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772B1 -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772B1
KR101956772B1 KR1020120108725A KR20120108725A KR101956772B1 KR 101956772 B1 KR101956772 B1 KR 101956772B1 KR 1020120108725 A KR1020120108725 A KR 1020120108725A KR 20120108725 A KR20120108725 A KR 20120108725A KR 101956772 B1 KR101956772 B1 KR 101956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release
weight
film
solvent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190A (ko
Inventor
서기봉
엄태수
송정한
송지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7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은 대전방지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이형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그 필름 기재의 일면에 수산기와 프로페닐기 또는 이소 프로페닐기를 함유한 프로페닐 또는 이소프로페닐 폴리실록산 고형분 5중량%를 넘지 않도록 함유하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1중량% 이하, 박리력 모디파이어제 0.5중량% 이하, 백금 촉매 0.01중량% 이하의 용제로 이루어진 실리콘 이형액을 일정한 도포두께로 코팅된 실리콘 이형층이 형성되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은 이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대전방지 특성을 함유함으로 인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먼지나 이물질 부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고기능성 이형필름인 MLCC 이형 캐리어용 및 편광판 이형, 편광판 보호 이형(Separator), 의료용 이형, 전기전자, 디스플레이 보호이형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우수한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의 특성을 발현함으로써 특히 보호 이형에서 적극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Antistatic release liner having an excellent solvent resistanc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일면에 경시안정성과 상온 상습 조건에서 숙성(Aging) 후 러브오프 물성이 매우 우수한 실리콘 이형 코팅층과 반대 면에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코팅성과 대전방지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필름인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근년 들어 전자전기 산업분야, 디스플레이 제조공정 및 자동차 산업분야에서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각종 산업용 자재로서 점착 필름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점착필름을 구성하는 이형필름은 기재 필름에 이형제가 코팅되어 형성된다. 이형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이형제는 실리콘 주쇄, 실리콘 경화제, 촉매 등으로 나눠져 있으며, 주쇄의 경우는 비닐폴리실록산이며 경화제는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이며 일정 박리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박리력 모디파이어제를 첨가한다. 종래 이형필름의 용도는 MLCC, 라벨이나 감압테이프 등의 지지체로 많이 사용되는 이형지가 그 주류를 이루나, 근래 들어서는 기재가 종이가 아니라 내열성이 좋은 PET 필름에 실리콘 코팅처리를 하여 얻어지는 이형필름이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산업에서 그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LCD 제조 공정 중 편광판을 액정 글래스에 부착시키는 공정에서 주위의 먼지가 혼입됨으로써 발생하는 불량으로 인한 수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고 있다. 이러한 대전방지 특성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0102899호에서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보호필름"이라는 명칭으로, "LiPF6, LiBF4, LiSbF6, LiClO4, LiCF3SO3, LiAsF6, LiC(CF3SO3)3, LiN(CF3SO3)2, LiNH2, LiN(C2H5)2, LiI, LiBr, LiCl, LiF, NaPF6, NaClO4, NaI, NaSCN, KSCN, KPF6 또는 KClO4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한 양이온 금속염을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에틸렌 글리콜 또는 디메틸 포름아미드에서 선택되는 양이온 전도 유기 화합물 및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트리스클로로메틸 에스테르 또는 디메틸 술폭사이드에서 선택되는 음이온 전도 유기 화합물과 차례로 반응시켜 제조된 이온 콤프렉스 고분자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로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이온 콤프렉스 고분자 대전 방지제를 1 내지 5중량부 및 경화제를 1 내지 2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발명과 같이 종래 양이온 금속염이나 양이온 트리아민계를 함유함으로써 대전방지 특성을 확보하는 기존의 양이온계 4가 암모늄 대전방지제의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요구하는 표면저항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음이온계에 비하여 다량의 함유량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지된 대전방지성의 원리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수성기와 친수성기를 동시에 가지는 대전방지제로써 소수성기는 필름의 표면에, 친수성 부위는 대기 쪽으로 향해 배향하여 표면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층을 형성시키게 되어 대전방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형필름은 한쪽 면은 이형성을 반대면은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 함으로써 대전방지층이 이형필름상에 전하가 대전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그 우수한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대전방지 이형필름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특히, 편광판에 합지된 대전방지 이형필름은 검사 최종 단계에서 표면에 붙은 이물 및 접착제 제거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용매에 