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605B1 - 의료 - Google Patents
의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21605B1 KR100521605B1 KR10-2002-7013234A KR20027013234A KR100521605B1 KR 100521605 B1 KR100521605 B1 KR 100521605B1 KR 20027013234 A KR20027013234 A KR 20027013234A KR 100521605 B1 KR100521605 B1 KR 100521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etchable
- medical
- stretch
- girdle
- le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가랑이부와 다리부를 갖고, 의료의 다리부는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에 있어서, 상기 의료는 비교적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의료는 상기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 상기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대략 띠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있으며,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를 갖는 의료.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없고 인체의 실루엣의 조형기능도 유지한, 가랑이부와 다리부를 갖고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랑이부와 다리부를 갖고, 의료의 다리부는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없고, 조형성을 유지한 상기 의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가랑이부와 다리부를 갖고, 의료의 다리부는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로서는, 예를 들면, 거들,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츠 및 팬티 스타킹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의료는 보통 신축성을 갖는 편물 등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거들 등에서는 복부의 팽창을 억제하여 복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조형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복부 중앙부에 복부압박용 바대(덧천) 등이 적층된 것이나, 힙업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엉덩이부 하부에서 옆쪽에 걸쳐서 힙업용의 바대 등이 적층된 것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움직임, 특히 발의 움직임(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는 등), 앉고-서고, 웅크리고-서는 등의 동작에 의해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의료의 다리부는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의 대표예로서, 롱타입으로부터 표준 타입의 거들의 경우를 예로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발의 동작에 의해, 앞옷자락이 밀려올라가거나, 뒷 웨이스트 부분이 흘러 내리고, 뒷옷자락 부분이 밀려올라가는 등의 현상이 보여진다.
그래서 의료전체를 통상보다 비교적 용이하게 신축하는 신축용이성 재료로 제조하면,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신축하므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적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의료전체를 신축용이성 재료로 구성하면, 인체의 필요한 부분을 확실히 서포트해 인체의 형태를 보정하는 조형성을 발휘하는 파워가 불충분하게 되어 체형보정 기능이 없고, 조형성이 뒤진 의료밖에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다지 움직임이 크지 않은 부분의 미세한 피부의 움직임을 누르는 기능이 발휘되지 않게 되므로, 이들 부분에서 오히려 주름 등이 발생하기 쉽고, 너무 용이하게 지나치게 신축하므로, 도리어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도 생긴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고, 가랑이부와 다리부를 갖고, 의료의 다리부는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에 있어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없고, 게다가 조형성도 유지한 의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거들 등으로 대표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의료의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생기는 원인을 검토하기 위해, 인체의 움직임에 따른, 특히 일상생활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발을 올리는 동작(보행이나 계단을 오르는 동작 등도 발을 올리는 동작이 된다. 이하 단지 「동작」이라고 약칭하는 일이 있다.)에서의 하반신부의 인체의 입체적인 형상변화에 대해서 주목하고, 검토했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은, 상기 동작에 의해 다리 근육의 상태가 변화되는, 그리고 대전자(대퇴골의 상단부 외측 부분의 부풀어 올라 있는 부분에 붙여진 명칭)를 축으로 해서 동체부와 다리의 부착 각도가 변화됨으로써 인체의 입체로서의 형상이 변화되지만, 거들은 그 변화에 추종하여 가려고 한다. 거들은 크로치와 같은 가랑이부에서 멈추어 부착되어 있으므로, 인체 입체형상변화에 대한 거들의 추종의 결과는, 크로치 방향(가랑이부의 방향)을 향해서 상술과 같은 차이가 생기게 된다. 한번 생긴 어긋남은, 다시 처음의 동작으로 돌아가서 인체의 입체형상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도, 옷자락부분이 내려지는 방향이나, 뒷 웨이스트 부분이 올라가는 방향으로 인장되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원래로 돌아가지 않고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생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리를 굴곡시키면, 넙다리곧은근이 인체 앞측으로 나온다. 그 외, 장내전근(adductor longus muscle), 대내전근(adductor magnus muscle), 대퇴이두근이 움푹 패 온다. 따라서 다리의 단면형상이, 대략 원형으로부터 타원상으로 변화되고, 앞 부분이 부풀어지고, 안쪽에서 뒷쪽에 걸쳐서 움푹 패 온다. 다시 말해, 도 19의 (a), (b)부분의 인체 오른쪽의 대퇴부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형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형상이, 도 19의 (a)부분의 직립한 상태의(발을 올리기 전의) 대퇴부의 단면형상(도 19의 (a)부분 참조)으로부터, 도l9의 (b)부분의 발을 올린 상태에 있어서의 대퇴부의 단면형상(도 19의 (b)부분 참조)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았다. 도 l9의 (b)부분으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대퇴부 앞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존재하는 부분(20)이 인체의 전방으로 크게 뻗는 것이 확인된다. 한편, 도 19의 (a), (b)부분에 있어서, 도면의 윗쪽이 인체 앞측 방향, 도면의 아래쪽이 인체의 뒤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앞이 부풀어져 이동이 커지게 되고, 거들의 앞다리 부분이 가로방향으로 잡아당겨지게 되어, 이 바탕천이 가로방향으로 인장되면, 그것에 따라 이 바탕천은 세로방향으로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 앞옷자락부가 밀려올라가게 된다.
또한, 거들 뒷쪽에 관해서는, 정립상태(똑바로 서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다리의 동작에 의해, 인체의 뒤측의 거들 착용부분에 주목하면, 다리가 그 연결부(대전자 근방)에서 굽혀졌을 때에, 대전자를 축으로, 동체부와 다리의 각도(위치관계)가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의 동작에 의해, 거들 뒤측은, く의 상태로 변화됨으로써, 거들 뒤측 상하단이 크로치 방향으로 인장되게 되어 뒷쪽의 웨이스트 부분이 흘러 내리고, 뒷옷자락 부분이 밀려올라가는 것에 의해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생긴다.
그리고, 다리의 상기 동작에 의해, 사타구니 홈을 중심축으로 하여 동체와 다리의 연결부가 경첩과 같이 접어져서 각도가 작아진다. 이러한 입체형상의 변화에게 따르고, 또한 부수적으로 인체 뒤측의 엉덩이 홈으로부터 웨이스트까지의 부분, 특히 엉덩이 홈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 근방부분까지의 피부의 신장도 커져 있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에 대해서, 예를 들면 종래의 통상의 거들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면, 도 17,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들(120)의 옷자락(121)이 화살표(122)로 나타낸 윗쪽으로 잡아 당겨져서 밀려올라가고, 게다가 앞측의 대퇴부가 당기는 듯이 느끼거나, 또, 앞측에서는 밀려올라간 의료본체의 천이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123)으로 되어서 쌓이거나, 뒤측에서는 밀려올라간 의료본체의 천이 엉덩이 홈에 주름(124)이 되어서 파고들거나, 거들의 웨이스트 부분(125)이 화살표(12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흘러 내리는 등의 옷매무새의 흐트러짐 현상이 보여진다. 한편, 도 17은 종래의 통상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거들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 현상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들 옷매무새의 흐트러짐 현상을 될 수 있는 한 개량하고, 게다가 인체를 서포트해서 인체의 실루엣의 조형기능도 유지하고 있는 의료를 설계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인 롱타입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거들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표준 타입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거들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의료의 또 다른 형태의 롱타입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의료의 또 다른 형태의 롱타입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의료의 또 다른 형태의 롱타입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거들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의료의 또 다른 형태의 롱타입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의료의 일형태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의료의 세미롱타입 거들의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의료의 다른 일형태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의료의 또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거들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도 14, 도 15에 나타낸 거들의 주로 뒤에서 앞쪽 옆 및 다리부에 사용할 수 있는 인체 좌측의 옷의 길용의 바탕천의 재단전의 평면도.
도 17, 종래의 통상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거들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
도 19는 인체 오른쪽의 대퇴부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형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랑이부와 다리부를 갖고, 의료의 다리부는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1) 가랑이부와 다리부를 갖고, 의료의 다리부는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에 있어서, 상기 의료는 비교적 용이하게 신축하는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의료는, 상기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 상기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대략 띠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있고,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를 갖는 의료.
(2)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고 있고,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B를 더 갖고 있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의료.
