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807A -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62807A KR20010062807A KR1020000083643A KR20000083643A KR20010062807A KR 20010062807 A KR20010062807 A KR 20010062807A KR 1020000083643 A KR1020000083643 A KR 1020000083643A KR 20000083643 A KR20000083643 A KR 20000083643A KR 20010062807 A KR20010062807 A KR 200100628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tridge
- stapler
- pressure
- clincher
- knob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5—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8—Staple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스테이플ST을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실603과 시트 스테이플ST을 타출하는 타출 통로601를 형성하는 카트리지 본체602에, 이 카트리지 본체602 내에 있어서 수납실603 내의 시트 스테이플ST을 타출 통로601쪽으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으로서 판 스프링650을 설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 스테이플을 적층하여 수납하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전동 호치키스에 장착되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로서 도39에 나타낸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A는, 시트 스테이플S을 적층하여 수납하는 카트리지 본체B와, 이 본체의 측벽의 상단에 설치되어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을 송출하기 위한 이송 통로C를 형성하는 송출부(送出部)D와, 이 송출부D의 선단(先端)에 설치되는 타출부(打出部)E 등을 구비하고, 왕복 이동하는 드라이버(driver)(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가 타출부E에 진입함으로써ㄷ자 형상으로 성형된 스테이플(staple)S이 타출부E로부터 타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카트리지 본체B 내에는,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홀더(holder)F와, 이 홀더F를 상방으로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G과,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또 톱니TH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편I이 설치되어 있어 홀더F가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카트리지A에서는, 스프링G을 압축하여도 그 압축된 스프링G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다. 이 때문에 스프링G을 수납하기 위한 스페이스(space)를 카트리지 본체 내에 일정 이상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카트리지A를 소형화하는 경우에는 스프링G을 수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게 되므로 시트 스테이플을 적층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그 만큼 좁아지게 되어 카트리지 본체 내에 적층할 수 있는 시트 스테이플의 적층 매수가 적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를 소형화하여도 많은 매수의 시트 스테이플을 적층할 수 있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1(A)는 본 발명에 관한 전동 호치키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B)는 상기 전동 호치키스의 측면도이다.
도2(A)는, 도1에 나타내는 전동 호치키스의 평면도이다.
도2(B)는, 도1에 나타내는 전동 호치키스의 배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전동 호치키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縱)단면도이다.
도4는 클린처 링크(clincher link)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는 드라이버 홀더(driver holder)에 드라이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은 포밍 홀더(forming holder)에 포밍 플레이트(forming plate)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은 앤빌(anvil)의 선단부가 카트리지의 타출(打出) 통로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8은 앤빌의 선단부가 카트리지의 타출 통로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9는 슬라이더(slider)와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시트 스테이플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은 슬라이더에 의하여 시트 스테이플이 송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1은 로크(lock)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2는 해제(release)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3은 포밍 홀더가 홈 포지션(home position)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 해제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4는 클린처 가이드(clincher guide) 및 클린처 암(clincher arm)과 스프링과 각 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5는 클린처 링크(clincher link)의 회전에 의하여 클린처 가이드의 선단부가 종이 묶음을 잡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6은 클린처 가이드의 선단부가 종이 묶음을 잡을 때에 해제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7은 클린처 가이드에 대한 클린처 암의 회전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8은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19(A)는 카트리지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9(B)는 카트리지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20(A)는, 도19의 카트리지 본체의 밑면도이다.
도20(B)는, 도19의 카트리지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20(C)는, 도19의 카트리지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21은 카트리지의 판 스프링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2는, 도21에 나타내는 판 스프링 유니트의 부분확대도이다.
도23은 카트리지 본체에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을 수납하는 설명도이다.
도24는 제2실시예의 전동 호치키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5는, 도24에 나타내는 전동 호치키스의 평단면도이다.
도26은 카트리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27은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8은, 도27에 나타내는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29는, 도27에 나타내는 카트리지의 밑면을 나타내는 밑면도이다.
도30은, 도27에 나타내는 카트리지의 배면도이다.
도31(A)는 노브(knob)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1(B)는 노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1(C)는 노브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32(A)는 노브를 나타내는 밑면도이다.