코팅층이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동시에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코팅층이 요구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리고 대전방지 코팅층에 우수한 내마찰성과 내용제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기 위해 예의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01028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고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폴리에스터 필름에 한 층은 실리콘을 도포함으로써 이형성을 부여하고 반대면은 대전방지 코팅을 부여하여 우수한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과 더불어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대전방지 이형 필름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코팅층은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 향상을 위하여 프로페노익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wt% 이하와 반응성이 우수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트 삼량체 0.2wt% 이하로 구성하며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일정비율로 부가하여 코팅층을 구성함에 의해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뛰어나면서, 대전방지성을 위한 물질을 소량 사용하면서도 대전방지 기능이 우수한 코팅층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을 제공할 수 있어 달성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은;
대전방지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이형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그 필름 기재의 일면에 수산기와 프로페닐기 또는 이소 프로페닐기를 함유한 프로페닐 또는 이소프로페닐 폴리실록산 고형분 5중량%를 넘지 않도록 함유하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1중량% 이하, 박리력 모디파이어제 0.5중량% 이하, 백금 촉매 0.01중량% 이하의 용제로 이루어진 실리콘 이형액을 일정한 도포두께로 코팅된 실리콘 이형층이 형성되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실록산은 다음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79421954-pat00001
여기서, R1은
Figure 112012079421954-pat00002
이고,
R2는
Figure 112012079421954-pat00003
또는
Figure 112012079421954-pat00004
이고,
l, m, n은 폴리머 구조를 갖는 최소 분자량을 가지는 5 이상의 정수임.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이형층의 건조 후 코팅두께는 0.05 내지 1.5um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필름의 반대 면에 프로페노익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중량% 이하와 반응성이 우수한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 삼량체 0.2중량% 이하, 음이온게 계면활성 1중량% 이하로 구성된 조성물을 코팅한 대전방지 코팅층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대전방지층의 두께는 0.1um 이하로 표면저항값은 1 × 1011Ω/□ 이하의 값을 가지고 6% 이하의 헤이즈(Haze)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적어도 2축 이상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의 낮은 배향각을 만족하는 기재와 그 기재 일면에 실록산계 이형 조성물로 도포된 실리콘 이형층으로서, 반대 면에 대전방지층을 포함하는 대전방지 이형필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대전방지 코팅층은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하며 표면저항값은 1 × 1011Ω/□ 이하로 하며, 이형코팅층의 박리력은 12g 이하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콘 이형액 조성은 프로페닐기 이상의 반응기와 수산기를 포함한 폴리실록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박리력 모디파이어, 백금촉매 등을 포함한 이형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코팅 후 경화를 진행하므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우수한 접착 특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은 이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대전방지 특성을 함유함으로 인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먼지나 이물질 부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고기능성 이형필름인 MLCC 이형 캐리어용 및 편광판 이형, 편광판 보호 이형(Separator), 의료용 이형, 전기전자, 디스플레이 보호이형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우수한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의 특성을 발현함으로써 특히 보호 이형에서 적극 활용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이형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대전방지 특성을 확보하는 양이온계 및 음이온계의 ㅊ머가량에 따른 표면 저항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대전방지성의 원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박리력 모디파이어의 경우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전방지 특성이 우수한 실리콘 이형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에 한 면에 수산기와 프로페닐기를 함유한 프로페닐 또는 이소프로페닐 폴리실록산 고형분 5중량% 이하를 함유하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1중량% 이하, 박리력 모디파이어제 0.5중량% 이하, 백금 촉매 0.01중량% 이하의 용제로 이루어진 실리콘 이형액을 일정한 도포두께로 코팅된 실리콘 이형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산기와 프로페닐기를 함유한 폴리실록산과, 상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은 다음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79421954-pat00005
여기서, R1은
Figure 112012079421954-pat00006
이고,
R2는
Figure 112012079421954-pat00007
또는
Figure 112012079421954-pat00008
이고,
l, m, n은 폴리머 구조를 갖는 최소 분자량을 가지는 5 이상의 정수임.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l, m, n은 정수로, 정수가 클수록 박리력이 증가하는 특징을 가진다.
도 5는 박리력 모디파이어의 경우를 모식화한 것이다.
