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580B1 - 구이틀 - Google Patents

구이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580B1
KR100659580B1 KR1020050055534A KR20050055534A KR100659580B1 KR 100659580 B1 KR100659580 B1 KR 100659580B1 KR 1020050055534 A KR1020050055534 A KR 1020050055534A KR 20050055534 A KR20050055534 A KR 20050055534A KR 100659580 B1 KR100659580 B1 KR 10065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ain
holes
roasting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540A (ko
Inventor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이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호 filed Critical 이주호
Publication of KR2006004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물이 타지 않게 됨은 물론 굳거나 육질과 고유의 맛이 변질되지 않고 골고루 알맞게 구워지는 최적의 구이를 제공하게 됨은 물론 굽는 과정에서 기름 등이 화덕내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기나 그을음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구이틀에 관한 것이다.
4주면이 입설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부에는 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여닫게 힌지로 축결합되며 4주면은 상기 본체의 4주면에 대응하게 입설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부에는 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덮개체와, 상기 본체와 덮개체내에 각각 장착되며 4주면 또는 양측주면은 각각 상기 본체와 덮개체의 4주면보다 높이가 낮게 역방향으로 입설되고 각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내판체들과, 이들 내판체 중 어느 하나의 내판체에 장착되는 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구이, 구이기, 구이틀.

Description

구이틀{gridiron}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일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동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분리 사시도
도 4a는 동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횡방향 확대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구이틀을 90° 회전시킨 상태의 횡방향 확대 단면도
도 4c는 도 4a에서 구이틀의 일부를 생략한 종방향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에에 따른 구이틀의 사시도
도 6은 동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분리 사시도
도 7a는 동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종방향 확대 단면도
도 7b는 동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횡방향 확대 단면도
도 8은 동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일 부분 확대한 사시도
도 9는 동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이 행거에 장착된 상태의 일부분을 발췌한 확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4주면
12 ; 통공 13 ; 배출공
14 ; 격벽 15, 15' ; 통로
16 ; 힌지공 16' ; 삽입구
20 ; 덮개체 21 ; 4주면
22 ; 통공 23 ; 배출공
21a ; 차단편 22a ; 내단
24 ; 힌지핀 24' ; 삽입부
30, 30' ; 내판체 31, 31' ; 4주면
32, 32' ; 통공 32a, 32b ; 내단
33 :격판 33 ; 결착편
34 ; 결착홈 35 ; 간격유지편
본 발명은 육류나 어류 등 각종 구이대상물을 구을 때, 타거나 눌어붙지 않게 됨은 물론 육질과 고유의 맛이 변질되지 않고 최적의 상태로 구워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틀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구이를 할 때 석쇠나 구이판과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구이대상물(이하, "구이물"이라 함)을 뒤집어 주면서 구웠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구이를 하면 구이물의 전부분이 골고루 익기 전에 화력에 의해 부분적으로 타거나 눌어붙게 됨은 물론 함유된 수분이나 기름 등이 과도하게 빠져나와 굳게 되거나 고 유의 맛이 변질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사실상 최적의 상태로 구워진 구이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굽는 과정에서 구이물로부터 흘러나온 수분이나 기름 등이 숯불 등 화염에 떨어져 타기 때문에 연기와 그을음에 의해 건강을 헤치거나 주변이 오염되었음은 물론 냄새가 심하게 발생됨과 동시에 화염에 떨어져 튀는 수분이나 기름 등에 의해 부주의로 화상을 입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들은 손님의 주문을 받아 주방에서 구이를 하여 제공하는 바베큐전문점등과 같은 업소에서는 더욱 심각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이방법에 따른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굽는 과정에서 구이물이 부분적으로 타거나 연기와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육질과 고유의 맛이 변질되지 않고 최적의 상태로 구워지게 하는 구이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굽는 사람의 건강을 헤치거나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게 되는 구이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바베큐전문점등과 같은 업소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이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구이물이 화염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면서 구이가 이루어짐은 물론 구이물로부터 흘러나온 수분이나 기름 등이 화염에 떨어져 튀거나 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이틀을 제공함에 따라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일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는 동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횡방향 확대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구이틀을 90° 회전시킨 상태의 횡방향 확대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에서 구이틀의 일부를 생략한 종방향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이틀은, 4주면(11)이 입설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12)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바닥면의 일측 또는 양측부에는 수개의 배출공(13)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를 여닫게 힌지로 축결합되며 4주면(21)은 상기 본체의 4주면에 대응하게 입설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22)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바닥면의 일측 또는 양측부에는 수개의 배출공(23)이 형성된 덮개체(20)와, 상기 본체와 덮개체내에 각각 장착되며 4주면(31)(31')은 각각 상기 본체와 덮개체의 4주면보다는 높이(h)가 낮게 역방향으로 입설되고 바닥면에는 각각 다수의 통공(32)(32')이 형성된 내판체(30)(30')와, 상기 본체에 덮은 덮개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잠거주는 잠금부재(40)을 구비하여 된다.
