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688U -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 Google Patents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688U
KR20090012688U KR2020080007632U KR20080007632U KR20090012688U KR 20090012688 U KR20090012688 U KR 20090012688U KR 2020080007632 U KR2020080007632 U KR 2020080007632U KR 20080007632 U KR20080007632 U KR 20080007632U KR 20090012688 U KR20090012688 U KR 200900126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meat
ocher
heat
gril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삼
Original Assignee
이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삼 filed Critical 이영삼
Priority to KR2020080007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688U/ko
Publication of KR20090012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88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겹살등과 같은 육류를 구워서 먹을 때 조리하는 열원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 쉽게 타지 않을 뿐만 아니라 1차조리된 육류를 타지 않고 식지 않도록 하면서 먹을 수 있도록 한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삼겹살, 목살등과 같은 고기를 열원에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비큐 요리처럼 구워지도록 하여 고기맛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기가 타지 않고 따뜻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기를 먹는 사람들이 편리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한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황토를 이용하여 구이기구를 제작함으로써 황토 성분에 의해 고기의 누린내와 잡내를 제거하여 고기의 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황토 옹기로 제작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열원으로부터의 열 및 불꽃이 유입되도록 유입부(1)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이본체(2)와, 상기한 구이본체(2)의 내부에 고기(P)를 투입하여 유입부(1)에서 유입되는 열에 의해 구이본체(2) 내부가 가열되는 열로 구울 수 있도록 고기(P)를 꿰는 다수의 구이봉(3)을 구이본체(2) 내부에 삽입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 초벌수단과, 상기한 구이본체(2)의 상단에 안착되어 초벌 구이된 고기(P)를 올려 놓고 다시 구워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 황토 불판(4)과, 상기한 구이본체(2)의 기 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9)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황토, 구이기구, 초벌구이, 황토옹기