도 5a는 박리력 모디파이어의 모식도로, 실록산 레진을 비닐기와 OH기의 다수 포함하고 있어 도 5b와 같이 실리콘 사슬에 직접 반응하여 사슬의 꼬임을 가속화한다. 또한 도 5c와 같이 구조적 꼬임을 형성하여 이형력을 부여하는 CH3의 배열을 방해하여 그 결과 표면 에너지를 높여 줌으로써 박리력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이형층의 건조 후 코팅두께는 0.05 내지 1.5㎛로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실록산은 유전체로서 낮은 극성을 가진다(D.W Van Krevelen Properties of Polymers 3Rd ed.).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이형필름은 점착제 보호 및 박리 시 주행 중 발생하기 쉬운 정전기 특성이 있음으로 인해 이물혼입 및 박리불안정성을 항상 잠재될 수 밖에 없다. 이는 정전기 특성이 온도, 상대습도 등에 의존성을 가지기 때문에 계절 및 경시안정성이 불안한 인자를 항상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실리콘 이형필름에 대전방지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이물혼입을 막아 전기전자 디스플레이용 점착제의 광학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박리 균일성을 확보하는 것이 박리 이형필름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기술적인 과제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제를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용이하게 해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고 적어도 한쪽 면에 이형코팅과 다른 면에 대전방지 코팅을 실시하며, 이를 이용한 필름은 각종 이형시장에서 고급화 및 차별화될 수 있는 용도로 편광판 이형필름(Polarized film), MLCC (Multi-Layer-Ceramic Capacitor) 제조시 사용되는 캐리어(Carrier) 이형, LCD 보호 이형필름, 오버라이네이션 용도, 의료용 패시(pathy), FPC보호 필름 그리고 심전도보호 필름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이형제 조성물(이하 "이형액"이라고도 한다)은 수산기를 함유한 프로페닐 폴리실록산 고형분 1~3g으로 5중량%를 함유하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1중량%, 백금 촉매 중량 0.01중량%의 용제로 이루어진 이형액으로 구성 되어 지며, 상기 프로페닐 폴리실록산 고형제의 평균 입자 크기는 0.05 내지 0.1㎛이다. 상기 실리콘 이형제 조성물은 OPP, PET, NYRON, CPP, LDPE, HDPE, LLDPE, EVOH, 합성지, 각 PVDC 코트 필름, PET 필름 및 알루미나 증착PET, 종이 등,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의 적층 소재의 필름, 크라프트지 등의 위에 직접 도포될 수 있으며, 이형제 조성물 중 전체 고형분 함량은 4 내지 5중량%이며 고형분 함량이 2g 이하로 유지될 경우 박리력의 경시성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코팅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못하여 외관적으로 종방향 줄, 코팅 레인보우/결점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대전방지제 조성물(이하 "대전방지액"이라고도 한다)은 내마찰성 및 내마모성 향상을 위하여 경화성이 우수한 프로페노익 아세테이트 폴리머와 반응성이 우수한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 삼량체 경화제로 구성하며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가 일정비율로 부가된다. 여기서 상기 계면활성제 함량이 1wt% 이상을 초과하게 되면 블록현상 발생이 높아 적절한 수준의 대전방지 함량을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소수성기와 친수성기가 표층으로 균일한 배열을 하지 못하고 마이셀을 형성하게 될 경우에는 대전방지액을 100rpm 이상의 속도에 1시간 이상의 교반을 추가로 실시하며 벤질 알코올(고급알코올계)의 용제 중량 1~5%로 가량 첨가를 시켜주면 균일한 코팅층 형성에 다소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실시예 1
(이형코팅층)
프로페닐 실록산계 (다우코닝 제품) ---------------------- 5.0 wt%
박리력 모디파이어 (다우코닝 제품) --------------------- 0.2 wt%
백금계 촉매(다우코닝 제픔)----------------------------- 0.01 wt%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다우코닝 제픔) ------------------- 1.0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헵탄 ----------------- 94 wt%
(대전방지층)
프로페노익 아세테이트 폴리머 (Sensho사 제품) ---------------- 2.0 wt%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 삼량체 경화제 (애경화학 제품) ------ 0.1 wt%
트리 아민계 대전방지제 (Kao사 제품) ----------------- 0.5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 ----------------- 97 wt%
본 실시예 1의 이형코팅층의 박리력은 9.3g/25mm이고, 잔류 접착률은 92%이고,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은 3.5 X 109 Ω/□이었다.
