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695B1 - 회전형 고기 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형 고기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695B1
KR100843695B1 KR1020070006673A KR20070006673A KR100843695B1 KR 100843695 B1 KR100843695 B1 KR 100843695B1 KR 1020070006673 A KR1020070006673 A KR 1020070006673A KR 20070006673 A KR20070006673 A KR 20070006673A KR 100843695 B1 KR100843695 B1 KR 100843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at
roasting
roasting plat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주
Original Assignee
박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주 filed Critical 박경주
Priority to KR1020070006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고기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삼겹살과 같은 고기류를 가열하여 구이요리를 하는 과정에서 구이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기의 양면이 고르게 익혀지도록 함과 함께 조리과정에서 고온의 기름이 튐으로 인한 화상의 위험이 방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이기는, 바닥판(10)과 덮개판(20)이 힌지(9)에 의해 회동가능한 개폐구조를 이루는 가운데, 내부에는 고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고 있는 구이판(1)과, 상기 구이판(1)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성되어진 회동축(12)과, 상기 구이판(1)의 회전 및 개폐동작을 위해 일측에 돌출 구성되어진 손잡이부(11,21)와, 상기 구이판(1)의 양단 회동축(12)이 안착되어짐으로 일정 높이로 지지되어지는 구이기 하우징(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기, 삼겹살, 회전, 기름, 덮개

Description

회전형 고기 구이기{ROTATE TYPE ROASTER}
도 1은 본 발명 회전형 고기 구이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 구이판의 덮개 개방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 구이판의 A-A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기 구이판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4a는 회동 전 상태도.
4b는 180도 회동 후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구이판의 개방상태 확대도.
도 6은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구이판의 B-B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구이판의 개방상태 확대도.
도 8은 상기 또 다른 실시예에 고기 구이판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이판 9 : 힌지
10 : 바닥판 11,21 : 손잡이부
12 : 회동축 13,23 : 배출공
14,24 : 안내홈 15,25 : 평면부
20 : 덮개판 30 : 구이기 하우징
31 : 받침부 40 : 구획망
50 : 격망 S : 수용공간
R : 고기
본 발명은 고기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류를 구워서 조리하는 과정에서 양면이 고르게 익혀짐과 함께 고기에서 발생하는 기름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구이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 삼겹살 구이, 로스구이 등과 같은 고기를 구워서 먹기 위해서는 가열수단인 가스렌지와 불판 등을 구비하고, 불판위에 고기를 하나씩 얹어서 구워먹게 된다.
그러나, 종래 고기 구이판의 경우 본체상에 고기를 얹혀 놓고 본체 하부에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고기를 굽게 되므로 고기의 상부가 익기전에 하부를 태우게 되기 때문에 조리중에 고기를 자주 뒤집어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구이판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생기는 기름이 기름받이 홈부를 따라흘러 배출되게 되는데 기름이 흘러나가는 과정에서 기름이 튀어 위험적요소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기름이 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함께 고기를 젓가락으로 뒤집어주지 않아도 전체적으로 양면이 균일하게 고기가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 고기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바닥판과 덮개판이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한 개폐구조를 이루는 가운데, 내부에는 고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성되어진 회동축과, 상기 구이판의 회전 및 개폐동작을 위해 일측에 돌출 구성되어진 손잡이부와, 상기 구이판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이기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고기 구이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구이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일정 형상의 구이기 하우징(30)에는 내부에 고기 수용공간(S)을 형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개폐형 구이판(1)이 일렬로 구비되어져 있는데, 각각의 구이판(1)은 바닥판(10)과 덮개판(20)이 일측의 힌지(9)에 연결된 상태를 이루어 회동에 의한 개폐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0)과 덮개판(20)은 상호 대칭형태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각각의 내부 바닥면에는 고기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일측으로 안내할 수 있는 안내홈(14,24)이 경사면을 