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105A - 차량용 아우터 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우터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105A
KR20030094105A KR10-2003-0035846A KR20030035846A KR20030094105A KR 20030094105 A KR20030094105 A KR 20030094105A KR 20030035846 A KR20030035846 A KR 20030035846A KR 20030094105 A KR20030094105 A KR 20030094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irror assembly
base
fix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975B1 (ko
Inventor
사카타이쿠오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스토퍼기구를 회동 유닛에 설치하지 않고, 베이스의 수평부와 미러 어셈블리에 설치하였으므로, 회동 유닛을 좌측용 아우터 미러와 우측용 아우터 미러에 겸용할 수 있다. 또, 미러 어셈블리에 스토퍼기구의 돌기를 설치하고, 베이스에 스토퍼기구의 원호형상 홈을 설치하였으므로, 베이스를 2분할하여 금형 성형할 필요가 없이, 보통으로 금형 성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제조코스트가 염가로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우터 미러{OUTER MIRR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체의 외측의 좌우 양측에 장비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상, 하, 좌, 우, 전, 후란, 본 발명의 차량용 아우터 미러가 차량에 장비되었을 때의 상, 하, 좌, 우, 전, 후를 나타낸다.
차량용 아우터 미러로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공보 제 5,432,641호, 동일하게, 미국 특허공보 제 5,594,590호에 기재된 것(이하, 전자라고 칭함)과, 일본국 공개특허 영문초록(특개평 08-034288)에 기재된 것(이하, 후자라고 칭함)이 있다. 이 차량용 아우터 미러는, 차체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 43, 11)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샤프트(13, 2B, 64), 및, 상기 샤프트에 회동(회전운동) 자유롭게 장착된 회동부재(18, 1A, 41)를 가지는 회동 유닛(17, 1, 14)과,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 격납위치와 후방 격납위치 사이에 걸쳐 회동 자유로운 상기 미러 어셈블리(10, 41, 13)와, 상기 전방 격납위치와 상기 후방 격납위치에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회동을 규제하는 상기 스토퍼기구(27 및 26, 1B 및 2D, 26 및 59, 87)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베이스는, 금형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이다.
그런데, 후자는, 베이스의 수평부에 스토퍼기구의 돌기를 설치했으므로, 베이스를 2분할로 하여 금형 성형할 필요가 있다. 즉,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부(107)에 스토퍼기구의 돌기(102)를 설치한 베이스(101)를 제조할 때에, 슬라이드 금형(105)을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베이스(101)의 돌기(102)와 캐버티(104)(하부 금형)가 상호 간섭하여 베이스(101)를 캐버티(104)로부터 이형시킬 수 없다(도 18 중의 실선의 양 화살표 부분을 참조). 이 때문에, 후자는, 베이스(101)를 2분할로 하여 금형 성형할 필요가 있고, 제조코스트가 고가로 된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 중에서, 부호 103은 코어(상부 금형), 부호 106은 베이스(101)의 수직부이다. 또, 도 17에서, 화살표는, 코어(103), 슬라이드 금형(105)의 빼내기 방향을 나타낸다.
또, 상기 스토퍼기구는, 차량의 좌측에 장비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이하, 좌측용 아우터 미러라고 칭한다)전용의 스토퍼기구와, 차량의 우측에 장비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이하, 우측용 아우터 미러라고 칭한다)전용의 스토퍼기구가 있다.
그런데, 전자는, 회동 유닛에 스토퍼기구를 설치했으므로, 좌측용 아우터미러 전용의 스토퍼기구를 설치한 회동 유닛과, 우측용 아우터 미러 전용의 스토퍼기구를 설치한 회동 유닛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전자는 회동 유닛을, 좌측용 아우터 미러와 우측용 아우터 미러에 겸용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일부(베이스 및 하우징)가 파단된 정면도,
도 2는 미러보디 및 경동유닛이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미러 어셈블리(미러보디 및 경동유닛은, 생략되어 있음)를 베이스에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과는 상이한 각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미러보디 및 경동유닛이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는 미러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브래킷에 회동 유닛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7은 도 6에서 V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8은 브래킷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도 8에서 IX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X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1은 회동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미러 어셈블리가 사용위치에 위치할 때의 스토퍼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미러 어셈블리가 후방 격납위치에 위치할 때의 스토퍼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미러 어셈블리가 전방 격납위치에 위치할 때의 스토퍼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도 11에서 XV-XV선 전개 단면의 설명도,
도 16은 하우징의 일부가 파단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수평부에 스토퍼기구의 돌기를 설치한 베이스의 금형 성형을 도시하는 설명도, 및
도 18은 수평부에 스토퍼기구의 돌기를 설치한 베이스에 있어서, 베이스의 돌기와 캐버티가 상호 간섭하여 베이스를 캐버티로부터 이형할 수 없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에 있어서, 스토퍼기구가, 베이스의 수평부에 설치된 원호형상 홈의 양단부와, 미러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원호형상 홈의 양단부에 맞닿아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미러 어셈블리에 돌기를 설치하고, 베이스에 원호형상 홈을 설치하였으므로, 베이스측에 스토퍼기구의 돌기가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베이스를 제조할 때에, 베이스와 금형이 상호 간섭하는 일이 없고, 베이스를 보통으로 금형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를 2분할로 하여 금형 성형할 필요가 없으므로, 베이스를 2분할로 하여 금형 성형할 필요가 있는 상기 차량용 아우터 미러와 비교하여, 제조 코스트가 염가로 된다.