실시예 2
(이형코팅층)
프로페닐 실록산계 (다우코닝 제품)-------------------------- 5.0 wt%
박리력 모디파이어 (다우코닝 제품) )------------------------- 0.2 wt%
백금계 촉매(다우코닝 제픔)------------------------------- 0.01 wt%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다우코닝 제픔) ------------------- 1.0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헵탄 ----------------- 94 wt%
(대전방지층)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애경화학 제품) ---------------------- 0.5 wt%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 삼량체 경화제 (야경화학 제품)------ 1.0 wt%
4 트리 아민계 대전방지제 (Kao사 제품) ----------------- 0.5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 ----------------- 97 wt%
본 실시예 2의 이형코팅층의 박리력은 9.5g/25mm이고, 잔류 접착률은 92%이고,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은 6.2 X109 Ω/□이었다.
실시예 3
(이형코팅층)
프로페닐 실록산계 (다우코닝 제품)--------------------------- 5.0 wt%
박리력 모디파이어 (다우코닝 제품) )-------------------------- 0.2 wt%
백금계 촉매(다우코닝 제픔)------------------------------- 0.01 wt%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다우코닝 제픔) ------------------- 1.0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헵탄 ----------------- 94 wt%
(대전방지층)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코니츠사 제품) ------------------------ 0.5 wt%
에폭시 수지 (코니츠사 제품)-------------------------------- 0.5 wt%
트리 아민계 대전방지제 (Kao사 제품) ----------------- 0.5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 ----------------- 97 wt%
본 실시예 3의 이형코팅층의 박리력은 9.4g/25mm이고, 잔류 접착률은 91%이고,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은 1.0 X1010 Ω/□이었다.
비교예
하기 비교예는 실시예 1에 사용한 수지 및 경화제의를 적용하여 트리 아민계 대전방지제를 중량을 각각 0.5, 0.25. 0.15wt% 되도록 변경하여 코팅하였으며, 코팅 조건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형코팅층)
프로페닐 실록산계 (다우코닝 제품)--------------------------- 5.0 wt%
박리력 모디파이어 (다우코닝 제품) )-------------------------- 0.2 wt%
백금계 촉매(다우코닝 제픔)------------------------------- 0.01 wt%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다우코닝 제픔) ------------------- 1.0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헵탄 ----------------- 94 wt%
(대전방지층)
프로페노익 아세테이트 폴리머 (Sensho사 제품) ---------------- 2.0 wt%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 삼량체 경화제 (애경화학 제품)------ 0.1 wt%
트리 아민계 대전방지제(Kao사 제품) ----------------- 2.0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 ----------------- 97 wt%
본 비교예 1의 이형코팅층의 박리력은 9.6g/25mm이고, 잔류 접착률은 92%이고,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은 1.2 X109 Ω/□이며, 대전 방지 코팅층에서 블록현상 발생하였다.
비교예 2
(이형코팅층)
프로페닐 실록산계 (다우코닝 제품)-------------------------- 5.0 wt%
박리력 모디파이어 (다우코닝 제품) )------------------------ 0.2 wt%
백금계 촉매(다우코닝 제픔)------------------------------- 0.01 wt%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다우코닝 제픔) ------------------- 1.0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헵탄 ----------------- 94 wt%
(대전방지층)
프로페노익 아세테이트 폴리머 (Sensho사 제품) ----------------- 2.0 wt%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 삼량체 경화제 (애경화학 제품)------- 0.1 wt%
트리 아민계 대전방지제(Kao사 제품) ----------------- 0.25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 ----------------- 97 wt%
본 비교예 2의 이형코팅층의 박리력은 9.5g/25mm이고, 잔류 접착률은 92%이고,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은 2.5 X109 Ω/□이었다.
비교예 3
(이형코팅층)
프로페닐 실록산계 (다우코닝 제품)-------------------------- 5.0 wt%
박리력 모디파이어 (다우코닝 제품) )------------------------- 0.2 wt%
백금계 촉매(다우코닝 제픔)------------------------------- 0.01 wt%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다우코닝 제픔) ------------------- 1.0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헵탄 ----------------- 94 wt%
(대전방지층)
프로페노익 아세테이트 폴리머 (Sensho사 제품) ---------------- 2.0 wt%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 삼량체 경화제 (애경화학 제품) ------ 0.1 wt%
트리 아민계 대전방지제(Kao사 제품) ----------------- 0.15 wt%
메틸에틸케톤/톨루엔 ----------------- 97 wt%
본 비교예 3의 이형코팅층의 박리력은 9.3g/25mm이고, 잔류 접착률은 92%이고,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은 4.8 X1011 Ω/□이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필름의 내마찰성을 평가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구분 미코팅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최초표면
Figure 112012079421954-pat00009
Figure 112012079421954-pat00010
Figure 112012079421954-pat00011
Figure 112012079421954-pat00012
왕복 1회
Figure 112012079421954-pat00013
Figure 112012079421954-pat00014
Figure 112012079421954-pat00015
Figure 112012079421954-pat00016
왕복 2회
Figure 112012079421954-pat00017
Figure 112012079421954-pat00018
Figure 112012079421954-pat00019
Figure 112012079421954-pat00020
왕복 3회
Figure 112012079421954-pat00021
Figure 112012079421954-pat00022
Figure 112012079421954-pat00023
Figure 112012079421954-pat00024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왕복 1회 시험 결과: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미코팅면, 왕복 2회 시험 결과: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미코팅면, 그리고 왕복 3회 시험 결과: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미코팅면의 순서로 내마찰성이 개선되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필름의 내용제성을 평가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냈다.
