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907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907A
KR20190004907A KR1020170085267A KR20170085267A KR20190004907A KR 20190004907 A KR20190004907 A KR 20190004907A KR 1020170085267 A KR1020170085267 A KR 1020170085267A KR 20170085267 A KR20170085267 A KR 20170085267A KR 20190004907 A KR20190004907 A KR 20190004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per
unit
sensing
rot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정용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4907A/ko
Priority to US15/708,862 priority patent/US10175648B1/en
Priority to PCT/KR2018/005898 priority patent/WO2019009516A1/en
Publication of KR2019000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41J11/54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in which one paper or set is fed towards printing position from the front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본체 내부의 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 및 정착 유닛을 통과한 용지의 이송경로와 팬 사이에 배치되어, 정착 유닛을 통과하는 용지를 감지하는 용지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용지 감지 유닛의 광 감지영역은 팬을 향해 개방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회전하는 감광체에 노광 유닛을 통해 광을 주사함으로써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 유닛을 통해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감광체의 표면에 토너화상을 형성하며, 감광체의 토너화상을 전사 유닛에 전사한 후 이를 다시 용지에 전사한 뒤, 정착 유닛을 통해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아울러,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이송경로상에 배치된 다수의 용지 감지 유닛을 포함으로써 화상형성을 위해 용지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용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오작동에 의해 걸린 용지의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정착 유닛을 통과하는 용지를 감지하는 용지 감지 유닛의 경우, 정착 유닛에 의해 증발된 수분이 센서의 표면에 응결됨에 따라 발광 및 수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센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착 유닛을 통해 용지에 인가되는 고온의 열은 용지 및 그 주변부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은 정착 유닛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주변 부품에 응결된다. 이때, 정착 유닛을 통과한 용지를 감지하는 용지 감지 유닛의 발광부와 수광부에도 정착 유닛에 의해 증발된 수분이 응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센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화상형성장치는 정착 과정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되는바,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팬은 정착 유닛 근방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화상형성장치의 내측의 소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팬의 동작에 의해, 정착 유닛 주변의 고온의 공기 및 수증기는 정착 유닛 및 용지 감지 유닛을 거쳐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흐르게 된다. 이때, 고온의 공기 및 수증기는 용지 감지 유닛의 센서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에 다수의 물방울이 응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용지 감지 유닛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 감지 성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컴팩트한 구조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 및 정착 유닛을 통과한 용지의 이송경로와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정착 유닛을 통과하는 용지를 감지하는 용지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지 감지 유닛의 광 감지영역은 상기 팬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용지 감지 유닛은, 상기 이송경로를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팬을 향하는 제2 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제2 면 상에 서로 마주하게 이격 배치된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서; 및 상기 이송경로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수광부를 향해 조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 감지영역은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는 상기 이송경로로부터 상기 팬을 향해 흐르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이송경로로부터 상기 광 감지영역을 향해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용지 감지 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이송경로와 상기 센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의 상기 제1 면이 결합되는 장착면은 상기 제1 면보다 면적이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이송경로를 지나는 용지에 가압됨으로써 회전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동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수광부를 향해 조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이송경로 상에 배치된 일단부가 상기 이송경로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타단부를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광 감지영역에 삽입된 광 차단부재가 상기 광 감지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부재는 상기 제2 부분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부분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부분의 타단부가 상기 제1 부분의 타단부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부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부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부재는,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수광부를 향해 조사된 광의 차단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수광부를 향해 조사된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제1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 사이에 배치된 제3 및 제4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3 걸림부를 가압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4 걸림부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의 회전각도가 상기 제1 부분의 회전각도보다 작도록,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3 걸림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광 감지영역을 향해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광 감지영역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부분을 향해 돌출된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광 차단부재가 상기 광 감지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제3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반대되는 제4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부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방향은 상기 본체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방향 또는 상기 본체의 설치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감지 유닛이 배치된 내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지 감지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지 감지 유닛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지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용지 감지 유닛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지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용지 감지 유닛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1)는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및 팩시밀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및 팩시밀리의 기능이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하며, 본체(10)의 하단에는 적재된 용지를 본체(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급지 카세트(11)가 결합되고, 본체(10)의 내부에는 픽업 유닛(12), 노광 유닛(13), 감광체(14), 현상 유닛(15), 전사 유닛(16), 정착 유닛(17), 배지 유닛(18), 팬(19) 및 용지 감지 유닛(100)이 배치될 수 있다.
