱니(910)의 상승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이송톱니(910)를 상승시키는 스프링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의 갯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반송로(721)에 시트 스테이플(ST)이 없을 경우, 도45 및 도51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래칫 플레이트(901)가 이동하여 시트 스테이플(ST)의 송출량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로(721)에 시트 스테이플(ST)이 있는 경우에는, 도52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한 개의 스테이플(S)의 폭(W)(도31 참조)만큼 이동하게 된다.
래칫 플레이트(901)가 W만큼만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포밍 플레이트(351)가 상승하여 래칫 플레이트(901)의 경사면(902)에 접함으로써 래칫 플레이트(901)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동 호치키스의 동작]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동 호치키스(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케이스(850)에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을 수납한 카트리지(700)를 호치키스 본체(10)에 미리 장착하여 둔다. 모터(40)가 구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테이블(100)은 도1에 나타내는 초기위치(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복사기로부터 묶으라는 신호에 의하여 모터(40)가 구동되면, 기어(501)∼기어(504)를 통하여 구동축(510)이 시계방향(도7에 있어서)으로 회전하여 가며, 구동축(510)과 함께 각 캠(511)∼(515)도 회전하여 간다.
테이플 링크 캠(512)의 회전에 의하여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테이플 링크(20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가고, 이 이동에 의하여 제1테이블 링크(210)는 프레임(12)의 축(27)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간다. 테이블(100)은 제1테이블 링크(210)와 함께 회전하여 하강하여 가게 된다. 테이블(100)이 도17에 나타내는 위치(하사점(下死點))까지 하강하면, 매거진(14)의 탑재부(45)와 테이블(100)과의 사이에 있는 종이묶음(도시하지 않음)을 그 탑재부(45)와 테이블(100)로 협지한다.
이 협지를 할 때에 테이블(100)은 매거진(14)의 탑재부(45)에 충돌하는 상태가 되지만, 테이블(100)은 제1테이블 링크(210)의 축(2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탑재부(45)에 충돌하게 된다. 즉, 일단이 축(27)에 지지되어 타단측이 충돌되어 가므로, 무엇에도 지지되지 않고 충돌하여 가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충돌시의 충격은 작아진다. 그러므로 충격이 작음으로써 스테이플(S)의 송출이 안정되며 충돌시의 소음도 작아진다.
또한 스테이플(100)은 제1테이블 링크(210)의 축(2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한 것이므로, 축(27)과 제1테이블 링크(210)의 축 구멍(216)과의 관계만으로 가이드 성질(안정된 동작)이 결정되어 그 축(27)과 축 구멍(216)과의 관계의 구조도 간단하다. 또한 스테이플(S) 송출의 안정화와 안정된 동작에 의한 신뢰성이 향상하게 된다.
한편 드라이버 캠(514)의 회전에 의하여 드라이버 링크(301)가 드라이버(350) 및 포밍 플레이트(351)를 상승시켜 가고, 종이묶음의 협지후에는 드라이버(350) 및 포밍 플레이트(351)가 매거진(14)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카트리지(700)의 타출부(50)의 틈(765)에 진입되어 가고, 포밍 플레이트(351)가 스테이플(S3)(도31 참조)을 도5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ㄷ'자형으로 수용하고 드라이버(350)가 'ㄷ'자형으로 되어 있는 스테이플(S1)을 타출부(50)의 타출구(51)로부터 종이묶음으로 타출하여 간다.
이 타출시에, 스테이플(S1)은 경사면(751)을 지나서 이 경사면(751)에 따라 타출되어 가므로, 드라이버(350)의 상승에 따라 푸셔부재(750)는 스프링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하여 후퇴되어 간다. 이 때 도5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S1)의 레그부(Sa)가 돌출부(752)의 측면(752A)과 접하고 있으므로 그 레그부(Sa)의 굽힘이 방지된다.
타출이 종료하여 드라이버(350)가 하강하면, 이 하강에 따라 푸셔부재(750)는 스프링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전진되어 온다. 이 전진에 의하여 'ㄷ'자형으로 성형된 스테이플(S3)의 레그부(Sb)가 푸셔부재(750)의 접촉면(753)에 의하여 전방으로 눌려진다. 그 결과 스테이플(S)이 전방으로 송출되게 된다.
