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831Y1 - 자동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자동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831Y1
KR200399831Y1 KR20-2005-0023305U KR20050023305U KR200399831Y1 KR 200399831 Y1 KR200399831 Y1 KR 200399831Y1 KR 20050023305 U KR20050023305 U KR 20050023305U KR 200399831 Y1 KR200399831 Y1 KR 200399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charcoal
accommodating part
rotating shaf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종
Original Assignee
서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종 filed Critical 서순종
Priority to KR20-2005-0023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8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투시창이 구비되고 전면과 측면에 각각 개폐구가 구비되며 상부에 후드가 구비된 돔형태의 함체로 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숯불을 수용하는 숯불수용부; 상기 숯불수용부의 상부에 거치되며,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타측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축과 손잡이부 사이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를 연결하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봉과, 상부가 상기 봉으로 연결되며 개방되도록 접철되는 개폐부로 구성되며, 상기 봉을 타고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수용부; 상기 고기수용부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고기수용부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모터; 및 상기 숯불수용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기수용부의 경사진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기수용부의 상기 봉을 타고 흘러내린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수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고기의 종류에 따라 구이속도 및 구이시간과 같은 구이조건을 식음자의 취향에 따라 각각 달리하도록 함으로써 고기의 종류에 따른 독특한 맛을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투시창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고기의 익힘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를 들여다 보지 않아도 다 익은 상태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숯불구이기{Automatic Charcoal Fire Roaster}
본 고안은 자동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숯불을 이용하여 모터에 의해 고기수용부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구이되도록 하는 자동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숯불구이기는 구이기 내부에 화로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기름받이를 설치하여 화로 상부에 고기를 수용하는 다수의 홀더를 설치하여 이 홀더를 회전시킴으로써 고기가 구워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숯불구이기는 대부분 홀더의 회전축에 기어를 형성하고 이 기어와 맞물리는 형태로 되어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홀더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자동숯불구이기는 고기를 일괄적으로 한번에 홀더에 수용하도록 하고 일정시간동안 일률적으로 고기가 구워지므로 한 종류의 고기에만 적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여러 가지 종류의 고기를 구울 경우에는 구이시간을 요리사가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홀더의 회전속도가 모든 홀더에 대하여 일정하게 됨으로써 여러 가지 종류의 고기를 구울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종류의 고기의 구이시간 및 구이속도를 조절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각각의 종류에 따른 고기의 독특한 맛을 살릴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각의 홀더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기의 독특한 맛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자동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이가 완료되었을 때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숯불구이기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투시창이 구비되고 전면과 측면에 각각 개폐구가 구비되며 상부에 후드가 구비된 돔형태의 함체로 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숯불을 수용하는 숯불수용부; 상기 숯불수용부의 상부에 거치되며,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타측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축과 손잡이부 사이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를 연결하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봉과, 상부가 상기 봉으로 연결되며 개방되도록 접철되는 개폐부로 구성되며, 상기 봉을 타고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수용부; 상기 고기수용부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고기수용부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모터; 및 상기 숯불수용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기수용부의 경사진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기수용부의 상기 봉을 타고 흘러내린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수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프레임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판넬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콘트롤판넬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모터가 회전되고 모터의 회전이 멈추면 점등되도록 하는 각각의 표시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표시등의 점등과 동시에 알람되도록 하는 부자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자동숯불구이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의 고기수용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100)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투시창(11)이 구비되고 전면과 측면에 각각 개폐구(12,13)가 구비되며 상부에 후드(14)가 구비된 돔형태의 함체로 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숯불을 수용하는 숯불수용부(20); 상기 숯불수용부(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되는 다수의 고기수용부(30); 상기 고기수용부(30)를 각각 회전시키는 다수의 모터(40); 및 상기 숯불수용부(20)의 측면에 설치되며 흘러내린 기름이 수용되도록 하는 기름수용부(50); 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투시창(11)이 구비되고 전면과 측면에 각각 개폐구(12,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후드(14)가 구비된 돔형태의 함체로 되어 있다. 상기 투시창(11)이 구비됨으로써 식당의 경우 요리사 뿐만 아니라 손님 또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됨으로써 고기의 익힘상태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의 재질은 황토로 되어 있으며 가마로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하부에는 숯불수용부(20)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상부인 상기 숯불수용부(20)의 상부에는 다수의 고기수용부(30)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하부인 상기 숯불수용부(20)의 측면에는 기름수용부(50)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된 개폐구(12)를 통하여 고기수용부(30)를 탈거 및 거치하게 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 설치된 개폐구(13)를 통하여 숯불수용부(20) 및 기름수용부(50)를 탈거 및 설치하게 된다.