(3)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 의료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과 힙의 융기부 정점 사이의 어느 하나의 위치보다 적어도 윗쪽 부분을 커버하고 있고,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를 더 갖고 있는 상기 (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4)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1)∼(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5) 신축용이성부분 A와 대략 병렬로,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대략 띠형상이고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을 의료 다리부에 더 갖고 있는 상기 (1)∼(4)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6) 의료본체를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의 겉쪽 및/또는 안쪽에 천을 적층하여,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7) 신축용이성부분을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상기 신축용이성 바탕천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바탕천으로 구성하며, 이 양자를 잇대어 붙여서 의료를 구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8)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편조직을 변화시켜서 분리편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9)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자카드편에 의한 편조직을 변화시켜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 상으로 분리편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10) 의료본체를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을 수지가공해서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11)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이 대략 3㎝∼8㎝인 상기 (1)∼(1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12)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과 신축용이성부분 A-1의 폭의 합계가, 대략 3㎝∼8㎝인 상기 (5)∼(1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13) 신축용이성부분 B의 폭이 대략 1㎝∼10㎝인 상기 (2)∼(1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14) 신축용이성부분 C가, 의료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보다 다소 윗쪽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상기 (3)∼(1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15) 의료를 구성하는 바탕천이, 신축성 투웨이 트리콧 편물 및 신축성 라셀 편물로부터 선택된 편물인 상기 (1)∼(14)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16) 의료가, 거들,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츠 및 팬티 스타킹으로부터 선택된 의료인 상기 (1)∼(l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의 형태예에 대해서 설명 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의료상에 있어서의 위치의 설명에 「……근방」이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소정의 지정된 위치로부터 다소의 차이가 있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고 하는 것을 뜻하고 있다. 인체의 형태나 크기, 근육의 위치는, 개체 각각에 따라서 약간 상위하므로, 신축용이성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의료상에 있어서의 위치가 소정의 지정된 위치부터 다소의 차이가 있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는 지장이 없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의 「신축용이성부분」이란, 비교적 약한 응력으로 용이하게 늘어나는 바와 같은 신축성을 갖는 부분을 의미하고 있다.「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이란, 상기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하여, 같은 비율로 늘리는데 상기 신축용이성부분보다, 더 큰 응력을 가할 필요가 있는 부분 또는 비신축성인 부분을 의미하고 있다.
또, 「대략 띠형상」이란, 띠형상물의 폭이 길이방향으로 일정폭인 것뿐만아니라, 길이방향으로 폭이 변화되고 있는 것이나, 띠형상물이 길이방향으로 직선상인 것뿐만 아니라, 커브되어 있는 띠형상물이여도 좋고, 또한, 예를 들면 타원형, 볼록렌즈의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 오목렌즈의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 등도 포함하고 있고, 길이가 폭보다 큰 형상의 것이라면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이란, 다소 경사져 있어도, 엄밀한 의미에서의 세로방향으로부터 약 ±40도 이내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정도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지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대략 폭방향」이란, 엄밀한 의미에서의 폭방향으로부터 약 ±40도 이내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정도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지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대략 띠형상」이란, 띠형상물의 길이방향이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의 「적어도」란,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면, 그것과 직각방향으로는 신축성을 갖고 있어도 신축성을 갖고 않지 않아도 좋다고 하는 의미이다.
또한,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의 「적어도」란,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면, 그것과 직각방향으로는 신축성을 갖고 있어도 신축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고 하는 의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인 롱타입 거들의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거들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의 거들에 있어서는,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갖고, 또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B(2)를 가지며, 의료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3)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4는 인체의 엉덩이 홈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5는 힙의 융기부 정점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 형태로서는, 도 1∼2의 거들본체를 거들의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의 투웨이 트리콧으로 구성하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1), 신축용이성부분(2) 및 신축용이성부분(3)의 부분을 제외한 그 밖의 부분에, 보다 신축응력의 높은, 즉 상기 투웨이 트리콧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투웨이 파워넷을 안쪽에서 적층해 봉제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의료본체를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의 겉쪽 및/또는 안쪽에 천을 적층하여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할 경우에, 적층하는 천의 신축성은, 신축용이성부분과 같은 신축용이성을 갖는 천이여도 좋다. 적층된 부분은 적층되어 있지 않은 부분 즉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하여, 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떠한 천이 적층됨으로써 적층된 부분은 비적층 부분에 비하여 보다 신축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적층되는 천의 신축성은, 신축용이성부분의 신축성보다 더 신축하기 쉬운 천이라도, 동등한 신축성을 갖는 천이라도,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신축성의 천이라도, 비신축성의 천이라도 좋은 것이다. 어느 것으로 할지는, 의료의 종류, 적층하는 부위, 조형성의 요구비율 등에 따라 적당히 선정하면 된다. 단, 이 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너무 신축용이성으로 해 버리면, 옷매무새의 흐트러짐 방지기능이나 조형성이 충분히 발휘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된다.
이렇게 얻어진 롱타입의 거들은,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가지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여, 도 19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쪽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신장되어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일어나기 어렵고, 거들의 다리부가 당겨서 앞옷자락이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B(2)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사타구니 홈을 중심축으로 하여 다리부와 동체가, く의 형상으로 경첩과 같이 접어져서 각도가 작아지거나, 발을 내리면 이 각도가 커져서 사타구니 홈 근방을 커버하고 있는 천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거나 하지만, 이 신축에 신축용이성부분 B(2)가 충분히 추종하여, 의료의 다리부가 윗쪽으로 밀려올라가거나, 밀려올라간 의료본체의 천이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으로 되어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앉는 자세시에 있어서, 사타구니 홈 근방으로의 압박을 경감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거들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C(3)를 가지고 있다.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대전자를 축으로, 동체부와 다리의 각도(위치관계)가, 통상, く의 상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다리의 동작에 의해, 거들 뒤측 상하단이 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지만, 신축용이성부분 C(3)는, 이러한 인장력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신축하므로, 거들의 웨이스트 부분이 아래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흘러 내리거나 거들의 뒷옷자락부가 윗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거들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 B(2), C(3) 이외의 부분은 이들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복부 부분(7)에 있어서는, 복부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복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웨이스트 부분(8)에 있어서는, 웨이스트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슬림한 느낌의 웨이스트로 보정하며, 또 다리부(9)에 있어서는 다리부를 감싸도록 서포트해서 다리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또한 엉덩이 홈(4)과 신축용이성부분 C(3) 사이의 부분(10)이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이 부분에 의해 힙업기능이 발휘되어, 힙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거들이 제공된다.
다음에 도 3, 도 4에 본 발명의 의료인 표준 타입(표준길이)의 거들을 나타내었다. 도 3은 표준 타입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거들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4의 거들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비교하고, 다리부의 길이가 표준 타입(표준길이)이 되도록 약간 짧게 설계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상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같다.
즉,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갖고, 또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거들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B(2)를 가지며,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부분에 적어도 거들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3)를 가지고 있다. 4가 인체의 엉덩이 홈의 위치를 나타내고, 5가 힙의 융기부 정점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도 1∼2의 경우와 같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 형태로서는, 도 3∼4의 거들 본체를 거들의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투웨이 트리콧으로 구성하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1), 신축용이성부분(2) 및 신축용이성부분(3)의 부분을 제외한 그 밖의 부분에, 보다 신축응력의 높은, 즉 상기 투웨이 트리콧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투웨이 파워넷을 안쪽으로부터 적층하여 봉제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이렇게 얻어진 표준 타입의 거들은,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가지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고, 도 19의 (b)부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쪽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신장되어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일어나기 어렵고, 거들의 다리부가 당겨서 앞옷자락이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거들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B(2)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사타구니 홈을 중심축으로 하여 다리부와 동체가, く의 형태로 경첩과 같이 접어져서 각도가 작아지거나, 발을 내리면 이 각도가 커지게 되어 사타구니 홈 근방을 커버하고 있는 천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거나 하지만, 이 신축에 신축용이성부분 B(2)가 충분히 추종하여, 거들의 다리부가 윗쪽으로 밀려올라가거나, 밀려올라간 거들 본체 천이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으로 되어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앉는 자세시에 있어서, 사타구니 홈 근방으로의 압박을 경감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거들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C(3)를 가지고 있다.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대전자를 축으로, 동체부와 다리의 각도(위치관계)가, 통상, く의 상태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의 동작에 의해, 거들 뒤측 상하단이 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지만, 신축용이성부분 C(3)는, 이러한 인장력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신축하므로, 거들의 웨이스트 부분이 아래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흘러 내리거나 거들의 뒷옷자락부가 윗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거들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 B(2), C(3) 이외의 부분은 이들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복부 부분(7)에 있어서는 복부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복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웨이스트 부분(8)에 있어서는 웨이스트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슬림한 느낌의 웨이스트로 보정하며, 또 다리부(9)에 있어서는 다리부를 감싸도록 서포트해서 다리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또한 엉덩이 홈(4)과 신축용이성부분 C(3) 사이의 부분(10)이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이 부분에 의해 힙업기능이 발휘되어 힙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거들이 제공된다.
다음에 도 5에 본 발명의 의료인 또 다른 형태의 롱타입의 거들의 앞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롱타입 거들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는, 도 2와 같으므로 도시를 생략했다.
도 5의 거들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비교하여,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의 폭이, 거들의 옷자락에 가깝게 됨에 따라서 커지고 있는 점이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다르다. 그 밖의 점은 실질상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같다.
