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438A - 방범 셔터 - Google Patents

방범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438A
KR20030048438A KR10-2003-7005352A KR20037005352A KR20030048438A KR 20030048438 A KR20030048438 A KR 20030048438A KR 20037005352 A KR20037005352 A KR 20037005352A KR 20030048438 A KR20030048438 A KR 20030048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shutter
pulley
slats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8324B1 (ko
Inventor
마이크 카디날
Original Assignee
마이크 카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 카디날 filed Critical 마이크 카디날
Publication of KR20030048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7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범 셔터는,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1), 상부헤드(3) 및 2개의 측면 문설주(2)로 만들어진 폐쇄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및 폐쇄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경계내의 수축된 위치로부터 상기 공간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확장 및 상승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복수의 세장 슬랫(4)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랫은 신축집게 기구의 형태로 된 복수의 교차된 제1 및 제2레버 아암을 포함하는 상승수단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문설주를 따라 안내되고, 상기 제1레버 아암은 상기 슬랫의 에지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아암은 종속레버(7)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방범 셔터 {ANTI BANDIT SHUTTER}
공공분야 특히, 돈을 주고 받거나 및/또는 귀중한 재화가 보관되는 장소에서 담당 작업자가 공격 및 간섭을 받는 일이 더욱 더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담당자는 필연적으로 불가피한 일상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중과의 접촉에 노출된다. 이러한 우려에 대처하기 위하여, 이러한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광범위한 보안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안제품은 알람시스템, 감시카메라, 월장방지장벽(anti-jump barrier), 경비원(static guard), 붙박이 유리창(fixed glazing) 및 상승식 보안스크린을 포함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보안 제품은 여러가지 한계 또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억지력의 한 형태를 제공하는 알람시스템은 주로 구조요청을 목적으로 설계되고 침입자를 막거나 담당자에 대한 공격을 방지할 수 없을 것이다. 유사하게, 감시카메라는 사건을 기록하고 제한된 양의 억지력을 제공한지만, 물리적인 폭력에 대하여는 어떠한 물리적인 장벽도 제공하지 않는다. 월장방지장벽은보호수단을 제공하지만 대중을 상대하는 담당자가 일상적인 행동에 간섭을 받게 되고, 공공분야의 많은 영역에서 심미적인 면에서 사회적으로 아직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경비원 및 붙박이 유리패널은 억지수단을 제공하지만, 설치가 비싸고 친근하고 자유로운 거래환경을 방해하고 작업 담당자와 일반 소비자 간의 영속적인 장벽을 제공하여 의사소통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담당자와 소비자간에 재화 및 돈의 전달과 관련되는 경우, 이러한 어려움이 더하게 된다. 상승식 스크린은 효과적인 보안장치이며 작업 담당자와 일반소비자 사이에 방탄 강철스크린(anti-ballistic steel screen)을 제공하여 작동된다. 이러한 스크린은 매우 비싸며 매우 복잡한 공압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용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장치이고, 상당한 경비로 작업환경에 전용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승식 스크린은 매우 효과적이고 능률적이지만, 전용설비에 필연적으로 따르는 비용 및 작동에 요구되는 고도의 조작수준은 그들을 카운터의 개장 및 전체적인 디자인의 통합을 포함하는 높은 설비비용이 정당화될 수 있는 은행 및 신용조합을 포함하는 고도의 위험환경에만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보통의 거래에서는 할 수 없으며 실제로, 담당자에게 치명적인 위협을 가하는 총 및 기타의 물건들을 가지고 있는 무장강도 또는 노상강도가 관련되는 장소에서만 일반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
상술된 매우 위험한 상황을 제외한 일반적인 상거래 상황에서, 대중의 공격적인 구성원에 의한 칼과 서린지 공격(syringe attack) 및 물리적인 폭력의 위협을 포함하는 물리적인 공격 및 위협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폭력에대한 보호의 정도가 중간레벨일 때, 전용상업환경디자인의 부분으로 방탄 보안스크린의 설치에 의존하지 않고도 비용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보안제품은 반드시 방탄제품일 필요는 없지만, 작업 담당자와 대중의 공격적인 구성원간의 즉각적으로 실시가능한 장애물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보호용 시스템은 최소한의 개장비용으로 현재의 상업환경을 개장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빠르게 활성화되고 눈에 띄지 않는 수축된 위치로부터 눈에 잘 띄는 위치로 상승하여 원하지 않는 침입 및 공격으로부터 사용자 개개인을 보호하는 보안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히 폐쇄된 셔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히 개방된 셔터의 측단면도;
도 3은 부분적으로 폐쇄된 셔터의 측단면도;
도 4는 완전히 폐쇄된 셔터의 측단면도;
도 5는 작동모터의 평면도;
도 6은 작동기구의 상세도;
도 7은 당김 풀리(draw-pully) 및 래칫(ratchet)의 도면;
도 8은 세장(elongate) 슬랫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는,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 상부헤드 및 2개의 측면 문설주로 만들어진 폐쇄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및 폐쇄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경계내의 수축된 위치로부터 상기 공간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확장 및 상승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복수의 세장 슬랫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랫은 신축집게 기구의 형태로 된 복수의 교차된 제1 및 제2레버 아암을 포함하는 상승수단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문설주를 따라 안내되고, 상기 제1레버 아암은 상기 슬랫의 에지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아암은 종속레버로 형성되는 방범 셔터를 제공한다. 슬랫은 상기 문설주에 제공된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승수단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협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승수단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경계내에 있는 납작해진 제1위치와 상기 확장된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문설주를 따라 상기 종속레버 및 부착된 슬랫을 점진적으로 상기 셔터의 상기 상부헤드까지 잡아당긴다.
