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709B1 - 용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5709B1 KR100845709B1 KR1020070029345A KR20070029345A KR100845709B1 KR 100845709 B1 KR100845709 B1 KR 100845709B1 KR 1020070029345 A KR1020070029345 A KR 1020070029345A KR 20070029345 A KR20070029345 A KR 20070029345A KR 100845709 B1 KR100845709 B1 KR 1008457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fixing bracket
- clip
- coupled
- connecting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53—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61—Retainers of the roller type, e.g.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2—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234—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기기를 비롯한 복사기, 프린터 등과 같이 용지 이송 기능이 구비된 모든 기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송 로울러가 결합된 연결축과 회전축이 서로 분리되는 새로운 타입의 연동구조에 의하여, 이송 로울러의 교체시, 별도의 공구사용과 조립부품의 전체적인 분해 없이도 작업자 혹은 사용자가 이송 로울러를 보다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부재의 양편에 고정된 제 1고정브라켓과 제 2고정브라켓의 사이에는 제 1이송로울러와 제 2이송로울러를 각각 결합시킨 제 1연결축 및 제 2연결축이 일부 인출되는 상태로 제 2고정브라켓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고정브라켓의 외 측면에는 제 1,2연결축에 관통 형태로 결합되면서 원주를 따라 일정범위만큼 절개부가 형성된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에는 제 1연결축과 제 1회전축이 결합시, 제 1연결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제 1클립이 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 2고정브라켓의 외측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지지브라켓의 가이드부는 제 2연결축을 일부 감싸면서 제 2하우징과 갭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갭에는 제 2연결축과 제 2회전축이 결합시, 제 2연결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제 2클립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고정브라켓에는 제 1회전축의 결합부 및 제 2회전축의 결합부가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 1연결축과 제 2연결축의 대응 측면에 삽입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용지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용지, 이송, 로울러, 축, 분리, 교체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용지 이송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2b는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을 도시한 평 단면도이다.
도 4는 이송로울러의 교체를 위하여 제 1 및 제 2연결축이 일 측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용지 이송장치 12 : 제 1고정브라켓
14 : 제 2고정브라켓 16 : 연결부재
18 : 제 1연결축 20 : 제 2연결축
22 : 제 1이송로울러 24 : 제 2이송로울러
26 : 제 1하우징 28 : 제 2하우징
30 : 절개부 32 : 제 1클립
34,48 : 걸림부 36,50 : 걸림홈
38 : 지지브라켓 40 : 가이드부
42 : 링부재 44 : 갭
46 : 제 2클립 52 : 제 1회전축
54 : 제 2회전축 56,58 : 결합홈
60,62 : 절개홈 64,66 : 결합부
68 : 돌기 72 : 탄성스프링
본 발명은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로울러가 결합된 연결축과 회전축이 서로 분리되는 새로운 타입의 연동구조에 의하여, 이송 로울러의 교체시, 별도의 공구사용과 조립부품에 대한 분해 없이도 작업자 혹은 사용자가 이송 로울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자사진기기를 비롯하여 복사기, 프린터 등에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용지 이송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용지 이송장치는 제작자마다 구조적 타입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용지 이송장치는 이송 로울러를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시킨 한 쌍의 회전축이 서로 간격을 가지고 나란히 배치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 예를 들면 모터와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용지를 이송시키는 기능이 발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용지 이송장치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용지 이송 로울러 는 용지와의 마찰과 노화로 인해 마모 혹은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그로 인해 이송 로울러에 용지가 달라붙거나 혹은 용지 이송력이 저하됨으로써, 정확한 용지 이송을 보장하기 어려워 이송 로울러를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이송 로울러를 새것으로 교체시, 이송 로울러가 결합 되는 회전축의 길이가 긴 장축을 형성하고 있어서, 이러한 회전축을 기기의 협소한 작업공간 내에서 빼내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축과 연결된 각종 조립부품 및 주변부품 등을 모두 분해하여야 함으로써, 이송 로울러의 교체에 따른 분해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아울러 재 조립으로 인해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상기 이송 로울러의 교체시, 각종 조립부품 그리고 주변 부품 등을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과정에서 부품파손과 조립 불량 등이 야기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이송 로울러가 결합되는 연결축과 회전축이 서로 분리되는 새로운 타입의 연동구조에 의하여, 이송 로울러의 교체시 별도의 공구사용과 조립부품 및 주변부품에 대한 전체적인 분해 없이도 이송 로울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축 분리시, 연결축과 회전축이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하는 탄 성부재의 탄발기능에 의하여 연결축이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점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결부재의 양편에 고정된 제 1고정브라켓과 제 2고정브라켓의 사이에는 제 1이송로울러와 제 2이송로울러를 각각 결합시킨 제 1연결축 및 제 2연결축이 일부 인출되는 상태로 제 2고정브라켓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고정브라켓의 외 측면에는 제 1,2연결축에 관통 