이루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안내 홈(14,24)을 통해 안내되어진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3,23)이 일측에 형성되었고, 외부에는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부(11,21)가 각각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바닥판(10)에는 구이기 하우징(30)상에 지지되어지는 회동축(22)이 양단에 돌출 구성되어져 있어, 덮개판(20)이 닫혀진 상태에서 180도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구이기 하우징(30)에는 각각의 구이판(1)에 형성되어져 있는 다수개의 배출공(13,23)을 통해 배출되어진 기름이 일측으로 흘러서 모아질 수 있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받침부(31)가 하부에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기 구이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다수의 구이판(1)이 안착되어져 있는 구이기 하우징(30)을 가스버너 또는 화로 등의 가열수단 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각각의 구이판(1)이 예열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덮개판(20)을 열어서 내부의 수용공간(S)을 개방한 후 조리대상물인 삼겹살 등의 고기(R)를 올려놓는다. 이때 수용공간(S)의 크기에 맞도록 고기를 절단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이후, 덮개판(20)을 닫아준 후 고기(R)가 익을때 까지 일정시간 기다리게 되면,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의 안내홈(14)을 따라 일측으로 흘러서 배출공(13)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어지게 됨으로 기름이 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이러한 조리과정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11,21)를 잡고 구이판(1)을 회동축(12)을 중심으로 일정 주기로 회동시키게 되면 도 4a 및 도 4b를 통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바닥판(10)과 덮개판(20)의 위치가 반복적으로 바뀌어짐으로서 고기(R)의 양면이 고르게 가열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고기로 부터 발생되는 기름은 구이판(1)의 회전된 방향에 따라 바닥판(10)의 안내홈(14) 또는 덮개판(20)의 안내홈(24)을 통해 배출공(13,23)측으로 각각 용이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기(R)를 구이판(1) 내에 안착시킨 후 덮개판(20)을 닫아서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구이판(1)을 일정 주기로 뒤집어주는 작업을 실시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양면이 고르게 가열된 양질의 고기를 취식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조리 과정에서 기름으로 인한 화상의 위험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판(1)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과 덮개판(20) 사이의 내부 수용공간(S)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망(4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구획된 공간중 배출공(13,23)측 해당 부위에는 바닥판(10)과 덮개판(20)의 안내홈(14,24)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부(15,25)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즉, 구이판(1) 내부의 수용공간(S)을 구획망(40)으로 나누어서 고기(R)의 조리시 도 6의 사용상태도에서와 같이 일측에서는 마늘이나 김치 등을 함께 가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안내홈(14,24)을 통해 흘러 나와 배출공(13,23)측으로 이동하는 기름이 평면부(15,25)를 경유함으로서 기름에 의해 마늘이나 김치가 조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바닥판(10)과 덮개판(20) 사이에 힌지(9)에 의해 함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격망(50)을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이룸으로 인해 구이판 내부의 수용공간(S)이 격망(50)에 의해 분할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격망(50)에 의해 분할된 공간의 일측에는 고기(R)를 놓고, 타측에는 마늘이나 김치 등을 투입하여 함께 조리를 실시하면 바닥판(10)과 덮개판(20)에 의해 폐쇄되어진 구이판(1) 내부의 공간에서 고기(R)가 용이하게 익혀짐과 함께 고기로 부터 발생되는 기름에 의해 마늘이나 김치가 함께 조리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이기를 이용하여 고기류를 가열 조리하게 되면, 바닥판과 덮개판 사이에 고기를 놓고 일정 주기로 구이판을 회전시켜주기만 하면 고기의 양면이 균일하게 익혀질 수 있게 됨으로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조리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구이판이 일렬 형태로 다수개 구비된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 가정용으로 사용코자 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구이판 만을 설치하여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삼겹살과 같은 고기류를 가열하여 구이요리를 하는 과정에서 구이판의 주기적인 회전을 통해 고기의 양면이 고르게 익혀지도록 함과 함께 조리과정에서 고온의 기름이 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바닥판과 덮개판에 의해 폐쇄되어진 공간 내에서 고기의 가열이 이루어짐으로 조리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에 공간을 구획시킬 수 있는 구획망이나 격망을 설치하여 고기와 함께 각자 취향에 따라 마늘이나 김치가 기름에 의해 함께 조리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소비자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바닥판(10)과 덮개판(20)이 힌지(9)에 의해 회동가능한 개폐구조를 이루는 가운데, 내부에는 고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일측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기름이 배출되어질 수 있는 배출공(13,23)이 형성되는 구이판(1)과;
