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993B1 - 전동 호치키스 - Google Patents

전동 호치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993B1
KR100709993B1 KR1020000082463A KR20000082463A KR100709993B1 KR 100709993 B1 KR100709993 B1 KR 100709993B1 KR 1020000082463 A KR1020000082463 A KR 1020000082463A KR 20000082463 A KR20000082463 A KR 20000082463A KR 100709993 B1 KR100709993 B1 KR 100709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ncher
guide
staple
shaft
stap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715A (ko
Inventor
요시에도루
Original Assignee
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7510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912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37401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79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7509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28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7510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28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7510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912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37510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44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7510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28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7509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2879B2/ja
Application filed by 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5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0Driving means
    • B27F7/36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19Stapl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시트 스테이플ST을 타출 통로601로 송출하는 송출 기구300와 포밍 플레이트부111F, 112F 및 드라이버와 이들을 지지하는 드라이브 홀더101, 110와 모터M를 구비하고, 스테이플을 포밍 플레이트부111F, 112F의 이동(forward motion)에 의하여 ㄷ자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성형된 스테이플을 드라이버의 이동에 의하여 타출 통로601로부터 타출하는 전동 호치키스에 있어서, 모터축Ma 시트 스테이플의 송출방향으로 향하도록 모터M를 배치하고, 모터축Ma에 대하여 구동축410을 일직선 상에 배치하고, 모터축Ma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축410을 회전시키는 감속용의 유성 기어425, 437, 444를 구동축410의 주변에 배치한다.

Description

전동 호치키스{ELECTRIC STAPLER}
도1(A)는 본 발명에 관한 전동 호치키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1(B)는 상기 전동 호치키스의 측면도이다.
도2(A)는, 도1에 나타내는 전동 호치키스의 평면도이다.
도2(B)는, 도1에 나타내는 전동 호치키스의 배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전동 호치키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縱)단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나타내는 전동 호치키스의 횡(橫)단면도이다.
도5는 클린처 링크(clincher link)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A)는 본체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6(B)는 본체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본체 케이스에 측판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A)는 제1 미드 기어 홀더(mid gear holder)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8(B)는 제1 미드 기어 홀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A)는 제2 미드 기어 홀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9(B)는 제2 미드 기어 홀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제2 미드 기어 홀더에 기어 플레이트(gear plate)를 장착한 상태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1은 기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2는 구동 기어 홀더(drive gear holder)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3은 구동 기어 홀더의 원판(圓板)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4는 구동 기어 홀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5는 구동 기어 홀더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16은 드라이버 캠(driver cam)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7은 드라이버 리턴 캠(driver return cam)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8은 드라이버 캠과 드라이버 리턴 캠을 서로 겹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9는 포밍 캠(forming cam)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0은 포밍 리턴 캠(forming return cam)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1은 포밍 캠과 포밍 리턴 캠을 서로 겹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2(A)는 드라이버 홀더(driver holder)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2(B)는 드라이버 홀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2(C)는 드라이버 홀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3은 드라이버 홀더에 드라이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4는 드라이버 홀더와 드라이버 캠 및 드라이버 리턴 캠과의 위치관 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5(A)는 포밍 홀더(forming holder)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5(B)는 포밍 홀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5(C)는 포밍 홀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6은 포밍 홀더에 포밍 플레이트(forming plate)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7은 포밍 홀더와 포밍 캠 및 포밍 리턴 캠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8은 드라이버 홀더(driver holder)와 포밍 홀더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9는 앤빌(anvil)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0(A)는 앤빌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0(B)는 앤빌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1(A)는 앤빌 플레이트에 판 스프링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1(B)는 앤빌 플레이트에 판 스프링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2는 앤빌의 선단부(先端部)가 카드리지(cartridge)의 타출(打出) 통로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33은 앤빌의 선단부가 카드리지의 타출 통로에 진입한 상태를 나 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34는 앤빌의 선단부가 카드리지의 타출 통로로부터 퇴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35는 앤빌의 선단부가 카드리지의 타출 통로로부터 퇴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36은 케이스 본체에 슬라이더(slider)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7은 케이스 본체에 슬라이더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38은 호치키스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39(A)는 슬라이더와 구동 기어 홀더의 원판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9(B)는 슬라이더와 구동 기어 홀더의 원판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0(A)는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0(B)는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1(A)는, 도40에 나타내는 슬라이더의 밑면도이다.
도41(B)는 슬라이더의 횡단면도이다.
도41(C)는 슬라이더의 종단면도이다.
도42는 슬라이더에 이송 톱니 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 명도이다.
도43(A)는 이송 톱니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3(B)는 이송 톱니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4는 슬라이더와 카트리지(cartridge)에 수납되는 시트 스테이플(sheet staple)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5는 슬라이더에 의하여 시트 스테이플이 송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6은 로크(lock)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7은 해제(release)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8(A)는 클린처 가이드(clincher guide)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8(B)는 클린처 가이드의 밑면도이다.
도48(C)는 클린처 가이드의 종단면도이다.
도49(A)는 클린처 가이드의 선단부(先端部)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49(B)는 클린처 가이드의 선단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50(A)는 클린처 암(clincher arm)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0(B)는 클린처 암의 밑면도이다.
도50(C)는 클린처 암의 종단면도이다.
도50(D)는 클린처 암의 선단부의 확대도이다.
도51은 클린처 가이드에 클린처 암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2는 클린처 가이드에 대하여 클린처 암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3은 클린처 가이드 및 클린처 암과 스프링과 각 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4는 로크 기구와 해제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5는 로크 기구와 해제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6은 로크 기구와 해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7은 로크 기구의 고정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8은 해제 기구의 제1 링크 플레이트(link plate)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9는 해제 기구의 제2 링크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60은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61(A)는 카트리지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61(B)는 카트리지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62(A)는, 도61의 카트리지 본체의 밑면도이다.
도62(B)는, 도61의 카트리지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62(C)는, 도61의 카트리지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63은 카트리지의 판 스프링 유니트(blade spring unit)를 나타내는 경사도이다.
도64는, 도63에 나타내는 판 스프링 유니트의 부분확대도이다.
도65는 카트리지 본체에 적층(積層)되는 시트 스테이플을 수납하는 설명도이다.
도66은 전동 호치키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timing chart)이다.
도67은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의 구동 기어 홀더의 원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8은 스테이플이 ㄷ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9는 포밍 홀더가 홈 포지션(home position)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로크 기구와 클린처 링크와 클린처 가이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0은 포밍 홀더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해제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1은 클린처 링크의 회전에 의하여 클린처 가이드의 선단부가 종이 묶음을 잡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2는 클린처 가이드의 선단부가 종이 묶음을 잡고 있을때의 해제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3은 스테이플이 타출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4는 스테이플이 타출되어 스테이플의 다리부의 선단부가 클린처 암의 홈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5는 타출된 스테이플의 다리부가 안쪽으로 구부러져 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6은 포밍 홀더가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할 때의 클린처 링크의 회전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7은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한 클린처 암220의 회전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8은 스테이플의 다리부가 클린처 암에 의하여 구부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9는, 도76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클린처 링크가 반시계방향으로 조금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0은, 도79에 나타내는 위치로 클린처 링크가 회전할 때의 해제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1은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2는 해제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3은 종이 묶음P이 두꺼운 경우에 스테이플의 휘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66은 종래의 전동 호치키스의 타출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7은, 도66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68은 드라이버 및 포밍 플레이트와 앤빌(anvil)부와 푸셔(pusher)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수납실에 수납되는 시트 스테이플(sheet staple)을 타출(打出) 통로의 일단으로 송출(送出)하고, 이 타출 통로의 일단으로 송출된 스테이플(staple)을 포밍 플레이트(forming plate)에 의하여 ㄷ자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ㄷ자 형상으로 성형된 스테이플을 드라이버(driver)에 의하여 타출 통로의 타단으로부터 타출시키는 전동 호치키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종이 묶음을 마운팅하는 테이블과, 시트 스테이플을 수납하는 카트리지(cartridge)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스테이플을 승강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카트리지의 타출부로부터 스테이플을 종이 묶음으로 관통시키는 드라이버를 구비한 전동 호치키스가 알려져 있다.