구분 미코팅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메탄올
왕복
5회
Figure 112012079421954-pat00025
Figure 112012079421954-pat00026
Figure 112012079421954-pat00027
Figure 112012079421954-pat00028
MEK
왕복
5회
Figure 112012079421954-pat00029
Figure 112012079421954-pat00030
Figure 112012079421954-pat00031
Figure 112012079421954-pat0003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용제성 평가로 메탄올 왕복 5회 시험 결과: 미코팅면 > 실시예 > 실시예2 > 실시예3, 그리고 MEK 왕복 5회 시험 결과: 미코팅면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의 순서로 내용제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코팅을 하지 않을 시 내용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필름의 박리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통해 제조된 이형필름에 25mm 점착테이프(TESA 7475)를 고무롤 하중으로 밀착시켜 측정용 샘플을 만든 후 180°, 0.3 mpm의 속도로 분리시키면서 걸리는 힘을 측정하여 박리력(g/25mm)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냈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통해 제조된 이형필름에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실시예의 경우 음이온계 대전방지제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의 경우 양이온계 대전방지제를 사용하였다. 대전방지제의 중량을 각각 0.5%, 0.1%로 동일하게 코팅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대전방지 측정기(미츠비시㈜ : 모델명 MCP-T600)를 이용하여 온도 23℃, 습도 50%RH의 환경하에 시료를 설치한 후 JIS K7194에 의거하여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대전방지 표면을 측정하였을 때, 1X1012 Ω/□이하, 바람직하게는 1X10 10 Ω/□이하의 표면저항 수치를 가진다. 이때 표면저항의 값이 1X10 12 Ω/□를 초과하면 박리대전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는 다음 표 3에 나타냈다.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통해 제조된 이형필름에 25mm 점착테이프(TESA 7475)를 고무롤 하중으로 밀착시켜 측정용 샘플을 만든 후 70℃, 오븐 내에서 20g/cm2의 압력으로 하중을 가하면서 20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이것을 상온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점착테이프를 오염되지 않게 때어내어 표면이 매끈한 표준철판에 3kg의 하중으로 밀착시킨다. 또한, 사용한 적이 없는 새 점착 테이프를 같은 철판의 표면에 동일조건으로 밀착하여 샘플을 준비한다. 이 두 샘플을 180°, 0.3mpm의 속도로 분리시키면서 걸리는 힘을 측정하여 아래의 수학식 1로 잔류접착률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냈다.