본체(10)와 덮개체(20)는 장방체로 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체를 닫으면 4주면(21)중에서 양측주면의 단부는 상기 본체의 4주면(11)중에서 양측주면의 단부를 외측에서 감싸주게 덮어주고, 서로 맞닿게 되는 폭이 긴 전후측주면의 각 단면 에는 소정길이의 차단편(11a)(21a)이 안쪽으로 수평 연장된다.
통공(12)(22)들의 각 내단(12a)(22a)은 각각 내판체(30)(30')의 4주면(31)(31')의 높이(h)보다는 낮게 돌출되는 것으로서, 이렇게 내측으로 돌출하면 상기 내단들 사이에 골(b)이 형성되므로 구이물(a)로부터 흘러나온 기름 등이 본체(10) 또는 덮개체(20)들중 어느 하나가 하부에 위치할 때 통공(12) 또는 통공(22)들을 통해서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내단들 사이에 형성된 골에 모여서 배출공(13) 또는 배출공(23)을 통해서 외부로 흘러나가게 된다.
한편, 본체(10)의 배출공(13)이 형성된 측의 내부에는 일측주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게 격벽(14)이 나란히 형성되고, 이 격벽의 하단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격리시켜 이들 사이에 통로(15)가 형성되게 하여 구이물(a)에서 흘러나온 기름 등이 상기 통로를 거쳐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게 한다.
이러한 작용은, 덮개체(20)를 닫았을 때 격벽(14)의 상단이 상기 덮개체의 바닥면과도 소정 간격으로 격리되게 하여 이들 사이에도 통로(15')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덮개체가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구이물(a)에서 흘러나온 기름 등이 상기 통로를 거쳐 덮개체의 일측부에 형성된 배출공(23)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게 한다.
또한, 격벽(14)은 본체(10)와 덮개체(20)의 사이에 수용되는 구이물(a)이 배출공(13)(23)측으로 밀리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배출공을 막지 못하게 함으로써, 기름 등이 원활히 외부로 흘러나가게 하는 작용도 한다.
내판체(30)(30')의 4주면(31)(31')은 입설된 방향이 각각 본체(10)와 덮개체 (20)의 4주면(11)(21)과 반대로 됨과 동시에 그 높이(h)가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판체들을 각기 본체와 덮개체내에 장착하면 4주면(31)(31')의 각 높이(h)에 비례하여 상기 내판체들과 본체 및 덮개체와의 바닥면이 각각 격리되므로 이들 사이에 소정 간격의 공간부(f)(f')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판체(30)(30')는 각각 본체(10) 또는 덮개체(20)내에 장착하면 고정되게 하여도 되지만 사용 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통공(32)(32')들은 본체(10)와 덮개체(20)에 형성된 통공(12)(22)들과는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함과 동시에 그 내단(32a)(32b)은 각각 내측으로 상향 돌출되게 한다.