드라이버(350)에 의한 스테이플의 타출시, 도17에 나타내는 화살표방향으로부터 테이블(100)에 힘(F)이 가해지게 된다. 이 힘(F)에 의하여 제1테이블 링크(210)는 축(2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제2테이블 링크(201)의 롤러(203)는 테이블 링크 캠(512)에 의하여 눌려지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제2테이블 링크(201)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 결과 제2테이블 링크(201)는 롤러(203)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테이블 링크(21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시키려고 하지만, 종이두께 조정용 스프링(220)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제2테이블 링크(201)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저지된다.
즉, 드라이버(350)의 타출에 의한 힘(F)이 테이블(100)에 가해져도 스프링(220)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테이블(100)은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테이블(100)에 힘(F)이 가해졌을 때, 도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테이블(100)을 지지하기 위하여 축(206)에는 F1의 힘이 필요하다고 하면, F1의 분력(FX)은 종이두께 조정용 스프링(220)이 지지하고, F1의 분력(FY)는 구동축(510) 등이 지지하게 된다. 즉, F1을 FX와 FY로 분산시켜서 FX만을 종이두께 조정용 스프링(220)으로 지지하도록 한 것이므로 종이두께 조정용 스프링(220)에 가해지는 압력은 작게 마무리 된다.
또한 긴 구멍(215A)의 경사방향을 반대로 하여, 테이블(100)로 힘(F)이 가해졌을 때에 제2테이블 링크(20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경우에는, 종이두께 조정용 스프링(220)은 압축 스프링이 된다.
종이묶음이 두꺼운 경우에는, 테이블(100)은 하사점까지 하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56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테이블 링크 캠(512)의 회전에 의하여, 도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테이블 링크(201)의 축(206)이 제1테이블 링크(210)의 긴 구멍(215A, 215B)을 따르고, 제2테이블 링크(201)의 축(202)이 프레임(12)의 가이드 구멍(26)에 안내되면서 제2테이블 링크(201)가 하강하여 간다. 이 제2테이블 링크(201)의 하강에 의하여 테이블 링크 캠(512)은 종이묶음의 두께에 상관없이 잠기지 않고 회전하여 간다.
또한 제2테이블 링크(201)는 종이두께 조정용 스프링(220)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하여 제1테이블 링크(210)의 긴 구멍(215A, 215B)을 따라서 하강하게 되지만, 종이두께 조정용 스프링(220)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이 작게 마무리됨으로써 테이블 링크 캠(512)은 회전력이 작아도 잠기지 않게 된다.
드라이버(350) 및 포밍 플레이트(351)가 상승하여 매거진(14)의 구멍을 통하여 카트리지(700)의 타출부(50)의 틈(765)(도35 및 도51 참조)으로 진입하면, 도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기구(900)의 래칫 플레이트(901) 및 이송톱니(910) 등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다른 한편, 클린처 캠(511)의 회전에 의하여 스테이플(S1)의 타출종료 후, 제1클린처(401)가 반시계방향(도20에 있어서)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하여 제2클린처 링크(4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간다.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클린처 링크(410, 410)의 회전에 의하여, 각 클린처(115, 116)가 돌기축(117, 11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하여 종이묶음을 관통한 스테이플(S1) 레그부의 선단부를 각 클린처(115, 116)가 클린칭시킨다.
이 클린칭이 종료하면, 포밍 플레이트(351) 및 드라이버(321)가 하강하여 가며 더불어 제1, 제2클린처 링크(401, 410) 및 클린처(115, 116)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포밍 플레이트(351) 및 드라이버(321)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면, 이송 스프링(930)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압압부재(920)와 함께 래칫 플레이트(901) 및 이송톱니(911)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가고, 시트 스테이플(ST)을 스테이플(S)의 폭(W)(도31 참조)만큼 전방으로 송출하여 간다.
또한 클린칭이 종료된 후에는, 테이블 리턴 캠(513)의 회전에 의하여 테이블 리턴 레버(250)가 테이블(100)을 원래의 대기(待機)위치(홈 포지션)로 되돌린다.