상기 숯불수용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숯불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숯불수용부(20)는 종래의 숯불 구이기와 같이 하부에 통공(21)이 다수개 형성되며 하부에는 통공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여 숯불의 온도를 조절하는 팬(2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기수용부(30)는 상기 숯불수용부(20)의 상부에 거치되며,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31)과, 타측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부(32)와, 상기 회전축(31)과 손잡이부(32) 사이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판(33)과, 상기 고정판(33) 사이를 연결하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봉(34)과, 상부가 상기 봉(34)으로 연결되며 개방되도록 접철되는 개폐부(35) 및 상기 개폐부(35)를 고정시키는 잠금구(3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기수용부(30)는 상기 봉(34)을 타고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다수개로 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고기수용부(30)의 회전축(31)에는 각각의 모터(40)와 연결되어 각각 다른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임의로 상기 모터(40)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콘트롤판넬(15)이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각각의 상기 고기수용부(30)를 회전시키는 각각의 모터(40)와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임의로 상기 모터(40)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고기의 익힘속도 및 익힘정도를 식음자의 취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러 가지 종류의 고기를 익힘속도 및 임힘시간을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여러 가지의 고기의 맛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판넬(15)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모터(40)가 회전되게 되는데 상기 모터(40)의 회전이 멈추면 점등되도록 하는 각각의 표시등(16)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표시등(16)의 점등과 동시에 알람되도록 하는 부자(미도시됨)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기수용부(30)에 고기를 넣고 고기수용부(30)를 거치시키거나, 고기가 다 익은 후에 표시등의 점등 및 알람이 울리면 상기 고기수용부(30)를 상기 모터(40)로부터 탈거시키게 되는데, 상기 고기수용부(30)가 무거운 경우 상기 고기수용부(30)를 거치시키거나 탈거시킬 때 상기 고기수용부(30)가 아래로 쳐지게 되어 상기 숯불수용부(20) 내에 수용되는 숯불에 닿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기수용부(30)와 숯불수용부(20) 사이에 다수의 봉을 연결한 메쉬형태의 격리부(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수용부(50)는 상기 숯불수용부(2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기수용부(30)의 경사진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기수용부(30)의 상기 봉(34)을 타고 흘러내린 기름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 기름수용부(50)는 상기 숯불수용부(20)의 측면에 설치되게 되므로 상기 숯불수용부(20)의 열에 의해 흘러내린 기름이 응고되지 않게 되어 상기 기름수용부(50)에 수용된 기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숯불구이기는 고기의 종류에 따라 구이속도 및 구이시간과 같은 구이조건을 식음자의 취향에 따라 각각 달리하도록 함으로써 고기의 종류에 따른 독특한 맛을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투시창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고기의 익힘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를 들여다 보지 않아도 다 익은 상태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숯불구이기의 고기수용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1: 투시창
12,13: 개폐구 14: 후드
15: 콘트롤판넬 16: 표시등
20: 숯불수용부 21: 통공
22: 팬 30: 고기수용부
31: 회전축 32: 손잡이부
33: 고정판 34: 봉
35: 개폐부 36: 잠금구
40: 모터 50: 기름수용부
60: 격리부 100: 자동숯불구이기

Claims (4)

  1. 전면과 후면에 각각 투시창이 구비되고 전면과 측면에 각각 개폐구가 구비되며 상부에 후드가 구비된 돔형태의 함체로 되고 황토가마로 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숯불을 수용하는 숯불수용부;
    상기 숯불수용부의 상부에 거치되며,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타측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축과 손잡이부 사이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를 연결하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봉과, 상부가 상기 봉으로 연결되며 개방되도록 접철되는 개폐부로 구성되며,
    상기 봉을 타고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기수용부;
    상기 고기수용부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고기수용부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모터; 및
    상기 숯불수용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기수용부의 경사진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기수용부의 상기 봉을 타고 흘러내린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수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숯불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판넬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숯불구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판넬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모터가 회전되고 모터의 회전이 멈추면 점등되도록 하는 각각의 표시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숯불구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의 점등과 동시에 알람되도록 하는 부자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숯불구이기.