이렇게 하면, 내판체(30)(30')들 사이에 구이물(a)이 수용되게 한 상태에서 구이틀을 구이기(1)의 화덕(3)의 상부에 위치하게 행거(2)에 결합시켜 구이를 할 때 본체(10) 또는 덮개체(20)들 중 어느 하나가 화염과 마주하여 화염이 통공(12) 또는 통공(22)을 통해 내부로 진입되어도, 상기 내판체들의 각 통공(32)(32')들이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입되는 화염이 상기 구이물에 직접 닿지 않게 되기 때문에 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흘러나오는 기름 등은 내판체(30)(30')에 돌출된 각 내단(32a)(32b)의 사이에 형성되는 골(b')을 따라 흘러 주연부를 거쳐 본체(10) 또는 덮개체(20)의 내부로 흘러내려 골(b)을 따라 흘러 배출공(13) 또는 배출공(23)을 통해서 외부로 나간다.
또한, 일부의 기름 등이 통공(32)(32')을 통해 흘러내려도 그 직하방에는 통 공(12)(22)들 사이의 골(b)이 위치하기 때문에 화염에 떨어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구이과정에서 연기나 그을음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구나, 통공(12) 또는 통공(22)을 통해 유입되는 화덕의 열은, 내판체(30)와 본체(10) 또는 내판체(30')와 덮개체(20)의 바닥면들 사이에 형성된 각 공간부(f)(f')내에서 분산되면서 상기 내판체들을 가열하고 통공(32) 또는 통공(32')을 거쳐 구이물(a)에 가해지기 때문에 고온의 열이 구이물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분산된 열에 의해 내판체들의 전체가 고르게 가열됨에 따라 구이물은 굽는 과정에서 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면서도 전부분이 신속하고도 균일하게 구워진다.
이에 따라, 굽는 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구이물(a)이 구이틀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구이가 진행되는 것이므로, 수분은 물론 기름 등이 과도하게 증발되는 현상도 방지되기 때문에 육질이 굳거나 맛 등이 변질되지 않는 최상의 상태로 구워진다.
한편, 상기에서는 내판체(30)(30')의 각 4주면(31)(31')이 각각 본체(10)와 덮개체(20)의 각 4주면(11)(21)들과 역방향으로 입설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렇게 되는 것은 아니며, 4주면이 아닌 전후측주면만 역방향으로 입설하고 양측주면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은 도 1에서와 같이 구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구이기(1)의 행거(2)에 장착하여 화덕(3)의 상부에 위치토록 하거나 또는 일반적인 구이기구(도시하지 않음)의 화덕위에 회전시킬 수 있게 설치하여 사 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구이틀을 적정한 시간에 180° 회전시켜 본체(10)와 덮개체(20)가 교대로 뒤집어져 화염을 향하게 하면 수용된 구이물(a)의 양면이 균일하게 구워진다.
물론, 자동으로 구이를 수행하는 구이기(1)의 경우에는 구이틀을 회전시켜 주는 횟수와 시간 및 구이를 수행하는 시간 등은 구이물(a)의 종류등에 따라 미리 세팅시켜 주면 되는 것이며, 수동으로 구이를 진행할 때에는 조리사의 판단에 따르면 된다.
그리고, 구이를 시작할 때에는 잠금부재(40)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덮개체(20)를 열어 본체(10)에 장착된 내판체(30)의 상면에 구이물(a)을 고르게 펼쳐놓은 다음, 상기 덮개체를 닫은 후 잠금부재를 잠거서 구이를 할 때 임의로 열리지 않게 한 상태에서 구이틀을 구이기(1)의 행거(2)에 장착시켜 주면된다.
이때 구이틀은 도 4a에서와 같은 상태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내판체(30)(30')들 사이에 수용된 구이물(a)은 상기 내판체들에 형성된 통공(32)(32')들의 각 돌출된 내단(32a)(32b)에 의해 상하면이 눌려지기 때문에 본체(10)와 덮개체(20)의 위치를 서로 바꿔주기 위해 구이틀을 회전시킬 때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체가 고르게 구워진다.