도32(B)는 노브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33은 카트리지에 노브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4는 호치키스 본체에 장착된 카트리지에 장착되는 노브를 후방으로조금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5는 카트리지의 로크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6은 노브와 함께 카트리지가 스테이플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7은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8은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9는 종래의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시트 스테이플을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실과, 이수납실의 시트 스테이플을 송출하기 위한 송출 구멍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본체와, 이 카트리지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 내의 시트 스테이플을 상기 송출 구멍측으로 압력을 가하는 압력 수단을 구비하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압력수단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카트리지 및 이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전동 호치키스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1은, 예를 들면 복사기 등에 장착되는 전동 호치키스이고, 이 전동 호치키스1는, 스테이플 본체10와, 스테이플 본체10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카트리지600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플 본체10에는, 카트리지600에 설치되는 타출 통로601로부터 스테이플(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타출하는 타출 기구100와, 타출된 스테이플의 선단부(先端部)를 구부리는 클린처 기구200와, 카트리지600 내에 적층되는 시트 스테이플ST을 타출 통로601의 일단으로 송출하는 송출 기구300와, 각 기구100, 200, 300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400와, 스테이플을 ㄷ자 형상으로 성형한 후에 후술하는 타출 통로601로부터 앤빌(anvil)을 인입하는 앤빌 기구500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플 본체10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원(圓)형상의 모터실11 및 기어실12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13를 구비하고 있고, 기어실12의 안쪽에는 내치 기어(內齒 gear)12A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3의 양 측면13A, 13A에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자 형상의 홈14, 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홈14에는 클린처 링크201가 점선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3의 양 측면13A, 13A에는 측판23, 23이 장착되고, 본체 케이스13의 전면 및 후면에는 앞판25 및 뒷판26이 장착되어 있다. 한쪽의 측판23에는, 클린처 링크201가 실선위치(도4 참조)에 위치할 때에 이를 검지(檢知)하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29가 장착되어 있다. 클린처 링크(clincher link)201가 실선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후술하는 포밍 홀더(forming holder)110가 홈 포지션(home position)(도3에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3의 천정벽부20의 뒷쪽에는 나사N1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 스프링40이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 스프링40은 거의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최저부41와 이 최저부41의 후방에 역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최고부42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구(drive 機構)〕
구동 기구400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M의 모터축Ma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401와, 구동축410에 장착되는 제1 미드 기어 홀더(mid gearholder)420와, 구동축410에 장착되는 제2 미드 기어 홀더430와, 구동 기어 홀더440와, 드라이버 캠(driver cam)470과, 드라이버 리턴 캠(driver return cam)471과, 포밍 캠472과, 포밍 리턴 캠473 등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 홀더440와 각 캠470-473은 구동축410의 D컷(cut) 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구동축410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모터M의 모터축Ma은 후술하는 카트리지600의 시트 스테이플ST의 송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모터M가 카트리지6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모터축Ma과 구동축410이 동일한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미드 기어 홀더(the first mid gear holder)〕
제1 미드 기어 홀더420는, 유성 기어(遊星 gear)425, 425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이 유성 기어425, 425는 기어실12의 내치 기어12A에 맞물려 있으며 또 구동 기어401에 맞물려 있다.
〔제2 미드 기어 홀더(the second mid gear holder)〕
제2 미드 기어 홀더430는, 유성 기어437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이 유성 기어437는 기어실12의 기어실12의 내치 기어12A에 맞물려 있으며 또 구동 기어401에 맞물려 있다.
〔구동 기어 홀더(drive gear holder)〕
구동 기어 홀더440에는, 유성 기어444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이 유성 기어444는 기어실12의 내치 기어12A에 맞물려 있으며 또 제2미드 기어 홀더430의 기어435A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모터M의 모터축Ma이 회전하면 각 유성 기어425, 437, 444 및 제1 미드 기어 홀더420, 제2 미드 기어 홀더430를 거쳐서 구동 기어 홀더440가 회전한다. 이 구동 기어 홀더440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축410이 회전한다. 각 유성 기어425, 437, 444와 제1 미드 기어 홀더420, 제2 미드 기어 홀더430의 기어424A, 434A에 의하여 감속 기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유성 기어425, 437, 444는 구동축410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타출 기구(打出 機構)〕
타출 기구100는, 도5 및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홀더101와, 드라이버 홀더101에 장착되는 드라이버102와, 포밍 홀더110와, 이 포밍 홀더110에 장착되는 포밍 플레이트(forming plate)111, 112를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버 홀더101 및 드라이버102의 긴 구멍103, 102A에는 구동축410이 삽입되어 있고, 이 긴 구멍103, 102A에 의하여 드라이버 홀더101 및 드라이버102가 구동축4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 캠470의 회전에 의하여 드라이버 홀더101가 상승하고, 드라이버 리턴 캠471의 회전에 의하여 드라이버 홀더101가 하강하도록 되어있다.
포밍 홀더110의 긴 구멍110A에는 구동축410이 삽입되어 있고, 그 긴 구멍110A에 의하여 구동축410에 대해 포밍 홀더11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포밍 캠472의 회전에 의하여 포밍 홀더110는 상승하고, 포밍 리턴 캠473의 회전에 의하여 포밍 홀더110는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포밍 홀더110의 홈114에는, 클린처 링크201의 선단부(先端部)(201A)가 삽입되고, 포밍 홀더110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클린처 링크201가 실선위치와 점선위치(도4 참조) 사이를 왕복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포밍 플레이트111, 112는 포밍 홀더110의 상승에 의하여 타출 통로601에 진입하여 스테이플을 ㄷ자 형상으로 성형하고, 드라이버102는 드라이버 홀더101의 상승에 의하여 타출 통로601에 진입하여 ㄷ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스테이플을 타출 통로601로부터 타출하도록 되어 있다.
〔앤빌 기구(anvil 機構)〕
앤빌 기구500는,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앤빌 플레이트(anvil plate)501와, 이 앤빌 플레이트501에 지지되는 앤빌510과, 앤빌 플레이트501에 장착되는 판 스프링52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앤빌 플레이트(anvil plate)〕
앤빌 플레이트501는, 중앙부에 긴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502를 형성한 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부로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502의 하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503가 형성되고, 앤빌 플레이트501의 하단에는 오목부5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앤빌 플레이트501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나사에 의해 앞판25에 고정되어 있다.
앤빌 플레이트501의 전면에는 판 스프링520이 장착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520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구부러지는 절곡부(折曲部)521가 형성되고, 판 스프링520의 상부는 앤빌 플레이트501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520은 전방으로 조금 돌출되는 상태로 활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앤빌 플레이트501의 개구부502 내에는, 앤빌51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또 지지부503에 마운팅 되어 있다.
〔앤빌(anvil)〕
앤빌510은,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base部)511와, 그 베이스부511의 양쪽 끝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앤빌부512와, 베이스부511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13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513에는, 머리부513A와 목부513B가 형성되고, 목부513B가 판 스프링520을 관통하고, 머리부513A가 판 스프링520의 앞면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머리부513A에 의하여 앤빌510이 판 스프링520에 고정되어 있다.
