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394A -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394A
KR20030046394A KR10-2003-7001217A KR20037001217A KR20030046394A KR 20030046394 A KR20030046394 A KR 20030046394A KR 20037001217 A KR20037001217 A KR 20037001217A KR 20030046394 A KR20030046394 A KR 20030046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
composition
agent
cellulos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베네스요
한손비다르
고달아슬라크
Original Assignee
포토큐레 에이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토큐레 에이에스에이 filed Critical 포토큐레 에이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3004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3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61K41/00615-aminolevulinic acid-based PDT: 5-ALA-PDT involving porphyrins or precursors of protoporphyrins generated in vivo from 5-A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docri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nfection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화학 요법제를 점막 부착제와 함께,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와 함께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의 치료 또는 진단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성물{Composition}
본 발명은 광화학 요법에 의한 상피로 내막 구성된 체표면, 특히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의 치료 또는 진단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광화학 요법 또는 또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광역학 요법(PDT)은 피부 또는 다른 상피 기관의 각종 이상 또는 장애, 특히 암 또는 전악성 병소뿐만 아니라, 특정 비악성 병소, 예를 들어, 건선과 같은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한 기술이다. 광화학 요법은 광감작제(광화학 요법제)의 신체의 환부에 적용시킨 다음, 광감작제를 활성화시켜 이를 세포독성 형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광활성화 광에 노출시킴으로써, 질환에 걸린 세포를 괴사시키거나, 이들의 증식 가능성을 감소시킴을 포함한다.
특히 프소랄렌, 포르피린, 클로린 및 프탈로시아닌을 포함한 광감작제의 범위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약물은 광에 노출될 경우 독성으로 된다.
광감작 약물은 다양한 메카니즘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들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정한 광감작제는 광에 의해 활성화 될 경우에 직접적으로 독성으로 되는 반면, 다른 것은 독성 종, 예를 들어, 단일 산소 또는 세포 물질에 대해 극도로 파괴성인 다른 산소-유래 유리 라디칼과 같은산화제 및 지질, 단백질 및 핵산과 같은 생체분자를 생성시키도록 작용한다. 프소랄렌은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광감작제의 예이고; 광에 노출시 이들은 DNA 분자의 2개 쇄 사이에 부가물 및 가교 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DNA 합성을 억제한다. 이들 요법에 따르는 불리한 위험은 원치않는 돌연변이유발성 및 발암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불리한 점은 작용의 대안적인 간접 방식을 갖는 광감작제를 선택함으로써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성 산소 종의 생성에 의해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포르피린은 돌연변이유발성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광화학 요법에 대해 보다 적합한 후보물에 해당한다. 포르피린은 헴의 합성에서 자연 발생하는 전구체이다. 특히, 헴은 철(Fe3+)이 효소 페로킬레이타제의 작용에 의해 프로토포르피린 IX(Pp)에 혼입될 경우에 생성된다. Pp는 극도로 강력한 광감각제인 반면, 헴은 광감작 효과를 미치지 않는다.
특정의 이러한 포르피린계 약물인 PhotofrinR은 최근 특정 암의 요법에서 광감작제로서 승인되었다. 주요한 불리한 점은 이는 비경구, 일반적으로는 정맥내로 투여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정맥내 주사 후에 몇주 동안 지속될 수 있는 피부의 광감작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PhotofrinR은 포르피린의 대형 올리고머로 구성되어 있어, 이는 국소 적용될 경우에 피부를 용이하게 침투하지 못한다. 유사한 문제점은 암 광화학 요법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또한 보고되어 있는 소위 "헤마토포르피린 유도체"(Hpd)와 같은 다른 포르피린계 광감작제에도 존재한다[참조예:S. Dougherty. J. Natl. Cancer Ins., 1974,52; 1333; Kelly and Snell, J. Urol, 1976,115: 150]. Hpd는 헤마토포르피린을 아세트산 및 황산으로 처리한 후, 아세틸화된 생성물을 알칼리로 용해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착체 혼합물이다. 명백하게는, 약물로서 정의되지 않은 혼합물을 사용하는데는 불리한 점이 존재한다. 또한, Hpd를 또한 주사에 의해 투여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PhotofrinR과 동일한 유형의 바람직하지 않은 광감작 결점으로 불리해진다.
이들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Pp의 전구체를 광화학 요법의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히, Pp 전구체인 5-아미노레불린산(ALA)을 특정 피부 암에 대한 광화학 요법제로서 조사하였다. 헴 합성의 제1 단계에서 석시닐 CoA 및 글리신으로부터 형성된 ALA는 한정된 범위로 피부를 침투할 수 있고, Pp의 국재화된 축적을 유도하며; 페로킬레이타제(금속화 효소)의 작용이 헴 합성에서 속도 제한 단계이기 때문에, 과량의 ALA는 광감작제인 Pp의 축적을 유도한다. 따라서, ALA를 피부 종양에 국소 적용한 다음, 몇시간 후에 종양을 광에 노출시킴으로써, 유리한 광화학 요법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참조예: 제WO91/01727호]. 기저 세포종 및 편평 세포 암종을 덮고 있는 피부가 건강한 피부보다 ALA에 의해 용이하게 침투되고, 페로킬레이타제의 농도가 피부 종양에서 낮기 때문에, ALA의 국소 적용이 종양에서 Pp의 선택적으로 증강된 생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ALA를 사용하는 광화학 요법이 항상 완전하게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ALA는 광범위한 종양 또는 다른 상태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효능으로 모든 종양 및 다른 조직을 침투할 수 없으며, ALA는 또한 약제학적 제형에서 불안정한 경향이 있다. 이들 문제점은 비정상 조직에 대한 향상된 선택도, 투여된 제제의 비전신적 국재화, 향상된 흡수율과 PpIX 생성율 및 투여시 감소된 통각과 같은 유리한 특성을 나타내는 ALA 에스테르의 사용에 의해 어느 정도 극복되었다[참조: 제WO96/28412호]. 데이터베이스 Xfire, 엔트리 3060978, 5347132, 5499790, 5620924, 5633390, 5991317 및 6517740(Belistein); Cosmo Sogo Kenkyusho KK, Patent Abstracts of Japan, Vol 16; No. 156 (C-0930), 16.4.1992; EP-A-316179(Tokuyama Soda KK); GB-A-2058077(Hudson et al) 및 DE-A-2411382(Boehringer Sohn Ingelheim)는 5-아미노레불린산의 알킬 에스테르 유도체, 이의 유도체 및 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을 기술한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모든 이상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데 소정의 제한을 여전히 나타내며, 따라서, 이상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보다 우수한 광화학 요법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귀착하여, 특히 상피로 내막 구성된 체표면, 특히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치료에 향상된 특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에 광화학 요법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이르러, 놀랍게도 생체 부착제, 특히 점막 부착제의 광화학 요법제와의 병용은 상피로 내막 구성된 체표면, 특히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 상의 이상, 장애 또는 상태의 치료 또는 진단에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생체 부착제는 특이적 생물학적 위치에의 고정화를 유발하는 계면력에 의해 장기간 동안 생물학적 특성의 물질과의 상호작용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분자의 부류이다. 부착은 일반적으로 정전기력, 반 데르 발스 힘, 수소 결합 및 소수성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하지만 비특이적인 메카니즘에 의해 달성된다[당해 주제에 대한 개관을 위한 참조예: Lehr, 1996, Eur. J. Drug Metab. Pharmacokin., 21(2), p139-148; Lehr, 1994, Crit. Rev. Therap. Drug Carrier Syst., 11(2&3), p119-160].
점막 부착제는 점액, 특히 점액 층에 존재하는 당단백질 뮤신에 결합하는 생체 부착제의 특이적 부류이다. 점액은 눈, 귀, 코 및 입에서 생성된다. 이는 또한 주로 보호 및 윤활을 위해 호흡관, 위장관 및 생식관에 내막을 형성한다. 점액막(점막)은 다양한 두께일 수 있으며, 평활하거나 거칠 수 있으며, 융모, 미세융모 또는 섬모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뮤신에의 점막 부착제의 부착은 주로 뮤신 변환을 통해 제거가 발생하기에 충분하게 강하며, 즉 보다 약한 결합은 뮤신-점막 부착제 결합보다 뮤신-뮤신 결합이다. 또한, 점막 표면에 대한 친화성을 나타내는 특정 제제는 특이적 수용체-매개된 상호작용에 의해 점액 층, 예를 들어, 렉틴 아래에 존재하는 상피 세포에 결합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점막 부착제"는 점막 표면에 대해 친화성을 나타내는, 즉 결합이 점막 및/또는 점막 아래에 존재하는 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든 아니든 결합의 형성(일반적으로 자연에서는 비공유)의 형성을 통해 표면에 부착하는 제제를 의미한다.
제1 국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광화학 요법제 및 점막 부착제를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와 함께, 임의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점막 부착제는 자체로 담체 또는 부형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추가의 담체 또는 부형제가 임의로 존재한다는 것은 본원에서의 논의로부터 인지될 것이다.