상기 구동 기구는, 구동 모터와, 그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감속 기어열과, 그 감속 기어열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동축에는, 상기 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블 캠(table cam)과, 드라이버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캠(driver cam)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이 1회전함으로써 테이블이 상하로 1회 왕복으로 이동하고, 이 테이블이 왕복 이동하여 운동함으로써 드라이버가 타출 부로부터 스테이플을 타출하여 간다. 그리고 종이 묶음을 펀칭(punching)하는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테이블에 설치한 클린처(clincher) 기구에 의하여 클린치(clinch)하여 일련의 종이 묶음을 철하는 동작이 완료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동 호치키스에 있어서는, 구동 모터와 모터축이 스테이플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감속 기어의 축이 모터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측벽에 복수로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감속 기어가 측벽에 복수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이 복수의 감속 기어가 나란하게 설치됨으로써 상하방향이나 전후방향으로 본체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드라이버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드라이버 캠과 드라이버 사이에 링크(link) 기구를 설치하고, 이 링크 기구를 통하여 드라이버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아울러 본체가 더 대형화된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동 호치키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수납실에 수납되는 시트 스테이플을 타출 통로의 일단을 향하여 송출하는 송출수단과,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포밍 플레이트 및 드라이버와, 이 포밍 플레이트 및 드라이버를 지지하여 포밍 플레이트 및 드라이버를 왕복으로 이동시키는 홀더(holder)와, 이 홀더를 왕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축과, 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본체 케이스에 구비하고, 상기 타출 통로의 일단으로 송출된 스테이플을 포밍 플레이트의 이동(forward motion)에 의하여 ㄷ자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ㄷ자 형상으로 성형된 스테이플을 드라이버의 이동(forward motion)에 의하여 타출 통로의 타단으로 타출하고, 이 타출된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클린처 기구에 의하여 클린치하는 전동 호치키스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과 구동축을 일직선 상에 배치하고,
상기 모터축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감속용의 유성 기어(遊星 gear)를 구동축을 따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전동 호치키스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에 나타내는 전동 호치키스1는, 호치키스 본체10와, 호치키스 본체10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카트리지600를 구비하고 있다.
호치키스 본체10에는, 카트리지600에 설치되는 타출 통로601로부터 스테이플S을 타출하는 타출 기구100와, 타출된 스테이플의 선단부(先端部)를 구부리는 클린처 기구200와, 카트리지600 내에 적층되는 시트 스테이플ST을 타출 통로601의 일단으로 송출하는 송출 기구300와, 각 기구100, 200, 300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400와, 스테이플을 ㄷ자 형상으로 성형한 후에 후술하는 타출 통로601로부터 앤빌(anvil)을 인입하는 앤빌 기구500가 설치되어 있다.
호치키스 본체10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원(圓) 형상의 모터실11 및 기어실12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13를 구비하고 있고, 기어실12의 안쪽에는 내치 기어(內齒 gear)12A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3의 양 측면13A, 13A에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자 형상의 홈14, 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4, 14의 전단(前段)이 측면13A, 13A의 전단까지 통하여 있어 홈14, 14의 전단이 개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홈14, 14의 상단이 측면13A, 13A의 상단까지 통하여 있어 홈14, 14의 상단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홈14에는 클린처 링크201가 점선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3의 상부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벽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상벽부16의 안쪽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18이 형성되고, 상벽부16의 안쪽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3의 천장벽부(ceiling wall)20의 전단에는 오목부21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1의 중앙부에는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3의 양 측면13A, 13A에는,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23, 23이 장착되고, 본체 케이스13의 전면 및 후면에는 앞판25 및 뒷판26이 장착되어 있다. 측판23, 23의 안쪽 상부에는 좌우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는 평판(平板) 형상의 돌기27, 27가 형성되고(도46 참조), 측판23, 23의 상부에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접촉부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측판23에는, 클린처 링크201가 실선위치(도5 참조)에 위치할 때에 이를 검지(檢知)하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29가 장착되어 있다. 클린처 링크(clincher link)201가 실선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후술하는 포밍 홀더(forming holder)110가 홈 포지션(home position)(도3에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3의 천정벽부20의 뒷쪽에는 나사N1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 스프링40이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 스프링40은 거의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최저부41와 이 최저부41의 후방에 역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최고부42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구(drive 機構)〕
구동 기구400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M의 모터축Ma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401와, 구동축410에 장착되는 제1 미드 기어 홀더(mid gear holder)420와, 구동축410에 장착되는 제2 미드 기어 홀더430와, 구동 기어 홀더440와, 드라이버 캠(driver cam)470과, 드라이버 리턴 캠(driver return cam)471과, 포밍 캠472과 포밍 리턴 캠473 등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 홀더440와 각 캠470-473은 구동축410의 D컷(cut) 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구동축410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모터M의 모터축Ma은 후술하는 카트리지600의 시트 스테이플ST의 송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모터M가 카트리지6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모터축Ma과 구동축410이 동일한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미드 기어 홀더(the first mid gear holder)〕
제1 미드 기어 홀더420는,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圓板)421을 구비하고 있고, 이 원판421의 일측면에는 한쌍의 축422, 422이 원판421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고, 원판421의 타측면의 중심부에는 축4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축424의 원주면에는 기어424A가 형성되고 또 축424에는 구멍424B이 형성되어 있다. 축422, 422에는 유성 기어425, 425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고(도3 참조), 이 유성 기어425, 425는 기어실12의 내치 기어12A에 맞물려 있으며 또 구동 기어401에 맞물려 있다. 이 제1 미드 기어 홀더420의 축424의 구멍424B에는 구동축410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고, 그 일단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410의 타단은 앞판25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2 미드 기어 홀더(the second mid gear holder)〕
제2 미드 기어 홀더430는,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431을 구비하고 있고, 이 원판431의 일측면에는 3개의 축432과 그 축432과 같은 높이의 3개의 지지부433가 서로 같은 간격으로 원판431의 둘레를 따라 형성 되어 있다. 각 축432의 끝면에는 축432보다 작은 지름의 돌기432A가 형성되어 있고, 각 지지부433의 끝면에는 원형의 돌기43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판431의 타측면에는 축43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435의 원주면에는 기어43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435 및 원판431에는 관통하는 축 구멍4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 구멍436에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410이 끼워져 있어 제2 미드 기어 홀더430가 구동축410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축432에는 유성 기어437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고(도3 참조), 이 유성 기어437가 기어실12의 내치 기어12A에 맞물려 있으며 또 제1 미드 기어 홀더420의 기어424A에 맞물려 있다.
제2 미드 기어 홀더430의 각 지지부433에는,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플레이트450가 장착되어 있다. 이 기어 플레이트450는,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구멍451과, 그 구멍451의 둘레를 따라 3개의 소경(小經) 구멍452과 3개의 대경(大徑) 구멍453이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어 있다. 각 대경 구멍453에는 제2 미드 기어 홀더430의 각 지지부433의 돌기433A가 끼워져 있어 기어 플레이트450가 제2 미드 기어 홀더430의 지지부433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기어 플레이트450의 각 소경 구멍452에는 축432의 돌기432A가 끼워져 있고, 이에 의하여 축432의 일단이 기어 플레이트450의 소경 구멍452에 지지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각 축432의 양단이 원판431과 기어 플레이트45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축432의 강도(强度)가 확보되어 있다. 도3에서 이 기어 플레이트450는 생략되어 있다.
〔구동 기어 홀더(drive gear holder)〕
구동 기어 홀더440는, 도12 내지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44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원판441의 일측면에는 3개의 축442과 이 축442과 같은 높이의 3개의 지지부443가 서로 번갈아 가면서 같은 간격으로 원판441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13에서는 축442과 지지부443를 생략하고 있다.
각 축442의 끝면에는 축442보다 작은 지름의 돌기442A가 형성되어 있고, 각 지지부443의 끝면에는 원형의 돌기443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축442에는 유성 기어444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이 유성 기어444는 기어실12의 내치 기어12A에 맞물려 있으며 또 제2 미드 기어 홀더430의 기어435A에 맞물려 있다.
구동 기어 홀더440의 각 지지부443에는, 제2 미드 기어 홀더430와 마찬가지로 도11에 나타내는 기어 플레이트450가 장착되어 있고, 이 기어 플레이트450에 의하여 축442의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이 기어 플레이트450는 도3에서 생략되어 있다.
또한 원판441의 원주면 끝부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또 소정의 폭을 가지는 원호(圓弧) 형상의 홈4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주면 끝부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원판441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연장되는 경사면446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446은 홈445과 같은 폭을 가지며 또 홈445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판441의 중앙부에는 축 구멍447이 형성되고, 원판441의 타측면에는 축 구멍447과 원주면 끝부분 사이에 구멍448이 형성되어 있다. 원판441의 축 구멍447에는 구동축410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M의 모터축Ma이 회전하여 가면 각 유성 기어425, 437, 444 및 제1 미드 기어 홀더420, 제2 미드 기어 홀더430를 거쳐서 구동 기어 홀더440가 회전한다. 이 구동 기어 홀더440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축410이 회전한다. 각 유성 기어425, 437, 444와 제1 미드 기어 홀더420, 제2 미드 기어 홀더430의 기어424A, 434A에 의하여 감속 기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유성 기어425, 437, 444는 구동축410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드라이버 캠(driver cam)〕
드라이버 캠470은,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S을 타출하여 가기 위한 캠면470A(시계방향으로 지름이 작게 되는 면)과 스테이플S을 완전하게 타출하기 위한 캠면470B(지름이 최대로 되어 있는 면)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드라이버 캠470에는 축 구멍470C이 형성되고, 이 축 구멍470C에 구동축410이 끼워져 있고, 구동축410과 함께 드라이버 캠470이 시계방향(도16에 있어서)으로 회전한다.
