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722A -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722A
KR20030088722A KR1020020026566A KR20020026566A KR20030088722A KR 20030088722 A KR20030088722 A KR 20030088722A KR 1020020026566 A KR1020020026566 A KR 1020020026566A KR 20020026566 A KR20020026566 A KR 20020026566A KR 20030088722 A KR20030088722 A KR 20030088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roller
sensor
senso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005B1 (ko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005B1/ko
Priority to US10/393,247 priority patent/US6805509B2/en
Priority to JP2003106325A priority patent/JP2003335434A/ja
Publication of KR2003008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05Registration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는 용지가 이송될 때 용지에 의해 이송롤러의 회전중심에 관해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센서 액츄에이터, 및 센서 액츄에이터의 회동 동작에 따라 용지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의 선단위치 감지 오차와 이송롤러와 전사롤러 사이의 거리를 줄이도록 용지 감지장치가 이송롤러의 회전중심에 관해 동작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용지의 선단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용지의 선단 마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apparatus for sensing paper for use in an office machine}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은 사무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후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므로써 화상을 인쇄할 용지의 선단 마진(top margin)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지(paper)를 매체로 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입/출력장치,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등과 같은 사무기기는 선단 마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용지의 선단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용지 감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프린터(10)는, 용지(P)가 적재되는 적재부(1), 적재부(1)로부터 용지(P)를 이송하는 이송부(2), 이송부(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P)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6), 이송부(2)와 화상형성부(6) 사이에 배치되어 용지(P)의 선단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용지 감지장치(30), 용지(P)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일정한 열과 압력으로 정착시키는 정착부(7), 및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P)를 배출시키는 배출부(8)를 구비한다.
적재부(1)는 인쇄될 용지(P)를 탄성적으로 승강시키도록 탄성 스프링으로 지지된 용지 가압판을 갖는 급지 카세트로 이루어진다.
이송부(2)는 적재부(1)로부터 용지를 한 장씩 피딩하기 위한 픽업롤러(9), 픽업롤러(9)로부터 급지된 용지(P)를 이송하는 제 1 및 제 2 이송롤러(21, 22), 및 제 1 및 제 2 이송롤러(21, 22)로부터 이송되는 용지(P)의 선단을 정렬하기 위한 레지스터 및 백업 롤러(23, 25)를 포함한다.
레지스터 롤러(23)의 뒤쪽, 즉 용지 이송경로의 하류에는 용지(P)의 선단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용지 감지장치(3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감지센서(30)는 용지(P)가 레지스터 롤러(23)를 통해 이송될 때 용지(P)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된 센서 액츄에이터(Actuator)(31), 및 센서 액츄에이터(31)의 회동에 따라 센서 액츄에이터(31)의 단부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용지 감지신호를 보내기 위한 광센서(33)로 구성된다. 광센서(33)는 빛을 투광하는 발광부, 및 발광부에서 투광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 진다.
화상형성부(6)는 감광드럼(3), 괌광드럼(3)과 대향하게 배치된 현상롤러(11), 현상롤러(11)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롤러(13), 현상롤러(11)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조절하는 닥터 블레이드(15), 토너를 토너 공급롤러(13) 측으로 공급하는 교반기(17),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저장용기(19), 및 이들이 단품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장착되는 케이스(18)로 이루어 진다.
케이스(18)에 장착된 감광드럼(3)의 하측에는 전사롤러(5)가 설치된다.
정착부(7)는 전사롤러(5)에 의해 감광드럼(3)에서 용지(P)위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26), 및 압력을 가하는 압착롤러(27)로 구성된다.
배출부(8)는 인쇄가 완료된 용지(P)를 배지하는 배지롤러(28), 및 배지된 용지(P)를 적재하고 받쳐주는 배지대(2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레이저 프린터(10)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용지(P)가 적재부(1)에서 픽업롤러(9)에 의해 낱장으로 픽업되어, 제 1 및 제 2 이송롤러(21, 22)를 통해 레지스터 롤러(23)로 이송된다.
레지스터 롤러(23)로 이송된 용지(P)의 선단은 레지스터 롤러(23)와 백업롤러(25) 사이의 닙(nip)에 의해 밀려 정렬된다.
그 후, 용지(P)가 레지스터 롤러(23)와 백업롤러(25) 사이의 닙을 통과하여 계속 이동하면, 용지(P)의 선단은 레지스터 롤러(23)와 전사롤러(5) 사이에 배치된 용지 감지장치(30)의 센서 액츄에이터(31)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센서 액츄에이터(31)의 단부는 회동하여 광센서(33)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 결과, 광센서(33)의 수광부는 발광부로부터 투광된 빛을 수광하게 되고, 용지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보내게 된다.