급지 카세트(11)는 용지가 적재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내측에 구비하며, 본체(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급지 카세트(11)는 내부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 유닛(12)을 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픽업 플레이트(1101)를 포함한다.
픽업 유닛(12)은 용지를 픽업하여 본체(10) 내부의 이송경로(P)로 이송하며, 급지 카세트(11)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경로(P)로 투입할 수 있다. 픽업 유닛(12)은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 롤러 및 이송경로(P)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이송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단일의 급지 카세트(11)가 본체(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급지 카세트(11)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의 측면 또는 상부에 결합되어 용지를 본체(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다목적 트레이(multipurpose tra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광 유닛(13)은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L)을 감광체(14)에 주사하여 감광체(14)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현상 유닛(15)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14)에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14) 및 현상 유닛(15)은 단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로서 토너의 색상에 따라 4개씩 구성될 수 있다.
현상 유닛(15)은 시안(C, cyan), 마젠타(M, magenta), 옐로우(Y, yellow) 및 블랙(K, black) 색상의 토너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현상 유닛(15)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감광체(14) 역시 4개의 현상 유닛(15)과 대응하여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4개의 감광체(14)의 각 표면에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전사 유닛(16)은 전사 벨트(1601), 전사 벨트(1601)를 지지하며 회전시키는 회전 롤러(1602) 및 전사 벨트(1601)와 마주하여 용지가 통과하는 닙(nip)을 형성하는 전사 롤러(1603)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롤러(1602)는 복수로 구성되어 전사 벨트(1601)의 내측 양단에서 전사 벨트(1601)의 장력을 유치함과 동시에 전사 벨트(16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회전 롤러(1602)는 3개 이상의 롤러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전사 벨트(1601)는 감광체(14)와 접한 상태로 회전하며, 4개의 감광체(14)의 각 토너화상은 전사 벨트(1601)에 순차적으로 전사될 수 있다.
전사 벨트(16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전사 벨트(1601)와 전사 롤러(1603)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될 수 있다.
정착 유닛(17)은 제1 및 제2 정착 롤러(1701, 1702)를 포함한다. 정착 유닛(17)은 회전하는 제1 및 제2 정착 롤러(1701, 1702)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를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정착 롤러(1701)는 용지를 가열하는 가열 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정착 롤러(1702)는 제1 정착 롤러(1701)를 가압하여 회전 구동하는 가압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정착 롤러(1701)는 내부에 할로겐 램프 등과 같은 열원을 구비한다. 또한, 제1 정착 롤러(1701)는 롤러의 형상 외에도 벨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지 유닛(18)은 제1 및 제2 배지 롤러(181, 182)를 포함한다. 정착 유닛(17)에 의해 토너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회전하는 제1 및 제2 배지 롤러(181, 182)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화상형성장치(1)의 급지 카세트(11), 픽업 유닛(12), 노광 유닛(13), 감광체(14), 현상 유닛(15), 전사 유닛(16), 정착 유닛(17), 배지 유닛(18)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팬(19)은 본체(10)의 배기구에 결합되어 본체(10) 내부의 공기를 본체(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팬(19)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기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 내부의 공기는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정착 유닛(17) 근방에서 높은 온도로 상승하고, 정착 유닛(17)을 통해 용지에 인가되는 고온의 열은 용지 및 그 주변부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아울러, 증발된 수분은 정착 유닛(17)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주변 부품에 응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팬(19)은 본체(10) 내부의 고온의 공기와 수증기를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정착 유닛(17)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착 유닛(17)을 통과한 용지의 이송경로(P1)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팬(19)은 정착 유닛(17)을 작동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공기와 수증기를 본체(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용지 감지 유닛(100)은 정착 유닛(17)을 통과한 용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정착 유닛(17)을 통과한 용지의 이송경로(P1)상에 배치된 레버(도 2의 120)를 포함하며, 용지 감지 유닛(100)은 정착 유닛(17)을 통과한 용지에 의해 레버(120)가 가압됨으로써 정착 유닛(17)을 통과하는 용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감지 유닛(100)은 정착 유닛(17)을 통과한 용지의 이송경로(P1)와 팬(19) 사이에 배치되어, 정착 유닛(17)을 통과한 용지를 감지할 수 있다. 용지 감지 유닛(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정착 유닛(17)을 통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 및 수증기의 흐름(F)은 이송경로(P1)로부터 용지 감지 유닛(100)을 지나 팬(19)을 향해 흐르며, 팬(19)을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의 용지 감지 유닛(100)이 배치된 내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지 감지 유닛(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용지 감지 유닛(100)의 세부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용지 감지 유닛(100)은 센서(110)와 레버(120)를 포함한다.