테이블(100)이 대기위치로 되돌아오면, 구동축(510)과 함께 포지션 캠(515)이 1회 회전하는 것이 되고, 도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암(601)의 제1암부(611)의 돌출부(613)가 포지션 캠(515)의 오목부(604)에 인입되며 제2암부(612)의 돌출부(616)가 포지션 캠(515)의 돌기부(605)로 상승되어 간다. 이 상태일 때에, 검지 암(601)의 차광판(602)은 발광 다이오드(610a)의 빛을 차광한다. 이 차광에 의하여 포지션 센서(610)의 수광 다이오드(610b)가 포지션 검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포지션 검지신호에 의하여 제어회로는 테이블(100)이 홈 포지션으로 되돌아간 것을 판단하고, 다음의 묶음 동작을 실시하는 대기상태가 된다.
그러나 검지 암(601)에는, 암 포지션 캠(515)의 오목부(604)에 대응하여 돌출부(605)가 설치되고, 또한 제1암부(611)의 돌출부(613)와 제2암부(612)의 돌출부(616)가 항상 포지션 캠(515)을 협지하므로, 제1암부(611)의 돌출부(613)를 항상 포지션 캠(515)의 원주면에 접해지게 하기 위한 스프링은 불필요하게 되어 공간을 절약하거나 부품의 갯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암부(611)의 돌출부(613)와 제2암부(612)의 돌출부(616)로 포지션 캠(515)을 협지함으로써, 포지션 캠(515)이 고속으로 회전하여도, 제1암부(611)의 돌출부(613)가 포지션 캠(515)의 원주면에 항상 접하여진다. 그러므로 그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부(613)가 이탈되는 일이 없어 채터링(chattering)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시트 스테이플(ST)의 보충]
다음에 카트리지(700)에 적층시트 스테이플(ST)을 보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카트리지(700)를 호치키스 본체(10)로부터 분리한다. 카트리지(700)의 내부 케이스(800) 안에 시트 스테이플(ST)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도5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790)가 스프링(780)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내부 케이스(800)의 바닥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 경우, 홀더(790)의 돌출부(796)는 내부 케이스(800)의 돌기(804)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내부 케이스(800)의 측벽(80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외부 케이스(701)의 양측벽(706)의 오목부(710)를 화살표 방향이 가리키는 대로 압압하면, 내부 케이스(800)의 돌기(804)가 외부 케이스(701)의 측벽(706)과 접하고 있음으로써, 내부 케이스(800)의 탄성 레그부(803)가 내측으로 탄성변형한다. 이에 의하여, 탄성 레그부(803)의 결합톱니(805)가 가이드판(740)의 구멍(745)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내부 케이스(800)의 파수부(808)를 들어 내부 케이스(800)를 외부 케이스(701)에 대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내부 케이스(800)가 외부 케이스(701)의 최상부의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도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800)의 결합돌기(811)가 외부 케이스(701)의 파수부(1780)에 결합되어 내부 케이스(800)가 외부 케이스(70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부 케이스(800)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도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800)의 돌기(823)가 홀더(790)의 결합돌기(798)와 결합하고, 내부 케이스(800)과 함께 홀더(790)도 상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그러므로 내부 케이스(800)를 도59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외부 케이스(701)의 후부의 개구(702)가 완전히 개방된다. 또한 내부 케이스(800)는 마찰력에 의하여 도59에 나타내는 위치로 유지된다. 그리고 개구(702)로부터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을 도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850)마다 외부 케이스(701)내에 넣는다. 이 때, 내부 케이스(800)는 도59에 나타내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케이스(850)의 삽입은 간단하게 실시된다.
이와 같이, 내부 케이스(800)를 도59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홀더(790)도 상방으로 이동하여 감으로써 외부 케이스(701)의 후부의 개구(702)가 완전히 개방되고 내부 케이스(800)는 마찰력에 의하여 도59에 나타내는 위치로 유지되므로, 케이스(850)의 교환은 용이하게 된다.
시트 스테이플(ST)을 적층한 케이스(850)가 외부 케이스(701)내에 삽입된다면, 내부 케이스(800)를 위에서부터 눌러서 도39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밀어 내린다. 그렇게 하면, 내부 케이스(800)의 탄성 레그부(803)의 결합톱니(805)가 가이드판(740)의 구멍(745)에 삽입되어, 그 결합톱니(805)가 구멍(745)에 결합된다.
