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282B1 -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 Google Patents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282B1
KR101463282B1 KR1020097023833A KR20097023833A KR101463282B1 KR 101463282 B1 KR101463282 B1 KR 101463282B1 KR 1020097023833 A KR1020097023833 A KR 1020097023833A KR 20097023833 A KR20097023833 A KR 20097023833A KR 101463282 B1 KR101463282 B1 KR 101463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ne particles
average particle
ligh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800A (ko
Inventor
유타카 오노자와
사토루 소시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3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Abstract

본 발명은, 광투과성 기재(基材)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A),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B)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으로서, (B)층을 적층한 후의 (B)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B))가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A))보다도 1μm이상 작고, 또한 (B)층을 적층한 후의 헤이즈치(Hz(B))가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만을 적층한 후의 헤이즈치(Hz(A))보다도 1.5%이상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은, 방현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화상상의 흑색을 한층 더 짙은 흑색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ANTI-GLARE LIGHT-TRANSMITTING HARD COAT FILM}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LCD), 플라스마디스플레이(PDP) 등에 사용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에 관한 것이다.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은, LCD, 및 LCD와 조합해서 사용하는 터치 패널 용도로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PDP 용도로도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종래,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은, 시인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고정세품이 선호되었지만, 최근에는 고정세품화에 부가해서 화상상의 흑색을 한층 더 짙은 흑색으로 표시 가능한 고콘트라스트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요망에 대해서, 미립자 함유 경화수지층에 클리어 경화수지층을 적층한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325901호 공보 참조). 그러나, 최표층의 클리어 경화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적당한 표면거칠기로 할 수 있으며, 화상상의 흑색을 한층 더 짙은 흑색으로 표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방현성이 불충분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광확산층 위에 방현층을 적층한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이 제안되 고 있다(일본국 특개2004-4777호 공보 참조). 이 제안에서는, 광확산층을 가능한 한 평탄하게 제작하고, 방현층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는, 밑바탕의 표면거칠기보다도, 최표층의 표면거칠기 쪽이 커지며, 화상상의 흑색을 한층 더 짙은 흑색으로 표시하게 하는 데에 불충분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상황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방현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고, 또한 화상상의 흑색을 한층 더 짙은 흑색으로 표시(본 발명에서는, 「색조」가 개선된다고 함)할 수 있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콘트라스트화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표면의 요철형상과 이 크기에 크게 좌우되는 것을 발견하고, 또한 예의 검토를 한 결과, 광투과성 기재(基材)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A),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B)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으로서, (B)층에 분산시킨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A)층에 분산시킨 미립자의 평균입경보다 작고, (A)층과 (B)층의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차가 0.5~5.0μm이고,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 Ra(A)가 0.2~0.8㎛이고,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A))와, (B)층을 적층한 후의 (B)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B))의 관계가 하기식(1)을 충족하고, 또한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만을 적층한 후의 헤이즈치(Hz(A))와, 또한 (B)층을 적층한 후의 헤이즈치(Hz(B))의 관계가 하기식(2)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식견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A),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B)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으로서, (B)층에 분산시킨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A)층에 분산시킨 미립자의 평균입경보다 작고, (A)층과 (B)층의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차이가 0.5~5.0μm이고,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 Ra(A)가 0.2~0.8㎛이고,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A))와, (B)층을 적층한 후의 (B)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B))의 관계가 하기식(1)을 충족하고, 또한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만을 적층한 후의 헤이즈치(Hz(A))와, 또한 (B)층을 적층한 후의 헤이즈치(Hz(B))의 관계가 하기식(2)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Ra(A)-Ra(B) ≥ 0.01μm (1)
Hz(A)-Hz(B) ≥ 1.5% (2)