〔드라이버 리턴 캠(driver return cam)〕
드라이버 리턴 캠471은,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를 홈 포지션(home position)으로 되돌리기 위한 캠면471A(시계방향으로 지름이 작게 되는 면)과 드라이버를 홈 포지션에 위치시켜 두는 캠면471B(지름이 최대로 되어 있는 면)을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버 리턴 캠471의 일측면에 돌기471T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471T가 구동 기어 홀더440의 원판441의 구멍448에 삽입되어 있다(도3 참조). 또한 드라이버 리턴 캠471에는 축 구멍471C이 형성되고, 이 축 구멍471C에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410이 끼워져 있고, 구동축410과 함께 드라이버 리턴 캠471이 시계방향(도17에 있어서)으로 회전한다.
드라이버 캠470과 드라이버 리턴 캠471은,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구동축410에 장착되어 있다.
〔포밍 캠(forming cam)〕
포밍 캠472은, 도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S을 ㄷ자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캠면472A(시계방향으로 지름이 작게 되는 면)과 지름이 최대로 되어 있는 캠면472B을 구비하고 있다. 472C는 축 구멍이고, 이 축 구멍472C에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410이 끼워져 있고, 포밍 캠472은 구동축410과 함께 시계방향(도19)으로 회전한다.
〔포밍 리턴 캠(forming return cam)〕
포밍 리턴 캠473은,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포밍 홀더110를 홈 포지션으로 되돌리기 위한 캠면473A(시계방향으로 지름이 작게 되는 면)과, 포밍 홀더110를 홈 포지션에 위치시키는 캠면473B(지름이 최대로 되어 있는 면)을 구비하고 있다. 473C는 축 구멍이고, 이 축 구멍473C에 구동축410이 끼워져 있고, 포밍 리턴 캠473은 구동축410과 함께 시계방향(도20)으로 회전한다.
포밍 캠472과 포밍 리턴 캠473은,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구동축410에 장착되어 있다.
〔타출 기구(打出 機構)〕
타출 기구100는, 드라이버 홀더101와, 드라이버 홀더101에 장착되는 드라이버102와, 포밍 홀더110와, 이 포밍 홀더110에 장착되는 포밍 플레이트(forming plate)111, 112를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버 홀더(driver holder)〕
드라이버 홀더101는, 도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03을 형성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104를 구비하고 있 다. 이 플레이트104의 일측면에는 긴 구멍103의 윗부분에 그 긴 구멍103을 사이에 두고 대칭위치에 한쌍의 돌기10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104의 상하단에는 타측면 쪽으로 돌출되는 접촉부106, 107가 형성되고, 접촉부107는 접촉부106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다.
〔드라이버(driver)〕
드라이버102는, 도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쪽에는 드라이버 홀더101의 긴 구멍103과 같은 크기의 긴 구멍10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102A의 윗부분에 그 긴 구멍102A을 사이에 두고 대칭위치에 한쌍의 구멍102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멍102B에는 드라이버 홀더101의 돌기105가 끼워져 드라이버102가 드라이버 홀더101에 장착되어 있다.
드라이버 홀더101 및 드라이버102의 긴 구멍103, 102A에는 구동축410이 삽입되어 있고, 이 긴 구멍103, 102A에 의하여 드라이버 홀더101 및 드라이버102가 구동축4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 홀더101의 접촉부106, 107 사이에는, 도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410에 장착되는 드라이버 캠470과 드라이버 리턴 캠471이 스페이서(spacer)108를 거쳐서 배치되어 있고, 드라이버 캠470은 접촉부106, 107에 접하고, 드라이버 리턴 캠471은 접촉부107에만 접한다. 그리고 드라이버 캠470의 회전에 의하여 드라이버 홀더101가 상승하고, 드라이버 리턴 캠471의 회전에 의하여 드라이버 홀더101가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포밍 홀더(forming holder)〕
포밍 홀더110는,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10A을 형성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1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레이트113의 좌우 끝쪽의 거의 중앙부에는 홈114이 형성되고, 플레이트113의 일측면의 우측(도25(C)에 있어서)의 상하에는 한쌍의 돌기115, 11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면의 좌측의 상하에는 한쌍의 돌기116, 1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113의 상하단에는 타측면 쪽으로 돌출되는 접촉부117, 118가 형성되고, 접촉부117는 접촉부118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다.
〔포밍 플레이트(forming plate)〕
포밍 플레이트111는, 도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직사각형 형상의 기판부111A 위에 기판부111A보다 폭이 좁은 포밍 플레이트111F를 우측(도26에 있어서)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고, 기판부111A에는 상하에 한쌍의 구멍112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포밍 플레이트112는 긴 직사각형 형상의 기판부112A 위에 기판부112A보다 폭이 좁은 포밍 플레이트112F를 좌측(도26에 있어서)으로 치우쳐 형성하고, 기판부112A에는 상하에 한쌍의 구멍1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포밍 플레이트111, 112는 그 구멍111B, 112B에 포밍 홀더110의 돌기115, 116를 끼워 포밍 홀더110에 장착되어 있다.
포밍 홀더110의 긴 구멍110A에는 구동축410이 삽입되어 있고, 그 긴 구멍110A에 의하여 구동축410에 대해 포밍 홀더11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밍 홀더110의 접촉부117, 118 사이에는, 도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410에 장착되는 포밍 캠472과 포밍 리턴 캠473이 배치되어 있고, 포밍 리턴 캠473은 접촉부117, 118에 접하고, 포밍 캠472은 접촉부117에만 접한다. 그리고 포밍 캠472의 회전에 의하여 포밍 홀더110는 상승하고, 포밍 리턴 캠473의 회전에 의하여 포밍 홀더110는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포밍 홀더110의 홈114에는, 클린처 링크201의 선단부(先端部)(201A)가 삽입되고, 포밍 홀더110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클린처 링크201가 실선위치와 점선위치(도5 참조) 사이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버 홀더101와 포밍 홀더110는, 도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뒷면이 마주보도록 구동축410에 장착되어 있고, 드라이버102는 포밍 플레이트111F, 112F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이 포밍 플레이트111F, 112F는 포밍 홀더110의 상승에 의하여 타출 통로601에 진입하여 스테이플을 ㄷ자 형상으로 성형하고, 드라이버102는 드라이버 홀더101의 상승에 의하여 타출 통로601에 진입하여 ㄷ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스테이플을 타출 통로601로부터 타출하도록 되어 있다.
〔앤빌 기구(anvil 機構)〕
앤빌 기구500는, 도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3의 천정벽부20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측판23의 전방의 굴곡부를 거쳐 앞판25에 장착되는 앤빌 플레이트501와, 이 앤빌 플레이트501에 지지되는 앤빌510과, 앤빌 플레이트501에 장착되는 판 스프링52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앤빌 플레이트(anvil plate)〕
앤빌 플레이트501는,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긴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502를 형성한 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부로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502의 하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503가 형성되고, 앤빌 플레이트501의 하단에는 오목부5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앤빌 플레이트501의 좌우의 양쪽 끝에는 나사 구멍505이 형성되고, 이 나사 구멍506을 관통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나사에 의하여 앤빌 플레이트501가 앞판25에 고정되어 있다.
앤빌 플레이트501의 전면에는, 도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520이 장착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520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구부러지는 절곡부(折曲部)521가 형성되고, 판 스프링520의 상부는 앤빌 플레이트501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520은 전방으로 조금 돌출되는 상태로 활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앤빌 플레이트501의 개구부502 내에는, 앤빌51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또 지지부503에 마운팅 되어 있다.
〔앤빌(anvil)〕
앤빌51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base部)511와, 그 베이스부511의 양쪽 끝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앤빌부512와, 베이스부511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13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513에는, 머리부513A와 목부513B가 형성되고, 목부513B가 판 스프링520을 관통하고, 머리부513A가 판 스프링520의 앞면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머리부513A에 의하여 앤빌510이 판 스프링520에 고정되어 있다.
앤빌부512의 선단부512A는, 도32 및 도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카트리지600의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643의 홈645을 통하여 타출 통로601에 진입되어 있다. 판 스프링520은, 포밍 홀더110가 상승하여 판 스프링520의 절곡부521를 밀고 올라가면 도34 및 도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모양으로 구부러져 간다. 이처럼 활모양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앤빌51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앤빌부512의 선단부(512A)가 카트리지600의 타출 통로601로부터 퇴출되도록 되어 있다.