도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이 카트리지(700)의 내부 케이스(800)안에 남아 있는 경우, A/S시 그 카트리지(700)를 호치키스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실수로 외부 케이스(701)의 오목부(710)를 눌러도, 시트 스테이플(ST)이 내부 케이스(800)의 양측벽(801)을 누르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탄성 레그부(803)는 내측으로 탄성변형될 수가 없다. 그러므로 탄성 레그부(803)의 결합톱니(804)가 가이드판(740)의 구멍(745)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외부 케이스(701)의 오목부(710)를 눌러도 스프링(78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내부 케이스(800)가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일 없이, 그 개구(702)로부터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이 흩어져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반송로(721)의 도중까지 이송되어 시트 스테이플(ST)의 일부가 내부 케이스(800) 안에 남아있는 경우, 가이드판(740)의 가이드부(742)가 홀더부(741)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홀더(790)는 도61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하강하고, 홀더(790)의 돌출부(796)는 내부 케이스(800)의 측벽(801)에 접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부 케이스(701)의 오목부(710)를 눌러도, 홀더(790)의 돌출부(796)가 내부 케이스(800)의 측벽(801)과 접하고 있음으로써, 내부 케이스(800)의 탄성 레그부(803)는 내측으로 탄성변형 되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 레그부(803)의 결합톱니(804)가 가이드판(740)의 구멍(745)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내부 케이스(800)를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외부 케이스(701)의 후부의 개구(702)로부터 시트 스테이플(ST)을 적층한 케이스(850)를 삽입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반송도중의 시트 스테이플(ST)의 일부가 내부 케이스(800) 안에 남아 있어도 내부 케이스(800)를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가 있으면, 시트 스테이플(ST)의 일부가 내부 케이스(800) 안에 남아 있는 것에 신경쓰지 않고, 외부 케이스(701)의 후부의 개구(702)로부터 시트 스테이플(ST)을 적층한 케이스(850)를 삽입하여 버린다. 그렇게 하면, 남아 있는 시트 스테이플(ST)이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에 의해서 반송로(721)내로 무리하게 눌려 들어가 버려서 반송로(721)내로 시트 스테이플이 겹쳐져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한 장의 시트 스테이플(ST)이 내부 케이스(800) 안에 남아 있는 경우, 내부 케이스(800)를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가 없게 됨으로써,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700)의 외부 케이스(701)의 가이드 홀더(730)로 이송기구(900)를 설치했으므로, 스테이플(S)의 이동에 관하여 카트리지(700)측만의 관리로 그 이송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생산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호치키스 본체(10)에 이송기구(900)를 설치하면, 카트리지(700)와 본체(10)와의 사이에 위치관계가 영향을 끼치므로 카트리지(700)와 본체(10)에는 치수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제2실시예]
도62는 제2실시예의 이송기구(1000)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압압부재(920)의 경사면(922)에 오목부(940)를 형성한 것이다. 이 오목부(940)에 의하여 이송톱니(910)가 들어갈 때에 압압부재(920)를 이송 스프링(930)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지만, 그 때의 압압부재(920)로 움직이는 이송톱니(910)로부터의 작용점(920A)의 위치가 도6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재(920)의 축선(920J)에 가까워진다. 다른 한편, 오목부(940)가 없는 경우에는, 그 작용점의 위치는 이송톱니(910)의 하부(910A)가 된다. 압압부재(9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은 작용점이 축선(920J)에 가까울수록 작은 힘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즉, 작용점의 위치가 바뀜으로써 이송톱니(910)가 들어가는 하중이 변하게 되어, 오목부(940)를 설치하는 위치에 의하여 이송톱니(910)가 들어가는 하중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 스프링(930)의 스프링 하중을 상승시킨 경우, 작용점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이송톱니(910)가 들어가는 하중이 변하지 않도록 마무리할 수 있다.
스테이플을 쳐내는 타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호치키스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과, 이 테이블이 이동하여 상기 타출부와 함께 종이묶음을 협지했을 때에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부터 그 종이묶음을 향하여 타출시키는 드라이버를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로서, 충격음을 작게할 수 있으며, 홈 포지션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이 충격에 의하여 오작동하는 일이 없으며, 카트리지의 치수 정밀도의 관리만으로 충분한 전동 호치키스가 제공된다.