즉,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갖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의 폭이, 거들의 옷자락에 가까이 됨에 따라서 커져 있다. 또한, 이 경우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신축용이성부분 A(1)의 폭은, 가장 넓은 곳에서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신축용이성부분 A(1)의 폭이 넓어져 있는 부분이 가장 입체적 형상변화가 큰 넙다리곧은근의 근복(筋腹)상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고,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또한, 이 거들에 있어서는,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거들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B(2)를 갖고,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부분에 적어도 거들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3)(도 2참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 형태로서는, 도 5의 거들 본체를 거들의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투웨이 트리콧으로 구성하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1), 신축용이성부분(2) 및 신축용이성부분(3)의 부분을 제외한 그 밖의 부분에, 보다 신축응력의 높은, 즉 상기 투웨이 트리콧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투웨이 파워넷을 안쪽으로부터 적층하여 봉제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이렇게 얻어진 롱타입의 거들은,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갖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의 폭이, 거들의 옷자락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크게 되어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여, 도 19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쪽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늘어나서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일어나기 어렵고, 거들의 다리부가 당겨서 앞옷자락이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B(2)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사타구니 홈을 중심축으로 하여 다리부와 동체가, く의 형태로 경첩과 같이 접어져서 각도가 작아지거나, 발을 내리면 이 각도가 커지게 되어 사타구니 홈 근방을 커버하고 있는 천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거나 하지만, 이 신축에 신축용이성부분 B(2)가 충분히 추종하여, 의료의 다리부가 윗쪽으로 밀려올라가거나, 밀려올라간 의료본체의 천이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이 되어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앉는 자세시에 있어서, 사타구니 홈 근방으로의 압박을 경감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거들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C(3)를 가지고 있다.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대전자를 축으로, 동체부와 다리의 각도(위치관계)가, 통상, く의 상태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의 동작에 의해, 거들 뒤측 상하단이 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지만, 신축용이성부분 C(3)는, 이러한 인장력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신축하므로, 거들의 웨이스트 부분이 아래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흘러 내리거나 거들의 뒷옷자락부가 윗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거들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 B(2), C(3) 이외의 부분은 이들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복부 부분(7)에 있어서는 복부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복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웨이스트 부분(8)에 있어서는 웨이스트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슬림한 느낌의 웨이스트로 보정하며, 또 다리부(9)에 있어서는 다리부를 감싸도록 서포트해서 다리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또한 엉덩이 홈(4)과 신축용이성부분 C(3) 사이의 부분(10)이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이 부분에 의해 힙업기능이 발휘되어 힙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거들이 제공된다.
다음에 도 6에 본 발명의 의료의 또 다른 형태의 롱타입 거들의 앞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롱타입 거들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는, 도 2와 같으므로 도시를 생략했다.
도 6의 거들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비교해서 주로 다른 점은, 도 6의 거들에 있어서는,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의 옆쪽에, 신축용이성부분 A(1)와 대략 병렬로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lb)을 더 갖고 있는 점이다. 그 밖의 점은 실질상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같다.
다시 말해,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갖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의 옆쪽에, 신축용이성부분 A(1)와 대략 병렬로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1b)을 더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신축용이성부분 A(1)와 신축용이성부분 A-1(1b) 폭의 합계의 폭은, 3㎝∼8㎝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거들에 있어서는,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거들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B(2)를 갖고,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부분에 적어도 거들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3)(도 2참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 형태로서는, 도 6의 거들 본체를 거들의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투웨이 트리콧으로 구성하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1), 신축용이성부분(2) 및 신축용이성부분(3)의 부분을 제외한 그 밖의 부분에, 보다 신축응력의 높은, 즉 상기 투웨이 트리콧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투웨이 파워넷을 안쪽으로부터 적층하여 봉제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이렇게 얻어진 롱타입의 거들은,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갖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의 옆쪽에, 신축용이성부분 A(1)와 대략 병렬로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A-1(1b)을 더 가지고 있으므로, 넙다리곧은근상을 커버하고 있는 신축용이성부분 A(1)만으로는 전부 흡수할 수 없는 대퇴부의 움직임이나 근육의 형상변화를, 신축용이성부분 A-1(1b) 부분이 흡수하여, 보다 대퇴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여, 도 19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쪽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늘어나서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일어나기 어렵고, 거들의 다리부가 당겨서 앞옷자락이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B(2)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사타구니 홈을 중심축으로 하여 다리부와 동체가, く의 형태로 경첩과 같이 접어져서 각도가 작아지거나, 발을 내리면 이 각도가 커지게 되어 사타구니 홈 근방을 커버하고 있는 천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거나 하지만, 이 신축에 신축용이성부분 B(2)가 충분히 추종하여, 의료의 다리부가 윗쪽으로 밀려올라가거나, 밀려올라간 의료본체의 천이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이 되어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앉는 자세시에 있어서, 사타구니 홈 근방으로의 압박을 경감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거들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C(3)를 가지고 있다.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대전자를 축으로, 동체부와 다리의 각도(위치관계)가, 통상, く의 상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다리의 동작에 의해, 거들 뒤측 상하단이 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지만, 신축용이성부분 C(3)는, 이러한 인장력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신축하므로, 거들의 웨이스트 부분이 아래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흘러 내리거나 거들의 뒷옷자락부가 윗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거들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 B(2), C(3) 이외의 부분은 이들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복부 부분(7)에 있어서는 복부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복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웨이스트 부분(8)에 있어서는 웨이스트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슬림한 느낌의 웨이스트로 보정하며, 또 다리부(9)에 있어서는 다리부를 감싸도록 서포트해서 다리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또한 엉덩이 홈(4)과 신축용이성부분 C(3) 사이의 부분(10)이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이 부분에 의해 힙업기능이 발휘되어 힙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거들이 제공된다.
한편, 이 형태에 있어서는, 신축용이성부분 A-1(1b)은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의 옆쪽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신축용이성부분 A-1(lb)은 그것과는 반대측의 신축용이성부분 A(1)에 대하여 거들 앞중심측에 설치해도 좋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양쪽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l)의 옆측 또는 신축용이성부분 A(1)에 대하여 거들 앞중심측의 어느 한쪽의 측만에 2개의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에 상당하는 신축용이성부분을 설치해도 좋다. 단, 상기에 나타낸 개수 이상으로 너무 개수를 많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또한, 이들 폭의 합계도 3㎝∼8㎝ 정도가 특히 상술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너무 개수를 많게 하거나, 이들 폭의 합계가 너무 지나치게 커져도 지나치게 작아져도 오히려 기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다음에 도 7에 본 발명의 의료의 또 다른 형태의 롱타입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를, 또한, 도 8에 그 뒤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7∼8에 나타낸 거들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비교하여,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가, 그 상하의 끝부가 가늘게 되어서 모아서 볼록렌즈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또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고, 적어도 거들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B(2)의 형상도, 그 옆측과 앞중심 근처의 끝부가 가늘게 되어서 모아서 볼록렌즈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게다가 신축용이성부분 A(1)와 신축용이성부분 B(2)는 연결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거들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3)도 신축용이성부분 B(2)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점이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다르지만, 그 밖의 점은 실질상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같다. 그리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이외의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 형태로서는, 도 7∼8의 거들 본체를 거들의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의 투웨이 트리콧으로 구성하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1), 신축용이성부분(2) 및 신축용이성부분(3)의 부분을 제외한 그 밖의 부분에, 보다 신축응력의 높은, 즉 상기 투웨이 트리콧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투웨이 파워넷을 안쪽으로부터 적층하여 봉제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이렇게 얻어진 롱타입의 거들은,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여, 도 19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쪽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늘어나서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기능이 발휘된다.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일어나기 어렵고, 거들의 다리부가 당겨서 앞옷자락이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B(2)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사타구니 홈을 중심축으로 하여 다리부와 동체가, く의 형태로 경첩과 같이 접어져서 각도가 작아지거나, 발을 내리면 이 각도가 커지게 되어 사타구니 홈 근방을 커버하고 있는 천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거나 하지만, 이 신축에 신축용이성부분 B(2)가 충분히 추종하여, 의료의 다리부가 윗쪽으로 밀려올라가거나, 밀려올라간 의료본체의 천이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이 되어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앉는 자세시에 있어서, 사타구니 홈 근방으로의 압박을 경감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거들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C(3)를 가지고 있다.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대전자를 축으로, 동체부와 다리의 각도(위치관계)가, 통상, く의 상태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의 동작에 의해, 거들 뒤측 상하단이 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지만, 신축용이성부분 C(3)는, 이러한 인장력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신축하므로, 거들의 웨이스트 부분이 아래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흘러 내리거나 거들의 뒷옷자락부가 윗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거들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 B(2), C(3) 이외의 부분은 이들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복부 부분(7)에 있어서는 복부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복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웨이스트 부분(8)에 있어서는 웨이스트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슬림한 느낌의 웨이스트로 보정하며, 또 다리부(9)에 있어서는 다리부를 감싸도록 서포트해서 다리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또한 엉덩이 홈(4)과 신축용이성부분 C(3) 사이의 부분(10)이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이 부분에 의해 힙업기능이 발휘되어 힙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거들이 제공된다.