또, 본 발명은, 상기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에 있어서, 상기 (B)층 중의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상기 (A)층 중의 미립자의 평균입경 이하로서, (B)층 중의 미립자의 배합비율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500질량부이며, 또한, (B)층 중의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10μm이하인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에 있어서, 상기 (B)층의 막두께가, 상기 (A)층의 막두께 이하이며, (B)층의 막두께가 0.1~10μm인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A)층 및 (B)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A) 및 (B)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으로서, (B)층에 분산시킨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A)층에 분산시킨 미립자의 평균입경보다 작고, (A)층과 (B)층에 포함되는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차가 0.5~5.0μm이고,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 Ra(A)가 0.2~0.8㎛이며, (B)층의 적층 후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B))가 하기식(3)을 충족하고, 또한 (B)층 적층 후의 표면의 최대높이(Rz(B))가 하기식(4)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0.1μm ≤ Ra(B) ≤ 0.5μm (3)
0.10μm ≤ Rz(B) ≤ 2.70μm (4)
또, 본 발명은, 상기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에 있어서, (B)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0.01 ~ 10μm인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
본 발명에서, 광투과성 기재필름으로서는, 다양한 플라스틱시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각종 합성수지의 필름을 들 수 있으며, 특히, 고강도이며 염가이기 때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이 바람직하다. 광투과성 기재필름은, 단층이어도 되고, 동종 또는 이종의 2층 이상의 다층이어도 된다.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두께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통상 10~350μm가 바람직하고, 25~300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50~250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표면은, 역접착처리를 해도 된다. 역접착처리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코로나방전처리나,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수지와 동일성분의 저분자량의 수지 폴리머층을 형성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투과성 기재필름이 폴리에스터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인 경우는, 저분자량의 수지 폴리머로서는,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터(예를 들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A)이 적층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화수지층(A)의 표면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B)이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A))와, (B)층을 적층한 후의 (B)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B))의 관계가 하기식(1)을 충족하고, 또한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만을 적층한 후의 헤이즈치(Hz(A))와, 또한 (B)층을 적층한 후의 헤이즈치(Hz(B))의 관계가 하기식(2)을 충족한다.
Ra(A)-Ra(B) ≥ 0.01μm (1)
Hz(A)-Hz(B) ≥ 1.5% (2)
상기 관계식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방현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흑색을 검게 표시할 수 없고 백색을 띄게 되어, 색조의 개선은 달성되지 않는다.
Ra(B)와 Ra(A)의 차이는, 통상 0.01~0.35μm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0.3μm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02~0.25μm이다. Ra(B)와 Ra(A)의 차이가 0.35μm보다도 큰 경우에는, 적당한 중심선 평균거칠기를 얻지 못하고, 방현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Ra(B)와 Ra(A)의 차이가 0.01μm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색조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없다.
Hz(B)와 Hz(A)의 차이는, 통상 1.5~8.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8.0%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2.0~7.5%이다. Hz(B)와 Hz(A)의 차이가 8.5%보다도 큰 경우에는, 표면거칠기가 작아져, 방현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Hz(B)와 Hz(A)의 차이가 1.5%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색조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없다. 여기서, 방현성의 지표로서는, (B)층 적층 후의 헤이즈치 Hz(B)와 60˚ 그로스를 들 수 있다. Hz(B)는 3%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60˚그로스는 140 이하가 바람직하다. Hz(B)가 3% 미만에서는 충분한 방현성이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60˚ 그로스가 140을 초과하면, 표면 광택도가 커서(광의 반사가 큼), 방현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된다. 단, Hz(B)가 너무 지나치게 높으면 광투과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방현성이나 투명성 등의 균형의 면에서, Hz(B)는 3~40%가 바람직하고, 5~3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Ra(A)는, 통상 0.2~0.8μm가 바람직하고, 0.3~0.6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Ra(B)는, 통상 0.1~0.5μm가 바람직하고, 0.15~0.4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B)층의 표면의 요철의 최대높이 Rz(B)는, 0.10~2.7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0.5~2.5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2.00μm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색조의 개선과 방현성의 부여를 양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범위의 Rz(B)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A)층의 표면의 요철의 최대높이 Rz(A)는, 1.9~7.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6.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1~5.Oμm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Rz(B)와 Rz(A)의 차이는, 통상 0.10~5.00μm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4.00μm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25~2.00μm이다.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해서, 필요에 따라서 건조하고, 그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을, (A)층의 경화수지층의 표면에 도포할 때에는, (A)층의 경화수지층은, 충분히 경화된 상태이어도 되고, 충분히 경화가 진행되는 도중의 단계의 이른바 하프 큐어의 상태이어도 된다. 하프 큐어의 상태의 경우에는, (A)층과 (B)층의 밀착성을 향상할 수 있다.