상기 종속레버에는 그것의 제1끝단부상에 각 문설주 트랙에 형성된 슬랫과상호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롤러가 제공되어, 상기 상승수단은 수직으로 상기 문설주와 일직선으로 잡아당겨지고 펼쳐져서 개방 프레임내의 공간을 닫도록 문설주들 사이에서 슬랫을 잡아 당긴다.
상승수단은 상부헤드에 위치된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고 문설주 슬롯내에 위치된 당김 와이어에 의하여 그것에 연결된다. 가이드 및 부착된 슬랫은 모터의 작용에 의하여 수축된 위치로부터 상승된 위치로 능동적으로 이동되고 중력에 의하여 수축된 위치로 수동적으로 되돌아온다.
당김 와이어는 모터가 활성화됨에 따라 당김 와이어를 감는 당김풀리방식으로 모터와 상호작동할 수 있다. 풀리는 각 문설주에서 작동하는 상기 한 쌍의 당김 와이어를 수용하는 이중 스풀(spool)을 제공하기 위하여 2개의 플렌지 및 스페이서를 가질 수 있다. 스풀은 단일 층으로 점진적으로 당김 와이어를 감을 수 있는 치수로 만들어져, 모터의 초기 활성화시에는 당김 와이어를 감는 토오크가 높고/속도가 느리지만, 셔터가 완전히 확장된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토오크가 낮아지고/속도가 빨라지도록 움직인다. 당김 와이어는 풀리 축의 중심을 통과하고 개별적인 와이어를 형성하도록 양쪽으로 연장하는 단일 와이어로 제공될 수도 있고 공통 스풀상에서 움직이거나 개별적인 2개의 스풀상에서 움직이는 2개의 개별적인 와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당김풀리에는 폴이 래칫과 맞물릴 때 당김풀리를 회전하지 않게 확실히 록킹하기 위하여 관련된 폴과 상호작동하는 록킹래칫이 그 외연 주위에 제공될 수 있다. 폴은 셔터의 활성화의 적절한 단계에, 필요한 때에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셔터는 활성화시에 슬랫의 위치를 판정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슬랫이 완전히 수축되는 때를 판정하기 위하여 하부 하우징 근처에 위치된 제1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센서는, 활성화 이전에 또는 슬랫이 중력수축을 위하여 해제된 후에 슬랫이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슬랫이 수축된 위치에서 록킹되어 그들이 하부 하우징으로 다시 떨어질 때 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래칫 및 폴 시스템과 연결된다. 제2센서는 슬랫이 완전히 확장된 위치로 가거나 도달할 때를 검출할 수 있도록 문설주를 따라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센서는 그들이 완전히 확장된 상승위치에 도달하고 셔터의 상부헤드와 맞닿을 때, 슬랫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모터의 속도를 떨어트리기 시작한다. 잠재적으로 셔터의 잠재적인 난폭한 폐쇄의 충격을 더욱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또 다른 완충수단이 탄성 스토퍼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탄성스토퍼는 하부 하우징내에 슬랫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고무밴드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내에 유지되고 간섭 및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3센서는 슬랫이 완전히 확장된 상태에 도달 할 때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부헤드 근처의 문설주 상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3센서는 솔레노이드의 활성화에 의하여 당김풀리의 래칫을 록킹시키고 폴을 래칫과 맞물리게 하여 슬랫을 확실히 록킹하고 폐쇄된 셔터와의 강제적인 끼임(incursion) 또는 기타의 간섭을 방지한다.