다음에 도 9에 본 발명의 의료의 또 다른 형태의 롱타입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도 9에 나타낸 롱타입의 거들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는, 도 8과 같으므로 도시를 생략했다.
도 9에 나타낸 거들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비교하여 다른 점은,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가, 그 아래의 끝부가 가늘게 되어서 모아져 있고, 또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고, 적어도 거들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B(2)의 형상도, 그 옆측의 끝부가 가늘게 되어 모아져 있는 형상을 하고 있고, 마치 도 7∼8에 도시한 형태의 거들의 신축용이성부분 A(1)와 신축용이성부분 B(2)가 연결된 듯한 형태의 거들이며, 또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거들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3)는, 도 7∼8에 도시한 형태의 거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축용이성부분 B(2)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점이다. 그 밖의 점은 실질상 도 7∼8에 나타낸 거들과 같다. 그리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이외의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 형태로서는, 도 9의 거들 본체를 거들의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투웨이 트리콧으로 구성하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1), 신축용이성부분(2) 및 신축용이성부분(3)의 부분을 제외한 그 밖의 부분에, 보다 신축응력의 높은, 즉 상기 투웨이 트리콧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투웨이 파워넷을 안쪽으로부터 적층하여 봉제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이렇게 얻어진 롱타입의 거들은,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여, 도 19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쪽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늘어나서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기능이 발휘된다.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일어나기 어렵고, 거들의 다리부가 당겨서 앞옷자락이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B(2)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사타구니 홈을 중심축으로 하여 다리부와 동체가, く의 형태로 경첩과 같이 접어져서 각도가 작아지거나, 다리을 내리면 이 각도가 커지게 되어 사타구니 홈 근방을 커버하고 있는 천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거나 하지만, 이 신축에 신축용이성부분 B(2)가 충분히 추종하여, 의료의 다리부가 윗쪽으로 밀려올라가거나, 밀려올라간 의료본체의 천이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이 되어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앉는 자세시에 있어서, 사타구니 홈 근방으로의 압박을 경감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거들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C(3)를 가지고 있다.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대전자를 축으로, 동체부와 다리의 각도(위치관계)가, 통상, く의 상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다리의 동작에 의해, 거들 뒤측 상하단이 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지만, 신축용이성부분 C(3)는 이러한 인장력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신축하므로, 거들의 웨이스트 부분이 아래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흘러 내리거나 거들의 뒷옷자락부가 윗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거들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 B(2), C(3) 이외의 부분은 이들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복부 부분(7)에 있어서는 복부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복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웨이스트 부분(8)에 있어서는 웨이스트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슬림한 느낌의 웨이스트로 보정하며, 또 다리부(9)에 있어서는 다리부를 감싸도록 서포트해서 다리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또한 엉덩이 홈(4)과 신축용이성부분 C(3) 사이의 부분(10)(도 8참조)이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이 부분에 의해 힙업기능이 발휘되어 힙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거들이 제공된다.
다음에 도 10에 본 발명의 의료의 일형태인 스포츠용 타이츠 앞측에서 본 사시도를, 또한, 도 11에 그 뒤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10∼11에 나타낸 스포츠용 타이츠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비교하여 다는 점은, 다리부를 발목까지 커버하고 있는 보다 긴 타이츠이며, 따라서,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도 길게 발목까지 신장되어 있는 점이다. 그 밖의 점은 실질상 도 1∼2에 나타낸 거들과 같다. 그리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이외의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 형태로서는, 도 10∼11에 나타낸 스포츠용 타이츠 본체를 타이츠의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투웨이 파워넷으로 구성하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1), 신축용이성부분(2) 및 신축용이성부분(3)의 부분을 제외한 그 밖의 부분에, 보다 신축응력의 높은, 즉 상기 투웨이 파워넷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투웨이 파워넷을 안쪽으로부터 적층하여 봉제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이렇게 얻어진 스포츠용 타이츠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여, 도 19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쪽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늘어나서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B(2)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사타구니 홈을 중심축으로 하여 다리부와 동체가, く의 형태로 경첩과 같이 접어져서 각도가 작아지거나, 다리를 내리면 이 각도가 커지게 되어 사타구니 홈 근방을 커버하고 있는 천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거나 하지만, 이 신축에 신축용이성부분 B(2)가 충분히 추종하여 의료의 다리부가 윗쪽으로 밀려올라가거나, 밀려올라간 의료본체의 천이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이 되어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앉는 자세시에 있어서, 사타구니 홈 근방으로의 압박을 경감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스포츠용 타이츠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4)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6)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C(3)를 가지고 있다.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대전자를 축으로, 동체부와 다리의 각도(위치관계)가, 통상, く의 상태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의 동작에 의해, 스포츠용 타이츠 뒤측 상하단이 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지만, 신축용이성부분 C(3)는, 이러한 인장력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신축하므로, 스포츠용 타이츠의 웨이스트 부분이 아래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흘러 내리거나 스포츠용 타이츠의 뒷옷자락부가 윗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스포츠용 타이츠는 운동시에 타이츠가 좌우로 미끄러지거나(대퇴부에 밀착되어 있는 부분의 바탕천이 좌우나 비스듬히 벗어나서 이동하는 것), 비틀어지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한,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의 근수축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스포츠용 타이츠는 운동에 의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 B(2), C(3) 이외의 부분은 이들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복부 부분(7)에 있어서는 복부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복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웨이스트 부분(8)에 있어서는 웨이스트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슬림한 느낌의 웨이스트로 보정하며, 또 다리부(9)에 있어서는 다리부를 감싸도록 서포트해서 다리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또한 엉덩이 홈(4)과 신축용이성부분 C(3) 사이의 부분(10)이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이 부분에 의해 힙업기능이 발휘되어 힙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스포츠용 타이츠가 제공된다.
한편, 도 10∼11에 나타낸 스포츠용 타이츠는 발목길이(9부길이)의 타이츠이지만, 무릎아래 직후까지의 길이의 다리부를 갖는 6부길이의 타이츠나 무릎위 길이(5부길이)의 타이츠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도 1∼2, 도 5∼9에서 설명한 롱타입 거들의 응용의 관점에서 명백할 것이다.
다음에 도 12에 본 발명의 의료의 세미롱타입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12의 거들에 있어서는,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 형태로서는, 도 12의 거들 본체를 거들의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투웨이 트리콧으로 구성하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1)의 부분을 제외한 그 밖의 부분에, 보다 신축응력의 높은, 즉 상기 투웨이 트리콧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투웨이 파워넷을 안쪽으로부터 적층하여 봉제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이렇게 얻어진 세미롱타입의 거들은,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가지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여, 도 19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쪽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늘어나서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일어나기 어렵고, 거들의 다리부가 당겨서 앞옷자락이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거들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 이외의 부분은 이들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복부 부분(7)에 있어서는 복부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복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웨이스트 부분에 있어서는 웨이스트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슬림한 느낌의 웨이스트로 보정하며, 또 다리부(9)에 있어서는 다리부를 감싸도록 서포트해서 다리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거들이 제공된다.
다음에 도 13에 본 발명의 의료의 다른 일형태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앞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13에 나타낸 스포츠용 타이츠에 있어서는,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갖고 있고, 그리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이외의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 형태로서는, 도 13에 나타낸 스포츠용 타이츠의 본체를 타이츠의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투웨이 파워넷으로 구성하고, 상기 신축용이성부분(1)의 부분을 제외한 그 밖의 부분에, 보다 신축응력이 높은, 즉 상기 투웨이 파워넷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투웨이 파워넷을 안쪽으로부터 적층하여 봉제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이렇게 얻어진 스포츠용 타이츠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여, 도 19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쪽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늘어나서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기능이 발휘된다. 그리고, 이 스포츠용 타이츠는 운동시에 타이츠가 좌우로 벗어나거나(대퇴부에 밀착되어 있는 부분의 바탕천이 좌우나 비스듬히 벗어나서 이동하는 것), 비틀어지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한,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의 근수축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스포츠용 타이츠는 운동에 의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 이외의 부분은 이들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복부 부분(7)에 있어서는 복부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복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웨이스트 부분에 있어서는 웨이스트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슬림한 느낌의 웨이스트로 보정하며, 또 다리부(9)에 있어서는 다리부를 감싸도록 서포트해서 다리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스포츠용 타이츠가 제공된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스포츠용 타이츠는 발목길이(9부길이)의 타이츠이지만, 무릎아래 직후까지의 길이의 다리부를 갖는 6부길이의 타이츠나 무릎위 길이(5부길이)의 타이츠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한 것은, 도 12에서 설명한 세미롱타입의 거들의 응용의 관점에서 명백할 것이다.