(A)층 및 (B)층에 사용되는 미립자로서는, 유기미립자, 무기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유기미립자로서는,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스타이렌-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미노계 수지, 디비닐벤젠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요소계 수지, 페놀계 수지, 벤조그아나민계 수지, 크실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실리콘미립자가 바람직하다.
또, 무기미립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진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실리카미립자가 바람직하고, 합성 실리카미립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미립자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조합해서 이용하는 경우, 유기미립자와 무기미립자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A)층 및 (B)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 없이, 예를 들면, 무정(無定)형상, 진구(眞球)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들 수 있지만, 방현성의 관점에서는, 무정형상이 바람직하다.
(B)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A)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평균입경 이하이다. (A)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평균입경 쪽이 작으면, 색조를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B)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통상 0.01~10μm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8μm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02~5μm이다. (A)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B)층을 적층해도 색조의 개선이 곤란한 경우가 있으며, 또, 고정세화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A)층과 (B)층의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0~5.0μ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μm이다. 또한, 각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1.Oμm이상의 경우에는 침강법에 의해, 1.Oμm미만의 경우에는 전자현미경에 의해 산출된 것이다.
(B)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배합비율은, 통상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5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400질량부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1~300질량부이다. (B)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배합비율이 낮은 경우에는, 충분한 방현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B)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배합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의 경도가 저하되어서, 내찰상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A)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배합비율은, 통상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0.5~5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질량부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5~35질량부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서는, 불포화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또는 이들을 함유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나 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트 등의 2작용기 이상을 가지는 다관능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아크릴계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나 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터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올리고머의 수산기와 (메타)아크릴산과의 반응에 의해 에스터화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다가 카르복시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양말단부에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에 의해 에스터화됨으로써, 또는 다가 카르복시산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해서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부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에 의해 에스터화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α선, β선, γ선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화성 조성물에는,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등의 공지된 광중합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고, 또, 올리고머형 광중합개시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광중합개시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과 광중합개시제의 배합비율은, 통상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광중합개시제가 0.01~2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1~10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올리고머형 광중합개시제를 이용하면 중합개시제에 유래하는 가스의 발생을 거의 방지할 수 있다.