레버(120)는 정착 유닛(17)을 통과하는 용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센서(110)의 광 감지영역(A)에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센서(110)는 광 감지영역(A)에 조사되는 광의 차단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정착 유닛(17)을 통과하는 용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10)는 몸체부(111), 발광부(112) 및 수광부(113)를 포함한다.
몸체부(111)는 이송경로(P1)를 향하는 제1 면(1111)과 팬(19)을 향하는 제2 면(1112)을 포함하며, 발광부(112)와 수광부(113)는 제2 면(1112) 상에 서로 마주하게 이격 배치된다.
제2 면에(1112)에 결합된 발광부(112)는 수광부(113)와 마주하는 일측에 배치된 발광소자(1121)를 포함하고, 발광부(112)와 마주하게 배치된 수광부(113)는 발광부(112)와 마주하는 일측의 발광소자(112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수광소자(1131)를 포함한다.
발광소자(1121)는 마주한 수광소자(1131)를 향해 광을 방출하고, 수광소자(1131)는 발광소자(1121)로부터 조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발광소자(1121)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등일 수 있으며, 초단파, 라디오파 및 초음파 등과 같은 전파일 수 있다.
아울러, 발광소자(1121)는 발광 다이오드(LED), 레이저 다이오드(L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광소자(1131)는 포토 다이오드(PD), 아발란체 포토 다이오드(AP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12)와 수광부(113) 사이에는 광 감지영역(A)이 형성되며, 발광소자(1121)로부터 방출된 광은 광 감지영역(A)을 통과하여 수광소자(1131)로 입사될 수 있다. 광 감지영역(A)은 발광부(112)와 수광부(113) 사이의 마주하는 공간으로서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이 지나가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발광부(112)와 수광부(113)가 팬(19)을 향하는 제2 면(1112)에 결합됨으로써, 광 감지영역(A)은 팬(19)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즉, 광 감지영역(A)은 몸체부(111)에 의해 이송경로(P1)를 향하는 일측이 막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체(10)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팬(19)에 의해 이송경로(P1)로부터 이송경로(P1)와 팬(19) 사이에 배치된 센서(110)를 향해 흐르더라도, 광 감지영역(A)으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은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착 유닛(17)의 동작에 의해 이송경로(P1) 주변에 형성된 수증기는 팬(19)의 작동에 의해 이송경로(P1)로부터 센서(110)를 향해 흐른다. 다만, 센서(110)를 향해 흐르는 수증기의 흐름은 몸체부(111)의 제1 면(1111)에 충돌하여 막히게 된다.
광 감지영역(A)은, 이송경로(P1)와 마주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팬(19)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이송경로(P1)와 마주하는 방향으로는 몸체부(111)에 의해 차단되므로, 광 감지영역(A)에는 센서(110)를 향해 이동하는 수증기의 흐름(도 1의 F)이 직접적으로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팬(19)에 의해 이송경로(P1)로부터 팬(19)을 향해 이동하는 수증기의 흐름(F)은 몸체부(111)의 제1 면(1111)에 충돌한 후 팬(19)을 향해 이동하며, 팬(19)을 향하는 제2 면(1112)에 결합된 발광부(112)와 수광부(113) 사이로는 수증기의 흐름이 유입될 수 없다.
이를 통해, 광 감지영역(A)에는 수증기가 직접적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발광소자(1121)와 수광소자(1131)에 수증기가 응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소자(1121)에서 방출되는 광이 수광소자(1131)로 용이하게 조사될 수 있으며, 수광소자(1131)로 입사된 광은 수광소자(1131)에 의해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착 유닛(17)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로 인한 센서(1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 내부에는 용지 감지 유닛(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본체(10) 내부에 결합된 브라켓의 형상일 수 있으며, 지지부재(130)에는 용지 감지 유닛(100) 외에 다양한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이송경로(P1)와 팬(19) 사이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0)는 센서(110)가 장착되는 장착부(131)를 포함한다.
장착부(131)는 지지부재(13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의 형상일 수 있으며, 팬(19)을 향하는 장착면(1311)에 몸체부(111)의 제1 면(1111)이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장착면(1311)과 반대되는 면(1312)은 이송경로(P1)를 향하게 됨으로써 이송경로(P1)로부터 센서(110)를 향해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또한, 장착면(1311)은 제1 면(1111)보다 그 면적이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110)를 향해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장착부(131)를 통해 1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재(130)는 이송경로(P1) 상에 배치된 다수의 용지 가이드 (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용지 가이드(132)는 정착 유닛(17)을 통과하여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레버(12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레버(120)는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에 일단부가 가압됨으로써 회전할 수 있으며, 레버(120)의 회전에 따라 그 일부가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되거나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레버(120)의 일부가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되는 경우 레버(120)는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으며, 레버(120)의 일부가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되는 광의 차단이 해제된다.