앤빌부512의 선단부512A는, 도21 및 도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카트리지600의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643의 홈645을 통하여 타출 통로601에 진입되어 있다. 판 스프링520은, 포밍 홀더110가 상승하여 판 스프링520의 절곡부521를 밀고 올라가면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활모양으로 더 구부러진다. 이처럼 활모양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앤빌51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앤빌부512의 선단부(512A)가 카트리지600의 타출 통로601로부터 퇴출되도록 되어 있다.
〔송출 기구(送出 機構)〕
송출 기구300는, 도9 및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더301와, 이 슬라이더301를 전방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는 스프링(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과, 슬라이더301에 장착되는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송 톱니 플레이트(sending plate)〕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333를 구비하고, 이 탄성부333의 선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톱니334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334의 선단부304A가 슬라이더301의 윗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301는 스프링320에 의하여 전방으로 압력을 받고 있지만 포밍 홀더110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슬라이더301의 돌기305가 구동 기어 홀더440의 원판441에 접하여 도9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되어 있다. 이 때에 본체 케이스13의 천정벽부20의 홈22의 주변부22a가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탄성부333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압력을 가함으로써 탄성부333가 슬라이더301의 베이스부302의 일부분인 오목부307에 인입되고,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톱니334의 선단부334A가 슬라이더301의 베이스부302의 윗면에서 떨어진다.
구동 기어 홀더440가 회전하여 원판441의 홈445이 소정위치까지 오면 슬라이더301는 그 홈445 내로 인입된다. 즉 슬라이더301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슬라이더30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3의 천정벽부20의 홈22의 주변부22a에 의한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탄성부333의 압력이 해제되고,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톱니334의 선단부334A가 슬라이더301의 베이스부302의 윗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시트 스테이플ST을 전방으로 송출한다.
또한 구동 기어 홀더440가 회전하면 원판441의 경사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이 슬라이더301의 돌기305의 앞면에 접하고, 구동 기어 홀더440의 회전과 함께 경사면이 스프링이 가하는 압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더301를 후방으로 밀어 되돌아 간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더301는 구동 기어 홀더440의 1회전에 의하여 전후로 1왕복하도록 되어 있다
〔클린처 기구(clincher 機構)〕
클린처 기구200는, 도11 내지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클린처 링크201와, 뒷부분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본체 케이스13의 측판23, 23에 장착되는 클린처 가이드210와, 이 클린처 가이드210의 뒷부분에 뒷부분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클린처 암220과, 클린처 가이드21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lock) 기구250와, 로크 기구250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release) 기구27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린처 가이드(clincher guide)〕
클린처 가이드210의 측판부212에는, 앞쪽에 윗방향으로 향하도록 긴 구멍215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클린처 가이드210는, 본체10의 측판23, 23사이에 장착하는 축3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212에는 축32이 장착되고, 측판부212의 긴 구멍215에는 축33이 삽입되어 있다. 이 축33은 긴 구멍21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클린처 암(clincher arm)〕
클린처 암220의 측판부222에는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구멍225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225은 클린처 가이드210의 긴 구멍215보다 수평방향에 대하여 더 경사지게 되어 있다.
또한 클린처 암220의 선단에는 클린처부226가 형성되고, 이클린처부226의 밑면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클린처 암220은 축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린처 암220의 긴 구멍225에는 클린처 가이드210의 축33이 관통되고, 이 축33이 긴 구멍22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긴 구멍225은 긴 구멍215보다 더 경사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축33이 긴 구멍215을 따라 이동하면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린처 암220은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축31의 회전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또한 축33과 축32 사이에 한쌍의 스프링228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228에 의하여 축33은 후방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받고 있다.
〔로크 기구(lock 機構)〕
로크 기구250는, 클린처 가이드210의 양쪽 측판부212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고정판251과, 이 고정판25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2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판25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구멍252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판251의 밑면253은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 밑면253의 중간위치에 축32과 결합하는 오목부254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251의 구멍252에 측판23의 돌기27가 삽입되어 있고, 측판23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돌기27는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구멍252이 슬릿 형상으로 되어 있어 고정판251은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 그대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판251의 뒷부분에는 축34이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260은 축31에 감겨서 장착되고, 스프링260의 일단260A이 후술하는 축34에 결합되고, 그 타단260B이 축32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260은 축32과 축34을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고, 이 가하는 압력은 축34 즉 고정판251을 후방으로 압력을 가하며 또한 클린처 가이드210 및 클린처 암220을 축3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다.
클린처 링크201가, 도11에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 즉 드라이버 홀더101 및 포밍 홀더110가 홈 포지션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 축32이 고정판251의 오목부254에 결합되며 또 클린처 링크201의 지지면203A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축33은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A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판251은, 그 오목부254에 축32이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관계없이 도11에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클린처 가이드210 및 클린처 암220은, 축32이 클린처 링크201의 지지면203A에 접함으로써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관계없이 도11에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클린처 암220 및 클린처 가이드210는, 클린처 링크201가 도15에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하면 축33이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A으로부터 떨어지고, 축32이 클린처 링크201의 지지면203A으로부터 떨어져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축3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로크 기구250는, 클린처 가이드210 및 클린처 암220이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도15 및 도16에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하면 고정판251을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판251의 경사면253A에 클린처 가이드210에 장착되는 축32을 접하게 한다. 이럼으로써 스테이플을 타출할 때에 클린처 가이드210의 선단부에 상방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여도 축32이 고정판251의 경사면253A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클린처 가이드210는 축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것이 방지된다.
〔해제 기구(release 機構)〕
해제 기구270는, 클린처 링크201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1 링크판271과 거의 삼각형 형상의 한쌍의 제2 링크판28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판(the first link plate)〕
제1 링크판271의 선단부에는, 축33이 삽입되는 긴 구멍272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링크판271의 뒷부분에는 축35이 장착되어 있다.