(A)층과 (B)층의 합계 막두께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1~50μm가 바람직하고, 2~3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3~20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B)층의 막두께가, (A)층의 막두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의 막두께는, (A)층의 막두께보다도 크면, 방현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B)층의 막두께는, 통상 0.1~10μm가 바람직하다. (B)층의 막두께가 0.1μm미만이면, (A)층의 표면의 요철의 계곡부(谷部)를 적당히 메울 수 없어, 색조개선의 효과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또, (B)층의 막두께가 10μm를 초과하면, 방현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B)층 표면의 경도는, 스틸울(steel wool) 경도로 2OOg/㎠ 이상의 하중을 부가한 경우이어도 흠이 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경화성 조성물에는, 항균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항균제로서는, 인산 지르코늄을 담지체로 한 은계 무기항균제, 제올라이트를 담지체로 한 은계 무기항균제, 인산 칼슘을 담지체로 한 은계 무기항균제, 실리카 겔을 담지체로 한 은계 무기항균제 등의 은계 무기항균제, 아미노산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진 유기계 항균제 등의 아미노산계 유기항균제, 질소함유 유황계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진 유기계 항균제 등, 각종 항균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항균제의 배합량은, 사용되는 항균제의 종류나 필요한 항균성, 이 유지시간 등에 맞춰서 경화성 조성물 중에 적량 배합시키면 된다.
또, 경화성 조성물에는,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촉매, 착색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레벨링제, 소포제, 중합촉진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적외선흡수제, 계면활성제, 표면개질제 등의 첨가성분을 함유시키는 것은 임의이다.
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에는, 도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희석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희석제로서는, 이소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헥산, 헵탄, 옥탄, 노난, 데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터,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디이소프로필케톤 등의 케톤,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희석제의 배합량은, 요구되는 점도가 되도록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의 광투과성 기재필름에의 도포방법은, 예를 들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커튼 코트법 등 종래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은, 다양한 활성 에너지선 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하는 활성 에너지선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자외선은, 통상은 자외선 램프로부터 폭사(輻射)되는 자외선이 이용된다. 이 자외선 램프로서는, 통상 파장 300~400㎚의 영역에 스펙트럼 분포를 가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고압 수은램프, 퓨젼 H램프, 크세논 램프 등의 자외선 램프가 이용되며, 조사량은 광량으로 통상 50~300OmJ/㎠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A)층 및 (B)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광학 용도의 것,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5~100μm, 바람직하게는 10~60μm의 범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의해서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1의 조제(調製)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서의 아크릴계 하드코트제(다이니치세이카 고교(주) 제품, 상품명 「세이카 빔 EXF-01L(NS)」, 광중합개시제 함유, 고형분 100질량%) 100질량부에, 부정형 실리콘미립자(모멘티브ㆍ퍼포먼스ㆍ머티리얼즈ㆍ재팬 합동회사 제품((구)GE 토시바 실리콘(주) 제품), 상품명 「토스 펄 240」, 평균입경 4.0μm, 고형분 100질량%) 5질량부, 에틸셀로솔브 78.8질량부 및 이소부탄올 78.8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고형분 40질량%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2의 조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서의 아크릴계 하드코트제(다이니치세이카 고교(주) 제품, 상품명 「세이카 빔 EXF-01L(NS)」, 광중합개시제 함유, 고형분 100질량%) 100질량부에, 부정형상 실리콘미립자(모멘티브ㆍ퍼포먼스ㆍ머티리얼즈ㆍ재팬 합동회사 제품, 상품명 「토스 펄 240」, 평균입경 4.0μm, 고형분 100질량%) 0.5질량부, 에틸셀로솔브 200.1질량부 및 이소부탄올 200.1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고형분 20질량%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의 형성
광투과성 기재필름으로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필름(상품명 「A4300」, 토요보세키(주) 제품, 두께 100μm)의 한쪽 표면에 상기 (A)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을 메이어 바로, 경화 후의 두께가 3.5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70℃의 오븐에서 1분간 건조한 후, 고압 수은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해서(광량 180mJ/㎠), (A)층의 경화수지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A)층의 경화수지층의 표면에, 상기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을 메이어 바로, 경화 후의 두께가 2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70℃의 오븐에서 1분간 건조한 후, 고압 수은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해서(광량 30OmJ/㎠), (B)층의 경화수지층을 형성하고,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얻었다.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의 점착가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필름의 광투과성 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반대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린텍(주) 제품, 상품명 「PU-V」)를 롤 나이프 코터로, 건조 막두께 20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70℃의 오븐에서 1분간 건조해서 상기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점착 가공하였다. 그 후, 점착 가공한 면은, 실리콘 박리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박리필름에 접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2 대신에, 하기의 조제방법에 의해 제조된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3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의 점착가공을 실행하였다.