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393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393B1
KR101043393B1 KR1020040034184A KR20040034184A KR101043393B1 KR 101043393 B1 KR101043393 B1 KR 101043393B1 KR 1020040034184 A KR1020040034184 A KR 1020040034184A KR 20040034184 A KR20040034184 A KR 20040034184A KR 101043393 B1 KR101043393 B1 KR 101043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transfer
uni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9144A (ko
Inventor
조원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39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지의 선단을 검지하는 용지검지센서와, 용지검지센서에 의해 설정된 기준 용지보다 짧은 용지가 검지되는 경우 용지 이송장치가 구동되어 전사롤러를 거친 용지를 급지유닛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용지 이송장치는 용지이송축과 막대부재를 구비하는 이송유닛과, 이송유닛에 동력을 전달하고 단속하는 구동단속유닛을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 용지검지센서, 용지이송장치, 이송회전축, 가이드부재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용지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용지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용지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용지이송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24. 레지롤러 128. 용지검지센서
132. 감광드럼 136. 전사롤러
137. 가이드부재 141. 정착유닛
172. 솔레노이드 174. 레버
180. 용지 이송장치 182. 이송회전축
184. 막대부재 186. 러버롤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짧은 용지를 이송시키는 용지 이송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장치을 통해 공급된 인쇄매체, 즉 인쇄용지의 내/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화상을 인쇄엔진을 통해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101), 급지카세트(102), 픽업롤러(121), 피딩롤러(122)(123), 레지롤러(124), 현상유닛(131), 감광드럼(132), 전사롤러(136), 가이드부재(137), 정착유닛(141) 및 배지롤러(147)(148)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1)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며, 그 하부에는 복수의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10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의 내부에는 급지카세트(102)의 용지가 배지롤러(147)(148)까지 용지가 이송되는 용지이송경로(P)가 마련된다. 픽업롤러(121)는 급지카세트(102)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으로 픽업하고, 피딩롤러(122)(123)는 픽업된 용지를 인쇄엔진으로 이동시키고, 레지롤러(124)(125)는 상기 용지가 인쇄엔진으로 이동하기 전에 용지를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인쇄엔진은 현상유닛(131)과 전사롤러(136)를 구비한다. 현 상유닛(131)의 감광드럼(132) 및 전사롤러(136)를 통과한 용지는 가이드부재(137)를 거쳐 정착유닛(141)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흔히 일반 사무실이나 개인용으로 사용되는 인쇄용지는 A3, A4, A5, B3, B4, B5 등이 있는데, 인쇄업체등에서 사용되는 우편카드나 명함등의 인쇄용지등은 상기 용지들보다 그 규격이 상대적으로 작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00)는, 감광드럼(132) 및 정착유닛(141) 사이의 거리 D가 너무 긴 경우, 상기 거리 D 보다 길이가 짧은 용지는 감광드럼(132) 및 전사롤러(16)를 통과하여 정착유닛(141)으로 이송이 되지 않으므로, 그 사이에는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벨트(138)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부재(137)는 동력원이 없으므로 용지의 길이보다 상기 거리 D 가 긴 경우 용지는 정착유닛(141)으로 이송이 되지 못하므로, 상기 감광드럼(132)과 가이드부재(137)사이의 용지이송경로상에 상기 이송벨트(138)를 설치하여 용지를 정착유닛(141)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런데 벨트의 특성상 벨트를 구동하는 모터에는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며, 속도가 30ppm이상의 빠른 속도의 모터인 경우 이송벨트(138)의 회전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송벨트(138)는 거리 D 보다 길이가 짧은 용지가 급지시에도 구동할 뿐만 아니라 모든 용지를 급지할 때, 즉 용지의 길이가 충분히 길어(상술한 A3, A4, A5, B3, B4, B5 등의 용지) 이송벨트(138)의 구동이 필요없는 용지가 급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이송벨트(138)를 계속 구동시킴으로써 마모 및 이에 따른 소음등 기기의 수명을 저하시키며, 이에 따른 유지비용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감광드럼(132)과 정착유닛(141)사이의 거리(D)를 최소용지 길이보다 짧게 설치한 화상형성장치도 개발되었다. 