추가의 국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광화학 요법제를 점막 부착제와 함께,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와 함께 포함하는,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의 치료 또는 진단용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는 광화학 요법제의 단독 사용과 비교할 경우에 증강된 광화학 요법을 달성한다.
달리 살펴보면, 본 발명은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의 치료 또는 진단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점막 부착제와 함께,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와 함께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와 함께 광화학 요법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와 함께 광화학 요법제 및 점막 부착제의 신규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조성물 중의 이들 상이한 성분은 상이한 경로에 의해 및/또는 상이한 시간에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의 국면으로부터 살펴보면, 본 발명은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을 치료 또는 진단하는데 동시에, 개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복합 제제로서, 광화학 요법제 및 점막 부착제를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을 치료 또는 진단하는데 동시에, 개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와 함께 광화학 요법제 및 점막 부착제의 용도는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을 형성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광화학 요법제"는 광감작성인 제제, 즉 광감작제이며, 광활성화 광의 적용시 세포독성 형태로 전환되거나 세포독성 종을 생성시키는 제제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광감작제는 프솔랄렌, 클로린, 프탈로시아닌 또는 포르피린 또는 프로토포르피린의 구조 전구체인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예를 들어, 자연 발생 전구체) 및 광화학 요법제로서 작용하는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ALA, 포르포빌리노겐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예를 들어, ALA 에스테르)이다. 이와 같이, 적합한 제제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HpD;
헤마토포르피린, 예를 들어, PhotofrinR(Quadra Logic Technologies Inc.,Vancouver, Canada) 및 헤마토포르피린 IX(HpIX);
Photosan III(Seehof Laboratorium GmbH, Seehof, Wesselburenerkoog, Germany);
클로린, 예를 들어, 테트라(m-하이드록시페닐)클로린(m-THPC) 및 이들의 박테리오클로린(Scotia Pharmaceuticals Ltd, Surrey, UK), 모노-L-아스파르틸 클로린 e6(NPe6)(Nippon Petrochemical Co., CA, USA), 클로린 e6(Porphyrin Products Inc.), 벤조포르피린(Quadra Logic Technologies Inc., Vancouver, Canada)(예를 들어, 벤조포르피린 유도체 일산 환 A, BPD-MA) 및 푸르푸린(PDT Pharmaceuticals Inc., CA, USA)(예를 들어, 주석-에틸 에티오푸르푸린, SnET2);
프탈로시아닌(예를 들어, 설폰화시킬 수 있는 아연-(Quadra Logic Technologies Inc., Vancouver, Canada), 특정 알루미늄- 또는 규소 프탈로시아닌, 특히 설폰화 프탈로시아닌, 예를 들어,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디-설포네이트(AlPcS2a) 또는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테트라-설포네이트(AlPcS4));
포르피센;
하이포크렐린;
프로토포르피린 IX(PpIX);
헤마토포르피린 디-에스테르;
우로포르피린;
코프로포르피린;
듀테로포르피린; 및
폴리헤마토포르피린(PHP),
루테튬 텍사피린(Lu-Tex),
ALA,
포르포빌리노겐,
ALA 에스테르,
및 이의 전구체 및 유도체.
바람직한 국면에 있어서, 광화학 요법제는 ALA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전구체"는 제제로 대사적으로 전환되므로, 제제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제제에 대한 전구체, 예를 들어, ALA이다. 이와 같이, 용어 "전구체"는 헴 생합성에 대한 대사 경로에서 프로토포르피린에 대한 생물학적 전구체를 포함한다. "유도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화학적으로 개질된 제제, 예를 들어, 에스테르,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ALA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광화학 요법제는 5-아미노레불린산(ALA) 또는 이의 유도체(예를 들어, ALA 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하게는, ALA, ALA 에스테르 및 이의 유도체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한다.
R2 2N-CH2COCH2-CH2CO-OR1
상기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O-, -NR3-, -S- 또는 -PR3- 그룹에 의해 임의로 차단될 수 있는 임의로 치환된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그룹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C1-6 알킬 그룹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용어 "알킬"은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실옥시, 니트로, 알콕시카보닐옥시, 아미노, 아릴, 옥소, 할로(예를 들어,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 그룹, -SR3, -NR3 2또는 -PR3 2그룹(여기서, R3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에 의해 임의로 일치환 또는 다치환된 임의의 장쇄 또는 단쇄,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그룹을 포함한다. 불포화 알킬 그룹은 단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될 수 있고, 알케닐 및 알키닐 그룹을 둘 다 포함한다. 이러한 그룹은 40개 이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30개 이하, 예를 들어, 7 내지 3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20개 이하, 예를 들어, 10개 이하, 예를 들어, 3 내지 1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그룹이 바람직하다. 특히, 10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포화 탄화수소, 예를 들어, 헥실, 헵틸 또는 옥틸 그룹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달리 저급 알킬, 예를 들어, 메틸, 에틸 및 프로필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바람직하게는 C6-7이고,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한다.
치환된 알킬 그룹은 일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합한 그룹 R1및 R2는, 예를 들어, 비치환된 알킬, 알콕시알킬, 하이드록시알콕시알킬, 폴리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 폴리알킬렌옥시알킬, 옥사알킬, 폴리옥사알킬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아실"은 카복실레이트 및 카보네이트 그룹을 둘 다 포함하고, 이와 같이, 아실옥시 치환된 알킬 그룹은, 예를 들어, 알킬카보닐옥시 알킬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그룹에서, 임의의 알킬렌 잔기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그룹에 대해 본원에서 정의된 탄소원자 함량을 갖는다.
바람직한 치환된 알킬 R1그룹은 하나 이상의 옥소 그룹을 갖는 것, 바람직하게는 1개, 2개 또는 3개(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 옥소 그룹에 의해 치환된 직쇄 C4-12알킬(예를 들어, C8-10알킬) 그룹을 포함한다. 이러한 그룹의 예는 3,6-디옥사-1-옥틸 및 3,6,9-트리옥사-1-데실 그룹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특히 바람직한 치환된 알킬 R1그룹은 아릴 그룹에 의해 치환된(바람직하게는 말단 치환된) C1-6알킬, 바람직하게는 C1-4알킬, 특히 바람직하게는 C1또는 C4알킬(예를 들어, 메틸)을 포함한다. 바람직한아릴 그룹은 페닐, 디페닐 및 모노사이클릭 5-7원, 예를 들어,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특히 페닐을 포함하고, 이러한 그룹은 자체로, 예를 들어, 1개 이상의(예를 들어, 1개 또는 2개) C1-6알킬 그룹(바람직하게는 C1-4알킬, 예를 들어, 메틸), 알콕시(예를 들어, 메톡시), 니트로,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적합한 헤테로방향족 그룹은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헤테로방향족 그룹은 피리딘이다.
대표적인 치환된 알킬 그룹 R1및 R2는 알콕시메틸, 알콕시에틸 및 알콕시프로필 그룹 또는 아실옥시메틸, 아실옥시에틸 및 아실옥시프로필 그룹, 예를 들어, 피발로일옥시메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화합물은 R1및/또는 R2, 바람직하게는 R1이 비치환된 알킬 그룹 또는 아릴 치환된 알킬 그룹(예를 들어, 벤질 그룹)이고, 아릴 그룹 자체가 또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R1은 C1-16알킬 그룹, 예를 들어, C6알킬 그룹 또는 벤질 그룹이고, 이들 둘 다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화합물은 ALA 에스테르이며, 즉 R1은 상기한 바와 같고, N-말단에서 R2그룹은 수소원자이다.