또, 본 발명은, 스토퍼기구를 회동 유닛에 설치하지 않고, 베이스의 수평부와 미러 어셈블리에 설치하였으므로, 좌측용 아우터 미러 전용의 스토퍼 기구와 우측용 아우터 미러 전용의 스토퍼기구를, 회동 유닛에 설치하지 않고, 좌측용의 베이스 및 미러 어셈블리와 우측용 베이스와 미러 어셈블리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회동 유닛을 좌측용 아우터미러와 우측용 아우터 미러에 겸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아우터 미러의 실시형태의 1예를 도 1∼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예는, 차량의 우측의 도어에 장비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1은,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이다. 이 차량용 아우터 미러(1)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2)와, 회동 유닛(7)과, 미러 어셈블리(3)와, 스토퍼기구(원호형상 홈(48)의 양단부(48a, 48b) 및 돌기(49))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2)는, 도 1∼도 4,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측면에 고정되는 수직부(8)와, 상기 수직부(8)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뻗어 설치된 수평부(9)를 가진다. 이 베이스(2)는, 수직부(8)와 수평부(9)로부터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8)는, 차체(도어)의 벽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부(8)의 이면에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3개의 나사 보스(8a, 8a, 8a)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 보스(8a, 8a, 8a)에 나사(도시 생략)를 차체 측으로부터 나사박으므로써, 상기 수직부(8)가 차체의 벽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수평부(9)는, 상벽(9a)과 하벽(9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벽(9a)에는, 대략 원형의 개구부(9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벽(9b)에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3개의 고정부(9e)가 상기 개구부(9d)의 범위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 유닛(7)은, 도 1∼도 7,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의 수평부(9)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로서의 샤프트(수직축)(10)와, 상기 샤프트(10)에 회동 자유롭게 장착된 회동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 본체(11)와, 상기 샤프트 본체(1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형의 플랜지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부(12)의 하면에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3개의 나사 보스(13, 13, 13)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2)는, 상기 베이스(2)의 수평부(9)의 상벽(9a)의 개구부(9d)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2)의 보스(13, 13, 13)에는, 나사(17, 17, 17)가 상기 베이스(2)의 수평부(9)의 하벽(9b)의 고정부(9e)를 통하여 나사박음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10)는, 상기 베이스(2)의 수평부(9)에 고정되는 것으로 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12)의 상면에는, 샤프트 본체(11)의 밑부에 단상(段狀)으로 형성된 스러스트 면(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러스트 면(14)에는, 와셔(15)를 통하여 상기 회동부재(20)가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세팅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2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워 케이스(21)와 어퍼 케이스(22)를 가진다. 상기 로워 케이스(21)에는, 부착판부(21a, 21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3)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의 축(0)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 격납위치(A)(도 16중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와 후방 격납위치(B)(도 16중 1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 사이에 걸쳐서 회동 자유롭다. 이 미러 어셈블리(3)는, 도 1∼도 5,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면(경면)을 가지는 미러 보디(70)와, 상기 미러보디(70)를 경동(傾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동 유닛(6)과, 후면 개구부(41)를 가지는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내에 고정된 브래킷(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러보디(70)의 이면측에는, 미러홀더(7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경동 유닛(6)은, 상기 미러보디(70)를 상기 미러홀더(71)를 통하여 경동 자유롭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 예의 경동 유닛(6)은, 전동식으로서, 도 1,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62)을 가진다. 상기 케이싱(62)의 대략 중앙부에는, 볼 조인트(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 조인트(63)에는, 상기 미러보디(70)가 상기 미러홀더(71)을 통하여 경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62)에는, 상하 방향용의 진퇴로드(65) 및 좌우 방향용의 진퇴로드(64)가 각각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상하 방향용의 진퇴로드(65)의 볼부(ball部) 및 좌우 방향용의 진퇴로(64)의 볼부는, 상기 미러홀더(7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62)내에는, 상하 방향용의 구동수단(도시 생략) 및 좌우 방향용의 구동수단(도시 생략)이 각각 내장되어 있다. 