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5628A -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 - Google Patents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5628A
KR20040005628A KR1020030045650A KR20030045650A KR20040005628A KR 20040005628 A KR20040005628 A KR 20040005628A KR 1020030045650 A KR1020030045650 A KR 1020030045650A KR 20030045650 A KR20030045650 A KR 20030045650A KR 20040005628 A KR20040005628 A KR 20040005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cid
surface protection
lactic acid
protec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쿠무라가즈히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6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계 필름을 함유하는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 광학필름에 표면보호필름으로서 전술한 표면보호필름을 갖는 표면보호필름-피복된 광학필름; 및 화상표시장치에 표면보호필름으로서 전술한 표면보호필름을 갖는 표면보호필름-피복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SURFACE PROTECTION FILM FOR OPTICAL FILM}
본 발명은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은 편광필름, 위상차필름 및 반사방지필름 등의 각종 광학필름의 표면 보호에 유용하다. 또한, 광학필름을 최표면층으로 갖는 액정 모듈의 표시부 표면에 표면보호필름을 도포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유기 EL 표시장치, PDP 등의 각종의 화상표시장치의 보호에 유용하다.
편광필름, 위상차필름 및 반사방지필름 등의 각종 광학필름의 표면에는 상처방지 및 오염 방지를 위해 표면보호필름이 도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표면보호필름으로서, 종래에는 가요성 가소성 필름 및 상기 필름의 한쪽 면 전체에 형성된 재박리성 감압성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표면보호용 감압성 점착성 시이트가 사용되었다.
액정표시장치는, 유리 기판 위에 액정 및 예를 들어 편광필름, 위상차필름 및 반사방지필름 등의 각종 광학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생성된 구조물의 주변부를, 베즐(bezel)이라고 지칭되는 것으로 스테인레스 강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된 고정 테두리로 고정하는 단계, 액정 모듈과 다른 구성요소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립체를 케이스에 하우징(housing)하는 단계로 제조된다. 그리고, 광학필름을 최표면층으로서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부 표면에는 보통 조립 단계 또는 상품유통단계에서의 먼지 입자 등의 부착 또는 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표면보호필름이 피복된다. 즉, 액정 모듈 제조 단계에서 표시부 표면에 표면보호필름이 피복된다. 이러한 표시부 표면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기법은 가요성 가소성 필름 및 상기 가소성 필름의 한쪽면 전체에 형성된 재박리성 감압성 점착제 층을 포함한 표면보호용 감압성 점착 시이트를 액정 모듈의 표시부 표면에 표면보호필름으로 도포하는 방법이다. 다른 기법에서는 표시부 표면에 가소성 필름(감압성 점착제 층을 보유하지 않음)을 피복한 후, 감압성 점착 테이프로 상기 필름을 고정한다.
