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103A - 의복 - Google Patents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103A
KR20030060103A KR10-2003-7006266A KR20037006266A KR20030060103A KR 20030060103 A KR20030060103 A KR 20030060103A KR 20037006266 A KR20037006266 A KR 20037006266A KR 20030060103 A KR20030060103 A KR 20030060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ng
garment
muscle
tension
gir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561B1 (ko
Inventor
후지이다카코
사카리사
무라카미도시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ublication of KR20030060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41D1/089Sh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21/207Wearing apparel or garment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41D2400/322Massag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2One smooth surface, e.g. laminated or coa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10e)으로, 상기 의복(10e)은 부분적으로 긴체력이 강한 부분(1)을 갖고 있고, 상기 긴체력이 강한 부분(1)이 의복 후측의 인체의 선골로부터 요추상의 어느 부분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위치(2)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인 의복.
상기 의복은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고, 젊은 체형ㆍ자세를 만들어, 요통 등의 통증의 완화에도 기여하며,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도 이어지는 기능을 갖는 의복으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의복{Garment}
나이가 들거나 운동부족, 또는 운동에 의한 근육의 과도 사용 등으로, 자세에 흐트러짐이 생기거나, 일부분의 근육에로의 부담이 지나치게 되어, 통증이 생기거나, 움직임이 제한되는 일이 있다.
특히 요부에서는 척주 기립근을 서포트하는 복근류의 약체화로 요추의 전만이 커지거나, 골반의 경사를 안정시켜, 고관절을 안정적으로 기능시키는 근육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다하고 있는 대전근(大殿筋)이나 중전근, 또한 햄스트링(hamstring)으로 불리우는 대퇴이두근, 반건양근(半腱樣筋), 반막(半膜)양근 등의 약체화에 의해, 골반이 후경(後傾)하기 쉽게 되어, 요통이 생기거나, 외복사근(外腹斜筋)의 기능이 햄스트링의 약체화에 의해 잘 작용하지 않아서, 상반신이 충분히 지탱하지 않게 되어, 허리를 선회하는 경우의 지점이 정해지지 않아 허리의 선회(비틀기) 동작이 스무스하게 행해지지 않는다는 움직임의 제한이나, 문제로 이어진다.
또한, 골반의 후경에 의해, 힙이 편평하게 되고, 요추의 전만과도 겹쳐협복(脇腹)의 근육이 주름져서 가늘어져, 허리의 좌우에로의 비틀기 각도도 작아지게 되어, 전체로서 노인같은 체형이 될 뿐만 아니라, 자세가 흐트러지므로, 요통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슬관절통(膝關節痛)도 생기는 원인으로 되어 있다.
종래부터, 예컨대 힙업 등의 체형 보정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의복 본체의 소정 부분에 바대 천 등을 대어, 이 소정 부분의 긴체력(緊締力)을 강화한 체형 보정을 목적으로 한 의복이나, 스포츠 등의 운동 능력을 보조하기 위해 특정 근육을 서포트하는 스포츠용 타이츠 등이 제안되어 있다.
상술한 요추의 전만을 방지하여 고관절을 안정화시켜, 요통이나 움직임의 제한을 방지하여, 고관절의 움직임의 제한을 적게 하기 위해, 종래의 방법으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수단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① 요부나 하복부 등에 테이핑(taping)을 실시하는 방법.
② 벨트형 코르셋을 ①과 동일하게 요부나 하복부 등에 휘감아서 착용하는 방법.
그러나, ① 방법은 자기자신으로 테이핑하는 것은 곤란하고, 다른 사람에게서 테이핑 받아야 하지만, 비전문가로서는 테이핑은 할 수 없기 때문에, 전문가에게 일일이 테이핑을 받아야 하므로, 착탈이 불편하다. 또한, 장시간 착용할 수 없고, 피부 장해에 이어지는 일도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② 방법으로는 복압을 올리거나, 요추의 과도 신장을 막아, 배근에로의 부담을 적게 함으로써 요통을 완화하는 것, 또한 고관절에 대하여 환상으로 강하게 압박하여 안정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극도로 착용자의 움직임을제한하는 것으로, 일상시나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 등은 착용감이 극히 양호하지 못하여, 착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일상시의 착용이나 스포츠를 행할 때의 착용 등의 통상시의 착용에 있어서도 착용감이 양호하고, 비전문가로도 자기자신으로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하여, 젊디 젊은 체형ㆍ자세를 만들어,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는 기능이 있어, 요통 등의 통증 완화에도 기여하고, 또한 인체의 요부나 고관절의 가동역의 확대 기능을 이용하여,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퍼포먼스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도 이어지는 기능을 갖는 의복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股)관절의 안정을 보조하여, 요추 전만(前灣)을 약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복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의복인 또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의복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정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배면도이다.
도 36은 도 34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좌측면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약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배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좌측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배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좌측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배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좌측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배면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좌측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의복인 보디 슈트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보디 슈트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48은 도 46의 보디 슈트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보디 슈트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보디 슈트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51은 도 49의 보디 슈트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롱타입 거들의 전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52의 롱타입 거들의 후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4는 도 52∼도 53에 도시한 거들의 뒤에서 전협(前脇) 및 각부(脚部)에 이용되는 천의 재단전의 평면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숏타입 거들의 전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숏타입 거들의 후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7은 도 55∼도 56에 도시한 거들의 후측에서 전협부에 이용되는 천의 재단전의 평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59는 도 58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60은 도 58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62는 도 61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63은 도 61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65는 도 64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66은 도 64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67은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68은 도 67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69는 도 67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70은 인체 전면측의 골격 및 근육도이다.
도 71은 인체 후면측의 골격 및 근육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으로, 상기 의복은 부분적으로 긴체력이 강한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긴체력이 강한 부분이 의복 후측의 인체의 선골(仙骨)로부터 요추상의 어느 부분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强緊締力部; A)인 의복.
(2)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내복사근(內腹斜筋)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를 추가로 갖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의복.
(3)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는 상기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의복.
(4) 거의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 근방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廣背筋) 및 중전근 및 외복사근의 일부에 접촉되어 적어도 옆구리를 전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D)를 추가로 갖는 상기 (1)∼(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5) 상기 (2)항 기재의 강긴체력부(B)와 상기 (3)항 기재의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의복.
(6) 상기 (2)항 기재의 강긴체력부(B)와 상기 (3)항 기재의 강긴체력부(C)와 상기 (4)항 기재의 강긴체력부(D)를 추가로 갖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의복.
(7) 주된 신축 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으로 하복부 중앙부를 커버하는 복압용강긴체력부(F)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하협(下脇)측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의 좌우 하협측으로부터 각각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를 추가로 갖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의복.
(8) 주된 신축 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으로 하복부 중앙부를 커버하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상협측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의 좌우 상협측으로부터 각각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고 있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의복.
(9) 주된 신축 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으로 하복부 중앙부를 커버하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하협측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의 좌우 하협측으로부터 각각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상협측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의 좌우 상협측으로부터 각각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고 있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의복.
(10) 강긴체력부(A)로 나타내는 부분이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전측 대퇴부의 내측을 향해 봉공근(縫工筋), 대퇴직근, 내측광근(廣筋)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대퇴사두근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2)인 상기 (1)∼(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11) 강긴체력부(A)로 나타내는 부분이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대퇴부의 장경인대(腸脛靭帶) 및/또는 외측광근 근방 위를 통해 슬개부(膝蓋部) 보다 조금 위의 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3)인 상기 (1)∼(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12) 강긴체력부(A)로 나타내는 부분이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장경인대 및/또는 외측광근 근방 위를 통해, 슬개부에 이르고, 또한 슬개부에서, 비복근() 및 슬와근(soleus)을 서포트하기 위해 각부 외측에서 비복근 및/또는 슬와근 근방 위를 통해, 외과()부 상방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4)인 상기 (1)∼(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13) 강긴체력부(B)로 나타내는 부분이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둔부의 부푼 곳의 하방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2)인 상기 (2)∼(1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14) 강긴체력부(B)로 나타내는 부분이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대퇴부 후측의 햄스트링(hamstring)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3)인 상기 (2)∼(l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15) 상기 3항 기재의 강긴체력부(C)와 상기 4항 기재의 강긴체력부(D)가 일체가 되어 연속하고 있는 강긴체력부(C-D)를 추가로 갖는 상기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의복.
(16) 대퇴부 내측 상방 부분으로부터, 내측광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내측광근상을 통해, 슬개부에 이르고, 또한 슬개부에서 비복근 및 슬와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각부 내측에서 비복근 및/또는 슬와근 근방 위를 통해, 내과부 상방 근방에 이르는 강긴체력부(E)를 추가로 갖는 상기 (12)항에 기재된 의복.
(17) 강긴체력부가 의복 본체 천의 표측 또는 이측에 접하게 천을 적층하여 형성한 강긴체력부인 상기 (1)∼(1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18) 강긴체력부가 의복 본체 천의 편조직을 바꿔, 약긴체력부와 강긴체력부를 패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강긴체력부인 상기 (1)∼(1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19) 강긴체력부가 의복 본체 천의 소정 부분에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의 필름을 적층하거나, 또는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의 용액 또는 에멀젼을 함침 또는 코팅하여 건조시켜 형성한 강긴체력부인 상기 (1)∼(1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20) 강긴체력부가 150∼400gf의 긴체력을 갖는 상기 (1)∼(1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21) 신축성 천이 신축성 투웨이 트리코 편물 및 신축성 랏셀(raschel) 편물 중에서 선택된 편물인 상기 (1)∼(2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22)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이 거들, 스패츠(spat), 스포츠용 타이츠, 보디 슈트, 레오타드(leotard), 수영복 중에서 선택된 의복인 상기 (1)∼(21)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23)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이 인체의 대퇴부를 적어도 고부보다 하측까지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고 있는 의복인 상기 (1)∼(2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24)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이 그 옷단 하단 위치가 고부의 위치와 거의 동등한 높이의 위치에 있거나, 또는 그것보다 위에 있고, 대퇴부를 적어도 고부보다 하측까지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지 않는 의복인 상기 (1)∼(2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복.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예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의복 본체 중 어떤 부분에 긴체력이 강한 부분이 배치되어 있거나, 긴체력이 강한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의복상에 있어서의 위치의 설명에 신체의 일부나 근육이나 골격 상당 부분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부분도 있으므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우선, 본 발명에서 긴체력이 강한 부분의 위치 등의 설명에 사용하는 골격이나 근육의 인체에 있어서의 위치를 설명해둔다.