상기 상하 방향용의 구동수단 및 상기 좌우 방향용의 구동수단은, 모터와 기어 군의 감속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방향용의 구동수단 및 상기 좌우 방향용의 구동수단에는, 상기 상하 방향용의 진퇴로드(65) 및 좌우 방향용의 진퇴로드(64)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가 차실내에 설치된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도시 생략)를 조작한다. 그러면, 상기 상하 방향용의 구동수단 및 상기 좌우 방향용의 구동수단이 구동하여, 상기 상하 방향용의 진퇴로드(65) 및 상기 좌우 방향용의 진퇴로드(64)가 진퇴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상기 미러보디(70)는, 상기 볼 조인트(63)의 중심과 상기 좌우 방향용의 진퇴로드(64)의 볼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을 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및, 상기 볼 조인트(63)의 중심과 상기 상하 방향용의 진퇴로드(65)의 볼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을 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임의의 각도로 경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경동 유닛(6)은, 미러보디(70)를 상하 좌우로 임의의 각도로 경동시킬 수 있다. 즉, 드라이버는, 리모트 컨트롤에 의하여, 미러보디(70)의 반사면을 임의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은, 도 1∼도 5,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면 개구부(41)를 가지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4)의 전면벽(42)에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3개의 나사 보스(43, 43, 43)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4)의 저면 벽(44)에는, 대략 원형의 개구부(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5)은, 상기 하우징(4)보다도 높은 강도의 수지(예를 들면, 유리섬유가 들어 있는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5)은, 도 1∼도 3,도 5∼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유닛 장착부(5a)와, 상기 회동 유닛 장착부(5a)의 차폭방향 외측에 설치된 경동 유닛 장착부(5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경동 유닛 장착부(5b)는, 후방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이룬다. 상기 경동 유닛 장착부(5b)에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4개의 나사 보스(5c, 5c, 5c, 5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 유닛 장착부(5a)에는, 상기 회동 유닛(7)의 회동부재(20)의 로워 케이스(21)의 부착판부(21a 및 21b)가 나사(18, 18, 18, 18) 및 나사(19, 19)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경동 유닛 장착부(5b)의 나사 보스(5c, 5c, 5c, 5c)에는, 상기 경동 유닛(6)의 케이싱(62)이 나사(66, 66, 66, 6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5)은, 상기 하우징(4)의 나사 보스(43, 43, 43)에 나사(47, 47, 47)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4)내에는, 상기 브래킷(5)을 통하여, 상기 경동 유닛(6)과 상기 회동 유닛(7)과 상기 미러보디(70)가 각각 수용 장비되는 것이다. 또, 상기 미러보디(70)는, 상기 하우징(4)의 후면 개구부(41)에 위치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회동 유닛(7)의 플랜지부(12)는, 상기 하우징(4)의 개구부(45)로부터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베이스(2)의 수평부(9)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미러보디(70)와, 상기 경동 유닛(6)과, 상기 하우징(4)과, 상기 브래킷(5)으로부터 상기 미러 어셈블리(3)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3)는, 상기 브래킷(5)을 통하여 상기 회동 유닛(7)의 회동부재(2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미러 어셈블리(3)는, 상기 샤프트(10)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 격납위치(A)와 후방 격납위치(B) 사이에 걸쳐서 회동 자유롭게 된다.
상기 회동 유닛(7)은, 이 예에서는, 전동식이다. 상기 회동 유닛(7)의 상기 로워 케이스(21)와 어퍼 케이스(22)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동부재(20)에는, 모터(M)와, 구동전달기구(23)와, 클러치기구(24)와, 위치결정기구와, 스위치 회로(도시 새략)가 각각 내장 장비되어 있다.
상기 모터(M)는, 로워 케이스(21)에 나사고정이 고정되는 유지 케이스(25)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상기 모터(M)는, 동일하게 유지 케이스(25)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회로기판(26) 상의 상기 스위치회로를 통하여 차량 탑재 배터리(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터(M)는, 차실내의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전달기구(23)는, 모터(M)의 출력축에 조인트(27)를 통하여 부착된 제1웜기어(28)와, 이 제1웜기어(28)와 맞물리는 웜휠(29)과, 웜휠(29)의 비원형의 중심투과구멍(29a)에 회전축(30a)의 일단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한 제2웜기어(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 2 웜기어(30)가 상기 클러치기구(24)의 클러치 기어(33)와 맞물리고 있다.