[수학식 1]
잔류접착율(%) = 이형박리력을 측정한 후의 점착테이프의 점착력/새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 × 100
항목 박리력(g/25mm) 표면저항 (Ω/□) 잔류접착률(%)
실시예 1 9.3 3.9 X 109 92
실시예 2 9.5 6.2 X 109 92
실시예 3 9.4 1.0 X 1010 91
비교예 1 9.6 1.2 X 109 92
비교예 2 9.5 2.5 X 109 92
비교예 3 9.3 4.8 X 1011 92
상기 실험예 1 내지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내마찰성과 내용제성 향상을 목적으로 코팅층을 변경하였으며 실시예 1이 가장 우수한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3에서 확인할 수 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박리력, 표면저항과 잔류접착률 모두 우수한 물성을 가지나 상기 평가와 같이 실시예 1이 가장 우수한 내용제성 및 내마찰성 특성을 가진다. 비교예 1 내지 3과 같이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지 및 경화제를 사용하였으나 대전방지제 함량에 따라 표면 저항값이 4.8 X 1011까지 높아서 정전기 특성이 나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비교예 1과 같이 과량의 대전방지제를 사용할 시에는 블록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불량을 유발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에 관련된 이형필름 또는 세라믹 이형용, 고급 라벨 이형용 등의 기능성 이형필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과, 그 일측면에 실리콘 이형액이 도포 후 건조되어진 실리콘 이형층과, 또 다른 일측면에 대전 방지액이 도포 후 건조되어진 대전방지층으로 이루어진 대전방지 이형필름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적어도 2축이상 연신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실리콘 이형액은, 수산기와 프로페닐 또는 이소 프로페닐기를 함유한 폴리실록산의 고형분과,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과, 박리력 모디파이어제와, 백금촉매가 용제에 용해된 것을 사용하는데, 상기 폴리실록산의 고형분의 함량은 0.5 내지 5중량%,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은 0.1 내지 1중량%, 박리력 모디파이어제는 0.05 내지 0.5중량%, 백금촉매는 0.001 내지 0.01중량%이고,
    상기 대전방지액은, 프로페노익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반응성이 우수한 핵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 삼량체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용제에 용해된 것을 사용하는데, 상기 프로페노익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0.2 내지 2중량%,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 삼량체는 0.02 내지 0.2중량%,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0.25 내지 0.5중량%이며,
    상기 실리콘 이형층의 건조 후 두께는 0.05 내지 1.5㎛가 되고, 대전방지층의 건조 후 두께는 0.01 내지 0.1㎛로서 표면 저항값이 1 × 1011Ω/□ 이하의 값을 가지고 6% 이하의 헤이즈(Haz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은 다음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2079421954-pat00033

    여기서, R1은
    Figure 112012079421954-pat00034
    이고,
    R2는
    Figure 112012079421954-pat00035
    또는
    Figure 112012079421954-pat00036
    이고,
    l, m, n은 폴리머 구조를 갖는 최소 분자량을 가지는 5 이상의 정수임.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08725A 2012-09-28 2012-09-28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956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25A KR101956772B1 (ko) 2012-09-28 2012-09-28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25A KR101956772B1 (ko) 2012-09-28 2012-09-28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190A KR20140043190A (ko) 2014-04-08
KR101956772B1 true KR101956772B1 (ko) 2019-06-25

Family

ID=5065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725A KR101956772B1 (ko) 2012-09-28 2012-09-28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9185B (zh) * 2019-06-14 2021-05-11 江苏双星彩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mlcc离型膜基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7496A (ja) * 2006-03-07 2007-09-20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離型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899A (ko) 2005-03-25 2006-09-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광학용 집광유닛 및 그를 포함한 건강 진단기
KR100672857B1 (ko) * 2005-06-13 2007-01-2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실리콘 이형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이형 플라스틱필름
KR101200556B1 (ko) * 2010-06-10 2012-11-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7496A (ja) * 2006-03-07 2007-09-20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離型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190A (ko)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1485B (zh) 表面保護膜及貼合有該表面保護膜之光學零件
KR100836177B1 (ko) 대전방지 실리콘 이형필름
CN110317550B (zh) 一种oled薄膜封装制程用pu保护膜及其制备方法
TWI617646B (zh) 防靜電表面保護膜之製造方法及防靜電表面保護膜
TW200403149A (en) Surface protection film for optical film
KR101375948B1 (ko) 점착 보호필름
CN105670536B (zh) 粘着剂层和粘着膜
CN108333649B (zh) 偏振板
CN106257312A (zh) 偏光板、偏光板的制造方法以及包括偏光板的光学显示器
CN103492510A (zh) 表面保护膜
TW201542755A (zh) 聚矽氧系黏著帶
CN114891472B (zh) 一种聚氨酯胶黏剂、聚氨酯保护膜及制备方法
KR100969779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CN103242754A (zh) 用于平板显示器的防止玻璃飞散的薄膜
CN112852323A (zh) 一种pet防静电亚克力保护膜及其制备方法
KR101956772B1 (ko) 내용제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1480100A (zh) 偏振片用层叠体、偏振片、层叠体膜卷、偏振片用层叠体的制造方法及偏振片的制造方法
KR101585512B1 (ko) 전도성층을 포함하는 무 기재 타입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TW201936835A (zh) 表面保護膜及附保護膜之光學構件
CN103492511A (zh) 表面保护膜
KR101803884B1 (ko) 무 기재 타입 디태치 방식의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63531A (zh) 压敏粘合剂组合物
CN109923189B (zh) 用于制造压敏粘合膜的方法
KR20110057723A (ko) 내수성 및 표면경도가 우수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101306039B1 (ko)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