형태로 결합되면서 원주를 따라 일정범위만큼 절개부가 형성된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에는 제 1연결축과 제 1회전축이 결합시, 제 1연결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제 1클립이 결합 되어 있고; 상기 제 2고정브라켓의 외측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지지브라켓의 가이드부는 제 2연결축을 일부 감싸면서 제 2하우징과 갭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갭에는 제 2연결축과 제 2회전축이 결합시, 제 2연결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제 2클립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고정브라켓에는 제 1회전축의 결합부 및 제 2회전축의 결합부가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 1연결축과 제 2연결축의 대응 측면에 삽입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용지 이송장치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제 1회전축과 제 2회전축의 일 측면에는 제 1연결축의 결합부 및 제 2연결축의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축 방향으로 파진 결합홈을 형성하 면서, 이 결합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의 각 결합부에는 절개홈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돌기가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구조가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제 1회전축의 결합부에는 코일형의 탄성스프링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 1회전축의 결합부가 제 1연결축의 결합홈으로 삽입되면, 탄성스프링이 압축되어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진 구조가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제 1클립 및 제 2클립은 걸림홈으로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가 각각 양단에 길이를 가지고 나란히 구비되어 "U"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용지 이송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2b는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을 도시한 평 단면도이고, 도 4는 이송로울러의 교체를 위하여 제 1 및 제 2연결축이 일 측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지 이송장치(10)는, 서로 간격을 가지고 양편에 배치되는 제 1고정브라켓(12)과 제 2고정브라켓(14)의 사이에 연결부재(16)가 배치되어 제 1고정브라켓(12)과 제 2고정브라켓(14)이 서로 고정되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브라켓(12)과 제 2고정브라켓(14) 사이에는 제 1연결축(18)과 제 2연결축(20)이 제 2고정브라켓(14)의 외측으로 일부 인출되도록 관통 형태로 결합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 1연결축(18)과 제 2연결축(20)에는 제 1이송로울러(22)와 제 2이송로울러(24)가 연동하는 상태로 관통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브라켓(14)의 외측면에는 인출된 제 1,2연결축(18,20)에 관통형태로 결합되는 형태로 제 1,2하우징(26,28)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데, 이때 제 1하우징(26)에는 원주를 따라 일정범위만큼 절개된 절개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개부(30)에 제 1클립(32)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클립(32)은, "U"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양단에 걸림부(34)가 길이를 가지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어, 이 걸림부(34)가 제 1연결축(18)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걸림홈(36)으로 삽입 걸림됨으로써, 제 1하우징(26)으로부터 제 1연결축(18)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고정브라켓(14)의 외측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바디로부터 연결된 지지브라켓(38)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이 지지브라켓(38)의 가이드부(40)는 제 2고정브라켓(14)으로부터 인출된 제 2연결축(20)을 일부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40)의 내부에는 중공형의 링부재(42)가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 되고, 이 링부재(42)의 내부에는 제 2연결축(20)이 관통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링부재(42)와 제 2하우징(28) 사이에 형성되는 갭(44)에는 앞서 설명된 제 1클립(32)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2클립(46)이 결합된다.
상기 제 2클립(46)이 상기 갭(44)에 결합 되게 되면, 제 2클립(46)의 걸림부(48)가 제 2연결축(2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50)에 삽입 형태로 걸림 결합 됨으로써, 제 2연결축(20)이 축방향으로 빠지려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1고정브라켓(12)에는 회전가능하게 관통 형태로 결합되는 제 1회전축(52)과, 제 2회전축(54)이 각각 해당하는 제 1연결축(18)과 제 2연결축(20)에 결합 된다. 이때 제 1연결축(18)과 제 2연결축(20)의 측면에는 축 방향으로 파진 결합홈(56,58)이 형성되고 있고, 아울러 외면에는 결합홈(56,58)을 따라 외측선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절개된 절개홈(60,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56,58)으로 삽입되는 제 1회전축(52)의 결합부(64) 및 제 2회전축(54)의 결합부(66)에는 절개홈(60,62)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돌기(68,70)가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서로 결합 되게 되면, 제 1,2연결축(18,20)은 해당하는 제 1,2회전축(52,54)과 연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회전축(52)의 결합부(64)에는 코일형의 탄성스프링(72)이 결합되어 있어, 제 1회전축(52)의 결합부(64)가 제 1연결축(18)의 결합홈(56)으로 삽입되게 되면, 탄성스프링(72)이 압축되는 상태가 되므로, 상대적으로 탄발력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탄성스프링(72)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회전축(52)의 결합부(64)에만 구비되는 구성으로 한정되거나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제 2회전축(54)의 결합부(66)에 탄성스프링(72)이 결합 되는 구조도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용지 이송장치(10)에서 제 1연결축(18) 및 제 2연결축(20)에 구비된 제 1이송로울러(22) 및 제 2이송로울러(24)의 교체동작을 설명하기로 한 다.
