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604A -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604A
KR20030051604A KR10-2003-7001196A KR20037001196A KR20030051604A KR 20030051604 A KR20030051604 A KR 20030051604A KR 20037001196 A KR20037001196 A KR 20037001196A KR 20030051604 A KR20030051604 A KR 2003005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eatment
single crystal
wafer
silicon single
crystal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5625B1 (ko
Inventor
코바야시노리히로
타마츠카마사로
나고야타카토시
Original Assignee
신에쯔 한도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쯔 한도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쯔 한도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modify their internal properties, e.g. to produce internal imperf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02Elements
    • C30B29/06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33/00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modify their internal properties, e.g. to produce internal imperfections
    • H01L21/322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modify their internal properties, e.g. to produce internal imperfections of silicon bodies, e.g. for gettering
    • H01L21/3225Thermally inducing defects using oxygen present in the silicon body for intrinsic get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자간산소를 함유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에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산소석출물을 갖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적어도 저항가열식 열처리로를 이용하여 열처리하는 공정과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열처리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웨이퍼 표층부에는 종래에 비하여 고품질의 DZ층을 가지며, 또한 벌크부에 충분한 밀도의 산소유기결함을 가지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INGLE-CRYSTAL SILICON WAFERS}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에는 디바이스의 특성상, 디바이스의 활성층으로 되는 표층부에는 결정결함이 없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디바이스 제작공정에는 디바이스 특성을 열화시키는 중금속오염이 유입되기 쉬운 공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중금속오염의 게터링 사이트를 웨이퍼부의 벌크부에 가지는 인트린식 게터링(IG, Intrinsic Gettering)효과가 높은 웨이퍼(IG웨이퍼)가 요구되고 있다.
웨이퍼 내부에 산소석출물 또는 이에 기인하는 전위 및 적층결함등 결정결함(이하, 산소유기결함이라 한다)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데 쵸크랄스키(CZ)법으로 제작된 격자간산소를 어느 정도의 농도로 함유하는 CZ실리콘단결정 웨이퍼에 대하여, 다단의 IG열처리(예컨데, 고온, 저온, 중온의 3단계열처리등)를 가함으로써 표층부에 DZ층을 형성하고, 벌크부에는 산소유기결함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IG능력이 높은 IG웨이퍼를 제작하면, 디바이스 활성층으로 되는 표층부에도 산소유기결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결점이 있었다. 이것은 IG능력이 웨이퍼내부의 산소석출물량(산소석출물밀도)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이를 높이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서 IG열처리를 실시하는 실리콘웨이퍼에 함유되는 격자간산소를 높게 하는 것이지만, 이에 의해 웨이퍼 표층부의 산소석출물도 증가하여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고밀도의 결정결함을 내부에 유기시키기 위해 열철리를 장시간 행하는 경우에는, 장시간 열처리에 의해 내부에 존재하는 산소유기결함은 크게 성장하여 디바이스 활성영역에까지 달하는 것도 있었다.
더욱이, CZ웨이퍼에는 CZ결정육성중에 형성되는 그로운인(grown-in)결함으로서는, 미소한 산소석출물외에, 원자공공의 집합체라고 생각되어지고 있는 공동형 결정결함(이하, 보이드 결함이라 칭한다(COP라고도 칭하고 있다)이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종래의 IG웨이퍼의 DZ층에는 여전히 보이드 결함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즉, DZ층(무결함층)이라고 하여도 실제로 무결함화(저결함화) 되는 것은 산소석출물에 기인하는 결함이며, 이러한 보이드 결함까지도 저감된 것은 없었다.