〔송출 기구(送出 機構)〕
송출 기구300는, 도36 내지 도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 홀 더440의 원판441과, 본체 케이스13의 천정벽부20의 윗면 앞쪽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더301와, 이 슬라이더301를 전방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는 스프링320과, 슬라이더301에 장착되는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320은 본체 케이스13의 상벽부(上壁部)16에 장착되어 있고, 이 스프링320이 스프링320의 날개부310(도40 참조)에 전방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다.
〔슬라이더(slider)〕
슬라이더301는, 도40 및 도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base部)302를 구비하고 있고, 이 베이스부302의 양쪽 끝부분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310는,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311와, 그 경사부311의 하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12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302의 전단에는 오목부30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304의 끝면304A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부302의 뒷면에는 돌기305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305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slit) 구멍306이 형성되고, 돌기305의 아래면은 원호 형상의 오목부305A로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302의 뒷면에는, 돌기305의 전단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오목부307가 형성되고, 돌기305와 서로 마주보 는 오목부307의 앞쪽부분307A은 앞쪽으로 갈수록 오목부307의 깊이가 얇아지게 되어 있다. 오목부307의 뒷부분은 깊이가 얇은 평탄한 형상의 마운팅 면307B이 형성되고, 이 마운팅 면307B에 나사 구멍307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마운팅 면307B에는, 도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가 나사N3로 고정되어 있다.
〔이송 톱니 플레이트(sending plate)〕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는, 도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 구멍331을 형성한 고정부332를 구비하고 있고, 이 고정부332로부터 한 계단 밑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부333의 선단부에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톱니3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는, 도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고정부332가 슬라이더301의 마운팅 면307B에 나사N3로 고정되어 슬라이더301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탄성부333가 슬라이더301의 돌기305의 슬릿 구멍306을 통과하여 톱니334가 슬라이더301의 끝면304A에 접하고 있으며 또 톱니334의 선단부304A가 슬라이더301의 베이스부302의 윗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가 장착되는 슬라이더301는, 도37 및 도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310의 수평부312가 본체 케이스13의 가이드 홈18에 삽입되고, 베이스부302의 돌기305가 본체 케이스13의 홈22 내에 배치되어 본체 케이스13의 천정벽부20의 윗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301는, 날개부310의 수평부312가 본체 케이스13의 가이드 홈18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301는 스프링320에 의하여 전방으로 압력을 받고 있지만 포밍 홀더110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슬라이더301의 돌기305가 구동 기어 홀더440의 원판441에 접하여 도44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되어 있다. 이 때에 본체 케이스13의 천정벽부20의 홈22의 주변부22a가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탄성부333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압력을 가함으로써 탄성부333가 슬라이더301의 베이스부302의 일부분인 오목부307에 인입되고,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톱니334의 선단부334A가 슬라이더301의 베이스부302의 윗면에서 떨어진다.
구동 기어 홀더440가 회전하여 원판441의 홈445이 소정위치까지 오면 슬라이더301는 그 홈445 내로 인입된다. 즉 슬라이더301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슬라이더30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도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3의 천정벽부20의 홈22의 주변부22a에 의한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탄성부333의 압력이 해제되고,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톱니334의 선단부334A가 슬라이더301의 베이스부302의 윗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시트 스테이플ST을 전방으로 송출한다.
또한 구동 기어 홀더440가 회전하면 원판441의 경사면446이 슬라이더301의 돌기305의 앞면에 접하고, 구동 기어 홀더440의 회전과 함께 경사면446이 스프링이 가하는 압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더301를 후방으로 밀어 되돌아 간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더301는 구동 기어 홀더440의 1회전에 의하여 전후로 1왕복하도록 되어 있다.
〔클린처 기구(clincher 機構)〕
클린처 기구200는, 도46 및 도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클린처 링크201와, 뒷부분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본체 케이스13의 측판23, 23에 장착되는 클린처 가이드210와, 이 클린처 가이드210의 뒷부분에 뒷부분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클린처 암220과, 클린처 가이드21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lock) 기구250와, 로크 기구250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release) 기구27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린처 링크(clincher link)〕
클린처 링크201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 그 중간부가 축지(軸支)되어 있다. 클린처 링크201의 상부202에는, 수평 형상의 접촉면202A과, 수직 형상의 접촉면20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상부202의 후단에는 접촉면202A 높이의 위치로부터 한 계단 밑으로 내려간 위치에 돌출부20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부203의 윗면이 후방이 높게 되도록 약간 경사지는 지지면203A으로 되어 있다.
〔클린처 가이드(clincher guide)〕
클린처 가이드210는, 도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板) 형상의 베이스부211의 양쪽에 형성되는 측판부2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측판부212의 뒷부분212A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며 또 베이스부211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뒷부분212A의 후단측에는 축 구멍213, 214이 형성되고, 그 뒷부분212A의 앞쪽에는 긴 구멍215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211의 전단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홈2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16의 양쪽에는 수직하게 아래로 뻗은 수직벽(垂直壁)2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벽217의 안쪽면217A에는, 도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18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18의 윗부분에는 위쪽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인입되어 가는 경사면218A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8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이 클린처 가이드210는 측판부212의 축 구멍213에 측판23, 23 사이에 장착되는 축31이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212, 212의 축 구멍214, 214 사이에는 축32이 장착되어 있고, 측판부212, 212의 긴 구멍215, 215에는 축33의 양쪽 끝부분이 삽입되어 있다. 이 축33은 긴 구멍21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클린처 암(clincher arm)〕
클린처 암220은, 도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221의 양쪽에 형성되는 측판부2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측판부222의 뒷부분222A은 높이가 높게 형성되며 또 베이스부221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뒷부분222A의 후단쪽에는 클린처 가이드210의 축 구멍213, 214과 서로 마주보는 축 구멍223, 224이 형성되고, 그 뒷부분222A의 앞쪽에는 클린처 가이드210의 긴 구멍215과 서로 마주보는 긴 구멍225이 형성되어 있다. 축 구멍224의 지름은 클린처 가이드210의 축 구멍214보다 크게 설정되고, 긴 구멍225은 클린처 가이드210의 긴 구멍215보다 수평방향에 대하여 더 경사지게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211의 전단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클린처부226가 형성되고, 이 클린처부226의 아래면에는 클린처 가이드210의 오목부218와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방향(도50(B)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27이 형성되어 있다.
클린처 암220은, 도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린처 가이드210의 측판부212, 21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클린처 암220의 축 구멍223에 축31이 끼워지고, 축 구멍224에는 축32이 느슨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클린처 암220의 긴 구멍225에는 클린처 가이드210의 축33이 관통되고, 이 축33은 긴 구멍225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긴 구멍225은 긴 구멍215보다 더 경사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축33이 긴 구멍215을 따라 이동하면 도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린처 암220은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축31의 회전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또한 도53 및 도5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33과 축32 사이에 한쌍의 스프링228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228에 의하여 축33은 후방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받고 있다.
〔로크 기구(lock 機構)〕
로크 기구250는, 도54 내지 도5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린처 가이드210의 양쪽 측판부212, 212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고정판251, 251과, 그 고정판251, 25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2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고정판251은, 도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구멍252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판251의 밑면253은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 밑면253의 중간위치에 축32과 결합하는 오목부25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54보다 앞쪽의 경사면253A의 길이는 L1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판251의 구멍252의 후방에는 구멍255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251은, 도46 및 도5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판251의 구멍252에 측판23의 돌기27가 삽입되어 있고, 측판23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돌기27는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구멍252이 슬릿 형상으로 되어 있어 고정판251은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 그대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260은 축31에 감겨서 장착되고, 스프링260의 일단260A이 후술하는 축34에 결합되고, 그 타단260B이 축32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260은 축32과 축34을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고, 이 가하는 압력은 축34 즉 고정판251을 후방으로 압력을 가하며 또한 클린처 가이드210 및 클린처 암220을 축3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다.
클린처 링크201가 도46에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 즉 드라이버 홀더101 및 포밍 홀더110가 홈 포지션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 축32이 고정판251의 오목부254에 결합되며 또 클린처 링크201의 지지면203A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축33은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A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판251은, 그 오목부254에 축32이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관계없이 도46에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클린처 가이드210 및 클린처 암220은, 축32이 지지면203A에 접함으로써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관계없이 도46에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클린처 암220 및 클린처 가이드210는, 클린처 링크201가 도71에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하면 축33이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A으로부터 떨어지고, 축32이 클린처 링크201의 지지면203A으로부터 떨어져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축3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로크 기구250는, 도7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린처 가이드210 및 클린처 암220이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도71에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하면 고정판251을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판251의 경사면253A에 클린처 가이드210에 장착되는 축32을 접하게 한다. 이럼으로써 스테이플을 타출할 때에 클린처 가이드210의 선단부에 상방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여도 고정판251은 그 구멍252에 호치키스 본체10의 측판23의 돌기27가 삽입됨으로써 축34을 중심으로 회전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클린처 가이드210는 고정판251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클린처 가이드210는 로크 기구250에 의하여 도71의 위치에 로크(lock) 되게 된다.