상기 클러치기구(24)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3)에 외력이 가해진 때에, 상술한 모터(M) 및 구동전달기구(23)에 과부하를 부여하지 않고, 상기 샤프트(10)에 대하여 상기 미러 어셈블리(3)를 회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클러치기구(24)는, 「가세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31)과, 상기 코일 스프링(31)의 상단을 유지하는 리테이너(32)와, 클러치 기어(33)와, 클러치 휠(34)과, 와셔(3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32)는 푸시너트이다. 상기 클러치 휠(34)은, 상기 샤프트(10)의 상기 샤프트 본체(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모따기부(11a)와 걸어맞추어져 상기 샤프트(10)에 비회전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휠(34)의 하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와셔(35)를 통하여 상기 로워 케이스(21)의 저면에 압접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휠(34)의 상면에는, 볼록형상의 걸어맞춤 클릭(34a)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러치 기어(33)는, 상기 샤프트(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기어(33)의 하면에는, 상기 클러치 휠(34)의 걸어맞춤 클릭(34a)과 걸어맞춤 이탈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33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기어(33)의 중앙 수납부에 코일 스프링(31)을 수납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축부(11)의 오목부(16)에 리테이너(32)를 끼워넣으므로써, 코일 스프링(31)을 압축하고, 이 코일 스프링(31)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 휠(34)과 클러치 기어(33)가 서로 가압되어 있다. 또, 코일 스프링(31)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회동부재(20)가 와셔(15)를 통하여 샤프트(10)의 베이스부(12)의 스러스트 면(19)에 가세되어 있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걸어맞춤 클릭(34a)과 걸어맞춤 오목부(33a)가 걸어맞추어져 클러치 휠(34)과 클러치 기어(33)가 연계상태에 있고, 샤프트(10)에 대하여 클러치 기어(33)가 고정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모터(M)를 구동하면 구동전달기구(23) 및 클러치 기어(33)를 통하여 회동부재(20)가 샤프트(10)에 대하여 회동한다. 한편, 수동 혹은 예기치 못한 충돌 등의 외력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31)의 탄성력을 극복할 정도의 회전력을 미러 어셈블리(3)에 부여하면, 클러치 휠(34)과 클러치 기어(33)가 차단상태가 되고, 샤프트(10)에 대하여 클러치 기어(33)가 회동가능하게 되어, 모터(M)에 과부하를 부여하지 않고 이 미러 어셈블리(3)를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기구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의 플랜지부(12)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원호형상 홈(37)과, 상기 회동부재(20)의 로워 케이스(21)의 하면에 전동 가능하게 유지된 한 쌍의 전동체(3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0)의 플랜지부(12)의 상면과 상기 회동부재(20)의 로워 케이스(21)의 하면은, 서로 대향한다. 상기 전동체(38)는, 상기 회동부재(20)의 로워 케이스(21)의 하면에 오목하게 설치된 반구형상의 리테이너부(39)에 전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전동체(38)는, 상기 한 쌍의 원호형상 홈(37)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15중의 1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 홈(37)의 일단부(37a)에 전동체(38)가 위치할 때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어셈블리(3)가 후방 격납위치(B)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도 15중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 홈(37)의 타단부(37b)에 전동체(38)가 위치할 때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어셈블리(3)가 사용위치(전개 위치)(C)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원호형상 홈(37)의 양단부 (37a, 37b)의 높이는, 상기 모터(M)의 구동에 의하여 회동부재(20)가 회동할 때에, 전동체(38)가 올라앉기 불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전동 회동할 때에는, 전동체(38)가 원호형상 홈(37) 내를 전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만 미러 어셈블리(3)는, 사용위치(C)와 후방 격납위치(B) 사이를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미러 어셈블리(3)의 회동이 원호형상 홈(37)의 단부(37a, 37b)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스톱하면, 상기 스위치 회로가 모터(M)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검지하여 상기 모터(M)로의 통전을 차단한다. 