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3의 조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서의 아크릴계 하드코트제(다이니치세이카 고교(주) 제품, 상품명 「세이카 빔 EXF-01L(NS)」, 광중합개시제 함유, 고형분 100질량%) 100질량부에, 진구형상 실리콘미립자(모멘티브ㆍ퍼포먼스ㆍ머티리얼즈ㆍ재팬 합동회사 제품, 상품명 「토스 펄 120」, 평균입경 2.0μm, 고형분 100질량%) 0.5질량부, 에틸셀로솔브 200.1질량부 및 이소부탄올 200.1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고형분 20질량%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B)층의 막두께를 3.5μm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의 점착가공을 실행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의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2 대신에, 하기의 조제방법에 의해 제조된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4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의 점착가공을 실행하였다.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4의 조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서의 아크릴계 하드코트제(다이니치세이카 고교(주) 제품, 상품명 「세이카 빔 EXF-01L(NS)」, 광중합개시제 함유, 고형분 100질량%) 100질량부에, 에틸셀로솔브 분산 실리카졸(쇼쿠바이 카세이 고교(주) 제품, 상품명 「OSCAL 1632」, 평균입경 0.02μm, 고형분 30질량%) 166.7질량부, 및 에틸셀로솔브 483.5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고형분 20질량%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B)층을 적층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얻었다. 즉, (A)층만을 형성한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2 대신에, 하기의 조제 방법에 의해 제조된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5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얻었다.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5의 조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서의 아크릴계 하드코트제(다이니치세이카 고교(주) 제품, 상품명 「세이카 빔 EXF-01L(NS)」, 광중합개시제 함유, 고형분 100질량%) 100질량부에, 부정형상 실리콘미립자(모멘티브ㆍ퍼포먼스ㆍ머티리얼즈ㆍ재팬 합동회사 제품, 상품명 「토스 펄 240」, 평균입경 4.0μm, 고형분 100질량%) 7질량부, 에틸셀로솔브 214질량부 및 이소부탄올 214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고형분 20질량%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2 대신에, 하기의 조제방법에 의해 제조된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6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얻었다.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6의 조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서의 아크릴계 하드코트제(다이니치세이카 고교(주) 제품, 상품명 「세이카 빔 EXF-01L(NS)」, 광중합개시제 함유, 고형분 100질량%) 100질량부에, 진구형상 실리콘미립자(모멘티브ㆍ퍼포먼스ㆍ머티리얼즈ㆍ재팬 합동회사 제품, 상품명 「토스 펄 1110」, 평균입경 11.0μm, 고형분 100질량%) 1.5질량부, 에틸셀로솔브 203질량부 및 이소부탄올 203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고형분 20질량%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하 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의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2 대신에, 하기의 조제방법에 의해 제조된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7을 이용하여, (B)층의 막두께를 5μm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을 얻었다.
(B)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 7의 조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서의 아크릴계 하드코트제(다이니치세이카 고교(주) 제품, 상품명 「세이카 빔 EXF-01L(NS)」, 광중합개시제 함유, 고형분 100질량%) 100질량부에, 에틸셀로솔브 50질량부 및 이소부탄올 50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고형분 50질량%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의 성상(性狀)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냈다.
헤이즈치, 60˚그로스, 중심선 평균거칠기, 최대높이, 막두께 및 색조는, 이하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1) 헤이즈치
탁도계(닛폰 덴쇼쿠 고교(주) 제품, 상품명 「NDH2000」)를 이용해서, JIS K 7136에 준거해서, 측정을 실행하였다.
(2) 60˚그로스
그로스 미터(닛폰 덴쇼쿠 고교(주) 제품, 상품명 「VG2000」)를 이용해서, JIS K 7105에 준거해서, 측정을 실행하였다.
(3) 중심선 평균거칠기
표면거칠기측정기((주)미츠토요 제품, 상품명 「SURFTEST SV-3000」)를 이용해서, JIS BO633에 준거해서, 측정을 실행하였다.
(4) 최대높이
표면거칠기측정기((주)미츠토요 제품, 상품명 「SURFTEST SV-300O」)를 이용해서, JIS BO633에 준거해서, 측정을 실행하였다.
(5) (A)층 및 (B)층의 막두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광투과성 기재필름을 대신해서 막두께 25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요보세키(주) 제품, 상품명 「A4100」)을 이용해서, 이 미처리 면 위에, (A)층 및 (B)층을 도포하였다. 여기서, 상기 필름 자체의 두께, (A)층을 형성한 상태에서의 두께, 또한 (B)층을 형성한 상태(비교예 1은 제외)에서의 두께를 (주)니콘 제품 간이형 디지털 측장 시스템 「디지마이크로(DIGIMICRO) MHㆍ15M」에 의해 측정하고, 각각의 두께의 차이로부터 실시예 및 비교예의 (A)층 및 (B)층의 막두께로 하였다.
(6) 색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작성된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광투과성 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반대면을, 유성펜(미츠비시 엠피츠(주) 제품, 상품명 「미츠비시 페인트마카(Paint Marker) PX-30 흑색」)으로 빈틈없이 칠한 것을 준비하고, 광 투과성 하드코트층의 위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평가는 5명의 피험자에 의해 실행되었다.
하드코트층으로서 (A)층만이 적층된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비교예 1)을 기준으로 해서, 이하에 나타낸 순위로 평가하였다.
◎: 기준에 대해서 흑색이 확실히 개선되었음.
○: 기준보다는 개선되었지만, 약간 백색이 남았음.
×: 기준과 동일한 흰색이었음.
××: 표면이 반짝반짝 빛나 보였음.