비유도체화 ALA 및 ALA 에스테르(즉, 각각 R1이 수소원자인 경우 또는 수소원자가 아닌 경우)는 또한 바람직한 광화학 요법제를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R1이 비치환된 알킬 그룹(예를 들어, C1-6알킬) 또는 아릴 그룹(예를 들어, 페닐)에 의해 치환된 알킬 그룹(예를 들어, C1-2알킬)이고/이거나 R2가 수소원자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1-메틸펜틸 ALA 에스테르, p-이소프로필벤질 ALA 에스테르, p-메틸벤질 ALA 에스테르, 벤질 ALA 에스테르, 2-페닐에틸 ALA 에스테르, 헥실 ALA 에스테르, 사이클로헥실 ALA 에스테르, 4-메틸펜틸 ALA 에스테르, p-[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ALA 에스테르, p-[t-부틸]벤질 ALA 에스테르, p-니트로벤질 ALA 에스테르, 1-에틸부틸 ALA 에스테르, 2-메틸펜틸 ALA 에스테르, 4-페닐 부틸 ALA 에스테르, p-플루오로벤질 ALA 에스테르, 3,3-디메틸-1-부틸 ALA 에스테르, 2-플루오로벤질 ALA 에스테르, 2,3,4,5,6-펜타플루오로벤질 ALA 에스테르, 4-클로로벤질 ALA 에스테르, 2-메톡시에틸 ALA 에스테르, 3-니트로벤질 ALA 에스테르, 3,4-[디-클로로]벤질 ALA 에스테르, 3,6-디옥사-1-옥틸 ALA 에스테르, 3-플루오로벤질 ALA 에스테르, 3,6,9-트리옥사-1-데실 ALA 에스테르, 3-피리디닐-메틸 ALA 에스테르, 4-디페닐-메틸 ALA 에스테르, 4-메톡시-벤질 ALA 에스테르, 2-메틸벤질 ALA 에스테르, 벤질-5-[(1-아세틸옥시에톡시)-카보닐]아미노 레불리네이트 및 3-메틸벤질 ALA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5-ALA, 5-ALA 메틸에스테르, 5-ALA 헥실 에스테르 및 5-ALA 벤질 에스테르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광화학 요법 화합물은 당해 분야에 익히 공지된 표준 방법 및 과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화합물의 에스테르화의 경우에, 이는 단지 필요한 그룹이 활성으로 잔류하여, 에스테르화의 조건하에 반응에 참여하도록 적합한 그룹의 보호 및 탈보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LA 에스테르의 제조에 적합한 방법이 제WO96/28412호에 기술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광화학 요법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염은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과의 산 부가염이다. 적합한 산은,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락트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석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한다. 염산 염은 또한 예를 들어, 침전에 의해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염은,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브로마이드, 클로라이드, 시트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말레에이트, 메실레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설페이트, 타르트레이트, 올레에이트, 스테아레이트, 토실레이트, 칼슘, 메글루민, 칼륨 및 나트륨 염을 포함한다. 염 형성을 위한 과정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점막 부착제는 천연 또는 합성, 다가음이온, 다가양이온 또는 중성, 수용성 또는 수불용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소 결합을 형성시킬 수 있는 대형(예를 들어, 분자량 500 내지 3000kDa, 예를 들어, 1000 내지 2000kDa), 수불용성 가교결합된(예를 들어, 임의의 수화 이전에 총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가교결합제를 0.05 내지 2%, 예를 들어, 0.75 내지 1.5% 함유) 수팽윤가능한 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점막 부착제는 문헌[참조: Smart et al., 1984, J. Pharm. Pharmacol., 36, p295-299]의 방법에 따라 평가된 바와 같이, 시험관내 표준물에 대한 퍼센트로서 표현된, 1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특히 150 이상의 점막 부착력을 갖는다.
적합한 점막 부착제는 강한 수소-결합 그룹을 갖는 폴리(아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염 및 에스테르와 같은 폴리(카복실산-함유)계 중합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는, 셀룰로스 유도체, 예를 들어, 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메틸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에틸 셀룰로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또는 셀룰로스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자연 발생 또는 합성 중합체, 예를 들어, 검, 예를 들어, 크산탄 검, 구아 검, 로쿠스트 빈 검, 트라가칸트 검, 카라야 검, 가티 검, 콜라 검, 프실륨 시드 검 및 아라비아 검; 점토, 예를 들어,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예를 들어, 비건, 아타풀가이트 점토;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란, 펙틴, 아밀로펙틴, 아가, 만난 또는 폴리갈락톤산 또는 스타치,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또는 카복시메틸 스타치; 폴리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친지성 제형, 예를 들어, 오라베이스(Bristol Myers Squibb);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설포네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와 같은 그룹으로 다치환된 것과 같은탄수화물, 예를 들어, 수크로스 옥타설페이트; 폴리펩타이드, 예를 들어, 카제인, 글루텐, 젤라틴, 피브린 글루; 키토산(락테이트 또는 글루타메이트) 또는 카복시메틸 키틴;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 알긴산의 금속 또는 수용성 염, 예를 들어, 알긴산나트륨 또는 알긴산마그네슘; 스클레로글루칸; 산화비스무트 또는 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부착제; 아테로콜라겐; 폴리비닐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메틸 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카복실화 비닐 중합체(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폴리아크릴산);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글리콜; 폴리알콕시 및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이의 유도체 및 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점액 층 아래에 존재하는 상피 세포 층에 결합하는 점막 부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점액 턴오버와 비교하여 상피 세포의 보다 늦은 상대적 턴오버로 인해 보다 특이적이고 보다 긴 지속적인 부착(몇시간이라기보다는 며칠)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수용체-매개된 상호작용은 식물 또는 세균 렉틴, 즉 상피 세포 막의 당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당접합체에 결합하는 비면역 기원의 (당)단백질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피 세포 상의 수용체가 첨가된 제제의 당에 결합하는, 포유 동물의 소위 "역" 렉틴을 사용할 수 있다. 세균 또는 바이러스로부터의 다른 생체 부착제(예를 들어, 유착 또는 침입 인자, 예를 들어, 인테그린에 결합하는 세균 유착 또는 침입)를 사용하여, 단지 특정한 상피 세포에 결합시킴으로써 특유한 조직, 표현형, 질환 등에 선택적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중합체성 점막 부착제는 또한 가교결합될 수 있으며, 공중합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알케닐 폴리에테르를 사용하여 가교결합시킬 수 있고, 고분자량을 가지며, 틱소트로픽인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또는 예를 들어, 불용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알릴 에테르 또는 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를 갖는 점막 부착제는 폴리카보필, 예를 들어, Noveon AA-1, Carbomer(Carbopol), 예를 들어, Carbopol EX165, EX214, 434, 910, 934, 934P, 940, 941, 951, 974P 및 1342로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구입원 예: Goodrich).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점막 부착제 중 몇몇은 폴리아크릴 하이드로겔, 키토산, 폴리비닐 알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알긴산나트륨, 스클레로글루칸, 크산탄 검, 펙틴, 오라베이스 및 폴리갈락톤산을 포함한다.
상기한 점막 부착제는 당해 분야에 익히 공지된 표준 방법 및 과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지만, 다수의 점막 부착제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구입원 예: Goodrich, BDH, Hercules, Dow Chemical Co.).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광화학 요법제와 관련하여, 점막 부착성 유도체 또는 염을 사용할 수 있다. 광화학 요법제와 관련하여 적합한 염은 상기한 바와 같다. 점막 부착제는 점막 부착성을 보유하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제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도체는 광화학 요법제를 포함하도록 개질된 것, 예를 들어, ALA-메틸 에스테르 알기네이트 또는 ALA와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사이에서 형성될수 있는 바와 같은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은 성분이 조성물 중의 다른 성분과 혼화성일 뿐만 아니라, 수용자에게 생리학적으로 허용되어야만 함을 의미한다.
광화학 요법제 및 점막 부착제를 치료하거나 진단할 상태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제품에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막 부착제에 따라, 조성물을 무수 중합체성 필름, 정제 또는 산제로서 제형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부착은 아마 셀룰로스 유도체의 경우에서와 같이 수화에 의해 발생할 것이다. 다른 제형은, 예를 들어, 수용액의 사용에 의해 반 또는 완전 수화 상태(예를 들어, 하이드로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히알루론산 및 키토산)로 적용시킬 수 있다.
광화학 요법제는 점막 부착제에 부착시키거나 접합시키거나, 이와 결합시키거나, 간단히 이와 함께 투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각각의 제제 유형을 임의의 제형에서 사용할 수 있음은 인지될 것이다. 당해 제형은 임의의 적합한 투여 형태, 예를 들어, 유제 또는 리포좀 , 니오좀, 미세구체, 나노입자 등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점막 접착제는 투여 형태의 일부, 예를 들어, 외부 표면 상에만 존재한다. 다음, 광화학 요법제를 상기 형태에 흡수시키거나, 이에 혼입시키거나, 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액제, 현탁제(특히 성분이 소형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 현탁제), 겔 및 유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이의 염은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 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광감작제로서의 유용한 약리학적 특성을 가지며, 이는 이들을 이들 부위에서 광화학 요법제로서 유용하도록 만든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광화학 요법 화합물 및 점막 부착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임의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제형은 상기한 화학식 I의 화합물, 특히 ALA, ALA 에스테르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광화학 요법제를 폴리아크릴 하이드로겔, 키토산, 폴리비닐 알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알긴산나트륨, 스클레로글루칸 및 크산탄 검으로부터 선택된 점막 부착제와 함께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ALA 에스테르(예를 들어, C1-16알킬, 예를 들어, 헥실 ALA 에스테르)를 폴리아크릴산, 키토산, 펙틴, 폴리갈락톤산 또는 오라베이스와 함께 함유하는 제형이다.
본 발명에 따라 치료할 수 있는 이상 및 장애는 광화학 요법에 반응성인 임의의 악성, 전악성 및 비악성 이상 또는 장애, 예를 들어, 종양 또는 다른 증식물, 특히 기저 세포 암종, 형성 장애 또는 증식물, 및 다른 질환 또는 감염, 예를 들어, 세균, 바이러스 또는 진균 감염, 예를 들어,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을 직접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별개의 병소(병소는 본원에서 종양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광의로 사용된다)가 형성되는 질환, 장애 또는 이상의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치료할 수 있는 체표면은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외부 환경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해 있는 조직, 예를 들어, 호흡관, 위장관 및 비뇨생식관 및 이관을 포함하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은 최상층이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체표면을 의미한다. 이들 세포는 실질적으로 수성 또는 겔 층, 예를 들어, 점액으로 덮여져 있을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은 (i) 각막 및 결막; (ii) 구강, 인두, 식도, 위, 장 및 장 부속기관, 직장 및 항문관의 내층; (iii) 비 도관, 비동, 비인두, 기관, 기관지 및 세기관지의 내층; (iv) 요관, 방광 및 요도의 내층; (v) 질, 자궁 경부 및 자궁의 내층; 및 (vi) 이관의 내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익히 공지된 기술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통상의 방식으로 제형화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바람직한 국면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존재할 경우에 담체 또는 부형제의 첨가 전 또는 후에, 예를 들어, γ선-조사, 오토클레이빙 또는 가열 멸균에 의해 멸균시켜, 멸균 제형을 제공한다.