〔제2 링크판(the second link plate)〕
제2 링크판280에는 축31이 끼워지고, 제2 링크판280은 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링크판280의 선단부에는 축35이 끼워지고, 제2 링크판280의 상부의 축구멍283에는 축34이 끼워져 있다. 이 축34은 축 구멍283 내에서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해제기구270는, 도17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클린처 링크20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B이 축33을 전방으로 밀고, 제1 링크판271이 축33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 링크판280을 축3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이 제2 링크판280이 회전에 의하여 축34을 거쳐 고정판251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고정판251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클린처 가이드210의 로크가 해제된다.
〔카트리지(cartridge)〕
카트리지600는,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602와, 이 카트리지 본체602 내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판 스프링 유니트6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cartridge body)〕
카트리지 본체602는, 도19 및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스테이플ST을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실603을 형성하는 밑벽610과 측벽620, 620과 윗벽630과 전단벽(前端壁)64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600를 스테이플 본체10에 장착할 때에는 윗벽630의 윗면과 스테이플 본체10의 앞판25의 상단면(上端面)25A이 하나의 면으로 되도록 되어 있고,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벽630이 종이 묶음P을 마운팅하는 마운팅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602의 후단은 개방되어 개구부604로 되어 있다. 밑벽610의 앞부분에는 스테이플S의 길이보다 짧은 소정의 폭과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개구부611가 형성되고, 밑벽610의 뒷부분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612가 형성되어 있다. 밑벽610의 뒷부분의 윗면에는 오목부61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측벽620의 바깥쪽 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621이 형성되고, 각 측벽620의 뒷부분에는 옆쪽으로 돌출되는 핸들부622가 설치되어 있다. 윗벽630의 뒷부분에는 구멍631이 형성되어 있고, 전단벽640의 밑면641과 밑벽610의 윗면610A 사이에 간격SK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격SK의 높이가 시트 스테이플ST의 두께와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다.
전단벽640의 앞에 가이드 플레이트643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플레이트643과 전단벽640 사이에 타출 통로6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타출 통로601의 상단(일단)은 윗벽630을 관통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643의 아래면에는 오목부64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644의 윗면644A의 높이위치와 밑벽610의 윗면610A의 높이위치가 거의 같게 되어 있다. 이 오목부644 내에는 한쌍의 홈645, 645이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 유니트(blade spring unit)〕
판 스프링 유니트650는,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도21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밑판부651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서있는 기립부(起立部)660를 형성하고, 이 기립부660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탑 보드부670를 형성하는 것이다.
밑판부651의 전단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홈652이 형성되고, 이 홈652의 양쪽이 탄력을 가지는 한쌍의 다리부653가 되고, 이 다리부653의 선단에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체크(check) 톱니6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밑판부651의 뒷부분에는 도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판부651의 밑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또 V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결합부655가 형성되어 있다. 기립부660의 중간부에는 개구부661가 형성되어 있다.
탑 보드부670의 앞쪽부분이 활모양으로 구부러져 판 스프링부671로 되어 있고, 이 판 스프링부671의 전단의 중앙부에는 오목부672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672의 양쪽이 한쌍의 다리부673로 되어 있다. 이 다리부673의 선단부673A가 상방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또 밑판부651의 다리부653에 접하고 있다. 또한 그 판 스프링부671에는 거의 삼각형 형상의 개구부674가 형성되어 판 스프링부671의 탄력성을 더 많이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탑 보드부670의 뒷쪽 부분675에는 ㄷ자 형상의 절개부67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부676로 둘러쌓인 부분이 판 스프링부677로 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부677가 활모양으로 구부러져 그 후단부677A가 상방으로 구부러지며 또 밑판부651에 접하고 있다. 그리고 판 스프링부671와 판 스프링부677로 판 스프링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탑 보드부670의 뒷부분에는 L자 형상의 크랭크(crank) 또는 종(bell) 모양의 크랭크로 구부러지는 핸들부678가 형성되고, 이 핸들부678가 기립부660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602에 적층되는 시트 스테이플ST을 수납시키기 위해서는 도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 유니트650의 밑판부651에 시트 스테이플ST을 우선 적층하고, 이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을 밑판부651와 판 스프링부671, 677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이 판 스프링 유니트650를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과 함께 카트리지 본체602의 뒷부분의 개구부604로 삽입한다. 판 스프링 유니트650가 카트리지 본체602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판 스프링 유니트650의 결합부655와 핸들부678의 정상부678A가 카트리지 본체602의 밑벽610의 오목부613와 윗벽630의 구멍631에 각각 결합되어 판 스프링 유니트650가 카트리지 본체602의 수납실603에 고정되게 된다.
시트 스테이플ST을 수납하는 카트리지600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하여 스테이플 본체10에 장착한다. 이렇게 장착할 때에는 카트리지 본체602의 측벽620의 가이드 홈621에 본체 케이스13의 상벽부16의 가이드 돌기부19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카트리지600를 전방으로 삽입하여 장착하는 것이다. 카트리지600가 스테이플 본체10에 장착되면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602의 돌기612가 본체 케이스13의 고정 스프링40의 최저부41에 결합되어 카트리지600가 스테이플 본체10에 고정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13에 장착되는 슬라이더301가 카트리지 본체602의 개구부611 내로 인입된다.
〔전동 호치키스의 동작〕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동 호치키스1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적층되는 시트 스테이플ST을 수납하는 카트리지600를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 본체10에 미리 장착하여 둔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팩스나 프린터로부터 종이를 묶으라는 신호에 의하여 모터M가 구동되면 구동 기어401와 유성 기어425, 437, 444와 기어424A, 435A 등을 거쳐 구동축410이 회전하고, 구동축410과 함께 일체로 각 캠470-473 및 구동 기어 홀더440가 회전한다.
