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071B1 -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 Google Patents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071B1
KR100869071B1 KR1020070139962A KR20070139962A KR100869071B1 KR 100869071 B1 KR100869071 B1 KR 100869071B1 KR 1020070139962 A KR1020070139962 A KR 1020070139962A KR 20070139962 A KR20070139962 A KR 20070139962A KR 100869071 B1 KR100869071 B1 KR 100869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eat
pellet fuel
separation plat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김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filed Critical 김진성
Priority to KR1020070139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Abstract

본 발명은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펠릿연료를 이용하여 음식재료, 특히 육류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버너로 떨어져 연기가 심하게 발생되고, 버너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기름수거함에 모이도록 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상의 육류구이장치에 있어서,상기 육류구이장치의 육류구이부는 연료의 발화시 발생한 열을 전달하여 육류를 익힐 수 있도록 하되, 육류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모여지는 기름수거통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펠릿연료, 옥수수, 가스공급부, 가스분사노즐, 자동점화장치, 기름배출 조절장치, 육류구이부

Description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A burning apparatus using pellet fuel}
본 발명은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펠릿연료를 이용하여 음식재료, 특히 육류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버너로 떨어져 연기가 심하게 발생되고, 버너의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기름수거함에 모이도록 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및 어류를 포함한 육류 등과 같은 음식재료를 굽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스, 연탄 또는 석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주 연료원으로 사용하는 연소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화석연료를 사용한 연소시스템은 에너지 낭비와 환경오염문제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어 최근에는 화석연료 대신에 자연 친화적인 연료원을 사용한 연소시스템으로 대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펠릿연료 버닝장치(pellet fuel burning device)에 관한 "미국등록특허 US6,223,737호에서는 모터(78) 및 기어(79)에 의해 회전하는 오거장치(70)에 호퍼(68)를 통해 옥수수 낱알(100)이 투입되면, 오거장치(70)가 파이어 박스(30) 내에 장치된 펠릿버너장치(50)로 옥수수 낱알(100)을 이 송할 수 있도록 하고, 압력박스(82)를 통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펠릿버너장치(5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옥수수 낱알(100)을 발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펠릿연료 버너장치는 톱밥, 종이 및 목재조각 등을 파이어 박스(30)의 하부에 쌓은 뒤 거기에 사용자가 불을 붙이는 등 수동으로 옥수수 낱알(100)의 초기발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어서 당해 초기발화를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펠릿버너장치(50)가 커짐에 따라 공급된 펠릿연료가 한곳에만 쌓이는 경향이 있고, 그에 따라 열전달시 쏠림현상이 발생하거나 연전달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옥수수 낱알(100)의 발화에 의한 열기로 육류를 구울 육류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낙하하여 펠릿버너장치(50)에 떨러지면 연기가 심하게 발생하여 실내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음은 물론, 육류로부터 흘러나온 기름은 연료원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 제시되고 있지 않아 기름으로 인한 청소의 번거로움과 자원을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펠릿버너장치(50)에 공급되는 공기량 및 오거장치(70)를 통한 옥수수 낱알(100)의 공급량 조절에 대한 기능이 없어 음식재료에 따른 적정 온도 유지가 어려움은 물론, 야간 등 어두운 환경에서는 음식의 조리 정도를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 0752761호 "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을 등록하였다.