당해 조성물은 국소적으로(예를 들어, 장, 협측, 설하, 치은, 구개, 비강, 폐, 질, 직장 또는 안내 전달에 의해), 경구적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국소용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겔, 크림, 연고, 스프레이, 로션, 고약, 스틱, 비누, 산제, 정제, 필름, 페서리, 에어로졸, 점적제, 액제 및 당해 분야의 임의의 다른 통상적인 약제학적 형태를 포함한다.
연고, 겔 및 크림은, 예를 들어, 적합한 증점제 및/또는 겔화제를 첨가하면서 수성 또는 유성 베이스를 사용하여 제형화시킬 수 있다. 로션은 수성 또는 유성 베이스를 사용하여 제형화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또한 하나 이상의 유화제, 분산화제, 현탁화제, 증점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것이다. 산제는 임의의 적합한 산제 베이스의 원조로 형성시킬 수 있다. 점적제 및 액제는 수성 또는 비수성 베이스를 사용하여 제형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하나 이상의 분산화제, 가용화제 또는 현탁화제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스프레이는 적합한 추진제의 사용으로 압축 팩으로부터 편리하게 전달된다. 본 발명의 제형에서 사용되는 점막 부착제에 따라 상기한 특성 중 몇몇은 제형 중의 점막 부착제에 의해 본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인지될 것이다.
또는, 당해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약제학적 형태는 활성 성분을 임의로 하나 이상의 불활성의 통상적인 담체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폴리비닐피롤리돈,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물, 물/에탄올, 물/글리세롤, 물/소르비톨, 물/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스테아릴 알콜,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또는 지방 물질, 예를 들어, 경지방 또는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과 함께 함유하는 비피복 또는 피복 정제, 캡슐제, 현탁제 및 액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이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점막 부착제로서 미리 존재하지 않는다.
당해 조성물은 윤활제, 습윤화제, 유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감미제, 풍미제, 흡착 증강제, 예를 들어, 아래에 언급하는 바와 같은 표면 침투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익히 공지된 과정을 이용함으로써 환자에게 투여한 후에 활성 성분의 신속성, 지속성 또는 서방성 방출을 제공하도록 제형화시킬 수 있다. 가용화제 및/또는 안정화제, 예를 들어, 사이클로덱스트린(CD) α, β, γ 및 HP-β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상기한 바와 같은 광화학 요법제 및 점막 부착제의 농도는 조성물 중의 화합물의 특성, 투여 방식, 치료할 상태 및 환자에 따라 달라지며, 선택에 따라 변화시키거나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광화학 요법제에 대해서는 0.01 내지 50%, 예를 들어, 0.05 내지 20%, 예를 들어, 1 내지 10%(투여용 최종 제제의 w/w)의 농도 범위가 적합하다. 치료학적 용도를 위해서는, 광화학 요법제에 대해 0.1 내지 50%, 예를 들어, 0.2 내지 30%(w/w)의 농도 범위가 적합하다.
점막 부착제는 최종 조성물의 0.05 내지 50%, 예를 들어, 0.1 내지 25%, 예를 들어, 0.2 내지 10%(w/w)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국소적으로 투여하지만, 투여, 예를 들어, 위장 장애에 대한 경구 투여는 투여 부위를 함유하는 관의 상부 말단에서 원위로 실시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점막 부착제는, 예를 들어, 상이한 pH에서 또는 상이한 상태에서 변형된 부착 특성을 갖거나, 특정 부위에 대해 특이성을 도입하는 특이적 수용체-유형 상호작용과 관련된 점막 부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대상 부위에서 향상된 부착특성을 갖도록 선택한다.
접근하기 어려운 부위에 대한 국소 투여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의해, 예를 들어, 카테터 또는 다른 적합한 약물 전달 시스템의 사용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표면에의 투여 후에, 치료할 부위를 광에 노출시켜, 광화학 요법 효과를 달성한다. 예를 들어, 램프 또는 레이저에 의한 신체의 상이한 부위의 조사 방법은 당해 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참조예: Van den Bergh, Chemistry in Britain, May 1986 p. 430-439]. 접근하기 어려운 부위에 대해, 이는 광학 섬유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달성할 수 있다.
투여 후에 광 노출을 실시하는 시간 길이는 치료할 상태의 특성, 조성물 및 투여 형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는 약 0.5 내지 48시간, 예를 들어, 1 내지 10시간일 수 있다.
조사는 일반적으로 40 내지 200Joule/㎠, 예를 들어, 100Joule/㎠의 조사량 수준으로 적용시킬 것이다.
조사에 사용되는 광의 파장은 보다 유효한 광화학 요법 효과를 달성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포르피린을 광화학 요법에서 사용할 경우에, 이를 포르피린의 대략 흡수 최대치에서 광으로 조사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피부 암의 광화학 요법에서 ALA의 사용하는 선행 기술의 경우에, 350 내지 640nm, 바람직하게는 610 내지 635nm 영역의 파장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포르피린의 흡수 최대치를 넘어 확대한, 조사에 대한 광범위한 파장을 선택함으로써, 광감작 효과를증강시킬 수 있다. 이론에 의해 제한되길 원하지는 않지만, 이는 Pp 및 다른 포르피린이 이의 흡수 스펙트럼내의 파장을 갖는 광에 노출될 경우에, 특히 포토프로토포르피린(PPp)을 포함한 다양한 광-생성물로 분해된다는 사실로 인한 것으로 고려된다. PPp는 클로린이고, 상당한 광감작 효과를 가지며; 이의 흡수 스펙트럼은 Pp가 흡수하는 파장 이상, 즉 거의 700nm 정도의 보다 긴 파장으로 연장된다(Pp는 650nm를 초과하는 광은 거의 흡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통상의 광화학 요법에 있어서는, 사용되는 파장은 PPp를 여기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이의 추가의 광감작 효과의 이점을 획득하지 못한다. 500 내지 700nm 범위에서 광 파장으로의 조사는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630 및 690nm의 파장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질환에 걸린 표면에 투여하고, 당해 표면을 광,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800nm, 예를 들어, 500 내지 700nm의 파장 영역에서 광에 노출시킴을 포함하는, 사람 또는 동물 신체의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의 광화학 요법 치료 또는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다른 광감작제와 함께 제형화시키고/시키거나 투여할 수 있고, ALA 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ALA 또는 PhotofrinR, 또는 하나 이상의 점막 부착제, 또는 광화학 요법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는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투여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킬레이트화제를 포함시킬수 있다. 이는 광화학요법제의 안정성을 증강시키거나, Pp의 축적을 증강시킬 수 있으며; 킬레이트화제에 의한 철의 킬레이트화는 철이 Pp내로 혼입되어 효소 페로킬레이타제의 작용에 의해 헴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Pp의 축적을 유도한다. 따라서, 광감작 효과를 증강시킨다.
자기 공명 이미지화 조영제에서의 금속 해독 또는 상자성 금속 이온의 킬레이트화에 대해 문현에 기술된 임의의 킬레이트화를 포함한 아미노폴리카복실산 킬레이트화제는 이와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EDTA, CDTA(사이클로헥산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DTPA 및 DOTA, 및 익히 공지된 이들의 유도체/유사체를 특별히 언급할 수 있다. 철-킬레이트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데스페리옥사민 및 다른 철포획제를, 예를 들어, EDTA와 같은 아미노폴리카복실산 킬레이트화제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킬레이트화제는 편리하게는 1 내지 20%, 예를 들어, 2 내지 10%(w/w)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침투 보조제 및 특히 디알킬설폭사이드, 예를 들어, 디메틸설폭사이드(DMSO)가 광화학 요법 효과를 증강시키는데 유리한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제WO95/07077호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표면 침투 보조제는 약학 문헌에 기술된 임의의 막 침투 보조제, 예를 들어, 킬레이트화제(예, EDTA), 계면활성제(예,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비계면활성제, 담즙 염(예, 나트륨 데옥시콜레이트), 및 지방산(예, 올레산)일 수 있다. 적합한 표면 침투 보조제의 예는 HPE-101(구입원: Hisamitsu), DMSO 및 다른 디알킬설폭사이드, 특히 n-데실메틸설폭사이드(NDMS), 디메틸설프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DMFA), 디메틸아세트아미드, 글리콜, 다양한 피롤리돈 유도체[참조: Woodford et al., J. Toxicol. Cut. & Ocular Toxicology, 1986,5: 167-177], 및 AzoneR[참조: Stoughtonet al., Drug Dpv. Ind. Pharm. 1983,9: 725-744],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DMSO가 이의 항히스타민 및 항염증 활성 및 효소 ALA-신타제 및 ALA-데하이드로게나제의 활성에 대한 이의 자극 효과로 인해 바람직하다.