Claims (14)

  1. 스테이플(staple)을 쳐내는 타출부(打出部)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호치키스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과, 이 테이블이 이동하여 상기 타출부와 함께 종이묶음을 협지(挾持)했을 때에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부터 그 종이묶음을 향하여 타출시키는 드라이버(driver)를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로서,
    상기 테이블은 호치키스 본체에 축지(軸支)되어, 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후방으로 연장된 암부(arm部)를 구비하며, 이 암부의 후부(後部)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상기 호치키스 본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3. 스테이플을 쳐내는 타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호치키스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과, 이 테이블이 이동하여 상기 타출부와 함께 종이묶음을 협지했을 때에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부터 그 종이묶음을 향하여 타출시키는 드라이버를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로서,
    상기 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테이블 기구를 설치하며,
    상기 테이블 기구는 선단부(先端部)에 상기 테이블이 설치되며, 후부가 상기 호치키스 본체에 지지된 제1테이블 링크(table link)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테이블 링크를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테이블 링크와, 상기 제2테이블 링크를 하강시키는 테이블 링크 캠(table link cam)과, 하강된 제2테이블 링크를 상승시키는 테이블 리턴 기구(table return 機構)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이블 링크에 경사진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테이블 링크의 상부에 설치된 축이 상기의 긴 구멍 안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축을 상기 긴 구멍의 일단으로 향하게 하는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5. 스테이플을 쳐내는 타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호치키스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과, 이 테이블이 이동하여 상기 타출부와 함께 종이묶음을 협지했을 때에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부터 그 종이묶음을 향하여 타출시키는 드라이버를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로서,
    상기 테이블의 홈 포지션을 검지하는 위치 검지 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위치 검지기구는, 상기 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축에 설치된 포지션 캠과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검지 암과 상기 검지 암이 소정위치로 회전된 것을 검지하는 암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포지션 캠의 원주면에 홈 포지션을 나타내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대칭위치에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검지 암은 제1선단부가 상기 포지션 캠의 원주면에 접하는 제1암부와, 제2선단부가 상기 포지션 캠의 원주면에 접하는 제2암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선단부와 제2포지션 캠으로 상기 포지션 캠을 협지하여 제1선단부가 상기 오목부와 접하고 제2선단부가 상기 돌기부와 접하여 검지 암이 소정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캠의 원주면에, 상기 오목부 및 돌기부를 종단하는 환상(環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선단부에 상기 환상홈에 들어가는 가이드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7. 제1항에서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출부에 스테이플이 있는지 없는지를 검지하는 스테이플 검지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플 검지기구는, 선단에 상기 타출부의 스테이플이 접촉됨으로써 소정의 위치로 회전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와, 상기 액추에이터가 소정의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검지하는 액추에이터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선단에 스테이플이 접촉하는 평면상의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플이 접촉하는 접촉면의 접촉부에 의하여, 상기 드라이버가 진출하여 가는 측으로 돌출부가 상기 접촉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8. 스테이플을 쳐내는 타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호치키스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과, 이 테이블이 이동하여 상기 타출부와 함께 종이묶음을 협지했을 때에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부터 그 종이묶음을 향하여 타출시키는 드라이버와, 시트 스테이플(sheet staple)을 수납하며 상기 호치키스 본체에 착탈(着脫)이 자유롭도록 장착되며 아울러 상기 타출부가 설치된 카트리지(cartridge)를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로서,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된 시트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 송출하는 이송기구를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하부와 상부와 후부가 개구된 외부 케이스와, 하부가 개구된 상기 외부 케이스내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아울러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을 수납하는 내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안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내부 케이스에 적층 수납된 시트 스테이플을 