구동 기어 홀더440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 기어 홀더440의 원판441의 홈445이 소정 위치에 오면 슬라이더301의 돌기305가 구동 기어 홀더440의 원판441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슬라이더301는 스프링320의 압력에 의하여 슬라이더301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그 홈445 내로 진입한다. 슬라이더30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톱니334의 선단부334A가 슬라이더301의 베이스부302의 윗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카트리지600에 수납되는 최하층의 시트 스테이플ST이 전방으로 송출된다.
시트 스테이플ST은, 슬라이더301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두(先頭)의 스테이플S1이 카트리지600의 가이드 플레이트643의 하부에 접할 때까지 송출된다. 가이드 플레이트643의 하부에 접하는 선두의 스테이플S1은 타출 통로601의 일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포밍 캠472의 회전에 의하여 포밍 홀더110가 상승되고, 이 상승에 의하여 포밍 플레이트111, 112가 스테이플S1을 ㄷ자 형상으로 성형하기 시작한다. 또한 구동 기어 홀더440가 회전함으로써 원판441의 경사면446이 슬라이더301의 돌기305의 앞면에 접하고, 구동 기어 홀더440의 회전과 함께 경사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이 슬라이더301를 스프링의 가하는 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밀고 되돌아 간다.
한편 포밍 홀더110의 상승에 의하여 클린처 링크201가, 도11 및 도13에 나타내는 위치(홈 포지션)로부터 도15 및 도16에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하여 축33이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A으로부터 떨어지고, 축32이 클린처 링크201의 지지면203A으로부터 떨어진다. 이럼으로써 클린처 가이드210는 클린처 암220과 함께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축3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클린처 가이드210는, 도15 및 도16에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하면 도1에 나타내는 카트리지600의 윗벽630에 마운팅되는 종이 묶음P을 잡는다. 한편 클린처 가이드210 및 클린처 암220의 회전에 의하여 클린처 가이드210의 축32이 고정판251의 오목부254로부터 떨어지고, 그 결과 고정판251은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하여 고정판251의 경사면253A이 그 축32과 접하여 고정판251은 도15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한다. 이 고정판251에 의하여 클린처 가이드210는 도15에 나타내는 위치에 로크된다.
그리고 포밍 홀더110가 상승하면 판 스프링520의 절곡부521가 포밍 홀더110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리고, 판 스프링520이 활모양으로 구부러진다. 이렇게 활모양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앤빌51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앤빌부512의 선단부512A가 카트리지600의 타출 통로601로부터 퇴출된다. 이 때에 포밍 홀더110가 상사점에 도달하고, 스테이플S1의 ㄷ자 형상의 성형이 완료되어 있다.
그 후에 드라이버 캠470의 회전에 의하여 드라이버 홀더101가 상승하여 드라이버102가 ㄷ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스테이플S1을 타출 통로601 내에 압입하며 또 이 스테이플S1을 타출 통로601의 타단에서 타출한다. 스테이플S1은 타출 통로601의 타단에서 타출되면서 그 양쪽 다리부Sa가 종이 묶음P을 관통한다.
그리고 드라이버 홀더101가 상사점에 도달하면 스테이플S1이 타출 통로601의 타단으로부터 완전하게 타출된다.
스테이플S1이 타출 통로601로부터 완전하게 타출되면 포밍 리턴 캠473의 회전에 의하여 포밍 홀더110가 하강된다. 포밍 홀더110의 하강에 의하여 그 포밍 홀더110에 의하여 판 스프링520의 절곡부521를 밀어 올리는 것이 해제된다. 이 해제에 의하여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520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앤빌510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앤빌부512의 선단부512A가 카트리지600의 가이드 플레이트643의 홈645을 통하여 타출 통로601의 바로 앞에까지 진입된다.
또한 포밍 홀더110의 하강에 의하여 클린처 링크201가 도15 및 도16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과 함께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B이 축33을 전방으로 민다. 이렇게 함으로써 축33은 클린처 가이드210의 긴 구멍215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 축33의 전방으로 이동과 함께 클린처 암220이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클린처 링크201가 도17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전하면 클린처 암220이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도17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클린처 암220의 회전에 의하여 클린처부226의 홈227에 들어 간 스테이플S1의 양쪽 다리부Sa가 구부러진다.
축33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축33과 함께 제1 링크판271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 링크판280을 축31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 제2 링크판280의 회전에 의하여 축34을 거쳐 고정판251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클린처 가이드210의 로크가 해제된다.
클린처 링크20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린처 링크201의 지지면203A이 축32을 밀고 올라가기 때문에 클린처 가이드210가 클린처 암220과 함께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대항하여 축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드라이버 홀더101의 하강과 함께 드라이버102가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하면 앤빌부512의 선단부512A가 타출 통로601에 진입한다.
다음에 포밍 홀더110가 홈 포지션으로 하강하면 드라이버 홀더101와 도3에 나타내는 위치로 하강하고, 클린처 링크201가 도11 내지 도13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B으로부터 축33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축33이 스프링227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클린처 가이드210의 긴 구멍215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축33의 이동에 의하여 클린처 암220은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축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12 및 도13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클린처 가이드210에 장착되는 축32은 고정판251의 오목부254에 결합되고,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축33은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A에 접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스위치29가 클린처 링크201를 검지(檢知)하여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동 호치키스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카트리지600의 수납실603에 적층되는 시트 스테이플ST을 판 스프링부671, 677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부671, 677가 압축되면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그 판스프링부671, 677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는 판 스프링부671, 677의 두께만큼으로 된다. 이 때문에 수납실603의 높이가 낮더라도 시트 스테이플ST의 적층 매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 유니트650에 판 스프링부671, 677와 체크 톱니65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 유니트650만을 카트리지 본체602로부터 떼어 내어 분별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 유니트650의 핸들부678를 후방으로 끌어 당기는 것만으로 판 스프링 유니트650를 카트리지 본체602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그 떼어내는 것은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24 및 도25에 나타내는 전동 호치키스1000는, 호치키스 본체1002와, 호치키스 본체1002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카트리지1010를 구비하고 있다.