이처럼, 레버(120)가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회전하여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바, 수광부(113)의 광 감지 여부에 따라 용지가 이송경로(P1)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120)는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에 가압됨으로써 회전하는 제1 부분(121), 제1 부분(121)과 연동하여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부분(122) 및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123)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부분(121, 122)은 회전축(123)으로부터 연장된 레버의 형상일 수 있으며, 회전축(123)은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의 이동방향(S)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121)의 일단부(1211)는 이송경로(P1) 상에 배치되어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부분(121)은 일단부(1211)와 반대되는 타단부(121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부분(121)의 일단부(1211)가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1 부분(121)이 회전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지칭하고,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지칭한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부분(122)은 용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회전하는 제1 부분(121)에 의해 가압되어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된 일부분이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부분(122)은 일단부(1221)에 배치된 광 차단부재(1223)를 포함하며, 광 차단부재(1223)는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부분(122)의 일단부(1221)로부터 광 감지영역(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부분(121)의 타단부(1212)와 제2 부분(122)의 타단부(1222)는 회전축(1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부분(121)의 타단부(1212)와 제2 부분(122)의 타단부(1222)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축(123)에 연결된다.
아울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21)은 회전축(123)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부분(121)의 타단부(1212)와 회전축(12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121)의 타단부(1212)와 제2 부분(122)의 타단부(1222)는 제1 부분(121)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23) 상에서 서로 체결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부분(121)의 회전에 의해 제2 부분(122)은 제1 부분(12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21)은 제1 부분(121)의 타단부(1212)에 형성되고 회전축(123)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제1 및 제2 걸림부(1212a, 1212b)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2 부분(122)은 제2 부분(122)의 타단부(1222)에 형성되며 회전축(123)의 외주면을 따라 제1 걸림부(1212a)와 제2 걸림부(1212b) 사이에 배치된 제3 및 제4 걸림부(1222a, 1222b)를 포함한다.
제1 걸림부(1212a)는 제1 부분(121)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 걸림부(1222a)를 제1 방향으로 가압하며, 이를 통해 제2 부분(122)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걸림부(1212b)는 제1 부분(121)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4 걸림부(1222b)를 제2 방향으로 가압하며, 이를 통해 제2 부분(122)은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이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차단부재(1223)는 제2 부분(122)의 일단부(1221)에 결합되며, 제2 부분(122)의 회전에 의해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되거나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제2 부분(122)은 타단부(1222)가 회전축(1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1221)에 결합된 광 차단부재(1223)가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 즉, 제2 부분(122)은 회전축(123)으로부터 광 감지영역(A)을 향해 연장된 막대의 형상일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광 감지영역(A)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용지가 이송경로(P1)를 통과하지 않는 경우, 광 차단부재(1223)는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되어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을 차단한다. 수광부(113)에 광이 감지되지 않음으로써 제어부(미도시)는 이송경로(P1) 상에 용지가 없는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용지가 정착 유닛(17)을 통과하지 않는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용지가 이송경로(P1)를 통과하는 경우, 제1 부분(121)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부분(122)은 제1 부분(121)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광 차단부재(1223)는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의 차단을 해제한다. 수광부(113)에 광이 감지됨으로써 제어부는 이송경로(P1) 상에서 용지가 이동하는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용지가 정착 유닛(17)을 통과하는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레버(120)는 제1 부분(121)이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부분(121)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24)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가 제1 부분(121)의 일단부(1211)를 가압함으로써 제1 부분(121)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용지 전체가 이송경로(P1)를 통과하면 제1 부분(121)의 일단부(1211)의 가압이 해제되고,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부분(121)은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제1 부분(121)은 이송경로(P1) 상에 용지가 통과하지 않는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부분(122)은 제1 부분(121)에 의해 제1 부분(12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1 부분(121)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부분(122)은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광 차단부재(1223)는 다시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되어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을 차단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지 감지 유닛(10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이 연동하는 구조를 중심으로, 용지 감지 유닛(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상술한다.
도 4a는 용지가 정착 유닛(17)을 통과하지 않음에 따라 이송경로(P1) 상에 용지가 없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송경로(P1)에 용지가 없는 상태를 대기상태로 지칭할 수 있다.