KR20-2005-0023305U 2005-08-11 2005-08-11 자동숯불구이기 KR200399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305U KR200399831Y1 (ko) 2005-08-11 2005-08-11 자동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305U KR200399831Y1 (ko) 2005-08-11 2005-08-11 자동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831Y1 true KR200399831Y1 (ko) 2005-10-28

Family

ID=4370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305U KR200399831Y1 (ko) 2005-08-11 2005-08-11 자동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83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695B1 (ko) * 2007-01-22 2008-07-04 박경주 회전형 고기 구이기
KR100853566B1 (ko) * 2007-12-07 2008-08-22 이종찬 회전식 구이 장치
KR100884034B1 (ko) 2007-09-18 2009-02-17 김봉근 조리기구
KR101105360B1 (ko) * 2009-07-09 2012-01-16 강명원 육류의 가열 시스템
KR200470731Y1 (ko) 2013-10-30 2014-01-07 김인숙 구이용 불판
KR102126160B1 (ko) 2019-12-06 2020-06-23 노명호 로스터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695B1 (ko) * 2007-01-22 2008-07-04 박경주 회전형 고기 구이기
KR100884034B1 (ko) 2007-09-18 2009-02-17 김봉근 조리기구
KR100853566B1 (ko) * 2007-12-07 2008-08-22 이종찬 회전식 구이 장치
KR101105360B1 (ko) * 2009-07-09 2012-01-16 강명원 육류의 가열 시스템
KR200470731Y1 (ko) 2013-10-30 2014-01-07 김인숙 구이용 불판
KR102126160B1 (ko) 2019-12-06 2020-06-23 노명호 로스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831Y1 (ko) 자동숯불구이기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KR101321528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1660647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20080076487A (ko) 꽂이구의 자전 및 공전이 이루어지게 한 회전식 꼬치구이기
KR200394475Y1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100863801B1 (ko) 테이블 장착용 회전식 구이 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테이블
KR100843323B1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200433842Y1 (ko) 음식물 구이기
KR200339225Y1 (ko) 다용도 구이기
KR19990010232U (ko) 다목적 구이기
KR100459268B1 (ko) 숯불 바베큐장치
KR200372636Y1 (ko) 바비큐 구이 장치
KR200242492Y1 (ko) 할로겐램프가 설치된 구이기
KR200207269Y1 (ko) 바베큐 구이기
KR100950183B1 (ko) 간접열을 이용한 균일 가열이 이루어지게 한 구이장치
KR101206207B1 (ko) 통닭구이기
KR20080006045U (ko)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KR200273836Y1 (ko) 숯불 바베큐장치
KR200359493Y1 (ko) 숯불구이장치
KR20010036314A (ko) 바베큐조리기
KR200214858Y1 (ko) 전기구이기
KR200351350Y1 (ko) 직화구이기용 구이기 홀더구조
KR200392568Y1 (ko) 자동 숯불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