표면에서부터 어떤 특정깊이까지에는 결정결함이 없으며, 또한 표면에서부터 어떤 특정깊이보다 깊은 영역에는 산소석출물등의 게터링 사이트가 충분하게 존재하고, 우수한 게터링능력을 갖는 웨이퍼를 효율좋게 제작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우수한 게터링능력이 필요한 이유는, 디바이스공정에 있어서 수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중 하나로서 중금속불순물의 영향이 있기 때문이며, 웨이퍼 내부에 산소석출등의 게터링 사이트가 충분하게 형성되지 않으면, 게터링부족으로 되어 중금속이 디바이스 활성층에 포획되기 때문에 리-크전류 증가등 디바이스 특성의 열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물론, 디바이스공정의 모든 공정에서 청정도를 가질 수 있으면 이보다 좋을 수는 없지만, 실제에는 웨이퍼를 중금속오염등으로부터 완전하게 회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웨이퍼 내부에 게터링 사이트로 되는 산소유기결함을 충분히 형성할 것이 요망된다. 동시에, 디바이스 활성층으로 되는 웨이퍼표층부는 산소석출물이나 보이드결함등 결정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충분한 깊이로 존재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표층부에 무결함층(DZ층, Denuded Zone)을 가지며, 또한 벌크부에 충분한 게터링 사이트를 갖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RTA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3,4, 비교예5,6에서의 웨이퍼 표면부터의 연마량과 TZDB 양품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결과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웨이퍼 표층부에는 종래에 비하여 고품질의 DZ층을 가지며, 또한 벌크부에는 충분한 밀도의 산소유기결함을 가지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격자간산소를 함유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에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산소유기결함을 가지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적어도 저항가열식 열처리로를 이용하여 열처리하는 공정과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열처리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산소석출물등의 게터링 사이트를 벌크부에 형성하기 위한 석출열처리 및 웨이퍼표면의 보이드 결함을 제거하는 열처리로서, 저항가열식 열처리로(복수매의 웨이퍼를 한번에 처리가능한, 소위 베치로이며, 일반적으로는종형로(縱型爐)와 횡형로(橫型爐)가 있다)와,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통상은 매엽식(枚葉式)이고, 수초~수십초 정도에서 목적온도로 승강온(昇降溫)이 가능한, 소위 RTA(Rapid Thermal Annealing)장치이며, 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램프가열방식이 채용된 것도 많다] 양자를 이용하여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로 열처리를 조합(組合)시킴으로써 산소유기결함의 발생이 촉진되고, 보이드 결함이 저감된 영역(이하, 보이드 프리영역이라 한다)을 확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저항가열식 열처리로를 이용하는 열처리는 1000~1300℃, 10~300분 범위로 행하여지고,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를 이용하는 열처리는 1000~1350℃, 1~300초범위로 행하여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열처리에 이용하는 양장치의 열처리조건을 적절한 범위로 설정한 것이다. 이러한 범위보다도 저온측, 단시간측에서는 산소유기결함의 촉진과 보이드 프리영역의 확대효과가 불충분하게 되며, 역으로 고온측, 장시간측에서는 중금속오염에 의한 디바이스 특성열화가 현저하게 되고, 장치에 걸리는 부담이 크게 되므로 장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며, 쓰루-풋(through put)이 저하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코스트업(cost up)에 연결되므로 실용적이지 못하다.
나아가, 이 경우, 열처리를 행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로서, 질소농도가 1 ×1010~ 5 ×1015개/cm3범위로 도프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가 도프되면 그로운인 결함밀도가 크게 되지만, 크기가 작게 되기때문에 열처리를 가하면 표층부의 그로운인 결함을 효율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으며, 또한, 벌크부에서는 고밀도의 산소석출핵을 얻을 수 있다. 질소농도가 하한치 미만에서는 질소도프에 의한 상기 효과가 충분하게 얻을 수 없게 되는 한편, 상한치를 초과하면 결정육성시에 단결정화가 저해되어 진다.
또한 열처리를 행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로서, 탄소농도가 0.1~5ppma범위로 도프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소를 도프하는 것에 의해서도 산소석출을 촉진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ppma이상의 농도를 필요로 하며, 5ppma를 초과하면 질소의 경우와 동일하게 단결정 육성시에 단결정화가 저해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표층부에는 산소유기결함이나 보이드 결함등 결정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무결함층을 가지며, 또한, 벌크부에는 충분한 게터링 사이트를 가지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고품질의 DZ층을 웨이퍼 표층부에 가지며, 또한 벌크부에는 충분란 밀도의 산소석출물을 가지며, 높은 게터링능력을 갖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표층부에 결정결함이 없는 DZ층을 가지며, 벌크부에는 충분한 밀도의 산소석출물등 게터링 사이트를 가지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에 관하여, 예의조사하고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열처리장치로서, 적어도 저항가열식 열처리로와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를 이용하는 2단계공정으로 열처리를 실시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가능한 것을 발견하고 제조건을 선별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열처리는 적어도 저항가열식 열처리로와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를 이용하는 2단계공정으로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열처리장치의 열처리조건은 각종 실험결과, 열처리장치의 방식별로 다음과 같은 열처리조건에서 열처리를 행함이 좋음을 알아내었다.