제어부는 용지 감지신호에 따라 용지 감지장치(30)에서 전사롤러(5)까지 용지(P)가 이동하는 시간을 카운팅하며, 미리 설정된, 용지(P)가 인쇄 시작위치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동안 용지(P)를 이송한 후, 화상형성부(6) 및 전사롤러(5)를 작동시킨다.
용지(P)가 인쇄 시작위치로 이송되는 동안, 화상형성부(6)의 감광드럼(3)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Laser scanning unit:LSU)(4)를 통해 반사된 레이저 빔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감광드럼(3)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다시 현상롤러(11)에 의해 가시상 형태의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이 후, 용지(P)가 화상형성부(6)의 감광드럼(3)에 도달하면, 감광드럼(3)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사롤러(5)에 의해 용지(P)의 표면으로 전사된다.
용지(P)의 표면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기(8)를 지나면서 히팅롤러(26)와 압착롤러(27)의 열과 압력에 의해 용지(P)의 표면에 정착되며, 토너화상이 정착된 용지(P)는 배출부(8)의 배지롤러(28)에 의해 기기 외부의 배지대(29)로 배출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10)는 도 3a 및 도 3b 에 도시한바와 같이, 용지(P)의 선단이 용지 감지장치(30)를 작동하도록 센서 액츄에이터(31)와 접촉할 때 마찰력 또는 정전기에 의해 상하로 구부러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며, 이로 인해 센서 액츄에이터(31)와 용지(P)의 선단 사이의 접점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센서 액츄에이터(31)와 용지(P)사이의 접점위치가 일정하지 않으면, 용지 감지장치(30)가 동작하는 동작시기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용지(P)에 인쇄되는 화상의 선단 마진이 균일하지 않게 되어 기기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액츄에이터(31)가 용지의 선단 위치를 감지한 후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거리, 즉 센서 액츄에이터(31)의 동작 범위(M)가길기 때문에, 레지스터 롤러(23)와 전사롤러(5) 사이의 거리는 센서 액츄에이터(31)의 동작 범위(M)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레지스터 롤러(23)와 전사롤러(5)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면, 용지(P)의 이송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지(P)에 인쇄되는 화상의 선단마진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의 인쇄위치를 정확히 제어하기 위해 용지의 선단위치 감지 오차와 레지스터 롤러와 전사롤러 사이의 거리를 줄이도록 레지스터 롤러의 회전중심에 관해 동작하도록 설치된 센서 액츄에이터를 갖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도.
도 2은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용지 감지장치의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용지 감지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일치하는 용지 감지장치의 센서 액츄에이터와 센서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용지 선단 정렬부의 사시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용지 감지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용지 감지장치의 센서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용지 선단 정렬부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적재부 2: 이송부
3: 감광드럼 5: 전사롤러
6: 화상형성부 7: 정착부
8: 배출부 10: 레이저 프린터
23: 레지스터 롤러 30, 130: 용지 감지 장치
31, 131: 센서 액츄에이터 33, 133: 광센서
140, 140': 용지 선단 정렬부 141a, 141a', 141b, 141b': 지지부
143, 143': 연결부 145a, 145a', 145b, 145b', 145c: 접촉정렬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지를 적재하는 적재부, 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부, 픽업부에서 픽업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와 백업롤러를 갖는 이송부, 및 이송부에 이해 이송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용지의 선단위치을 감지하여 화상형성부에 의해 인쇄될 화상의 인쇄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용지 감지장치에 있어서, 용지가 이송될 때 용지에 의해 이송롤러의 회전중심에 관해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센서 액츄에이터, 및 센서 액츄에이터의 회동동작에 따라 용지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액츄에이터는 이송롤러의 샤프트에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된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기 위한 용지 선단 정렬부와 일체로 형성된 레버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센서 액츄에이터는 용지 선단 정렬부와 별도로 이송롤러의 샤프트에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된 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광센서로 구성된다.