이와 같이 특허등록 제0752761호에서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음식재료인 육류가 얹혀져 열이 전달되어 구워질 때 열을 전달하는 육류구이부의 기름분리판이 구비되어 있고, 기름분리판과 기름분리판의 상주에 구비되는 구이판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을 처리하는 기름수거통이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 구이판에서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을 수거하는 기름수거통이 일측부에 설치되고, 기름분리판의 일측부에 기름이 수거통으로 이동되게 유로 가 설치되어 구이판에서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이 유로를 통하여 모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구이판과 기름 분리판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어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원활하게 유로로, 특히 유로가 형성된 타측부의 기름분리판의 상부에 있는 기름은 유동 없이 그 자리에 고여 있게 되고, 일부는 버너로 떨어지게 되어 심한 연기가 발생하게 되고,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육류를 올려 구울 때 사용되는 육류구이부를 일측부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경사지게 형성된 육류구이부에 기름수거통과 연계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육류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고, 일방향으로 흐르는 기름은 기름수거통으로 수거되도록 하여 기름이 버너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름으로 인하여 심한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름분리판에 돌출되게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재에 통공이 형성되어 버너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육류로 잘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에서 나오는 기름이 통공을 통하여 버너로 떨어지지 않고, 육류구이부의 기름분리판에 형성된 돌출부재들 사이 골을 통하여는 기름수거통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버너와 주변이 기름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기름분리판의 상부에 망형상의 석쇠가 더 구비되되, 석쇠의 봉이 기름분리판의 통공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육류에서 발생되어 떨어지는 기름이 통공으로 직접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통공을 통하여 열을 직접 석쇠에 전달하게 되어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있어서, 육류를 익히는 육류구이부는 육류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모여지는 기름수거통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육류구이부는 연료의 연소되는 연소실의 상부에 설치되되, 연소챔버의 배출공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름이 배출공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기름분리판이 구비되고, 상기 기름분리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육류가 올려지는 석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기름분리판이 안착되는 안착실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실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챔버의 배출공 상부에 위치되는 유로가 형성된 지지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판의 안착실에 안착 고정되되,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과 동일한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세라막블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안착실에는 상기 유로의 경계부에 상기 기름분리판의 일측부가 지지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블록은 다수개의 블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름분리판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부를 하부로 절곡되되, 일측은 길게 형성되고, 타측은 짧게 형성된 절곡부재이 각각 형성되고, 전후부에는 상부로 절곡되어 석쇠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재에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석쇠는 양측으로 이격되게 연결봉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의 상부에 다수개의 안착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석쇠의 안착봉은 기름분리판의 돌출부재에 형성된 통공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육류를 올려 구울 때 사용되는 육류구이부를 일측부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경사지게 형성된 육류구이부에 기름수거통과 연계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육류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고, 일방향으로 흐르는 기름은 기름수거통으로 수거되도록 하여 기름이 버너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름으로 인하여 심한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름분리판에 돌출되게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재에 통공이 형성되어 버너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육류로 잘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에서 나오는 기름이 통공을 통하여 버너로 떨어지지 않고, 기름분리판의 돌출부재들 사이 골을 통하여는 기름수거통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버너와 주변이 기름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름분리판의 상부에 망형상의 석쇠가 더 구비되되, 석쇠의 봉이 기름분리판의 통공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육류에서 발생되어 떨어지는 기름이 통공으로 직접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통공을 통하여 열을 직접 석쇠에 전달하게 되어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의해 조리 가능한 다양한 음식재료 중 육류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며, 또한 음식재료를 굽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스, 연탄 또는 석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주 연료원으로 사용하는 연소시스템 및 단일 또는 혼합의 사용가능한 모든 펠릿 형상의 연료원들 중 옥수수 낱알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육류구이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육류구이부를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은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치된 