저항가열식 열처리로를 이용한 열처리는 1000~1300℃, 10~300분 범위로 행하면 좋다. 나아가 이 조건하에서 웨이퍼 표층부의 그로운인 결함을 효율좋게 소멸시키기 위해서는, 1100℃이상, 1시간이상의 열처리가 바람직하다. 열처리분위기로서는 수소분위기, 아르곤등 불활성가스분위기,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분위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열처리후, 연속적으로 산화열처리를 행하면 전단(前段)의 열처리에서 보이드 결함의 내벽산화막이 외방(外方)확산에 의해 소멸하고, 그후의 산화에의한 격자간실리콘의 주입에 의해 보이드 결함이 효율좋게 소멸하므로 보이드 프리영역을 보다 깊게 형성할 수 있다.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RTA장치)를 이용하는 열처리는 1000~1350℃, 1~300초 범위로 행한다. 이에 의해, 웨이퍼 표면근방의 보이드결함(COP라고도 한다)을 효율좋게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의 산소유기결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효과를 효율좋게 얻기 위해서는 1200℃이상, 30~60초정도의 열처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산소유기결함을 증가시키기 위한 열처리분위기로서는 원자공공 및 격자간실리콘이 주입되는 질소 또는 산소 또는 그 혼합가스분위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2종류의 열처리장치를 이용한 열처리공정의 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열처리공정을 복수회 반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실리콘 웨이퍼 제조비용을 고려하면 각 공정을 각각 1회씩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열처리를 디바이스 제작프로세스중에 추가하거나, 디바이스 제작프로세스의 열처리와 병용하여 행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웨이퍼(열처리를 실시하는 웨이퍼)로는, 열처리후에 산소석출물이 벌크중에 형성되는 정도의 격자간산소를 함유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일 필요가 있다. 통상의 CZ웨이퍼, 또는 자장을 인가하여 인상된, 소위 MCZ웨이퍼이라면 수 ppma~30ppma(JEIDA(일본전자공업진흥협회)규격)의 격자간산소를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열처리후에 충분한 밀도의 산소석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15~25ppma가 바람직하다.
또한 질소나 탄소가 도프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이용함으로써 산소석출을 촉진하거나, 그로운인 결함 크기를 작게하여 열처리에 의해 소멸하기 쉬운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농도로서는 1 ×1010~ 5 ×1015개/cm3범위로 도프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질소가 도프되면 그로운인 결함 밀도가 크게 되지만, 크기가 작게 되기 때문에 열처리를 가하면 표층부의 그로운인 결함을 효율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벌크부에서는 고밀도의 산소석출물을 얻을 수 있다. 질소농도가 하한치 1 ×1010개/cm3미만에서는 질소도프에 의한 상기 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질 수 없는 한편, 상한치 5 ×1015개/cm3를 초과하면 결정육성시에 단결정화가 저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탄소농도에 대해서는 0.1~5ppma 범위에서 도프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탄소를 도프하는 것으로도 산소석출을 촉진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ppma이상의 농도가 필요로 하나, 5ppma를 초과하면 질소의 경우와 동일하게 단결정육성시에 단결정화가 저해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질소나 탄소가 소정의 농도로 도프된 탄소가 소정의 농도로 도프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CZ단결정을 인상할때, 원료실리콘을 용융하는 석영도가니중에 질화막부착 실리콘 웨이퍼를 소정량 투입하거나, 탄소봉을 실리콘융액에 소정면적으로 소정시간 접촉시키는등의 방법을 이용하면 되며, 각각의원소의 편석계수를 고려하여 계산함으로써 적절한 농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저항가열식 열처리로는, 복수개의 웨이퍼를 한번에 처리가능한 소위 배치로이며, 일반적으로는 종형로(縱型爐)와 횡형로(橫型爐)가 있다. 횡형 배치로로는 동경일록트론사 제품의 UL-260-10H와 같은 장치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아주 범용되고 있는 로이며,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로를 이용하여 열처리를 하면 된다.