Description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MEAT ROASTER THAT MAKE USE OF LOESS EARTHENWARE}
본 고안은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겹살등과 같은 육류를 구워서 먹을 때 조리하는 열원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 쉽게 타지 않을 뿐만 아니라 1차조리된 육류를 타지 않고 식지 않도록 하면서 먹을 수 있도록 한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겹살등과 같은 육류를 가정 또는 음식점등에서 먹기 위해서는 숯불, 가스렌지등과 같은 열원에 구이판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한 구이판에 삼겹살을 일정 시간동안 구워서 먹게 된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정집에서 삼겹살을 구워 먹는다고 할 때, 휴대용 가스렌지(G)의 상면에 구이판(50)을 올려 놓고, 상기한 구이판(50)에 일정한 크기로 자른 삼겹살(P)을 올려놓게 된다.
삼겹살(P)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구이판(50)이 가스렌지(G)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삼겹살(P)이 구워지게 되고, 삼겹살(P)에서 배출되는 기름은 구이판(50)의 측면으로 흘러 내려 외부로 배출되거나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이판(50)에서 삼겹살(P)을 구울 때는 구이판(50)이 가스렌지(G)의 불꽃에 의해 직접 가열되기 때문에 구이판(50)에 놓여진 삼겹살(P)이 직접 가열되는 것과 같은 바, 삼겹살(P)을 여러번 뒤집으면서 잘 익도록 해야 하고 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렌지(열원)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구이판으로 삼겹살등과 같은 고기를 구워 먹게 되면, 굽는 사람이 신경을 써서 구워도 고기가 타게 되고, 사람들이 탄 고기를 먹게 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원의 열에 의해 직접 고기가 가열되기 때문에 고기가 익으면서 딱딱하게 되어 고기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삼겹살, 목살등과 같은 고기를 열원에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비큐 요리처럼 구워지도록 하여 고기맛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기가 타지 않고 따뜻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기를 먹는 사람들이 편리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한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황토를 이용하여 구이기구를 제작함으로써 황토 성분에 의해 고기의 누린내와 잡내를 제거하여 고기의 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황토 옹기로 제작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열원으로부터의 열 및 불꽃이 유입되도록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이본체와, 상기한 구이본체의 내부에 고기를 투입하여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열에 의해 구이본체 내부가 가열되는 열로 구울 수 있도록 고기를 꿰는 다수의 구이봉을 구이본체 내부에 삽입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 초벌수단과, 상기한 구이본체의 상단에 안착되어 초벌 구인된 고기를 올려 놓고 다시 구워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 황토 불판과, 상기한 구이본체의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황토 옹기로 제작된 구이본체의 내부에서 구이봉에 고기를 끼워 불꽃에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초벌구이함으로써 고기가 딱딱하게 되거나 타지 않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고기를 꺼내 구이본체의 상면 불판에서 따뜻하게 유지하면서 구워 먹을 수 있게 되어 고기를 구워 먹는 것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고기를 보다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과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와 A-A 선 및 B-B 선 단면도로서, 황토 옹기로 제작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열원으로부터의 열 및 불꽃이 유입되도록 유입부(1)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이본체(2)와, 상기한 구이본체(2)의 내부에 삼겹살등과 같은 고기(P)를 투입하여 간 접열로 굽기 위해 고기(P)가 꿰어진 다수의 구이봉(3)을 구이본체(2) 내부에 삽입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 초벌수단과, 상기한 구이본체(2)의 상단에 뚜껑처럼 안착되어 초벌구이된 고기를 올려 놓고 다시 구워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 황토 불판(4)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구이본체(2)의 내부에서 간접열로 고기를 초벌구이한 후 구이봉(3)을 꺼내 고기(P)를 불판(4)에 올려 놓고 다시 구워서 먹게 되는 바, 상기한 구이본체(2)에서의 초벌구이 및 불판(4)에서 고기를 굽는 것이 간접열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고기(P)가 타거나 딱딱하게 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한 유입부(1)는 구이본체(2)의 중앙부에서 열이 구이본체(2)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한 유입부(1)에는 열이 구이본체(2) 내부로 보다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다수개의 유입공(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초벌수단은 구이본체(2)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한 구이봉 삽입부(6)와, 상기한 구이봉(3)이 구이본체(2)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 반대측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이봉 삽입부(6)에 대향 형성된 다수개의 걸이공(7)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구이봉 삽입부(6)에는 구이봉(3)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다수의 블록(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이본체(2)에는 기름(O)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부(9)가 형성되어 있고, 불판(4)의 일측에는 기름(O)이 구이본체(2)의 내부로 흘러 내리도록 배출공(10)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구이본체(2)의 상부를 개방 형성하지 않고 편평한 부분을 일체 로 형성해도 불판의 역할을 하게 되지만, 구이본체(2) 내부의 청소등이 어렵게 된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구이봉 삽입부(6) 및 걸이봉(3)이 다단으로 형성된 것인 바, 음식점등에서 사용 시 고기를 한번에 보다 많이 구울 수 있도록 하여 고기를 구워 먹는 것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고기를 구워먹기 위하여, 먼저 구이봉(3)에 일정한 크기로 손질한 삼겹살등과 같은 고기(P)를 끼우게 된다.
구이봉(3)에 고기(P)를 끼우게 되면 이를 구이본체(2)의 측면에 형성된 구이봉 삽입부(6)를 통해 삽입함과 아울러 구이봉(6)의 끝단이 구이본체(2)의 걸이공(7)에 끼워지도록 삽입하게 된다.
구이봉(3)이 구이본체(2)의 내부에 삽입되면 불판(4)을 구이본체(2)의 상부에 덮은 후, 가스렌지등과 같은 열원에 구이본체(2)를 올려 놓고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열원에서의 열 및 불꽃은 구이본체(2)의 중앙부에 형성된 유입부(1)를 통해 유입됨과 아울러 여기에 형성된 유입공(5)을 통해 구이본체(2) 내부로 균일하게 확산된다.
구이본체(2)의 내부로 열이 균일하게 확산되면 구이봉(3)에 끼워진 고기(P)들을 가열하게 되는 바, 직접적으로 불꽃이 접촉하지 않으면서 간접열로 조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즉, 구이본체(2) 내부에 형성된 열에 의해 고기(P)들이 가열되어 구워지는 바, 어느 정도 고기(P)가 익으면 초벌구이가 완료된 것으로서, 구이봉(3)을 꺼내서 구이본체(2)의 상면에 있는 불판(4)에 고기(P)들을 올려 놓게 된다.
불판(4)에 초벌구이가 완료된 고기(P)들을 올려 놓게 되면, 상기한 불판(4)이 구이본체(2)의 내부 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시 고기(P)들이 구워지게 됨으로써 사람들이 불판(4)에서 완전하게 익은 고기를 쉽게 먹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불판(4)에서 고기를 구울 때 불판(4)이 직접 불꽃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온도가 고기를 태울 정도로 높지 않고, 이로 인해 고기(P)가 타거나 딱딱하게 되지 않아 보다 부드럽고 맛있는 고기를 먹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구이판(50)에서 고기(P)를 구울 때는 고기가 타기 때문에 고기를 굽는데 신경을 많이 써야 하지만, 본원에서는 불판(4)이 간접열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고기(P)가 타지 않게 되어 고기(P)를 먹는데만 신경을 집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기(P)가 구이본체(2)의 내부에서 간접열에 의해 초벌구이된 고기를 불판(4)에 올려 놓고 먹게 되면, 고기(P)를 먹는 것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고기(P)가 타지 않아 연기 및 냄새가 많이 나지 않게 됨으로써, 가정 및 식당에서 고기를 구워 먹는 것이 편리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구이본체(2) 및 불판(4)이 황토 옹기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황토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등에 의해 고기(P)의 냄새가 저감되어 보다 맛있게 고기를 먹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고기(P)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O)은 구이본체(2)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부(9) 및 불판(4)에 형성된 배출공(1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A-A 선 단면도,
도3은 도1에서 B-B 선 단면도,
도4는 도1에서 다수개의 구이봉 삽입부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5는 일반적인 구이판을 사용하여 육류를 굽는 것을 도시한 개략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입부 2: 구이본체
3: 구이봉 4: 불판
5: 유입공 6: 구이봉 삽입부
7: 걸이공 8: 블록
9: 배출부 10: 배출공
P: 고기 O: 기름
G: 가스렌지