연소챔버(220)와, 상기 연소챔버(220) 내에 장치되며 옥수수 낱알과 같은 펠릿연료(pellet fuel, 200)의 발화가 이루어지는 버너(230)와, 상기 버너(230)에 펠릿연료(200)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펠릿공급부와, 상기 버너(230)에 공급된 펠릿연료(200)의 발화가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송풍부(250)와, 상기 공기송풍부(25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펠릿연료(200)가 발화하기에 적합한 상태에서 불씨를 제공함에 따라 초기발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점화장치(260)와, 연소챔버(220)의 상부에 장치되어 열을 전달받아 육류를 익힐 수 있도 록 하는 육류구이부(270) 및 열 전달에 의한 조리시 육류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을 수집함은 물론 연료원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름수거통(280) 등을 그 주요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10)은 몸체를 구성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구성들이 장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과 같이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210)은 그 상부에 호퍼(241)의 투입구 측을 개폐하기 위한 제1개폐부(211)와 연소챔버(220)의 상부측을 개폐하기 위한 제2개폐부(212)가 각각 장치되어 있고, 버너(230)가 위치하는 하부 일측에는 상기 버너(230)에서 펠릿연료(200)가 발화되고 있는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감시창(213)이 장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름배출 조절장치(282)의 밸브를 조절하여 수집된 기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름 수거통(280)의 탈착을 위해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도어(215)가 장치되어 있으며, 연소챔버(220)를 향하는 제2개폐부(212)의 내측면에는 발광부(212a)가 장치되어 있어 육류의 조리상태를 밤 등과 같이 어두운 환경하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발광부(212a)의 설치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개폐부(212)의 내측면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육류의 조리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만 있으면 하우징(210)의 상부 일측 등 어느 곳이나 설치 가능함은 당업자 수준에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소챔버(220)는 펠릿연료(200)가 발화하면서 발생한 열기의 상승을 안내함에 따라 열기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육류구이부(270)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치되어 있는 연소챔버(220)는 각각 수직부와 경사부를 포함한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인접하여 장치됨에 따라 그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소챔버(220)의 내부 하측에 장치된 버너(230)는, 펠릿연료(200)의 발화가 이루어지는 그릇의 일종으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이중 용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펠릿연료(200)가 공급되는 내측용기(231)와 상기 내측용기(231)를 감싸도록 그 외부에 장치된 외측용기(232)가 서로 이격되어 장치되어 있으며, 이때 내측용기(231)에는 복수개의 통공(231a)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용기(232)에는 공기송풍부(25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내측용기(231)의 통공(231a)으로 직접 향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판(23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용기(231)에 펠릿연료(200)가 공급된 상태에서 통공(231a)을 통하여 공기가 자연스럽게 순환됨에 따라 펠릿연료(200)의 발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펠릿공급부는 버너(230)에 펠릿연료(200)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펠릿연료(200)를 일시 저장하여 두었다가 고기의 조리시 이송스크류(242a)로 펠릿연료(200)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퍼(241)와, 상기 호퍼(241)로부터 투입된 펠릿연료(200)를 버너(230)까지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송스크류(242a) 및 펠릿연료(200)의 이송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242a)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42b)를 포함 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242a)의 전동모터(242b)는 사용자가 제어박스(290)에 장치된 연료공급조절장치(291)의 조작을 통해 그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음식재료(즉, 육류의 종류 등)에 따라 조리시의 최적 온도가 서로 다르거나 사용자의 미각에 따라 조리온도가 서로 다를 것이므로, 높은 온도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동모터(242b)의 회전속도를 높여 펠릿연료(200)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그와 반대로 낮은 온도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동모터(242b)의 회전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제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송풍부(250)는 버너(230)에 공급된 펠릿연료(200)의 원활한 발화를 위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기를 흡입하여 버너(230) 측으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미도시) 및 송풍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 송풍기(251)와, 상기 송풍기(251)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직접 버너(230)측으로 송풍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연스러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압축박스(2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공기압축박스(252)의 일측벽 상하부에는 각각 송풍구(25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하부에 형성된 송풍구(252a)를 통해 버너(230)측으로 압축 공기가 송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송풍기(251)에 의해 흡입된 외기가 공기압축박스(252) 내로 송풍되면 당해 공기압축박스(252) 내에서 1차적으로 압축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순환된 압축공기 중의 일부가 버너(230)측으로 불어나가 전술한 바와 같 이 외측용기(232)의 안내판(232a)을 통해 공기가 송풍됨과 동시에 버너의 상측을 통해서도 공기가 송풍 된다.