범례
1 하부 하우징
2 측면 문설주
3 상부헤드
4 슬랫
5 수직 트랙
6 신축집게 가이드
7 종속레버 아암
8 제1끝단부
9 제2끝단부
10 중앙피벗
11 전용 가이드롤러
12 세장레벨슬롯
13 모터
14 당김 풀리
15 당김 와이어
16 제1플랜지
17 제2플랜지
18 수용채널
19 홀딩핀
21 제1센서
22 제2센서
23 제3센서
24 솔레노이드
25
26 래칫
27 평탄면
28 중간채널
29 단차에지
30 조정 풀리
31 셔틀
32 억제 밴드
33 톱커버
34 보호 스커트
35 하부 하우징 개구부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양한 카운터 및 여타의 대중접촉설비에 개장(retro-fitting)할 수 있도록 준비된 모듈유닛의 형태로 된 방범(anti bandit) 셔터를 제공한다. 이 셔터는 하부 하우징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올라가서 상부헤드(3)에서 끝나는 양쪽 문설주를 구비한 얕은 박스의 형태로 된 하부하우징(1)을 갖는 폐쇄된 프레임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하우징 상부헤드 및 2개의 수직문설주의 조립체는, 대중이 자유롭게 접근하기 위하여 개방되거나 또는 보안셔터의 다른 쪽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유해한 상황에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쉽게 폐쇄될 수 있는 한정된 공간을 카운터 또는 여타의 대중접촉장소에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폐쇄된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폐쇄된 프레임에는 본 발명의 한 특정 실시예에서 수평으로 방향이 잡히고, 모든 슬랫이 하우징(1)내에 넣어져 있는 제1수축위치와 슬랫의 조립체가 상기 공간을 완전히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확장위치(도 1에 도시됨)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세장 슬랫(4)이 제공된다.
도 2, 3, 4를 참조하여, 슬랫의 동작을 알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문설주(2)에는 수직 트랙(5) 및 각 문설주(2)에 인접하여 내면에 위치되는 한쌍의 가위나 신축집게형 가이드(6) 형태의 상승기구가 제공된다. 신축집게 가이드는 그것의 제1끝단부(8), 제2끝단부(9) 및 중앙피벗(10)에서 복수의 피벗에 의하여 슬랫(4)의 끝단 에지에 제공된 수용채널(18)에 한단 한단씩 상호연결되는 복수의 종속레버 아암(7)으로 이루어져서, 상승기구를 형성하는 교차레버의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랫(4)의 끝단 에지는 신축집게형 가이드를 형성하는 교차레버 상승기구의 활성적인 전체부분을 구성한다. 상승기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해지거나 하부하우징(1)으로 완전히 수축되어 있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측면 문설주(2)의 트랙(5)을 따라 제어되는 방식으로 당겨져서 확장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신축집게 가이드는 슬랫(4)과 관련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납작해진 제1위치에서 확장된 제2위치로의 상승기구의 움직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슬랫이 하우징(1)내에서 서로 최상부상에 놓여져 있는 완전히 수축된 제1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직평면에 모든 슬랫이 놓여지는 완전히 확장된 위치로 복수의 슬랫(4)을 들어 올리고 배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상승기구는 슬랫을 문설주의 높이까지 한단 한단씩 끌어 올리는 원활한 고도의 제어가능한 수단을 제공하여, 완전히 확장된 상태에서 최상부의 슬랫이 상부헤드(3)로 당겨져, 프레임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연속적인 일련의 슬랫을 제공하여, 본 발명의 셔터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므로, 원하지 않고 달갑지 않은 대중에 의한 시선 또는 물리적 횡단을 방지한다.
슬랫 및 종속레버 기구의 일체화는 매우 효과적이고, 가장 중요하며, 매우 안전하고 콤팩트한 기구를 보증하여 셔터가 닫힐 때 슬랫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계면은 문설주와 관련된 트랙시스템내에 직접적이고 통합적으로 록킹되어 폐쇄된 셔터에 고도의 안전성을 제공한다.