상기 편광필름 등의 광학필름에 도포된 표면보호필름은 편광필름 등이 선적되는 경우 균일하게 붙여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표면보호필름은 보통 액정 모듈제조단계에서도 표면의 상처방지/오염 방지를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액정 모듈 제조 단계에서, 표면보호필름은 반복적으로 박리/도포하어, 재도포된 표면보호필름은 보통 거품이나 주름이 들어 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종적으로 표면보호필름이 박리되면, 표시부 표면에 밝기 불균일성(표면보호필름이 밀착되었던 부분과 밀착되지 않았던 부분이 표시부 표면에서의 밝기 차이로 나타난다)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밝기 불균일성은 액정표시장치로서의 신뢰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가 액정 모듈로부터 제조되고, 여기서 액정 모듈의 표시부 표면이 표면보호필름으로 피복된 액정표시장치를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즉, 유통과정을 거쳐서 표면보호필름을 벗겨,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표시부 표면에 밝기 불균일성이 관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보호필름이 편광필름 등의 각종 광학필름에 도포된 상태로 가공 및 보존되는 경우에도, 화상의 밝기 불균일성을 발생시키지 않은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표면보호필름이 도포된 것으로 표면보호필름-피복된 광학필름 및 표면보호필름-피복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보호필름을 사용하는 광학필름의 표면보호방법 및 표면보호필름을 사용하는 화상표시장치의 표면보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표면보호필름 박리후 편광필름의 밝기 불균일성에 대한 평가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표면보호필름
10 : 편광필름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계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은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배치된 감압성 점착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필름에 표면보호필름이 도포된 광학필름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표면보호필름은 전술한 표면보호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에 표면보호필름이 도포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표면보호필름은 전술한 표면보호필름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광학필름의 표면을 전술한 표면보호필름으로 피복함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표면의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화상표시장치 표면을 전술한 표면보호필름으로 피복함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의 표면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은 기재 필름으로서 폴리(락트산)계 필름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표면보호필름이 부착된 각종 광학필름이 가공 및 저장되고, 그 후에 표면보호필름이 박리되는 경우에도, 광학필름에 광학적 색조 변화(밝기 불균일성)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밝기 불균일성이 없고, 신뢰성이높은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이하, 간단히 "표면보호필름"으로 지칭한다)은 편광필름, 위상차필름, 반사방지필름 등의 각종 광학기능을 갖는 개별적인 광학필름들의 표면보호용으로 유용한 것 외에 다른 용도로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면보호필름은 이러한 광학필름을 구성재료로 하는 액정 모듈의 표시부 표면의 보호 용도로서 또는 액정 모듈을 다른 구성부재와 함께 케이스에 끼워넣어 수득한 액정표시장치(완성품) 등의 각종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부 표면의 보호용으로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은 테이프 형태로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은, 폴리(락트산)계 필름을 사용하는 기재필름을 포함한다. 폴리(락트산)계 필름은 1종 이상의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다.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의 예로서는, 폴리(락트산) 또는 락트산과 1종 이상의 다른 하이드록시 카복실산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락트산의 예로는 L-락트산 및 D-락트산을 들 수 있다. 물론, L-락트산이 바람직하다. 다른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예로는 글리콜산, 3-하이드록시부티르산,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3-하이드록시발레산, 4-하이드록시발레산 및 6-하이드록시카프론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재필름을 구성하는 락트산 중합체는 1종 이상의 락트산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로 구성된 폴리(락트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락트산 중합체를 제조하는 중합방법은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축합 중합 및 개환 중합과 같은 공지된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락트산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바람직하게 약 10,000 내지 1,000,000이다. 또한, 락트산 중합체는 추가로 분자량 증대를 위해 소량의 쇄 연장제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에폭시 화합물 또는 산무수물과 같은 가교제를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폴리(락트산)계 필름는 주성분으로서 락트산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중합체 재료가 포함될 수도 있다. 선택적인 중합체 물질의 예로는 폴리락트산 이외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메트)아크릴로니트릴, 셀룰로즈 물질,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페닐렌 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락트산 중합체에 혼입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혼입하면, 고온 및 높은 습도의 조건하에서 저장되는 경우, 폴리(락트)계 필름은 색이 바랜다. 따라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혼입은 이러한 용도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폴리(락트산)계 필름에는 성형가공성 및 필름물성을 조정할 목적으로 가소화제, 윤활제, 무기 충전제, 자외선 흡수제 및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폴리(락트산)계 필름의 제법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락트산 중합체 또는 그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용융압출법에 의해 필름으로 성형하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흔히 폴리(락트산)계 필름은 롤링법, 텐터링법(tentering) 등에 의해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할 수 있다. 연신필름은 강도면에 뛰어나서 바람직하다. 특히 2축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연신율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배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배로 한다.