도 70은 도면의 좌반분이 인체 전면측의 골격도, 또한 우반분이 인체 전면측의 근육도이다. 도 71은 도면의 좌반분이 인체 후면측의 골격도, 또한 우반분이 인체 후면측의 근육도이다. 한편, 도 70, 도 7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설명에 특별히 필요하지 않는 부분의 근육이나 골격은 일부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70, 도 71에 있어서, 201이 요추, 201a가 제 1 요추, 201b가 제 2 요추, 201c가 제 3 요추, 201d가 제 4 요추, 201e가 제 5 요추이다. 또한, 202가 선골, 203이 골반(장골), 204가 대퇴골두, 205가 대전자, 206이 대퇴골체, 207이 비골, 208이 경골, 301이 복직근, 302가 외복사근, 303이 봉공근, 304가 대퇴직근, 305가 외측광근, 306이 내측광근, 307이 슬개의 위치, 308이 광배근, 309가 중전근, 310이 대전근, 311이 장경인대, 312가 대퇴이두근, 313이 반건양근, 314가 반막양근, 315가 비복근, 315a가 각부 외측의 비복근, 315b가 각부 내측의 비복근, 316이 슬와근, 316a가 각부 외측의 슬와근, 316b가 각부 내측의 슬와근, 317a가 외과부, 317b가 내과부, 318이 대퇴근 막장근이다. 또한, 각 근육의 근섬유 방향은 도시한 각 근육 중에 나타낸 세선의 길이 방향이고, 이 근섬유 방향이 근육의 수축 방향이다. 내복사근이 도 70과 도 7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복사근은 거의 복직근과 외복사근의 배면측에 존재하고, 근섬유 방향은 인체 전중심에서 좌우로 각각 거의 경사 하향 방향이다. 또한, 이들 골격이나 근육의 위치, 형, 크기는 개체 각각에 따라서 약간 상위하기 때문에, 상기 근육 및 골격도는 대표예의 하나로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긴체력이 강한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의복상에 있어서의 위치의 설명에「……근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소정의 지정된 위치로부터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는 지장이 없는다는 것을 뜻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격이나 근육의 위치, 형, 크기는 개체 각각에 따라서 상위하고, 인체 전체의 크기도 상위하기 때문에, 긴체력이 강한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의복상에 있어서의 위치가 소정의 지정된 위치로부터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는 지장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강긴체력부는 특별히 끊지 않는 한 그 주된 신축 방향은 거의 그 길이 방향이다. 거의 길이 방향으로 한 것은 강긴체력부가 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그 형이 커브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떤 부분에 있어서도 전부 그 주된 신축 방향이 그 길이 방향이다는 천을 얻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강긴체력부에 있어서「주된 신축 방향이 거의 그 길이 방향」이란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도 신축성이 있는 경우에는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의 신축성은 길이 방향의 신축성과 동등하거나, 그 이하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것도 포함된다. 강긴체력부분은 길이 방향의 신축성 쪽이 그것과 직각 방향인 신축성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에 있어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의「연결」이란 좌우 부분이 이음매 없이 연속한 상태의 경우와, 좌우 부분이 봉합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도 3에 본 발명의 의복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나타내었다. 도 1∼도 3에 나타낸 롱타입 거들(10a)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A)로서,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대전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적어도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를 갖고 있다. 이 거들(10a)의 다른 본체 부분은 상기 강긴체력부에 비하여 긴체력이 보다 작은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긴체력부(1)가 대전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있고, 더구나,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히 대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여, 골반의 전후 방향으로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으로의 신장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가 대전자 근방을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대퇴골두(204)와 관골구(寬骨臼)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도 6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4∼도 6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b)에서는 도 1∼도 3에 도시한 거들(10a)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강긴체력부(A)로서 강긴체력부(1)를 가짐과 동시에, 또한 강긴체력부(B)로서 하복부의 복직근상(4)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4)의 위치로부터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5)를 갖고 있다. 이것 이외의 점은 도 1∼도 3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4∼도 6에 도시한 거들은 강긴체력부(1)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도 1∼도 3에 도시한 거들(10a)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또한 강긴체력부(B)로서 하복부의 복직근상(4)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4)의 위치로부터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3)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5)에 의해, 복직근(301)의 일부와 내복사근을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도 9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7∼도 9에 롱타입 거들(10c)에서는 도 1∼도 3에 도시한 거들(10a)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강긴체력부(A)로서 강긴체력부(1)를 갖고, 또한 강긴체력부(C)로서 하복부의 복직근상(4)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4)으로부터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7)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6)를 갖고 있다. 이것 이외의 점은 도 1∼도 3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7∼도 9에 도시한 거들은 강긴체력부(1)를 갖고 있으므로, 도 1∼도 3에 도시한 거들(10a)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또한 강긴체력부(C)로서 하복부의 복직근상(4)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4)의 위치로부터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7)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6)에 의해, 복직근(301)의 일부와 외복사근(302)를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도 12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10∼도 12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d)에서는 도 1∼도 3에 도시한 거들(10a)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강긴체력부(A)로서 강긴체력부(1)를 갖고, 또한 강긴체력부(D)로서 거의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의 광배근 및 중전근 및 외복사근의 일부에 접하여 적어도 옆구리(7)를 전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9)를 갖고 있다. 이것 이외의 점은 도 1∼도 3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10∼도 12에 도시한 거들은 강긴체력부(1)를 갖고 있으므로, 도 1∼도 3에 도시한 거들(10a)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또한 강긴체력부(D)로서 거의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의 광배근(308) 및 중전근(309) 및 외복사근(302)의 일부에 접하여 적어도 옆구리(7)를 전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9)에 의해,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을 보조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3∼도 15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13∼도 15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e)에서는 도 1∼도 3에 도시한 거들(10a)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강긴체력부(A)로서 강긴체력부(1)를 갖고, 도 4∼도 6에 도시한 거들(10b)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강긴체력부(B)로서 강긴체력부(5)를 가지며, 도 7∼도 9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c)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강긴체력부(C)로서 강긴체력부(6)를 갖고, 도 10∼도 12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d)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강긴체력부(D)로서 강긴체력부(9)를 갖고 있다. 이 예에서는 하복부의 복직근상(4)에 있어서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6)와 강긴체력부(9)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강긴체력부(11)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강긴체력부(1, 5, 6, 9)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도 1∼도 12에 도시한 각 거들(10a, 10b, 10c, 10d)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겸비하는 거들이 얻어짐과 동시에,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근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쉽다. 또한, 강긴체력부(6)와 강긴체력부(9)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강긴체력부(1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의 광배근(308) 및 중전근(309) 및 외복사근(302)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여,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쉽다.
다음에 도 16∼도 18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16∼도 18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f)에서는 도 13∼도 15에 도시한 거들(10e)과 비교하면, 강긴체력부(5)로 나타내는 부분이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또한 둔부의 부푼 곳의 아래 쪽 부분으로 신장하고 있고, 이 연장된 부분의 강긴체력부를 부호(12)로 나타내면,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12)가 일체가 되어 강긴체력부(B2)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거들은 도 13∼도 15에 도시한 거들(10e)과 동일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강긴체력부(B2)를 갖기 때문에,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또한 강긴체력부(12)에 의해, 힙업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9∼도 21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19∼도 21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g)에서는 도 16∼도 18에 도시한 거들(10f)과 비교하면, 도 16∼도 18에 도시한 거들(10f)에서는 하복부 거의 중앙부에서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가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있는데 대하여, 도 19∼도 21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g)에서는 하복부 중앙부에 부호(20)로 나타내는 주된 신축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의 복압용 강긴체력부(F)가 존재하고 있다.
즉, 이 거들(10g)에서는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의 좌우의 약간 하협측에 강긴체력부(5)의 각각 좌우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강긴체력부(F; 20)의 좌우의 상협측에 강긴체력부(6)의 각각 좌우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외의 점은 도 16∼도 18에 도시한 거들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 거들(10g)에 있어서도 좌우 강긴체력부(5)와 좌우 강긴체력부(6)는 각각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16∼도 18에 도시한 거들과 거의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특히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가 존재하므로, 복부의 군살의 팽출을 눌러, 복부의 형상을 보다 아름답게 갖추는 기능도 발휘된다. 또한, 도 19∼도 20에 있어서 부호(21)로 나타내는 부분은 샅(groin)을 나타내고 있다. 샅을 구성하는 천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세로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천이 통상 이용된다.
다음에 도 22∼도 24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22∼도 24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h)에서는 도 19∼도 21에 도시한 거들(10g)과 비교하면, 도 19∼도 21에 도시한 거들(10g)에서는 강긴체력부(5)로 나타내는 부분이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또한 둔부의 부푼 곳의 하방 부분으로 신장한 강긴체력부(12)를 갖고 있어,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12)가 일체가 되어 강긴체력부(B2)를 형성하고 있는데 대하여, 도 22∼도 24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h)에서는 강긴체력부(5)로 나타내는 부분이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또한 대퇴부 후측의 햄스트링이라고도 불리우고 있는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반막양근 등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비골(도 52의 207)이 존재하는 측에서 슬개부 보다 조금 위의 부분 근방에까지 신장하고 있고, 이 연장된 강긴체력부를 부호(5a)로 나타내면,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5a)가 일체가 되어 강긴체력부(B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롱타입 거들(10h)에서는 강긴체력부(1)로 나타내는 부분이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또한 전측 대퇴부의 내측을 향해 봉공근, 대퇴직근, 내측광근 등의 대퇴사두근 중 적어도 일부를 그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커버하여 경골(도 52의 208)이 존재하는 측에서 슬개부 보다 조금 위의 부분 근방에까지 신장하고 있고, 이 연장된 강긴체력부를 부호(1a)로 나타내면,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1a)가 일체가 되어 강긴체력부(A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이외의 점은 도 19∼도 21에 도시한 거들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 거들(10h)에서는 강긴체력부(12)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의 상위를 제외하고는 도 19∼도 21에 도시한 거들과 거의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강긴체력부(A2, B3)를 갖기 때문에,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한층더 강화되고,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그리고, 강긴체력부(1a) 및 강긴체력부(5a)에 의해, 대퇴사두근(봉공근, 대퇴직근, 내측광근 등), 햄스트링이라고도 불리우고 있는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반막양근의 거의 근육 수축 방향을 서포트하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에, 각부의 이들 근육을 서포트함과 동시에, 마사지 효과가 생겨나서, 혈액, 림프구의 유통이 촉진됨으로써, 에너지의 소모나 젖산의 축적에 의해 생긴 근육 피로의 회복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동작에 있어서의 지면을 강하게 뒤로 누르는 기능, 점프시에 보다 높게 뛰는 기능, 발을 올리는 기능 등이 보다 강화된다. 또한 고령자가 착용한 경우에는 전도를 방지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이 보다 한층 강화된다.
다음에 도 25∼도 26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이 거들의 정면도는 도 22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5∼도 26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i)에서는 도 22∼도 24에 도시한 거들(10h)과 비교하면, 도 22∼도 24에 도시한 거들(10h)에서는 강긴체력부(1)가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는데 대하여, 도 25∼도 26에 도시한 거들(10i)에서는 강긴체력부(1)가 거들 후측의 인체의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a)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이것 이외의 점은 실질적으로 도 22∼도 24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h)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25∼도 26에 도시한 거들(10i)에서는 강긴체력부(1)가 대전근을 커버하는 면적이 도 22∼도 24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h)과 비교하여 약간 적어져, 그 비율만큼 강긴체력부(1)의 기능이 약간 감소하지만, 그래도 충분히 대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5∼도 26에 도시한 거들(10i)에 있어서도 도 22∼도 24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h)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거들이 얻어진다.
다음에 도 27∼도 29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27∼도 29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j)에서는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의 배치는 정면측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거들의 정면도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강긴체력부(1)가 거들 후측의 인체의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a)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점에서 도 26에 도시한 거들과 동일하다. 이 거들의 특이한 점은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5)가 대전자(3)의 위치에서 합체한 후, 또한 장경인대(도 71의 311 참조)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신장하여 슬개부보다 조금 위의 부분에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1b)를 갖는 점이다. 한편,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1b) 또는 도 31에 있어서 후술하는 강긴체력부(1c)가 일체로 된 강긴체력부를 강긴체력부(A3)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27∼도 29에 도시한 거들(10j)에서는 강긴체력부(5)로 나타내는 부분이 대전자(3) 근방에서 강긴체력부(1)와 합체하고, 또한 장경인대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신장하여 슬개부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b)를 갖기 때문에, 대전자(3) 근방을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1b)의 3방향에서 인장하여 가압할 수 있고, 도 13∼도 15에 도시한 거들에 비하여,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한층더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그 밖에 도 13∼도 15의 거들과 동일한 위치의 강긴체력부(6, 5, 9)는 도 13∼도 15의 거들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고, 도 25∼도 26의 거들과 동일한 위치의 강긴체력부(1)는 도 25∼도 26의 거들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다음에 도 30∼도 31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이 거들의 정면도는 도 27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30∼도 31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k)에서는 도 27∼도 29에 도시한 거들(10j)과 비교하면, 도 27∼도 29에 도시한 거들(10j)에서는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5)가 대전자(3)의 위치에서 합체한 후, 또한 장경인대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신장하여 슬개부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b)를 갖는데 대하여, 도 30∼도 31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k)에서는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5)가 대전자(3)의 위치에서 합체한 후, 강긴체력부(1)가 또한 외측광근(도 70의 305 참조)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인체 중심측을 향해 경사 하방으로 신장하여 슬개부의 조금 위의 부분에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1c)를 갖고 있다. 강긴체력부(1c)에 의해 외측광근을 서포트하여, 이 근육의 마사지 효과가 생겨나서, 근육 피로의 회복이 촉진되는 등의 기능이 발휘된다. 그 밖의 점에 관해서는 도 27∼도 29에 도시한 거들(10j)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2∼도 33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이 거들의 정면도는 도 27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32∼도 33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m)에 있어서는 도 27∼도 29에 도시한 거들(10j)과 비교하면, 도 27∼도 29에 도시한 거들(10j)에서는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5)가 대전자(3)의 위치에서 합체한 후, 또한 장경인대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신장하여 슬개부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b)를 갖는데 대하여, 도 32∼도 33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m)에서는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5)가 대전자(3)의 위치에서 합체한 후, 도 23, 도 24의 거들과 동일하게 강긴체력부(5)가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또한 대퇴부 후측의 햄스트링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비골의 상단 근방에까지 신장하고 있고,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5a)가 일체가 되어 강긴체력부(B3)를 형성하고 있다. 강긴체력부(5a)에 의해, 대퇴사두근, 햄스트링의 거의 근육 수축 방향을 서포트하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에, 각부의 이들 근육의 마사지 효과에 의한 근육 피로의 회복을 촉진하는 기능, 주행 동작에 있어서의 지면을강하게 뒤로 누르는 기능, 점프시에 보다 높게 뛰는 기능, 발을 올리는 기능 등이 보다 강화된다. 또한 고령자가 착용한 경우에는 전도를 방지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이 보다 한층 강화된다. 그 밖의 기능은 도 27∼도 29의 거들(10j)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4∼도 36에 본 발명의 의복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37은 도 35의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 약도이다. 도 34∼도 37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a)에서는 강긴체력부(6, 5, 9)는 도 30∼도 31에 도시한 거들(10k)의 강긴체력부와 동일한 강긴체력부이다. 도 34∼도 37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a)에서는 강긴체력부(1)가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또한 장경인대 및 외측광근 근방 위를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슬개부(35)의 측면에 이르고, 또한 슬개부(35)의 측면으로부터, 비복근 및 슬와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각부 외측에서 비복근 및 슬와근 근방 위를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외과부 상방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e)를 갖고 있다.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1e)로 이루어지는 강긴체력부를 강긴체력부(A4)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스포츠용 타이츠(30a)는 도 3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퇴부 내측에서, 내측광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내측광근 위를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슬개부(35)의 측면에 이르고, 또한 슬개부(35)의 측면으로부터, 비복근 및 슬와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각부 내측에서 비복근 및 슬와근 근방 위를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내과부 상방 근방에 이르는 강긴체력부(E; 31)를 추가로 갖는다.