중심선 평균거칠기(μm) 헤이즈치(%)
Ra(A) Ra(B) Ra(A)-Ra(B) Hz(A) Hz(B) Hz(A)-Hz(B)
실시예
1
0.4024 0.3757 0.0267 20.30 18.00 2.30
실시예
2
0.4024 0.2558 0.1466 20.30 15.10 5.20
실시예
3
0.4024 0.1873 0.2151 20.30 15.60 4.70
실시예
4
0.4024 0.1775 0.2249 20.30 12.90 7.40
비교예
1
(기준)

0.4024

-

-

20.30

-0

-
비교예
2
0.4024 0.5935 -0.1911 20.30 46.80 -26.50
비교예
3
0.4024 0.7107 -0.3083 20.30 19.30 1.00
비교예
4
0.4024 0.0077 0.3947 20.30 11.30 9.00

최대높이(μm) 60°그로스 색조
Rz(A) Rz(B) Rz(A)-Rz(B)
실시예
1
2.8478 2.5584 0.2894 90.1
실시예
2
2.8478 1.6955 1.1523 105.9
실시예
3
2.8478 1.4246 1.4232 128.7
실시예
4
2.8478 1.2180 1.6298 123.7
비교예
1
(기준)

2.8478

-

-

68.6

×
비교예
2
2.8478 4.6424 -1.7946 25.2 ×
비교예
3
2.8478 6.6772 -3.8294 95.4 ××
비교예
4
2.8478 0.0454 2.8024 161.1
본 발명의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은, LCD, PDP 등의 정보단말 등의 다양한 물품의 패널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은, 방현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방현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동시에, 화상상의 흑색을 한층 더 짙은 흑색으로 표시(색조를 개선할 수 있음)할 수 있다.

Claims (8)

  1. 광투과성 기재(基材)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A),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B)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으로서, (B)층에 분산시킨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A)층에 분산시킨 미립자의 평균입경보다 작고, (A)층과 (B)층의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차가 0.5~5.0μm이고,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 Ra(A)가 0.2~0.8㎛이고,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A))와, (B)층을 적층한 후의 (B)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B))의 관계가 다음식(1)
    Ra(A)-Ra(B) ≥ 0.01μm (1)
    을 충족하고, 또한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만을 적층한 후의 헤이즈치(Hz(A))와, 또한 (B)층을 적층한 후의 헤이즈치(Hz(B))의 관계가 다음식(2)
    Hz(A)-Hz(B) ≥ 1.5% (2)
    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층 중의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상기 (A)층 중의 미립자의 평균입경 이하로서, (B)층 중의 미립자의 배합비율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500질량부이며, 또한, (B)층 중의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1Oμ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층의 막두께가, 상기 (A)층의 막두께 이하이며, (B)층의 막두께가 0.1~1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A)층 및 (B)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5. 광투과성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함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수지층(A) 및 (B)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으로서, (B)층에 분산시킨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A)층에 분산시킨 미립자의 평균입경보다 작고, (A)층과 (B)층에 포함되는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차가 0.5~5.0μm이고, (B)층을 적층하기 전의 (A)층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 Ra(A)가 0.2~0.8㎛이며, (B)층의 적층 후의 표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B))가 다음 식(3)
    0.1μm ≤ Ra(B) ≤ 0.5μm (3)
    을 충족하고, 또한 (B)층 적층 후의 표면의 최대높이(Rz(B))가 다음 식(4)
    0.10μm ≤ Rz(B) ≤ 2.70μm (4)
    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0.01~1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7. 제3항에 있어서,
    (B)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0.01~1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8. 제4항에 있어서,
    (B)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0.01~1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KR1020097023833A 2007-05-29 2008-05-27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KR101463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41925 2007-05-29
JPJP-P-2007-141925 2007-05-29
PCT/JP2008/060107 WO2008146935A1 (ja) 2007-05-29 2008-05-27 防眩性光透過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800A KR20100023800A (ko) 2010-03-04
KR101463282B1 true KR101463282B1 (ko) 2014-11-18