한편, 구이를 수행할 때 흘러나오는 기름 등은 본체(10)가 하부에 위치할 때에는 배출공(13)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고 덮개체(20)가 하부에 위치할 때에는 배출공(23)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는데, 이때 상기 유출공들이 각각 본체 또는 덮개 체의 서로 대응하는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이틀을 행거(2)에 결합하면 상기 유출공들이 형성된 일측부가 타측부보다 낮게되도록 기울어지는 상태로 결합되게 행거를 제작하여 기름 등이 원활히 흘러나가게 한다.
또한, 구이틀을 행거(2)에 결합하였을 때 배출공(13)(23)들은 화덕(3)의 안쪽이 아닌 바깥쪽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외부로 흘러나간 기름 등은 상기 화덕내에 떨어지지 않고 외측에 떨어지게 하며, 외측에 떨어지는 기름 등은 별도로 수거되게 하므로 기름 등이 화염에 떨어져 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연기와 그을음 등이 유발되던 문제가 해소되게 한다.
그리고, 4a에서와 같은 상태로 구이틀을 회전시켜 본체(10)와 덮개체(20)의 위치를 서로 바꿔줄 때에는 이들의 전후측주면들 중 어느 한측의 주면이 하향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흘러내려 잔류하고 있거나 회전시키는 과정에서도 흘러내리는 기름 등이 있는 경우에는 하향되는 주면측으로 모이게 되지만 도 4b에서와 같이 차단편(11a)(21a)들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수용부(c)에 수용되기 때문에 회전되는 동안에는 전후측주면을 통한 외부로의 유출이 방지되며, 이후 180° 회전이 완료되어 상기 본체와 덮개체의 위치가 바뀐 다음에는 본체측의 주면에 수용되어 있던 기름 등이 있으면 덮개측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구이가 완료되면, 잠금부재(40)에 의한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덮개체(20)를 열어 구워진 구이물(a)을 꺼내고 새로운 구이물을 넣어 다시 구이를 수행하거나 또는 세척을 한 다음 사용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동 제2 실 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a는 동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종방향 확대 단면도이고, 도 7b는 동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횡방향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동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의 일 부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동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을 행거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분을 발췌한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은 본체(10)와 덮개체(20)도 간단히 결합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 후 세척이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와 덮개체에 형성된 통공(12)(22) 및 내판체(30)(30')에 형성된 통공(32)(32')들의 형상을 변경시켜 숯불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더욱 원활하게 유입되어 구이가 촉진되게 함과 동시에 성형이 용이토록 하며, 아울러 구이틀의 전후폭에 비하여 폭의 작은 구이물(a)을 수용시킨 경우에 구이틀을 회전시킬 때 상기 구이물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판체들의 대응면 사이에 격판(33)을 개재시켜 대응면 사이의 공간을 전후로 구획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통공(12)(22),(32)(32')들은 원형의 소공으로 된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각각 소정 길이의 장공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갯수는 상기 제1 실시예 보다 대폭 감소되는 반면 크기는 증폭시켜 준다.