〔해제 기구(release 機構)〕
해제 기구270는, 한쌍의 클린처 링크201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1 링크판271과 거의 삼각형 형상의 한쌍의 제2 링크판28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판(the first link plate)〕
제1 링크판271의 선단부에는, 도5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33이 삽 입되는 긴 구멍272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뒷부분에는 축 구멍27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54 및 도5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링크판271, 271의 축 구멍273, 273에는 축35의 양쪽 끝부분이 끼워져 축35이 제1 링크판271, 271에 장착되어 있다.
〔제2 링크판(the second link plate)〕
제2 링크판280은, 도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에 형성되는 축 구멍281과, 중간부의 앞쪽에 형성되는 축 구멍282과, 상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긴 구멍의 축 구멍283을 구비하고 있다. 축 구멍281과 축 구멍283 사이의 거리L2는 축 구멍281과 축 구멍282 사이의 거리L3의 약 2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축 구멍281에는, 도55 및 도5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31이 끼워지고, 제2 링크판280은 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축 구멍282, 282에는 축35의 양단부가 삽입되고, 축 구멍283, 283에는 축34이 끼워져 있다. 이 축34은 축 구멍283, 283 내에서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해제 기구270는, 도77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클린처 링크20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B이 축33을 전방으로 밀고, 제1 링크판271이 축33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 링크판280을 축3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이 제2 링크판280이 회전에 의하여 축34을 거쳐 고정판251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고정판251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클린처 가이드210의 로크가 해제된다.
〔카트리지(cartridge)〕
카트리지600는, 도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602와, 이 카트리지 본체602 내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판 스프링 유니트6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cartridge body)〕
카트리지 본체602는, 도61 및 도6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스테이플ST을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실603을 형성하는 밑벽610과 측벽620, 620과 윗벽630과 전단벽(前端壁)64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600를 호치키스 본체10에 장착할 때에는 윗벽630의 윗면과 호치키스 본체10의 앞판25의 상단면(上端面)25A이 하나의 면으로 되도록 되어 있고,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벽630이 종이 묶음P을 마운팅하는 마운팅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602의 후단은 개방되어 개구부604로 되어 있다. 밑벽610의 앞부분에는 스테이플S의 길이보다 짧은 소정의 폭과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개구부611가 형성되고, 밑벽610의 뒷부분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612가 형성되어 있다. 밑벽610의 뒷부분의 윗면에는 오목부61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측벽620의 바깥쪽 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621이 형성되고, 각 측벽620의 뒷부분에는 옆쪽으로 돌출되는 핸들부622가 설치되어 있다. 윗벽630의 뒷부분에는 구멍631이 형성되어 있고, 전단벽640의 밑면641과 밑벽610의 윗면610A 사이에 간격SK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격SK의 높이가 시트 스테이플ST의 두께와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다.
전단벽640의 앞에 가이드 플레이트643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플레이트643과 전단벽640 사이에 타출 통로6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타출 통로601의 상단(일단)은 윗벽630을 관통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643의 아래면에는 오목부64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644의 윗면644A의 높이위치와 밑벽610의 윗면610A의 높이위치가 거의 같게 되어 있다. 이 오목부644 내에는 한쌍의 홈645, 645이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 유니트(blade spring unit)〕
판 스프링 유니트650는, 도6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도63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밑판부651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서있는 기립부(起立部)660를 형성하고, 이 기립부660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탑 보드부670를 형성하는 것이다.
밑판부651의 전단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홈652이 형성되고, 이 홈652의 양쪽이 탄력을 가지는 한쌍의 다리부653가 되고, 이 다리부653의 선단에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체크(check) 톱니6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밑판부651의 뒷부분에는, 도6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판부651의 밑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또 V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결합부655가 형성되어 있다. 기립부660의 중간부에는 개구부661가 형성되어 있다.
탑 보드부670의 앞쪽부분이 활모양으로 구부러져 판 스프링부671로 되어 있고, 이 판 스프링부671의 전단의 중앙부에는 오목부672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672의 양쪽이 한쌍의 다리부673로 되어 있다. 이 다리부673의 선단부673A가 상방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또 밑판부651의 다리부653에 접하고 있다. 또한 그 판 스프링부671에는 거의 삼각형 형상의 개구부674가 형성되어 판 스프링부671의 탄력성을 더 많이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탑 보드부670의 뒷쪽 부분675에는 ㄷ자 형상의 절개부67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부676로 둘러쌓인 부분이 판 스프링부677로 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부677가 활모양으로 구부러져 그 후단부677A가 상방으로 구부러지며 또 밑판부651에 접하고 있다. 그리고 판 스프링부671와 판 스프링부677로 판 스프링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탑 보드부670의 뒷부분에는 역V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핸들부678가 형성되고, 이 핸들부678가 기립부660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602에 적층되는 시트 스테이플ST을 수납시키기 위해서는 도6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 유니트650의 밑판부651에 시트 스테이플ST을 우선 적층하고, 이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을 밑판부651와 판 스프 링부671, 677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이 판 스프링 유니트650를 적층된 시트 스테이플ST과 함께 카트리지 본체602의 뒷부분의 개구부604로 삽입한다. 판 스프링 유니트650가 카트리지 본체602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판 스프링 유니트650의 결합부655와 핸들부678의 정상부678A가 카트리지 본체602의 밑벽610의 오목부613와 윗벽630의 구멍631에 각각 결합되어 판 스프링 유니트650가 카트리지 본체602의 수납실603에 고정되게 된다.
시트 스테이플ST을 수납하는 카트리지600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하여 호치키스 본체10에 장착한다. 이렇게 장착할 때에는 카트리지 본체602의 측벽620의 가이드 홈621에 본체 케이스13의 상벽부16의 가이드 돌기부19를 결합시킨다(도38 참조). 그리고 카트리지600를 전방으로 삽입하여 장착하는 것이다. 카트리지600가 호치키스 본체10에 장착되면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602의 돌기612가 본체 케이스13의 고정 스프링40의 최저부41에 결합되어 카트리지600가 호치키스 본체10에 고정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13에 장착되는 슬라이더301가 카트리지 본체602의 개구부611 내로 인입된다.
〔전동 호치키스의 동작〕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동 호치키스1의 동작을 도66에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timing chart)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적층되는 시트 스테이플ST을 수납하는 카트리지600를 도3에 나 타내는 바와 같이 호치키스 본체10에 미리 장착하여 둔다. 모터M가 구동하지 않을 때에는, 드라이버 홀더101 및 포밍 홀더110는 도3에 나타내는 홈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301는, 도39 및 도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1의 돌기305가 구동 기어 홀더440의 원판441에 접하여 도44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되어 있다. 또한 앤빌510의 선단부512A는, 도32 및 도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600의 가이드 플레이트643의 홈645을 통과하여 타출 통로601에 진입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팩스나 프린터로부터 종이를 묶으라는 신호에 의하여 모터M가 구동되면 구동 기어401와 유성 기어425, 437, 444와 기어424A, 435A 등을 거쳐 구동축410이 도4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축410과 함께 일체로 각 캠470-473 및 구동 기어 홀더440가 회전한다.
구동 기어 홀더440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 기어 홀더440의 원판441의 홈445이 도67의 위치까지 오면 슬라이더301의 돌기305가 구동 기어 홀더440의 원판441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슬라이더301는 스프링320의 압력에 의하여 슬라이더301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그 홈445 내로 진입한다. 슬라이더30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도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톱니334의 선단부334A가 슬라이더301의 베이스부302의 윗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카트리지600에 수납되는 최하층의 시트 스테이플ST이 전방으로 송출된다(도66의 시점T1).
시트 스테이플ST은, 슬라이더301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도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두(先頭)의 스테이플S1이 카트리지600의 가이드 플레이트643의 하부에 접할 때까지 송출된다. 가이드 플레이트643의 하부에 접하는 선두의 스테이플S1은 타출 통로601의 일단에 위치한다. 또한 이 스테이플S1은 도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앤빌510의 선단부512A의 밑면에 접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포밍 캠472의 회전에 의하여 포밍 홀더110가 상승되고, 이 상승에 의하여 도6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밍 플레이트111, 112가 스테이플S1을 ㄷ자 형상으로 성형하기 시작한다(시점T2). 또한 구동 기어 홀더440가 회전함으로써 원판441의 경사면446이 슬라이더301의 돌기305의 앞면에 접하고, 구동 기어 홀더440의 회전과 함께 경사면446이 슬라이더301를 스프링의 가하는 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밀고 되돌아 가고(시점T3), 슬라이더301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슬라이더301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시트 스테이플ST도 후방으로 밀려 되돌아 가는 상태로 되지만 카트리지600의 판 스프링 유니트650의 체크 톱니654에 의하여 그 시트 스테이플ST은 후방으로 밀려 되돌아 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포밍 홀더110의 상승에 의하여 클린처 링크201가, 도69 및 도70에 나타내는 위치(홈 포지션)로부터 도71 및 도72에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한다(시점T4). 이 회전에 의하여 축33이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A으로부 터 떨어지고, 축32이 클린처 링크201의 지지면203A으로부터 떨어진다. 이럼으로써 클린처 가이드210는 클린처 암220과 함께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축3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클린처 가이드210는, 도71 및 도72에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하면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600의 윗벽630에 마운팅되는 종이 묶음P을 잡는다(시점T5). 한편 클린처 가이드210 및 클린처 암220의 회전에 의하여 클린처 가이드210의 축32이 고정판251의 오목부254로부터 떨어지고, 그 결과 고정판251은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하여 고정판251의 경사면253A이 그 축32과 접하여 도71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한다. 이 고정판251에 의하여 클린처 가이드210는 도71에 나타내는 위치에 로크된다(시점T5).