상승기구의 종속레버(7)에는 문설주(2)내에 형성된 슬롯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트랙(5)내에 끼워 맞춰지도록 된 전용 가이드롤러(11)들이 그것의 제1끝단부(8)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가 상기 슬롯과 상호작동하도록 되어 있어, 가이드가 문설주의 수직상태에 대응하는 곧바른 수직선으로 당겨 올려지고 펼쳐질 것이다. 전용 가이드롤러(11)는 종속레버의 제1끝단부에서 피봇팅된 후, 홀딩핀(19)의 방식으로 슬랫(4)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절한 수용채널(18)의 끝단부로 삽입된다. 홀딩핀은 수용채널(18)의 끝단부로의 스너그핏(snug fit)을 위하여 설계될 수도 있어, 핀은 수용채널에 대한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회전운동은 종속레버 및 가이드롤러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슬랫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문설주들 사이에서 대응하여 당겨 올려지고 회전되어, 프레임의 개구부를 막는다. 트랙(5)의 바닥부에는 완전히 확장된 셔터를 하우징(1)의 외부로 당겨 올리도록 하는 세장 하부슬롯(12)이 제공되어, 확장된 셔터의 최대 범위를 제공한다. 바닥부 종속레버에는 문설주의 얇은 슬롯으로 통과하는 세장 홀딩핀(19a)이 제공되므로, 슬랫이 끌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단부가 강제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최상 슬랫에는 하부하우징의 개구부(35)에 걸쳐 놓여지도록 되어 있는 톱커버(33)가 제공되어 셔터의 작동전에 하부하우징을 보호한다. 하부슬랫에는 셔터의 활성화 및 폐쇄시에 개방된 하부하우징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는 보호용스커트(34)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제, 도 5, 6, 7을 참조하면, 중앙위치에서 상부헤드(3)에 위치될 수 있는 모터(13)에 의하여 슬랫 및 하우징기구의 작동이 얻어질 수 있다. 모터에는 상부헤드를 따라 그리고 각각의 개별적인 측면 문설주(2)를 따라 한 쌍의 당김 와이어(15)를 감는 역할을 하는 당김풀리(14)가 제공된다. 당김풀리(14)는 스페이서 래칫(15) 및 제1플랜지(16)와 제2플랜지(17)를 갖는 스풀의 형태를 취한다. 플랜지와 스페이서 사이의 허용공간은 당김 와이어(15)를 한 줄감기로 감는데 충분하여, 당김 와이어의 감기는 당김풀리(14)상에서 당김 와이어를 감아올리므로, 당김풀리(14)의 주어진 회전속도에 대한 토크대 속도비를 변화시킨다. 당김 와이어는 풀리축을 통과하고 공통 스풀상으로 감겨지는 개별적인 와이어를 형성하도록 어느 한 면이 드러나는 단일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당김 와이어는 이중 스풀로 형성된 개별적인 전용 스풀상으로 감길 수 있다. 당김 와이어는 또한이중 스풀상으로 감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터가 슬랫을 당기기 시작하면, 당김 와이어는 완전히 확장되고 스풀의 작은 직경으로 풀리(14)상에 감기기 시작한다. 풀리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당김 와이어는 쌓이고 스풀의 유효직경이 증가하므로, 토크대 속도비가 작아지고 슬랫이 보안스크린으로 당겨지는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셔터의 작동이 높은 토크전달로 시작되어 슬랫의 정지관성을 극복하고 상부헤드로 슬랫을 당김에 따라 가속도를 제공하여, 작동의 종료를 향하여 셔터의 폐쇄속도를 증가시킨다.
당김풀리(14)에는 스풀을 분리시키는 스페이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래칫(26)이 제공된다. 래칫에는 솔레노이드(24)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폴(25)이 제공되어, 이것이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래칫 및 당김풀리(14)를 록킹시켜 셔터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당김풀리를 자유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활성화기구에는 직접적이고 고도의 확실한 동작이 제공되어 상승기구 및 슬랫의 이동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고 셔터에 대한 신뢰성 있고 확실한 작동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당김 와이어에는 조정 풀리(30)가 제공되어 슬랫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슬랫이 셔터의 상부헤드에 가깝게 당겨짐에 따라, 슬랫의 속도는 모터속도의 전자제어에 의하여 느려져서, 상기 유닛이 손상되지 않거나 셔터의 동작시에 불필요한 난폭한 동작을 하지 않도록 보증된다. 셔터의 작동은 슬랫이 완전히 수축된위치에 있을 때 모니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문설주의 하부 끝단에 위치된 제1센서(21)를 포함하는 센서들의 범위에 의하여 모니터 및 제어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센서는 당김풀리(14)의 활성화 및 록킹을 유발하여 폴(25)이 당김풀리의 래칫(26)과 맞물리도록 솔레노이드(24)가 활성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랫 및 셔터는 수축된 위치에서 록킹되고 적절한 승인이나 제어없이는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슬랫이 확장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로 되돌아갈 때, 슬랫을 록킹하도록 제공되어, 슬랫이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하부 하우징으로 떨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여하한의 튀어오름을 피할 수 있다. 제2센서(22)는 하부하우징과 상부헤드의 중간에 제공되어, 언제 슬랫이 상부헤드에 접근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모터의 속도를 떨어뜨려 슬랫이 상부헤드로 접근하여 셔터를 폐쇄할 때 슬랫의 불필요한 충격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 버퍼는 하부슬랫에 위치된 탄성밴드(32)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승기구가 최상부에 접근함에 따라 상승기구를 "잡도록" 되어 있다. 제3센서(23)는 상부헤드쪽에 위치될 수 있어, 슬랫이 완전히 확장되고 셔터가 완전히 닫힐 때, 래칫기구가 다시 활성화되어, 셔터가 완전히 록킹되고 적절한 승인없이는 열릴 수 없도록 보증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슬랫의 형상 및 구성이 도시되고, 여기서 슬랫은 실질적으로 세장의 평면 형상이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티타늄과 같은 경량의 내구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랫은 평탄면(27), 중간채널(28) 및 단차에지(29)를 포함한다. 슬랫의 전면은 셔터의 외부를 향하여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와 대중 사이의 높은 저항력이 있는 경계면을 제공한다. 채널(28)은슬랫에 높은 수준의 보강력을 제공하고, 단차에지(29)는 앞뒤로 이어지는 슬랫을 겹치도록한다. 상기 슬랫의 후방면에는 보강력을 더욱 제공하고 특히, 피벗지점에 대한 설치수단을 제공하는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나아가는 수용채널(18)이 제공되어, 슬랫이 상승기구의 일체부를 형성하도록 종속레버들과 상호연결된다.