위에서 압압하는 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바닥부에 상기의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을 받치는 가이드판이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판의 하측에 상기 이송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를 외부 케이스에 대하여 상승시켰을 때에, 상기 홀더가 내부 케이스와 함께 외부 케이스에 대하여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가 최하방 위치까지 하강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판에 결합되어 내부 케이스가 외부 케이스에 대하여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가 내부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측부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에 시트 스테이플이 남아 있는 경우, 상기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는, 상기 드라이버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래칫 플레이트(ratchet plate)와, 상기 래칫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이 래칫 플레이트가 전진할 때에 상기 시트 스테이플을 전방으로 송출하는 이송톱니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톱니는,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아울러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져서 상기 래칫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기 래칫 플레이트의 전후로 이동가능한 압압부재와,
    상기 압압부재에 전방으로의 압력을 가하는 이송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압압부재의 선단이 상기 이송톱니와 접하는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KR1020000038606A 1999-07-06 2000-07-06 전동 호치키스 KR100626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204599A JP3620351B2 (ja) 1999-07-06 1999-07-06 電動ステープラー
JP11-192045 1999-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727A true KR20010049727A (ko) 2001-06-15
KR100626980B1 KR100626980B1 (ko) 2006-09-22

Family

ID=1628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606A KR100626980B1 (ko) 1999-07-06 2000-07-06 전동 호치키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6705504B1 (ko)
EP (1) EP1066934B1 (ko)
JP (1) JP3620351B2 (ko)
KR (1) KR100626980B1 (ko)
CN (3) CN1163364C (ko)
DE (1) DE60038266T2 (ko)
TW (1) TW4748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804A (ja) * 2001-05-31 2002-12-10 Nisca Corp ステープル装置
JP2003025248A (ja) * 2001-07-10 2003-01-29 Max Co Ltd シートステープルの送り機構
EP1424168B1 (en) * 2001-08-09 2009-12-30 Max Co., Ltd. Driver unit and electric stapler
JP2003103477A (ja) * 2001-09-28 2003-04-08 Max Co Ltd ステープラ、ステープラ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とステープラを組合わせたシステム
JP4117457B2 (ja) 2002-06-24 2008-07-16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テーブルのロック機構
JP4078924B2 (ja) * 2002-08-30 2008-04-23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ー
EP1598149B1 (en) 2003-02-07 2011-01-12 MAX Kabushiki Kaisha Staple refill, stapler, and cartridge
JP4239732B2 (ja) * 2003-07-07 2009-03-18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ーの駆動機構
JP4103724B2 (ja) * 2003-08-11 2008-06-18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における紙押えテーブルのロック機構
JP4042154B2 (ja) * 2003-08-29 2008-02-06 マックス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US6981627B2 (en) * 2004-04-21 2006-01-03 Apex Mfg. Co., Ltd. Electric stapler having an apparatus to bend staple legs and the apparatus
JP4513439B2 (ja) * 2004-07-15 2010-07-28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ーの可動クリンチャ駆動機構
JP4513484B2 (ja) * 2004-09-29 2010-07-28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ーのテーブルロック装置
JP4165891B2 (ja) * 2005-01-12 2008-10-15 東芝機器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US7334716B2 (en) * 2005-01-26 2008-02-26 Apex Mfg. Co., Ltd. Stapler capable of cutting staple legs one after another
EP1841566A4 (en) * 2005-01-27 2010-05-05 Acco Brands Usa Llc STAPLER HEIGHT UNIT WITH STACK HEIGHT COMPENSATION
SE0500911L (sv) * 2005-04-25 2006-02-21 Isaberg Rapid Ab Häftapparat
US7159749B2 (en) * 2005-05-31 2007-01-09 Apex Mfg. Co., Ltd. Stapler capable of cutting staple legs
US7124926B1 (en) 2005-06-09 2006-10-24 Apex Mfg. Co., Ltd. Stapler capable of cutting staple legs
JP2009226909A (ja) * 2008-03-25 2009-10-08 Max Co Ltd 電動ステープラにおけるステープル脚の長さ調整方法
JP5211830B2 (ja) * 2008-04-25 2013-06-12 マックス株式会社 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送り機構