이런 구성의 화상형성장치는 길이가 짧은 용지가 급지 되어도 별다른 구동수단이 없이 상기 정착유닛(141)에 이송시킬 수 있으나, 상기 정착유닛(141)의 히팅롤러(142)는 매우 고온이므로, 히팅롤러(142)와 가까이 있는 감광드럼(132)은 상기 고온의 히팅롤러(142)에 영향을 받아 온도 상승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수명등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길이가 짧은 용지를 효율적으로 이송시키는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레지롤러 일측에 설치되어 급지되는 용지의 선단을 검지하는 용지검지센서와, 상기 감광드럼과 정착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검지센서에 의해 설정된 기준 용지보다 짧은 용지가 검지되는 경우 단속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용지를 상기 정착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용지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지 이송장치는, 상기 용지와 접촉하여 상기 용지를 상기 정착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을 구동하고 정지하는 구동단속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회전축과, 상기 이송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용지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회전축과, 상기 이송회전축의 외주면에 끼움설치되며, 상기 용지와 접촉하는 다수의 돌기를 가지는 러버롤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솔레노이드 또는 클러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롤러(124), 용지검지센서(128), 감광드럼(132), 전사롤러(136), 용지 이송장치(180), 가이드부재(137) 및 정착유닛(141)을 포함한다. 여기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레지롤러(124)와 레지 백업롤러(125)는 상기 용지가 감광드럼(132) 및 전사롤러(136)에 진입하기 전에 그 선단을 정렬시키기 위해 용지이송경로상(P)에 설치된다. 그리고, 레지롤러(124)는 다양한 두께의 용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소정 거리로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탄성가압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레지롤러(124)가 상기 레지 백업롤러(125) 측으로 탄성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지롤러(124)와 레지 백업롤러(125)의 밀착상태가 유지된다.
용지검지센서(128)는 상기 레지롤러(124)의 일측 및 용지경로상(P)에 설치되 어서 상기 용지의 잼(JAM)여부를 검지하게 된다. 그리고, 용지의 선단을 검지하여 용지에 화상이 정착시키도록 동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용지가 올바르게 급지가 되어 레지롤러(124)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용지급지센서(128)는 온(0N)이 되며, 따라서, 현상유닛(131)(도 1참조) 및 전사롤러(136)를 포함하는 인쇄엔진은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급지되는 용지가 올바르게 급지되지 않아서 잼(JAM) 상태가 되면 용지검지센서(128)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므로, 인쇄엔진은 구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 용지검지센서(128)는 용지가 다 통과할때까지 온(ON) 상태가 계속 되며, 용지가 다 통과한 후 오프(OFF) 된다. 용지검지센서(128)의 위치는 상기 레지롤러(124)의 전후 어느측에 있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예처럼 레지롤러(124)와 감광드럼(132) 사이에 설치되어, 레지롤러(132)를 통과한 용지가 검지될 때에 온(ON)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광드럼(132)에는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노광수단(미도시)에 의해 소정의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유닛(131)(도 1 참조)은 상기 감광드럼(132)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으로 변환시킨다.
전사롤러(136)는 감광드럼(132)상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상기 용지에 전사한다.
용지 이송장치(180)는 상기 전사롤러(136)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길이가 짧은 용지가 급지되는 경우 단속적으로 구동하여 감광드럼(132) 및 전사롤러(136)를 통과한 상기 용지를 정착유닛(141)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회전축(182)과, 막대부재(184)와, 레버(174) 및 솔레노이드(172)를 구비한다.