호치키스 본체1002에는, 종이 묶음P을 마운팅하는 마운팅부1003와, 축100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클린처 테이블1005과, 마운팅부1003에 마운팅된 종이 묶음P를 향하여 스테이플을 타출 통로H로부터 타출하는 타출 기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등이 설치되어 있다. 클린처 테이블1005은 축100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마운팅부1003에 마운팅된 종이 묶음P을 잡을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클린처 테이블1005에는 타출된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클린치하는 클린처(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등이 설치되고 있고,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호치키스 본체1002에는, 카트리지실1006을 형성하는 매거진(magazine)1007과, 카트리지1010 내에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타출 통로H로 송출하는 송출 기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각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등이 설치되어 있다. 각 기구는 제1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매거진1007의 뒷부분에는 개구부1007A가 형성되고, 그 뒷부분의 양 측부에는 옆쪽으로 돌출되는 돌기(突起)(수납부측 결합부)1008, 1008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개구부1007A로 삽입하여 카트리지1010를 카트리지실1006에 장착하거나 장착된 카트리지1010를 그 개구부1007A로부터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각 돌기1008에는, 도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방(전방)으로 갈수록 옆쪽으로 연장되는 경사면1008a과, 좌우방향(전후방향)과 직교하는 결합면1008b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cartridge)]
카트리지1010는, 도27 내지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스테이플을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실1011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본체1012와, 이 카트리지 본체1012의 밑벽부101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뒷벽1014과, 이 뒷벽1014의 지지벽1015, 1015을 사이에 두고 양 옆쪽에 설치되는 암1016,1016을 구비하고 있다.
뒷벽1014에는 오목부1014A가 형성되고, 뒷벽1014의 앞쪽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돌편부(결합부)1017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암1016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안쪽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결합부)10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돌기1018는, 매거진1007의 돌기1008의 결합면1008b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암1016의 뒷부분에는 옆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압력부)1019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019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옆쪽으로 연장되는 경사면101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1016, 1016은, 돌출부1019, 1019가 안쪽으로 압력을 받으면 지지벽1015, 1015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27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서로 비스듬하게 움직여 열리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움직임에 의하여 결합 돌기1018가 돌기1008의 결합면1008b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 압력이 해제되면 암1016, 1016은 원래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탄성 복귀한다.
카트리지1010의 뒷벽1014에는, 도24 및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거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노브(knob)1040가 장착되어 있다.
노브1040는, 도31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쪽에서 내려다볼 경우에는 평면이 대략 반원(半圓) 형상이어서 전단면(도32에 있어서 좌단부)이 개구되고 가운데가 비어 있는 형상의 노브 본체10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노브 본체1041의 윗면에는 오목부1041A가 형성되고, 노브 본체1041의 바닥부1042에는 좌방(전방)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평판부10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판부1043에는 긴 직사각형의 개구부1044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044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판부1043의 전단부1043A가 돌편부1017에 결합되는 결합부로서 기능을 한다.
노브 본체1041의 양 측벽부1045, 1045의 안쪽에는,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046, 1046가 형성되고 또한 각 측벽부1045, 1045에는 암1016의 돌출부1019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오목부1049가 형성되어 있다. 노브 본체1041의 후벽부1047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048, 1048가 형성되어 있다.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브1040의 오목부1049에 암1016의 돌출부1019의 후단부가 삽입되면 암1016이 비스듬하게 움직이는 것이 저지되므로 암1016의 결합 돌기1018가 매거진1007의 결합면1008b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되어 카트리지1010는 호치키스 본체1002에 로크되게 된다.
노브1040 내에는, 도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1010의 뒷벽1014이 삽입되어 있으며 또 노브1040의 가이드 플레이트1048, 1048가 카트리지1010의 오목부1014A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1010의 암1016의 바깥쪽 면에는 노브1040의 돌기부1046가 접하고, 노브1040의 개구부1044 내에는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1010의 돌편부1017가 삽입되어 있다.
노브1040는, 가이드 플레이트1048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되며 또 개구부1044와 돌편부1017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만큼 카트리지10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카트리지1010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1010가, 도24 및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치키스 본체1002에 장착되고, 노브1040의 오목부1049에 암1016의 돌출부1019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카트리지1010가 호치키스 본체1002에 로크되어 있을 때에 이 카트리지1010를 꺼내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노브1040의 윗면의 오목부1041A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노브1040를 후방으로 인출하면 노브1040는 카트리지101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도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브1040의 돌기부1046, 1046가 카트리지1010의 암1016, 1016의 경사면1019A, 1019A에 접한다.
그리고 노브1040를 후방으로 더 인출하면 카트리지가 후방으로 더 인출되면서 노브1040의 돌기부1046, 1046가 암1016, 1016의 경사면1019A, 1019A에 대하여 안쪽으로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암1016, 1106은 도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움직인다. 이와 같은 움직임에 의하여 암1016, 1016의 결합 돌기1018, 1018가 매거진1007의 결합면1008b, 1008b으로부터 떨어져 카트리지1010의 로크는 해제된다. 한편 노브1040의 평판부1043의 전단부1043A가 카트리지1010의 돌편부1017에 결합한다.