기재필름인 폴리(락트산)계 필름의 두께는 작업성(표면보호필름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10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μm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μm 이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필름은, 폴리(락트산)계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필름만으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폴리(락트산)계 필름의 한쪽 면에 감압성 점착제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감압성 점착제 층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감압성 점착제는 표면보호필름용 감압성 점착제로부터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및 고무계 등의 감압성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투명성, 가공성, 내구성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감압성 점착제 층이 목적하는 점착력을 얻기 위해서, 필름 1 m2당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감압성 점착제를 1 내지 5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g 정도의 양으로 롤 피복기 방법, 주형 피복기 방법, 바(bar) 피복기 방법과 같은 일반적인 피복법으로 도포된다. 감압성 점착제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이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필름내 기재필름 또는 감압성 점착제 층에 대전방지처리를 실시하거나, 배면처리층을 표면보호필름 위에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에 감압성 점착제 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감압성 점착제 층과 반대면에 배면처리층이 형성된다.
대전방지처리는 예를 들어 기재필름 및/또는 감압성 점착제 층에 대전방지제를 반죽(kneading)하여 혼입하거나, 감압성 점착제 층 및/또는 배면처리층을 형성하기 전에 기재 필름에 애벌칠 층(대전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대전방지처리에는, 중합체 재료의 대전방지제로서 공지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하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제의 예로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예컨대, 4급 암모늄염 형태, 포스포늄염 형태, 설포늄염 형태 등),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예컨대, 카복실산 형태, 설포네이트 형태, 설페이트 형태, 포스페이트 형태 및 포스파이트 형태 등), 양쪽성 계면활성제(예컨대, 설포베타인 형태, 알킬베타인 형태 및 알킬이미다졸리늄 베타인 형태),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다가 알콜 유도체, β-사이클로덱스트린 클라트레이트 화합물, 소르비탄 지방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폴리(알킬렌 산화물) 유도체, 및 아민 산화물)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대전방지제는 기재필름 및/또는 감압성 점착제 층으로 반죽하여 혼입되거나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도록 사용된다.
이들의 예로는 추가로 양이온계 단량체(예를 들어, 4급 암모늄 염), 양쪽성 단량체(예를 들어, 베타인 화합물), 음이온계 단량체(예를 들어, 설폰산염) 또는 비이온계 단량체(예를 들어, 글리세롤 등)의 이온 도전성 기를 갖는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해당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 4급 암모늄염 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갖는 중합체와 같은 이온 전도성을 갖는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대전방지제는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대전방지제의 예로는 결합제로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아크릴계 화합물 또는 아크릴-멜아민 등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피복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대전방지제는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예로는 친수성 중합체, 예를 들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아크릴계 수지 등과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는 유형의 영구적 대전방지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대전방지제는 반죽을 통해 기재필름 및/또는 감압성 점착제 층에 혼입된다.
추가로, 대전방지제의 예로는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Ketjen Black),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티탄 블랙, 아연 산화물, 주석 산화물, 주석-피복된 티탄 산화물, 니켈 플레이크(nickel flake), 인-도핑된 주석 산화물 및 안티몬 도핑된 주석 산화물과 같은 도전성 충전제를 들 수 있다. 이들 대전방지제는 반죽에 의해 기재필름 및/또는 감압성 점착제 층에 혼입한다.