이 결과, 상기 미러 어셈블리(3)는, 사용위치(C)와 후방 격납위치(B)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수동 혹은 예기치 못한 충돌 등의 외력에 의하여 미러 어셈블리(3)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클러치기구(24)가 차단상태가 되는 동시에 도 15중의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체(38)가 원호형상 홈(37)으로부터 이탈하여, 미러 어셈블리(3)가 상기 원호형상 홈(37)과는 무관하게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미러 어셈블리(3)가 원호형상 홈(37)과는 무관하게 회동할 때에, 미러 어셈블리(3)를 전방 격납위치(A) 및 후방 격납위치(B)에 정지시키기 위하여 스토퍼기구(격납용의 스토퍼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기구는, 도 3, 도 4, 도 6∼도 10, 도 12∼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에 의하여 수평부(9)의 상벽(9a)에 설치된 원호형상 홈(48)의 양단(48a, 48b)과, 미러 어셈블리(3)를 구성하는 브래킷(5)으로부터 상기 원호형상 홈(48)내에 돌출설치되는 돌기(49)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돌기(49)는, 하우징(4)의 저면벽(44)의 개구부(45)에 설치된 절결부(46)를 통하여 하우징(4)의 저면벽(44)으로부터 돌출하여, 베이스(2)의 원호형상 홈(48)내에 돌출설치된다. 또, 원호형상 홈(48)은, 원호형상 홈(37)과 동일하게 샤프트(10)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차량용 아우터 미러(1)의 스토퍼기구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러 어셈블리(3)가 사용위치(C)에 위치할 때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49)는, 원호형상 홈(48)의 대략 중간에 위치한다. 이 때, 수동 등의 외력에 의하여, 미러 어셈블리(3)를 후방으로(도 16 중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하게 한다. 그러면, 클러치기구(24)가 차단상태로 되고, 미러 어셈블리(3)는, 후방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5)의 돌기(49)가 베이스(2)의 원호형상 홈(48)의 일방의 단부(48b)에 맞닿았을 때에, 미러 어셈블리(3)의 회동이 정지하고, 미러 어셈블리(3)는, 후방 격납위치(B)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또, 수동 등의 외력에 의하여, 미러 어셈블리(3)를 전방으로(도 16 중 화살표 E 방향으로)회동시킨다. 그러면, 클러치기구(24)가 차단상태가 됨과 동시에 이 클러치기구(24)에 의하여 도 15중의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10)의 플랜지부(12)의 원호형상 홈(37)으로부터 회동부재(20)의 리테이너부(39)에 의하여 유지되는 전동체(38)가 이탈된다. 이것에 의하여, 미러 어셈블리(3)는 원호형상 홈(39)과는 무관하게 자유롭게 전방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5)의 돌기(49)가 베이스(2)의 원호형상 홈(48)의 타방의 단부 (48a)에 맞닿은 곳에서, 미러 어셈블리(3)의 회동이 정지하고, 미러 어셈블리(3)는, 전방 격납위치(A)에 위치하는 것이다. 즉, 미러 어셈블리(3)는, 격납위치(전방 격납위치 또는 후방 격납위치)에 격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1)에 의하면, 미러 어셈블리 격납용 스토퍼기구는, 미러 어셈블리(3)측의 브래킷(5)에 돌기(49)를 설치하고, 베이스(2)에 원호형상 홈(48)을 설치하였으므로, 베이스(2)측에 스토퍼 기구의 돌기(49)가 없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1)는, 베이스(2)를 제조할 때에, 베이스(2)와 금형이 상호 간섭하는 일이 없고, 베이스(2)를 보통으로 금형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1)는, 베이스(2)를 2분할로 하여 금형 성형할 필요가 없으므로, 베이스를 2분할로 하여 금형 성형할 필요가 있는 종래의 차량용 아우터 미러와 비교하여, 제조 코스트가 염가로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1)는, 스토퍼기구의 원호형상 홈(48)과 돌기(49)를 회동 유닛(7)에 설치하지 않고, 베이스(2)의 수평부(9)와 미러 어셈블리(3)에 설치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1)는, 좌측용 아우터 미러 전용의 스토퍼기구(전방 격납 위치가 사용위치에 대하여 반시계 회전방향에 있는)와 우측용 아우터 미러 전용의 스토퍼기구(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격납위치(A)가 사용위치(C)에 대하여 시계방향에 있는)를, 회동 유닛(7)에 설치하지 않고, 좌측용의 베이스(도시 생략) 및 미러 어셈블리(도시 생략)와 우측용의 베이스(2)와 미러 어셈블리(3)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1)는, 회동 유닛(7)을 좌측용 아우터 미러와 우측용 아우터 미러에 겸용할 수 있다.