그리고 노브1040를 후방으로 조금 더 인출하면 도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가 조금 더 인출되면서 평판부1043의 전단부1043A가 호치키스 본체1002로부터 카트리지1010를 후방으로 인출하여 카트리지1010가 호치키스 본체1002로부터 떨어진다.
이와 같이 노브1040를 후방으로 인출하는 하나의 조작만으로 즉 1액션(action)의 조작으로 카트리지1010의 로크 해제와 카트리지1010를 꺼낼 수 있다.
카트리지1010를 호치키스 본체100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카트리지1010의 선단부를 매거진1007의 개구부1007A로 집어 넣어 노브1040를 전방으로 밀면 카트리지 본체1012의 후단1012A에 노브 본체1041의 전단1041B이 접함으로써 카트리지1010는 노브1040에 밀려 카트리지실1006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1010가 카트리지실1006에 삽입되면 카트리지1010의 암1016의 결합 돌기1018가 매거진1007의 경사면1008a에 접한다.
이 상태에서 노브1040를 더 밀어 카트리지1010가 카트리지실1006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1016의 결합 돌기1018가 매거진1007의 경사면1008a을 타고 넘어 가서 그 결합 돌기1018가 매거진의 돌기1008의 결합면1008b에 결합되므로 카트리지1010가 호치키스 본체1002에 장착된다.
한편 암1016의 돌출부1019의 후단부가 노브1040의 오목부1049에 삽입되어 카트리지1010는 호치키스 본체1002에 로크된다.
이와 같이 노브1040를 밀면 카트리지1010를 호치키스 본체1002에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카트리지1010는 호치키스 본체1002에 로크된다.
[제3실시예]
도38은 제3실시예의 카트리지1100를 나타낸다. 도38에 있어서, 1116, 1116은 암이고, 이 암1116, 1116의 선단부에는 옆쪽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결합부)1118, 11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돌기1118, 1118는, 매거진1007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1108, 1108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각 암1116의 뒷부분에는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압력부)1119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1119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연장되는 경사면1119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노브1140에는, 암1116, 1116의 뒷부분이 들어 가는 오목부1141, 1141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141, 1141의 측벽에 상기의 돌출부1119, 1119에 압력을 가하는 돌기부1146, 114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1146, 1146가 암1116, 1116의 돌출부1119, 1119에 압력을 가하면 암1116, 1116이 도27에 나타내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움직여 결합 돌기1118, 1118가 결합 구멍1108, 1108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노브1140를 후방으로 인출하는 조작만으로 암1116, 1116의 결합돌기1118, 1118가 매거진1007의 결합 구멍1108, 1108으로부터 떨어지므로 카트리지1100의 로크는 해제되어 카트리지1100를 꺼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동 호치키스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카트리지의 수납실에 적층되는 시트 스테이플을 판 스프링부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부가 압축되면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그 판 스프링부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는 판 스프링부의 두께만큼으로 된다. 이 때문에 수납실의 높이가 낮더라도 시트 스테이플의 적층 매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 유니트에 판 스프링부와 체크 톱니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 유니트만을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떼어 내어 분별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 유니트의 핸들부를 후방으로 끌어 당기는 것만으로 판 스프링 유니트를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그 떼어내는 것은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에 부착된 노브를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인출하는 하나의 조작만으로 카트리지를 호치키스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호치키스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着脫)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또 시트 스테이플(sheet staple)을 적층하여 수납(受納)하는 수납실과, 이 수납실의 시트 스테이플을 송출(送出)하기 위한 송출 구멍을 형성하는 카트리지(cartridge) 본체와, 이 카트리지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 내의 시트 스테이플을 상기 송출 구멍측으로 압력을 가하는 압력 수단을 구비하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에 있어서,상기 압력수단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송출 구멍으로부터 송출되는 시트 스테이플의 역행(逆行)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check) 톱니를 상기 판 스프링에 일체(一體)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뒷부분 측부에 설치되고 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암(arm)을 구비하고, 상기 호치키스 본체의 카트리지 수납부에 형성된 수납부측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기 암의 선단부(先端部)에 설치되고, 압력을 받아 상기 결합부의 수납부측 결합부와의 결합을 해제(release)시키는 압력부가 암의 뒷부분에 설치되고, 이 압력부에 가하여지는 압력에 의하여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하여 카트리지 본체를 스테이플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되어 꺼내도록 하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에 있어서,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뒷부분에 소정의 거리만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노브(knob)를 장착하고,이 노브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암의 압력부에 압력을 가하여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하며 또 카트리지 본체를 호치키스 본체로부터 노브의 이동과 함께 후방으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노브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압력부에 압력을 가하는돌출부와,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되는 결합부에 결합하여 카트리지 본체를 후방으로 꺼내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카트리지 본체를 호치키스 본체에 장착하여 상기 노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암의 결합부가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되는 수납부측 결합부와의 결합이 로크(lock)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7526499A JP3674433B2 (ja) | 1999-12-28 | 1999-12-28 |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
JP11-375264 | 1999-12-28 | ||
JP37526599A JP2001191267A (ja) | 1999-12-28 | 1999-12-28 |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
JP11-375265 | 1999-12-28 | ||
JP2000-273234 | 2000-09-08 | ||