다음으로,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는, 통상은 매엽식(枚葉式)이고, 수초~수십초 정도에서 목적온도로 승강온(昇降溫)이 가능한 소위 RTA(Rapid Thermal Annealing)장치이며, 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램프가열방식이 채용된 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서 예컨데, 슈티억 마이크로텍 인터네셔널사 제품, SHS-2800과 같은 장치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특별히 복잡한 것은 아니며 고가(高價)도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이용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은 RTA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의 열처리장치(10)은 석영으로 이루어진 챔버(1)를 가지며, 이 챔버(1)내에 웨이퍼를 열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가열은 챔버(1)를 상하좌우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된 가열램프(2)에 의해 행해진다. 이 램프는 각각 독립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스의 배기측은 오토셔터(3)이 장비되어 외기(外氣)를 봉쇄하고 있다. 오토셔터(3)에는, 게이트밸브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도시되지 않은 웨이퍼 삽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토셔터(3)에는 가스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노내분위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웨이퍼(8)은 석영트레이(4)에 형성된 3점지지부(5)상에 배치되어 있다. 트레이(4)의 가스 도입구측에는 석영제 버퍼(6)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입가스가 웨이퍼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챔버(1)에는 도시되지 않은 온도측정용 특수창이 설치되어 있으며, 챔버(1)의 외부에 설치된 파이로메터(7)에 의해 그 특수창을 통하여 웨이퍼(8)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열처리장치(10)에 의해 웨이퍼를 급속가열·급속냉각하는 처리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먼저, 열처리장치(10)에 인접하여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웨이퍼 핸들링장치에의해 웨이퍼(8)을 삽입구로부터 챔버(1)내에 장입하여 트레이(4)상에 배치한후 오토셔터(3)을 닫는다.
그리고 질소가스로 충분히 퍼지(purge)한후, 분위기가스를 수소, 아르곤, 또는 질소와 산소의 혼합가스로 하고, 가열램프(2)에 전력을 공급하여 웨이퍼(8)을 예컨데 1000~1350℃의 소정온도로 승온시킨다. 이때, 목적온도로 될때까지 요하는 시간은 예컨데 30초 정도이다. 다음으로, 그 온도에서 소정시간 보지함으로써 웨이퍼(8)에 고온열처리를 가할 수 있다. 소정시간 경과하여 고온열처리가 종료된후 램프 출력을 낮추어 웨이퍼 온도를 낮춘다. 이 온도도 예컨데 30초 정도로 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웨이퍼 핸들링장치로 웨이퍼를 취출(取出)함으로써 열처리를 완료한다.
더욱이, 열처리하는 웨이퍼가 있는 경우에는, 연이어 웨이퍼를 투입하여 연속적으로 RTA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RTA장치에 의해 열산화처리를 하는 경우는 열처리온도, 처리가스분위기등을 변경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4)
하기 2종류의 CZ실리콘 웨이퍼(A,B)를 제작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이하의 실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1: 웨이퍼A: 직경 150mm, 도전형 p형, 결정방위 <100>, 저항율 10Ω·cm, 질소농도 1.0×1013개/cm3(계산치), 산소농도 15ppma(JEIDA(일본전자공업진흥협회)규격).
실시예 2: 웨이퍼B: 직경 150mm, 도전형 p형, 결정방위 <100>, 저항율 10Ω·cm, 질소비도프, 산소농도 15ppma(JEIDA).
먼저, 이들 웨이퍼를 표준적인 세정(SC-1, SC-2, SC-1)을 행한후 횡형 배치로(동경 일렉트론사 제품, UL-260-10H)로 열처리하였다. 열처리조건은 1150℃, 4시간의 아르곤분위기(Ar100%)에서 행하였다. 웨이퍼를 취출(取出)한후 RTA장치(슈티억 마이크로텍 인터네셔널사 제품, SHS-2800형)에서 질소와 산소의 혼합가스분위기하, 1200℃, 30초의 열처리를 행한후, 산소석출물을 현재화(顯在化)시키기 위해 질소분위기에서 800℃, 4시간 + 1000℃, 16시간 열처리를 행하여 벌크중의 산소석출물 밀도 및 DZ층폭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이러한 열처리중 횡형 배치로 열처리만을 행한 웨이퍼(비교예 1: 웨이퍼A, 비교예 3: 웨이퍼B), 및 양열처리를 행하지 않은 웨이퍼(비교예 2: 웨이퍼A, 비교예 4: 웨이퍼B)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여기에서, 산소석출물 밀도의 측정은 OPP(Optical Precipitate Profiler)법을 이용하여 행하고, DZ층폭의 측정은 웨이퍼 표면에서부터 각도 연마를 행한후 그 각도연마면에 선택에칭을 실시하고, 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측정된 DZ층폭은 보이드 프리영역을 나타내는 값은 아니다.