다음에 도 14에 본 발명의 의료의 또 다른 형태의 롱타입의 거들 앞측에서 본 사시도, 또한, 도 15에 그 뒤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도 16은 도 14, 도 15에 나타낸 거들이 주로 뒤에서 앞쪽 옆 및 다리부에 사용할 수 있는 인체좌측의 옷의 길용의 바탕천의 재단전의 평면도이다.
도 14∼15에 나타낸 거들에 있어서는,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갖고 있고, 또한, 인체의 엉덩이 홈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거들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3)를 가지고 있다. 단, 이들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은, 바대에 의해 소망의 패턴으로 형성한 것이 아니고, 이 형태에서는, 편조직을 변화시켜서 분리편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한 형태이며, 특히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자카드편에 의한 편조직을 변화시켜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상으로 분리편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고, 또한, 짜임(wale)방향(짜임방향이란 경편에 있어서 실이 공급되는 방향, 바꾸어 말하면, 자카드편의 경편기에 의해서 짜여져서 경편기로부터 배출되는 바탕천의 배출 방향, 이 도 14∼16의 도면에서는 도면의 가로방향, 화살표 S로 나타낸 방향으로 된다.)으로 삽입되는 탄성사의 굵기를 영역마다 변화시키고, 편조직 변화에 의한 분리편성과, 삽입탄성사의 굵기의 영역마다의 변화를 조합시켜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한 형태이다. 도면중 일점쇄선은, 탄성사의 굵기가 변화되는 경계를 나타내고 있고, 실선은 자카드편에 의한 편조직을 변화시키고 있는 경계선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6에 있어서는, 거들이 주로 뒤에서 앞쪽 옆 및 다리부에 사용할 수 있는 인체 좌측의 옷의 길의 재단해야 할 아웃라인(단, 시접부분은 도시를 생략했다.)을 점선(A-B-C-D-E-F-G의 점선라인)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편조직 변화에 의한 분리편성 및 삽입탄성사의 굵기의 영역마다의 변화를 적용한 부분은, 뒤에서 앞쪽 옆 및 다리부에 사용할 수 있는 인체 좌우 각각의 측의 옷의 길의 부분이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신축용이성부분으로 해야 할 부분을 메쉬조 네트조직을 채용하고,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새틴조 네트조직을 채용하고 있고, 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의 새틴조 네트조직도, 이 형태에서는 3단계로 분리편성하고 있고, 보다 긴체력이 커지는 편성법의 부분(이하, 이 부분의 조직을 「새틴강」이라고 약칭한다), 긴체력이 중간으로 되는 편성법의 부분(이하, 이 부분의 조직을 「새틴중」이라고 약칭한다), 긴체력이 가장 약해지는 편성법의 부분(이하, 이 부분의 조직을 「새틴약」이라고 약칭한다)의 3가지의 편조직을 채용해서 분리편성하고 있다. 이들 분리편성의 구체적 방법은 일본 특허 제3023354호 공보에 기재되고 있고, 편성의 겉쪽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바꾸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고, 그 상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의 새틴조 네트조직에 있어서, 2바늘 이상의 양식이 들어간 비율이 많을수록, 보다 긴체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새틴강의 부분은, 일본 특허 제3023354호 공보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틴조 네트조직에 있어서, 1반복단위 중, 2바늘양식이 들어간 코스가 3곳 존재하고, 새틴중의 부분은, 동 공보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틴조 네트조직에 있어서, 1반복단위 중, 2바늘양식이 들어간 코스가 2곳 존재하며, 새틴약의 부분은, 동 공보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틴조 네트조직에 있어서, 1반복단위 중, 2바늘양식이 들어간 코스가 1곳 존재하는 형태로 한 것이다. 신축용이성부분으로 해야 할 부분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3023354호 공보의 도 10에 표시되는 바와 같은 메쉬조 네트조직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편조직에 의한 분리편성은, 자카드 제어장치를 갖는 경편기에 설치되어 있는, 피에조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굽힘변환기가 부착되어 있는 실 가이드바(guide bar)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2바늘양식 등의 편조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들의 상세한 것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5,390,512호(대응 일본 특허공개 평6-16206934호) 등에 설명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컬마이야텍스타일머신퍼블릭 GmbH회사 제품의 고속 자카드 라셀기 "RSJ 4/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우선, 도 16을 사용해서 짜임방향(도면의 가로방향, 화살표 S로 표시한 방향)으로 삽입되는 탄성사의 굵기를 영역마다 변화시키고 있는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영역 30과 영역 32에는, 28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섬유사(스판덱스사)가 삽입되어 있고, 이들 영역의 전체적인 긴체력을 강하게 하고 있다. 영역 31에는, 14O데니어의 폴리우레탄 섬유사(스판덱스사)가 삽입되어 있고, 이들 영역의 전체적인 긴체력을 약하게 하고 있다. 33의 일점쇄선은 영역 30과 영역 31의 경계선이며, 34의 일점쇄선은 영역 31과 영역 32의 경계선이다. 즉 영역 31은 복부나 엉덩이부 주변이 되는 영역이며, 엉덩이부의 둥근모양을 찌부러 뜨리지 않도록, 게다가, 이 부분은 착용자의 신체의 볼륨이 크므로 넓혀지기 쉽도록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의 신축파워 즉 긴체력을 모두 전체적으로 평균적으로 낮게 설정하고 있다. 영역 32는 다리부에 충당되는 부분이며, 대퇴부로부터 엉덩이부에 걸쳐서의 체형을 보정하기 위해서 이 부분의 신축파워 즉 긴체력을 모두 전체적으로 평균적으로 강하게 설정하고 있다. 이 부분을 강하게 설정해도, 그다지 착용감은 저하되지 않는다. 영역 30의 부분(39b, 40b 및 3b의 부분)은 면적적으로는 작으므로, 이 부분은 비교적 긴체력을 높게 설정하고 있다. 복부 충당부편(52)에 의한 복부 형상보정기능이 발휘되기 쉽도록 보조하고, 옆으로부터 뒤의 윗쪽부분을 피트시키기 위해서, 이 부분의 신축파워 즉 긴체력을 모두 전체적으로 평균적으로 강하게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자카드 라셀편의 편성 겉쪽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바꾸고, 새틴조 네트조직의 상기한 새틴강, 새틴중, 새틴약과 메쉬조 네트조직과의 분리편성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도 16에 있어서, 다리부 옷자락끝부분(35)을 파형상 모양으로 새틴약으로 하고, 약간 강한 긴체력으로 해서 옷자락이 밀려올라가는 등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36은 다리부 옷자락끝부분(35)의 파형상 모양의 경계선이다. 그리고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띠형상이고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방향의 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의 부분은 메쉬조 네트조직으로 하여 긴체력을 약화시키고 있고, 그 인체 내측에 충당되는 다리부내 옆부분(37)과 그 연장부분으로 복부 옆 약간 아래쪽에 충당되는 부분(37a), 마찬가지로 인체 내측에 충당되는 다리부내 옆부분(41)(도 16참조)과 인체 외측에 충당되는 다리부외 옆부분(38)은 새틴중으로 하고, 엉덩이부 밑에서 다리부 뒷쪽을 충당하는 부분(39)과, 그것이 앞쪽 옆측으로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는 부분(39a, 39b)은 새틴강으로 하여, 다리부의 피트성을 높이고, 넓적다리로부터 엉덩이부 밑의 형상을 보정하는 기능이 발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존재하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여, 도 19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측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늘어나서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기능이 발휘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의료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3)와 그 윗쪽의 연장부인 3b의 부분이 존재하고, 이들 부분은 메쉬조 네트조직으로 하여 긴체력이 약화되어 있고, 그 주위의 부분 즉, 힙 하부(40a), 힙 옆부(40), 뒷웨이스트 하부(40b)의 부분을 새틴중으로 하여 힙 융기부의 아래와 옆으로부터 힙의 형태를 보정하여 힙업기능을 발휘시키고, 뒷웨이스트 하부(40b)의 부분에서 피트성을 높이고 있다. 이상 설명한 메쉬조 네트 및 새틴조 네트(새틴 강, 중, 약 모두)의 편성사는 30데니어의 나일론 사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삽입되는 탄성사의 굵기는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의 복부 충당부편(52)은, 다른 천으로 하고, 이 부분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카드 라셀편으로 하여 편성을 40데니어의 나일론사로 이루어지는 새틴강의 편조직을 채용하며, 28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섬유사(스판덱스사)가 삽입되어 있는 바탕천을 사용하고, 봉제라인(53)에 있어서, 뒤에서 앞쪽 옆 및 다리부에 사용되는 옷의 길의 도 16의 대략 B-C의 라인으로 봉제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14, 도 15에 있어서의 웨이스트천(50)도 다른 천으로 구성되어 있고, 28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섬유사(스판덱스사)가 삽입되어 있는 착용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신축하는 40데니어의 나일론 원웨이 파웨넷 편물을 2번 접기로 하여 접은 금을 위로 하여 봉제라인(51)에 있어서, 복부 충당부편(52) 상부의 가장자리와, 뒤에서 앞쪽 옆 및 다리부에 사용되는 옷의 길인 도 16의 C-D라인으로 봉제하여 부착되어 있다.