표면 침투제는 편리하게는 0.2 내지 50%(w/w), 예를 들어, 약 10%(w/w)의 농도 범위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다른 제제와 함께 제형화시키고/시키거나 투여하여, PDT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종양을 치료하는 경우, 예를 들어, 문헌[참조: O'Reilly et al., Nature Medicine, 2, p689-692, 1996; Yamamoto et al., Anticancer Research, 14, p1-4, 1994; 및 Brooks et al., J. Clin. Invest., 96, p1815-1822, 1995]에서 종양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밝혀져 있는 혈관형성 억제제(항혈관형성 약물)를 PDT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사용하여, 종양의 혈관계를 추가로 손상시킬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혈관형성 억제제는 TNP-470(AGM-1470, 푸마길린으로 불리는 진균 분비 생산물의 합성 유사체;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Osaka, Japan), 안지오스타틴(Surgical Research Lab. at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of Harvard Medical School) 및 인테그린 αvβ3길항제(예를 들어, 인테그린 αvβ3에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LaJolla, CA)를 포함한다.
달리 또는 또한, 면역 요법제(예를 들어, 항체 또는 이펙터, 예를 들어, 대식세포 활성화 인자) 또는 화학 요법제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PDT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보충제의 투여는 이들 제제를 사용하기 위해 공지된 방법에 따르는 경로, 농도 및 제형을 기초로 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이들 추가의 제제는 이들의 기능에 따라 PDT 전, 후 또는 동안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관형성 억제제는 PDT 이후 5 내지 10일째에 첨가하여, 종양 재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항암제를 유사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제형의 일부로서 또는 동시에, 개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할 별개의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글루코스는 또한 국소적으로 또는 전신적으로 적용시킬 경우에 PDT를 보조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론에 의해 제한되길 원하지는 않지만, 글루코스의 투여가 프로토포르피린, 예를 들어, ALA의 소수성 특성을 증가시키는 pH의 저하를 유발하여, 이들이 보다 용이하게 세포를 침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소 투여를 고려할 경우에, 편리하게는 제형, 예를 들어, 크림은 0.01 내지 10% 글루코스(w/w)를 함유할 수 있다.
치료할 상태 및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예를 들어, 단일 조성물로 상기한 다른 선택적 제제와 함께 공투여할 수 있거나, 이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실제로, 다수의 경우에, 특히 유리한 광화학 요법 효과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의 투여 이전에별개의 단계로 표면 침투 보조제로의 예비치료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상황에서는 표면 침투 보조제로 예비치료한 다음, 광화학 요법제를 표면 침투 보조제와 함께 투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표면 침투 보조제를 예비치료에서 사용할 경우에, 이는 고농도, 예를 들어, 100%(w/w) 정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비처리 단계를 이용할 경우에, 광화학 요법제를 예비처리 후에 수시간 이내에, 예를 들어, 예비처리 후에 5 내지 60분의 간격으로 후속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추가의 국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또한
a) 상기한 바와 같은 광화학 요법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b) 상기한 바와 같은 점막 부착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c)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를 함유하는 제3 용기, 및 임의로
d) 제1, 제2 또는 제3 용기내에 또는 제4 용기내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를 포함하는,
신체의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의 광화학 요법 또는 진단에서 사용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합물을 사용하는 치료 방법은 치료할 장애 또는 이상의 형광을 필연적으로 포함함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형광 강도는 이상 세포를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한편, 형광의 국재화를 사용하여, 이상 또는 장애의 크기, 범위 및 상황을 가시화할 수 있다.
다음, 이와 같이 조사 부위에서 동정되거나 확인된 이상 또는 장애를 또 다른 치료학적 기술, 예를 들어, 외과적 또는 화학적 치료를 통해, 또는 형광의 연속된 축적에 의한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 의해 또는 적합한 부위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추가의 적용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진단 기술이 가시화를 위해 치료학적 처치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낮은 수준을 필요로 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0.2 내지 30%, 예를 들어, 1 내지 5%(w/w)의 농도 범위가 적합하다. 투여 부위, 방법 및 방식은 치료학적 용도와 관련하여 이전에 고려되었으며, 본원에 기술된 진단 용도에 또한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또한 시험관내 진단 기술에 대해, 예를 들어, 체액에 함유된 세포의 검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비정상 조직과 결합된 보다 다량의 형광은 편리하게는 이상 또는 장애의 지시인자이다. 이러한 방법은 고도로 민감성이며, 뇨 또는 객담 샘플에서 각각 상피의 검사에 의해 이상 또는 장애, 예를 들어, 방광 또는 폐 암종의 초기 검출에 사용할 수 있다. 뇨 및 객담 이외에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유용한 체액은 혈액, 정액, 눈물, 척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조직 샘플 또는 제제, 예를 들어, 생검 조직을 평가할 수 있다. 당해 기술은 점막 자체에 결합하는 것보다 점막 아래에 존재하는 상피 세포에 결합하는 점막 부착제를 사용하여 특히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화학 요법에 대한 상기한 방법에 따르는 진단, 및 상기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제품 및 키트를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까지 확대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은 환자의 체액 또는 조직 샘플의 평가에 의한,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이상 또는 장애의 시험관내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당해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i) 상기 체액 또는 조직을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물과 혼합하는 단계,
ii) 당해 혼합물을 광에 노출시키는 단계,
iii) 형광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
iv) 형광 수준을 대조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본 발명은 참조된 도면이 다음과 같은 아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키토산 CL110 중의 다양한 농도의 메틸 5-아미노레불리네이트-HCl(P-1202)의 국소 투여 후의 피부 형광을 도시하며, 여기서, 메워진 삼각형, 메워진 사각형, 음영 육각형, 음영 역삼각형 및 부분적으로 메워진 사각형은 각각 점막 부착제 제형 1 내지 5를 나타낸다.
도 2는 헥실 5-아미노레불리네이트-HCl의 다양한 점막 부착제와의 국소 투여 후의 피부 형광을 도시하며, 여기서, 메워진 사각형, 음영 삼각형, 메워진 역삼각형, 음영 사각형, 메워진 육각형 및 메워진 원형은 각각 점막 부착제 6 내지 11을 나타낸다.
도 3은 5 또는 10%의 헥실 5-아미노레불리네이트-HCl의 다양한 점막 부착제와의 국소 투여 후의 피부 형광을 도시하며, 여기서, 메워진 사각형, 메워진 삼각형, 음영 역삼각형, 개방된 원형, 개방된 삼각형 및 메워진 원형은 각각 점막 접착제 제형 12 내지 17을 나타내고, 당해 도면 및 이전 도면에서 세로줄은 평균의 표준 오차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점막 부착 겔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스(1.0g)를 70℃에서 물(100ml)에 용해시킨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5-ALA 헥실 에스테르.HCl(제WO96/28412호에 따라 제조함)(300mg)을 30℃에서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겔을 2ml 튜브에 분액화시킨다. 각각의 튜브는 구강 및/또는 식도에서 1회 사용하기 위한 점막 부착 겔에 0.3% 5-ALA 헥실 에스테르 2ml를 함유한다.
실시예 2
방법
20 내지 22g 체중의 Balb/c 흉선 제거 누드 마우스(구입원: Department of Laboratory Animals, DNR)를 당해 연구에서 사용한다.
제형 0.05 내지 0.1g을 각각의 마우스 신체의 우측 옆구리에 국소 적용시키고,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드레싱으로 덮는다(Opsite Flexigrid; Smith and Nephew Medical Ltd., Hull, England). 광학 섬유의 묶음으로 구성된 섬유 포인트 측정 장치를 407nm의 여기 광을 생성시키는 형광 분광계에 연결시킨다. 여기 광을 섬유의 절반을 통해 마우스 피부에 유도한다. 생성된 방출 형광 스펙트럼(550 내지 750nm)을 수집하고, 나머지 섬유를 통해 정량화를 위한 광전자증배관으로 유도한다.
제형의 투여 후, 피부로부터의 형광 스펙트럼을 투여 후에 상이한 시간 간격으로 섬유-광학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누드 마우스의 피부를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하며, 조직학적으로 피부는 구강, 식도, 자궁 경부 등의 점막과 유사하기 때문에 특정 내부 중공 기관에 대한 표재 점막에 대한 우수한 모델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시험되는 제형은 메틸 또는 헥실 ALA 에스테르와 키토산(Protosan CL110, 구입원: Norsk Hydro, Pronova Medical Products, Oslo), 오라베이스 페이스트(구입원: Bristol Myers Squibb), 펙틴(GENU 유형: LM-104 AS-Z 또는 X-8902, Copenhagen pectin; 또는 Classic AU201 또는 CU501, 둘 다의 구입원: Herbstreith & Fox KG), 키토산 글루타메이트(PMC Biopolymer 905-360-01), 키토산 락테이트(FMC Biopolymer 810-361-05), 폴리아크릴산(구입원: Fluka), 폴리갈락톤산(구입원: Sigma) 또는 메틸하이드로프로필셀룰로섬 4000(구입원: NMD, Oslo)로 구성된다.