단, 송풍기(251)의 송풍모터 역시 전술한 펠릿공급부의 전동모터(242b)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제어박스(290)에 장치된 공기송풍조절장치(292)의 조작을 통해 그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동점화장치(260)는 펠릿연료(200)의 초기발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을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261)와 버너(230)에 인접 설치되며 상기 가스공급부(261)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분출하는 가스분사노즐(262) 및 상기 버너(230)를 향해 분출되는 가스의 점화를 위한 스타터(혹은, '이그니터'라고도 함, 26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가스공급부(261)는 일 예로 야외용 혹은 휴대용 버너 등에 탈부착 가능하게 사용되는 부탄가스통(261a)과 상기 부탄가스통(261a)이 부착되는 결합구(261b) 및 일단부가 상기 결합구(261b)의 가스 분출 측과 연통하여 결합된 가스관(261c)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스분사노즐(262)은 그 입력측이 상기 가스관(261c)의 타단부와 연통하여 결합됨과 동시에 분출측이 버너(230)의 상부 일측에 인접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부탄가스통(261a)으로부터 공급된 가스가 버너(230)로 분출될 수 있도록 되며, 가스분사노즐(262)의 분출측에 인접 설치된 스타터(263)는 사용자가 점화버튼(263a)을 누르면 배터리(263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불꽃을 발생시키고 분출된 가스에 불이 붙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톱밥, 종이, 및 목재조각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불을 붙이는 등 수동으로 초기발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던 것에 비해, 자동점화장치(260)를 채용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당해 초기발화를 위한 시간을 단축하게 됨은 물론, 초기발화를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많은 열을 단기간에 필요로 하는 점화 초기에 충분한 열을 빨리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육류구이부(270)는 하측 방향에 버너(230)가 위치하는 연소챔버(220)의 상부에 경사지게 장치되어 버너(230)에서 발생된 열기를 전달하여 육류를 구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육류구이부(270)는 펠릿연료(200)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전도하는 연소챔버(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판(27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272)의 상부에 안착되는 세라믹블록(274)이 안착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272)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육류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기름분리판(276)이 구비되며, 상기 기름분리판(276)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어 육류에 직접 접촉되어 버너(230)에서 발생된 열기를 전달받아 육류가 구워지는 석쇠(278)가 구비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판(272)은 상부에 안착실(272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실(272a)에 다수개의 관통공(272b)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실(272a)의 일측부에 유로(272c)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실(272a)의 유로(272c)의 경계부에는 기름분리판(276)의 일측부가 지지되는 걸림턱(272d)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블록(274)은 상기 지지판(272)의 안착실(272a)에 안착 고정되되, 다수개의 블록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272)의 관통공(272b)과 연계되어 열기가 통과하는 관통공(274a)이 형성된다.
따라서, 육류를 구울 때 상기 세라믹블록(274)으로부터 발생된 원적외선에 의해 육류가 속까지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영양소 파괴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세라믹블록(274) 대신에 맥반석, 황토, 및 옥 등의 물질을 재료로 한 블록(미도시)을 이용하여 원적외선을 비롯한 기타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거나 음식의 맛을 좋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기름분리판(276)은 지지판의 안착실(272a)에 안착 설치되고, 상기 기름분리판(276)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절곡시켜 절곡부재(276a)를 형성하되, 일측은 하부를 향하도록 길게 형성되고, 타측부는 하부를 향하도록 짧게 형성되고, 이때 상기 타측부의 짧게 형성된 절곡부재(276a)이 상기 지지판(272)의 안착실(272a)에 형성된 걸림턱(272d)에 밀착하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기름분리판(276)의 상부로는 상기 석쇠(278)를 전후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276b)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76b)의 사이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재(276c)가 일정 간격으로 하여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276c)의 상부에는 열기가 통과하는 통공(276d)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름분리판(276)을 지지판(272)의 상부 안착실(272a)에 설치시에 자연적으로 지지판(272)의 유로(272d)가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은 상기 돌출부재(276d)의 사이에 형성된 골을 통하 여 경사면의 하부로 이동되고, 이동된 기름은 지지판(272)의 유로(272d)를 통하여 기름수거통(280)에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석쇠(278)는 상기 기름분리판(276)의 상부에 설치되되, 양측으로 이격되게 연결봉(278a)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278a))의 상부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기름분리판(276)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재(276c)의 상부, 즉 돌출부재(276c)에 형성된 통공(276d)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비된 안착봉(278b)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석쇠(278)를 상기 기름분리판(276)의 상부에 설치시에 상기 연결봉(278a)은 돌출부재(276c)에 걸리게 되고, 안착봉(278b)은 상기 돌출부재(276c)의 통공(276d) 상부가 커버되게 설치되어 육류를 구울 때 기름이 상기 돌출부재(276c)의 통공(276d)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버너(230)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기름분리판(276)의 통공(276d)을 통하여 석쇠(278)의 안착봉(278a)에 직접 전달되게 되어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름수거통(280)은 고기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을 수집함은 물론 연료원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연소챔버(220)의 상부 일측에는 지지판(272)의 유로(272c)과 일치하는 배출공(2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름수거통(280)에 상기 지지판(272)의 유로(272C) 및 연소챔버(220)의 배출공(214)을 통과하여 떨어지는 기름을 수집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기름수거통(280)의 하부면에는 기름 배출관(281)이 연통하여 결합되어 있고, 기름 배출관(281)의 종단부에는 기름배출 조절장치(282)가 장치되어 있으며, 기름배출 조절장치(282)의 배출측은 그 종단이 버너(230)의 일측 상부에 놓여지도록 장치된 기름분출관(283)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육류구이부(270)의 석쇠(275) 위에서 조리중인 육류로부터 기름이 떨어지면 기름분리판(276)이 기름을 수거함에 따라 기름이 버너(230)에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기름수거통(280)에 기름을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필요시에는 하우징(210)에 설치된 도어(215)를 열어 기름수거통(280)의 하부에 장치된 기름배출 조절장치(282)의 밸브를 조절하여 수집된 기름을 배출하면 당해 배출된 기름이 기름분출관(283)을 통해 버너(230)에 투입되어 재활용 연료원으로서도 사용가능하게 된다.