즉, 미러 어셈블리(3)의 후방 격납위치(C)와 사용위치 사이의 회동 각도가 좌측용 아우터 미러와 우측용 아우터 미러와 동일각도면, 회동 유닛(7)을 좌측용 아우터 미러와 우측용 아우터 미러에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우측용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어셈블리(3)가 후방 격납위치(B)에 위치할 때에는 전동체(38)가 원호형상 홈(37)의 일단부(37a)에 위치하고, 미러 어셈블리(3)가 사용위치(C)에 위치할 때에는 전동체(38)가 원호형상 홈(37)의 타단부(37b)에 위치한다. 한편, 좌측용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는, 미러 어셈블리(3)가 후방 격납위치(B)에 위치할 때에는 전동체(38)가 원호형상 홈(37)의 타단부(37b)에 위치하고, 미러 어셈블리(3)가 사용위치(C)에 위치할 때에는 전동체(38)가 원호형상 홈(37)의 일단부(37a)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여기서, 스토퍼기구를 회동 유닛(7)에 설치한 경우, 우측용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는, 전방 격납위치(A)용의 원호형상 홈(48)의 단부(48a)를 도 15중의 원호형상 홈(37)의 타단부(37b)보다도 우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좌측용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는, 전방 격납위치(A)용의 원호형상 홈(48)의 단부(48a)를 도 15중의 원호형상 홈(37)의 일단부(37a)보다도 좌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스토퍼기구를 회동 유닛(7)에 설치한 경우, 우측용 아우터 미러 전용의 회동 유닛과, 좌측용 아우터 미러 전용의 회동 유닛이 필요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1)와 같이, 스토퍼기구의 원호형상 홈(48)과 돌기(49)를 회동 유닛(7)에 설치하지 않고, 베이스(2)의 수평부(9)와 미러 어셈블리(3)에 설치함으로써, 회동 유닛(7)을 좌측용 아우터 미러와 우측용 아우터 미러에 겸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1)는, 스토퍼기구의 돌기(49)가 미러 어셈블리(3)측의 브래킷(5)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러어셈블리(3)측의 하우징(4)에 스토퍼기구의 돌기(49)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1)는, 외관도장이 행해지는 하우징(4)에 돌기(49)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도장 박리 등의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더욱이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아우터 미러(1)는, 돌기(49)가 하우징(4) 등의 그 밖의 부품보다 고강도의 재질로 형성되는 브래킷(5)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상 유리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토퍼기구의 돌기(49)를 미러 아셈블리(3) 측의 브래킷(5)에 설치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토퍼기구의 돌기(49)를, 브래킷(5) 이외에, 미러 어셈블리(3)를 구성하는 부재, 예를 들면, 회동 유닛(7)의 회동부재(20), 하우징(4), 경동 유닛(6)의 케이싱(62)에 돌출설치해도 좋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동 유닛(7) 및 경동 유닛(6)은 모두 전동식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회동 유닛 및 경동 유닛은 수동식이더라도 좋다.
더욱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브래킷(5)과 하우징(4)은 별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브래킷과 하우징이 일체로 수지성형된 것이더라도 좋다. 즉, 하우징에 회동 유닛 및 경동 유닛을 직접 고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미러 어셈블리에 돌기를 설치하고, 베이스에 원호형 상 홈을 설치하였으므로, 베이스측에 스토퍼기구의 돌기가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베이스를 제조할 때에, 베이스와 금형이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고, 베이스를 보통으로 금형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를 2분할로 하여 금형 성형할 필요가 없으므로, 베이스를 2분할로 하여 금형 성형할 필요가 있는 상기 차량용 아우터 미러와 비교하여, 제조 코스트가 염가로 된다.
또, 본 발명은, 스토퍼기구를 회동 유닛에 설치하지 않고, 베이스의 수평부와 미러 어셈블리에 설치하였으므로, 좌측용 아우터 미러 전용의 스토퍼기구와 우측용 아우터 미러 전용의 스토퍼기구를, 회동 유닛에 설치하지 않고, 좌측용의 베이스 및 미러 어셈블리와 우측용 베이스와 미러 어셈블리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회동 유닛을 좌측용 아우터미러와 우측용 아우터 미러에 겸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미러 어셈블리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
    차체 측면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대략 수평으로 뻗어 설치된 수평부를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수평부에 고정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동 자유롭게 장착된 회동부재를 가지는 회동 유닛과,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 격납위치와 후방 격납위치 사이에 걸쳐서 회동 자유로운 상기 미러 어셈블리와,
    상기 전방 격납위치와 상기 후방 격납위치에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회동을 규제하는 상기 스토퍼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기구는, 상기 베이스의 수평부에 설치된 원호형상 홈의 양단부와, 상기 미러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상기 원호형상 홈의 양단부에 맞닿아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반사면을 가지는 미러보디와,
    상기 미러보디를 경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동 유닛과,
    후면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된 브래킷을 가지고,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회동 유닛의 회동부재가 고정되고, 또한, 상기 경동 유닛이 고정되어 상기 미러보디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 개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토퍼기구의 돌기는,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하우징보다도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동 유닛은,
    상기 브래킷에 고정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상기 미러보디를 경동 가능하게 지지한 볼 조인트와,
    상기 케이싱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한 상하 방향용의 진퇴로드 및 좌우 방향 용 진퇴로드와,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용의 진퇴로드 및 상기 좌우 방향용의 진퇴로드를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각각 진퇴시켜서, 상기 미러보디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경동시키는 상하 방향용의 구동수단 및 좌우 방향용의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반사면을 가지는 미러보디와,