그리고 포밍 홀더110가 도34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상승하면 판 스프링520의 절곡부521가 포밍 홀더110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리고, 도34 및 도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520이 활모양으로 구부러진다. 이렇게 활모양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앤빌51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앤빌부512의 선단부512A가 카트리지600의 타출 통로601로부터 퇴출된다(시점T6). 이 때에 포밍 홀더110가 상사점에 도달하고, 스테이플S1의 ㄷ자 형상의 성형이 완료되어 있다.
그 후에 드라이버 캠470의 회전에 의하여 드라이버 홀더101가 상승하여 드라이버102가 ㄷ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스테이플S1을 타출 통로601 내에 압입하며 또 이 스테이플S1을 타출 통로601의 타단에서 타출한다(시점T7). 스테이플S1은 타출 통로601의 타단에서 타출되면서 그 양쪽 다리부Sa가 종이 묶음P을 관통한다. 그리고 도7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묶음P을 관통한 양쪽 다리부Sa의 선단부Sb는 클린처 가이드210의 오목부218로 인입되고, 드라이버 홀더110의 상승과 함께 그 양쪽 다리부Sa의 선단부Sb가 오목부218의 경사면218A에 가이드 되어 그 양쪽 다리부Sa가 안쪽으로 구부러지며 또 선단부Sb가 도7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린처 암220의 홈227 내로 인입된다.
그리고 드라이버 홀더101가 상사점에 도달하면 스테이플S1이 타출 통로601의 타단으로부터 완전하게 타출된다(시점T8). 스테이플S1의 양쪽 다리부Sa의 선단부Sb가 클린처 암220의 홈227에 가이드 되어 도7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쪽 다리부Sa가 안쪽으로 더 구부러지게 된다.
그런데 스테이플S1이 타출 통로601의 타단으로부터 타출될 때에 클린처 가이드210의 선단부에 큰 힘이 가하여지지만 클린처 가이드210는 고정판251에 의하여 로크 되어 있기 때문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고정판251의 경사면253A의 각도를 수평에 대하여 작게함으로써 압력을 적게 가하는 스프링260에 의하여 클린처 가이드210를 확실하게 로크할 수 있다.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을 작게함으로써 스프링260의 치수를 작게할 수 있고, 스프링260의 탄성력을 해제시킬 때에 클린처 가이드210의 선단부 가 종이 묶음P과 충돌하는 상태로 되지만 이 충돌할 때에 있어서 충격음을 작게할 수 있다.
스테이플S1이 타출 통로601로부터 완전하게 타출되면 포밍 리턴 캠473의 회전에 의하여 포밍 홀더110가 하강된다(시점T9). 포밍 홀더110의 하강에 의하여 그 포밍 홀더110에 의하여 판 스프링520의 절곡부521를 밀어 올리는 것이 해제된다. 이 해제에 의하여 도32 및 도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520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앤빌510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앤빌부512의 선단부512A가 카트리지600의 가이드 플레이트643의 홈645을 통하여 타출 통로601의 바로 앞에까지 진입된다(시점T10).
또한 포밍 홀더110의 하강에 의하여 클린처 링크201가 도71 및 도72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과 함께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B이 축33을 전방으로 민다. 이렇게 함으로써 축33은 클린처 가이드210의 긴 구멍215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 축33의 전방으로 이동과 함께 클린처 암220이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클린처 링크201가 도76 및 도77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전하면 클린처 암220이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도52 및 도77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전한다(시점T11).
이 클린처 암220의 회전과 함께 클린처부226가 하강하고, 이 하강에 의하여 클린처부226의 홈227에 들어가는 스테이플S1의 양쪽 다리부Sa가 도7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다. 이와 같이 클린처 암220의 클린처부226의 하강에 의하여 스테이플S1의 양쪽 다리부Sa를 구부러지고 있기 때문에 그 양쪽 다리부Sa를 완전히 평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플S1의 양쪽 다리부Sa를 구부리는 것을 클린처 암220의 회전에 의하기 때문에 그 클린처 기구200의 구성은 간단하게 된다.
포밍 홀더110의 하강에 의하여 클린처 링크201가 도76 및 도77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79 및 도80에 나타내는 위치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시점T13)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B이 축33을 전방으로 더 민다. 이렇게 함으로써 축33은 클린처 가이드210의 긴 구멍215을 따라 전방으로 더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하여 시점T11-T12 기간 사이의 클린처 암220이 도52 및 도77에 나타내는 위치로 유지되고, 스테이플S1의 양쪽 다리부Sa가 확실하게 평평한 상태로 구부러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축33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축33과 함께 제1 링크판271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 링크판280을 축31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 제2 링크판280의 회전에 의하여 축34을 거쳐 고정판251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클린처 가이드210의 로크가 해제된다(시점T12).
클린처 링크201가 도79 및 도80에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하면 클린처 링크201의 지지면203A에 클린처 가이드210의 축32이 접한다. 또한 드라이버 리턴 캠471의 회전에 의하여 드라이버 홀더101가 하강을 개시한다(시점T13).
또한 포밍 홀더110의 하강과 함께 클린처 링크201가 도81 및 도82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B이 축33을 전방으로 더 밀고, 제1 링크판271을 도81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시킨다(시점T14). 제1 링크판271의 전방으로 이동량은, 축 구멍281과 축 구멍282 사이의 거리L2가 축 구멍281과 축 구멍282 사이의 거리L3의 약 2배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제1 링크판271의 이동량의 약 2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링크판271이 조금만 이동하여도 고정판251을 많이 이동시킬 수 있고, 클린처 가이드210의 로크를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한편 클린처 링크201가 도81 및 도82에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할 때에 클린처 링크201의 지지면203A이 축32을 밀고 올라가기 때문에 클린처 가이드210가 클린처 암220과 함께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대항하여 축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은 충분하게 작기 때문에 이 때 모터M의 부하는 작게 된다.
그리고 드라이버 홀더101의 하강과 함께 드라이버102가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하면 앤빌부512의 선단부512A가 타출 통로601에 진입한다(시점T14a).
다음에 포밍 홀더110가 홈 포지션으로 하강하면(시점T15) 드라이버 홀더101와 도3에 나타내는 위치로 하강하고, 클린처 링크201가 도69 및 도70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된다. 클린처 링크201가 도69 및 도70에 나타내는 위치로 오면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B으로부터 축33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축33이 스프링227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클린처 가이드210의 긴 구멍215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축33의 이동에 의하여 클린처 암220은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축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70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클린처 가이드210에 장착되는 축32은 고정판251의 오목부254에 결합되고, 스프링260의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축33은 클린처 링크201의 접촉면202A에 접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스위치29가 도69 및 도70에 나타내는 위치로 오는 클린처 링크201를 검지(檢知)하여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동 호치키스1에 의하면, 구동축410의 1회전에 의하여 시트 스테이플ST을 송출하는 것과, 스테이플S의 ㄷ자 형상의 성형과, 스테이플S의 타출 등의 전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린처 암220의 회전에 의하여 스테이플S1의 양쪽 다리부Sa를 클린칭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로 회전부재를 한쌍 설치하여 이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클린치 하는 타입의 클린치 기구에 비하여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이 때문에 호치키스 본체10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종이 묶음P이 두꺼운 경우에는, 도8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린처 가이드210의 회전량이 도71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게 되고, 이 때 클린처 가이드210의 축32이 고정판251의 경사면253A의 우단(도83에 있어서)에 접하도록 경사면253A의 길이L1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테이플S의 타출에 의하여 클린처 가이드210의 선단부에 상방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축32이 고정판251의 경사면253A로부터 떨어진다. 이 결과 클린처 가이드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멀어짐으로써 스테이플S의 구부러짐이 방지된다.