상기 제 1 및 제 2연결축(18,20)에 구비되는 제 1 및 제 2이송로울러(22,24)의 손상이나 마모로 인하여 교체가 요구될 경우, 도 1 및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30)와 갭(44)에 각각 결합 되어 있는 제 1클립(32)과 제 2클립(46)을 빼내게 되면, 제 1클립(32)과 제 2클립(46)의 걸림부(34,48)가 제 1연결축(18)의 걸림홈(36) 및 제 2연결축(20)의 걸림홈(50)으로부터 각각 이탈되는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연결축(18)은 압축되어 있던 탄성스프링(72)의 탄발력에 의하여 제 1하우징(26)으로부터 더 인출되는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가 제 1연결축(18)을 용이하게 파지하고 축 방향으로 더 빼내어 제 1이송로울러(22)를 새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아울러, 제 2연결축(20)도 제 2하우징(28)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가 되어 제 2이송로울러(24)를 새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한편, 앞서와 같이 제 1 및 제 2이송로울러(22,24)의 교체가 완료되면, 제 1연결축(18)의 결합홈(56)과 제 2연결축(20)의 결합홈(58)에 제 1회전축(52)의 결합부(64)와 제 2회전축(54)의 결합부(66)가 각각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시키고, 아울러 절개부(30) 및 갭(44)에 제 1클립(32)과 제 2클립(46)을 각각 결합한다.
위와 같이 상기 절개부(30) 및 갭(44)에 제 1클립(32)과 제 2클립(46)이 결합되게 되면, 제 1클립(32)의 걸림부(34)는 제 1연결축(18)의 걸림홈(36)으로 삽입되고, 제 2클립(46)의 걸림부(48)도 제 2연결축(20)의 걸림홈(50)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 1클립(32)은 제 1하우징(26)과 제 2고정브 라켓(14)에 의해 양방향으로 가로막혀 있고, 제 2클립(46)은 제 2하우징(28)과 지지브라켓(38)의 가이드부(40)에 의해 양방향으로 가로막혀 있으며, 동시에 제 1 및 제 2클립(32,46)의 걸림부(34,48)가 제 1연결축(18) 및 제 2연결축(20)의 각 걸림홈(36,50)에 삽입되는 형태로 각각 걸림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제 1연결축(18)과 제 2연결축(20)은 제 1 및 제 2클립(32,46)이 제거되지 않는 이상 축 방향으로 빠질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송 로울러가 결합 되는 회전축이 길이가 긴 장축으로 형성되어 있어, 협소한 작업공간 내에서 회전축을 빼내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축을 비롯한 각종 조립부품 및 주변부품 등을 모두 분해하여야 함으로써,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이송로울러(22,24)가 결합 되는 제 1 및 제 2연결축(18,20)이 해당하는 제 1 및 제 2회전축(52,54)과 서로 분리되는 결합구조이므로, 별도 공구사용이나 조립부품 및 주변부품에 대한 분해 없이도 제 1 및 제 2이송 로울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송 로울러가 결합되는 연결축과 회전축이 서로 분리되는 새로운 타입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이송 로울러의 교체시 별도의 공구사용과 조립부품 및 주변부품에 대한 분해 없이 작업자 혹은 사용자가 이송 로울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지 이송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이송 로울러의 교체에 따른 각종 조립부품 그리고 주변 부품 등을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해소되고, 아울러 재조립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품파손 및 조립불량 등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 연결부재(16)의 양편에 고정된 제 1고정브라켓(12)과 제 2고정브라켓(14)의 사이에는 제 1이송로울러(22)와 제 2이송로울러(24)를 각각 결합시킨 제 1연결축(18) 및 제 2연결축(20)이 일부 인출되는 상태로 제 2고정브라켓(14)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고;상기 제 2고정브라켓(14)의 외 측면에는 제 1,2연결축(18,20)에 관통 형태로 결합되면서 원주를 따라 일정범위만큼 절개부(30)가 형성된 제 1하우징(26)과 제 2하우징(28)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상기 절개부(30)에는 제 1연결축(18)과 제 1회전축(52)이 결합시, 제 1연결축(18)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36)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제 1클립(32)이 결합 되어 있고;상기 제 2고정브라켓(14)의 외측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지지브라켓(38)의 가이드부(40)는 제 2연결축(20)을 일부 감싸면서 제 2하우징(28)과 갭(44)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갭(44)에는 제 2연결축(20)과 제 2회전축(54)이 결합시, 제 2연결축(20)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50)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제 2클립(46)이 결합되어 있고;상기 제 1고정브라켓(12)에는 제 1회전축(52)의 결합부(64) 및 제 2회전축(54)의 결합부(66)가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 1연결축(18)과 제 2연결축(20)의 대응 측면에 삽입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연결축(18)과 제 2연결축(20)의 일 측면에는 제 1회전축(52)의 결합부(64) 및 제 2회전축(54)의 