    상기 미러보디를 경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동 유닛과,
    후면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회동 유닛의 회동부재가 고정되고, 또한, 상기 경동 유닛이 고정되어 상기 미러보디가 상기 후면 개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토퍼기구의 돌기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경동 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동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상기 미러보디를 경동 가능하게 지지한 볼 조인트와,
    상기 케이싱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 방향용의 진퇴로드 및 좌우 방향용의 진퇴로드와,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용의 진퇴로드 및 상기 좌우 방향용의 진퇴로드를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각각 진퇴시켜서, 상기 미러보디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경동시키는 상하 방향용의 구동수단 및 좌우 방향용의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회동부재내에 설치되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미러 어셈블리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동 전달기구와,
    상기 감속기구와 상기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상기 모터에 과부하를 부여하지 않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를 회동시킬 수 있는 클러치 기구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회동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를, 상기 전방 격납위치와 상기 후방 격납위치의 대략 중간의 사용위치, 또는, 상기 후방 격납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위치결정기구와,
    상기 미러 어셈블리가 상기 사용위치 또는 상기 후방 격납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모터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
  8. 차체 측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고정되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여 2위치에 걸쳐서 회동 자유로운 미러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2위치에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를 회동 규제하는 스토퍼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기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원호형상 홈과, 상기 미러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원호형상 홈내에 돌출설치되는 돌기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차량용 아우터 미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후면 개구부로부터 반사판을 노출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이 브래킷으로 유지되는 회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 유닛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샤프트와, 이 샤프트에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고 또한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회동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미러 어셈블리가 상기 회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하는 타입의 차량용 아우터 미러로서,
    상기 스토퍼기구의 돌기가,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
KR1020030035846A 2002-06-04 2003-06-04 차량용 아우터 미러 KR100549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3474A JP2004009806A (ja) 2002-06-04 2002-06-04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JPJP-P-2002-00163474 2002-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105A true KR20030094105A (ko) 2003-12-11
KR100549975B1 KR100549975B1 (ko) 2006-02-08

Family

ID=2954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846A KR100549975B1 (ko) 2002-06-04 2003-06-04 차량용 아우터 미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93358B2 (ko)
EP (1) EP1369301B1 (ko)
JP (1) JP2004009806A (ko)
KR (1) KR100549975B1 (ko)
CN (1) CN1318239C (ko)
DE (1) DE6030293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2298B2 (en) * 2001-04-27 2007-02-06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Power fold mechanism for vehicle mirrors
JP4054252B2 (ja) * 2002-12-04 2008-02-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及び車両用アウタミラー装置の格納機構
JP4122993B2 (ja) * 2003-02-04 2008-07-23 市光工業株式会社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TWI232187B (en) * 2003-06-28 2005-05-11 Chaw Khong Co Ltd Electrical operable pivoting back-mirror device
KR100586003B1 (ko) * 2004-05-20 2006-06-08 프로큅인터내셔널홍콩 리미티드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JP2006007925A (ja) * 2004-06-24 2006-01-12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
JP2006076408A (ja) * 2004-09-08 2006-03-23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アウタミラー装置の格納機構
JP5011298B2 (ja) * 2005-08-24 2012-08-29 ホスピテック レスピ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気管内チューブカフ充填の調整
JP4676301B2 (ja) * 2005-10-14 2011-04-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NL1031808C2 (nl) * 2006-05-12 2007-11-15 Eaton Automotive Bv Scharnierconstructie.