한편, 슬부(膝部)에 관해서는 도 34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외측 강긴체력부(1e)에 있어서는 슬개부(35)의 상방과 하방의 내측에 있어서 2개의 산형(山型; 36, 37)을 형성하여 슬개부(35)를 피하는 구조로 하고, 내측의 강긴체력부(31)에 있어서는 슬개부(35)의 상방과 하방의 외측에 있어서 2개의 산형(40, 41)을 형성하여 슬개부(35)를 피하는 구조로 함과 동시에, 대향 각 2개의 산형(40과 41, 36과 37)이 교차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부가 이러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슬개 인대나 측부 인대를 서포트하는 작용을 갖는다. 단, 슬부의 강긴체력부의 배치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스포츠용 타이츠(30a)의 다른 본체 부분은 상기 각 강긴체력부에 비하여 긴체력이 보다 작은 신축성 천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35에 있어서 22는 둔구(腎溝)의 위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4∼도 37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a)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1)에 의해 확실히 대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고관절의 신장, 특히 골반의 전후 방향으로의 안정성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허리의 좌우로의 회전 각도의 현상을 방지하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으로의 신장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1, 1e, 5)가 대전자(3) 근방을 3방향에서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한층더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스포츠용 타이츠(30a)에서는 하복부의 복직근상(4)에서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복근을 보다 강력하게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쉽다. 또한, 강긴체력부(6)와 강긴체력부(9)는 일체로 연결되어, 강긴체력부(1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308) 및 중전근(309) 및 외복사근(302)을 보다 강력하게 서포트하여,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쉽다. 또한, 이 스포츠용 타이츠(30a)에서는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1e)로 이루어지는 강긴체력부(A4)와 강긴체력부(31)로 이루어지는 강긴체력부(E)를 갖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에 있어서 이들 강긴체력부로 서포트하고 있는 각부의 근육의 마사지 효과가 생겨나서, 이들 근육의 피로 회복의 촉진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고령자가 착용한 경우에는 전도를 방지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이 보다 한층더 강화된다.
다음에 도 38∼도 39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배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정면도는 도 34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38∼도 39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b)를 도 34∼도 37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a)와 비교하면, 도 34∼도 37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a)에서는 강긴체력부(5)로 나타내는 부분의 하방단이 대전자(3) 근방에서 종료하고 있는데 대하여, 도 38∼도 39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b)에서는 강긴체력부(5)로 나타내는 부분이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또한 대퇴부 후측의 햄스트링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비골(도 70의 207)이 존재하는 측의 슬개부의 조금 위의 부분에까지 신장하고 있고,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5a)가 일체가 되어 강긴체력부(B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이외의 점은 도 34∼도 37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a)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 스포츠용 타이츠(30b)에서는 상기 도 34∼도 37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a)와 동일한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5a)가 대전자(3) 근방에서 일체로 되어 있는 강긴체력부(B3)를 갖기 때문에,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한층더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그리고, 강긴체력부(5a)에 의해, 햄스트링이라고도 불리우고 있는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반막양근의 거의 근육 수축 방향을 서포트하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주행 동작에 있어서의 지면을 강하게 뒤로 누르는 기능, 점프시에 보다 높게 뛰는 기능, 발을 올리는 기능 등이 보다 강화된다. 또한, 이들 근육의 마사지 효과가 생겨나서, 이들 근육의 피로 회복이 촉진된다. 또한 고령자가 착용한 경우에는 전도를 방지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이 보다 한층더 강화된다.
도 40∼도 41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배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정면도는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가 존재하지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4와 거의 동일하다.
도 40∼도 41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c)는 강긴체력부(A)로서,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대전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적어도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강긴체력부(1f)로서 인체의 웨이스트 옆구리측에 상당하는 부분으로부터 중전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대전자(3) 근방에 이르고(이 부분을 부호(25)로 나타낸다.),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또한 장경인대 및 외측광근 근방 위를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슬개부(35)의 측면에 이르고, 또한 슬개부(35)의 측면으로부터, 비복근 및 슬와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각부 외측에서 비복근 및 슬와근 근방 위를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외과부 상방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f)를 갖고 있다. 또한, 각부의 내측에서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퇴부 내측으로부터, 내측광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내측광근 위를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슬개부(35)의 측면에 이르고, 또한 슬개부(35)의 측면으로부터, 비복근 및 슬와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각부 내측에서 비복근 및 슬와근 근방 위를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내과부 상방 근방에 이르는 강긴체력부(E; 31)를 갖는다. 한편, 슬부에 관해서는, 도 34를 사용하여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0∼도 41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c)에서는 강긴체력부(1)에 의해 대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고, 또한 강긴체력부(1f)의 25로 도시한 부분에 의해 중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고관절의 신장, 특히 골반의 전후 방향으로의 안정성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어서, 허리의선회 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 가능 각도의 감소를 방지하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으로의 신장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1) 및 강긴체력부(1f)가 대전자(3) 근방을 3방향에서 커버하고 있고, 또한 강긴체력부(1f)의 부호(25)로 도시한 강긴체력부가 대전자(3)에 걸리는 힘을 거의 직선상으로 상방으로 잡아 당기고 있기 때문에,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한층더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스포츠용 타이츠(30c)에서는 강긴체력부(1f)의 대전자(3)로부터 하방으로 존재하는 강긴체력부분과 각부 내측에 존재하는 강긴체력부(E; 31)에 의해,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에, 이들 강긴체력부로 서포트된 각 근육의 마사지 효과가 생겨나서, 이들 근육의 피로 회복을 촉진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에 도 42∼도 43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배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정면도는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4와 거의 동일하다. 도 42∼도 43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d)와 도 40∼도 41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c)를 비교하면, 주된 상위점은 다음과 같다.
① 도 40∼도 41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c)에서는 강긴체력부(1)가 스포츠용 타이츠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는데 대하여, 도 42∼도 43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d)에서는 강긴체력부(1)가 스포츠용 타이츠 후측의 인체의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a)에서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② 도 40∼도 41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c)에서의 강긴체력부(1f)의 상방 부분(25)과 비교하여, 도 42∼도 43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d)의 강긴체력부(1g)의 상방 부분(26)은 약간 인체 전측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고, 대퇴근 막장근 및 중전근 중 보다 외측 부분인 중전근을 이들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커버하고 있다.
③ 도 42∼도 43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d)는 강긴체력부(D)로서, 거의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 및 중전근 및 외복사근의 일부에 접하는 강긴체력부(9)를 추가로 갖고 있고, 이 강긴체력부(9)가 강긴체력부(1g)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스포츠용 타이츠(30c)와 스포츠용 타이츠(30d)에는 상기 ①과 ②의 점에 약간의 상위는 있지만, 이들 점의 차이에 근거하는 기능의 차이는 그다지 볼 수 없고, 이 양자는 거의 동등한 기능을 갖고 있다. 단, 스포츠용 타이츠(30d)는 ③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강긴체력부(9)를 추가로 갖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용 타이츠(30c)에 비하여,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을 보조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는다.
다음에 도 44∼도 45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배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정면도는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4와 거의 동일하다. 도 44∼도 45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e)와 도 40∼도 41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c)를 비교하면, 주된 상위점은 다음과 같다.
① 도 44∼도 45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e)는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둔부의 부푼 곳의 하방 부분으로 신장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2)를 추가로 갖는다.
② 도 44∼도 45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e)는 강긴체력부(D)로서, 거의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 및 중전근 및 외복사근의 일부에 접하는 강긴체력부(9)를 추가로 갖고 있고, 이 강긴체력부(9)가 강긴체력부(1f)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스포츠용 타이츠(30e)는 도 40∼도 41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30c)와 동등한 기능 외에, 강긴체력부(12)를 갖기 때문에,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또한 강긴체력부(12)에 의해, 힙업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9)를 갖고, 강긴체력부(9)가 강긴체력부(1f)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스포츠용 타이츠(30c)에 비하여,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을 보조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는다.
다음에 도 46∼도 48에 본 발명의 의복인 보디 슈트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46∼도 48에 도시한 보디 슈트(60a)는 상반신부가 50으로 도시되고, 하반신부가 51로 도시되어 있다. 이 보디 슈트(60a)는 하반신부(51)의 옷단이 약간 긴 타입의 보디 슈트이다. 상반신부는 스트랩과 겸하여 배후의 일부분을 충당하고 있는 천(52)을 갖고 있다. 하반신부(51)의 각각의 강긴체력부의 배치는 도 19∼도 21에 도시한 거들(10g)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거들(10g)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따라서, 이 보디 슈트(60a)는 도 19∼도 21에 도시한 거들(10g)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보디 슈트이다.
다음에 도 49∼도 51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보디 슈트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이 보디 슈트(60b)와 도 46∼도 48에 도시한 보디 슈트(60a)의 상위점은 도 46∼도 48에 도시한 보디 슈트(60a)는 하반신부(51)의 옷단이 약간 긴 타입의 보디 슈트인데 대하여, 도 49∼도 51에 도시한 보디 슈트(60b)는 하반신부(51)의 옷단이 짧은 타입의 보디 슈트인 점이 다를 뿐이고, 그 밖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46∼도 48에 도시한 보디 슈트(60a)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따라서, 이 보디 슈트(60b)는 도 46∼도 48에 도시한 보디 슈트(60a)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보디 슈트이다.
다음에, 강긴체력부와 약긴체력부를, 편조직을 변경함으로써 소정의 패턴상으로 분할 편성하여 작성한 의복의 예를 개시한다.
이하의 예에서는 강긴체력부를 3종류로 분할 편성하여, 가장 긴체력이 강한 강긴체력부(이하, 제 1 강긴체력부라고 한다.), 그 다음에 긴체력이 강한 제 2 번째의 강긴체력부(이하, 제 2 강긴체력부라고 한다.), 또한 제 2 번째의 강긴체력부에 비하면 긴체력은 약하지만, 약긴체력부에 비하여 강한 긴체력을 갖는 제 3 번째의 강긴체력부(이하, 제 3 강긴체력부라고 한다.)로 하고, 그 밖의 부분을 약긴체력부로서, 4 단계로 분할 편성하여 형성한 의복 중, 롱타입 거들(도 52∼도 54)과 숏타입 거들(도 55∼도 57)에 관해서의 일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52는 본 발명의 롱타입 거들의 전측에서 본 사시도, 도 53은 그 후측에서 본 사시도, 도 54는 이 거들의 뒤에서 전협 및 각부에 사용되는 천의 재단전의 평면도이다.
도 52∼도 54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n)에서는 도 19∼도 21에 도시한 거들(10g)과 비교적 매우 유사하다. 도 19∼도 21에 도시한 거들(10g)과 비교하면, 도 19∼도 21에 도시한 거들(10g)에서는 강긴체력부(1)가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는데 대하여, 도 52∼도 54에 도시한 거들(10n)에서는 강긴체력부(1)가 거들 후측의 인체의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a)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52∼도 54에 도시한 거들(10n)에서는 강긴체력부(6)가 또한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옆구리에서 하방으로 구부러져 신장하고 있고,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1)의 상측을 따라 신장하고 있다. 또한, 도 52∼도 54에 도시한 거들(10n)에서는 옷단 부분에 강긴체력부(70)가 추가로 존재하고 있다. 이것 이외의 점은 실질적으로 도 19∼도 21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g)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이 롱타입 거들은 강긴체력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강긴체력부, 제 2 강긴체력부, 제 3 강긴체력부, 및 약긴체력부의 4 단계로 분할 편성하여 형성하고 있다. 분할 편성은 어떠한 편조직을 이용해도 되고, 편밀도나 실의 긴장력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는 분할 편성하는 수법이면 어느 방법이어도 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부분이 둥근 뜨기에 비하여, 보다 강한 긴체력으로 짜넣을 수 있고, 볼품도 좋고, 전염에 의한 풀림 등이 일어나기 어려운 자카드(jacquard)편의 경편으로, 그 표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분할 편성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강긴체력부, 제 2 강긴체력부, 제 3 강긴체력부 및 약긴체력부의 4 단계의 분할 편성을 행하였다.
즉,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地編)이 비탄성사로 짜여지고, 삽입사로서 탄성사를 사용한 경편지로 이루어져 있고, 긴체력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지편의 표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바꿔, 조직 변화에 의해, 소정 부분에 소정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체력이 약한 부분을 패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긴체력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서, 소정 위치에 소정 패턴으로, 소망하는 긴체력을 갖는 부분을 분할 편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파워 네트 조직을 상기와 같이 분할 편성하여 이용하지만, 제 1 강긴체력부, 제 2 강긴체력부, 제 3 강긴체력부를 각각 새틴조(調) 네트 조직으로 하고, 약긴체력부를 메쉬조 네트 조직으로 하였다.