사용시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범 셔터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대중접촉시설에 대하여 최소한의 간섭을 주면서 이러한 시설에 유용한 장비 및 설계에 대하여 용이하게 개장될 수 있다. 셔터는 완전한 작동유닛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하우징(1)이 브로셔, 팜플렛, 화초용 화분을 가지고 위장될 수 있는 카운터 최상부상에 은근하게 제공되는 카운터에 개장될 수도 있다. 일단, 셔터가 설치되면, 물론 이것은 통상적으로 슬랫이 하우징(1)으로 완전히 수축된 상태로 사용될 것이며, 모든 것은 의사소통 및 업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개방창이나 공간을 제공하는 폐쇄된 프레임이다. 필요하다면, 셔터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슬랫(4)을 재빠르게 감아 올리도록 각각의 스풀로 가이드 줄을 감기 위하여 모터를 활성화시키는 사용 담당자에 의하여 활성화될 수 있는 간단한 스위치에 의하여 유닛의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슬랫은 슬랫의 개방 및 폐쇄 및 상승을 제어하는 가위형 가이드의 한 섹터를 형성하는 각 슬랫을 구비하여 압출성형된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승기구가 활성화되고 문설주를 감아 올림에 따라, 이것이 불투명한 평면셔터를 형성하도록 당겨 올려지고 방향이 잡힌채로, 각 슬랫은 제어되고 견고하게 지지되는 방식으로 이동한다.
셔터의 제어된 동작은 슬랫의 어느 한 끝단에 그리고 문설주(2)의 경계내에위치된 2개의 상승수단의 제공에 의하여 보증된다. 당김 와이어는 문설주의 안내슬롯내에 구속되는 셔틀(31)을 이용하는 상승수단의 최상부에 부착되고, 회전핀 연결에 의하여 최상슬랫에 부착된다. 일단, 셔터가 활성화되면, 당김풀리 래칫이 해제되고 슬랫이 즉각적으로 문설주를 상승시키기 시작하고, 슬랫이 상부헤드에 접근함에 따라 증가된 속도로 가속된다. 셔터가 닫히면, 센서는 당김풀리 래칫을 활성화시키고 폐쇄된 셔터를 잠근다.
일단 셔터가 활성화되고, 위험이 알려지면, 스크린은 래칫을 해제하여 원래의 수축된 위치로 되돌려 내려보낼 수 있으므로, 슬랫을 수축된 위치로 하강시킨다. 래칫에는 안전스위칭이 제공될 수 있어, 슬랫의 하강은 스위치에 작업자에 의한 연속적인 가압을 필요로 하므로, 부주의한 스위칭의 해제가 슬랫의 하강 및 수축을 즉각적으로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최초로 관련시설에 최소한의 지장을 주면서 폭넓은 대중접촉상황에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개장될 수 있는, 현재의 시스템과는 기본적으로 상이한 디자인이며 중간 등급의 방범 셔터를 제공한다. 슬랫 재료의 강도가 기대되는 요건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셔터에 의하여 제공되는 보안의 등급은 주로 시각적인 불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는 최종 사용자에 의한 위험상황에 대한 매우 빨리 대응하도록 용이하게 동작될 수 있는 이산방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버튼을 누르면 모터가 활성화되고 몇분의 1초안에 슬랫이 폐쇄된 위치까지 당겨올려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칼, 서린지 또는 여타의 공격 형태에 의한 물리적인 폭력의 위협을 모면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및/또는 가해자의 주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당업자들은 대략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변경 및/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Claims (20)

  1.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 상부헤드 및 2개의 측면 문설주로 만들어진 폐쇄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범 셔터로서,
    상기 개방 및 폐쇄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경계내의 수축된 위치로부터 상기 공간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확장 및 상승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세장(elongate) 슬랫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랫은 신축집게 기구의 형태로 된 복수의 교차된 제1 및 제2종속레버 아암을 포함하는 상승수단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문설주를 따라 안내되고, 상기 제1종속레버 아암은 상기 슬랫의 에지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아암은 종속레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설주에는 상기 폐쇄된 프레임의 경계내의 상기 상승수단을 안내하기 위한 트랙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수단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경계내에 있는 납작해진 제1위치와 상기 확장된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문설주를 따라 상기 종속레버 및 부착된 슬랫을 점진적으로 상기 셔터의 상기 헤드까지 잡아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레버에는 그것의 제1끝단부에 상기 트랙과 상호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롤러가 제공되어, 상기 상승수단은 상기 프레임내의 상기 공간을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슬랫을 수직 방위로 상기 문설주와 일직선으로 펼치도록 잡아당겨지고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수단은 상기 문설주내의 위치된 모터로 당겨지는 와이어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수단은 상기 모터의 작용에 의하여 수축된 위치로부터 상승된 위치로 능동적으로 이동되고, 중력에 의하여 상기 수축된 위치로 수동적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는 모터가 활성화될 때, 상기 당김 와이어를 감는 당김 풀리방식에 의하여 모터와 상호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는 상기 풀리를 통과하여 하나의 스풀에 감기는 단일 와이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풀리는 이중 스풀설비를 갖추어 각 트랙내에서 작동하는 한 쌍의 상기 당김 와이어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또는 복수의 스풀들은 셔터의 