이상의 열처리조건과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웨이퍼 종류 열처리공정 산소석출물 밀도(counts/cm3) DZ층의 폭(㎛)
실시예 1 A 횡형로 + RTA 5.1 ×109 35
비교예 1 A 횡형로만 6.3 ×108 65
비교예 2 A 없음 1.0 ×107 측정불가
실시예 2 B 횡형로 + RTA 1.0 ×108 측정불가
비교예 3 B 횡형로만 1.0 ×107 측정불가
비교예 4 B 없음 1.0 ×107 측정불가
[주] 웨이퍼A: 질소농도: 1.0 ×1013atoms/cm3, 산소농도 : 15ppma
웨이퍼B: 질소농도: 비도프, 산소농도 : 15ppma
이 결과로부터 질소도프된 결정으로부터 절출(切出)된 웨이퍼A를 열처리하면 질소도프되지 않은 웨이퍼B와 비교하여 산소석출물이 많이 존재하고, 더욱이 RTA처리를 함으로써 산소석출물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횡형 배치로의 열처리만을 행한 웨이퍼A(비교예1)는 산소석출물의 DZ층이 65㎛ 존재하지만, RTA처리가 추가된 웨이퍼A(실시예1)에서는 DZ층이 35㎛로 되었다. 이것은 RTA처리에 의해 산소석출물이 촉진된 결과, DZ층폭이 협소해진 것을 보여준다. DZ층폭이 협소하게 되는 것은 일견(一見), 불리한 효과인 것처럼 받아들여질 수 있으나, 디바이스 활성영역으로 되는 부분으로서 요구되는 폭은 기껏해야 10㎛정도이기 때문에 DZ층이 35㎛라면 충분하며, 그보다도 오히려 산소석출물밀도가 1자리 증가된 것에 의해 게터링능력 향상효과쪽이 커진다. 이에 대하여, 질소 비도프된 웨이퍼B(실시예2, 비교예3, 4)의 DZ층폭은 산소석출물밀도가 낮기 때문에 명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 열처리공정을 행하지 않은 웨이퍼A(비교예2)의 DZ층폭도 동일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
더욱이, 질소 비도프된 웨이퍼A의 벌크중의 결정결함을 TEM(투과전자현미경)관찰하였더니 RTA처리에 의해 전위가 발생함이 확인되었다. 이 전위는 게터링효과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실시예 3, 실시예 4)
저항가열식 열처리로에 의한 열처리를 가하여 RTA열처리에 의한 보이드 프리영역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2종류의 CZ실리콘 웨이퍼(C,D)를 제작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이하의 실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3: 웨이퍼 C: 직경 150mm, 도전형, p형, 결정방위<100>, 저항율 10Ω·cm, 질소농도 1.0×1013개/cm3(계산치), 산소농도 13ppma(JEIDA).
실시예 4: 웨이퍼 D: 직경 150mm, 도전형, p형, 결정방위<100>, 저항율 10Ω·cm, 질소농도 1.0×1013개/cm3(계산치), 산소농도 15ppma(JEIDA).