    상기 구이판(1)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성되어진 회동축(12)과;
    상기 구이판(1)의 회전 및 개폐동작을 위해 일측에 돌출 구성되어진 손잡이부(11,21)와;
    상기 구이판(1)의 양단 회동축(12)이 안착되어짐으로 일정 높이로 지지되어지며 상기 배출공(13,23)을 통해 배출된 기름을 일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받침부(31)를 구비하는 구이기 하우징(30);
    으로 구성되되, 상기 구이판(1)에는,
    상기 구이판(1)을 이루는 바닥판(10)과 덮개판(20) 내벽면에는 고기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배출공(13,23)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14,24)이 상호 대칭형태의 경사면을 이루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구이판(1)에는 내부 수용공간(S)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망(4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구획된 공간중 배출공(13,23)측 해당 부위에는 바닥판(10)과 덮개판(20)의 안내홈(14,24)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부(15,2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고기 구이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21)는 바닥판(10)과 덮개판(20)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대칭형태로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고기 구이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15,25)는 안내홈(14,24)을 통해 흘러서 유동되는 기름이 경유된 후 배출공(13,23)으로 배출되어지도록 안내홈(14,24)과 배출공(13,23) 사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고기 구이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과 덮개판(20) 사이에는 힌지(9)에 의해 함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격망(50)이 구성됨으로 내부의 수용공간(S)을 분할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고기 구이기.
KR1020070006673A 2007-01-22 2007-01-22 회전형 고기 구이기 KR100843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673A KR100843695B1 (ko) 2007-01-22 2007-01-22 회전형 고기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673A KR100843695B1 (ko) 2007-01-22 2007-01-22 회전형 고기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695B1 true KR100843695B1 (ko) 2008-07-04

Family

ID=3982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673A KR100843695B1 (ko) 2007-01-22 2007-01-22 회전형 고기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360B1 (ko) * 2009-07-09 2012-01-16 강명원 육류의 가열 시스템
KR200470731Y1 (ko) 2013-10-30 2014-01-07 김인숙 구이용 불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537Y1 (ko) 2003-04-29 2003-07-28 송영수 석쇠
KR200399831Y1 (ko) * 2005-08-11 2005-10-28 서순종 자동숯불구이기
KR100659580B1 (ko) 2004-10-07 2006-12-20 이주호 구이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537Y1 (ko) 2003-04-29 2003-07-28 송영수 석쇠
KR100659580B1 (ko) 2004-10-07 2006-12-20 이주호 구이틀
KR200399831Y1 (ko) * 2005-08-11 2005-10-28 서순종 자동숯불구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360B1 (ko) * 2009-07-09 2012-01-16 강명원 육류의 가열 시스템
KR200470731Y1 (ko) 2013-10-30 2014-01-07 김인숙 구이용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795A (en) Barbeque grill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US20140261012A1 (en) Cooking grill having rack supporting individual grilling modules
JP2008513724A (ja) 水平および垂直に配向された料理要素を有する回転焼きオーブン
KR101710701B1 (ko) 바비큐 그릴 장치
EP1956951B1 (en) Grill
KR200489004Y1 (ko) 회전식 구이기
KR101269786B1 (ko) 숯불구이기
KR100843695B1 (ko) 회전형 고기 구이기
KR101429362B1 (ko) 바비큐 구이기
KR20150080758A (ko)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KR101298093B1 (ko) 바베큐장치
KR101533367B1 (ko) 바베큐 오븐
KR20170000584U (ko) 숯불구이조리장치 및 숯불구이조리장치용 숯통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100659580B1 (ko) 구이틀
KR101568760B1 (ko) 훈연 바비큐 구이장치
KR100441544B1 (ko) 다용도 찜 구이용 조리기
KR20170024723A (ko) 고강도 가스통을 재활용한 타지 않는 간접화 바비큐 장치
KR200359428Y1 (ko) 바비큐 구이기
KR100862311B1 (ko) 바비큐 장치
CN111713987A (zh) 用于烹饪食物的设备
CN213551333U (zh) 煎烤机
KR200359418Y1 (ko) 소시지/핫도그 구이기
KR20130080590A (ko)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