다음과 같은 제형을 사용하며, 여기서, m-ALA는 메틸 5-아미노레불리네이트 HCl이고, h-ALA는 헥실 5-아미노레불리네이트 HCl이다:
제형 번호 성분 m/h-ALA의 함량 %(w/w)
Muco-1 0.15g m-ALA2.25g Protosan CL110Unguentum Merck ad 15g 1
Muco-2 1.5g m-ALA2.25g Protosan CL110Ung. Merck ad 15g 10
Muco-3 0.3g m-ALA1.5g Protosan CL110Ung. Merck ad 15g 2
Muco-4 0.15g m-ALA0.75g Protosan CL110Ung. Merck ad 15g 1
Muco-5 1.5g m-ALA0.75g Protosan CL110Ung. Merck ad 15g 10
Muco-6 1.5g h-ALA2.0g 액체 파라핀오라베이스 페이스트 ad 15g 10
Muco-7 1.5g h-ALA3.0g aqua pur.0.5g 펙틴(GENU 유형: LM-104 AS-Z)Ung. Merck ad 15g 10
Muco-8 1.5g h-ALA3.0g aqua pur.1.5g 키토산 글루타메이트(PMC Biopolymer 905-360-01)Ung. Merck ad 15g 10
Muco-9 1.5g h-ALA1.5g 키토산 락테이트(FMC Biopolymer 810-361-05)12g 크림* 10
Muco-10 1.5g h-ALA1.5g 폴리아크릴산(Fluka)ung. Merck ad 15g 10
Muco-11 1.5g h-ALA1.5g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섬 4000(NMD, Oslo)7.0g Ung. Merck5.0g 오라베이스 페이스트 10
Muco-12 1.5g h-ALA0.5g 펙틴(GENU LM-104 AS-Z)3.0g aqua pur.1.0g 크림(Muco-9 참조) 10
Muco-13 1.5g h-ALA0.5g 펙틴(Classic CU 501 Herbstreith & Fox KG)3.0g aqua pur.10g Ung. Merck 10
Muco-14 1.5g h-ALA1.0g 폴리갈락톤산(Sigma)3.0g aqua pur.9.5g Ung. Merck 10
Muco-15 1.5g h-ALA1.0g 펙틴(Classic CU 501 Herbstreith & Fox KG)3.0g aqua pur.9.5g Ung. Merck 10
Muco-16 1.5g h-ALA0.5g 펙틴(GENU X-8902, Copenhagen pectin)13g 연고** 10
Muco-17 0.75g h-ALA0.5g 펙틴((GENU LM 104 AS-Z, Copenhagen pectin)3.0g aqua pur.Ung. Merck ad 15g 5
*크림 = 2.0g 요소, 2.5g 소르비탄 올레에이트, 0.5g 폴리소르베이트 80, 47g 바셀린 화이트, 48g aqua pur.**연고는 10% 산화아연(Sinksalve 10%, Nycomed Pharma ASA, Oslo)
결과
결과는 도 1 내지 3에 제시한다.
실시예 3
연구
메틸렌 블루(0.1중량%)를 실시예 2에 기술되어 있는 각각의 제형 Muco-6, Muco-10, Muco-13 및 Muco-14에 첨가한다. 동일한 농도의 메틸렌 블루를 함유하는 Uguentum Merck를 대조군으로서 사용한다.
다음, 각각의 제형을 사람의 구강, 혀 및 치아 사이에 적용시킨다. 약 1시간 후의 블루 염색의 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마우스의 시각적 검사법을 사용하여, 점막 부착 범위를 측정한다. 시험된 모든 제형(즉, Muco-6, Muco-10, Muco-13 및 Muco-14)은 대조군에 비해 향상된 점막 부착 특성을 나타낸다. Muco-6이 특히 우수한 점막 부착력을 나타낸다.

Claims (22)

  1. 광화학 요법제 및 점막 부착제를 임의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 및/또는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광화학 요법제가 0.01 내지 50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막 부착제가 0.05 내지 50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화학 요법제가 프소랄렌, 클로린, 프탈로시아닌, 포르피린, 프로토포르피린 전구체 또는 이의 유도체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광화학 요법제가 ALA, 또는 이의 ALA 에스테르 또는 유도체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광화학 요법제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인 조성물.
    화학식 I
    R2 2N-CH2COCH2-CH2CO-OR1
    상기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O-, -NR3-, -S- 또는 -PR3- 그룹에 의해 임의로 차단될 수 있는 임의로 치환된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그룹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C1-6 알킬 그룹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R1이 비치환된 알킬 그룹(예를 들어, C1-6알킬) 또는 아릴 그룹(예를 들어, 페닐)에 의해 치환된 알킬 그룹(예를 들어, C1-2알킬)이고/이거나 각각의 R2가 수소원자인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ALA 에스테르가 5-ALA 메틸 에스테르, 5-ALA 헥실 에스테르또는 5-ALA 벤질 에스테르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막 부착제가 수소 결합을 형성시킬 수 있는 수팽윤성 중합체인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카복실산-함유)계 중합체, 셀룰로스 유도체 또는 셀룰로스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검, 점토, 폴리사카라이드, 스타치, 폴리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친지성 제형,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설포네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탄수화물, 폴리펩타이드, 키토산(락테이트 또는 글루타메이트) 또는 카복시메틸 키틴,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알긴산의 금속 또는 수용성 염, 스클레로글루칸, 산화비스무트 또는 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부착제, 아테로콜라겐, 폴리비닐 중합체,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글리콜, 폴리알콕시 및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이의 유도체 및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점막 부착제가 폴리(아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메틸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에틸 셀룰로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크산탄 검, 구아 검, 로쿠스트 빈 검, 트라가칸트검, 카라야 검, 가티 검, 콜라 검, 프실륨 시드 검, 아라비아 검, 비건, 아타풀가이트 점토, 덱스트란, 펙틴, 아밀로펙틴, 아가, 만난, 폴리갈락톤산,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카복시메틸 스타치, 오라베이스, 수크로스 옥타설페이트, 카제인, 글루텐, 젤라틴, 피브린 글루, 히알루론산, 알긴산나트륨 또는 알긴산마그네슘,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메틸 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카복실화 비닐 중합체, 및 이의 유도체 및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ALA, 또는 이의 ALA 에스테르 또는 유도체를 폴리아크릴 하이드로겔, 키토산, 폴리비닐 알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알긴산나트륨, 스클레로글루칸, 크산탄 검, 펙틴, 폴리갈락톤산 및 오라베이스로부터 선택된 점막 부착제와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의 치료 또는 진단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광화학 요법에 반응성인 악성, 전악성 및 비악성 이상 또는 장애, 예를 들어, 종양 또는 다른 증식물, 특히 기저 세포 암종, 형성 장애 또는 다른 증식물, 및 다른 질환 또는 감염, 예를 들어, 세균, 바이러스 또는 진균 감염, 예를 들어,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7.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의 치료 또는 진단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점막 부착제와 함께,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와 함께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와 함께 광화학 요법제의 용도.
  18.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을 치료 또는 진단하는데 동시에, 개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복합 제제로서, 광화학 요법제 및 점막 부착제를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품.
  19.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을 치료 또는 진단하는데 동시에, 개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임의로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와 함께 광화학 요법제 및 점막 부착제의 용도.
  20.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질환에 걸린 표면에 투여하고, 당해 표면을 광,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800nm의 파장 영역에서 광에 노출시킴을 포함하는, 사람 또는 동물 신체의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의 광화학 요법 치료 또는 진단 방법.
  21. a) 광화학 요법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b) 점막 부착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c) 하나 이상의 표면 침투 보조제를 함유하는 제3 용기, 및 임의로
    d) 제1, 제2 또는 제3 용기내에 또는 제4 용기내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를 포함하는,
    신체의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장애 또는 이상의 광화학 요법 또는 진단에서 사용하기 위한 키트.
  22. i) 체액 또는 조직을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조성물과 혼합하는 단계,
    ii) 당해 혼합물을 광에 노출시키는 단계,
    iii) 형광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
    iv) 형광 수준을 대조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체액 또는 조직 샘플의 평가에 의한, 상피로 내막 구성된 표면, 바람직하게는 점막으로 내막 구성된 표면의 이상 또는 장애의 시험관내 진단 방법.