대기상태에서 제1 부분(121)은 탄성부재(124)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일단부(1211)가 이송경로(P1) 상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며, 광 차단부재(1223)는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된 상태로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되는 광을 차단한다.
또한, 제2 부분(122)의 회전각도가 제1 부분(121)의 회전각도보다 작도록, 대기상태를 기준으로 제1 걸림부(1212a)와 제3 걸림부(1222a)는 회전축(123)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이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대기상태에서 제1 걸림부(1212a)와 제3 걸림부(1222a)는 회전축(123)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제1 각도(α)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대기 상태에서 제2 걸림(1212b)와 제4 걸림부(1222b)는 접촉한다.
도 4b는 정착 유닛(17)을 통과한 용지가 이송경로(P1)로 진입한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송경로(P1)로 진입한 용지는 이동방향(S)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용지의 선단부가 제1 부분(121)의 일단부(1211)를 가압하고, 제1 부분(121)은 제1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은 용지가 제1 부분(121)의 일단부(1211)를 가압하는 힘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분(121)이 제1 각도(α)로 회전하는 동안 제1 걸림부(1212a)는 제3 걸림부(1222a)를 향해 제1 각도(α)로 회전한다.
다만, 제1 부분(121)이 제1 각도(α)로 회전하는 동안 제1 걸림부(1212a)는 제3 걸림부(1222a)를 가압하지 않는바, 제2 부분(121)은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가 유지된다.
제1 부분(121)이 제1 각도(α)로 회전함으로써 제1 걸림부(1212a)와 제3 걸림부(1222a)는 접하게 되며, 제2 걸림부(1212b)와 제4 걸림부(1222b)는 제1 각도(α)로 이격된다.
이처럼, 이송경로(P1)로 진입한 용지가 이동방향(S)을 따라 이동하는 초기에는 제1 부분(121) 만이 제1 각도(α)로 회전하고, 제2 부분(122)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가 이동방향(S)을 따라 더 이동함으로써, 제1 부분(121)은 제2 각도(β)만큼 추가로 회전하며, 용지의 선단부는 제1 부분(121)의 일단부(1211)를 통과한다.
용지가 이송경로(P1)를 통과하는 동안, 제1 부분(121)은 제1 각도(α)와 제2 각도(β)를 합한 제3 각도(α+β)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부분(121)이 제2 각도(β)만큼 추가로 회전함으로써, 제1 걸림부(1212a)는 제3 걸림부(1222a)를 제1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2 부분(122)은 제1 방향으로 제2 각도(β)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122)의 일단부(1221)에 배치된 광 차단부재(1223)는 제1 방향으로 제2 각도(β)만큼 회전하며,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광 차단부재(1223)는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의 차단을 해제한다.
제어부는 수광부(113)를 통해 광을 감지함으로써 용지가 정착 유닛(17)을 통과하여 이송경로(P1)를 지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용지가 이송경로(P1)를 지나는 동안, 제2 부분(122)은 제1 방향으로 제2 각도(β)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는바, 수광부(113)는 발광부(112)로부터 조사된 광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는 광의 감지가 중단됨으로써 용지가 이송경로(P1)를 완전히 통과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122)은 광 차단부재(1223)가 발광소자(1121)로부터 수광소자(1131)를 향해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 각도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부분(120)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용지 감지 유닛(100)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광 차단부재(1223)는, 제2 부분(122)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전체가 이탈되지 않고, 발광소자(1121)로부터 수광소자(1131)를 향해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일부분만이 이탈되어도 무방하다.
제2 부분(122)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각도(β)는 광 차단부재(1223)가 발광소자(1121)로부터 수광소자(1131)를 향해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 각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지 감지 유닛(100)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용지 전체가 이송경로(P1)를 통과하면, 제1 부분(121)의 일단부(1211)의 가압이 해제되고,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부분(121)은 제2 방향으로 제3 각도(α+β)만큼 회전한다.
제1 부분(121)이 제2 방향으로 제1 각도(α)만큼 회전하는 동안 제2 부분(122)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후, 제1 부분(121)이 제2 방향으로 제2 각도(β)만큼 추가로 회전하는 동안 제4 걸림부(1222b)는 제2 걸림부(1212b)에 의해 가압되며, 제2 부분(122)은 제2 방향으로 제2 각도(β)만큼 회전한다.