뒤에서 앞쪽 옆 및 다리부에 사용할 수 있는 옷의 길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편조직 변화에 의한 분리편성[새틴조 네트조직(새틴 강, 중, 약)과 메쉬조 네트조직]과, 삽입 탄성사의 굵기의 영역마다의 변화를 조합시키고 있으므로, 각각의 조합법에 의해 긴체력이 달라지고 있다. 이 형태에서는 긴체력이 대략 7가지 단계로 분리된다. 참고로 그 긴체력이 강한 순①∼⑦로 나타내면, ①의 부분이 39와 39b의 부분이고, ②의 부분이 37, 38, 41, 40a, 40b의 부분이며, ③의 부분이 35, 3b의 부분이고, ④의 부분이 1의 부분이고, ⑤의 부분이 39a의 부분이며, ⑥의 부분이 37a, 40의 부분이고, ⑦의 부분이 3의 부분이다.
이렇게 얻어진 롱타입의 거들은,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A(1)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여, 도 19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쪽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1)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늘어나서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기능이 발휘된다.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일어나기 어렵고, 거들의 다리부가 당겨서 앞옷자락이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거들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는 부분에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이 실시예에서는,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용이성)인 신축용이성부분 C(3)를 가지고 있다.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대전자를 축으로, 동체부와 다리의 각도(위치관계)가, 통상, く의 상태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의 동작에 의해, 거들 뒤측 상하단이 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지만, 신축용이성부분 C(3)는, 이러한 인장력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신축하므로, 거들의 웨이스트 부분이 아래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흘러 내리거나 거들의 뒷옷자락부가 윗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거들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부 충당부편(52)에 있어서는 복부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복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웨이스트 부분에 있어서는 39b, 40b가 존재하여 웨이스트의 군살의 팽창을 억제하여 슬림한 느낌의 웨이스트로 보정하며, 또 다리부에 있어서는 다리부를 감싸도록 서포트해서 다리부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고, 또한 40a, 40의 부분이 신축용이성부분 C(3)의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이 부분에 의해 힙업기능이 발휘되어 힙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거들이 제공된다.
그리고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상으로 분리편성하는 것에 의해, 그 경계부에 단차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착용상태에서의 단차에 의한 요철의 발생이 없어 외관이 우수하며, 단차가 없으므로 촉감도 양호하고, 천의 적층에 의한 경우보다 통기성도 더 좋고, 따라서 착용감도 뛰어나며, 특히 자카드편에 의해 그 편조직을 바꾸고, 조직의 변화에 의해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상으로 분리편성함으로써, 환편품 등에 비하여 마무리 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해서, 같은 마무리 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소위 전염(傳染) 등의 흐트러짐이 생길 일이 없고, 내구성도 양호해서 편밀도를 크게 할 수도 있고, 생산성에도 뛰어나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자카드편에 의해 그 편조직을 바꾸고, 조직의 변화에 의해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상으로 분리편성하는 방법에 따르면, 패턴이 임의인 패턴으로 분리편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39a 및 39b의 부분이라든가, 40a, 40, 40b의 부분이라든가, 35의 부분이라든가, 37, 37a의 부분이라든가, 1의 부분이라든가, 38의 부분이라든가, 41의 부분과 같이 연속 띠형상이고 또한 커브된 패턴의 분리편성도 가능하게 된다. 연속 띠형상이란, 작은무늬 모양이 비교적 적은 틈을 두고 집합해서 그 집합부분을 거시적으로 보면 하나의 패턴이 되지만, 그러한 작은무늬 모양의 밀집체가 아니라, 그 하나의 패턴이 하나의 연속영역인 것 같은 띠형상이며, 게다가 그 패턴의 가장자리가 직선상이 아니라 곡선상으로 커브되거나, 혹은 띠형상물이 전체적으로 커브된 연속 띠형상 모양이며, 이들은 자카드편에 의해 그 편조직을 바꾸어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상으로 분리편성함으로써, 임의의 부분에 임의의 분리편성을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연속 띠형상이고 또한 커브된 패턴도 포함시켜서 소망의 패턴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분리편성된 패턴중에 꽃무늬 모양 기타의 작은무늬 모양이 분리편성에 의해 더 삽입되어 있는 것은, 상기 분리편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분리편성을 메쉬조 네트조직,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서 새틴조 네트조직(새틴 강, 중, 약)으로서 분리편성하는 형태를 채용했지만, 예를 들면 새틴조 네트조직만을 사용하고, 새틴 강, 중, 약, 더욱이는 그 이상의 강약 랭크를 붙여서 분리편성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도 11∼도 13을 사용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에 있어서는, ①의료본체를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의 겉쪽 및/또는 안쪽에 천을 적층하여,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한 형태의 것 외, ②예를 들면, 도 14∼도 16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편조직을 변화시켜서 분리편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는 방법, ③신축용이성부분을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상기 신축용이성 바탕천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바탕천으로 구성하여, 이 양자를 잇대어 붙여서 의료를 구성하는 방법, ④의료본체를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을 수지가공해서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는 방법 등, 적당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①은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통기성 등의 저하도 그다지 크지 않다고 하는 점에서는 바람직하고, 또한, ②의 방법은 천의 적층에 따르지 않고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경계부에 단차가 발생하는 일이 없어 착용상태에서의 단차에 의한 요철의 발생이 없어 외관이 우수하고, 단차가 없으므로 촉감도 양호하며, 천의 적층에 의한 경우보다 통기성도 더 좋고, 따라서 착용감도 뛰어나 매우 바람직하다. 특히 자카드편, 그중에서도 자카드 라셀편(자카드편기를 사용해서 뜬 라셀편)의 편성의 겉쪽에 나타나는 편조직을 바꾸고, 조직의 변화에 의해,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상으로 형성하며, 특히 상기 패턴중에, 종래의 오래된 자카드 편성기술로는 실현할 수 없었던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패턴이 들어가도 용이하게 분리편성할 수 있어,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의 경계에 실질상 단차가 없고, 따라서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단차가 보이고 만다는 문제가 없으며, 착용감도 좋으며, 착용자의 외관을 아름답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편품 등에 비해서 마무리 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해서, 같은 마무리 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소위 전염 등의 흐트러짐이 발생할 일이 없으며, 내구성도 양호하고, 편밀도를 크게 할 수도 있고, 생산성에도 뛰어나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는 메쉬조 네트조직,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서 새틴조 네트조직으로 하여 분리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리편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새틴조 네트조직만을 사용하고, 특허 제3023354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2바늘 이상의 양식이 들어간 비율의 많음과 적음으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분리편성하는 등의 분리편성법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예를 들면, 다리부는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의 신축파워 즉 긴체력을 모두 전체적으로 높게 설정해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분리편성하고, 복부나 엉덩이부 주변은 엉덩이부의 둥근모양을 찌부러 뜨리지 않도록, 게다가, 이 부분은 착용자의 신체의 볼륨이 크므로 넓혀지기 쉽도록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의 신축파워 즉 긴체력을 모두 전체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전체적으로 신축파워를 높이고 싶은 부분이나 낮추고 싶은 부분 중에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②와 같은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편조직을 변화시켜서 분리편성하는 방법의 중에는,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의 편조직을 다르게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지만, 사용되는 섬유사의 굵기나 종류를 변화시키거나, 편밀도를 변화시키거나, 삽입 및/또는 짜넣는 탄성섬유사의 굵기, 삽입비율 등을 변화시키는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도 포함된다.