이 지편 천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자카드 제어장치를 갖는 경편기(예컨대 미국특허 제5,390,512호(대응 일본 특개평 6-166934호)등 참조, 또는 구체적으로는 사(絲) 가이드 바에 굴곡변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칼마이어텍 스타일 머신 패브릭 GmbH 사제(일본 마이어 주식회사 발매)의 고속 자카드 랏셀기 "RSJ 4/1") 등을 이용하여, 자카드 제어장치를 갖는 경편기의 컴퓨터에 각 웨일(wale)과 각 코스에 관해서 소정 위치에 소정 편조직이 달성되도록 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강긴체력부를 제 1 강긴체력부, 제 2 강긴체력부, 제 3 강긴체력부의 3단계로 구별하는데, 1회 반복의 편단위 중 2침 이상(여기서는 2침)의 래킹이 들어간 비율을 많게 하거나, 중간 정도로 하거나, 적게 하거나에 따라 분할 편성되어 있다. 2침 래킹한다는 것은 어떤 웨일을 편성할 때에, (1) 이웃의 웨일에 래킹하고, (2) 다음에, 원래의 웨일로 돌아가서 편성한다는 방법으로 2침 래킹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1)과 (2)를 1회 반복 편단위 중, 많이 넣으면 넣을수록 강긴체력부의 긴체력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약긴체력부는 여기서는 새틴조 네트 조직에 비하여, 공간 부분이 크고, 단위당 실의 밀도가 작은 메쉬조 네트 조직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분할 편성은 예컨대 WO 99/53779 등에도 상술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이들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편 조직을 구성하는 실로서, 표측에 나타나는 실도 이측에 나타나는 실도 20데니어의 나일론사를 이용하였다. 삽입사로서 각 웨일 마다 1개씩 28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사용하고,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에 관해서는 웨일 방향에 대하여 사행하여 삽입, 바꿔 말하면 다수의 웨일에 걸쳐 사행하여 삽입되어 있고, 따라서, 웨일 방향 뿐만 아니라, 그것과 직각 방향인 코스 방향의 2방향으로 신축성이 발현되 도록 하였다. 28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거의 동일 웨일 상에 삽입되어, 주로 웨일 방향의 신축성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이들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지편의 표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의 변화에 관계없이, 지편 조직 전체에 상술한 수법 및 비율로 거의 균등하게 삽입되어 있다. 천 전체의 나일론사와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사용 비율은 나일론사 80중량%, 폴리우레탄 탄성사 20중량%으로 하였다.
그리고, 도 52∼도 53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에 있어서, 강긴체력부(A)로서, 거들 후측의 인체의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a)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대전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적어도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는 대전자(3)가 존재하는 부분의 구획을 2침 래킹이 들어간 비율이 많은 제 1 강긴체력부로 구성하고, 대전자(3)가 존재하는 부분의 구획을 제외한 강긴체력부(1)는 2침 래킹이 들어간 비율이 중간 정도의 비율인 제 2 강긴체력부로 구성되어 있다. 하복부 중앙부의 부호(20)로 나타내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는 제 2 강긴체력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의 좌우의 약간 하협측에 연결되어 있는 강긴체력부(5)와 대전자(3)가 존재하는 부분의 구획을 통해, 그것에 연속해 있는 강긴체력부(12)가 일체가 되어 강긴체력부(B2)가 형성되어 있지만, 대전자(3)가 존재하는 부분의 구획을 제외하는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12)는 제 2 강긴체력부로구성되어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C)의 일형태인 강긴체력부(6), 그 뒤의 웨이스트 부분을 일체가 되어 커버하는 강긴체력부(D)의 강긴체력부(9)로 나타내는 부분은 제 3 강긴체력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옷단 부분의 강긴체력부(70)는 제 2 강긴체력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 밖의 부분, 즉 71로 나타내는 둔부 상부의 부분, 72로 나타내는 각부의 일부 부분, 73으로 나타내는 둔렬부의 좌우 약간 상방 부분, 74로 나타내는 복부 상부는 약긴체력부인 메쉬조 네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거들에 있어서도, 강긴체력부(A)로서, 거들 후측의 인체의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a)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대전근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적어도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를 갖고 있다. 따라서, 확실히 대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여, 골반의 전후 방향에로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으로의 신장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5)로 나타내는 부분이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보다 더 둔부의 부푼 곳의 하방 부분으로 신장한 강긴체력부(12)와 일체가 되어 강긴체력부(B2)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거들은 강긴체력부(B2)의 존재에 의해,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또한 강긴체력부(12)에 의해, 힙업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좌우 강긴체력부(5)와 좌우 강긴체력부(6)는 각각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근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쉽다. 또한, 강긴체력부(6)와 강긴체력부(9)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강긴체력부(1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308) 및 중전근(309) 및 외복사근(302)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고,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쉽다.
또한, 옷단 부분의 강긴체력부(70)는 제 2 강긴체력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옷단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부분이 면상으로 대퇴 부분을 누르기 때문에, 옷단에 고무 테이프 등을 붙인 경우에 비하여, 죄어들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하다.
게다가, 이 거들은 강긴체력부가 천의 안받침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편조직을 분할 편성하여 형성한 강긴체력부이므로, 강긴체력부와 약긴체력부의 경계선에 실질적으로 단차가 없다. 따라서, 이 경계선의 단차가 겉옷에 반영하여, 겉옷에 단차가 나타나서, 착용자의 외관을 보기 흉하게 할 우려가 없다.
또한, 도 54는 이 거들의 뒤에서 전협 및 각부에 사용되는 천의 재단전의 평면도이지만, 점선(A-B-C-D-E-F-G-A)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도 52의 복압용 강긴체력부(20)와 복부 상부(74)의 부분을 제외한 우측의 앞에서부터 뒤에 걸쳐서의 옷의 길(충당 천)의 재단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점선(H-I-J)으로 둘러싸인 부분(75)은 샅에 충당하는 천의 재단선이다. G-F선이 거들의 뒤의 중심선이 된다. 도 54의 각 부분에는 도 52, 도 53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도 54에 도시된 각 부분의 어떤 부분이 도 52, 도 53의 어떤 부분을 구성하는지는 용이하게 이해된다. 도 54에 있어서, 이 자카드 랏셀 경편지를 형성하고 있는 실의 공급 방향, 즉 웨일 방향은 화살표(S)의 방향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거들은 상기 도 54에서 도시한 거들의 뒤에서 전협 및 각부에 사용되는 천에 관해서, 좌신측과 우신측의 2매, 75로 나타낸 샅 천, 도 52의 복부 상부(74)와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가 분할 편성하여 일체로 되어 있는 복부 천의 합계 4매의 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55∼도 57을 인용하여, 본 발명의 의복의 일실시형태인 숏타입 거들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5는 본 발명의 숏타입 거들의 전측에서 본 사시도, 도 56은 그 후측에서 본 사시도, 도 57은 이 거들의 뒤에서 전협부로 사용되는 천의 재단전의 평면도이다.
도 55∼도 57에 도시한 숏타입 거들(10p)에서는 도 52∼도 54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10n)과 비교적 유사 부분이 많다. 따라서, 롱타입 거들(10n)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이 숏타입 거들(10p)에서도 강긴체력부(1)가 거들 후측의 인체의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a)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52∼도 54에 도시한 거들(10n)과 같이, 강긴체력부(6)가 보다 더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옆구리에서 하방으로 구부러져 신장하고 있고,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1)의 상측을 따라 신장하고 있다. 또한, 도 55에 도시하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의 하측에, 앞옷단 부분(76)이 이어 붙임선(79)에서 봉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앞옷단 부분(76)은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 복부 통상의 파워 네트의 부분과 분할 편성에 의해 형성한 것은 아니다. 이 천은 통상의 분할 편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편으로 작성된 파워 네트 조직의 천이다. 이 부분의 긴체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 3 강긴체력부의 순위에 상당한다.). 78은 각부 구멍이다.
그리고, 이 숏타입 거들은 강긴체력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강긴체력부, 제 2 강긴체력부, 제 3 강긴체력부 및 약긴체력부의 4 단계로 분할 편성하여 형성하고 있다. 분할 편성은 상기 도 52∼도 54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에서 이용한 바와 같이, 자카드편의 경편으로, 지편의 표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분할 편성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강긴체력부, 제 2 강긴체력부, 제 3 강긴체력부, 및 약긴체력부의 4단계의 분할 편성을 행하였다.
즉, 자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이 비탄성사로 편성되고, 삽입사로서 탄성사를 이용한 경편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긴체력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 상기 지편의 표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바꿔, 조직 변화에 의해, 소정 부분에 소정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체력이 약한 부분을 패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긴체력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 소정 위치에 소정의 패턴으로, 소망하는 긴체력을 갖는 부분을 분할 편성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도, 파워 네트 조직을 상기와 같이 분할 편성하여, 제 1 강긴체력부, 제 2 강긴체력부, 제 3 강긴체력부를 각각 새틴조 네트 조직으로 하고, 약긴체력부를 메쉬조 네트 조직으로 하였다.
여기서도, 상기 예와 같이, 강긴체력부를 제 1 강긴체력부, 제 2 강긴체력부, 제 3 강긴체력부의 3 단계로 구별하는데, 1회 반복의 편단위 중의 2침 래킹이 들어간 비율을 많게 하거나, 중간 정도로 하거나, 적게 하거나에 따라서 분할 편성되어 있다. 또한, 약긴체력부는 여기서는 새틴조 네트 조직에 비하여, 공간 부분이 크고, 단위당 실의 밀도가 적은 메쉬조 네트 조직을 이용하였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편 조직을 구성하는 실로서, 표측에 나타나는 실도 이측에 나타나는 실도 20데니어의 나일론사를 사용하였다. 삽입사로서 각 웨일 마다 1개씩의 28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이용하고,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에 관해서는 웨일 방향에 대하여 사행하여 삽입, 바꿔 말하면 다수의 웨일에 걸쳐서 사행하여 삽입되어 있고, 따라서, 웨일 방향 뿐만아니라, 그것과 직각 방향인 코스 방향의 2방향에 신축성이 발현되도록 하였다. 28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거의 동일 웨일 상에 삽입되어, 주로 웨일 방향의 신축성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이들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지편의 편조직의 변화에 관계 없이, 지편 조직 전체에 상술한 수법 및 비율로 거의 균등하게 삽입되어 있다. 천 전체의 나일론사와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사용 비율은나일론사 80중량%, 폴리우레탄 탄성사 20중량%으로 하였다.
또한, 앞옷단 부분(76)의 파워 네트 조직 천은 20데니어의 나일론사 80중량%와 20중량%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로 이루어지고,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삽입사로서 이용되며,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각 웨일 마다 1개씩 삽입하였다.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거의 동일 웨일 상에 삽입되어, 주로 웨일 방향의 신축성에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도 55∼도 57에 도시한 숏타입 거들에 있어서, 강긴체력부(A)로서, 거들 후측의 인체의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a)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대전근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적어도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는 대전자(3)가 존재하는 부분의 구획을 2침 래킹이 들어간 비율이 많은 제 1 강긴체력부로 구성하고, 대전자(3)가 존재하는 부분의 구획을 제외한 강긴체력부(1)는 2침 래킹이 들어간 비율이 중간 정도의 비율인 제 2 강긴체력부로 구성되어 있다. 하복부 중앙부의 부호(20)로 나타내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는 제 2 강긴체력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의 좌우의 약간 하협측에 연결되어 있는 강긴체력부(5)와, 대전자(3)가 존재하는 부분의 구획을 통해, 그것에 연속해 있는 강긴체력부(12)가 일체가 되어 강긴체력부(B2)가 형성되어 있지만, 대전자(3)가 존재하는 부분의 구획을 제외하고,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12)는 제 2 강긴체력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C)의 한 형태인 강긴체력부(6), 그 뒤의 웨이스트 부분을 일체가 되어 커버하는 강긴체력부(D)의 강긴체력부(9)로 나타내는 부분은 제 3 강긴체력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 밖의 부분, 즉 71로 나타내는 둔부 상부의 부분, 73으로 나타내는 둔렬부의 좌우 약간 상방 부분, 74로 나타내는 복부 상부는 약긴체력부인 메쉬조 네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거들에 있어서도, 강긴체력부(A)로서, 거들 후측의 인체의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a)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대전근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적어도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를 갖고 있다. 따라서, 확실히 대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여, 골반의 전후 방향에로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에로의 신장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5)로 나타내는 부분이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보다 더 둔부의 부푼 곳의 하방 부분으로 신장한 강긴체력부(12)와 일체가 되어 강긴체력부(B2)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거들은 강긴체력부(B2)의 존재에 의해,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또한 강긴체력부(12)에 의해, 힙업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좌우 강긴체력부(5)와 좌우 강긴체력부(6)는 각각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근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쉽다. 또한, 강긴체력부(6)와 강긴체력부(9)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강긴체력부(1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308) 및 중전근(309) 및 외복사근(302)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여,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쉽다.
더구나, 이 거들은 강긴체력부가 천의 안받침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편조직을 분할 편성하여 형성한 강긴체력부이므로, 강긴체력부와 약긴체력부의 경계선에 실질적으로 단차가 없다. 따라서, 이 경계선의 단차가 겉옷에 반영하여, 겉옷에 단차가 나타나서, 착용자의 외관을 보기 흉하게 할 우려가 없다.