이송회전축(182)은 후술할 솔레노이드(172)에 의해 구동되는데, 상기 솔레노이드(172)에 연결된 레버(174)와 결합된다. 즉, 솔레노이드(172)는 레버(174)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는데, 상기 레버(174)의 회전에 의해 이송회전축(182)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레버(174)는 'L'형상의 부재이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이송회전축(182)이 끼워진다. 솔레노이드(172)는 통상의 솔레노이드처럼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이송회전축(182)을 회전 또는 정지하는 동력 단속수단의 역할을 한다. 상기 용지검지센서(128)에 의해 짧은 용지가 검지된 경우 솔레노이드(172)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다. 솔레노이드(172)에 전기전 신호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레버(174)는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며(도 5의 점선), 하단은 스프링(176)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레버(174)의 이동에 의해 용지이송축(182)은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용지이송축(182)에 설치된 후술할 막대부재(18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송이 끝난 경우 스프링(176)의 본원력에 의해 레버(174)는 초기위치(도 5의 실선)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송회전축(182)도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유닛인 이송회전축(182) 및 막대부재(184)를 회전 또는 정지하는 동력단속유닛으로서 솔레노이드(172)를 예시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이송회전축(182)의 동력을 단속하는 수단, 예를 들면 클러치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막대부재(184)는 상기 이송회전축(182)에 설치되어 이송회전축(182)의 회전 시 용지의 밑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용지를 정착유닛(141)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상기 막대부재(184)는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적당한 마찰력을 발생하여 가이드부재(137) 위에 있는 용지를 이송시켜야 하므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막대부재(184)의 초기위치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A 위치에 있어서, 용지가 이송할 때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 하며, 상기 이송회전축(182)에 의한 회전시 용지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적당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137)는 상기 전사롤러(136)를 거치고 정착유닛(141)으로 이송되는 용지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판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가이드부재(141)는 상기 용지의 이송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그 표면은 마찰계수가 적은 재질인것이 바람직하다.
정착유닛(141)은 상기 용지 표면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고온고압으로 고착시키며, 히팅롤러(142)와 가압롤러(143)를 구비한다. 히팅롤러(142)는 내부에 열원(미도시)을 내장함으로써 용지에 열을 가하며, 가압롤러(143)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히팅롤러(142) 측으로 가압되어, 가압롤러(143)와 접촉된 상태로 이송되는 용지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소정의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상기 히팅롤러(142)와 가압롤러(143) 사이를 통과하면서 정착이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회전축(182)에 막대부재 대신 러버롤러(186)가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러버롤러(186)는 상기 이송회전축(182)의 외주면에 끼움설치되며, 상기 용 지의 밑면과 접촉하는 다수의 돌기(188)를 가진다. 상기 다수의 돌기(188)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송회전축(182)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여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적당한 마찰력을 발생하여 용지를 이송시켜야 하므로,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의 막대부재(184)는 이송회전축(182)이 회전하지 않을 때는, A 위치에 있게되어 이송되는 용지에 아무런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러버롤러(186)는 상기 돌기(188)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와 간섭하게 되므로, 그 길이는 제 1 실시예의 막대부재(184)보다는 상대적으로 작도록 적당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상형성장치에 인쇄명령이 인가되면, 급지카세트(102, 도 1참조)에 적재되어 있던 용지는 픽업롤러(121)에 의해 픽업되고(S10), 피딩롤러(122)(123) 및 레지롤러(124)(125)에 의해 현상유닛(131)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레지롤러(124) 일측에 설치된 용지검지센서(128)는 용지의 선단을 감지하는데(S11), 용지가 올바르게 급지되지 않은 경우, 즉, 페이퍼 잼(JAM)이 발생한 경우 용지검지센서(128)는 오프(OFF) 를 유지하나(S12), 올바르게 정렬되어 급지되는 경우 용지검지센서(128)는 온(ON) 되어 용지의 선단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용지검지센서(128)는 용지가 끝이 통과하면 오프(OFF)된다.
상기 용지급지센서(128)의 온/오프되는 시간을 측정한 뒤,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T1)과 비교하게 된다(S13). 상기 기준시간(T1)은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 용지 가 용지검지센서(128)를 통과하는 시간, 즉 용지급지센서의 온/오프 타임으로서, 이는 상기 기준 용지의 길이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용지급지센서(128)의 온/오프 타임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T1)보다 짧은 경우, 즉 급지되는 용지의 길이가 기준용지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만 단속적으로 솔레노이드(172)는 작동하게 된다(S15). 상기 솔레노이드(172)의 작동에 의해 이송회전축(182) 및 막대부재(184)는 회전하게 되어(S16), 감광드럼(132) 및 전사롤러(136)를 통과하여 가이드부재(137)에 있는 용지를 상기 정착유닛(141)으로 이송시키게 된다(S17). 그리고, 용지는 정착유닛(141)을 통과한 후 배지롤러(147)(148)에 의해 배출된다(S19).