Family

ID=4007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833A KR101463282B1 (ko) 2007-05-29 2008-05-27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78469A1 (ko)
JP (1) JP4995275B2 (ko)
KR (1) KR101463282B1 (ko)
CN (1) CN101680971B (ko)
TW (1) TWI429958B (ko)
WO (1) WO2008146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8437B2 (ja) * 2008-12-29 2011-04-27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TWI512066B (zh) * 2012-01-16 2015-12-11 Toyo Ink Sc Holdings Co Ltd 光散射層用樹脂組成物、光散射層、及有機電致發光裝置
US9535216B2 (en) * 2013-09-27 2017-01-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Optical waveguide dry film, and optical waveguide manufacturing method and optical waveguide using optical waveguide dry film
JP5818283B2 (ja) * 2014-01-07 2015-11-18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22992B2 (ja) * 2014-01-07 2015-11-25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262757B1 (ko) * 2014-03-11 2021-06-0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광학 시트, 광학 시트의 선별 방법 및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JP6485274B2 (ja) * 2015-07-18 2019-03-2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7403588B (zh) * 2016-07-28 2021-03-12 日商Mcc先进成型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装置用前面板及其制造方法
CN111057261B (zh) * 2019-12-20 2022-05-03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防眩硬化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7010A (ja) * 1998-07-28 2000-02-18 Nitto Denko Corp 光拡散層、光学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40005136A1 (en) * 2002-07-08 2004-01-08 Nitto Denko Corporation Surface protection film for optical film
KR20040093658A (ko) * 2002-02-08 2004-11-06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US20070042173A1 (en) * 2005-08-22 2007-02-22 Fuji Photo Film Co., Ltd. Antireflection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9015B1 (en) * 1998-11-17 2002-12-03 Dai Nippon Printing Co., Ltd. Hardcoat film and antireflection film
JP4574766B2 (ja) * 1998-11-17 2010-11-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3515426B2 (ja) * 1999-05-28 2004-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59710B2 (ja) * 2001-10-23 2008-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及び偏光素子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3215339A (ja) * 2002-01-22 2003-07-30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302506A (ja) * 2002-02-08 2003-10-24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241340B2 (ja) * 2003-11-25 2009-03-18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シート、液晶セル基板、液晶表示装置、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基板、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太陽電池用基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7010A (ja) * 1998-07-28 2000-02-18 Nitto Denko Corp 光拡散層、光学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40093658A (ko) * 2002-02-08 2004-11-06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US20040005136A1 (en) * 2002-07-08 2004-01-08 Nitto Denko Corporation Surface protection film for optical film
US20070042173A1 (en) * 2005-08-22 2007-02-22 Fuji Photo Film Co., Ltd. Antireflection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09873A (en) 2009-03-01
JP4995275B2 (ja) 2012-08-08
US20100178469A1 (en) 2010-07-15
KR20100023800A (ko) 2010-03-04
CN101680971B (zh) 2011-11-16
WO2008146935A1 (ja) 2008-12-04
TWI429958B (zh) 2014-03-11
CN101680971A (zh) 2010-03-24
JPWO2008146935A1 (ja)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282B1 (ko)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KR101509266B1 (ko)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TWI453474B (zh) 防眩性硬被覆膜及使用它之偏光板
TWI491907B (zh) 光學膜
JP4746863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材料及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I607231B (zh) 硬被覆膜
KR101792253B1 (ko) 반사방지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KR102116291B1 (ko) 방현성 하드코트 필름
KR101646780B1 (ko) 방현성 하드코트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JP2010163535A (ja)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硬化性樹脂組成物、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を含む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WO2020095566A1 (ja) 光拡散層形成用塗料、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用フィルム、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KR20190039466A (ko) 하드 코트 필름
KR101432987B1 (ko) 투과도가 우수한 내지문성 방현코팅액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내지문성 방현필름
JP2010107542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反射防止フィルム
TWI389798B (zh) 抗反射薄膜
JP2004086196A (ja) 減反射材料用低屈折率層、それを備えた減反射材料及びその用途
KR102107662B1 (ko)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JP2008216913A (ja) 光学フィルム
KR20220066829A (ko) 방현성 반사 방지 시트 및 반사 방지층 적층용 방현성 시트
KR20180111345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6023692A (zh) 耐光性改善膜
KR20130012378A (ko) 광확산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프리즘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