또한, 도 57은 이 거들의 뒤에서부터 전협에 사용되는 천의 재단전의 평면도이지만, 점선(A-B-C-D-E-A)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도 55의 복압용 강긴체력부(20)와 복부 상부(74)의 부분을 제외한 우측의 앞에서부터 뒤에 걸쳐서의 옷의 길(충당 천)의 재단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점선(F-G-H-I)으로 둘러싸인 부분(75)은 샅(75)에 충당하는 천의 재단선이다. (E-D)선이 거들 뒤의 중심선이 된다. 도 57의 각 부분에는 도 55, 도 5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도 57에 도시된 각 부분의 어떤 부분이 도 55, 도 56의 어떤 부분을 구성하는지는 용이하게 이해된다. 한편, 도 57에 있어서, 이 자카드 랏셀 경편지를 형성하고 있는 실의 공급 방향, 즉 웨일 방향은 화살표(S)의 방향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거들은 상기 도 57로 도시한 뒤에서부터 전협에 사용되는 천에 관해서, 좌신측과 우신측의 2매, 75로 도시한 샅 천, 도 55의 복부 상부(74)와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가 분할 편성되어 일체로 되어 있는 복부 천, 및 좌우 앞옷단 부분(76)의 합계 6매의 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58∼도 60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58∼도 60에 도시한 숏타입 거들(10q)에서는 강긴체력부(A)로서,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대전근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9와 같이 하복부 중앙부에 주된 신축 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의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거들(10q)의 옷단 주위에 관해서는 80이 앞옷단 천이고, 이 형태에서는 테두리부가 풀림 방지 처리되어 있는, 소위 단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신축성 천(따라서, 옷단 테두리 부분을 접어 꺾어 봉제하는 바와 같은 단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옷단 테두리 부분이 평탄한 천)이고, 또한 신체에 피트하도록 강긴체력을 갖는 파워 네트 편물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앞옷단 천(80)의 강긴체력부에 이어져 옆구리측으로부터 옆구리 옷단을 따라,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강긴체력부(5b)와 또한 그것이 뒤 옷단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하방 부분으로 신장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2)를 갖고 있다. 강긴체력부인 앞옷단 천(80)은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에 연속해 있으므로, 앞옷단 천(80)을 복압용 강긴체력부의 연장으로 고려하면, 상기 앞옷단 천(80)과 강긴체력부(5b)는 도 16∼도 18에서 도시한 거들의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와 강긴체력부(5)가 합쳐진 것과 거의 동일한 작용을 하는 하복부의 복직근상의 위치로부터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5)와 거의 동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의 숏타입 거들(10q)은 강긴체력부(1)가 대전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있고, 게다가,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히 대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여, 골반의 전후 방향에로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에로의 신장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1, 5b, 12)가 대전자(3) 근방을 커버하고 있기때문에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앞옷단 천(80)을 상술한 바와 같이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의 연장으로 고려하면, 이들과 강긴체력부(5b)에 의해, 복직근(301)의 일부와 내복사근을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12)에 의해 힙업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1∼도 63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61∼도 63에 도시한 숏타입 거들(10r)에서는 강긴체력부(A)로서,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대전근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를 갖고 있다. 또한, 하복부 중앙부에 주된 신축 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인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가 존재하고,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의 좌우의 약간 하협측에 강긴체력부(5)의 각각 좌우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20)의 좌우 상협측에 강긴체력부(6)의 각각 좌우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도 19와 약간다른 것은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가 옆구리측에서 연속해 있는 점이다. 또한, 강긴체력부(5)로 나타내는 부분이 대전자(3) 근방으로부터 보다 더 강긴체력부(1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뒤 옷단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하방 부분으로 신장하고 있고,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12)가 일체가 된 강긴체력부(B2)를 갖고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D)로서, 거의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308) 및 중전근(309) 및 외복사근(302)의 일부에 접하여 적어도 옆구리(7)를 전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9)를 갖고, 또한 하복부의 복직근상(4)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4)의 위치(복압용 강긴체력부(F; 20)로부터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7)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6)를 갖고 있고, 상기 강긴체력부(6)와 강긴체력부(9)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강긴체력부(11)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숏타입 거들(10r)에서는 강긴체력부(5, 6, 9(11), 12)가 일련으로 연속하게 형성되어 있고,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형태는 앞의 도 52∼도 57의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자카드 랏셀 편성에 의해 지편의 표측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바꿔, 조직 변화에 의해, 소정부분에 소정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부분과 비교적 긴체력이 약한 부분을 패턴상으로 형성하는 수법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형태의 의복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 숏타입 거들(10r)에서는 강긴체력부(1)가 대전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있고, 더구나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히 대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여, 골반의 전후 방향에로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에로의 신장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1, 5, 12)가 대전자(3) 근방을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와 강긴체력부(5)에 의해, 복직근(301)의 일부와 내복사근을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12)에 의해, 힙업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와 강긴체력부(6)에 의해, 복직근(301)의 일부와 외복사근(302)을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강긴체력부(6)와 강긴체력부(9)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강긴체력부(1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308) 및 중전근(309) 및 외복사근(302)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여,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쉽다.
더구나, 숏타입 거들(10r)에서는 앞 웨이스트 천(82)으로서, 트리코 등의 긴체력이 작은 신축성을 갖는 소프트한 천을 2개 접어서 고(접어 꺾은 부분)가 웨이스트 상단측으로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가 혹시 웨이스트 상단까지 도달하고 있는 경우에는 강긴체력부(6)와 강긴체력부(9)가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있는 강긴체력부(11)에서 강한 파워가 웨이스트에 걸리도록 하고 있지만, 이들과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로 단단히 죄어 지나치게 파워가 강해져 착용감이 저하하는 것을 개량하여, 위의 상부가 되는 웨이스트 전측부에 걸리는 파워를 소프트하게 하고, 옆구리로부터 배면에 걸쳐서는 강긴체력부(11)로 강한 파워가 웨이스트에 걸리도록 하여 착용감과 기능의 발휘를 밸런스시킨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4∼도 66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64∼도 66에 도시한 숏타입 거들(10s)에서는 강긴체력부(A)로서,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대전근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를 갖고 있다. 또한, 도 58과 같이 하복부 중앙부에 주된 신축 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인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거들(10s)의 옷단 주위에 관해서는 80이 앞옷단 천이고, 이 형태에서는 테두리부가 풀림 방지 처리되어 있는, 소위 단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신축성 천(따라서, 옷단 테두리 부분을 접어 꺾어서 봉제하는 바와 같은 단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옷단 테두리 부분이 평탄한 천)이고, 신체에 피트하도록 강긴체력을 갖는 파워 네트 편물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와 앞옷단 천(80)의 강긴체력부에 연이어서 그 옆구리측으로부터 옆구리 옷단을 따라,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강긴체력부(5)를 갖고 있다. 강긴체력부(5)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에 연속해 있기 때문에, 강긴체력부(5)와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는 도 19에서 도시한 거들의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와 강긴체력부(5)와 거의 동일한 기능을 갖는 하복부의 복직근상의 위치로부터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대전자(3)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5)와 동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형태의 숏타입 거들(10s)은 강긴체력부(1)가 대전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있고, 더구나,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히 대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여, 골반의 전후 방향으로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에로의 신장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5)가 대전자 근방을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복압용 강긴체력부(F; 20)와 강긴체력부(5)에 의해, 복직근(301)의 일부와 내복사근을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고,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여,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83은 숏타입 거들 본체의 후측의 옷단 선이다.
다음에 도 67∼도 69에 본 발명의 의복인 다른 형태의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좌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67∼도 69에 도시한 숏타입 거들(10t)에서는 강긴체력부(A)로서,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대전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1)를 갖고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C)로서, 하복부의 복직근상(4)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4)으로부터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6)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강긴체력부(D)로서, 거의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308) 및 중전근(309) 및 외복사근(302)의 일부에 접하여 적어도 옆구리를 전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9)를 갖고, 상기 강긴체력부(6)와 강긴체력부(9)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강긴체력부(1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B)로서,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대전자(3)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5)를 갖고 있다. 이 형태의 거들의 강긴체력부(5)는 「하복부의 복직근상(4)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4)의 위치로부터 강긴체력부(5)가 출발하고 있다」라는 조건을 형식상은 만족하지 않지만, 강긴체력부(5)는 강긴체력부(6)의 하측의 좌우 테두리에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고, 강긴체력부(6)의 하측 부분이 강긴체력부(5)의 기능을 겸하고 있고,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하복부의 복직근상(4)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4)의 위치로부터 강긴체력부(5)가 출발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실질상은 동등하다.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는 봉제선이 존재하고 있을 뿐이고, 만약에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가 일체의 1매의 천으로 작성되어 있다고 한다면, 도 13에 도시한 것과 동등하게 된다. 따라서, 도 13에서 도시한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가 일체의 것으로 강긴체력부(5)와 강긴체력부(6)가 교차하는 부분에, 강긴체력부(6)의 외측선을 따라 봉제선을 형성한 것으로 동등하게 된다. 또한, 83은 숏타입 거들 본체의 후측의 옷단선이다.
따라서, 이 형태의 숏타입 거들(10t)에서는 강긴체력부(1)가 대전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있고, 더구나, 거들 후측의 인체의 제 4 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2)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히 대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여, 골반의 전후 방향으로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에로의 신장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1)와 강긴체력부(5)가 대전자(3) 근방을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5)에 의해, 복직근(301)의 일부와 내복사근을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고,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여,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6)에 의해, 복직근(301)의 일부와 외복사근(302)을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강긴체력부(6)와 강긴체력부(9)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강긴체력부(1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308) 및 중전근(309) 및 외복사근(302)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여,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쉬운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의복의 실시형태로서, 거들, 스포츠용 타이츠, 보디 슈트에 관해서의 구체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패츠, 레오타드, 수영복, 그 밖의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복에 있어서,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어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이 「인체의 대퇴부를 적어도 고부보다 하측까지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고 있는 의복」이란 예컨대 도 1 그 외에 도시한 롱타입 거들이라든가, 도 34 그 외에 도시한 스포츠용 타이츠 등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퇴부 또는 대퇴부와 하퇴부를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고 있는 의복 등으로, 도시하지 않지만 이러한 각부를 갖는 타입의 스패츠, 보디 슈트, 레오타드, 수영복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이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적어도 고부에서 하측까지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가짐으로써, 전체의 길이도 각부가 존재하는 만큼 길어져서, 보다 확실하게 신체에 고정되어 피트하고 있고, 따라서, 강긴체력부의 긴체력이 보다 유효하게 작용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대전자를 누르는 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복에 있어서,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고 고부를 갖고 있어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이 「그 옷단 하단 위치가 고부의 위치와 거의 동등한 높이의 위치에 있거나, 또는 그것보다 위에 있고, 대퇴부를 적어도 고부보다 하측까지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고 있지 않은 의복」이란 예컨대 도 55, 도 58 그외에 도시한 숏타입 거들이라든가, 도 49에 도시한 보디 슈트 등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퇴부 또는 대퇴부와 하퇴부를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지 않고, 인체의 각부를 내미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의복으로, 통상 이러한 의복은 그 옷단의 하단 위치가 고부의 위치와 거의 동등한 높이의 위치에 있거나, 또는 그것보다 위에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표현을 한 것이다. 도시하지 않지만 이러한 대퇴부를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고 있지 않은 타입의 레오타드, 수영복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옷단 길이의 것은 대전자를 커버하여 옷단선이 대전자 근방에서 하방을 통과하지만, 옷단선은 통상 신체에 밀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대전자 부분을 누르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그다지 무덥지 않고, 따라서 더운 시즌에도 바람직하게 착용할 수 있고, 또한, 대퇴부에로의 압박감이 적기 때문에, 보다 착용감이 양호한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복은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으로, 부분적으로 긴체력이강한 부분(강긴체력부)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복에 있어서, 강긴체력부의 형성 방법으로는 의복 본체에 소정 형상의 신축성 천을 포개어 그것을 봉합시킴으로써 형성해도 되고, 의복 본체에 소정 형상의 신축성 천을 포개어 그것을 접착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이들 방법에 의하면, 용이하게 내구성이 있는 의복을 제조할 수 있다. 물론, 강긴체력부와 그 이외의 부분을 각각 소정 형상의 파트, 그것들을 접합하여 본 발명의 하지부 보호 의복을 형성해도 되지만, 봉제가 복잡하게 되어, 약간 손이 많이 간다.
또한, 그 밖에 예컨대, 의복 본체에 소정 형상의 신축성 천을 늘어나게 하여 포개어 봉합 또는 접착하는 방법에 의해 강긴체력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들 방법에의하면, 강긴체력부에 의해 강력한 긴체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한, 의복 본체의 소정 부분에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 용액 또는 에멀젼을 함침 또는 코팅하여 그 후 건조시키는 방법,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에 의해 강긴체력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들 방법에 의하면, 강긴체력부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것을 얻을 수 있다.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는 폴리우레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그 밖의 적절한 탄성 수지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의복 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천의 편조직을 보다 긴체력이 강한 편조직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강긴체력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들 방법에 의하면, 동일하게 포개어 맞추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강긴체력부의 두께가 보다 얇은 것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편조직의 전환에 의해 강긴체력부를 형성하는방법의 정의에는 의복 본체를 구성하는 섬유 소재 중, 탄성 섬유의 굵기가 다른 부분보다 굵은 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강긴체력부를 형성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이 방법에 의해서도, 포개어 맞추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강긴체력부의 두께가 보다 얇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강긴체력부의 형성 방법 중에서도, 의복 본체에 소정 형상의 신축성 천을 포개어 그것을 봉합함으로써 형성하는 방법과, 의복 본체에 소정 형상의 신축성 천을 늘어나게 하여 포개어 봉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방법에 의하면, 의복 본체에 봉합되는 신축성 천의 긴체력은 의복 본체의 신축성 천의 긴체력보다도 약간 작더라도 같더라도 크더라도 된다. 의복 본체에 신축성 천이 포개어진 결과, 포개어진 부분의 긴체력이 증대하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의 긴체력을 갖는 천을 포개어 맞추면 좋은지는 의복의 종류나 사용 목적, 착용자의 기호 등에 의따라서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강긴체력부의 긴체력으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그 길이 방향으로 150∼400gf의 긴체력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긴체력의 범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고, 또한 압박감이 지나치게 너무 강하지도 않고 착용감이 양호하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약긴체력부의 긴체력이 150gf를 넘는 일이 있더라도 이 의복 중에 형성되어 있는 어느 강긴체력부보다도 그 긴체력이 작으면 지장이 없다.