전술한 대전방지 피복재는 일반적으로 도전성 충전제를 함유한다. 이러한피복재에서 사용되는 도전성 충전제는 반죽함으로써 상기의 기재필름 및/또는 감압성 점착제 층에 혼입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도전성 충전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즉,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천연 흑연, 인공 흑연 및 티탄 블랙이 흑색 대전방지 피복용 도전성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아연 산화물, 주석 산화물 및 주석-피복된 티탄 산화물이 백색 대전방지 피복용 도전성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니켈 플레이크가 실버 대전방지 피복용 도전성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인 도핑된 주석 산화물 및 안티몬 도핑된 주석 산화물이 투명 대전방지 피복용 도전성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대전방지제는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형태, 반죽하여 기재필름 속에 혼입하는 형태, 또는 반죽하여 감압성 점착제 층 속에 혼입한 형태중 임의의 형태에서도 그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소량이다.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필름 1m2당 대전방지제의 도포량(건조 후 부착량)은 일반적으로 0.01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g이다. 반죽하여 기재 필름 속에 대전방지제를 혼입한 경우, 기재 필름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반죽하여 감압성 점착제 층 속에 대전방지제를 혼입하는 경우, 감압성 점착제를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배면처리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배면처리제(박리처리제)로서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등의 분야에서 배면처리제(박리처리제)로서 사용되는 임의의 공지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알킬 펜던트계 박리처리제 및 실리콘 박리처리제가 바람직하다. 알킬 펜던트계 박리처리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알킬 펜던트계 박리처리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장쇄 알킬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장쇄 알킬)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말레산의 장쇄알킬 유도체의 공중합체, 하이드록실기-함유 중합체의 장쇄 알킬 에스테르, 하이드록실기 함유 중합체의 (장쇄 알킬)카바메이트, 하이드록시-함유 중합체의 퍼플루오로알킬카바메이트 등으로 주로 구성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에서, 각각의 장쇄 알킬의 탄소수는 18 내지 30가 바람직하다. 실리콘 박리처리제는 축합형 실리콘 또는 부가형 실리콘 둘다가 가능하다. 배면처리제(박리처리제)의 기재필름 1 m2당의 도포량은 일반적으로 O.005 내지 2 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g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재필름으로서 2축 연신된 폴리(락트산) 필름(미쓰비시 플라스틱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Mitsubishi Plastics Industries Ltd.)에서 제조된 에콜로주(Ecoloju) SEP; 100% 락트산 중합체; 두께 25㎛)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필름을 표면보호필름으로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재된 기재필름의 한쪽 면을 코로나처리하였다. 그 후, 필름의 코로나처리하지 않은 면에 #9 와이어-권취 바를 사용하여 배면처리제를 도포하고, 상기 피복물을 80℃에서 1분간 건조하여 배면처리층을 형성하였다. 배면처리제로서는 알킬카바메이트형 박리처리제(잇포샤 오일 인더스트리즈 캄파니 리미티드(Ipposha Oil Industries Co. Ltd.)에서 제조된 박리 오일 1010)를 톨루엔에 0.3중량%의 고형 함량으로 용해시켜 제조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그다음, 필름의 코로나처리면에 #6 와이어-권취 바를 사용하여 대전방지제를 도포하고, 상기 피복물은 8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애벌칭 층을 형성했다. 대전방지제로서는, 이온도전성 중합체(코니시 캄파니 리미티드(Konishi Co. Ltd.)에서 제조된 본딥(BONDEIP))을 함유하는 것(즉, 1g의 본딥 PX 주성분(고형 함량: 약 32%), 1g의 본딥 PX 경화제(고형 함량: 약 8%), 12g의 이소프로필 알콜, 및 6g의 물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그다음, 애벌칠 층의 위에 감압성 점착제 용액을 도포기를 사용하여 피복하고, 상기 피복물을 80℃에서 2분간 건조하여 건조 후 두께가 5㎛인 감압성 점착제 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표면보호층을 수득하였다. 