이를 통해 용지 감지 유닛(100)은 대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는, 수광부(113)에 광이 감지됨으로써 이송경로(P1)에 용지가 진입하였음을 판단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수광부(113)에 광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이송경로(P1) 상에 용지가 걸린 것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지 감지 유닛(100)은 광 감지영역(A)을 이송경로(P1)와 반대되는 팬(19)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함으로써, 광 감지영역(A)에 수증기의 흐름이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1121)와 수광소자(1131)에 수증기가 응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레버(120)를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으로 별도로 구성하여 연동시킴으로써, 제2 부분(122)의 회전각도를 제1 부분(121)의 회전각도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부분(122)의 회전각도를 광 차단부재(1223)가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최소의 각도로 설정함으로써, 용지 감지 유닛(100)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지 감지 유닛(100')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1)의 내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용지 감지 유닛(10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지 감지 유닛(100')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용지 감지 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용지 감지 유닛(100)과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겠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지 감지 유닛(10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용지 감지 유닛(100')은 센서(110)와 레버(220)를 포함하며, 센서(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센서(110)와 동일하다.
레버(220)는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에 가압됨으로써 회전하는 제1 부분(221), 제1 부분(221)과 연동하여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부분(222) 및 제1 부분(22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223)을 포함한다.
제1 부분(221)은 일단부(2211)가 이송경로(P1) 상에 배치되어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부분(221)은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레버(220)는 제1 부분(221)이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부분(221)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탄성부재(224)를 더 포함한다.
제1 부분(221)의 타단부(2212)에는 제2 부분(222)을 향해 돌출된 가압부재(2213)가 배치된다.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제1 부분(221)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부재(2213)는 제2 부분(222)을 가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부분(222)은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된 일부분이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부분(222)은 일단부(2221)에 배치된 광 차단부재(2223)를 포함하며, 광 차단부재(2223)는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부분(222)의 일단부(2221)로부터 광 감지영역(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제2 부분(222)의 타단부(2222)는 가압부재(2213)와 접하며, 제1 부분(221)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압부재(221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제2 부분(222)의 하부에는 제2 탄성부재(225)가 결합된다.
제2 탄성부재(225)는 지지부재(130)와 제2 부분(222)을 연결함으로써, 제2 부분(222)이 본체(10)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부분(222)을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부분(222)이 본체(10)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지칭하고, 제3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제4 방향으로 지칭한다.
아울러, 제2 부분(222)은 제2 탄성부재(225)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지 감지 유닛(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0)는 장착부(131) 및 용지 가이드(132)를 포함하며, 제2 부분(22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133)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133)는 지지부재(13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의 형상일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1331)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3)는 복수의 가이드 홈(1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222)은 가이드 홈(1331)과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2224)를 포함하며, 복수의 가이드 홈(1331)에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2224)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이드 돌기(2224)는 복수의 가이드 홈(13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2 부분(222)은 제2 탄성부재(22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복수의 가이드 홈(133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부분(222)은 복수의 가이드 홈(1331)을 따라 제3 방향 또는 제4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 제1 부분(221)은 제1 탄성부재(224)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일단부(2211)가 이송경로(P1) 상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제2 부분(222)은 제2 탄성부재(225)에 의해 지지되며,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된 광 차단부재(2223)는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되는 광을 차단한다.
이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가 이동방향(S)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부분(221)의 일단부(2221)가 가압되면, 제1 부분(221)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부분(221)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가압부재(2213)는 제2 부분(222)의 타단부(2222)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제2 부분(222)은 복수의 가이드 홈(1331)을 따라 제3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광 차단부재(2223)는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하고,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의 차단을 해제한다.
용지가 이송경로(P1)를 지나는 동안 제1 레버(221)는 제3 각도(α+β)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부분(222)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용지 전체가 이송경로(P1)를 통과하면, 제1 부분(221)의 일단부(2211)의 가압이 해제되고, 제1 탄성부재(224)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부분(221)은 제2 방향으로 제3 각도(α+β)만큼 회전한다.
아울러, 제2 부분(222)은 가압부재(2213)로부터의 가압이 해제되고, 제2 탄성부재(225)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 방향, 즉 제4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광 차단부재(2223)는 다시 광 감지영역(A)으로 삽입되어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을 차단한다.
이를 통해 용지 감지 유닛(100')은 대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감지 유닛(100')은 제2 부분(222)이 본체(10)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 부분(222)의 이동거리는 광 차단부재(2223)가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최소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지 감지 유닛(100')을 더욱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지 감지 유닛(100")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1)의 내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용지 감지 유닛(10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용지 감지 유닛(100")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용지 감지 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용지 감지 유닛(100)과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겠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지 감지 유닛(10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용지 감지 유닛(100")은 센서(110)와 레버(320)를 포함하며, 센서(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센서(110)와 동일하다.