긴체력의 측정방법으로는 인스트론형 만능 인장 시험기(島津 제작소제 "auto graph" AG-500D)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300 ±20㎜/min에서 시료 길이(그립 간격)의 80%까지의 신장 회복을 3회 반복하여, 3회째의 신장 회복시의 30% 신장시 및 회복시의 값 중 회복시의 값을 읽어내어 긴체력으로 한다. 시료의 크기는 폭 2.5㎝, 길이 16㎝, 상부 그립 2.5 cm, 하부 그립 3.5㎝, 인장 간격 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크기의 시료가 측정 대상의 의복으로부터 잘라낼 수 없는 경우에는 그것보다 작더라도 지장이 없다. 단, 시료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측정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잘라낼 수 있는 범위에서 될 수 있는 한 큰 시료를 채취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복 본체에 신축성 천 등이 포개어져서 강긴체력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경우는 그 긴체력의 측정시료로는 당연한 일이지만 포개어진 시료를 측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의복에 있어서의 강긴체력부의 폭은 강긴체력부의 존재 부위, 사용하는 소재의 긴체력의 세기, 강긴체력부의 형성 수단, 착용자의 장해 정도나 장해 부위, 또는 장해 예방의 목적, 행하는 스포츠의 종류, 어른이나 아이 등에 의해서 적절히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범위에서 적당한 폭으로 하면 되고,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가장 폭이 넓은 부분은 통상 5∼15㎝ 정도, 보다 바람직히는 8∼13㎝ 정도가 바람직하고, 그 밖의 강긴체력부의 폭은 예컨대 대퇴부 외측 측부 중 가장 가는 폭으로, 통상 2∼1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4∼8㎝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도 19, 도 22, 도 46, 도 49 등에서 도시한 복압용 강긴체력부의 가장 폭이 넓은 부분은 착용자의 신체의 크기에 따라서 당연히 다르지만, 통상 8∼17㎝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4㎝ 정도가 일반적이다. 물론,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범위에 있어서, 강긴체력부의 폭은 부위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광폭으로 되거나, 광폭이 된 적이 있는 것은 어떤 지장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의복은 신축성 천으로서, 의복 본체 부분이나 각 강긴체력부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섬유 함유 랏셀 편물인 폴리우레탄 섬유 함유 파워 네트나, 폴리우레탄 섬유 함유 트리코 편물인 폴리우레탄 섬유 함유 투웨이 트리코 편물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비교적 두꺼운 천의 파일지나 네오프렌 시트 등을 이용하는 서포터 등에 비하여, 통상의 의복을 작성할 때에 이용되고 있는 정도의 두께, 예컨대 약 0.3∼0.8㎜의 두께의 천을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착용시의 비율 등의 외관이 저하가 적고, 신체에 잘 피트하며, 통기성도 비교적 양호한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파워 네트의 종류로는 예컨대, 플레인 파워 네트, 새틴 파워 네트, 투웨이 랏셀, "트리스킨"(도부 주식회사의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의 긴체력은 전부 동일일 필요는 없고, 부위에 따라 다른 긴체력으로도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기재한 각 의복에 관하여, 강긴체력부와, 그 이외의 약긴체력부의 긴체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한다.
[긴체력 측정결과예 1]
도 1∼도 5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의복에서, 의복 본체 천에, 바대 천을 대어, 이 바대 천을 댄 부분을 강긴체력부분으로 한 형태의 예의 1
① 본체 포:
"트리스킨(도부 주식회사의 상표명, 투웨이 파워 네트 편물). 40데니어의 나일론사, 삽입사로서 140데니어와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 각 웨일에 1개씩 삽입.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삽입방법은 상술한 다수의 웨일에 걸쳐 사행하여 삽입하였다.
혼용률: 나일론 73.7중량%, 폴리우레탄 탄성사 26.3중량%
신장력: 140gf 긴체력: 129gf
② 강긴체력부(1) : 상기 본체 천에 하기 바대 천을 댄 부분(단, 대전자(3)와 같은 바대 천이 2중으로 겹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
바대 천: 원웨이 파워 네트. 70데니어의 나일론사, 삽입사로서 28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 각 웨일에 1개씩 삽입.
혼용률: 나일론 81중량%, 폴리우레탄 탄성사 19중량%
신장력: 280gf 긴체력: 240gf
③ 강긴체력부(2): (대전자(3) 근방 부분. 바대 천이 2매 겹쳐진 부분으로, 본체 천과 합쳐서 3매 겹침으로 되어 있는 부분)
상기 본체 천에, 상기 바대 천을 2매 겹쳐서 측정.
신장력: 423gf 긴체력: 354gf
[긴체력 측정결과예 2]
도 1∼도 5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의복에서, 의복 본체 천에, 바대 천을 대어, 이 바대 천을 댄 부분을 강긴체력부분으로 한 형태의 예의 2
① 본체 포:
투웨이 파워 네트. 40데니어의 나일론사, 삽입사로서 260데니어와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 각 웨일에 1개씩 삽입.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삽입 방법은 상술한 다수의 웨일에 걸쳐 사행하여 삽입하였다.
혼용률: 나일론 73.7중량%, 폴리우레탄 탄성사 26.3중량%
신장력: 140gf 긴체력: 129gf
② 강긴체력부(1): 상기 본체 천에 하기 바대 천을 댄 부분(단, 대전자(3)와 같은 바대 천이 2중으로 겹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
바대 천: 원웨이 파워 네트. 40데니어의 나일론사, 삽입사로서 1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 각 웨일에 1개씩 삽입.
혼용률: 나일론 80.4중량%, 폴리우레탄 탄성사 19.6중량%
신장력: 219gf 긴체력: 200gf
③ 강긴체력부(2): 대전자(3) 근방 부분. 바대 천이 2매 겹쳐진 부분으로, 본체 천과 합쳐서 3매 겹침으로 되어 있는 부분)
상기 본체 천에, 상기 바대 천을 2매 겹쳐서 측정.
신장력: 275gf 긴체력: 245gf
[긴체력 측정결과예 3]
도 52∼도 5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의복에서, 자카드 랏셀기에 의한 투웨이 파워 네트로, 지편 조직의 표측에 나타나는 조직을 분할 편성하여 강긴체력부와 약긴체력부를 형성한 것. 실 사용법은 도 52∼도 57의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지편 조직이 20데니어의 나일론사, 280데니어와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가 각 웨일에 1개씩 삽입.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삽입 방법은 상술한다수의 웨일에 걸쳐 사행하여 삽입되어 있다.)
혼용률: 나일론사 80중량%, 폴리우레탄 탄성사 20중량%
① 약긴체력부(메쉬조 네트 조직의 부분):
신장력: 232gf 긴체력: 132gf
② 제 3 강긴체력부: (새틴조 네트 조직의 부분):
신장력: 271gf 긴체력: 151gf
③ 제 2 강긴체력부: (새틴조 네트 조직의 부분):
신장력: 291gf 긴체력: 157gf
④ 제 1 강긴체력부: (새틴조 네트 조직으로, 한편 또한 대전자상의 부분):
신장력: 297gf 긴체력: 168gf
본 발명의 의복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의복이 제공된다.
(1) 본 발명의 의복은 의복 후측의 인체의 선골로부터 요추상의 어느 부분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를 갖기 때문에, 확실히 대전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고관절의 신장, 특히 골반의 전후 방향에로의 안정성에 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고, 허리의 선회 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 가능 각도의 감소를 방지하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에로의 신장에큰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가 대전자 근방을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대퇴골두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2) 또한,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를 추가로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더욱 복직근의 일부와 내복사근을 서포트하기 때문에,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부가한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3) 또한,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더욱 복직근의 일부와 외복사근을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한 부가한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4) 또한, 거의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 근방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 및 중전근 및 외복사근의 일부에 접하여 적어도 옆구리를 전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D)를 추가로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을 보조하는 기능을 추가로 부가한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5) 또한, 상기 (2)항 기재의 강긴체력부(B)와 상기 (3)항 기재의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1)항에 기재한 기능에다가, 강긴체력부(B)와 강긴체력부(C)가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근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여,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쉬운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6) 또한, 상기 (2)항 기재의 강긴체력부(B)와 상기 (3)항 기재의 강긴체력부(C)와 상기 (4)항 기재의 강긴체력부(D)를 추가로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강긴체력부(B)와 강긴체력부(C)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근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여, 상기 (1)항에 기재한 기능에다가,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여,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고, 체형이 젊게 보이며, 요통 등의 통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쉬운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긴체력부(D)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 및 중전근 및 외복사근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여,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쉬운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7) 또한, 주된 신축 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으로 하복부 중앙부를 커버하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하협측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의 좌우 하협측로부터 각각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를 추가로 갖고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1), (2)에서 기술한 기능 이외에, 복부의 군살의 팽출을 눌러, 복부의 형상을 보다 아름답게 갖추는 기능도 추가로 부가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8) 또한, 주된 신축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으로 하복부 중앙부를 커버하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상협측으로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의 좌우 상협측로부터 각각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고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1), (3)항에서 기술한 기능 이외에, 복부의 군살의 팽출을 눌러, 복부의 형상을 보다 아름답게 갖추는 기능도 추가로 부가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9) 또한, 주된 신축 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으로 하복부 중앙부를 커버하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하협측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의 좌우 하협측으로부터 각각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상협측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상기 (F)의 좌우 상협측으로부터 각각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고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1) 및 (5)항에서 기술한 기능 이외에, 복부의 군살의 팽출을 눌러, 복부의 형상을 보다 아름답게 갖추는 기능도 추가로 부가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10) 또한, 강긴체력부(A)로 나타내는 부분이 추가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전측 대퇴부의 내측을 향해 봉공근, 대퇴직근, 내측광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대퇴사두근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2)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한층더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두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그리고, 강긴체력부(A2)에 의해, 대퇴사두근(봉공근, 대퇴직근, 내측광근 등)을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서포트하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에, 이들 각부의 근육에로의 마사지 효과가 발휘되어, 이들 근육 피로의 회복을 촉진하는 기능이 추가로 부가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령자가 착용한 경우에는 전도를 방지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이 보다 한층 강화된다.
(11) 또한, 강긴체력부(A)로 나타내는 부분이 추가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대퇴부의 장경인대 및/또는 외측광근 근방 위를 통해 슬개부보다 조금 위의 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3)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한층더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두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그리고, 강긴체력부(A3)에 의해, 장경인대 및/또는 외측광근을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서포트하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에, 이들 각부의 근육에로의 마사지 효과가 발휘되어, 혈액, 림프구의 유통이 촉진됨으로써, 에너지의 소모나 젖산의 축적에 의해서 생긴 근육 피로의 회복을 촉진하는 기능이 추가로 부가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령자가 착용한 경우에는 전도를 방지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이 보다 한층 강화된다.
(12) 또한, 강긴체력부(A)로 나타내는 부분이 추가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장경인대 및/또는 외측광근 근방 위를 통해, 슬개부에 이르고, 또한 슬개부로부터 비복근 및 슬와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각부 외측에서 비복근 및/또는 슬와근 근방 위를 통해, 외과부 상방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4)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한층더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두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그리고, 강긴체력부(A4)에 의해, 장경인대 및/또는 외측광근을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서포트하고, 또한 비복근 및 슬와근을 서포트하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에, 이들 각부의 근육의 마사지 기능이 발휘되어, 이들의 근육 피로의 회복을 촉진하는 기능이 추가로 부가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령자가 착용한 경우에는 전도를 방지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이 보다 한층 강화된다.
(13) 또한, 강긴체력부(B)로 나타내는 부분이 추가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둔부의 부푼 곳의 하방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2)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두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강긴체력부(B2)에 의해, 힙업 기능이 추가로 부가된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14) 또한, 강긴체력부(B)로 나타내는 부분이 추가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대퇴부 후측의 햄스트링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3)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전자(3)를 누르는 기능이 한층더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두(204)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햄스트링이라고도 불리우고 있는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반막양근의 거의 근육 수축 방향을 서포트하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에, 각부의 이들의 근육 피로의 회복을 촉진하여, 주행 동작에 있어서의 지면을 강하게 뒤로 누르는 기능, 점프시에 보다 높게 뛰는 기능, 발을 올리는 기능 등을 보다 강화하는 기능을 추가로 부가한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령자가 착용한 경우에는 전도를 방지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이 보다 한층 강화된다.
(15) 또한, 강긴체력부(6)와 강긴체력부(9)는 일체가 되어 연결되어, 강긴체력부(1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8) 근방으로부터 좌우의 광배근(308) 및 중전근(309) 및 외복사근(302)을 보다 강력히 서포트하여, 골반의 후경을 방지하여, 골반의 위치를 안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이 보다 발휘되기 쉽다.
(16) 또한, 대퇴부 내측 상방 부분으로부터, 내측광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내측광근상을 통해, 슬개부에 이르고, 또한 슬개부에서, 비복근 및 슬와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각부 내측에서 비복근 및/또는 슬와근 근방 위를 통해, 내과부 상방 근방에 이르는 강긴체력부(E)를 추가로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내측광근을 거의 그 근섬유 방향을 따라 서포트하고, 또한 비복근 및 슬와근을 서포트하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에, 이들 각부의 근육에로의 마사지 기능이 발휘되고, 이들의 근육 피로의 회복을 촉진하는 기능이 추가로 부가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령자가 착용한 경우에는 전도를 방지하여 보행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이 보다 한층 강화된다.