④와 같이 의료본체를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을 수지가공해서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할 경우에 상기 수지가공으로서는, 도포(코팅), 함침, 수지필름의 적층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의료본체 바탕천의 겉쪽에 수지를 부착시키는 형태의 경우에는, 촉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외관, 디자인의 관점에서는 의료본체 바탕천의 안쪽에 수지를 부착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본체 바탕천의 표리 양면에 수지를 부착시키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의료를 구성하는 바탕천으로서는,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 모두, 신축성 투웨이 트리콧 편물 및 신축성 라셀편물(신축성 파워넷을 포함하는)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의 편물은 폴리우레탄섬유 등의 탄성섬유사가 적당히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비신축성의 편물이나 직물을 사용해도 좋다. 이들의 바탕천은 통상의 의료를 작성할 때에 사용되고 있는 정도의 두께, 예를 들면 약 0.3∼0.8㎜ 두께의 바탕천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시의 비례 등의 외관의 저하가 적고, 신체에 잘 피트되며, 통기성도 비교적 양호한 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파워넷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플레인 파워넷, 새틴 파워넷, 투웨이 라셀, "트리스킨"(우라베 가부시키가이샤의 상표) 등을 들 수 있다.또한, 도 14∼도 16에서 설명한 새틴조 네트나 메쉬조 네트는, 자카드편기로 짜여진 새틴조 파워넷이나 메쉬조 파워넷을 의미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의료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신축용이성부분을 구성하는 바탕천으로서는, 예를 들면 20∼5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섬유사 등의 탄성섬유사를 함유하는 투웨이 트리콧이나 메쉬조의 투웨이 파워넷 등이 바람직한 것의 대표예이다.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는 바탕천,내지는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기 위해서 적층하여 사용하는 바탕천으로서는, 예를 들면 120∼56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섬유사 등의 탄성섬유사를 함유하는 원웨이 내지 투웨이 파워넷, 원웨이 내지 투웨이 트리콧, 투웨이 라셀 등의 편물(여기서 원웨이란, 세로 또는 가로의 어느 한반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것을 의미하고, 투웨이란, 세로 및 가로의 2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이 바람직한 것의 대표예이다.
신축용이성부분이나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의 긴체력을 측정할 경우에는, 그 측정 방법으로서는, 인스트론형 만능인장력시험기(시마즈세이사쿠소 "오토그래프" AG-500D)를 사용하고, 인장속도 300±20㎜/min로 시료길이(붙잡음 간격)의 80%까지의 신장회복을 3회 반복하여, 3회째의 신장회복 때의 30% 신장시 및 회복시의 값이 이용된다. 특히 상기 회복시의 값이 이용되는 일이 많다. 시료의 크기는 폭 2.5㎝, 길이 16㎝, 상부 붙잡음 2.5㎝, 하부 붙잡음 3.5㎝, 인장간격 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크기의 시료가 측정대상의 의료로부터 잘라낼 수 없는 경우에는 그보다 작아도 지장이 없다. 단, 시료의 크기가 작을수록 측정 오차가 커지므로, 잘라낼 수 있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큰 시료를 채취해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측정대상이 되는 부분이 2장 이상의 바탕천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경우라든가, 탄성수지 등에 의해 수지가공(수지가공에는 탄성수지 필름의 적층도 포함된다)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경우와 같이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그 긴체력은 그 복합체 상태에서의 긴체력의 값이다.
또한, 긴체력의 측정을 행할 때의, 시료의 신장방향은 「소정 신축방향」이며, 「소정 신축방향」이란, 신축용이성부분 A 및 A-1은 그 폭방향이고, 신축용이성부분 B 및 C는 의료의 세로방향에 따른 방향이다.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방향의 중심위치는, 다리부 앞쪽의 세로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도 19의 (b)부분에 설명한 대퇴부 앞측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는 부분이 넙다리곧은근이 존재하는 부분이며, 넙다리곧은근 앞측의 세로중심선은, 의료의 다리부 앞쪽의 세로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바꿔 말하면,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방향의 중심위치는, 넙다리곧은근 앞측의 폭방향의 중심위치와 대략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 것이다.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은 대략 3㎝∼8㎝가 바람직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축용이성부분 A와 대략 병렬로,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대략 띠형상이고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을 가질 경우에는,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과 신축용이성부분 A-1의 폭의 합계가, 대략 3㎝∼8㎝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폭이 3㎝∼8㎝이란, 그보다 폭이 좁은 부분이나 약간 넓은 부분이 존재해서는 안된다고 하는 의미가 아니고, 예를 들면 볼록 렌즈의 단면형상의 형상과 같이 그 상하의 끝부의 폭이 좁아져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조금도 지장이 없다. 너무 이들의 폭이 지나치게 좁을 경우에는, 넙다리곧은근의 움직임, 거기에 따르는 대퇴부의 단면형상 변화에 의료 다리부가 추종할 수 어렵게 되어, 의료가 벗어나거나, 비틀어지거나 하고, 의료의 다리부가 당겨서 옷자락이 밀려올라가는 등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으로 된다. 또, 너무 폭이 지나치게 커도 조형성의 기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발생하고, 또한, 그다지 움직임이 크지 않은 부분의 미세한 피부의 움직임을 누르는 기능이 발휘되기 어려워지므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쉬어지는 경향으로 된다.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신축용이성부분 B를 더 갖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고, 그 경우의 신축용이성부분 B의 폭은 대략 1㎝∼1O㎝가 바람직하고, 너무 폭이 지나치게 좁으면,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했을 경우에, 의료의 다리부가 윗쪽으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밀려올라간 의료본체의 천이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이 되어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저하되는 경향으로 되고, 너무 장소가 지나치게 넓어도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에 있어서는,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 의료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과 힙의 융기부 정점 사이의 어느 하나의 위치보다 적어도 위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고,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를 더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축용이성부분 C가, 의료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혹은 앉았을 경우에, 대전자를 축으로, 동체부와 다리의 각도(위치관계)가 변화된다. 즉 상기 다리의 동작에 의해, 동체부와 발의 각도가, く의 상태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의료 뒤측 상하단이 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지만, 다시 말해, 웨이스트 부분은 아래쪽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흘러 내리려고 하고, 다리부의 옷자락끝은 위쪽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말려올라가려고 하지만, 신축용이성부분 C는 이러한 인장력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신축하므로, 의료의 웨이스트 부분이 아래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흘러 내리거나 의료의 뒷옷자락부가 윗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축용이성부분 C가, 의료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기능이 발휘됨과 아울러 엉덩이 홈과 신축용이성부분 C 사이의 부분이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이 부분에 의해 힙업기능이 발휘되어 힙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1) 본 발명의 가랑이부와 다리부를 갖고, 의료의 다리부는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는, 비교적 용이하게 신축하는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의료는, 상기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 상기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대략 띠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있고, 또한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렸을 경우에, 대퇴부의 근육, 특히 넙다리곧은근이 근수축하여, 대퇴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대퇴부 앞쪽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지만, 상기 신축용이성부분 A가 적어도 폭방향으로 늘어나서 이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고,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일어나기 어렵고, 의료의 다리부가 당겨서 옷자락이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의료는 상기 비교적 용이하게 신축하는 신축용이성부분 A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갖고 있고, 따라서 의료의 다리부는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에 있어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없고, 게다가 인체의 실루엣의 조형성도 유지한 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2) 또,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고 있고,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B를 더 갖고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술한 기능 이외에,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을 경우에, 사타구니 홈을 중심축으로 하여 다리부와 동체가, く의 형태로 경첩과 같이 접어져서 각도가 작아지거나, 발을 내리면 이 각도가 커지게 되어 사타구니 홈 근방을 커버하고 있는 천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거나 하지만, 이 신축에 신축용이성부분 B가 충분히 추종하여, 의료의 다리부가 윗쪽으로 밀려올라가거나, 밀려올라간 거들 본체천이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이 되어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앉는 자세시에 있어서, 사타구니 홈 근방으로의 압박을 경감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더 한층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인체의 실루엣의 조형성도 유지한 의료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3) 또,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 의료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과 힙의 융기부 정점 사이의 어느 하나의 위치보다 적어도 위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고,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를 더 갖고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술한 기능의 이외에,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거나 했을 경우에, 동체부와 다리의 각도가, く의 상태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의료 뒤측 상하단이 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지만, 신축용이성부분 C가 이러한 인장력에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신축하므로, 의료의 웨이스트 부분이 아래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흘러 내리거나 의료의 뒷옷자락부가 윗쪽(크로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더 한층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인체의 실루엣의 조형성도 유지한 의료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4) 또,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측의 세로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퇴부 앞측이 전방으로 크게 내뻗는 넙다리곧은근 앞측의 세로중심선이 의료의 다리부 앞쪽의 세로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방향의 중심위치는, 넙다리곧은근 앞측의 폭방향의 중심위치와 대략 일치하게 되어, 상술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 방지기능을 더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5) 또, 신축용이성부분 A와 대략 병렬로,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대략 띠형상이고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A-l)을 의료 다리부에 더 갖고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략 넙다리곧은근 상에 위치하는 신축용이성부분 A만으로는 모두 흡수할 수 없는 대퇴부의 움직임이나 그것에 따르는 근육의 형상변화를 신축용이성부분 A-1이 흡수하여, 대퇴부의 움직임에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어 상술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 방지기능을 더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6) 또, 의료본체를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의 겉쪽 및/또는 안쪽에 천을 적층하여,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에 적당한 바탕천을 적층하면 되므로,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비교적 용이하게 본 발명의 의료를 제조할 수 있고, 통기성 등의 저하도 그다지 크지 않은 의료로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7) 또, 신축용이성부분을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상기 신축용이성 바탕천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바탕천으로 구성하여, 이 양자를 잇대어 붙여서 의료를 구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6)에 나타낸 형태에 비하여 바탕천이 적층되어 있는 부분이 적어지므로, 보다 통기성이 양호하게 되고, 또한, 외관도 양호한 의료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8) 또,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편조직을 변화시켜서 분리편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이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천의 적층에 의하지 않고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경계부에 단차가 생기는 일이 없고, 착용상태에서의 단차에 의한 요철의 발생이 없어 외관이 우수하며, 단차가 없으므로 촉감도 양호하고, 천의 적층에 의한 경우보다 통기성도 더 좋으며, 따라서 착용감도 뛰어나 매우 바람직하다.