레버(320)는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회전하는 제1 부분(321), 제1 부분(321)과 연동하여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부분(322) 및 제1 부분(32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323)을 포함한다.
제1 부분(321)은 일단부(3211)가 이송경로(P1) 상에 배치되어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축(323)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레버(320)는 제1 부분(321)이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부분(321)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탄성부재(324)를 더 포함한다.
제1 부분(321)의 타단부(3212)에는 제2 부분(322)을 향해 돌출된 가압부재(3213)가 배치된다.
이송경로(P1)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제1 부분(321)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부재(3213)는 제2 부분(322)을 가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부분(322)은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된 일부분이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부분(322)은 일단부(3221)에 배치된 광 차단부재(3223)를 포함하며, 광 차단부재(3223)는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부분(322)의 일단부(3221)로부터 광 감지영역(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제2 부분(322)은 타단부(3222)의 내측에 형성되어 가압부재(3213)가 삽입되는 홀(3224)을 더 포함한다.
홀(3224)은 회전축(323)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의 형상일 수 있으며, 홀(3224)에 삽입된 가압부재(3213)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홀(3224)을 따라 제2 부분(322)의 타단부(3222)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3224)의 내측에는 회전하는 가압부재(3213)와 접하여 가압될 수 있는 경사면(322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3213)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경사면(3225)을 가압함으로써, 제2 부분(322)은 제1 부분(321)의 타단부(3212)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부분(322)은 광 차단부재(3223)가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322)은 광 차단부재(3223)가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하는 제3 방향 및 제3 방향과 반대되는 제4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3 및 제4 방향은 본체(10)의 설치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부분(322)은 본체(10)의 설치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325)와 결합된다.
지지부재(13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탄성부재(325)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133')를 포함하며, 제2 탄성부재(325)의 타단은 제2 부분(322)에 연결된다. 제2 부분(322)은 제2 탄성부재(325)의 타단이 결합되는 결합돌기(3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탄성부재(325)는 제2 부분(322)이 제4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부분(322)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분(322)은 제2 탄성부재(325)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3 및 제4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재(130)는 제2 부분(322)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 제1 부분(321)은 제1 탄성부재(324)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일단부(3211)가 이송경로(P1) 상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제2 부분(322)은 제2 탄성부재(325)에 의해 제4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며, 광 감지영역(A)에 삽입된 광 차단부재(3223)는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되는 광을 차단한다.
이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가 이동방향(S)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부분(321)의 일단부(3221)가 가압되면, 제1 부분(321)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부분(321)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가압부재(3213)는 홀(3224)을 따라 경사면(3225)을 가압한다.
따라서, 제2 부분(322)은 제3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를 통해, 광 차단부재(3223)는 광 감지영역(A)으로부터 이탈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하여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의 차단을 해제한다.
용지가 이송경로(P1)를 지나는 동안 제1 레버(321)는 제1 방향으로 제3 각도(α+β)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부분(322)은 제3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용지 전체가 이송경로(P1)를 통과하면, 제1 부분(321)의 일단부(3211)의 가압이 해제되고, 제1 탄성부재(324)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부분(321)은 제2 방향으로 제3 각도(α+β)만큼 회전한다.
아울러, 제2 부분(322)은 가압부재(3213)로부터의 가압이 해제되고, 제2 탄성부재(325)의 탄성력에 의해 제4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광 차단부재(3223)는 다시 광 감지영역(A)으로 삽입되어 발광부(112)로부터 수광부(113)를 향해 조사된 광을 차단한다.