용지에 의해 용지 선단 정렬부가 회동될 때, 센서 액츄에이터는 용지 위쪽에 위치하고, 센서부는 용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 액츄에이터는 용지가 이송롤러와 백업롤러 사이의 닙으로 진입한 후 0 - 5mm, 특히 1 - 3mm의 범위내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용지 선단 정렬부는 이송롤러의 샤프트에 소정간격을 두고 회동할 수 있게 고정되는 두개의 지지부, 및 두 지지부를 연결하고 이송롤러의 소롤러들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가 센서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레버를 일체로 형성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기 위한 접촉정렬부를 구비한 연결부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용지 선단 정렬부는 이송롤러의 샤프트에 소정간격을 두고 회동할 수 있게 고정되는 두개의 지지부, 각각 두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기 위한 두개의 접촉정렬부, 및 두 지지부를 연결하고 센서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레버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부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일치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를첨부도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및 설명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여 설명하였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레이저 프린터(10)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130)가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용지 감지장치(13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레이저 프린터(10)의 레지스터 롤러(23)의 샤프트(24)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용지(P)의 선단을 정렬하기 위한 용지 선단 정렬부(140)와 일체로 형성된 센서 액츄에이터(131), 및 센서 액츄에이터(131)의 단부 위치를 감지하여 용지 감지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광센서(133)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선단 정렬부(140)는 레지스터 롤러(23)의 샤프트(24)에 회동할 수 있게 고정되는 두개의 지지부(141a, 141b), 및 지지부(141a, 141b)를 연결하고 레지스터 롤러(23)의 소롤러(23a)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접촉정렬부(145a, 145b, 145c)를 갖는 C 형 연결부(143)로 구성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선단 정렬부(140)의 무게중심은 초기 위치에서 제 1, 제 2 및 제 3 접촉정렬부(145a, 145b, 145c)가 레지스터 롤러(23)의 소롤러(23a)와 백업롤러의 소롤러들(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닙 앞쪽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용지(P)가 레지스터 롤러(23)로 이송될 때, 용지(P)의 선단은 제 1, 제 2 및 제 3 접촉정렬부(145a, 145b, 145c)에 의해 1차 정렬된 후, 레지스터 롤러(23)의 소롤러(23a)와 백업롤러의 소롤러들(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닙에 의해 2차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센서 액츄에이터(131)는, 용지 선단 정렬부(140)와 일체로 회동 할 수 있도록 제 3 접촉정렬부(145c)의 하부에서 제 3 접촉정렬부(145c)와 일체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광센서(133)까지 연장된 레버로 구성된다. 광센서(133)는 센서 액츄에이터(131)를 구성하는 레버의 일단부에 의해 동작될 수 있도록 프린터의 용지 이송경로에 위치한 프레임(24; 도1)에 설치된다. 따라서, 용지에 의해 용지 선단 정렬부(140)가 회동할 때, 센서 액츄에이터(131)는 용지 위쪽에 위치하게 되고, 광센서(133)는 용지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광센서(133)는 빛을 투광하는 발광부, 및 발광부에서 투광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 진다. 광센서(133)는 발광부에서 투광되는 빛이 수광부에 수광되는 온 상태에서는 하이(High) 전압, 즉 하이신호를 출력하지만, 발광부에서 투광되는 빛이 차단된 오프 상태에서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발광부와 수광부는 각각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지 감지장치(130)는 광센서(133)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화상형성부(6) 및 전사롤러(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용지 감지장치(130)는 용지(P)의 선단이 용지 선단 정렬부(140)와 접촉하면서 레지스터 롤러(23)와 백업 롤러(25)사이의 닙을 통과 할 때, 이를 하이 신호로 제어부에 출력함으로써, 제어부가 전사롤러(5) 및 화상형성부(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의 선단이 제 1, 제 2 및제 3 접촉정렬부(145a, 145b, 145c)와 접촉하면서 레지스터 롤러(23)와 백업 롤러(25)사이의 닙에 진입하면, 용지 선단 정렬부(140)는 각도(θ) 만큼 레지스터 롤러(23)의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센서 액츄에이터(131)는 광센서(133)의 포토 트랜지스터와 발광 다이오드를 차단한 상태인 오프상태에서 서로 통하는 온상태 직전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가 레지스터 롤러(23)와 백업 롤러(25)사이의 닙으로 거리(L) 만큼 더 진입하면, 즉 용지(P)의 선단이 닙에서 0 - 5mm, 특히 1 - 3 mm의 범위로 이송되면, 센서 액츄에이터(131)가 광센서(133)를 벗어나게 되고, 그 결과,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빛을 포토 트랜지스터가 수광하게 됨으로, 광센서(133)는 온되고, 하이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용지 감지센서(130)의 센서 액츄에이터(131)가 설치되는 용지 선단 정렬부(140)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의 용지 선단 정렬부(140')는 레지스터 롤러(23)의 샤프트(24)에 회동할 수 있게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지지부(141a', 141b'), 및 지지부(141a', 141b')와 일체로 형성된 접촉정렬부(145a', 145b'), 및 지지부(141a', 141b')를 연결하고 용지 감지장치(130)의 센서 액츄에이터(131')를 구성하는 레버를 일체로 형성한 바형 연결부(143')를 구비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용지 감지장치(130)는 센서 액츄에이터(131, 131')가 용지 선단 정렬부(140, 140')와 일체로 형성된 레버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 및 예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센서액츄에이터(131, 131')를 구성하는 레버가 용지 선단 정렬부(140, 140')와 별도로 레지스터 롤러(23)의 샤프트(24)에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용지 감지장치(130)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5에 관하여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명령이 제어부에 입력되면, 용지(P)가 적재부(1)에서 픽업롤러(9)에 의해 낱장으로 픽업되어, 제 1 및 제 2 이송롤러(21, 22)를 통해 레지스터 롤러(23)로 이송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터 롤러(23)로 이송된 용지(P)의 선단이 레지스터 롤러(23)의 샤프트(24)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용지 선단 정렬부(140)의 제 1, 제 2 및 제 3 접촉 정렬부(145a, 145b, 145c)와 접촉하게 되면, 용지(P)는 제 1, 제 2 및 제 3 접촉 정렬부(145a, 145b, 145c)와 맞물려 바르게 정렬된다.