즉 종이 묶음P이 소정 이상의 두께로 되면 스테이플S이 타출될 때에 클린처 가이드210가 떨어지므로 스테이플S의 구부러짐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스테이플S의 구부러짐에 의하여 카트리지600의 타출 통로601가 막히게 되지 않고, 이 때문에 드라이버 홀더101나 포밍 홀더110의 상승 도중에 멈추어 구동축410이 로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종이 묶음P의 두께에 의하여 클린처 가이드210의 회전위치가 다르게 되지만 클린처 암220의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한 상대위치는 도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회전위치에 의하여 변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축33의 전방으로 이동에 의하여 도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클린처 암220은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축3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 회전한다. 이 때문에 종이 묶음P의 두께에 관계없이 스테이플S의 양쪽 다리부Sa를 확실하게 클린치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01는, 포밍 홀더110가 홈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 도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톱니334의 선단부334A가 슬라이더301의 베이스부302의 윗면으로부터 인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600를 호치키스 본체10로부터 떼어낼 때에 그 톱니334의 선단부334A가 시트 스테이플ST에 걸려서 카트리지600로부터 인출되지 않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600의 수납실603에 적층되는 시트 스테이플ST을 판 스프링부671, 677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부671, 677를 배치하는 스페이서가 충분하게 작고 이 때문에 높이가 낮은 수납실603에 수납하는 시트 스테이플ST의 적층 매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 유니트650에 판 스프링부671, 677와 체크 톱니65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 유니트650만을 카트리지 본체602로부터 떼어내어 분별 처리 된다. 또한 도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 유니트650의 핸들부678를 후방으로 끌어 당기는 것만으로 판 스프링 유니트650를 카트리지 본체602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그 떼어내는 것은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600의 아래쪽에 모터M의 모터축Ma이 시트 스테이플ST의 송출방향으로 향하도록 모터M를 배치하고, 모터축Ma과 구동축410을 일직선상에 배치하고, 감속용의 유성 기어425, 437, 444를 구동축410을 따라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성 기어425, 437, 444를 카트리지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겹치도록 배치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카트리지600의 폭 이내에서 배치한다. 또한 시트 스테이플ST의 송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감속 기어를 측벽에 여러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이 때문에 구동축410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400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호치키스 본체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410에 설치하는 각 캠470-473에 의하여 드라이버 홀더101나 포밍 홀더110를 직접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102나 포밍 플레이트부111F, 112F의 상하 이동에 링크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이 때문에 그 상하 이동의 구 조가 간단하게 되고, 호치키스 본체10의 소형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라이더301에 의한 시트 스테이플ST의 송출의 타이밍을 구동 기어 홀더440의 원판441의 홈445에 의하고 있기 때문에 그 송출 타이밍을 임의로 더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3)

  1. 수납실603에 수납되는 시트 스테이플(sheet staple)ST을 타출(打出) 통로601의 일단을 향하여 송출(送出)하는 송출수단과,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포밍 플레이트(forming plate)111, 112 및 드라이버(driver)102와,
    이 포밍 플레이트111, 112 및 드라이버102를 지지하여 포밍 플레이트111, 112 및 드라이버102를 왕복으로 이동시키는 홀더(holder)101, 110와,
    이 홀더101, 110을 왕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축410과,
    이 구동축410을 유성 기어(遊星 gear)425, 437, 444를 통하여 회전시키는 모터M를
    구비하고,
    상기 타출 통로601의 일단으로 송출된 스테이플(staple)S을 포밍 플레이트111, 112의 이동(forward motion)에 의하여 ㄷ자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ㄷ자 형상으로 성형된 스테이플S을 드라이버102의 이동(forward motion)에 의하여 타출 통로601의 타단으로 타출하고, 이 타출된 스테이플S의 다리부Sa를 클린처 기구(clincher 機構)200에 의하여 클린치(clinch)하는 전동 호치키스(electric stapler)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모터축Ma의 축선이 상기 시트 스테이플ST의 송출방향과 같은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모터의 모터축Ma의 축선과 상기 구동축410을 일직선 상에 배치하고,
    상기 유성 기어425, 437, 444를 구동축410을 따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Ma이 시트 스테이플ST의 송출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모터M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1, 110을 직접 왕복 이동시키는 홀더 캠(holder cam)을 상기 구동축410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처 기구200는, 뒷부분이 본체 케이스13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축지(軸支)되고 또 회전하여 선단(先端)과 상기 본체 케이스13로 종이 묶음P을 잡는 클린처 가이드(clincher guide)210와, 상기 클린처 가이드210의 안쪽에 배치되고 또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뒷부분이 클린처 가이드210의 뒷부분에 의하여 축지되고 또 선단부에 스테이플S의 다리부Sa를 구부리는 절곡(折曲) 홈이 형성되는 클린처 암220을 구비하고,
    상기 클린처 가이드210은 회전하여 그 선단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13에 의하여 종이 묶음P을 잡고, 이 종이 묶음P에 스테이플S이 관통된 후, 상기 클린처 암(clincher arm)220이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종이 묶음P을 관통한 스테이플S의 다리부Sa를 상기 절곡 홈에 의하여 클린치(clinch)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처 가이드210에 형성되는 제1 측벽(側壁)에, 선단으로 감에 따라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가이드용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과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상기 클린처 암220의 제2 측벽에, 상기 가이드용 긴 구멍보다 더 경사지게 하고 또 그 가이드용 긴 구멍의 뒷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회전용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용 긴 구멍 및 회전용 긴 구멍에 삽입되고 또 가이드용 긴 구멍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회전축과,
    상기 클린처 가이드210을 선단이 닫히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클린처 가이드210 및 클린처 암220을 초기위치에 정지시켜 두고 또 왕복으로 회전할 수 있는 클린처 링크(clincher link)201를 구비하고,
    상기 클린처 가이드210이 왕복할 때,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클린처 가이드210 및 클린처 암220이 회전하고, 상기 클린처 링크201의 돌아오는 회전(return swing)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이 가이드 긴 구멍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클린처 암220이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처 기구200는, 뒷부분이 본체 케이스13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축지되고 또 회전하여 선단과 상기 본체 케이스13로 종이 묶음P을 잡는 클린처 가이드210와, 상기 클린처 가이드210의 양 옆에 형성되고 또 본체 케이스13쪽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또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뒷부분이 클린처 가이드210의 뒷부분에 축지되는 클린처 암220을 구비하고,
    상기 클린처 암220의 선단부에,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 스테이플(stsple)S의 다리부Sa를 구부리는 플랫 홈(flat groove)을 형성하고,
    상기 각 측벽의 안쪽에, 상기 본체 케이스13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안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또 상기 스테이플S의 다리부Sa를 상기 플랫 홈으로 가이드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종이 묶음P에 스테이플S이 관통된 후, 상기 클린처 암220이 클린처 가이드21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종이 묶음P을 관통하는 스테이플S의 다리부Sa를 상기 플랫 홈에 의하여 클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처 기구200는, 스테이플S의 다리부Sa를 구부리는 절곡 홈을 선단부에 구비하고 또 뒷부분이 본체 케이스13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축지되고 또 회전하여 선단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13로 종이 묶음P을 잡는 클린처 가이드210와, 이 클린처 가이드210이 회전하여 선단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13로 종이 묶음P을 잡을 때에 변위하여 클린처 가이드210이 종이 묶음P을 잡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플레이트(check plate)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스테이플ST을 수납하고 또 상기 본체 케이스13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카트리지600을 구비하고,
    상기 송출수단은, 전진 이동할 때에 상기 카트리지600 내에 수납된 시트 스테이플ST의 스테이플S에 결합되어 시트 스테이플ST을 송출하고, 시트 스테이플ST을 송출하기 전인 대기상태일 때에 그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수단은,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slider)301와, 상기 슬라이더301에 장착되고 또 상기 시트 스테이플ST의 스테이플S에 결합하는 이송 톱니를 가지는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301이 대기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이송 톱니를 상기 스테이플S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압압 부재(押壓 部材)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01는, 상기 시트 스테이플ST의 일면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면(sliding 面) 위를 슬라이딩하고,
    상기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는 상기 슬라이더30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시트 스테이플ST의 반대쪽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 톱니가 상기 슬라이더301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시트 스테이플ST의 스테이플S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301의 상기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장착면에, 상기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의 휨 변형을 허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301이 대기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압압부재가 상기 이송 톱니 플레이트33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오목부 내로 휘어지게 하고, 이 휘어짐에 의하여 상기 이송 톱니를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수단에 전방으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 부재(加壓 部材)와, 상기 송출수단의 앞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고 또 상기 송출수단을 받아 들이는 원판(圓板)441이 설치되고,
    상기 원판441에는, 소정의 회전각도의 범위에서 상기 송출수단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홈과, 상기 송출수단을 대기위치에 되돌리는 가이드 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처 기구200는, 이동(forward motion)하여 선단부가 상기 타출 통로601의 타단측에 마운팅되는 종이 묶음P을 잡는 클린처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101, 110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왕복으로 회전하는 링크 부재와, 상기 선단부가 종이 묶음P을 잡는 위치에 클린처 유니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클린처 유니트는, 상기 종이 묶음P을 관통한 스테이플S의 다리부Sa를 클린치하는 클린처를 구비하고,
    상기 클린처 유니트에 의하여 종이 묶음P을 잡는 것과, 고정수단에 의한 클린처 유니트를 고정시키는 것과, 클린처에 의하여 스테이플S의 다리부Sa를 클린치하는 것과, 클린처 유니트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것과, 종이 묶음P의 잡음을 해제하는 것이, 상기 링크 부재의 왕복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출 통로601 내로 선단부가 진출하고 또 상기 스테이플S을 ㄷ자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앤빌510을 구비하고, 상기 드라이버102가 이동(forward motion)할 때에 앤빌510의 선단부를 타출 통로601 내로부터 퇴출시키고, 포밍 플레이트111, 112 및 드라이버102가 되돌아 오는 이동(return motion)을 할 때에 앤빌510의 선단부를 타출 통로601 내로 진출시키는 앤빌 기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치키스.