활성시에 그 위로 감기는 풀리 와이어의 단일 층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지므로 상기 모터의 초기 운동은 시동토오크가 높고 당김 와이어의 감기는 속도가 느리지만, 셔터가 완전히 확장된 위치로 도달함에 따라 토오크가 낮고 감기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풀리는 상기 당김풀리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풀리와 결합되어 있는 록킹 래칫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은 솔레노이드로 활성화되는 폴에 의하여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상기 슬랫이 완전히 수축되는 때를 판정하고 상기 당김 풀리를 록킹하여, 중력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슬랫이 상기 하부 하우징으로 되돌아가는 동안 슬랫의 튀어오름(rebound)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슬랫이 확장 및 상승된 위치에 근접하는 때를 판정하여 완전한 확장될 때, 상기 상부 헤드에 대한 상기 슬랫의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모터의 속도를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완전히 확장될 때, 상기 상부 헤드에 대한 상기 슬랫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탄성 스토퍼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센서는 상기 슬랫이 완전히 확장되는 때를 판정하여 상기 당김풀리의 래칫이 록킹되도록 하여, 상기 슬랫이 강제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18. 제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에는 상기 상부헤드와의 정렬을 확보하도록 상기 슬랫의 레벨이 조정되도록 하는 조정 풀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에는 상기 셔터의 활성화 이전 및 활성화시에 상기 하부 하우징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는 보호용 스커트 및 톱커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설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셔터.
KR1020037005352A 2000-10-17 2001-10-16 방범 셔터 KR100768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R0828 2000-10-17
AUPR0828A AUPR082800A0 (en) 2000-10-17 2000-10-17 Anti bandit shutter
PCT/AU2001/001299 WO2002033209A1 (en) 2000-10-17 2001-10-16 Anti bandit shu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438A true KR20030048438A (ko) 2003-06-19
KR100768324B1 KR100768324B1 (ko) 2007-10-18

Family

ID=382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352A KR100768324B1 (ko) 2000-10-17 2001-10-16 방범 셔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53074B2 (ko)
EP (1) EP1330588B1 (ko)
JP (1) JP3661870B2 (ko)
KR (1) KR100768324B1 (ko)
CN (1) CN1214173C (ko)
AU (3) AUPR082800A0 (ko)
BR (1) BR0114714B1 (ko)
CA (1) CA2425914C (ko)
NZ (1) NZ524341A (ko)
WO (1) WO20020332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597B2 (en) 2004-09-09 2008-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D flash memory device and copyback program method for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3085B3 (de) * 2004-01-21 2005-09-15 Jauch, Heiner A. Verschattungssystem mit mehreren parallel angeordneten verschwenkbaren Lamellen
US9267320B2 (en) * 2004-10-13 2016-02-23 Mark Kitterman Panelless shutter
US8201609B1 (en) * 2004-10-13 2012-06-19 Mark Kitterman Panelless shutter
US9027628B2 (en) 2009-04-15 2015-05-12 Comfortex Corporation Interior shutter-blind for windows with stackable louvers
US9297202B2 (en) 2009-04-15 2016-03-29 Comfortex Corporation Interior shutter-blind for windows with stackable louvers
US8375635B2 (en) 2009-08-26 2013-02-19 Richard Hellinga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verhead sectional doors
US20110048292A1 (en) * 2009-09-01 2011-03-03 Ballista Industries, Ltd. Ballistic panel
JP2013002057A (ja) * 2011-06-13 2013-01-07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WO2014078439A2 (en) * 2012-11-14 2014-05-22 Comfortex Corporation Interior shutter-blind for windows with stackable louvers
BE1022442B1 (fr) * 2014-09-29 2016-03-31 Cockerill Maintenance & Ingenierie S.A. Trappe d'acces pour tourelle non habitee de vehicule blinde
CN105221047A (zh) * 2015-10-23 2016-01-06 李惠生 装配式遮阳装置
CN105464504A (zh) 2015-12-29 2016-04-06 希美克(广州)实业有限公司 储柜开关门平衡系统
CN105464556A (zh) * 2015-12-29 2016-04-06 希美克(广州)实业有限公司 具有升降式叶片门的储柜
CN105464565B (zh) * 2015-12-29 2017-11-21 希美克(广州)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升降式叶片门的储柜
CN106948740A (zh) * 2016-01-06 2017-07-14 南宁市海汇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连杆支撑式外遮阳卷帘系统的制作方法