이렇게 하면, 상대적으로 열의 유입량이 현저하게 늘어나서 열효율이 크게 향상되므로 구이가 보다 신속히 이루어지게 됨과 동시에 갯수의 감소와 크기의 증폭에 의해 제작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통공(12)(22)과 통공(32)(32')들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 로 일치하지 않도록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함과 동시에 그 내단(32a)(32b)은 각각 내측으로 상향 돌출되게 함으로써, 내판체(30)(30')들 사이에 구이물(a)이 수용되게 한 상태에서 구이틀을 구이기(1)의 화덕(3)의 상부에 위치하게 행거(2)에 결합시켜 구이를 할 때 본체(10) 또는 덮개체(20)들 중 어느 하나가 화염과 마주하여 화염이 통공(12)또는 통공(22)을 통해 내부로 진입되어도, 상기 내판체들의 각 통공들이 엇갈리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진입되는 화염이 구이물에 직접 닿지 않아 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 흘러나오는 기름 등은 내판체(30)(30')에 돌출된 각 내단(32a)(32b)의 사이에 형성되는 골(b')을 따라 흘러 주연부를 거쳐 본체(10) 또는 덮개체(20)의 내부로 흘러내려 골(b)을 따라 흘러 배출공(13) 또는 배출공(23)을 통해서만 외부로 나가게 되며, 일부의 기름 등이 통공(32)(32')을 통해 흘러내려도 그 직하방에는 통공(12)(22)들 사이의 골(b)이 위치하기 때문에 화염에 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내판체(30)(30')들 사이에 격판(33)을 개재시켜 주기 위해서 상기 내판체들의 4주면(31)(31')들중 양측주면(31a)(31b)들은 각각 서로 대응하게 전후측 주면들과는 반대로 내측으로 절곡 연장하고, 상기 양측주면들 중 어느 하나인 양측주면(31a)에는 소정간격으로 결착홈(34)들을 요입 형성한다.
아울러, 격판(33)의 양단에는 결착홈(34)에 결합하는 결착편(33a)이 수평 연장되고, 상하의 양단측에는 상기 격판을 내판체(30)(30')들의 대응면 사이에 개재시켜 주었을 때 상기 대응면들과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되게 하는 간격유지편(33b)들이 수직 연장된다.
이에 따라, 결착편(33a)을 결착홈(34)들 중 중간의 결착홈에 결합하여 격판(33)을 내판체(30)(30')들의 대응면 사이에 개재되게 하면, 상기 내판체들 사이의 공간은 도 7b에서와 같이 전후 2등분으로 구획되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에 맞는 크기의 구이물(a)을 전후측 공간에 각각 수용시키면 된다.
따라서, 격판(33)을 개재시킬 때에는 구이물(a)의 크기를 감안하여 결착편(33a)을 결착홈(34)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이렇게 하면 수용된 구이물은 구이틀이 회전될 때 하향되는 쪽으로 쏠리지 않게 받쳐주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격판은 구이틀과 구이물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복수로 개재시켜도 된다.
또한, 격판(33)에는 소정간격으로 유통공(33c)들을 형성함으로써 간격유지편(33b)들에 의해 내판체(30)(30')들의 대응면과 격리되는 상하단측의 간격과 함께 내주로 유입된 열이 원활히 유통되게 함과 동시에 구이틀의 회전시 하향되는 쪽으로 구이물(a)에서 유출된 기름 등이 원활히 흐르게 한다.
그리고, 내판체(30)(30')들의 4주면(31)들 중 전후주면의 각 일단측에는 간격유지편(35)을 각각 수평 연장하여 상기 내판체들을 본체(10)와 덮개체(20)에 각각 장착하였을 때 상기 간격유지편들에 의해 내판체들의 양측주면이 본체와 덮개체의 양측주면의 내면으로부터 격리되게 함으로써 구이물(a)에서 유출되어 상기 내판체들의 일측주면 측으로 흐르는 기름 등은 유출공(36)을 거쳐 상기 본체와 덮개체의 배출공(13)(23)들을 통해 외부로 원할히 유출되게 하고, 상기 유출공의 반대측 위치의 내판체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37)들을 통해서는 통공(12)(22)들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열이 타측주면 측에서 상기 구이물측으로 원활히 공급되게 한다.
또, 본체(10)와 덮개체(20)의 분리와 결합을 위해서 상기 본체의 양측주면(11')의 각 후단측에는 폭이 좁은 삽입구(16')가 후측으로 개구된 힌지공(16)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체의 양측주면(21')의 각 선단측 내면에는 상기 삽입구를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삽입부(24')를 갖는 힌지핀(24)을 착설한다.