먼저, 이러한 웨이퍼를 표준적인 세정(SC-1, SC-2, SC-1)을 행한후, 횡형 배치로(동경 일렉트론사제품, UL-260-10H)로 열처리하였다. 열처리조건은 1200℃, 1시간의 아르곤분위기(Ar100%)에서 행하였다. 웨이퍼를 취출(取出)한후 RTA장치(슈티억 마이크로텍 인터네셔널사 제품, SHS-2800형)로 1200℃, 30초의 열처리(질소와 산소의 혼합가스분위기)를 행하였다. 비교로서, RTA열처리를 행하지 않은 웨이퍼C(비교예 5), D(비교예 6)(1200℃, 1시간의 Ar열처리만)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제작된 이러한 웨어퍼를 그 표면에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연마가공하고, 그 각각의 깊이에서의 산화막내압특성[TZDB(Time Zero Dielectric Breakdown)양품율]을 측정하였다. TZDB양품율은 보이드결함(COP)과 적당한 상호관련이 있으며, 보이드결함이 많으면 양품율이 저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TZDB 양품율의 측정에 있어서는 웨이퍼 표면에 25nm의 열산화막을 형성하고, 그위에 나아가 인(P) 도프 폴리실리콘전극(전극면적 8mm2)을 제작하고, 판정전류치를 1mA/cm2로 하여 절연파괴전계 8MV/cm이상의 것을 양품(良品)으로 하여 웨이퍼면내 100점(點)울 측정함으로써 양품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산소농도가 13ppma, 15ppma인 어떤 웨이퍼에 있어서도, RTA처리를 가함으로써 TZDB 양품율이 저하하는 깊이가 깊어지게 되는 것, 즉, 보다 깊은 곳까지 보이드 프리영역이 확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RTA열처리를 가함으로써 보이드 프리영역이 확대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저항가열식 열처리로에 의한 열처리로 RTA열처리를 가함으로써 보이드 프리영역이 확대되고, 게다가 실시예 1, 실시예 2의 결과로부터 벌크중의 산소석출물밀도의 증가나 전위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따라서 DZ층의 고품질화와 게터링능력 향상이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태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에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사상과 실적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에 포함된다.
예컨데,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경 6인치의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열처리하는 경우에 관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경 8~16인치 또는 그 이상의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는, CZ법으로 제조되었거나, MCZ법 또는 그밖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인가 여부를 불문한다.

Claims (5)

  1. 격자간산소를 함유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에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산소유기결함을 갖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적어도, 저항가열식 열처리로를 이용하여 열처리하는 공정과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열처리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가열식 열처리로를 이용하는 열처리는 1000~1300℃, 10~300분 범위에서 행하고, 상기 급속가열·급속냉각장치를 이용하는 열처리는 1000~1350℃, 1~300초 범위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를 행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로서, 질소농도가 1 ×1010~ 5 ×1015개/cm3범위로 도프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를 행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로서, 탄소농도가 0.1~5ppma 범위로 도프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실리콘단결정 웨이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단결정 웨이퍼.
KR1020037001196A 2000-07-28 2001-07-19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 KR100815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9522A JP2002043318A (ja) 2000-07-28 2000-07-28 シリコン単結晶ウエーハの製造方法
JPJP-P-2000-00229522 2000-07-28
PCT/JP2001/006274 WO2002011196A1 (fr) 2000-07-28 2001-07-19 Procede de fabrication de plaquette au silicium monocristall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604A true KR20030051604A (ko) 2003-06-25
KR100815625B1 KR100815625B1 (ko) 2008-03-21

Family

ID=1872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196A KR100815625B1 (ko) 2000-07-28 2001-07-19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05743B2 (ko)
EP (1) EP1313137A1 (ko)
JP (1) JP2002043318A (ko)
KR (1) KR100815625B1 (ko)
TW (1) TW508701B (ko)
WO (1) WO2002011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3708B1 (en) * 2000-09-22 2003-12-16 Mitsubishi Materials Silicon Corporation Silicon wafer,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heat treatment method of the same
JP2003077925A (ja) * 2001-08-31 2003-03-14 Sumitomo Mitsubishi Silicon Corp シリコンウェーハの製造方法及びシリコンウェーハ
DE10336271B4 (de) * 2003-08-07 2008-02-07 Siltronic Ag Siliciumscheib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4529416B2 (ja) * 2003-11-07 2010-08-25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単結晶ウェーハの製造方法及びシリコン単結晶ウェーハ
ATE504941T1 (de) * 2003-12-03 2011-04-15 Soitec Silicon On Insulator Prozess zum verbessern der oberflächenrauigkeit eines halbleiterwafers