그 후,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의 선단이 레지스터 롤러(23)와 백업 롤러(25)사이의 닙에 진입하면, 용지 선단 정렬부(140)는 각도(θ) 만큼 레지스터 롤러(23)의 샤프트(25)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센서 액츄에이터(131)의 일단부는 광센서(133)의 포토 트랜지스터와 발광 다이오드를 차단한 상태인 오프상태에서 서로 통하는 온상태 직전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가 레지스터 롤러(23)와 백업 롤러(25)사이의 닙으로 거리(L), 즉 0 - 5mm 정도 더 진입하면, 센서 액츄에이터(131)의 일단부는 광센서(133)를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광센서(133)의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빛은 포토 트랜지스터가 수광하게 된다. 그 결과, 광센서(133)는 온되고,하이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보내게 된다.
제어부는 광센서(133)로부터의 하이신호에 따라 레지스터 롤러(23)에서 전사롤러(5)까지 용지(P)가 이동하는 시간을 카운팅하며, 미리 설정된, 용지(P)가 인쇄 시작위치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동안 용지를 이송한 후, 화상형성부(6) 및 전사롤러(5)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감지장치는 용지의 선단위치 감지오차와 레지스터 롤러와 전사롤러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레지스터 롤러의 회전중심에 관해 동작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용지의 선단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용지의 선단 마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용지를 적재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부, 상기 픽업부에서 픽업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와 백업롤러를 갖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용지의 선단을 감지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인쇄될 화상의 인쇄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용지 감지장치에 있어서,
    용지가 이송될 때 용지에 의해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중심에 관해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센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센서 액츄에이터의 회동동작에 따라 용지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액츄에이터는 상기 이송롤러의 샤프트에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된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기 위한 용지 선단 정렬부와 일체로 형성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액츄에이터는 상기 이송롤러의 샤프트에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용지에 의해 상기 용지 선단 정렬부가 회동될 때, 상기 센서 액츄에이터는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 위쪽에 위치되고, 상기 센서부는 용지 아래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액츄에이터는 용지가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백업롤러 사이의 닙으로 진입한 후 0 - 5mm의 범위내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액츄에이터는 용지가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백업롤러 사이의 닙으로 진입한 후 1 - 3mm의 범위내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선단 정렬부는,
    상기 이송롤러의 상기 샤프트에 소정간격을 두고 회동할 수 있게 고정되는 두개의 지지부; 및
    상기 두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이송롤러의 소롤러들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센서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기 위한 접촉정렬부를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선단 정렬부는,
    상기 이송롤러의 상기 샤프트에 소정간격을 두고 회동할 수 있게 고정되는두개의 지지부;
    상기 두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기 위한 접촉정렬부; 및
    상기 두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센서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레버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KR10-2002-0026566A 2002-05-14 2002-05-14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KR10043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566A KR100431005B1 (ko) 2002-05-14 2002-05-14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US10/393,247 US6805509B2 (en) 2002-05-14 2003-03-21 Paper sens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machine
JP2003106325A JP2003335434A (ja) 2002-05-14 2003-04-10 用紙感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566A KR100431005B1 (ko) 2002-05-14 2002-05-14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722A true KR20030088722A (ko) 2003-11-20
KR100431005B1 KR100431005B1 (ko) 2004-05-12

Family

ID=2941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566A KR100431005B1 (ko) 2002-05-14 2002-05-14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05509B2 (ko)
JP (1) JP2003335434A (ko)
KR (1) KR1004310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3683B2 (en) 2004-10-12 2009-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arrang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8505B2 (en) * 2003-08-19 2011-02-01 Hid Global Corporation Credential substrate rotator and processing module
KR100788656B1 (ko) * 2004-02-26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4158823B2 (ja) * 2006-08-24 2008-10-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200410B1 (ko) 2006-12-19 2012-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정렬롤러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8478182B2 (en) * 2007-06-15 2013-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medium alignment device with rollers attache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1492131A (zh) * 2008-01-26 2009-07-29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介质偏斜纠正机构
WO2011035114A1 (en) 2009-09-18 2011-03-24 Hid Global Corporation Card substrate rotator