따라서, 삽입부(24')가 삽입구(16')를 통과하게 삽입하여 힌지핀(24)을 힌지공(16)에 결합하면 덮개체(20)는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여닫아 주게 되며, 반대로 상기 힌지핀을 힌지공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본체와 덮개체가 분리되므로 용이하게 세척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와 덮개체(20)의 각 배출공(13)(23)들이 형성된 반대측 바닥면의 소정위치에는 각각 걸림핀(25)을 착설하여 구이틀을 행거(2)에 장착하면 그 양측편의 내면에 설치되어 구이틀을 파지하는 판스프링(2a)에 형성되어 있는 걸이턱(2b)에 걸어지게 함으로써, 구이틀의 상기 배출공들이 형성된 측이 하향되게 장착
이와 같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을 사용하여 구이를 할 때에는 덮개체(20)를 열어 본체(10)에 장착된 내판체(30)의 상면에 구이물(a)을 고르게 펼쳐놓은 다음에 상기 덮개체를 닫은 상태에서 구이기(1)의 행거(2)에 장착시켜 주면 되는 것으로서, 모든 작동과정 등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구이틀을 행거(2)에 장착하면 구이물(a)에서 흘러나오는 기름 등이 외 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배출공(13)(23)들이 형성된 측이 반대측 보다 하향되는 상태로 장착되는데, 이때 본체(10)와 덮개체(20)의 각 배출공(13)(23)들이 형성된 반대측 바닥면의 소정위치에는 각각 걸림핀(25)을 착설하여 상기 행거의 양측편 내면에 구이틀을 파지하도록 설치된 판스프링(2a)에 형성되어 있는 걸이턱(2b)에 걸어지게 함으로써 구이틀은 보다 확실하게 장착되어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하였다.
물론, 이렇게 하는 경우에 걸이턱(2b)은 구이틀이 임이로 이탈되지 않게 걸어주기만 하면 되는 것이므로, 상기 걸이턱은 구이틀을 행거(2)에 장착할 때나 이탈시킬 때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걸림핀(25)이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구이틀은, 구이물의 전부분이 골고루 알맞게 익기전에 외부가 타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과도하게 구워져 굳게 되는 현상이 해소됨은 물론 육질과 고유의 맛이 변질되지 않고 골고루 알맞게 구워지는 최적의 구이를 제공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굽는 과정에서 기름 등이 화덕내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기나 그을음 등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구이물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바베큐 전문점 등에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은 물론 본체와 덮개체도 분리할 수 있어 세척 등 사후관리도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구이틀에 비하여 구이물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내판체에 격판을 장착하여 구이틀이 회전될 때 구이물이 한 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므로 항상 전체적으로 고르게 구워지게 되며, 또 통공들이 장공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열의 유입량이 크게 늘어나서 열효율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 구이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등의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8)

  1. 4주면이 입설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일측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여닫게 힌지로 축결합되며, 4주면은 상기 본체의 4주면에 대응하게 입설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일측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덮개체와;
    상기 본체와 덮개체내에 각각 장착되며, 4주면 모두나 전후주면만 각각 상기 본체와 덮개체의 4주면보다는 높이가 낮게 역방향으로 입설되고, 각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각각 형성된 내판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덮개체의 통공들은 내판체들의 통공들과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각 통공들은 그 내단이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통공들은 원형의 소공 또는 소정길이의 장공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유출공이 형성된 측의 일측주면의 내측에는 일측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격벽을 나란히 형성하고, 상기 격벽의 하단은 본체의 바닥면과 격리시켜 구이물로부터 흘러나온 수분과 기름이 상기 본체의 유출공측으로 흘러가는 통로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격벽의 상단은 상기 덮개체를 닫으면 이 덮개체의 바닥면과도 소정 간격으로 격리되게 하여 이들사이에도 구이물로부터 흘러나온 기름 등이 상기 덮개체의 유출공측으로 흘러가는 통로가 형성되게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덮개체의 4주면 중에서 각 전후측주면의 각 단면에는 소정길이의 차단편을 안쪽으로 수평 연장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판체들의 양측주면은 서로 대응하게 전후주면과 반대로 입설하고, 상기 내판체들 중 어느 하나의 내판체 양측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결착홈을 형성하며, 양단에는 상기 결착홈들에 선택적으로 결착하는 결착편이 연장된 격판을 구비하여 상기 내판체들 사이의 공간을 전후로 구획시켜 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격판에는 소정간격으로 유통공(33c)이 형성되고, 양단측의 상하에는 격판의 상하단을 내판체들의 바닥면과 격리시켜 주는 간격유지편이 각각 수직 연장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주면의 각 후단측에는 폭이 좁은 삽입구가 후측으로 개구된 힌지공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체의 양측주면의 각 선단측 내면에는 상기 삽입구를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삽입부를 갖는 힌지핀을 착설하여, 상기 덮개체를 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틀.