KR1020000082463A 1999-12-28 2000-12-27 전동 호치키스 KR100709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510299A JP2001191263A (ja) 1999-12-28 1999-12-28 電動式ステープラー
JP37401899A JP3697989B2 (ja) 1999-12-28 1999-12-28 電動ホッチキス
JP37509899A JP3692878B2 (ja) 1999-12-28 1999-12-28 電動ホチキス
JP11-375103 1999-12-28
JP11-375100 1999-12-28
JP37510099A JP3692880B2 (ja) 1999-12-28 1999-12-28 電動ホッチキス
JP37510499A JP2001191265A (ja) 1999-12-28 1999-12-28 電動式ステープラー
JP11-374018 1999-12-28
JP11-375104 1999-12-28
JP11-375101 1999-12-28
JP37510399A JP3674432B2 (ja) 1999-12-28 1999-12-28 電動式ステープラー
JP37510199A JP3692881B2 (ja) 1999-12-28 1999-12-28 電動ホッチキス
JP37509999A JP3692879B2 (ja) 1999-12-28 1999-12-28 電動ホッチキス
JP11-375102 1999-12-28
JP11-375099 1999-12-28
JP11-375098 199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715A KR20010062715A (ko) 2001-07-07
KR100709993B1 true KR100709993B1 (ko) 2007-04-20

Family

ID=2757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463A KR100709993B1 (ko) 1999-12-28 2000-12-27 전동 호치키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34536B2 (ko)
EP (1) EP1112824B1 (ko)
KR (1) KR100709993B1 (ko)
CN (1) CN1142867C (ko)
DE (1) DE60032106T2 (ko)
HK (1) HK10406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6646B1 (en) * 2000-02-22 2003-03-25 Acco Brands, Inc. Stapler
JP2003025248A (ja) * 2001-07-10 2003-01-29 Max Co Ltd シートステープルの送り機構
CN1315619C (zh) * 2001-08-09 2007-05-16 美克司株式会社 打击器单元和电动订书机
KR100777471B1 (ko) * 2001-08-23 2007-11-19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전동호치키스에서의 스테이플 카트리지
SE0200936L (sv) * 2002-03-27 2003-02-11 Isaberg Rapid Ab Klammerformningsarrangemang med benfångarorgan som förhindrar återfjädring av den bockade klammerns ben
JP4117457B2 (ja) * 2002-06-24 2008-07-16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テーブルのロック機構
KR101044218B1 (ko) * 2003-02-14 2011-06-29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스테이플러
JP4513484B2 (ja) * 2004-09-29 2010-07-28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ーのテーブルロック装置
EP1932638B1 (en) * 2005-10-04 2012-12-19 Max Co., Ltd. Electric stapler
US8511530B2 (en) * 2007-05-10 2013-08-20 Canon Finetech Inc. Stapler and staple
JP4985727B2 (ja) * 2009-08-24 2012-07-25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における用紙クランプ機構
US9522463B2 (en) 2012-07-25 2016-12-20 Worktools Inc. Compact electric spring energized desktop stapler
JP6563516B2 (ja) * 2015-11-30 2019-08-21 内田洋行グローバルリミテッド 綴じ装置
US10932781B2 (en) * 2018-02-06 2021-03-02 Ethicon Llc Features to align and close linear surgical stapler
CN108749386A (zh) * 2018-07-08 2018-11-06 佛山易力佳办公设备有限公司 一种装订机钻刀减速结构
CN111645034A (zh) * 2019-03-04 2020-09-11 韶关益而高文具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订书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5081A (ja) * 1987-04-21 1987-11-06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ツチキスにおけるドライバ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0805A (en) * 1955-02-25 1956-11-20 Elzer Philip Stapling machines
JPS62236684A (ja) * 1986-04-08 1987-10-16 丸善株式会社 電動ステプラ−
US5346114A (en) * 1990-09-14 1994-09-13 Max Co., Ltd. Electric stapler with unmovably fixed magazine
US5269451A (en) * 1990-09-14 1993-12-14 Max Co., Ltd. Electric stapler with unmovably fixed magazine
JP2820323B2 (ja) * 1990-12-18 1998-11-05 エルム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
US5460314A (en) * 1992-12-29 1995-10-24 Max Co., Ltd. Stapler with improved stapling precision
DE69405605T2 (de) * 1993-02-10 1998-01-22 Max Co Ltd Motorisch angetriebenes Klammergerät
JP2560430Y2 (ja) * 1993-08-04 1998-01-21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JP2568736Y2 (ja) * 1993-12-06 1998-04-15 マックス株式会社 可搬形電動ステープル打機
JPH0899273A (ja) * 1994-09-29 1996-04-16 Max Co Ltd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のリフィルカートリッジ
DE4437696A1 (de) * 1994-10-21 1996-04-25 Leitz Louis Kg Elektroheftgerät
JPH08216108A (ja) * 1995-02-09 1996-08-27 Nunawa Kusaba 紙綴じ器
US5584471A (en) * 1995-10-27 1996-12-17 Xerox Corporation Reproduction machine having a user clearable convenience stapler assembly
JP3473234B2 (ja) * 1995-11-16 2003-12-02 ニスカ株式会社 ステープラ
DE69607729T2 (de) * 1995-12-11 2000-11-16 Max Co. Ltd., Tokio/Tokyo Elektrischer Heftapparat
EP0838315B1 (en) * 1996-10-23 2004-02-25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3344455B2 (ja) * 1996-10-25 2002-11-11 マックス株式会社 ホッチキスにおけるクリンチ機構
JP3508496B2 (ja) * 1996-11-13 2004-03-22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EP0968798B1 (en) * 1998-07-03 2005-09-28 Max Co., Ltd. Motor driven stapler
JP2000317861A (ja) * 1999-05-13 2000-11-21 Asuka:Kk 簡易型電動ステープ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5081A (ja) * 1987-04-21 1987-11-06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ツチキスにおけるドライバ駆動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6225508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2824A2 (en) 2001-07-04
EP1112824B1 (en) 2006-11-29
HK1040665B (zh) 2007-06-22
US20030042286A1 (en) 2003-03-06
EP1112824A3 (en) 2005-08-03
CN1142867C (zh) 2004-03-24
HK1040665A1 (en) 2002-06-21
CN1301633A (zh) 2001-07-04
KR20010062715A (ko) 2001-07-07
US6634536B2 (en) 2003-10-21
DE60032106D1 (de) 2007-01-11
DE60032106T2 (de)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993B1 (ko) 전동 호치키스
KR100626980B1 (ko) 전동 호치키스
EP2246162B1 (en) Stapler
JP4524868B2 (ja) 電動ホッチキス
KR100734902B1 (ko) 전동 호치키스용 카트리지
JP3476298B2 (ja)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JP2004230483A (ja) ホッチキス
JP3697989B2 (ja) 電動ホッチキス
JP3674433B2 (ja)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JP3692881B2 (ja) 電動ホッチキス
JP4036215B2 (ja) 電動ステープラ
JP3692880B2 (ja) 電動ホッチキス
JP3692879B2 (ja) 電動ホッチキス
JP3692878B2 (ja) 電動ホチキス
JP4232716B2 (ja) ステープラ用カートリッジ
JP3674432B2 (ja) 電動式ステープラー
JP2001191265A (ja) 電動式ステープラー
JPH0653075U (ja)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マガジン作動案内装置
JP2001191267A (ja)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JP3598751B2 (ja)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送り機構
JP5862146B2 (ja) ステープル及びステープラ
JP3879593B2 (ja) 電動ステープラにおけるセルフプライミング検知機構
JP2000153470A (ja) 電動ステープラー
JPH0631651A (ja)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マガジンの上下回動駆動機構
JP2001191263A (ja) 電動式ステープ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