JP4882649B2 (ja) * 2006-10-03 2012-02-22 市光工業株式会社 モーターモジュール組立体
JP2008087706A (ja) * 2006-10-04 2008-04-17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8087707A (ja) * 2006-10-04 2008-04-17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807213B2 (ja) * 2006-10-04 2011-11-0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20080253008A1 (en) * 2007-04-10 2008-10-16 Milo Tseng Foldable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
JP2008296721A (ja) * 2007-05-31 2008-12-11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985276B2 (ja) * 2007-09-27 2012-07-25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8157395B2 (en) * 2009-05-27 2012-04-17 Murakami Corporation Folding outer mirror
JP5566050B2 (ja) * 2009-05-27 2014-08-06 株式会社村上開明堂 格納式アウターミラー
JP5389693B2 (ja) * 2010-02-25 2014-01-15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ドアミラー
JP2011194925A (ja) * 2010-03-17 2011-10-06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552854B2 (ja) * 2010-03-17 2014-07-1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EP2554435B1 (en) * 2010-03-26 2014-11-05 Mitsuba Corporation Vehicle side-view mirror
JP5803356B2 (ja) * 2011-07-05 2015-11-0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872208B2 (ja) 2011-08-25 2016-03-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DE102011082651A1 (de) 2011-09-14 2013-03-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iegelfuß für einen Außenspiegel eines Kraftfahrzeugs sowie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Spiegelfuß
JP5955746B2 (ja) * 2012-06-29 2016-07-20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アウターミラー
DE102012018742B3 (de) 2012-09-21 2014-03-13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stellung eines Spiegels für ein Kraftfahrzeug
EP2902263B1 (en) * 2014-02-04 2018-04-11 Fico Mirrors France S.A.S. Rear view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JP6312589B2 (ja) 2014-12-19 2018-04-1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ミラー
JP6472420B2 (ja) * 2016-09-20 2019-02-20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JP6704382B2 (ja) * 2016-11-14 2020-06-03 エスエムエル・パテンツ・エス・ア・エル・エル 移動可能ヘッド組立体を伴う後方視界装置
JP7172162B2 (ja) * 2018-06-20 2022-11-1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の電動格納ユニット、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6847999B2 (ja) * 2019-04-23 2021-03-2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ミラー
DE102019115163B3 (de) * 2019-06-05 2020-09-10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Anklappaktuator mit rastenbetätigtem Antrieb, Rückblicksystem und Fahrzeug
CN113147601A (zh) * 2020-01-19 2021-07-23 马美凤 一种具有抗撞能力的汽车电动折叠后视镜
CN113232590A (zh) * 2020-01-19 2021-08-10 马美凤 一种汽车用的后视镜装置
DE102020201294A1 (de) * 2020-02-03 2021-08-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piegelträger für eine Außenspiegel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8738A (ja) * 1984-01-12 1985-08-06 Ichikoh Ind Ltd ドアミラ−構造
US4988068A (en) * 1988-06-09 1991-01-29 Murakami Kameido Co., Ltd. Remote control mechanism
JPH03121946A (ja) * 1989-10-02 1991-05-23 Aisin Seiki Co Ltd 回動装置のトルクリミッタ機構
JP2604693Y2 (ja) 1992-09-16 2000-05-22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JP2593794Y2 (ja) * 1993-03-24 1999-04-12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JP3173292B2 (ja) 1994-07-22 2001-06-0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後写鏡装置
EP0644084B1 (en) * 1993-09-03 1998-05-20 Ichikoh Industries Limited Rearview mirror system for vehicles
JP3208994B2 (ja) 1994-06-09 2001-09-1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後写鏡装置の駆動装置
DE19521432C2 (de) * 1995-06-15 1999-07-01 Hohe Gmbh & Co Kg Fahrzeugaußenspiegel mit motorisch schwenkbarem Spiegelkopf
KR100198321B1 (ko) * 1995-09-22 1999-06-15 모치마루 마모루 차량용 후시경의 위치결정장치
NL1003144C2 (nl) * 1996-05-15 1997-11-18 Iku Holding Montfoort Bv Elektrisch bedienbare scharnieractuator, en buitenspiegel met elektrisch bedienbaar scharniermechanisme.
AUPQ147499A0 (en) * 1999-07-08 1999-07-29 Britax Rainsfords Pty Ltd Load support for a wing mirror
DE19957371A1 (de) 1999-11-29 2001-06-13 Medac Klinische Spezialpraep Mitomycin C-Lösung
DE10009670B4 (de) * 2000-02-29 2005-08-04 Bühler Moto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JP3872639B2 (ja) * 2000-08-31 2007-01-24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9301B1 (en) 2005-12-28
JP2004009806A (ja) 2004-01-15
DE60302935T2 (de) 2006-06-29
CN1318239C (zh) 2007-05-30
EP1369301A1 (en) 2003-12-10
US6793358B2 (en) 2004-09-21
DE60302935D1 (de) 2006-02-02
US20040012867A1 (en) 2004-01-22
KR100549975B1 (ko) 2006-02-08
CN1468754A (zh) 200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975B1 (ko) 차량용 아우터 미러
EP1908635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EP2368762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CA1325351C (en) Automotive rear view mirror assembly
EP1908633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EP2543546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JP2008296719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EP2574504A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JP2008296721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EP1000807B1 (en) Remote-controlled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EP2377726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US6769781B2 (en) Remote control mirror apparatus for automobile
EP1347890B1 (en) Movement mechanism
JPH01283701A (ja) 車輌用前照灯の傾動装置
JP2023000254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における鏡面角度調整ユニット、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3173292B2 (ja) 車両用後写鏡装置
JP2000085470A (ja) 自動車用ドアミラー装置
EP3565738B1 (en) Mechanical tilt for full display mirror
JP2001322495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H08132964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3379239B2 (ja) 車両用後写鏡
JP7442420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S6324849B2 (ko)
JP2023000257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における鏡面角度調整ユニット、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8296720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