한편, 기름수거통(280)은 청소 등을 위해 하우징(210)에 형성된 도어(215)를 열고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기름분출관(283)과 기름배출 조절장치(282)의 결합이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당해 기름수거통(280)과 기름배출 조절장치(282)가 일체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육류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을 수거하여 연료원으로 재사용하기 위한 장치들을 모두 제거한 후 기름을 받을 수 있는 용기 형상의 기름수거통을 구비하여 육류를 구울 때 발생된 기름을 수집하여 그대로 폐기 처리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작 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작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사용자는 고기를 굽는 등 조리를 하기 위해 제1개폐부(211)를 열고 펠릿연료(200)를 호퍼(241)에 공급하면 이송스크류(242a)로 상기 펠릿연료(200)가 투입되고, 전동모터(242b)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242a)가 펠릿연료(200)를 버너(230)측으로 이송시키면 낙하하는 펠릿연료(200)가 연료분산판(243)에 부딪치면서 버너(230) 전체에 고르게 공급된다.
또한, 공기송풍부(250)에서 외기를 흡입하여 버너(230) 측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면 1차적으로 공기압축박스(252)에서 압축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 뒤 공기압축박스(252)의 일측벽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송풍구(252a)를 통해 버너(230)에 공기가 공급되며, 하부측 송풍구(252a)를 통과하여 공급된 공기는 안내판(232a)이 형성되어 있는 버너(230)의 외측용기(232)을 통과함에 따라 2차적으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 후, 버너(230)의 내측용기(231)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통공을 통해 펠릿연료(200)에 공기가 공급됨과 동시에 상부측 송풍구(252a)를 통과하여 공급된 공기는 버너(230)의 상부를 통해 공급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어박스(290)에 장치된 연료공급조절장치(291)와 공기송풍조절장치(292)를 조작하여 펠릿공급부의 전동모터(242b)와 공기송풍부(250)의 송풍모터(미도시) 회전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펠릿연료(200) 공급량과 공기 송풍량을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 혹은 고기종류에 따라 적절한 온도가 될 수 있도록 조 절한다. 단, 이러한 조절은 펠릿공급부 전동모터(242b)와 공기송풍부(250) 송풍모터의 초기기동시뿐만 아니라 펠릿연료(200)의 발화가 시작되어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가능하다.
한편, 위와 같이 펠릿연료(200)의 발화를 위한 준비가 마친 후, 일 예로 야외용 혹은 휴대용 버너 등에 탈부착 가능하게 사용되는 부탄가스통(261a)을 결합구(261b)에 부착하고 자동점화장치(260)의 점화버튼(263a)을 작동시키면 가스관(261c)을 통해 가스를 공급받은 가스분사노즐(262)로부터 버너(230) 측으로 가스가 분출됨과 동시에 배터리(263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스타터(263)가 상기 분출된 가스에 불꽃을 인가하여 자동으로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가스의 점화에 의해 발생한 불꽃으로 버너(230)에 공급된 펠릿연료(200)의 발화를 시작할 수 있게 되며, 이때 펠릿공급부 및 공기송풍부(250)에 의해 펠릿연료(200) 및 공기가 계속하여 공급됨에 따라 발화상태가 유지될 것이므로, 필요한 경우 상기 부탄가스통(261a)은 초기 발화 이후 탈착시켜 따로 보관한다.