JP2000273234A JP4479078B2 (ja) | 2000-09-08 | 2000-09-08 |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62807A true KR20010062807A (ko) | 2001-07-07 |
KR100734902B1 KR100734902B1 (ko) | 2007-07-03 |
Family
ID=2734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83643A KR100734902B1 (ko) | 1999-12-28 | 2000-12-28 |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543667B2 (ko) |
EP (1) | EP1112825B1 (ko) |
KR (1) | KR100734902B1 (ko) |
CN (1) | CN1143783C (ko) |
DE (1) | DE60034013T2 (ko) |
HK (1) | HK1041464B (ko) |
TW (1) | TW52208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471B1 (ko) * | 2001-08-23 | 2007-11-19 |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 전동호치키스에서의 스테이플 카트리지 |
SE0200674L (sv) * | 2002-03-05 | 2003-02-11 | Isaberg Rapid Ab | Häftapparat vars häftenhet och basenhet är förbundna endast på deras ena långsida |
DE602004030998D1 (de) * | 2003-02-07 | 2011-02-24 | Max Co Ltd | Klammernachfüllvorrichtung, heftvorrichtung und kassette |
JP4042154B2 (ja) * | 2003-08-29 | 2008-02-06 | マックス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 |
SE0402331L (sv) * | 2004-09-28 | 2005-07-26 | Isaberg Rapid Ab | Brytararrangemang i ett indikeringsarrangemang i en elektriskt driven häftapparat |
JP4774793B2 (ja) * | 2005-04-07 | 2011-09-14 | マックス株式会社 | 電動ステープラの安全装置 |
US20140367442A1 (en) * | 2013-06-13 | 2014-12-18 | ACCO Brands Corporation | Staple cartridge, stapler, and interface |
US10087971B1 (en) | 2015-10-08 | 2018-10-02 | Joshua T. Bergan | Planetary stapler for electrical wiring and the like |
US10960521B2 (en) | 2016-10-06 | 2021-03-30 | Joshua T. Bergan | Drill, drill bit and staples for use therefor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70841A (en) * | 1982-05-14 | 1986-02-18 | Swingline, Inc. | Staple forming and driving machine |
US4623082A (en) * | 1985-05-14 | 1986-11-18 | Max Co. Ltd. | Electronic stapler |
JPS6484986A (en) * | 1988-08-24 | 1989-03-3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agnetic sheet device |
US4993616A (en) * | 1988-10-25 | 1991-02-19 | Max Co., Ltd. | Electric stapler cartridge |
EP0579118B1 (en) * | 1992-07-10 | 1995-09-27 | Max Co., Ltd. | A motor driven stapler |
EP0637487B1 (en) * | 1993-08-04 | 1997-10-29 | Max Co., Ltd. | Cartridge for electric stapler |
JP2560430Y2 (ja) * | 1993-08-04 | 1998-01-21 | マックス株式会社 | 電動ホッチキス |
JP3476298B2 (ja) * | 1995-12-28 | 2003-12-10 | マックス株式会社 |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
JP3484016B2 (ja) * | 1996-06-10 | 2004-01-06 | ニスカ株式会社 | ステープラ |
JPH10249753A (ja) * | 1997-03-12 | 1998-09-22 | Nisca Corp | ステープラ |
JP3536656B2 (ja) * | 1998-03-13 | 2004-06-14 | マックス株式会社 | ロール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におけるステープル切断機構 |
US6039230A (en) * | 1997-11-19 | 2000-03-21 | Max Co., Ltd. | Roll staple and staple cartridge storing the same |
-
2000
- 2000-12-27 EP EP00250458A patent/EP111282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12-27 DE DE60034013T patent/DE60034013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12-27 CN CNB001373617A patent/CN114378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12-27 TW TW089127979A patent/TW52208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12-28 KR KR1020000083643A patent/KR1007349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12-28 US US09/751,204 patent/US6543667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
- 2002-01-02 HK HK02100016.8A patent/HK1041464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K1041464A1 (en) | 2002-07-12 |
CN1307975A (zh) | 2001-08-15 |
DE60034013D1 (de) | 2007-05-03 |
EP1112825A3 (en) | 2005-07-13 |
CN1143783C (zh) | 2004-03-31 |
KR100734902B1 (ko) | 2007-07-03 |
EP1112825A2 (en) | 2001-07-04 |
US6543667B2 (en) | 2003-04-08 |
HK1041464B (zh) | 2007-09-14 |
DE60034013T2 (de) | 2007-12-13 |
US20010004988A1 (en) | 2001-06-28 |
EP1112825B1 (en) | 2007-03-21 |
TW522083B (en) | 2003-03-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36502A (en) | Motor driven stapler | |
KR100626980B1 (ko) | 전동 호치키스 | |
KR100709993B1 (ko) | 전동 호치키스 | |
KR100734902B1 (ko) |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 |
JPH0715281U (ja) | 電動ホッチキス | |
WO2006009015A1 (ja) | ステープラおよび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 |
JP3476298B2 (ja) |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 |
JP4300397B2 (ja) | ステープル脚ガイド機構 | |
US6371351B1 (en) | Stapler | |
JP5211830B2 (ja) | 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送り機構 | |
US6902094B2 (en) | Stapler apparatus | |
JP4036215B2 (ja) | 電動ステープラ | |
JPH11235679A (ja) | 電動ホチキス | |
WO2005115698A1 (ja) | ステープラーのクリンチャ装置 | |
JP3692881B2 (ja) | 電動ホッチキス | |
JP3697989B2 (ja) | 電動ホッチキス | |
JPH0111425Y2 (ko) | ||
JP2001191266A (ja) |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 |
JP2005047286A (ja) | ステープラ用カートリッジ | |
JP3692880B2 (ja) | 電動ホッチキス | |
JP3518530B2 (ja) |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 |
JP2663799B2 (ja) |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の送り出し装置 | |
JPH0551577U (ja) | 電動ホッチキス | |
JPH0546859Y2 (ko) | ||
JP3598751B2 (ja) |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送り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