KR101942802B1 (ko) * 2018-01-04 2019-01-29 주식회사 경동기업 곡선형 방화스크린 셔터 장치
DE202018106012U1 (de) * 2018-09-14 2018-10-31 Ludewig Gmbh Lamellensystem und Kastenmöbel
CN109113551B (zh) * 2018-10-31 2023-11-21 李健志 翻转装置及包含其的无槽卷帘门
US10731406B1 (en) * 2019-09-09 2020-08-04 Ascend Shutters Shutt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73829A (fr) * 1914-06-20 1915-01-27 Henri Maurice Barrallon Perfectionnements aux persiennes métalliques
US1708636A (en) * 1926-07-02 1929-04-09 Blind
US1744387A (en) * 1928-05-26 1930-01-21 Adolph T Johanson Window ventilator
US2135647A (en) * 1938-05-12 1938-11-08 Waldo M Streby Window shade
US2197445A (en) * 1938-05-16 1940-04-16 Malcolm P Youker Window shade
US2621723A (en) * 1951-03-14 1952-12-16 Nicholas L Etten Blind structure
US2760566A (en) * 1952-04-17 1956-08-28 Musheli Nicolas Venetian blind
US2754902A (en) 1955-03-11 1956-07-17 James R Attkisson Folding screen
US2957520A (en) * 1958-08-04 1960-10-25 Paul J Howard Venetian blind
US3034574A (en) * 1959-01-07 1962-05-15 Charles L Gerold Slatted closure device for windows
US3014525A (en) * 1959-05-15 1961-12-26 Bernard J Zytka Vertical slat type window blinds
US3578060A (en) * 1969-04-18 1971-05-11 Lloyd Spencer Vertically movable self-locking shutter
JPS548190B2 (ko) 1973-05-16 1979-04-13
US4085788A (en) * 1975-01-31 1978-04-25 Richard Gregory Bernardo Reinforcing means for roll-up shutter
FR2417414A1 (fr) * 1978-02-20 1979-09-14 Boiteau Gerard Reglage d'ensemble des volets d'aeration sur les betailleres
JPS5943115B2 (ja) 1980-04-03 1984-10-1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用キャビネット
IT1158117B (it) * 1982-06-09 1987-02-18 Elvana Piemonte Dispositivo a frizione per il sollevamento di avvolgibili
JPS59158693A (ja) 1983-03-01 1984-09-08 Canon Inc 撮像装置
CH664419A5 (en) * 1984-04-17 1988-02-29 Baumann Rolladen Venetian blind actuated by lazy tongs linkage - which brings the slats to the vertical position as blind is extended
US4658878A (en) * 1985-12-16 1987-04-21 Hough Manufacturing Corporation Acoustic type folding door with separate cover sections
JPS62173483A (ja) 1986-01-27 1987-07-30 Minolta Camera Co Ltd 転写紙分離ガイド装置
GB2220691A (en) * 1988-07-13 1990-01-17 Chan Ping Cheng Gate
JP2531407Y2 (ja) * 1989-05-12 1997-04-02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モータ駆動シャッタ
DE4020334C2 (de) * 1990-06-26 1994-01-20 Walter Roesler Wand- oder Dachelement mit einem rahmenartigen Traggestell und verschwenkbar gehalterten, plattenartigen Lamellen
JP3295743B2 (ja) 1993-06-18 2002-06-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吸着式冷蔵庫
US5351741A (en) * 1993-06-25 1994-10-04 Springs Window Fashions Division, Inc. Vertical blind with releasable carriage latch
IL109652A (en) * 1994-05-15 1997-06-10 Yedidia Hagai Louvered movable window shutter
JP3433557B2 (ja) 1995-02-02 2003-08-04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JP3341525B2 (ja) * 1995-03-14 2002-11-05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JP3430739B2 (ja) * 1995-03-28 2003-07-28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JP3395445B2 (ja) 1995-03-28 2003-04-14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JP2846603B2 (ja) 1995-07-06 1999-01-13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高速シヤッター及びその駆動方法
US5584331A (en) * 1995-11-29 1996-12-17 Lin; Kuo-Chung Shutter
JPH09177457A (ja) * 1995-12-25 1997-07-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ガレージ門扉
JP3358018B2 (ja) * 1995-12-28 2002-12-16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装置
US5867940A (en) * 1996-04-04 1999-02-09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Powered sliding device for a vehicle sliding door
KR0133267Y1 (ko) * 1996-05-14 1999-02-18 박호식 건물의 환기구용 셔터
JPH1030386A (ja) * 1996-07-17 1998-02-03 Sanwa Shutter Corp シャッタ−の捲上機構
NL1003721C1 (nl) * 1996-08-01 1998-02-05 Schaars Aluminium En Kunststof Sluitinrichting voor een opening in een bouwwerk.