(17) 또한, 강긴체력부가 의복 본체 천의 표측 또는 이측에 바대 천을 적층하여 형성한 강긴체력부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의복의 제조가 용이하여, 용이하게 내구성이 있는 의복을 제조할 수 있다.
(18) 또한, 강긴체력부가 의복 본체 천의 편조직을 바꿔, 약긴체력부와 강긴체력부를 패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강긴체력부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강긴체력부의 두께가 보다 얇고, 강긴체력부와 그 이외의 부분과의 단차가 없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볼품이 양호한 본 발명의 의복을 얻을 수 있다.
(19) 또한, 강긴체력부가 의복 본체 천의 소정 부분에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의 필름을 적층하거나, 또는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의 용액 또는 에멀젼을 함침 또는 코팅하여 건조시켜 형성한 강긴체력부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저가로 더군다나 강긴체력부의 두께가 비교적얇은 것을 얻을 수 있다.
(20) 또한, 강긴체력부가 150∼400gf의 긴체력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이와 같은 긴체력의 범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고, 또한 압박감이 지나치게 너무 강하지도 않고 착용감이 양호한 본 발명의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21) 또한, 신축성 천이 신축성 투웨이 트리코 편물 및 신축성 랏셀 편물 중에서 선택되는 편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종래의 비교적 두꺼운 천의 파일지이나 네오프렌 시트 등을 이용하는 서포터 등에 비하여, 통상의 의복을 작성할 때에 이용되고 있는 정도의 두께, 예컨대 약 0.3∼0.8㎜의 두께의 천을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착용시의 비율 등의 외관의 저하가 적고, 신체에 잘 피트하며, 통기성도 비교적 양호한 본 발명의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22) 또한,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이 거들,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츠, 보디 슈트, 레오타드, 수영복 중에서 선택된 의복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의복은 인체의 피부상에 밀착하여 착용되거나, 또는 비교적 피부측에 가까운 부분에 피트시켜 착용되고, 따라서 상술한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는 의복으로 바람직하다.
(23) 또한,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이 인체의 대퇴부를 적어도 고부보다 하측까지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고 있는 의복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있어서는 대퇴부를 적어도 고부보다 하측까지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가짐으로써, 전체의 길이도 각부가 존재하는 만큼 길어져, 보다 확실히 신체에 고정되어 피트하고 있고, 따라서, 강긴체력부의 긴체력이 보다 유효하게 작용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특히 대전자를 누르는 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24) 또한,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이 그 옷단 하단 위치가 고부의 위치와 거의 동등한 높이의 위치에 있거나, 또는 그것보다 위에 있어, 대퇴부를 적어도 고부보다 하측까지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고 있지 않은 의복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옷단 길이인 것은 대전자를 커버하여 옷단선이 대전자 근방 내지 그 하방을 통과하지만, 옷단선은 통상 신체에 밀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대전자 부분을 누르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그다지 무덥지 않고, 따라서 더운 시즌에도 바람직하게 착용할 수 있고, 또한, 대퇴부에로의 압박감이 적기 때문에, 보다 착용감이 양호한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복은 일상시의 착용이나 스포츠를 행할 때의 착용 등의 통상시의 착용에 있어서도 착용감이 양호하고, 비전문가로도 자기자신으로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고,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하여, 젊은 체형ㆍ자세를 만들어, 요추의 전만을 약하게 하는 기능이 있어, 요통 등의 통증의 완화에도 기여하고, 또한 인체의 요부나 고관절의 가동역의 확대기능을 이용하여, 스포츠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퍼포먼스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 방지에도 이어지는 기능을 갖는 의복 등으로 유용하다.

Claims (24)

  1.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으로, 상기 의복은 부분적으로 긴체력이 강한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긴체력이 강한 부분이 의복 후측의 인체의 선골로부터 요추상의 어느 부분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 대전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부푼 곳의 정점 또는 그 근방을 통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인 의복.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를 추가로 갖는 의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하복부의 복직근상에서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는 의복.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거의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 근방에서좌우 부분이 연결하고 있고, 상기 웨이스트부의 후중심 위치 근방으로부터 좌우 광배근 및 중전근 및 외복사근의 일부에 접촉되어 적어도 옆구리를 전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D)를 추가로 갖는 의복.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항 기재의 강긴체력부(B)와 제 3 항 기재의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는 의복.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항 기재의 강긴체력부(B)와 제 3 항 기재의 강긴체력부(C)와 제 4 항 기재의 강긴체력부(D)를 추가로 갖는 의복.
  7. 제 1 항에 있어서, 주된 신축 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으로 하복부 중앙부를 커버하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하협측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의 좌우 하협측으로부터 각각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를 추가로 갖고 있는 의복.
  8. 제 1 항에 있어서, 주된 신축 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으로 하복부 중앙부를 커버하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상협측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의 좌우 상협측으로부터 각각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고 있는 의복.
  9. 제 1 항에 있어서, 주된 신축 방향이 의복 세로 방향으로 하복부 중앙부를 커버하는 복압용 강긴체력부(F)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하협측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의 좌우 하협측으로부터 각각 좌우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하방향을 향해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와,
    상기 복압용 강긴체력부(F)의 좌우 상협측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F)의 좌우 상협측으로부터 각각 좌우 외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경사 상방을 향해 적어도 옆구리를 배면측을 넘는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C)를 추가로 갖고 있는 의복.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A)로 나타내는 부분이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전측 대퇴부의 내측을 향해 봉공근, 대퇴직근, 내측광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대퇴사두근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2)인 의복.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A)로 나타내는 부분이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대퇴부의 장경인대 및/또는 외측광근 근방 위를 통해 슬개부 보다 조금 위의 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3)인 의복.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A)로 나타내는 부분이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장경인대 및/또는 외측광근 근방 위를 통해, 슬개부에 이르고, 또한 슬개부에서, 비복근 및 슬와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각부 외측에서 비복근 및/또는 슬와근 근방 위를 통해, 외과부 상방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A4)인 의복.
  13. 제 2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B)로 나타내는 부분이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둔부의 부푼 곳의 하방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2)인 의복.
  14. 제 2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B)로 나타내는 부분이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대퇴부 후측의 햄스트링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강긴체력부(B3)인 의복.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항 기재의 강긴체력부(C)와 제 4 항 기재의 강긴체력부(D)가 일체가 되어 연속하고 있는 강긴체력부(C-D)를 추가로 갖는 의복.
  16. 제 12 항에 있어서, 대퇴부 내측 상방 부분으로부터, 내측광근을 서포트하기위해 내측광근상을 통해, 슬개부에 이르고, 또한 슬개부에서 비복근 및 슬와근을 서포트하기 위해 각부 내측에서 비복근 및/또는 슬와근 근방 위를 통해, 내과부 상방 근방에 이르는 강긴체력부(E)를 추가로 갖는 의복.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가 의복 본체 천의 표측 또는 이측에 바대 천을 적층하여 형성한 강긴체력부인 의복.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가 의복 본체 천의 편조직을 바꿔, 약긴체력부와 강긴체력부를 패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강긴체력부인 의복.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가 의복 본체 천의 소정 부분에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의 필름을 적층하거나, 또는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의 용액 또는 에멀젼을 함침 또는 코팅하여 건조시켜 형성한 강긴체력부인 의복.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가 150∼400gf의 긴체력을 갖는 의복.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신축성 천이 신축성 투웨이 트리코 편물 및신축성 랏셀 편물 중에서 선택된 편물인 의복.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이 거들,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츠, 보디 슈트, 레오타드, 수영복 중에서 선택된 의복인 의복.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이 인체의 대퇴부를 적어도 고부보다 하측까지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고 있는 의복인 의복.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커버하여 고부를 갖고 있고 인체에 피트시켜 착용하는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이 그 옷단 하단 위치가 고부의 위치와 거의 동등한 높이의 위치에 있거나, 또는 그것보다 위에 있고, 대퇴부를 적어도 고부보다 하측까지 통형상으로 감싸는 각부를 갖지 않는 의복인 의복.
KR10-2003-7006266A 2000-12-11 2000-12-11 의복 KR100527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8756 WO2002047501A1 (fr) 1999-04-21 2000-12-11 Vet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103A true KR20030060103A (ko) 2003-07-12
KR100527561B1 KR100527561B1 (ko) 2005-11-09

Family

ID=1173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266A KR100527561B1 (ko) 2000-12-11 2000-12-11 의복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74204B2 (ko)
EP (1) EP1342423B1 (ko)
KR (1) KR100527561B1 (ko)
CN (1) CN1268241C (ko)
AT (1) ATE355761T1 (ko)
AU (1) AU2001217362A1 (ko)
DE (1) DE60033856T2 (ko)
HK (1) HK1060835A1 (ko)
WO (1) WO20020475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775B1 (ko) * 2005-05-27 2009-06-26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보텀 의류
KR20190049431A (ko) * 2017-10-30 2019-05-09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너 웨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1781A1 (en) * 2001-01-29 2004-06-17 Jo Miyake Clothing
US7730552B2 (en) * 2003-04-15 2010-06-08 Wacoal Corp. Pants garment
CN100377673C (zh) * 2003-04-15 2008-04-02 华哥尔株式会社 带有裆部的衣服
WO2004096105A1 (ja) * 2003-05-01 2004-11-11 Wacoal Corp. 股付き衣類
US8148475B2 (en) * 2003-06-30 2012-04-03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Melt spun polyether TPU fibers having mixed polyols and process
US7941871B1 (en) * 2003-08-18 2011-05-17 Joey Jorgensen Garment with stretchable section and related methods
SE0303242D0 (sv) * 2003-12-02 2003-12-02 Sca Hygiene Prod Ab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tension indicators
US7347845B2 (en) * 2003-12-02 2008-03-25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tension indicators
DK176234B1 (da) * 2003-12-22 2007-04-02 Coloplast As Stöttebeklædningsgenstand
DE102004006485A1 (de) 2004-02-10 2005-08-25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Bekleidungsstück
EP1752054B1 (en) * 2004-05-20 2016-12-21 Wacoal Corp. Bottom garment
JP4018682B2 (ja) * 2004-09-21 2007-12-0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スパッツ
NZ581314A (en) * 2004-09-23 2012-02-24 Skins Internat Trading Ag Compression garments manufactured with reference to a person's bmi (body mass index)
US7516498B2 (en) 2004-12-21 2009-04-14 Alignmed, Llc Garment with enhanced knee support
US8296864B2 (en) 2004-12-21 2012-10-30 Smart Fitness Products, Llc Garment with enhanced knee support
FR2879900B1 (fr) * 2004-12-24 2007-10-12 Promiles Sa Collant a effet localise de contention pour la pratique d'un sport
JP4294598B2 (ja) * 2005-01-26 2009-07-15 有限会社 中澤研究室 タイツ
US20070061950A1 (en) * 2005-03-29 2007-03-22 Terry Delonas Lipowear
US8185970B2 (en) * 2005-06-28 2012-05-29 Maidenform Brands, Inc. Faux-shirt girdle
CA2562820A1 (en) * 2005-10-06 2007-04-06 Jockey International, Inc. Undergarment
JP4908025B2 (ja) 2006-03-16 2012-04-04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衣類
GB2444804B (en) 2006-12-15 2009-04-01 Speedo Int Ltd Elasticated sports garments
GB2456682B (en) * 2006-12-15 2009-09-30 Speedo Int Ltd Swim cap
CA2598601C (en) * 2006-12-26 2012-11-06 Wacoal Corp. Exercise garment
KR100768083B1 (ko) 2007-05-10 2007-10-18 임호택 고무를 이용한 체형 보정용 속옷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체형 보정용 속옷
FR2915851B1 (fr) * 2007-05-11 2009-08-21 Promiles Snc Article d'habillement a effet de contention heterogene pour la pratique d'un sport
US8336118B2 (en) 2007-05-31 2012-12-25 Nike, Inc. Articles of apparel providing enhanced body position feedback