감압성 점착제 용액으로는 아크릴계 중합체(부틸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이 85/10/2/3(중량비)인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 600,000; 통상적인 용액중합) 100중량부 및 에폭시계 가교제(미쓰비시 가스 케미칼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Mitsubish Gas Chemical Company, Inc.)에서 제조된 테트라드 C) 3 중량부를 함유하는 감압성 점착제 용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기재필름으로서 2축 연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레이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Toray Industries, Inc.)에서 제조한 류미로르(Lumirror) S10; 두께 25㎛)를 사용하였다. 이것을 표면보호필름으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면처리층, 애벌칠 층 및 감압성 점착제 층을 형성하여 표면보호필름을 수득하되, 단 기재필름으로서 비교예 1에서 사용된 기재필름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기재 필름으로서 폴리올레핀 필름(스미토모 미쓰이 폴리올레핀 캄파니 리미티드(Sumitono Mitsui Polyolefin Co., Ltd.)에서 제조된 스미카덴(Sumikathene) 12를 사용하여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형성한 필름, 두께: 60㎛)을 사용하였다. 이것을 표면보호필름으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면처리층, 애벌칠 층 및 감압성 점착제 층을 형성하여 표면보호필름을 수득하되, 단 비교예 3에서 사용된 기재필름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된 표면보호필름에 관해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1. 밝기 불균일성에 대한 평가
(시험 방법)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위에 감압성 점착제 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니토 덴코 코포레이션(Nitto Denko Corp.)에서 제조한 편광필름(NWF-SEG1425WVARC150K)(10)를 유리판(11)에 붙였다. 이어서, 편광필름(10)의 거의 ½위에 표면보호필름(1)(실시예 2, 비교예 2 및 4에서, 감압성 점착제 층이 편광필름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을 배치한다. 표면보호필름(1)의 외주부를 니토 덴코 코포레이션에서 제조한 테이프(12)(No. 31B)로 고정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샘플을 40℃의 항온-항습 챔버에 넣고, 10시간 동안 보관한 후 꺼냈다.
(평가방법)
고정용 테이프(12) 및 표면보호필름(1)을 박리했다. 이어서, 암실에서 유리판(10)의 밑에서부터 라이트를 점등하고, 다른 편광필름(니토 덴코 코포레이션에서 제조된 NPF HEG1425DU)을 사용하여 교차된 니콜 상태(crossed nicol state)를 수득하였다. 중첩된 편광필름을 바로 위에서 또는 여러가지의 각도에서 육안으로 관찰했다. 표면보호필름(1)을 붙이지 않던 부분(프리 부분)(1Oa)과 표면보호필름(1)을 붙인 부분(1Ob) 사이의 밝기의 차이가 없는 편광필름에 대해 "0"로 표시하고, 이들간에 밝기 차이가 있는 편광필름에 대해 "×"로 평가하였다.
2. 가열 및 가습 후의 외관 평가
60℃의 온도 및 90% RH의 상대습도를 갖는 가열 및 가습 챔버에 7일동안 각각의 표면보호필름을 방치하고, 그다음 상온으로 되돌려, 외관을 평가하였다. 이상이 없는 표면보호필름을 "0"로 표시하고, 이상이 있는 표면보호필름을 "×"로표시하였다.
기재 필름의 물질 감압성 점착제 층 등의 존재 또는 부재 밝기 불균일성 외관
실시예 1 폴리(락트산) 부재 O O
실시예 2 폴리(락트산) 존재 O O
비교예 1 폴리에스테르 부재 × O
비교예 2 폴리에스테르 존재 × O
비교예 3 폴리올레핀 부재 × O
비교예 4 폴리올레핀 존재 × O
본 발명은 이들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종 및 개질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알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표면보호필름의 기재필름으로서 폴리(락트계) 필름을 사용하면, 종래의 표면보호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밝기 불균일성의 문제점 등이 해소된 표면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락트산)계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배치된 감압성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
  3. 광학필름 위에 표면보호필름이 도포된 광학필름으로서,
    상기 표면보호필름이 제 1 항에 따른 표면보호필름인 광학필름.
  4. 광학필름 위에 표면보호필름이 도포된 광학필름으로서,
    상기 표면보호필름이 제 2 항에 따른 표면보호필름인 광학필름.
  5. 화상표시장치 위에 표면보호필름이 도포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표면보호필름이 제 1 항에 따른 표면보호필름인 화상표시장치.
  6. 화상표시장치 위에 표면보호필름이 도포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표면보호필름이 제 2 항에 따른 표면보호필름인 화상표시장치.