KR10-2003-7001217A 2000-07-27 2001-07-25 조성물 KR20030046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018527.2A GB0018527D0 (en) 2000-07-27 2000-07-27 Composition
GB0018527.2 2000-07-27
PCT/GB2001/003338 WO2002009690A2 (en) 2000-07-27 2001-07-25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photochemotherapeutic agent and a mucoadhesive ag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394A true KR20030046394A (ko) 2003-06-12

Family

ID=989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217A KR20030046394A (ko) 2000-07-27 2001-07-25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40029855A1 (ko)
EP (1) EP1311259B1 (ko)
JP (1) JP2004505040A (ko)
KR (1) KR20030046394A (ko)
CN (1) CN1633285A (ko)
AT (1) ATE297723T1 (ko)
AU (2) AU2002224594B2 (ko)
CA (1) CA2417533A1 (ko)
CZ (1) CZ2003553A3 (ko)
DE (1) DE60111539T2 (ko)
ES (1) ES2243572T3 (ko)
GB (1) GB0018527D0 (ko)
HU (1) HUP0301452A3 (ko)
RU (1) RU2003105461A (ko)
WO (1) WO2002009690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47B1 (ko) * 2005-03-09 2006-07-12 (주)세정 치과용 인상재의 조성 및 충진제
WO2012086857A1 (ko) * 2010-12-21 2012-06-28 (주)파낙스이엠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결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9227B1 (ko) * 2011-02-28 2013-09-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동 치료에 사용되는 아미노레불리닉산이 공유결합된 히아루론산 나노입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2420B2 (en) * 1995-03-10 2002-12-10 Photocure As Esters of 5-aminolevulinic acid as photosensitizing agents in photochemotherapy
GB0018528D0 (en) 2000-07-27 2000-09-13 Photocure Asa Compounds
AU2210402A (en) 2000-11-29 2002-06-11 Norwegian Radium Hospital Res Photochemical internalization for virus-mediated molecule delivery into the cyosol
KR20080080685A (ko) 2000-11-29 2008-09-04 피씨아이 바이오테크 에이에스 사이토졸 내로의 분자 전달을 위한 광화학적 내부이행
AU2003230808A1 (en) * 2002-04-05 2003-10-27 Candela Corporation High fluence rate activation of photosensitizers for dermatological applications
EP1608347B1 (en) * 2003-03-28 2014-08-13 Sigmoid Pharma Limited Solid oral dosage form containing seamless microcapsules
GB0406917D0 (en) 2004-03-26 2004-04-28 Photocure Asa Compounds
US20080113031A1 (en) * 2004-09-27 2008-05-15 Joey Moodley Minicapsule Formulations
EP1860107A4 (en) * 2005-01-14 2010-02-24 Hamamatsu Found Sci & Tech Pro PHOTOSENSITIVE COMPOUND
JP4934292B2 (ja) * 2005-07-05 2012-05-16 コスモ石油株式会社 5−アミノレブリン酸エステルリン酸類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4934293B2 (ja) * 2005-07-05 2012-05-16 コスモ石油株式会社 植物活力剤組成物
US8999933B2 (en) * 2006-01-18 2015-04-07 Biolitec Pharma Marketing Ltd Photodynamic cosmetic procedure and healing method
GB0700580D0 (en) * 2007-01-11 2007-02-21 Photocure Asa Use
CN103120653B (zh) 2007-04-04 2015-09-30 希格默伊德药业有限公司 一种口服药物组合物
JP2010527285A (ja) * 2007-04-26 2010-08-12 シグモイド・ファーマ・リミテッド 複数のミニカプセルの製造
US20100239665A1 (en) * 2007-05-01 2010-09-23 Ivan Coulter Pharmaceutical nimodipine compositions
AU2014200004B2 (en) * 2007-12-12 2016-10-27 Photocure Asa Use of 5-aminolevulinic acid and derivatives in a solid form for photodynamic treatment and diagnosis
GB0724279D0 (en) * 2007-12-12 2008-01-23 Photocure Asa Use
GB0804190D0 (en) * 2008-03-06 2008-04-16 Ge Healthcare Ltd Ester imaging agents
EP2291448B1 (en) 2008-04-24 2017-01-04 Medtronic, Inc Rehydratable polysaccharide particles and sponge
JP5757861B2 (ja) * 2008-04-24 2015-08-05 メ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トサン−含有保護用組成物
EP2313104B2 (en) * 2008-04-24 2020-08-26 Medtronic, Inc Thiolated chitosan gel
CN102065849B (zh) * 2008-04-24 2015-04-29 麦德托尼克公司 基于壳聚糖和氧化多糖的保护性凝胶
EP2291524A2 (en) * 2008-04-24 2011-03-09 Medtronic, Inc Rehydratable thiolated polysaccharide particles and sponge
GB0823472D0 (en) * 2008-12-23 2009-01-28 Photocure Asa Product
GB0900461D0 (en) 2009-01-12 2009-02-11 Photocure Asa Photodynamic therapy device
CN102006871B (zh) * 2009-04-09 2013-05-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端粒酶反应的抑制方法
JP4510929B1 (ja) * 2009-04-09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ロメラーゼ反応阻害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テロメラーゼ反応阻害剤
CN101536986B (zh) * 2009-04-16 2011-05-04 北京圣医耀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含索拉非尼的海藻酸钠靶向缓释微球血管栓塞剂及其制备和应用
EP3300723A1 (en) 2009-05-18 2018-04-04 Sigmoid Pharma Limited Composition comprising oil drops
WO2010142456A1 (en) * 2009-06-11 2010-12-16 Photocure Asa Solid compositions comprising 5-aminolevulinic acid
ES2821831T3 (es) * 2009-06-11 2021-04-27 Photocure Asa Composiciones y productos farmacéuticos semisólidos que comprenden ésteres de ácido 5-aminolevulínico
JP5911799B2 (ja) 2009-08-12 2016-04-27 シグモイド・ファーマ・リミテッドSigmoid Pharma Limited ポリマーマトリックスおよび油相を含んで成る免疫調節組成物
WO2011107478A1 (en) 2010-03-01 2011-09-09 Photocure Asa Cosmetic compositions
US20130211215A1 (en) 2010-06-23 2013-08-15 Photocure Asa Hyperosmotic preparations comprising 5-aminolevulinic acid or derivative as photosensitizing agent
KR101842732B1 (ko) 2010-07-09 2018-05-14 포토큐어 에이에스에이 광역동 치료 또는 광역동 진단에 사용하기 위한 건조 조성물 및 이와 같은 건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구
SG189034A1 (en) * 2010-09-24 2013-05-31 Agency Science Tech & Res A nanoprobe comprising gold colloid nanoparticles for multimodality optical imaging of cancer and targeted drug delivery for cancer
GB201020032D0 (en) 2010-11-25 2011-01-12 Sigmoid Pharma Ltd Composition
WO2012086802A1 (ja) 2010-12-24 2012-06-28 アークレイ株式会社 癌細胞の検出方法
EP2766049A1 (en) 2011-10-14 2014-08-20 Photocure ASA Photodynamic diagnosis of abnormalities of the epithelial lining of the oesophagus with the means of a 5-ala ester
US20140316534A1 (en) 2011-10-14 2014-10-23 Photocure Asa Stent
BR112014014847B1 (pt) 2011-12-19 2022-08-16 Photocure Asa Aparelho de aplicação de luz portátil, autônomo, para tratamento fotodinâmico da vulva, e kit
GB201208548D0 (en) * 2012-05-15 2012-06-27 Pci Biotech As Compound and method
CN102670577B (zh) * 2012-05-18 2018-04-13 上海复旦张江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光敏剂组合物、其使用方法及用途
GB201212010D0 (en) 2012-07-05 2012-08-22 Sigmoid Pharma Ltd Formulations
GB201306369D0 (en) 2013-04-09 2013-05-22 Photocure As Irradiation device
GB201319791D0 (en) 2013-11-08 2013-12-25 Sigmoid Pharma Ltd Formulations
US10278920B1 (en) 2014-05-12 2019-05-07 Gholam A. Peyman Drug delivery implan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US9744029B1 (en) 2014-05-12 2017-08-29 Gholam A. Peyman Method of preventing capsular opacification and fibrosis utilizing an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implant
US10709546B2 (en) 2014-05-12 2020-07-14 Gholam A. Peyman Intracorneal lens implantation with a cross-linked cornea
US11338059B2 (en) 2014-05-12 2022-05-24 Gholam A. Peyman Method of corneal and scleral inlay crosslinking and preservation
US11565023B2 (en) 2014-05-12 2023-01-31 Gholam A. Peyman Method of corneal transplantation or corneal inlay implantation with cross-linking
US10314690B1 (en) 2014-05-12 2019-06-11 Gholam A. Peyman Method of corneal transplantation or corneal inlay implantation with cross-linking
US11259914B2 (en) 2014-05-12 2022-03-01 Gholam A. Peyman Molding or 3-D printing of a synthetic refractive corneal lenslet
US10881503B2 (en) 2014-05-12 2021-01-05 Gholam A. Peyman Method of corneal transplantation or corneal inlay implantation with cross-linking
US10206569B1 (en) 2014-05-12 2019-02-19 Gholam A. Peyman Corneal intraocular pressure sensor and a surgical method using the same
US10195081B1 (en) 2014-05-12 2019-02-05 Gholam A. Peyman Method of prevention of capsular opacification and fibrosis after cataract extraction and/or prevention of fibrosis around a shunt or stent after glaucoma surgery
US9937033B1 (en) 2014-05-12 2018-04-10 Gholam A. Peyman Corneal lenslet implantation with a cross-linked cornea
US10925889B2 (en) 2014-05-12 2021-02-23 Gholam A. Peyman Method of treating, reducing, or alleviating a medical condition in a patient