(9) 또,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자카드편에 의한 편조직을 변화시켜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상으로 분리편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천의 적층에 따르지 않고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경계부에 단차가 생기는 일이 없고, 착용상태에서의 단차에 의한 요철의 발생이 없어 외관이 우수하며, 단차가 없으므로 촉감도 양호하게 되고, 천의 적층에 의한 경우보다 통기성도 더 좋고, 따라서 착용감도 뛰어나며, 특히 자카드편에 의해 그 편조직을 바꾸고, 조직의 변화에 의해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상으로 분리편성함으로써, 환편품 등에 비하여 마무리 치수의 안정성이 양호해서 같은 마무리 치수의 것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소위 전염 등의 흐트러짐이 발생할 일이 없고, 내구성도 양호하며, 편밀도를 크게 할수도 있으며, 생산성에도 뛰어나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자카드편에 의해 그 편조직을 바꾸고, 조직의 변화에 의해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상으로 분리편성하는 방법에 의하면, 패턴이 임의의 패턴으로 분리편성되어, 연속 띠형상이고 또한 커브된 패턴의 분리편성도 가능해지고, 임의의 부분에 임의의 분리편성을 할 수 있으므로, 편조직을 바꾸어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상으로 분리편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소망의 패턴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0) 또, 의료본체를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을 수지가공해서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에 수지가공에 의해 수지를 부여하면 되고, 따라서 용이하게 본 발명의 의료를 제조할 수 있고, 천의 적층에 따르지 않고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경계부에 단차가 생길 일이 없고, 착용상태에서의 단차에 의한 요철의 발생이 없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의료본체 바탕천의 겉쪽에 수지를 부착시키는 형태의 경우에는, 촉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외관, 디자인의 관점에서는 의료본체 바탕천의 안쪽에 수지를 부착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11) 또,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이 대략 3㎝∼8㎝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옷매무새의 흐트러짐 방지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고, 게다가 인체의 실루엣의 조형기능이 저하될 우려도 없어 바람직하다.
(12) 또,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과 신축용이성부분 A-1의 폭의 합계가, 대략 3㎝∼8㎝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5)항에서 설명한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고, 게다가 인체의 실루엣의 조형기능이 저하될 우려도 없어 바람직하다.
(13) 또, 신축용이성부분 B의 폭이 대략 1㎝∼10㎝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발을 올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했을 경우에, 의료의 다리부가 윗쪽으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밀려올라간 의료본체의 천이 사타구니 홈 근방상에 주름이 되어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게다가 인체의 실루엣의 조형기능이 저하될 우려도 없어 바람직하다.
(14) 또, 신축용이성부분 C가, 의료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보다 약간 위의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3)항에 서술한 기능이 발휘되는 동시에, 엉덩이 홈과 신축용이성부분 C 사이의 부분이 신축용이성부분에 비해서 신축하기 어려우므로, 이 부분에 의해 힙업기능이 발휘되어 힙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는 기능도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15) 또, 의료를 구성하는 바탕천이, 신축성 투웨이 트리콧 편물 및 신축성 라셀편물로부터 선택된 편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이들 바탕천은 상기 본 발명의 의료의 비교적 용이하게 신축하는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렵고 조형기능을 발휘시키는데 바람직한 부분의 소재로서, 편밀도, 조직, 섬유사의 종류나 굵기, 삽입 또는 짜넣어지는 탄성섬유사의 굵기나 삽입 또는 짜넣기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 필요한 성능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고, 또한, 바탕천의 두께도 그다지 두터워지지 않고, 통상의 파운데이션 의료에 사용되고 있는 바탕천의 두께와 같은 정도의 두께이며, 따라서 위화감이 없이, 상기 성능을 갖는 본 발명의 의료가 용이하게 실현되어 바람직하다.
(16) 또, 의료가, 거들,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츠 및 팬티 스타킹으로부터 선택된 의료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이들의 의료는, 인체에 타이트하게 밀착시켜서 착용하는 의료이며, 옷매무새의 흐트러짐 등이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없고, 게다가 인체의 실루엣의 조형성도 유지시키는 본 발명의 성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는 의료여서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은, 거들,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츠, 팬티 스타킹 등의, 가랑이부와 다리부를 갖고, 의료의 다리부는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로서 유용하다.
Claims (16)
- 가랑이부와 다리부를 갖고, 의료의 다리부는 적어도 대퇴부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에 피트시켜서 착용하는 의료에 있어서, 상기 의료는 비교적 용이하게 신축하는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의료는, 상기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 상기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대략 띠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대퇴부 앞면측의 넙다리곧은근상 근방을 커버하고 있고,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 인체의 사타구니 홈을 따른 부분을 커버하고 있고,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B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으로서, 의료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과 힙의 융기부 정점 사이의 어느 하나의 위치보다 적어도 윗쪽 부분을 커버하고 있고, 적어도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C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다리부 앞쪽의 세로중심선보다 약간 옆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 A와 대략 병렬로, 의료의 대략 세로방향으로 긴 대략 띠형상이고 적어도 대략 그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용이성부분 A-1을 의료 다리부에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료본체를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의 겉쪽 및/또는 안쪽에 천을 적층하여,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을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상기 신축용이성 바탕천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바탕천으로 구성하여, 이 양자를 접합시켜서 의료를 구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편조직을 변화시켜서 분리편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자카드편에 의한 편조직을 변화시켜서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패턴상으로 분리편성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료본체를 신축용이성 바탕천으로 구성하고,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렵게 해야 할 부분을 수지가공해서 신축용이성부분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함으로써, 신축용이성부분과 그보다 신축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이 대략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5항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 A의 폭과 신축용이성부분 A-1의 폭의 합계가 대략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2항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 B의 폭이 대략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3항에 있어서, 신축용이성부분 C가, 의료 뒤측에 있어서, 인체의 엉덩이 홈보다 약간 윗쪽 부분으로부터 큰볼기근의 대략 상단 근방부분까지를 커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료를 구성하는 바탕천이, 신축성 투웨이 트리콧 편물 및 신축성 라셀편물로부터 선택된 편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료가, 거들,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츠 및 팬티 스타킹으로부터 선택된 의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7013234A KR100521605B1 (ko) | 2002-10-02 | 2001-01-29 | 의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7013234A KR100521605B1 (ko) | 2002-10-02 | 2001-01-29 | 의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5471A KR20020095471A (ko) | 2002-12-26 |
KR100521605B1 true KR100521605B1 (ko) | 2005-10-12 |
Family
ID=3900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13234A KR100521605B1 (ko) | 2002-10-02 | 2001-01-29 | 의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21605B1 (ko) |
-
2001
- 2001-01-29 KR KR10-2002-7013234A patent/KR1005216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5471A (ko) | 2002-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356745A1 (en) | Clothing | |
JP3023354B2 (ja) | 体型補整機能または筋肉サポート機能を有する衣類 | |
US7074204B2 (en) | Garment | |
JP3870232B2 (ja) | 衣料 | |
US5762535A (en) | Garment having the function of keeping an upward profile for the hip and buttock line | |
EP0599266B1 (en) | Garments | |
US20050022894A1 (en) | Elastic material having variable modulus of elasticity | |
KR20190008903A (ko) | 원통형 붕대 | |
KR100540739B1 (ko) | 체형 보정 기능을 갖는 의료 | |
JP3672796B2 (ja) | 衣料 | |
JP2002115102A (ja) | ずれ防止部改良衣料 | |
JP4589653B2 (ja) | 衣料 | |
JPH06166901A (ja) | パンティーアンダーガーメント | |
JP4063517B2 (ja) | 縁始末不要な裾を有する衣料 | |
KR100521605B1 (ko) | 의료 | |
WO2021153686A1 (ja) | ボトム衣料 | |
JP6037686B2 (ja) | 筒状経編物からなる衣料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474855B1 (ko) | 경편지를 사용한 신축성을 갖는 의류 | |
JP4311595B2 (ja) | 臀部裏打ち布を有する衣料 | |
JP4328695B2 (ja) | インナー・ウェア | |
PL178408B1 (pl) | Majtki jednorozmiarowe | |
JP2021116500A (ja) | ボトム衣料 | |
JP2022064699A (ja) | 水着 | |
JP2020165003A (ja) | ボトム製品 | |
JP2921735B2 (ja) | 股部を有する下半身用衣類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