결합부(6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축 방향으로 파진 결합홈(56,58)을 각각 형성하면서, 이 결합홈(56,58)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60,6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상기 결합홈(56,58)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1회전축(52) 및 제 2회전축(54)의 각 결합부(64,66)에는 절개홈(60,62)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돌기(68,70)가 돌출되는 형태로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1회전축(52)의 결합부(64)에는 코일형의 탄성스프링(72)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 1회전축(52)의 결합부(64)가 제 1연결축(18)의 결합홈(56)으로 삽입되면, 탄성스프링(72)이 압축되어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클립(32) 및 제 2클립(46)은, 걸림홈(36,50)으로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34,48)가 각각 양단에 길이를 가지고 나란히 구비되어 "U"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9345A KR100845709B1 (ko) | 2007-03-26 | 2007-03-26 | 용지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9345A KR100845709B1 (ko) | 2007-03-26 | 2007-03-26 | 용지 이송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5709B1 true KR100845709B1 (ko) | 2008-07-10 |
Family
ID=3982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9345A KR100845709B1 (ko) | 2007-03-26 | 2007-03-26 | 용지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5709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3782B1 (ko) | 1996-05-07 | 1999-06-15 | 정광은 | 복사기의 복사용지 이송장치 |
KR19990026882U (ko) * | 1997-12-20 | 1999-07-15 | 윤종용 | 사무기기의 용지 이송장치 |
KR20030027617A (ko) * | 2001-09-29 | 2003-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쇄기의 용지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
KR20050038211A (ko) * | 2003-10-21 | 2005-04-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쇄기의 용지 이송장치 |
KR20050109144A (ko) * | 2004-05-14 | 2005-11-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
2007
- 2007-03-26 KR KR1020070029345A patent/KR10084570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3782B1 (ko) | 1996-05-07 | 1999-06-15 | 정광은 | 복사기의 복사용지 이송장치 |
KR19990026882U (ko) * | 1997-12-20 | 1999-07-15 | 윤종용 | 사무기기의 용지 이송장치 |
KR20030027617A (ko) * | 2001-09-29 | 2003-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쇄기의 용지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
KR20050038211A (ko) * | 2003-10-21 | 2005-04-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쇄기의 용지 이송장치 |
KR20050109144A (ko) * | 2004-05-14 | 2005-11-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39745B2 (en) | Optical connector | |
JP4925372B2 (ja) | 光コネクタアダプタ | |
AU2011222246B2 (en) | Optical connector cleaning tool | |
EP2746829A1 (en) | Optical connector cleaning tool and optical connector cleaning method | |
WO2011077853A1 (ja) |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 |
JP2011133682A (ja) | カートリッジ | |
JP2011075585A (ja) | 光コネクタ清掃工具 | |
CN113726061B (zh) | 一种定子槽楔及应用该定子槽楔的湿定子潜水电机 | |
KR100845709B1 (ko) | 용지 이송장치 | |
JP4879714B2 (ja) | 防護管挿入機 | |
JP2014063111A (ja) | 光コネクタ | |
JP4350683B2 (ja) | 光コネクタ清掃工具および光部品清掃工具 | |
CN110741296A (zh) | 光连接器的清扫工具 | |
US10241279B2 (en) | Cable gripping structure and optical fiber connector | |
CN110799873B (zh) | 清扫工具 | |
JP2010098841A (ja) | パッキン取付治具 | |
JP2008003302A (ja) | 光コネクタ清掃工具 | |
JP4080844B2 (ja) | 光コネクタ清掃工具 | |
JP5893451B2 (ja) | 駆動伝達装置 | |
JP2005067859A (ja) | 巻取り装置 | |
KR101628313B1 (ko) | 복사기 카세트 급지역전롤러의 개선된 동작구조 | |
CN215733709U (zh) | 一种定子槽楔及应用该定子槽楔的湿定子潜水电机 | |
KR102692806B1 (ko) | 커넥터 리페어장치 | |
JP2019035430A (ja) | フック付きコイルばねを備えたスプリングクラッチ | |
WO2021129517A1 (zh) | 地刷组件及清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