이를 통해 용지 감지 유닛(100")은 대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감지 유닛(100")은 제2 부분(322)이 본체(10)의 설치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2 부분(322)의 이동거리는 광 차단부재(3223)가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최소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지 감지 유닛(100")을 더욱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될 것이다.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11; 급지 카세트 12; 픽업 유닛
13; 노광 유닛 14; 감광체
15; 현상 유닛 16; 전사 유닛
17; 정착 유닛 18; 배지 유닛
19; 팬 100; 용지 감지 유닛
110; 센서 120, 220. 320; 레버
130: 지지부재 A; 광 감지영역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 및
    정착 유닛을 통과한 용지의 이송경로와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정착 유닛을 통과하는 용지를 감지하는 용지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지 감지 유닛의 광 감지영역은 상기 팬을 향해 개방된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감지 유닛은,
    상기 이송경로를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팬을 향하는 제2 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제2 면 상에 서로 마주하게 이격 배치된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서; 및
    상기 이송경로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수광부를 향해 조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 감지영역은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는 상기 이송경로로부터 상기 팬을 향해 흐르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이송경로로부터 상기 광 감지영역을 향해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감지 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이송경로와 상기 센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의 상기 제1 면이 결합되는 장착면은 상기 제1 면보다 면적이 크게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이송경로를 지나는 용지에 가압됨으로써 회전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동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수광부를 향해 조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이송경로 상에 배치된 일단부가 상기 이송경로를 지나는 용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타단부를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광 감지영역에 삽입된 광 차단부재가 상기 광 감지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재는 상기 제2 부분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부분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부분의 타단부가 상기 제1 부분의 타단부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부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부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재는,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수광부를 향해 조사된 광의 차단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수광부를 향해 조사된 광을 차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제1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 사이에 배치된 제3 및 제4 걸림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3 걸림부를 가압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4 걸림부를 가압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회전각도가 상기 제1 부분의 회전각도보다 작도록,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3 걸림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이격 배치된 화상형성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광 감지영역을 향해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광 감지영역을 향해 절곡된 화상형성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부분을 향해 돌출된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광 차단부재가 상기 광 감지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제3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반대되는 제4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부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가압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방향은 상기 본체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방향 또는 상기 본체의 설치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설정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70085267A 2017-07-05 2017-07-05 화상형성장치 KR20190004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267A KR20190004907A (ko) 2017-07-05 2017-07-05 화상형성장치
US15/708,862 US10175648B1 (en) 2017-07-05 2017-09-19 Paper sensor to sense paper passing through fuser
PCT/KR2018/005898 WO2019009516A1 (en) 2017-07-05 2018-05-24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267A KR20190004907A (ko) 2017-07-05 2017-07-05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907A true KR20190004907A (ko) 2019-01-15

Family

ID=6481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267A KR20190004907A (ko) 2017-07-05 2017-07-05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75648B1 (ko)
KR (1) KR20190004907A (ko)
WO (1) WO2019009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7054B2 (ja) * 2019-09-30 2023-08-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7327056B2 (ja) * 2019-09-30 2023-08-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7050B1 (en) 1986-03-14 1990-06-13 Sharp Kabushiki Kaisha Copy storing tray
US4908673A (en) 1987-10-19 1990-03-1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aper refeed tray
JP3473648B2 (ja) 1995-03-22 2003-1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の紙検出装置
KR100311017B1 (ko) 1998-07-22 2001-11-30 윤종용 인쇄기의 용지반전장치
KR100431005B1 (ko) 2002-05-14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JP4332366B2 (ja) 2003-04-07 2009-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60069565A (ko) 2004-12-17 200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급지감지유닛
KR20060073802A (ko) 2004-12-24 200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장치
KR20060082477A (ko) 2005-01-12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EP1785781B1 (en) 2005-11-14 2018-11-28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ixing apparatus
KR101725093B1 (ko) 2009-12-24 2017-04-1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3126916A (ja) 2011-11-15 2013-06-27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55141B2 (ja) * 2013-01-31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57215B2 (ja) 2013-08-09 2018-01-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装置
JP6647802B2 (ja) 2015-05-25 2020-02-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検知装置及びシート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9551968B1 (en) * 2015-09-18 2017-01-2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9516A1 (en) 2019-01-10
US20190011878A1 (en) 2019-01-10
US10175648B1 (en)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8193B2 (en) Recording sheet surface detec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751741B2 (en) Optical sens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99004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754477B2 (ja) シート搬送装置、原稿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0259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004812B2 (ja) 光学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30309B2 (ja) 光学センサ及び画像形成装置
US5751443A (en) Adaptive sensor and interface
JP6157377B2 (ja) 記録材判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90004907A (ko) 화상형성장치
US90693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ovable guide unit
US11691833B2 (en)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reading device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US7593683B2 (en) Paper arrang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US8335447B2 (en)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fixing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93670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apparatus
JP6459922B2 (ja) 画像形成装置
AU646243B2 (en) Moisture condensation prevention structure for laser scanning optical system
US2019017115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12327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01153A (ja) センサ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判別装置
JP2006352513A (ja) 光センサ、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用紙後処理装置
TW201304498A (zh) 掃描元件以及包括該掃描元件的多功能裝置
JP6350049B2 (ja) 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027036A (ja) 含水センサ
US20230077657A1 (en)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of 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