펠릿연료(200)가 발화를 시작하게 되면 그에 의해 발생한 열이 연소챔버(220)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열은 지지판(272)의 관통공(272b)과 세라믹블록(274)의 관통공(274a)을 통과하면서 상기 지지판(272) 및 세라믹블록(276)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272b)(276a)에 의해 열기가 골고루 분산되며 전달되게 된다.
이때, 지지판(272)의 안착실(272a)에 놓인 세라믹블록(274)에 열기가 전달되고, 그 두께 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공(274a)들이 형성된 블록 형상의 세라믹 블 록(274)을 통해 열기가 그 상측으로 전달됨은 물론, 당해 세라믹 블록(274)으로부터 발생한 원적외선 역시 상측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상기 지지판(272)과 세라막블록(274)을 통과한 열기는 기름분리판(276)에 열기가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통공(276d)을 통하여 상기 석쇠(278)에 열기가 전달되게 된다.
즉, 세라믹블록(274)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기름분리판(276) 및 상기 기름분리판(276) 위에 놓여진 석쇠(278)까지 열기와 원적외선이 전달되어 육류가 속까지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영양소 파괴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이 고기가 구워지면서 발생한 기름은 기름분리판(274)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출부재의 사이 골을 통하여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게 되고, 기름분리판(276)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 기름은 지지판(272)의 유로(272d)를 통하여 기름수거통(280)으로 수집된다.
따라서, 상기 기름분리판(276)의 통공(276d)의 상부에 석쇠(278)의 안착봉(278a)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밀착되게 하여 커버하는 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육류에서 발생된 기름은 상기 통공(278a)을 통하여 버너(230)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름분리판(276)의 돌출부재(276c) 사이의 골로 기름을 안내하게 되어 기름은 이 골을 따라 상기 유로(272d)가 형성된 방향으로 기름분리판(276)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기름은 유로(276)를 통하여 기름수거통(280)어 모이게 된다.
이때, 기름수거통(280)의 하부면에는 기름 배출관(281)이 연통하여 결합되어 있고, 기름 배출관(281)의 종단부에는 기름배출 조절장치(282)가 장치되어 있으며, 기름배출 조절장치(282)의 배출측은 그 종단이 버너(230)의 일측 상부에 놓여지도록 장치된 기름분출관(283)과 결합되어 있어서, 필요시에는 기름배출 조절장치(282)의 밸브를 조절하여 수집된 기름을 배출함에 따라 당해 배출된 기름이 기름분출관(283)을 통해 버너(230)에 투입되어 재활용 연료원으로서 사용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펠릿연료를 이용하여 음식재료, 특히 육류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버너로 떨어 져 연기가 심하게 발생되고, 버너의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기름수거함에 모이도록 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을 보인 분리 사시도.본
도 3은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육류구이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육류구이부를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작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펠릿연료 210 : 하우징
220 : 연소챔버 230 : 버너
231 : 내측용기 231a : 통공
232 : 외측용기 232a : 안내판
241 : 호퍼 242a : 이송스크류
251 : 송풍기 260 : 자동점화장치
261 : 가스공급부 262 : 가스분사노즐
263 : 스타터 270 : 육류구이부
272 : 지지판 274 : 세라믹블록
276 : 기름분리판 278 : 석쇠
280 : 기름수거통 282 : 기름배출 조절장치

Claims (9)

  1.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있어서,
    연소시스템의 연소챔버 상부에 안착되어 육류를 익히는 육류구이부는 육류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모여지는 기름수거통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연소챔버의 배출공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름이 배출공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기름분리판이 구비되고,
    상기 기름분리판이 안착되는 안착실이 구비되고, 안착실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연소챔버의 배출공 상부에 위치되는 유로가 형성된 지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기름분리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육류가 올려지는 석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안착실에 안착 고정되되,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세라믹블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안착실에는 상기 유로의 경계부에 상기 기름분리판의 일측부가 지지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블록은 다수개의 블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분리판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부를 하부로 절곡되되, 일측은 길게 형성되고, 타측은 짧게 형성된 절곡부재가 각각 형성되고, 전후부에는 상부로 절곡되어 석쇠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재에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는 양측으로 이격되게 연결봉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의 상부에 다수개의 안착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의 안착봉은 기름분리판의 돌출부재에 형성된 통공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20070139962A 2007-12-28 2007-12-28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0869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962A KR100869071B1 (ko) 2007-12-28 2007-12-28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962A KR100869071B1 (ko) 2007-12-28 2007-12-28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071B1 true KR100869071B1 (ko) 2008-11-18