  7. 제 1 항에 따른 표면보호필름으로 광학필름의 표면을 피복함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표면의 보호방법.
  8. 제 2 항에 따른 표면보호필름으로 광학필름의 표면을 피복함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표면의 보호방법.
  9.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부 표면을 제 1 항에 따른 표면보호필름으로 피복함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부 표면의 보호방법.
  10.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부 표면을 제 2 항에 따른 표면보호필름으로 피복함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부 표면의 보호방법.
KR1020030045650A 2002-07-08 2003-07-07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 KR200400056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98226A JP2004034631A (ja) 2002-07-08 2002-07-08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JP-P-2002-00198226 2002-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628A true KR20040005628A (ko) 2004-01-16

Family

ID=2999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650A KR20040005628A (ko) 2002-07-08 2003-07-07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005136A1 (ko)
JP (1) JP2004034631A (ko)
KR (1) KR20040005628A (ko)
CN (1) CN1470887A (ko)
TW (1) TW2004031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048A (ko) * 2014-10-20 2017-06-21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시트용 기재 및 표면 보호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9552B2 (ja) * 2004-05-26 2012-09-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部材
DE102005001616A1 (de) * 2005-01-12 2006-07-20 Huhtamaki Forchheim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Antistatische Oberflächenausrüstung
TWI285211B (en) * 2005-01-18 2007-08-11 Asahi Kasei Chemicals Corp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ATE517367T1 (de) * 2006-01-12 2011-08-15 Kimoto Kk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oberflächenschutz-tafel für eine flüssigkristallanzeige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lüssigkristallanzeigeanordnung
DE202006001693U1 (de) * 2006-02-01 2006-03-30 Logo tape Gesellschaft für Selbstklebebänder GmbH Co. KG Biologisch abbaubares Klebeband auf der Basis von nachwachsenden Rohstoffen
JP2008102271A (ja) 2006-10-18 2008-05-0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フィルム
JP5295533B2 (ja) * 2006-10-31 2013-09-1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フィルム
KR101463282B1 (ko) * 2007-05-29 2014-11-1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US20100028564A1 (en) * 2008-07-29 2010-02-04 Ming Cheng Antistatic optical constructions having optically-transmissive adhesives
JP5530611B2 (ja) * 2008-09-22 2014-06-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ラベル形成用粘着シート
JP4562795B2 (ja) * 2009-02-16 2010-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ロール原反及びロール原反製造方法
JP5623020B2 (ja) 2009-02-27 2014-11-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JP5595398B2 (ja) * 2009-07-23 2014-09-24 株式会社ニトムズ 粘着シート
JP2012111206A (ja) * 2010-11-26 2012-06-14 Nitto Denko Corp 保護フィルム
JP2012111207A (ja) * 2010-11-26 2012-06-14 Nitto Denko Corp 保護フィルム
JP2012116889A (ja) * 2010-11-29 2012-06-21 Nitto Denko Corp 保護フィルム
JP2012111208A (ja) * 2010-11-26 2012-06-14 Nitto Denko Corp 保護フィルム
JP2013147664A (ja) * 2010-11-30 2013-08-0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シート
DE102010063597A1 (de) * 2010-12-20 2012-06-21 Tesa Se Verwendung(und Herstellung) einer gekreppten Polymilchsäurefolie
JP6078222B2 (ja) * 2011-06-15 2017-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CN103254816A (zh) * 2012-02-15 2013-08-21 日东电工株式会社 表面保护片
CN103254813A (zh) * 2012-02-15 2013-08-21 日东电工株式会社 表面保护片
JP5937426B2 (ja) 2012-05-30 2016-06-22 帝人株式会社 接着用構成体
CN104685387B (zh) * 2012-10-02 2017-09-05 日东电工株式会社 保护膜和设置有保护膜的偏光板
KR101640106B1 (ko) * 2012-12-14 2016-07-1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접착제 조성물 및 정밀 페인트 선 생성용 마스킹 용품