KR1020050055534A 2004-10-07 2005-06-27 구이틀 KR100659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131 2004-10-07
KR20040080131 2004-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540A KR20060048540A (ko) 2006-05-18
KR100659580B1 true KR100659580B1 (ko) 2006-12-20

Family

ID=3714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534A KR100659580B1 (ko) 2004-10-07 2005-06-27 구이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5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695B1 (ko) 2007-01-22 2008-07-04 박경주 회전형 고기 구이기
KR100869071B1 (ko) 2007-12-28 2008-11-18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1113321B1 (ko) 2009-10-21 2012-03-13 (주)이에스푸드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8164U (ko) 1974-03-11 1975-09-26
JPS56114735U (ko) 1980-02-04 1981-09-03
JPH10248722A (ja) 1997-03-10 1998-09-22 Taniguchi Kogyo Kk 型焼食物製造装置における具供給装置
KR19990002196U (ko) * 1997-06-21 1999-01-25 이교명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8164U (ko) 1974-03-11 1975-09-26
JPS56114735U (ko) 1980-02-04 1981-09-03
JPH10248722A (ja) 1997-03-10 1998-09-22 Taniguchi Kogyo Kk 型焼食物製造装置における具供給装置
KR19990002196U (ko) * 1997-06-21 1999-01-25 이교명 구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695B1 (ko) 2007-01-22 2008-07-04 박경주 회전형 고기 구이기
KR100869071B1 (ko) 2007-12-28 2008-11-18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1113321B1 (ko) 2009-10-21 2012-03-13 (주)이에스푸드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540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6951B1 (en) Grill
KR100659580B1 (ko) 구이틀
KR200433024Y1 (ko)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101128821B1 (ko) 숯불 구이판
KR20120006289A (ko) 구이판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200461389Y1 (ko) 나무를 이용한 구이용 석쇠
KR100843695B1 (ko) 회전형 고기 구이기
KR200359428Y1 (ko) 바비큐 구이기
KR102224413B1 (ko) 회전식 고기 구이기
KR20100059121A (ko) 숯불구이용 석쇠
KR20080006270U (ko) 숯불 구이기
KR200348104Y1 (ko) 고기구이용 석쇠
KR100679537B1 (ko) 구이기
KR200359418Y1 (ko) 소시지/핫도그 구이기
KR200365223Y1 (ko) 육류구이기의 구이판
KR200214894Y1 (ko) 불고기용 구이판 구조
KR20100008334U (ko) 육류 구이판
KR200351350Y1 (ko) 직화구이기용 구이기 홀더구조
KR20090012688U (ko)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TWM569604U (zh) Three-dimensional double charcoal oven
KR200241605Y1 (ko) 저면 환턱이 형성된 고기구이 판
KR200156218Y1 (ko) 구이팬
JP6076650B2 (ja) 無煙ロースター
KR20230016962A (ko) 직화구이 가능한 가마솥 뚜껑형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