JP4915443B2 (ja) * 2009-10-19 2012-04-11 マックス株式会社 リフィルケース
JP5954028B2 (ja) * 2011-10-13 2016-07-2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JP5954029B2 (ja) 2011-10-13 2016-07-2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JP5962310B2 (ja) * 2011-10-13 2016-08-03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JP5772490B2 (ja) 2011-10-20 2015-09-02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
USD823675S1 (en) * 2016-10-06 2018-07-24 Eric Dammann Hanging bracket with hole
JP2018069638A (ja) * 2016-10-31 2018-05-1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
JP6870281B2 (ja) * 2016-10-31 2021-05-12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
JP6471270B2 (ja) 2016-12-26 2019-02-1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水素吸蔵合金
CN108725013A (zh) * 2017-04-19 2018-11-02 丰民金属工业股份有限公司 电动钉书机
JP7172454B2 (ja) * 2017-11-10 2022-11-16 マックス株式会社 リフィル
TWI812809B (zh) * 2018-11-13 2023-08-21 日商美克司股份有限公司 肘釘拆除裝置
JP1645239S (ko) * 2019-03-04 2019-11-11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0805A (en) * 1955-02-25 1956-11-20 Elzer Philip Stapling machines
US3075196A (en) * 1960-06-22 1963-01-29 Theodore M Wright Wire staple handling apparatus
US4720033A (en) * 1986-05-05 1988-01-19 Swingline Inc. Motor-operated fastener driving machine with movable anvil
GB2212433B (en) * 1987-11-16 1992-07-29 Canon Kk A sheet stapler
US5230457A (en) * 1987-11-16 1993-07-27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tapler
US5273199A (en) * 1990-03-07 1993-12-28 Xerox Corporation Staple cartridge
US5269503A (en) * 1990-09-29 1993-12-1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rocess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staple cartridge and cartridge locking means
EP0779134B1 (en) * 1995-12-11 2000-04-12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3476298B2 (ja) * 1995-12-28 2003-12-10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US6050471A (en) * 1996-10-23 2000-04-18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3508496B2 (ja) * 1996-11-13 2004-03-22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EP0845608B1 (en) * 1996-11-27 2002-08-14 Max Co., Ltd. Clip connected unit
EP0845337B1 (en) * 1996-11-27 2003-04-23 Max Co., Ltd. Clipping device
US6112939A (en) * 1996-11-29 2000-09-05 Max Co., Ltd. Cartridge for housing connected clip body of clip members
JP2000159414A (ja) * 1998-11-27 2000-06-13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11506A1 (en) 2003-06-19
CN1519135A (zh) 2004-08-11
CN1519134A (zh) 2004-08-11
EP1066934A2 (en) 2001-01-10
JP2001018176A (ja) 2001-01-23
US6719181B2 (en) 2004-04-13
US6705504B1 (en) 2004-03-16
KR100626980B1 (ko) 2006-09-22
DE60038266D1 (de) 2008-04-24
JP3620351B2 (ja) 2005-02-16
CN1163364C (zh) 2004-08-25
EP1066934A3 (en) 2005-07-27
CN1283553A (zh) 2001-02-14
CN1234544C (zh) 2006-01-04
TW474859B (en) 2002-02-01
DE60038266T2 (de) 2009-03-12
EP1066934B1 (en) 2008-03-12
US20030111504A1 (en) 2003-06-19
CN1264661C (zh)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980B1 (ko) 전동 호치키스
US6164513A (en) Motor driven stapler with staple leg holding mechanism
KR100709993B1 (ko) 전동 호치키스
US8251272B2 (en) Stapler
WO2006009015A1 (ja) ステープラおよび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JP4096931B2 (ja) カートリッジ
JP4232371B2 (ja) ステープラー
JP4296679B2 (ja) 電動ステープラー
JP3476298B2 (ja)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EP1582323B1 (en) Staple-leg guide mechanism
US6896167B2 (en) Driver unit and electric stapler
CN113165150B (zh) 打入工具
US7726535B2 (en) Stapler
KR20010062807A (ko)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JPH11235679A (ja) 電動ホチキス
JP4844082B2 (ja) 電動ステープラ
JP4923354B2 (ja) ドライバユニットと電動ホッチキス
JP2000153468A (ja) 電動ホチキス
JP3518530B2 (ja)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JP2001191262A (ja) 電動ホッチキス
JP3692880B2 (ja) 電動ホッチキス
JP2001191265A (ja) 電動式ステープラー
JP4096552B2 (ja)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JP2000153470A (ja) 電動ステープラー
JP2005081526A (ja) ステープラー用のクリンチ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