EP3237541A1 (en) 2014-12-22 2017-11-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ions and films comprising polylactic acid polymer, polyvinyl acetate polymer and plasticizer
CN108473837B (zh) * 2015-12-14 2021-01-01 3M创新有限公司 包括粘合剂层的基于聚乳酸聚合物的膜
JP7090555B2 (ja) * 2016-05-20 2022-06-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配向されたポリ乳酸ポリマー系フィルム
US10982090B2 (en) 2016-06-21 2021-04-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raphic articles comprising polylactic acid polymer based film
CN110498914B (zh) * 2018-05-17 2022-06-03 臻鼎科技股份有限公司 改性的液晶高分子聚合物、高分子膜及相应的制备方法
JP7258475B2 (ja) 2018-05-23 2023-04-17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付偏光板
JP7426260B2 (ja) * 2020-03-06 2024-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CN115491144A (zh) * 2022-10-14 2022-12-20 深圳深汕特别合作区昌茂粘胶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抗静电聚乳酸低粘电子保护膜标签的制备
CN115637113A (zh) * 2022-11-04 2023-01-24 深圳深汕特别合作区昌茂粘胶新材料有限公司 一种黑色遮光pp抗静电保护膜制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9133B2 (en) * 1981-01-15 1990-04-11 Battelle Development Corporation Photo setting composition for coating substrates with an abrasion-resistant transparent or translucent film
JP3046346B2 (ja) * 1990-03-12 2000-05-29 昭和電工株式会社 外用剤基剤又は補助剤とそれを含有する人又は動物の外用剤
KR100209818B1 (ko) * 1992-09-04 1999-07-15 사또 아끼오 분해성점착필름 및 분해성수지조성물
TW446637B (en) * 1996-05-28 2001-07-21 Mitsui Chemicals Inc Transparent laminates and optical filters for displays using the same
JP3675218B2 (ja) * 1998-04-06 2005-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その施工方法およびその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用いた発電装置
JP2000238449A (ja) * 1999-02-18 2000-09-05 Fuji Photo Film Co Ltd 水なし平版印刷原版
US6480250B1 (en) * 1999-06-02 2002-11-12 Fuji Photo Film Co., Ltd. Low-reflection transparent conductive multi layer film having at least on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having anti-smudge properties
DE10103026A1 (de) * 2001-01-24 2002-07-25 Bayer Ag Schutzüberzug mit zweischichtigem Beschichtungsaufbau
EP1293521B1 (en) * 2001-09-13 2008-02-13 JSR Corporation Cyclic olefin addition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rosslinkable composition, crosslinked product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optically transparent material and application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048A (ko) * 2014-10-20 2017-06-21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시트용 기재 및 표면 보호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05136A1 (en) 2004-01-08
JP2004034631A (ja) 2004-02-05
CN1470887A (zh) 2004-01-28
TW200403149A (en) 200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05628A (ko) 광학필름용 표면보호필름
EP1619228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4279118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こ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
JPH11256116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0936512B1 (ko) 필름
JP5047557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と粘着性光学部材
EP1102108B1 (en) Method of protec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JP2001030427A (ja) 表面保護用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積層体
JP2000026817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313456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US20140030518A1 (en) Surface-protecting film
JPH11256115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H05331431A (ja) 導電性透明保護フィルム
JP2004082371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768099B2 (ja) フィルムロール
JP2003027019A (ja) 光学シート保護用粘着フィルム
KR20050085025A (ko) 광학 부재의 표면 보호 필름
JP2004029204A (ja) 光学シート保護用粘着フィルム
TW201934318A (zh) 帶表面保護薄膜的光學層疊體
JP200506691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8168373A (ja) 帯電防止粘着テープ
JPH06344514A (ja) 離型フイルム
JP3140258B2 (ja) 離型フイルム
KR20090075360A (ko)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KR101956772B1 (ko)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