Claims (3)

  1. 황토 옹기로 제작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열원으로부터의 열 및 불꽃이 유입되도록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이본체와, 상기한 구이본체의 내부에 고기를 투입하여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열에 의해 구이본체 내부가 가열되는 열로 구울 수 있도록 고기를 꿰는 다수의 구이봉을 구이본체 내부에 삽입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 초벌수단과, 상기한 구이본체의 상단에 안착되어 초벌 구인된 고기를 올려 놓고 다시 구워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 황토 불판과, 상기한 구이본체의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입부에는 열이 구이본체 내부로 보다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유입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초벌수단은 구이본체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구이봉이 엉키지 않도록 블록이 다수 형성된 구이봉 삽입부와, 상기한 구이봉이 구이본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 반대측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이봉 삽입부에 대향 형성된 다수개의 걸이공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KR2020080007632U 2008-06-09 2008-06-09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Ceased KR200900126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632U KR20090012688U (ko) 2008-06-09 2008-06-09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632U KR20090012688U (ko) 2008-06-09 2008-06-09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88U true KR20090012688U (ko) 2009-12-14

Family

ID=4929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632U Ceased KR20090012688U (ko) 2008-06-09 2008-06-09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68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665A (ko) * 2014-10-21 2016-04-29 곽주완 음식물 조리장치
KR20210106820A (ko) * 2020-02-21 2021-08-31 이태경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665A (ko) * 2014-10-21 2016-04-29 곽주완 음식물 조리장치
KR20210106820A (ko) * 2020-02-21 2021-08-31 이태경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101315045B1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101187145B1 (ko) 구이판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CN204541815U (zh) 多功能木炭无烟烧烤炉
KR20090012688U (ko)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100717073B1 (ko) 바비큐 장치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KR20120114207A (ko) 영양분과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3중석쇠
KR20090005251U (ko) 컨베이어식 오븐용 육류구이기
KR20100008414U (ko)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KR200249198Y1 (ko) 석쇠판 및 고기구이판 겸용 고기구이기
KR20130138432A (ko) 구이부가 길게 칸칸이 돌설된 양변면에 가열공이 천공된 구이판
KR102317772B1 (ko)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KR101521154B1 (ko) 천연석을 이용한 직화 구이장치
JP7627823B2 (ja) 串料理調理器具及び串料理の製造方法
JP2006526993A (ja) 変性エタノールの燃焼による食品の加熱調理方法および実施用器具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KR101985539B1 (ko) 훈제 바베큐 장치
JP2003010054A (ja) 調理用石焼釜
KR200330969Y1 (ko) 원적외선 구이기
KR100633472B1 (ko) 삼겹살 조리방법 및 그 조리기구
KR200302065Y1 (ko) 돌솥 돌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6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529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