한편, 상기 용지검지센서(128)의 온/오프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T1)보다 긴 경우, 즉 급지되는 용지의 길이가 기준길이 보다 긴 경우에는 상기 이송유닛(180, 도 4 참조)의 동작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솔레노이드(172)는 작동하지 않게 되며(S14), 막대부재(184)는 초기위치인 A 위치(도 3참조)에 있게 된다. 따라서, 감광드럼(132) 및 전사롤러(136)를 거친 상기 용지는 상기 막대부재(184)와 접촉하지 않고서 바로 가이드부재(137)를 거쳐 정착유닛(141)으로 이송되고(S18), 정착유닛(141)을 통과한 후 배지롤러(147)(148)에 의해 배출된다(S19). 따라서, 이 경우 같이 전사롤러(132)와 정착유닛(136) 사이에는 아무런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용지이송축(128)은 정지 상채로 있어서 구동에 의한 소음, 마모등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용지 이송장치로 인해 길이가 짧은 용지가 급지되었을 경우 감광드럼 및 전사롤러를 통과한 용지를 정착유닛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은 항상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기준 용지보다 길이가 짧은 용지가 이송되는 경우에만 단속적으로 구동되므로 소음을 방지하고 마모등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이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장치의 저가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레지롤러, 감광드럼 및 전사롤러를 거친 용지를 정착유닛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레지롤러 일측에 설치되어 급지되는 용지의 선단을 검지하는 용지검지센서와;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정착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검지센서에 의해 설정된 기준 용지보다 짧은 용지가 검지되는 경우 단속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용지를 상기 정착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용지 이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 이송장치는,
    상기 용지와 접촉하여 상기 용지를 상기 정착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을 구동하고 정지하는 구동단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회전축과;
    상기 이송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용지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회전축과;
    상기 이송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용지와 접촉하는 다수의 돌기를 가지는 러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솔레노이드 또는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34184A 2004-05-14 2004-05-14 화상형성장치 KR101043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184A KR101043393B1 (ko) 2004-05-14 2004-05-14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184A KR101043393B1 (ko) 2004-05-14 2004-05-14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144A KR20050109144A (ko) 2005-11-17
KR101043393B1 true KR101043393B1 (ko) 2011-06-22

Family

ID=3728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184A KR101043393B1 (ko) 2004-05-14 2004-05-14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09B1 (ko) * 2007-03-26 2008-07-10 한국후지제록스 주식회사 용지 이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9120A (ja) * 1997-04-03 1998-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搬送装置
JP2004021085A (ja) * 2002-06-19 2004-01-22 Canon Inc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9120A (ja) * 1997-04-03 1998-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搬送装置
JP2004021085A (ja) * 2002-06-19 2004-01-22 Canon Inc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144A (ko)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2652B2 (ja) 用紙搬送装置
JP4715619B2 (ja) 定着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31357A (ja) 用紙搬送装置及びその用紙搬送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KR0131962B1 (ko) 전자사진현상방식 화상기록장치의 급지방법
US11767185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JP3355134B2 (ja) 原稿搬送装置
KR101043393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5170620A (ja) 連続紙用プリンタの用紙搬送機構、及び連続紙用プリンタ
JP2006317730A (ja) 画像形成装置
JP7135784B2 (ja) 媒体厚検出装置、媒体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38929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80044208A1 (en) Image forming device
JP2005231822A (ja) シートガイド,画像形成装置
KR20190123063A (ko) 이미지 형성 장치의 반송롤러 제어를 통한 오송방지
JP366871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52483A (ja)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316547B2 (ja) マルチトレイ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240051775A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feeding device
JP7435248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30322511A1 (en) Medium guid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post-processing device
US20220297963A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611922B2 (ja) 用紙搬送装置
JP2002372816A (ja) 画像形成装置
JP3591976B2 (ja) 画像形成装置
JP4689537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