US10583221B2 (en) 2014-05-12 2020-03-10 Gholam A. Peyman Method of corneal transplantation or corneal inlay implantation with cross-linking
US11648261B2 (en) 2014-05-12 2023-05-16 Gholam A. Peyman Method of treating, reducing, or alleviating a medical condition in a patient
US9427355B1 (en) * 2014-05-12 2016-08-30 Gholam A. Peyman Corneal transplantation with a cross-linked cornea
US11666777B2 (en) 2014-05-12 2023-06-06 Gholam A. Peyman Photodynamic therapy technique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fovea of the eye or another body portion of a patient
US11045352B2 (en) 2014-05-12 2021-06-29 Gholam A. Peyman Methods for treatment of dry eye and other acute or chronic inflammatory processes
KR20220048046A (ko) * 2014-07-31 2022-04-19 알러간, 인코포레이티드 방광내 주입을 위한 생물학 제형
US11623008B2 (en) * 2014-08-20 2023-04-11 Professional Compounding Centers Of America Excipient compositions for mucoadhes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cluding a synergistic combination of amylopectin, pullulan, hyaluronic acid, and xyloglucan
EP3215127B1 (en) 2014-11-07 2020-10-28 Sublimity Therapeutics Limited Compositions comprising cyclosporin
US20170049891A1 (en) 2015-08-17 2017-02-23 Nanoco Technologies Ltd. 5-aminolevulinic acid conjugated quantum dot nanoparticle
US10603508B2 (en) 2015-10-15 2020-03-31 Dusa Pharmaceuticals, Inc. Adjustable illuminators and methods for photodynamic therapy and diagnosis
CN109821018A (zh) * 2019-03-28 2019-05-31 海口市人民医院 一种含有盐酸氨酮戊酸的口腔贴片及其制备方法
CN110051838A (zh) * 2019-04-24 2019-07-26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 与激光联用的光敏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707518B2 (en) 2019-04-28 2023-07-25 Gholam A. Peyman Method of treating, reducing, or alleviating a medical condition in a patient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7532A (en) * 1974-03-09 1978-05-02 Boehringer Ingelheim Gmbh Analgesically useful 2-tetrahydrofurfuryl-5-lower alkyl-2-oxy-6,7-benzomorphans and salts thereof
CA1236029A (en) * 1984-05-14 1988-05-03 Edmund Sandborn Pharmaceutical solutions comprising dimethyl sulfoxide
US5446070A (en) * 1991-02-27 1995-08-29 Nover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pical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s
US4900552A (en) * 1988-03-30 1990-02-13 Watson Laboratories, Inc. Mucoadhesive buccal dosage forms
US5047244A (en) * 1988-06-03 1991-09-10 Watson Laboratories, Inc. Mucoadhesive carrier for delivery of therapeutical agent
JPH02258718A (ja) * 1989-03-31 1990-10-19 Nippon Kayaku Co Ltd ペースト状基剤及び製剤
US5234940A (en) * 1989-07-28 1993-08-10 Queen's University Photochemotherapeutic method using 5-aminolevulinic acid and precursors thereof
US5079262A (en) * 1989-07-28 1992-01-07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Method of detection and treatment of malignant and non-malignant lesions utilizing 5-aminolevulinic acid
US5422093A (en) * 1989-07-28 1995-06-06 Queen's University Photochemotherapeutic method using 5-aminolevulinic acid and precursors thereof
US5955490A (en) * 1989-07-28 1999-09-21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Photochemotherapeutic method using 5-aminolevulinic acid and other precursors of endogenous porphyrins
US5053423A (en) * 1990-03-22 1991-10-01 Quadra Logic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for photodynamic therapy
US5219878A (en) * 1990-10-05 1993-06-15 Queen's University Tetrapyrrole hydroxyalkylamide photochemotherapeutic agents
US5370901A (en) * 1991-02-15 1994-12-06 Bracco International B.V. Compositions for increasing the image contrast in diagnostic investigations of the digestive tract of patients
IT1247529B (it) * 1991-04-24 1994-12-17 Poli Ind Chimica Spa Composizioni farmaceutiche in forma di schiuma per somministrazione intravaginale, cutanea e orale
IT1250421B (it) * 1991-05-30 1995-04-07 Recordati Chem Pharm Composizione farmaceutica a rilascio controllato con proprieta' bio-adesive.
US5346701A (en) * 1993-02-22 1994-09-13 Theratech, Inc. Transmucosal delivery of macromolecular drugs
US5744155A (en) * 1993-08-13 1998-04-28 Friedman; Doron Bioadhesive emulsion preparations for enhanced drug delivery
US5578315A (en) * 1993-12-01 1996-11-26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Mucosal adhesive device for long-acting delivery of pharmaceutical combinations in oral cavity
US5458879A (en) * 1994-03-03 1995-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vehicle compositions
US5639469A (en) * 1994-06-15 1997-06-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mucosal delivery system
JP2896963B2 (ja) * 1994-11-28 1999-05-31 株式会社コスモ総合研究所 植物の耐塩性向上剤
CH686166A5 (de) * 1994-12-21 1996-01-31 Dermatologische Klinik Univer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ublingual verabreichbaren Arzneimittels auf der Basis von Psoralenen.
US6492420B2 (en) * 1995-03-10 2002-12-10 Photocure As Esters of 5-aminolevulinic acid as photosensitizing agents in photochemotherapy
US6034267A (en) * 1995-03-10 2000-03-07 Photocure As Esters of 5-aminolevulinic acid as photosensitizing agents in photochemotherapy
US7530461B2 (en) * 1995-03-10 2009-05-12 Photocure Asa Esters of 5-aminolevulinic acid as photosensitizing agents in photochemotherapy
US5576013A (en) * 1995-03-21 1996-11-19 Eastern Virginia Medical School Treating vascular and neoplastic tissues
GB9700396D0 (en) * 1997-01-10 1997-02-26 Photocure As Photochemotherapeutic compositions
EP0911023A1 (en) * 1998-03-20 1999-04-28 Mario Luca Russo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photosensitizing substanc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47B1 (ko) * 2005-03-09 2006-07-12 (주)세정 치과용 인상재의 조성 및 충진제
WO2012086857A1 (ko) * 2010-12-21 2012-06-28 (주)파낙스이엠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결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87040A3 (ko) * 2010-12-21 2012-10-04 (주)파낙스이엠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결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8946394B2 (en) 2010-12-21 2015-02-03 Panaxem Co., Ltd. Conjugate for photodynamic diagnosis or therap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1309227B1 (ko) * 2011-02-28 2013-09-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동 치료에 사용되는 아미노레불리닉산이 공유결합된 히아루론산 나노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018527D0 (en) 2000-09-13
WO2002009690A2 (en) 2002-02-07
DE60111539D1 (de) 2005-07-21
AU2002224594B2 (en) 2006-03-09
DE60111539T2 (de) 2006-05-11
HUP0301452A2 (hu) 2003-08-28
HUP0301452A3 (en) 2005-05-30
EP1311259A2 (en) 2003-05-21
EP1311259B1 (en) 2005-06-15
CN1633285A (zh) 2005-06-29
CA2417533A1 (en) 2002-02-07
WO2002009690A8 (en) 2004-04-15
WO2002009690A3 (en) 2002-08-08
ES2243572T3 (es) 2005-12-01
JP2004505040A (ja) 2004-02-19
US20040029855A1 (en) 2004-02-12
CZ2003553A3 (cs) 2003-06-18
AU2459402A (en) 2002-02-13
ATE297723T1 (de) 2005-07-15
RU2003105461A (ru) 200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24594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photochemotherapeutic agent and a mucoadhesive agent
AU200222459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photochemotherapeutic agent and a mucoadhesive agent
US8410172B2 (en) Esters of 5-aminolevulinic acid as photosensitizing agents in photochemotherapy
JP2731032B2 (ja) 光化学療法による悪性および非悪性病変の検出および治療方法
US6034267A (en) Esters of 5-aminolevulinic acid as photosensitizing agents in photochemotherapy
JP5814508B2 (ja) アミノレブリン酸およびその誘導体の使用
US20110293528A1 (en) Enema preparations and their use
US6750212B2 (en) Photochemotherapeutic compositions
US20040259949A1 (en) Method
US20020183386A1 (en) Esters of 5-aminolevulinic acid as photosensitizing agents in photochemotherapy
JP2004505040A5 (ko)
JP2003506488A (ja) 疾患の光線力学的療法のための改良された局所用薬品および方法
US10201609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ormulation of a hypericin salt
JP2002538201A (ja) 癌を診断および治療する手段
CZ244799A3 (cs) Farmaceutický prostřede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