DE19652577C2 (de) * 1996-12-17 1999-05-20 Kaeuferle Gmbh & Co Kg Sektionaltor zum Verschließen einer Wandöffnung
JPH10299363A (ja) 1997-04-30 1998-11-10 Nhk Spring Co Ltd シェード装置
US5931212A (en) * 1997-07-15 1999-08-03 Wayne-Dalton Corp. Motorized operator for doors
JP3569884B2 (ja) * 1997-08-20 2004-09-29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開閉戸における開閉機
AUPP371998A0 (en) * 1998-05-27 1998-06-18 Cassar, Frank Solid high speed door
JP4432176B2 (ja) * 1999-12-15 2010-03-17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FR2835277B1 (fr) * 2002-01-29 2005-02-18 Midi Moulages Plast Volet roulant a manoeuvre par sangle avec dispositif anti-relev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597B2 (en) 2004-09-09 2008-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D flash memory device and copyback program method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25914A1 (en) 2002-04-25
CN1479836A (zh) 2004-03-03
WO2002033209A1 (en) 2002-04-25
CN1214173C (zh) 2005-08-10
BR0114714A (pt) 2003-10-14
NZ524341A (en) 2003-07-25
BR0114714B1 (pt) 2011-10-04
AUPR082800A0 (en) 2000-11-09
EP1330588B1 (en) 2014-07-09
CA2425914C (en) 2009-05-19
EP1330588A1 (en) 2003-07-30
JP2004510905A (ja) 2004-04-08
US6953074B2 (en) 2005-10-11
KR100768324B1 (ko) 2007-10-18
JP3661870B2 (ja) 2005-06-22
AU2001295276B2 (en) 2006-07-20
EP1330588A4 (en) 2009-05-20
US20040011474A1 (en) 2004-01-22
AU9527601A (en) 200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324B1 (ko) 방범 셔터
AU2001295276A1 (en) Anti bandit shutter
EP1745192B1 (en) High load operation of an industrial roll door
DE102015101017B4 (d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Toranordnung sowie derartige Toranordnung und eine Sicherheitseinrichtung hierfür
WO2006106510A2 (en) Security gate
KR20150011888A (ko) 숨겨진 개폐식 난간을 갖는 발코니 창호
US6076303A (en) Filtering gate for the protection of a site, with linear parallel motion of the leaves of the doors
JPS6122144Y2 (ko)
EP3241975B1 (en) Motorized roller shutter
NL1022853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blokkeren van een kozijnopening om een ramkraak tegen te gaan, alsmede een kozijnopenin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JPS6225835B2 (ko)
CN201386498Y (zh) 防护隐形纱窗
DE19847266C1 (de) Sicherheitstür
JP2011226746A (ja) 既存店舗レジカウンター瞬間遮断蜜室型簡易式落下壁パネル防犯装置
US1082368A (en) Safety-barrier for windows.
GB2440994A (en) Security glazing panel
JPS5988584A (ja) 防犯ドア
CN2653084Y (zh) 一种互动连锁装置
CN101525976A (zh) 防护隐形纱窗
JPH1082250A (ja) 防犯カウンタユニット
JP2002180727A (ja) 面格子の人体感知式防犯装置
ITMI20000241U1 (it) Dispositivo di sicurezza anti sfondamento a scomparsa per evitare l'apertura forzata di cancelli porte e simili
WO2011054591A1 (en) Security apparatus
PT783069E (pt) Conjunto de balcao e postigo de seguranca compreendendo pelo menos uma parede blind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