US7996924B2 (en) 2007-05-31 2011-08-16 Nike, Inc. Articles of apparel providing enhanced body position feedback
US7934267B2 (en) 2007-05-31 2011-05-03 Nike, Inc. Articles of apparel providing enhanced body position feedback
EP2180920A1 (en) 2007-07-20 2010-05-05 Össur HF Prosthetic or orthopedic device having feedback
US9596893B2 (en) 2007-09-12 2017-03-21 Wacoal Corp. Exercise garment with crotch part
WO2009050769A1 (ja) * 2007-10-15 2009-04-23 Asics Corporation 競技用ウエア
EP2278946A4 (en) * 2008-05-02 2016-01-06 Perfect Cross Llc PROPRIO-RECEPTIVE CLINICAL ACTIVATION CLOTHING SYSTEM
DE102008038360A1 (de) * 2008-08-19 2010-03-04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Bekleidungsstück
KR20110086796A (ko) * 2008-10-30 2011-08-0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의류
JP2010131363A (ja) * 2008-11-04 2010-06-17 Mizuno Corp 骨盤サポーター
US9439800B2 (en) 2009-01-14 2016-09-13 Ossur Hf Orthopedic device, use of orthoped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8172779B2 (en) 2009-02-26 2012-05-08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ment of the back
KR101064031B1 (ko) * 2009-05-15 2011-09-08 조종대 체형교정용 바지
WO2011019070A1 (ja) * 2009-08-13 2011-02-17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衣類
KR100989829B1 (ko) * 2009-09-03 2010-10-29 양재영 스포츠 태이핑 타이즈
US20110083246A1 (en) * 2009-10-14 2011-04-14 Ranil Kirthi Vitarana Garment with Elastomeric Coating
US8657769B2 (en) 2009-11-04 2014-02-25 Ossur Hf Thoracic lumbar sacral orthosis
GB2477754A (en) * 2010-02-11 2011-08-17 Marks Spencer Plc Support garment
EP2552555B1 (en) * 2010-03-26 2017-08-16 Reebok International Ltd. Physical fitness garments
KR101200852B1 (ko) 2010-05-04 2012-11-15 양재영 늘어나는 장력이 각 부위별로 다르게 다단계 인쇄로 코팅한 태이핑 타이즈
GB2482495B (en) * 2010-08-02 2016-11-02 Dm Orthotics Ltd Dynamic Elastomeric Fabric Orthosis
JP5545154B2 (ja) * 2010-09-29 2014-07-09 株式会社ワコール ボトム衣類
FR2966701B1 (fr) * 2010-10-27 2013-08-23 Dbapparel Operations Article de lingerie tricote elastique a culotte remodelante
US9345275B2 (en) 2011-02-18 2016-05-24 Nike, Inc. Lower body garment with elasticity-reducing panel
KR101223912B1 (ko) 2011-02-21 2013-01-22 지정우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CN103648314B (zh) * 2011-02-25 2018-01-09 依瑞奥体育股份公司 用于神经肌肉骨骼辅助的服装
US9456641B1 (en) 2011-10-06 2016-10-04 Francesco Mignone Yoga article of cloth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AU2012362165B2 (en) * 2011-12-30 2014-11-13 Michael Decker A garment configured to counteract frontal pelvic plane drop and internal rotation of the femur
US20180116304A1 (en) 2011-12-30 2018-05-03 Opedix, Llc Shirts and shorts having elastic and non-stretch portions and bands to provide hip and posture support
US9370440B2 (en) 2012-01-13 2016-06-21 Ossur Hf Spinal orthosis
US9572705B2 (en) 2012-01-13 2017-02-21 Ossur Hf Spinal orthosis
ES2660485T3 (es) * 2012-04-10 2018-03-22 Wacoal Corp. Prenda de ejercicio de entrepierna
ITMI20120907A1 (it) 2012-05-24 2013-11-25 Freddy Spa Indumento per modellare le natiche ed i fianchi femminili, n particolare un indumento sportivo per danza o ginnastica
ITMI20120904A1 (it) 2012-05-24 2013-11-25 Freddy Spa Pantalone, in particolare un pantalone per modellare la natiche ed i fianchi femminili
AT13376U1 (de) * 2012-07-27 2013-11-15 Mertens Christian Bekleidungseinheit
USD737544S1 (en) * 2012-09-07 2015-09-01 Vadim Rosenbaum Asymmetrical pants
CN104853699B (zh) 2012-09-19 2017-08-15 欧苏尔公司 用于矫形装置的嵌板附着件与周长调整系统
ITBS20120143A1 (it) * 2012-10-04 2014-04-05 Matteo Placanica "maglietta da uomo per la pratica della corsa"
US9872526B2 (en) 2012-12-13 2018-01-23 Marc Safran Brace for preventing symptoms of femoral acetabular impingement
CN105377198B (zh) * 2013-01-24 2017-12-08 奥索有限责任公司 用于治疗髋部并发症的矫形装置
US9795500B2 (en) 2013-01-24 2017-10-24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US10357391B2 (en) 2013-01-24 2019-07-23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US9554935B2 (en) 2013-01-24 2017-01-31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JP6349055B2 (ja) * 2013-03-14 2018-06-27 豊田通商株式会社 運動用タイツ
JP6179156B2 (ja) * 2013-03-27 2017-08-16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衣類
US20140310854A1 (en) * 2013-04-22 2014-10-23 Bijan Davidian Kianmahd Body Sculpting Garment
US9302137B1 (en) 2013-07-22 2016-04-05 Christopher Joseph Yelvington Resistance-applying garment, connector for use in garment, and method of forming garment
US9179713B2 (en) 2013-08-01 2015-11-10 Spanx, Inc. Flocked shapewear garments
USD707920S1 (en) 2013-08-01 2014-07-01 Spanx, Inc. Garment
USD733994S1 (en) 2013-08-01 2015-07-14 Spanx, Inc. Garment
DE202014011177U1 (de) * 2013-08-08 2018-05-14 Alignmed, Inc. Körperhaltungskontroll- und Therapiesystem
US10470501B2 (en) 2013-11-13 2019-11-12 Jkl Ip Company Llc Garment for containing moisture compositions
US10045569B2 (en) 2013-11-13 2018-08-14 Jkl Ip Company Llc Garment for containing moisture compositions
CN104720942A (zh) * 2013-12-24 2015-06-24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袖套
KR101573893B1 (ko) 2014-05-09 2015-12-11 주식회사 오도로소 건강기능성 자기점착 이너웨어
US10085490B2 (en) 2014-07-30 2018-10-02 Vf Imagewear, Inc. Shirts configured for enhancing worker mobility
CA2955202C (en) * 2014-07-30 2023-09-05 Vf Imagewear, Inc. Pants configured for enhancing worker mobility
US11523926B2 (en) * 2014-07-31 2022-12-13 Peteris Alberts Cers Dynamic lumbar realignment system
GB2529472B (en) * 2014-08-22 2018-04-04 Speedo Int Ltd Swimming garments
GB2533077B (en) 2014-08-22 2017-12-06 Speedo Int Ltd Swimming garments
US20170354526A1 (en) * 2015-01-19 2017-12-14 Jim Li An Orthotic for Muscle Imbalance and Posture Correction and Lumbopelvic Support
WO2016138215A1 (en) 2015-02-27 2016-09-01 Ossur Iceland Ehf Spinal orthosis, k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10561520B2 (en) 2015-02-27 2020-02-18 Ossur Iceland Ehf Spinal orthosis, k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6603057B2 (ja) * 2015-06-25 2019-11-06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インナー・ウェア
DE102015217841A1 (de) 2015-09-17 2017-03-23 Adidas Ag Sportbekleidungsartikel mit Unterstützungselementen
USD809245S1 (en) 2015-11-27 2018-02-06 Adidas Ag Garment
AU2017251092B2 (en) * 2016-04-14 2022-04-21 Symphony Holdings Limited Compression garment
CN105996224B (zh) * 2016-07-04 2019-06-21 香港中大实业有限公司 一种压力矫形器
US11021819B2 (en) 2017-05-15 2021-06-01 Under Armour, Inc Athletic performance garment
CA2971961A1 (en) * 2017-05-23 2018-11-23 Gear 23, Inc. Bodysuit with integrated lin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80343932A1 (en) * 2017-05-30 2018-12-06 Nike, Inc. Garment With Wipe Zones
US11246734B2 (en) 2017-09-07 2022-02-15 Ossur Iceland Ehf Thoracic lumbar sacral orthosis attachment
US11000439B2 (en) 2017-09-28 2021-05-11 Ossur Iceland Ehf Body interface
CA3092212A1 (en) 2018-02-26 2019-08-29 Ts Medical Llc Devices and methods for exercising an ankle, foot, and/or leg
WO2019194885A1 (en) 2018-04-06 2019-10-10 Ts Medical Llc Portable devices for exercising muscles in the ankle, foot, and/or leg, and related methods
CN108338428A (zh) * 2018-04-28 2018-07-31 特步(中国)有限公司 一种可调式压缩服
EP3804549B1 (en) * 2018-06-05 2024-04-03 Mizuno Corporation Swimsuit
JP7137390B2 (ja) * 2018-07-27 2022-09-14 ピップ株式会社 腰用サポータ
US10702740B2 (en) 2018-09-14 2020-07-07 Ts Medical Llc Portable devices for exercising muscles in the ankle, foot, and/or leg, and related methods
US11388935B2 (en) * 2019-02-07 2022-07-19 Stephanie Harrisson Body shapewear undergarment
USD922728S1 (en) 2019-07-02 2021-06-22 Honeylove Sculptwear, Inc. Garment
USD955689S1 (en) 2019-11-15 2022-06-28 Honeylove Sculptwear, Inc. Garment
USD947492S1 (en) 2019-12-10 2022-04-05 Honeylove Sculptwear, Inc. Garment
CN110916260B (zh) * 2019-12-13 2022-05-17 佛山市南海博鑫服饰有限公司 一种产后盆骨修复裤
USD961023S1 (en) 2020-02-12 2022-08-16 TS Medical, LLC Excercise device
USD1012207S1 (en) 2020-08-12 2024-01-23 TS Medical, LLC Exercise device
EP4302737A1 (de) * 2022-07-07 2024-01-10 Edelweiss Basics GmbH & Co. Kg Beinbekleidungsstück zur massage und ko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4449A (en) * 1968-07-11 1970-08-18 Kathleen S Peters Abdominal muscular supporting girdle
US3523540A (en) * 1968-08-29 1970-08-11 H W Gossard Co The Girdle
US3756247A (en) * 1972-06-16 1973-09-04 H Hand Open-ended girdle
US4576154A (en) * 1984-04-02 1986-03-18 Hyman Alan A Sacroiliac belt
WO1986003103A1 (en) 1984-11-22 1986-06-05 Hiroshi Yoshihara Structure of clothes and method of producing clothes
JPS6437407U (ko) 1987-09-01 1989-03-07
JPH0230318U (ko) 1988-08-15 1990-02-27
JPH02182903A (ja) 1988-12-30 1990-07-17 Wacoal Corp ファンデーション等の衣服
US5201074A (en) * 1991-06-10 1993-04-13 Dicker Timothy P Exercise suit with resilient reinforcing
JP2606340Y2 (ja) 1992-07-16 2000-10-23 株式会社アトリエリップスティック ヒップアップがはかれるガードル
DE4226899C1 (de) 1992-08-14 1994-01-13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Steuerung
EP0705543B1 (en) * 1994-10-07 1999-03-24 Wacoal Corp. Lower leg protection garment
WO1999004660A1 (fr) * 1996-02-05 1999-02-04 Wacoal Corp. Vetements ayant pour fonction de corriger la silhouette
JPH108303A (ja) 1996-06-20 1998-01-13 Osamu Ishitobi ガードル
WO1998021987A1 (fr) 1996-11-22 1998-05-28 Kabushiki Kaisha With Sous-vetement feminin dote d'une fonction de correction de l'abdomen et de la region fessiere
JP3582685B2 (ja) 1997-01-23 2004-10-27 株式会社ワコール ヒップ形状を整える衣類
JP3012819B2 (ja) * 1997-04-01 2000-02-28 株式会社ワコール 下肢部保護衣料
US6080125A (en) * 1997-05-15 2000-06-27 Mott; George E. Abdominal postoperative binder
JP3023354B2 (ja) 1998-04-22 2000-03-21 株式会社ワコール 体型補整機能または筋肉サポート機能を有する衣類
JP3061048U (ja) 1999-01-26 1999-09-14 厚木ナイロン工業株式会社 ガ―ドル
JP3675722B2 (ja) * 2001-02-06 2005-07-27 株式会社かりん ハイウエストガードル
JP2002238931A (ja) * 2001-02-15 2002-08-27 Hiroshi Kinoshita 腰用サポー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775B1 (ko) * 2005-05-27 2009-06-26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보텀 의류
US7559093B2 (en) 2005-05-27 2009-07-14 Wacoal Corp. Bottom clothes
KR20190049431A (ko) * 2017-10-30 2019-05-09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너 웨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28952A1 (en) 2003-02-13
CN1268241C (zh) 2006-08-09
HK1060835A1 (en) 2004-08-27
ATE355761T1 (de) 2007-03-15
AU2001217362A1 (en) 2002-06-24
EP1342423B1 (en) 2007-03-07
EP1342423A1 (en) 2003-09-10
WO2002047501A1 (fr) 2002-06-20
DE60033856D1 (de) 2007-04-19
CN1461190A (zh) 2003-12-10
KR100527561B1 (ko) 2005-11-09
DE60033856T2 (de) 2007-12-20
US7074204B2 (en) 2006-07-11
EP1342423A4 (en) 200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561B1 (ko) 의복
JP3870232B2 (ja) 衣料
US7229390B2 (en) Tights-type leg support garment
JP3740344B2 (ja) 運動用スパッツ
JP3809031B2 (ja) 運動用被服とその製造方法
US20040111781A1 (en) Clothing
WO2004096105A1 (ja) 股付き衣類
JP2013139662A (ja) 運動用衣服
JP2007023466A (ja) 運動用スパッツ
JP3672796B2 (ja) 衣料
JP6543186B2 (ja) レッグウェア
JP5682942B2 (ja) 被服
WO2021153686A1 (ja) ボトム衣料
JP2007016361A (ja) 男性用下着
JP4311595B2 (ja) 臀部裏打ち布を有する衣料
JP2012127038A (ja) 運動用衣服
JP4425009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3666868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4425010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KR100521605B1 (ko) 의료
JP3808470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3666869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をサポート用被服
JP2021116500A (ja) ボトム衣料
JP2004100143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をサポート用被服
JP2004027477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