JP2006261632A (ja) * 2005-02-18 2006-09-28 Sumco Corp シリコンウェーハの熱処理方法
JP2007149799A (ja) * 2005-11-25 2007-06-14 Shin Etsu Handotai Co Ltd アニールウェーハの製造方法およびアニールウェーハ
JP4853027B2 (ja) * 2006-01-17 2012-01-11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単結晶ウエーハの製造方法
JP4868880B2 (ja) * 2006-02-15 2012-02-01 富士通株式会社 シリコンウェーハの処理方法及びウェーハ処理装置
JP5239155B2 (ja) * 2006-06-20 2013-07-17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ウエーハの製造方法
DE602007004173D1 (de) 2006-12-01 2010-02-25 Siltronic Ag Silicium-Wafer und dessen Herstellungsmethode
DE102007009281B4 (de) * 2007-02-26 2013-03-14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Verfahren zum Erzeugen von Materialausscheidungen und Halbleitermaterialscheibe sowie Halbleiterbauelemente
JP5205810B2 (ja) * 2007-05-24 2013-06-05 株式会社Sumco シリコン単結晶ウェーハの製造方法
JP5276863B2 (ja) * 2008-03-21 2013-08-28 グローバルウェーハズ・ジャパン株式会社 シリコンウェーハ
JP5572091B2 (ja) 2008-08-08 2014-08-13 Sumco Techxiv株式会社 半導体ウェーハの製造方法
WO2012117711A1 (ja) * 2011-02-28 2012-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赤外発光素子の製造方法
US8907494B2 (en) 2013-03-14 2014-1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 leakage reduction in stacked integrated circuits having through-silicon-via (TSV) structures
DE112017003436T5 (de) * 2016-07-06 2019-03-21 Tokuyama Corporation Einkristalliner, plattenförmiger Siliziumkörp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6319635A (zh) * 2016-09-30 2017-01-1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六研究所 一种铈掺杂铝酸钇镥闪烁晶体光输出增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2535A (ja) 1988-07-21 1990-02-02 Kyushu Electron Metal Co Ltd 半導体デバイス用シリコン基板の製造方法
JP3144631B2 (ja) 1997-08-08 2001-03-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ン半導体基板の熱処理方法
JPH11251322A (ja) 1998-02-27 1999-09-17 Sony Corp エピタキシャルシリコン基板及び固体撮像装置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H11302099A (ja) 1998-04-21 1999-11-02 Sumitomo Metal Ind Ltd 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方法
JP4084902B2 (ja) 1998-05-01 2008-04-30 シルトロニ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シリコン半導体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711199B2 (ja) * 1998-07-07 2005-10-26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基板の熱処理方法
US6336968B1 (en) * 1998-09-02 2002-01-08 Memc Electronic Materials, Inc. Non-oxygen precipitating czochralski silicon wafers
JP4038910B2 (ja) 1999-01-08 2008-01-30 株式会社Sumco 半導体シリコンウェーハ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625B1 (ko) 2008-03-21
US20030164139A1 (en) 2003-09-04
JP2002043318A (ja) 2002-02-08
WO2002011196A1 (fr) 2002-02-07
US6805743B2 (en) 2004-10-19
TW508701B (en) 2002-11-01
EP1313137A1 (en)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625B1 (ko) 실리콘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
JP3711199B2 (ja) シリコン基板の熱処理方法
KR100829767B1 (ko) 고저항 실리콘 웨이퍼 및 이의 제조방법
US5939770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2396055B (zh) 退火晶片、退火晶片的制造方法以及器件的制造方法
US7803228B2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resistance silicon wafers and process for producing epitaxial wafers and SOI wafers
KR100581046B1 (ko) 실리콘 단결정 웨이퍼의 제조방법 및 실리콘 단결정 웨이퍼
EP2199435A1 (en) Annealed wafer and method for producing annealed wafer
KR100319413B1 (ko) 반도체 실리콘 에피택셜 웨이퍼 및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1684873B1 (ko) 실리콘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실리콘 기판
KR101822479B1 (ko) 실리콘 웨이퍼의 제조 방법
KR100971163B1 (ko) 어닐 웨이퍼 및 어닐 웨이퍼의 제조방법
KR20170117418A (ko) 실리콘 웨이퍼의 제조방법
KR101703696B1 (ko) 실리콘 기판의 제조방법 및 실리콘 기판
KR20030036694A (ko) 표층부에 보이드 무결함층을 갖는 직경 300㎜이상의실리콘단결정 웨이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15983A (ko) 실리콘 웨이퍼 및 그의 제조 방법
US7740702B2 (en) Silicon waf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029585A (ko) 탄소도프 실리콘 단결정 웨이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176414A (zh) 碳掺杂单晶硅晶圆及其制造方法
JPH1128894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RU2344210C1 (ru) Способ упрочнения бездислокационных пластин кремния
KR100734615B1 (ko) N-형 반도체 잉곳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59492A (ko) 웨이퍼의 게더링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