US8317191B2 (en) * 2009-10-13 2012-11-27 Xerox Corporation Sheet registration using multiple elongated sensors
KR101725093B1 (ko) 2009-12-24 2017-04-1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5587080B2 (ja) * 2010-07-22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13926B2 (ja) * 2010-08-03 2013-06-19 シャープ株式会社 剥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91057B2 (ja) * 2010-10-13 2014-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33177B2 (ja) 2011-11-28 2015-06-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876108B2 (en) * 2011-12-26 2014-11-0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transport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388005B2 (en) * 2012-02-08 2016-07-1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292949B2 (ja) * 2014-04-03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58004B2 (ja) * 2015-03-19 2019-08-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90004907A (ko) * 2017-07-05 2019-01-15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20059580A (ja) * 2018-10-10 2020-04-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11595844A (zh) * 2020-06-03 2020-08-28 山西医科大学第二医院 一种血糖仪试纸储存计数装置及其计数方法
JP2022042254A (ja) * 2020-09-02 2022-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原稿送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7589A (en) * 1982-11-05 1985-12-10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Sorting apparatus
JPS6118267U (ja) * 1984-07-06 1986-02-01 ミノルタ株式会社 ソ−タ
JPH0312761Y2 (ko) * 1985-01-22 1991-03-26
US5042790A (en) * 1990-02-16 1991-08-27 Xerox Corporation Toggled switch for use in a sheet feed apparatus
US5203555A (en) * 1992-09-04 1993-04-20 Pitney Bowes Inc. Adjustable dampening device in an apparatus for detecting double fed sheets
JP3289458B2 (ja) * 1993-03-01 2002-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字装置
JP2781133B2 (ja) * 1993-09-24 1998-07-30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7135550A (ja) * 1993-11-10 1995-05-23 Canon Inc 入出力装置
JP2853602B2 (ja) * 1994-10-28 1999-02-03 富士通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
JPH0937021A (ja) * 1995-07-21 1997-02-07 Oki Data:Kk 画像読取装置
JP3444055B2 (ja) * 1995-11-14 2003-09-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送出機構
US5850246A (en) * 1996-04-30 1998-12-15 Eastman Kodak Company Thermal printer with improved print head assembly
DE69806983T2 (de) * 1997-01-31 2002-12-12 Alps Electric Co Ltd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Blättern für Drucker
EP0900754B1 (en) * 1997-09-02 2003-05-02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An optical device for detecting the printing media in printers
JP2000072281A (ja) * 1998-09-01 2000-03-07 Oki Data Corp 媒体検出機構
JP3891249B2 (ja) * 2000-02-24 2007-03-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材検出装置,記録装置,および被記録材検出装置のレバー状部材
US6292636B1 (en) * 2000-05-18 2001-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detecting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3683B2 (en) 2004-10-12 2009-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arrang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1005B1 (ko) 2004-05-12
US20030215274A1 (en) 2003-11-20
JP2003335434A (ja) 2003-11-25
US6805509B2 (en) 2004-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005B1 (ko)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US8757618B2 (en) Recording medium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291480A (ja) 用紙搬送装置
KR101725093B1 (ko) 화상형성장치
EP0902332B1 (en) Print media weight detection system
US7970294B2 (en) Document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6029187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uplex printing capability and paper discharging method thereof
KR100727386B1 (ko) 용지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060078362A1 (en) Paper arrang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101297180B1 (ko) 용지 폭을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KR100619072B1 (ko) 레지스트레이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060284369A1 (en) Unit for and method of registering/feeding pa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453468B2 (ja) 画像形成装置
US8965225B2 (en) Image-forming apparatus setting upper limit of electric power based on detection result of sheet detector
JP354855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27374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65085B1 (ko)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100433427B1 (ko)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KR100717039B1 (ko) 급지 정렬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와, 용지의급지 정렬 방법
KR100580211B1 (ko)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5989837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49990B1 (ko) 복수의 병렬 화상형성 장치를 갖는 사무기기
JP2022143100A (ja)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043393B1 (ko) 화상형성장치
JP5723831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