Family

ID=4028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962A KR100869071B1 (ko) 2007-12-28 2007-12-28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0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317A (ko) 2015-05-27 2016-12-07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GB2572489A (en) * 2018-03-26 2019-10-02 Traeger Pellet Grills Llc Self-cleaning grill
US10876733B2 (en) 2018-09-11 2020-12-29 Spider Grills, Ll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pelletized fuel in a kettle grill
US11181276B2 (en) 2018-03-26 2021-11-23 Traeger Pellet Grills Llc Self-cleaning grill
US11350791B2 (en) 2018-03-26 2022-06-07 Traeger Pellet Grills, Llc Self-cleaning grilling devic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150A (ja) 2000-12-15 2002-06-25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KR200309208Y1 (ko) 2002-12-27 2003-03-29 채수연 고기 구이기
KR200315613Y1 (ko) * 2003-03-04 2003-06-09 고영팔 가스구이장치
KR200320476Y1 (ko) 2003-04-10 2003-07-23 권정하 돌 구이판
KR100659580B1 (ko) 2004-10-07 2006-12-20 이주호 구이틀
KR100752761B1 (ko) * 2006-12-19 2007-08-29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150A (ja) 2000-12-15 2002-06-25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KR200309208Y1 (ko) 2002-12-27 2003-03-29 채수연 고기 구이기
KR200315613Y1 (ko) * 2003-03-04 2003-06-09 고영팔 가스구이장치
KR200320476Y1 (ko) 2003-04-10 2003-07-23 권정하 돌 구이판
KR100659580B1 (ko) 2004-10-07 2006-12-20 이주호 구이틀
KR100752761B1 (ko) * 2006-12-19 2007-08-29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317A (ko) 2015-05-27 2016-12-07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GB2572489A (en) * 2018-03-26 2019-10-02 Traeger Pellet Grills Llc Self-cleaning grill
US11181276B2 (en) 2018-03-26 2021-11-23 Traeger Pellet Grills Llc Self-cleaning grill
US11350791B2 (en) 2018-03-26 2022-06-07 Traeger Pellet Grills, Llc Self-cleaning grilling devices
US10876733B2 (en) 2018-09-11 2020-12-29 Spider Grills, Ll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pelletized fuel in a kettle grill
US11725825B2 (en) 2018-09-11 2023-08-15 Spider Grills, Ll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pelletized fuel in a kettle gri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761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US20180296031A1 (en) Smoker or Grill Ash Management System
CN101535721B (zh) 颗粒燃烧加热组件
KR100897831B1 (ko) 펠릿 연료를 이용한 구이기
KR100869071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WO2001023808A1 (en) Pellet fuel burning device
CN104188556B (zh) 一种燃生物质智能烧烤炉
CN109363526B (zh) 一种燃料烧烤炉
CN205458191U (zh) 一种节能环保型烧烤炉
KR101134044B1 (ko)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CN109915860A (zh) 一种燃烧生物质颗粒燃料的炊事炉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1132309B1 (ko) 구이용 로스터
CN202286008U (zh) 用电和颗粒燃料混合加热的烧烤炉
CN105212778B (zh) 生物智能电烤炉
CN103767558A (zh) 一种烧烤炉具
KR101802827B1 (ko) 훈연 구이장치
CN202941950U (zh) 一种烧烤炉具
CN108895432A (zh) 生物质颗粒燃料燃烧系统及生物质颗粒燃料商用灶
KR101156612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CN112263156B (zh) 一种智能控制颗粒烧烤炉
KR100926653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1671629B1 (ko)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CN208794390U (zh) 生物质颗粒燃料燃烧系统及生物质颗粒燃料商用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